KR20100052779A -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779A
KR20100052779A KR1020080111633A KR20080111633A KR20100052779A KR 20100052779 A KR20100052779 A KR 20100052779A KR 1020080111633 A KR1020080111633 A KR 1020080111633A KR 20080111633 A KR20080111633 A KR 20080111633A KR 20100052779 A KR20100052779 A KR 20100052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washing machine
drying
drying apparatu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1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2779A/ko
Publication of KR20100052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7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4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에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탁기에 별도로 설치된 보조건조장치에 건조대상물을 투입하는 단계; 세탁기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보조건조장치내에 뜨거운 공기를 공급하여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외부온도에 기초하여 건조 대상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UXILIALRY DRYING DEVICE IN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보조건조장치를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을 세제와 기계적 마찰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사용자가 세탁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보조장치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장치는 세탁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일 예로써, 상기 보조장치는 세탁기의 드럼 및 이에 부착된 건조장치를 이용함 없이 의류나 신발과 같은 건조대상물을 독립적으로 건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보조건조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보조건조장치가 건조 대상물들을 바로 입을 수 있도록 적절한 온도로 건조할 수 있다면,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보조건조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된 대상물이 바로 착용하기에 적절한 온도를 갖게 하는 보조건조장치를 갖는 세탁기 및 이를 위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탁기에 별도로 설치된 보조건조장치에 건조대상물을 투입하는 단계; 세탁기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보조건조장치내에 뜨거운 공기를 공급하여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외부온도에 기초하여 건조 대상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온도조절단계는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감지된 외부온도를 소정의 기준온도와 비교하는 단계; 및 만일 상기 감지된 외부온도가 상기 기준온도이상이면, 상기 건조 대상물을 냉각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단계에 있어서, 비교단계는 상기 건조단계의 완료후에 수행된다. 또한,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건조대상물을 자연적으로 냉각되도록 소정시간동안 상기 보조건조장치내에 대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다른 한편, 상기 냉각단계는 소정시간동안 상기 건조대상물에 가열되지 않은 공기를 송풍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건조대상물을 상기 기준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온도조절단계는 상기 감지된 외부온도를 소정의 기준온도와 비교하는 단계; 및 만일 상기 감지된 외부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미만이면, 상기 건조 대상물을 추가적으로 가열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단계에서, 상기 가열단계는 소정시간동안 상기 건조대상물에 뜨거운 공기를 송풍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단계는 상기 건조대상물을 상기 기준온도 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시킬 수 있다.
상술된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대상물은 의류 및/또는 신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된 제어방법에 의해 건조된 대상물들의 온도는 외부온도에 대해 적절하게 조절되며, 사용자는 건조된 대상물을 보조건조장치로부터 꺼내서 바로 착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10), 캐비넷(10)의 내부의 제1 공간(1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20), 캐비넷(10) 내부의 제2 공간(1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도 2 참조, 30), 및 제2 공간(14)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공기공급유닛(40)을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캐비넷(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이 캐비넷(10)에 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 캐비넷(10)은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공간(12)과, 드로워(3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공간(14)을 그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공간(12)은 의류에 대해서 세탁, 헹굼, 또는 탈수와 같은 주된 행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드로워(3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공간(14)은 제 1 공간(12)에서 주처리가 끝난 의류를 다시 처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제1 공간(12)에서 의류를 세탁, 헹굼 또는 건조시키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2 공간(14)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 공간(12)에서 주행정이 끝난 의류를 추가로 건조시키거나, 또는 리프레쉬(refresh)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세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제 2 공간(14)내의 드로워(30) 및 공기공급유닛(40)은 제 1 공간(12)에 제공되는 통상적인 세탁 및 건조장치와는 구별되는 보조 건조장치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보조건조장치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미 세탁 및 건조된 의류를 추가적으로 건조 및 리프레쉬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적은 부피의 젖은 의류나 신발도 세탁기의 드럼(20)을 이용하지 않고도 별도로 건조시킬 수 있다. 