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634A -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634A
KR20100052634A KR1020080111438A KR20080111438A KR20100052634A KR 20100052634 A KR20100052634 A KR 20100052634A KR 1020080111438 A KR1020080111438 A KR 1020080111438A KR 20080111438 A KR20080111438 A KR 20080111438A KR 20100052634 A KR20100052634 A KR 20100052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imulation
factory
processing time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헌
김호경
임래수
신헌주
유지헌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1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2634A/ko
Publication of KR20100052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물류의 이동, 물류의 적치 상황, 공정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복수의 단말, 각 단말로부터 전송된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기 저장된 공장 상황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중앙 관리 서버,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 요청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현재 공장 상황 정보, 작업별 공정 정보 및 일정 계획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시뮬레이션을 위한 초기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작업별 공정 정보를 근거로 각 공정의 처리시간에 영향을 주는 팩터(factor)에 따른 미래의 공정별 처리 시간을 확정적(Deterministic) 또는 확률적(Stochastic)으로 발생시키고, 상기 초기 상태로 설정된 현재의 상황을 기준으로 및 미래의 작업 공정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장치로 구성되어, 현재 공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모든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은 물론 현재 공장 상황을 초기 상태로 설정하여 시뮬레이션(simulation)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물류나 생산 공정에 있어서 효과적인 방안을 창출할 수 있다.
조선소, 시뮬레이션, 공장, 공정

Description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on of plant circumstance}
본 발명은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 관리 서버가 현재 공장 전체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업데이트하고,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이 요청된 경우 시뮬레이션 장치가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시뮬레이션을 위한 초기상태를 설정하고 그 초기 상태 이후의 작업에 대한 공정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뮬레이션은 제조 및 서비스 분야에서 공정 프로세스 및 물류에 대한 문제점을 찾고 여러 대안들에 대해 최적의 대안을 찾는 기법으로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산업, 반도체 제조 공정 라인은 현재까지 시뮬레이션을 통해 많은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조선 산업의 경우에 조선업의 Digital Manufacturing System 또는 e-Manufacturing이라고 할 수 있는 DSS(Digital Shipbuilding System)을 도입하려 하고 있으나 조선업의 특성상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e-Manufacturing이라 함은 제조 공정의 모든 부분을 컴퓨터상에 완벽하게 구현하여 가상적으로 공장을 운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현실적으로는 실현하기 힘든 공정의 장비 및 정책, 운영의 변환 등을 컴퓨터상에서 미리 테스트함으로써 장비, 정책 변환에 있어서의 사전 점검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에서 가장 어려운 점의 하나는 초기 상태에 대한 설정이다. 대부분의 시뮬레이션은 시작 시점에는 일이 없는(idle) 상태로 시작한다. 이것은 시뮬레이션 결과값을 왜곡시키기는 하지만 단일한 제품, 반복적인 공정이 짧은 시간에 반복되는 상황에서 시뮬레이션 수행 시간을 충분히 가지게 되면 시스템 전체가 안정상태(steady state)에 돌입하기 때문에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하지만 수주에 의해 설계, 생산품이 모두 달라지는 조선업에 대해서는 사정이 다르다.
조선소 시뮬레이션은 조선소 내 물류 흐름의 분석, 제품의 최적 생산량 도출, 자재 공급 주기 최적화, 작업자 운영 전략 검증, 설비 능력 및 공장 내 위치와 관련된 적합성 테스트 등의 목적으로 실시된다.
이러한 목적을 가진 조선업의 경우 제조 시간이 상당히 길기 때문에 초기 상태를 잘 설정하지 않으면 시뮬레이션 결과 값은 실제와 상당히 다르게 되고, 시뮬레이션의 의미는 퇴색된다. 시뮬레이션 수행 당시의 실제 상황으로 초기 상태가 설정되는 것이 최선이나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때마다 야드 전체의 공정, 물류 상황 그리고 블록 등의 개체 정보를 입력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시뮬레이션에 있어서 두번째로 어려운 점은 신뢰성 있는 공정시간에 대한 데이터의 축적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자동차 공장 같은 경우 하나의 공정에 있어서 일정 기간 동안 같은 차종, 같은 부품에 대한 작업이 일어나기 때문에 체계적인 데이터의 축적이 쉽다. 뿐만 아니라 자동차 라인 구축이 잘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 시간의 편차가 작다. 그러나 조선업에서 임의의 공정의 경우, 같은 날이라고 할지라도 다른 선종 및 부품 등을 작업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단 작업시간에 대한 편차(또는 분산)가 크고, 체계적인 데이터의 수집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조선 생산 분야에 대한 시뮬레이션 모델 구축 자체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결과에 대한 신뢰성도 높지 않기 때문에 DSS의 구축 및 그 활용은 다른 제조업에 비하여 그다지 높지 않을 수 밖에 없다.