만일 실질적으로 적은 부피의 의류 및 신발을 큰 용량을 갖는 드럼(20) 및 이에 부착된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경우, 실질적으로 요구되는 것보다 많은 량의 열풍이 긴 시간동안 상기 드럼(20)에 공급되며, 이는 에너지의 낭비를 가져온다. 따라서, 이러한 보조건조장치는 세탁기 자체가 건조기능을 갖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편의 및 높은 에너지 효율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량
한편, 캐비넷(10)은 제1 공간(12) 및 제2 공간(14)을 구비하도록 별도의 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된 캐비넷(1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된 캐비네(10)의 내부에 제1 공간(12) 및 제2 공간(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부재로 형성된 캐비넷(10) 내부에 제1 공간(12) 및 제2 공간(14)이 형성되면, 캐비넷(10)의 조립이 매우 용이하며 시간도 적게 걸리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된 캐비넷(10)의 내부에 제1 공간(12) 및 제2 공간(14)이 형성되며, 캐비넷(10)의 내부에 제1 공간(12) 및 제2 공간(14)을 구획하는 격벽(16)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은 격벽(16)은 캐비넷(10)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할 수 있는데, 격벽(16)의 상부가 제1 공간(12), 격벽(16)의 하부가 제2 공간(14)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결국,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넷(10) 내부에 격벽(16)을 구비할 수 있으며, 격벽(16)이 제1 공간(12)의 바닥을 밀폐하는 베이스를 형성함과 동시에, 제2 공간(14)의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커버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격벽(16)에 의해 제1 공간(12)의 베이스 및 제2 공간(14)의 상부커버를 동시에 형성하게 되므로, 별도의 부재에 의해 제1 공간(12)의 베이스 및 제2 공간(14)의 상부커버를 구비하는 경우에 비하여 조립하는데 현저하게 용이하며, 조립시간도 단축시 킬 수 있다.
한편, 캐비넷(10) 내부의 격벽(16)을 중심으로 상부에 제1 공간(12)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2 공간(14)이 형성되는 경우에 공기공급유닛(40)은 격벽(16)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공간(12)에는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 공간(14)에는 드로워(3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제1 공간(12)이 제2 공간(14)에 비하여 내부 체적이 클 수 있다. 따라서, 제2 공간(14)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공기공급유닛(40)을 제2 공간(14)에 구비하기보다는 제1 공간(12)에 구비하는 것이 내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공급유닛(40)은 격벽(16)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격벽(16) 상부에는 오목부(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오목부(17)에 공기공급유닛(40)이 위치할 수 있다.
격벽(16) 상부의 제1 공간(12)에는 드럼(20)이 위치하게 되며, 드럼(20)의 회전에 따라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에 물이 격벽(16)으로 낙하할 수 있다. 따라서, 오목부(17)는 이와 같이 격벽(16)의 상부에서 떨어지는 물을 집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오목부(17)에 공기공급유닛(40)이 구비되므로,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오목부(17)의 일측에는 집수된 물이 공기공급유닛(40)으로 접근하지 않도록 집수된 물을 배수시키는 구조를 구비하거나, 또는 오목부(17)의 바닥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집수된 물이 공기공급유닛(40)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기공급유닛(40)은 격벽(16)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공간(14)으로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공기공급유닛(40)은 캐비넷(10) 내부의 제1 공간(12)의 공기를 가열하여 제2 공간(14)을 향해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공간(12)의 공기는 공기공급유닛(40)에 의해 가열된 후, 제2 공간(14)로 방향을 바꾸어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캐비넷(10) 내부의 공기, 즉 제1 공간(12)의 공기를 가열하여 제2 공간(14)으로 공급하게 되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캐비넷(10) 외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제2 공간(14)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캐비넷(10)의 외부에서 공기공급유닛(40)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유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로에 의해 캐비넷(10) 외부의 공기를 공기공급유닛(40)으로 공급하고, 공기공급유닛(40)에서 공기를 가열하여 제2 공간(14)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캐비넷(10)의 제2 공간(1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드로워(30)는 대략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공간(12)에서 의류에 대한 주처리를 마친 다음, 의류를 제2 공간(14)에 구비되는 드로워(30)의 내측에 수납하여 보조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적은 량은 젖은 의류 및 젖은 신발도 상기 드럼(20)에서의 세탁 및 건조과정없이 바로 상기 드로워(30)내에 건조를 위해 투입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젖지 않은 신 발이나 의류도 착용하기에 좋은 상태로 리프레쉬되기 위해 상기 드로워(30)내에 투입될 수 있다.
한편, 제1 공간(12)에서 세탁, 헹굼 또는 탈수를 마친 의류라 하더라도 냄새가 남아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드로워(30)의 내측에는 상기와 같이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는 필터(미도시)를 더 구비하거나, 또는 드로워(30)의 내측으로 방향성 물질을 공급하는 향부가유닛(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필터에 의해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향부가유닛에 의해 의류에 방향성 물질을 공급하여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하는 경우에 쾌적한 느낌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 또는 향부가유닛은 제2 공간(14)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드로워(30)의 내측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공간(14), 즉 드로워(30)를 향해 공급된 열풍을 배기하는 별도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지만, 이와 같이 열풍을 배기하는 구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공간(14)에서 캐비넷(10)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유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드로워(30)의 내부를 향하여 열풍을 공급하는 공기공급유닛(40)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도 1에서 공기공급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공기공급유닛(40)의 내부를 도시하기 위하여 상부커버(44)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유닛(40)은 격벽(도 1 참조, 16)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42), 상기 유로를 따라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50), 송풍팬(5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부(60) 및 송풍팬(50) 및 히터부(60)를 제어하는 서브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하우징(42)은 내부를 따라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후술하는 송풍팬(50), 히터부(60) 및 서브제어부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하우징(42)은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격벽(16)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커버(46)와, 하부커버(46)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커버(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착탈 가능한 하부커버(46)와 상부커버(44)를 구비하게 되면, 공기공급유닛(40)의 유지 및 보수 시에 내부의 구성요소를 수리하거나 장착하는 경우에 매우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하부커버(46)는 격벽(16)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거나, 또는 후크와 같은 걸림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와 걸림부재를 모두 구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하부커버(46)의 상부에는 상부커버(4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커버(44)는 대략 하부커버(46)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 또는 후크 등에 의해 하부커버(4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커버(44)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후크(45)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하부커버(46)에는 후크(45)에 대응하는 걸림쇄(47)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 서, 상부커버(44)를 조립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부커버(44)는 하부커버(46)와의 사이에 화살표를 따라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43)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한편, 이러한 공기공급유닛(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격벽(16) 상부, 즉, 드럼(도 1 참조, 2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드럼(20)이 구동하는 경우에 공기공급유닛(40)의 상부로 물이 낙하할 수 있다. 이 경우, 낙하한 물이 하우징(42)의 내부로 유입되면 하우징(42) 내부의 히터부(60)와 같은 구성요소가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파손되어 화재의 위험이 있다. 특히, 하우징(42)이 상부커버(44)와 하부커버(46)와 같이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부커버(44)와 하부커버(46)의 연결부를 통해 물이 침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유닛(40)은 상부커버(44)와 하부커버(46) 사이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수단을 구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부커버(44)의 가장자리에는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1 결합리브(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커버(46)의 가장자리에는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2 결합리브(4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리브(41)는 상부커버(44)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하부커버(46)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리브(48)는 제1 결합리브(41)에 연결되는데, 구체적으로, 제1 결합리브(41)의 내측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커버(44)에서 하부로 연장된 제1 결합리브(41)가 상부커버(44) 와 하부커버(46)의 연결부를 감싸게 되며, 하부커버(46)에서 연장된 제2 결합리브(48)는 제1 결합리브(41)의 내측으로 결합된다. 