또한, 조선 산업의 경우에 단위 공정 측면에서의 시뮬레이션 적용은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생산공정 전체적인 부분에서 시뮬레이션을 적용하는 것은 다른 제조업에 비해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선 생산공정 전체적인 부분에서 시뮬레이션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뮬레이션 수행 당시의 실제 상황으로 초기 상태를 설정하여 시뮬레이션하는 것이 가능한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뢰성 있는 공정시간에 대한 데이터의 축적이 가능한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재 공장 전반에 대한 상황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각 공정을 중심으로 전후의 공정 상황과 물류 이동 기기의 가용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재 공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모든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은 물론 현재 공장 상황을 초기 상태로 설정하여 시뮬레이션하는 것이 가능한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What-If 분석으로 공정 전체에 대한 통찰력과 관리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류의 이동, 물류의 적치 상황, 공정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복수의 단말, 각 단말로부터 전송된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기 저장된 공장 상황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중앙 관리 서버,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 요청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현재 공장 상황 정보, 작업별 공정 정보 및 일정 계획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시뮬레이션을 위한 초기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작업별 공정 정보를 근거로 각 공정의 처리시간에 영향을 주는 팩터(factor)를 이용하여 확률적 오차가 포함될 수 있는 수학적 모형 또는 확률분포를 추정하고, 그 모형에 따른 공정별 처리 시간을 시뮬레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반복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초기 상태로 설정된 현재 및 미래의 작업에 대한 공정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은 상기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의 일정 계획 정보, 작업 공정 정보, 물류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이동통신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 유선통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각 공정별 처리 시간에 영향을 주는 팩터들의 조합 을 이용하여 공정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생성한 공정 시나리오에 따른 공정 처리 시간을 상기 추정된 공정별 처리 시간의 수학적 모형을 이용하여 생성하고, 그 생성된 공정 처리 시간을 상기 일정 계획 정보 및 공장 설계 정보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공장 전체의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중앙 관리 서버에 있어서, 물류의 이동, 물류의 적치 상황, 작업 공정 정보, 일정 계획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복수의 단말로부터 물류의 이동, 물류의 적치 상황, 공정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공장 상황 정보 수집부, 상기 공장 상황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공정 상황을 근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일정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일정 계획 관리부를 포함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중앙 관리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대일정, 중일정, 소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일정 계획 정보가 저장된 일정 계획 정보 데이터베이스, 각 공정의 처리 시간에 영향을 주는 팩터와 그 공정별 처리 시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작업 공정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공장 상황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물류의 이동 및 적치 상황 정보가 저장된 물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일정 계획 업데이트부는, 상기 공정 상황 정보가 일정 계획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일정 계획에 상응하는지를 판단하고, 상응하지 않은 경우 일정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상기 일정 계획 업데이트부는, 상기 공정 상황 정보가 작업 종료를 나타낸 경우, 작업 공정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작업에 대한 작업 시간을 기록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현재 공장 상황 정보, 작업별 공정 정보, 일정 계획 정보 및 공장 설계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작업별 공정 정보를 근거로 현재 이후 작업에 대하여, 공정의 처리시간에 영향을 주는 팩터(factor)를 이용하여 확률적 오차가 포함될 수 있는 수학적 모형 및 분포를 추정하고, 그 수학적 모형에 따른 공정별 처리 시간을 생성하는 공정별 처리시간 추정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시뮬레이션을 위한 초기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초기 상태로 설정한 현재 및 미래 작업에 대한 공정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공정 시나리오 생성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일정 계획 정보 및 공장 설계 정보에 상기 공정 시나리오 생성부에서 생성한 공정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 수행부를 포함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뮬레이션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부에서 수행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하여 최선의 공정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결과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정 시나리오 생성부는 각 공정의 처리 시간에 영향을 주는 팩터들의 조합의 결과로 나타나는 가상의 가공 소요 시간 등에 의한 공정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부는 상기 공정 시나리오 생성부에서 생성한 공정 시나리오에 따른 공정 처리 시간을 상기 공정별 처리 시간 추정부에서 추정한 수학적 모형에 따른 공정별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생성하고, 그 생성된 공정 처리 시간을 상기 일정 계획 정보 및 공장 설계 정보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이 물류의 이동, 물류의 적치 상황, 공정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기 저장된 공장 상황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이 요청된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현재 공장 상황 정보 및 작업별 공정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작업별 공정 정보를 이용하여 기존 공정의 처리시간에 영향을 주는 팩터를 이용하여 수학적 모형 및 분포를 추정하고, 그 모형에 따른 공정별 처리 시간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현재 및 미래의 작업에 대한 공정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생성한 공정 시나리오에 따른 공정 처리 시간을 상기 공정별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생성하고, 그 생성된 공정 처리 