결국, 하우징(42)의 상부에서 낙하된 물은 결합부를 따라 하우징(42)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고 제1 결합리브(41)의 표면을 따라 격벽(16)으로 낙하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커버(46)와 상부커버(44)의 사이에는 화살표를 따라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43)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43)를 따라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50) 및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송풍팬(50), 히터부(60)의 순서로 배치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히터부(60)가 먼저 위치하고 송풍팬(50)이 다음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송풍팬(50)이 구동하는 경우에 하우징(42)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42)의 내부로 유입되며 히터부(60)에 의해 가열되어, 토출구(49)를 통하여 열풍을 배출하게 된다. 이 경우, 토출구(49)는 격벽(16) 상부의 열풍공급구(미도시)와 연결되어, 토출구(49)를 통해 배출된 열풍이 열풍공급구를 통해 제2 공간(14), 즉 드로워(30)를 향해 공급될 수 있다. 나아가, 송풍팬(50)은 회전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송풍팬(5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유닛(40)은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센서(7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온도센서(70)의 측정치에 따라 히터부(60)를 제어하여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온도센서(70)는 유로(43)를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공간(14)으로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유로(43)의 단부, 즉 토출구(49)에 인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공급유닛(40)에 구비된 서브제어부는 제1 온도센서(70)에서 측정된 공기의 온도에 따라 히터부(60)의 구동을 제어하여 제2 공간(14)으로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제1 온도센서(70)에 의해 열풍의 온도를 감지하여 히터부(60)를 제어하는 경우, 제어부를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지만, 제어부를 둘 이상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어부를 복수개, 메인제어부 및 서브제어부로 구비하는 경우, 메인제어부는 세탁기의 구동을 제어, 즉 드럼(20) 및 공기공급유닛(4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온도센서(70)에서 측정된 측정치는 메인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메인제어부는 드럼(20)의 구동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제1 온도센서(70)의 신호에 따라 공기공급유닛(40)의 히터부(6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제어부에서 생성되는 명령신호는 공기공급유닛(40)에 구비된 서브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으며, 서브제어부는 메인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히터부(6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제어부에서 명령을 받는 경우, 구성의 단순화를 위하여 서브제어부는 단순히 히터부(60) 또는 송풍팬(50)의 온/오프(on/off) 제어만을 할 수도 있다.
한편, 히터부(60)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따라 위치하는데, 열풍을 생성하도록 열을 가하게 되므로 하우징(42)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히터 부(60)는 공기만을 가열하고, 하우징(42)으로는 열전달이 되지 않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5에서 히터부(60)만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유닛에서 히터부(60)는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61) 및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히터(61)를 지지하고, 히터(61)의 열이 하우징(도 4 참조, 42)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브라켓(6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히터(61)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가 용이한 PTC히터를 채택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브라켓(62)은 히터(61)를 지지하며 히터(61)가 하우징(42)의 내측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브라켓(62)은 열에 잘 견디는 금속(metal) 또는 내연성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브라켓(62)은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부재로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62)은 서로 대칭적인 제1 및 제2 조립부재(64, 66)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부재(64, 66)가 끼움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부재에 의해 브라켓(62)을 형성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히터부(60)를 보수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분리하여 보수하고 다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히터(61)는 하우징(42)과 매우 인접하게 위치하므로, 브라켓(62)은 단순히 히터(61)가 하우징(42)의 내측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 이 아니라, 히터(61)의 열이 상하부를 따라 하우징(42)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62)은 히터(61)의 상부 및 하부를 덮는 상부플레이트(63) 및 하부플레이트(6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결국, 히터(61)는 브라켓(62)에 의해 하우징(42)에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나아가 히터(61)에서 발열된 열은 상부플레이트(63) 및 하부플레이트(65)에 의해 브라켓(62) 상하부의 하우징(42)으로 전달되는 것이 최대한 억제된다.
한편, 히터부(60)는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히터부(60)가 구동을 하게 되면 히터(61)의 온도가 너무 상승하게 되어 파손 및 화재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히터(61)가 과열하는 것을 방지하는 과열방지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60)에서는 히터(61)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센서(6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열풍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센서(도 5 참조, 70)와 별도로, 히터(61)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센서(68)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온도센서(68)는 히터(61)에 인접하여 브라켓(62)에 구비되어 히터(61)의 온도를 감지하며, 감지된 측정치를 제어부(메인제어부 및 서브제어부를 구비하는 경우, 메인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 또는 메인제어부는 전송된 히터(61)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히터(61)가 과열된 것으로 판단하여 히터(61)의 구동을 멈추게 된다. 서브제어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메인제어부의 명령을 받아 서브제어부가 히터(61)를 오프할 수 있다.
한편, 히터(61)의 과열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전술한 온도센서 이외에 소정온 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히터(61)를 오프시키는 오프유닛(7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62)의 일측에 열퓨즈(thermal fuse)(72)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62)의 상부플레이트(63)에 개구부(67)를 구비하고, 개구부(67)에 열퓨즈(72)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67)를 통해 히터(61)의 열이 열퓨즈(72)로 전달되어 히터(61)의 열을 보다 용이하게 감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와 같이 개구부(67)가 형성되어 있으면, 히터(61)의 열이 개구부(67)를 통해 상부의 하우징(42)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60)는 개구부(67)를 덮어 히터(61)의 열이 하우징(42)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부재(6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차폐부재(69)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레이트(6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퓨즈(72)는 히터(61)와 연결되어 히터(61)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단선되어 히터(61)로 전기공급을 차단하여 히터(61)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히터부(60)를 구비하여 열풍을 공급하는 공기공급유닛(40)을 구비한 세탁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세탁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히터부(60)를 구비하지 않고 공기만을 송풍시키는 공기공급유닛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공기공급유닛을 구비하는 경우, 하우 징의 내부에 히터부를 구비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건조대상물을 캐비넷(10)의 드로워(30)에 투입하고, 추가적인 코스, 예를 들어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코스, 또는 공기만을 송풍시키는 송풍코스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열풍코스를 수행하는 경우, 공기공급유닛(40)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여 제2 공간(14), 즉 드로워(30)를 향해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제1 온도센서(70)에 의해 열풍의 온도를 감지하여 공기공급유닛(40)을 제어하며, 제2 온도센서(68) 또는 오프유닛(72)에 의해 히터(61)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공기만을 송풍시키는 송풍코스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히터부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지 않고 송풍팬만을 구동시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나아가, 히터부를 구비하지 않는 공기공급유닛을 구비하는 경우, 앞선 히터부를 갖는 공기공급유닛의 송풍코스와 유사하게 제어부에 의해 건조과정중 송풍팬(50)만을 구동하여 가열되지 않은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건조과정에 의해 의류나 신발과 같은 건조대상물은 적절하게 건조되거나 리프레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건조장치는 적은 량의 의류 및 신발들을 건조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는 건조후 바로 착용하기 위해 의류 및 신발들을 상기 보조은조장치에서 건조시키는 경향이 있다. 특히, 신발은 바로 착용하기 위해 보조건조장치에 건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상기 보조건조 장치에서 건조된 의류 및 신발들은 바로 착용하기 적절하지 않은 온도를 갖기 쉽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건조장치는 건조를 위해 뜨거운 공기를 사용하며, 건조된 의류 및 신발들도 높은 온도를 갖는다. 만일 여름과 같이 세탁기의 외부온도가 높은 경우, 이러한 뜨거운 신발 및 의류는 사용자가 바로 착용하기에 어렵다. 또한, 겨울과 같이 세탁기의 외부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아무리 건조된 신발 및 의류가 건조직후 높은 온도를 갖는다 하더라도 건조된 신발 및 의류가 높은 온도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사용자가 바로 착용하기에 편리하다.