시간을 상기 일정 계획 정보 및 공장 설계 정보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 방법은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를 이용하여 최선의 공정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시뮬레이션 장치가 공장 전체 상황을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이 요청된 경우, 중앙 관리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현재 공장 상황 정보 및 작업별 공정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시뮬레이션을 위한 초기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작업별 공정 정보를 이용하여 기존 공정의 처리시간에 영향을 주는 팩터를 이용하여 확률적 오차를 포함할 수 있는 수학적 모형 또는 확률분포를 추정하고 그 모형에 따른 공정별 처리 시간을 시뮬레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반복적으로 실행하는 단계, 상기 초기 상태로 설정한 현재 및 미래의 작업에 대한 공정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공정 시나리오에 따른 공정 처리 시간을 상기 공정별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생성하고, 그 생성된 공정 처리 시간을 상기 일정 계획 정보 및 공장 설계 정보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를 이용하여 최선의 공정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공장 전반에 대한 상황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각 공정을 중심으로 전후의 공정 상황과 물류 이동 기기의 가용 여부를 알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현재 공장 상황 전체에 대한 데이터를 초기 상태로 시뮬레이션 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 높은 시뮬레이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현재 공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모든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은 물론 현재 공장 상황을 초기 상태로 설정하여 시뮬레이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물류나 생산 공정에 있어서 효과적인 방안 등을 창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은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중앙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복수의 단말(100), 상기 단말(100)로부터의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공장 전체의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중앙 관리 서버(200), 공장 전체 상황을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 장치(300)를 포함한다.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은 상기 중앙 관리 서버(200)로부터의 일정 계획 정보, 작업 공정 정보, 물류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를 별도로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시뮬레이션 장 치(300)가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때, 상기 중앙 관리 서버(20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게 되면 중앙 관리 서버(200)에 많은 부하를 주게 되고 다른 데이터베이스의 작업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별도로 구성하였다.
상기 단말(100)은 물류의 이동, 물류의 적치 상황, 공정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 유선통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류 이동의 경우, 물류 이동 차량에 RFID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탑재하고, 그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물류 이동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물류 적치 상황 및 공정 상황의 경우는 PC 등의 유선통신 단말, 핸드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관리자로부터 입력 받아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리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기 저장된 공장 상황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즉, 상기 중앙 관리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로부터의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현재 공장 전반에 대한 상황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한다.
상기 중앙 관리 서버(200)의 공장 상황 모니터링에 의해 공장 전반의 상황을 살펴볼 수 있고, 해당 공정을 중심으로 전후의 공정 상황과 물류 이동 기기(크레인, 트랜스포터, 지게차 등), 특정 적치장 또는 저장소의 가용 여부를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중앙 관리 서버(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300)는 사용자에 의해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이 요청된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서버(200)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로부터 현재 공장 상황 정보, 작업별 공정 정보 및 일정 계획 정보를 수신한다.
그런 다음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300)는 상기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시뮬레이션을 위한 초기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작업별 공정 정보를 근거로 각 공정의 처리시간에 영향을 주는, 미리 설정된 팩터(factor)를 기반으로 한 공정별 처리 시간의 수학적 모형을 추정하고, 확률적 오차를 포함할 수 있는 수학적 모형에 의해 시뮬레이션에 이용될 소요시간을 생성하고, 상기 초기 상태로 설정된 현재 작업 이후의 작업에 대한 공정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즉,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300)는 상기 생성한 공정 시나리오에 따른 공정 처리 시간을 상기 추정된 공정별 처리 시간의 수학적 모형을 이용하여 발생시키고, 그 추정된 공정 처리 시간을 상기 일정 계획 정보 및 공장 설계 정보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한다.
또한,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미리 입력된 계획의 순서에 따라 공정 시나리오가 결정되고, 세부적인 소요시간은 각각의 소요시간에 영향을 주는 팩터들을 고려한 추정된 수학적 모형을 이용하여 발생시키고, 그 발생된 처리 시간의 값을 컴퓨터 상의 공정 소요시간으로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한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장치(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장 전체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중앙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장 전체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중앙 관리 서버(200)는 단말 또는 시뮬레이션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240), 데이터베이스(210), 공장 상황 정보 수집부(220), 일정 계획 업데이트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10)는 대일정, 중일정, 소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일정 계획 정보가 저장된 일정 계획 정보 데이터베이스(212), 각 공정의 처리 시간에 영향을 주는 팩터와 그 공정별 처리 시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작업 공정 정보 데이터베이스(214), 상기 공장 상황 정보 수집부(220)에서 수집된 물류의 이동 및 적치 상황 정보가 저장된 물류 정보 데이터베이스(216)를 포함한다.