따라서, 건조된 의류 및 신발이 바로 착용하기에 적절한 온도를 갖도록 보조건조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제어방법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건조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제어방법중 온도조절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건조대상물을 상기 보조건조장치에 투입한다(S10).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드로워(30)을 세탁기의 캐비닛으로부터 인출하고 인출된 드로워(30)의 내부에 건조될 대상물을 넣는다. 상기 건조 대상물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드럼(20)에서 이미 일차적으로 세탁 및 건조된 의류 및 신발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 대상물은 이전의 세탁 및 건조과정을 거치지 않은 비교적 소량의 젖은 의류 및 신발이 될 수 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보조 건조장치에는 젖지 않은 의류 및 신발도 리프레쉬되기 위해 투입될 수 있다.
상기 투입단계(S10)이후, 세탁기 외부의 온도가 감지된다(S20). 상기 외부온도는 세탁기에 별도로 구비된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며, 감지된 외부온도는 보조건조장치의 제어를 위해 제어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한편으로, 상기 외부온도는 직접적으로 측정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적절하게 세탁기에 입력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단계(S20) 이후, 상기 투입된 건조대상물은 상기 보조건조장치내에서 건조된다(S30). 상기 건조단계(S30)에서, 공기공급장치(40)의 히터(60)및 송풍기(50)을 이용하여 상기 드로워(30)내에는 뜨거운 공기가 공급될 수 있으며, 한편으로 단순히 송풍기(50)만을 이용하여 가열되지 않은 공기가 공급될 수도 있다. 그러나, 뜨거운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빠르고 완전한 건조를 위해 보다 유리하다.
상기 건조단계(S30)이후, 앞서 감지된 외부온도에 기초하여 건조된 대상물의 온도가 조절된다(S40).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조절단계(S40)에 있어서, 먼저 상기 감지된 외부온도가 소정의 기준온도와 비교된다(S41).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외부온도를 기 저장된 소정의 기준온도와 비교하게 된다. 상기 기준온도는 외부온도의 상대적인 높음과 낮음을 판단하기에 적절하게 설정된다. 즉, 상기 기준온도보다 높으면 외부온도는 여름철의 온도에 근접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온도보다 낮으면, 외부온도는 겨울철의 온도에 근접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비교단계(S41)는 온도감지단계(S20) 및 온도조절단계(S40)사이의 어느때에도 수행될 수 있으나, 실제적인 온도조절단계의 세부 과정들을 연속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건조단계(S30)의 완료 직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감지된 외부온도가 상기 기준온도이상이면, 상기 건조 대상물은 냉각된다(S42).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감지된 외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크면, 제어부는 외부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 즉 여름철의 온도에 근접한다고 판단하며, 이에 따라 건조된 대상물을 냉각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냉각단계(S42)에서, 상기 건조 대상물은 소정시간동안 상기 보조건조장치내에서 대기될 수 있다. 즉, 건조단계(S30)가 실질적으로 완료된 후에도, 소정시간이 추가적으로 경과한 후에야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건조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소정시간이 추가적으로 경과한 후에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로워(30)가 인출될 수 있게 드로워(30)의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도 있다. 상기 소정시간동안 건조대상물은 상기 드로워(30)내에서 자연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냉각단계(S42)에서, 가열되지 않은 공기가 상기 건조 대상물에 송풍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공급장치(40)에서 히터(60)가 작동되지 않고 송풍팬(50)만이 작동되며, 이에 따라 가열되지 않는 공기가 상기 드로워(30)내의 건조대상물에 공급된다. 이러한 공기를 소정시간동안 공급함으로써 상기 건조대상물은 적절하게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단계(S42)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대상물은 상기 기준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온도는 상기 외부온도의 상대적인 높음 및 낮음을 판단하는 기준이되므로, 이러한 기준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되면 건조대상물은 상대적으로 높은 외부온도에 대해 사용자가 착용하기에 적합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확실하게 가질 수 있다.
한편, 만일 상기 감지된 외부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미만이면, 상기 건조 대상물은 추가적으로 가열된다(S43). 감지된 외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작으면, 제어부는 외부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 즉 겨울철의 온도에 근접한다고 판단하며, 이에 따라 건조된 대상물을 가열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열단계(S43)에서, 뜨거운 공기가 상기 건조 대상물에 계속적으로 송풍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공급장치(40)에서 히터(60) 및 송풍팬(50)이 작동되며, 이에 따라 가열된 공기가 상기 드로워(30)내의 건조대상물에 공급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건조 대상물은 상기 건조단계(S30)에서 이미 뜨거운 공기에 의해 어느정도 가열되므로, 이와같이 뜨거운 공기를 소정시간동안 계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건조대상물은 상기 건조단계(S30)에서의 가열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더 높은 온도 가열될 수도 있다.
또한, 앞선 냉각단계(S42)와 유사하게, 상기 가열단계(S43)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대상물은 상기 기준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온도는 상기 외부온도의 상대적인 높음 및 낮음을 판단하는 기준이되므로, 이러한 기준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되면 건조대상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외부온도에 대해 사용자가 착용하기에 적합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확실하게 가질 수 있다.
앞선 설명된 온도조절단계(S40)가 완료되면, 보조건조장치에서의 건조과정들 은 최종적으로 종료되며, 이는 사용자에게 세탁기 또는 보조건장치 자체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통보된다. 이 후, 사용자는 상기 보조건조장치에 건조된 건조대상물, 즉 의류 또는 신발을 꺼낸다.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에 따라, 건조된 대상물들은 외부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적어도 이러한 외부온도에 비해 낮은 온도상태가 되며, 외부온도가 낮은 경우, 적어도 외부온도에 비해 높은 온도인 상태가 된다. 즉, 추운 날씨인 경우, 사용자는 따뜻한 대상물을 착용할 수 있고, 더운 날씨인 경우 사용자는 시원한 대상물을 착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술된 제어방법은 통해 건조된 대상물들의 온도는 외부온도에 대해 적절하게 조절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편리하게 건조된 대상물을 보조건조장치로부터 꺼내서 바로 착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캐비넷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공기공급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상부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히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건조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 및
도 8은 도 7의 제어방법중 온도조절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Claims (11)

  1. 세탁기에 별도로 설치된 보조건조장치에 건조대상물을 투입하는 단계;
    세탁기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보조건조장치내에 뜨거운 공기를 공급하여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외부온도에 기초하여 건조 대상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단계는:
    상기 감지된 외부온도를 소정의 기준온도와 비교하는 단계;
    만일 상기 감지된 외부온도가 상기 기준온도이상이면, 상기 건조 대상물을 냉각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단계는 상기 건조단계의 완료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의 제어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건조대상물을 자연적으로 냉각되도록 소정시간동안 상기 보조건조장치내에 대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의 제어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는 소정시간동안 상기 건조대상물에 가열되지 않은 공기를 송풍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의 제어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건조대상물을 상기 기준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의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단계는:
    상기 감지된 외부온도를 소정의 기준온도와 비교하는 단계;
    만일 상기 감지된 외부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미만이면, 상기 건조 대상물을 추가적으로 가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단계는 상기 건조단계의 완료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의 제어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는 소정시간동안 상기 건조대상물에 뜨거운 공기를 송풍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는 상기 건조대상물을 상기 기준온도 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대상물은 의류 및/또는 신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80111633A 2008-11-11 2008-11-11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1000527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633A KR20100052779A (ko) 2008-11-11 2008-11-11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633A KR20100052779A (ko) 2008-11-11 2008-11-11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779A true KR20100052779A (ko) 2010-05-20

Family

ID=42277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633A KR20100052779A (ko) 2008-11-11 2008-11-11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27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01735B2 (en) Laundry machine
US8176755B2 (en) Heating part and laundry treat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8677785B2 (en) Laundry machine
KR20080032398A (ko) 건조기의 제어 방법
CN101570929A (zh) 衣物处理机
KR20100052779A (ko) 세탁기의 보조건조장치의 제어방법
JP2006122697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659309B1 (ko) 스팀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
JP3851190B2 (ja) ドラム式乾燥機
KR20100052780A (ko) 세탁기
KR101939290B1 (ko) 건조기 및 건조기의 건조행정 제어방법
KR19990058432A (ko) 건조 세탁기의 히팅부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