상기 공장 상황 정보 수집부(220)는 단말로부터 물류의 이동, 물류의 적치 상황, 공정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상기 일정 계획 관리부(230)는 상기 공장 상황 정보 수집부(220)에서 수집된 공정 상황을 근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일정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즉, 상기 일정 계획 업데이트부(230)는 상기 공정 상황 정보가 일정 계획 정보 데이터베이스(212)에 등록된 일정 계획에 상응하는지를 판단하고, 상응하지 않 은 경우 일정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일정 계획 업데이트부(230)는 중일정, 소일정 관련 데이터를 체크하면서 계획보다 지연 또는 앞당겨진 공정이 있으면 계획을 알맞게 수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일정 계획 업데이트부(230)는 상기 공정 상황 정보가 작업 종료를 나타낸 경우, 작업 공정 정보 데이터베이스(214)에 해당 작업에 대한 작업 시간을 기록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시뮬레이션 장치(300)는 통신부(310), 데이터 수집부(320), 공정별 처리시간 추정부(330), 공정 시나리오 생성부(340), 시뮬레이션 수행부(350), 결과 분석부(36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310)는 단말, 중앙 관리 장치, 데이터베이스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부(320)는 현재 공장 상황 정보, 작업별 공정 정보, 일정 계획 정보, 공장 설계 정보 등을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현재 공장 상황 정보는 현재 공장 전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을 말하는 것으로서, 물류의 이동, 물류의 적치 상황, 공정 상황 등을 말한다.
상기 작업별 공정 정보는 각 작업의 공정별로 공정에 필요한 팩터(factor), 처리 시간 등을 말하고, 상기 일정 계획 정보는 대일정, 중일정, 소일정 등을 말한다.
상기 공정별 처리시간 추정부(33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320)에서 수집한 작업별 공정 정보를 근거로 현재 이후 작업에 대하여, 각 공정의 처리 시간에 영향을 주는 팩터(factor)에 따른 공정별 처리 시간의 수학적 모형을 추정한다.
즉, 조선산업에서 공정의 처리시간은 처리되는 부품 또는 반제품의 크기, 투입되는 인원, 작업의 난이도 등에 따라서 다르게 되므로, 상기 공정별 처리 시간 추정부는 구비된 작업 공정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작업별 공정 정보를 받아들여 각 공정의 처리 시간에 영향을 주는, 미리 설정된 팩터를 이용한 수학적 모형을 추정하고, 그 수학적 모형에 따르는 공정별 처리 시간을 발생한다.
상기 공정 시나리오 생성부(34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320)에서 수집한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초기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초기 상태로 설정한 현재 및 미래 작업에 대한 공정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즉, 상기 공정 시나라오 생성부(340)는 상기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현재 및 미래에 진행해야 할 작업을 확인한 후, 현재 상태를 시뮬레이션을 위한 초기 상태로 설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공정 시나리오 생성부(340)는 각 공정별 처리 시간에 영향을 주는 팩터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현재 및 미래에 진행해야 할 작업에 대한 공정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부(35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320)에서 수집한 일정 계획 정보 및 공장 설계 정보에 상기 공정 시나리오 생성부(340)에서 생성한 공정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즉,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부(350)는 상기 공정 시나리오 생성부(340)에서 생성한 공정 시나리오에 따른 공정 처리 시간을 상기 공정별 처리 시간 추정부(330)에서 추정한 공정별 처리 시간의 수학적 모형을 이용하여 생성하고, 그 생성된 공정 처리 시간을 상기 일정 계획 정보 및 공장 설계 정보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부(350)에서는 회귀 분석 등의 수학적 모형 또는확률적 분포를 통해 상기 공정 시나리오에 따른 공정 처리 시간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결과 분석부(360)는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부(350)에서 수행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하여 최선의 공정 시나리오를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뮬레이션 장치(300)에 의해 현재 공장 전체에 대한 데이터를 초기 상태로 시뮬레이션 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높은 시뮬레이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장 전체 상황 모니터링 및 시뮬레이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단말은 물류의 이동, 물류의 적치 상황, 공정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S400).
그러면,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현재 공장 상황 정 보를 근거로 기 저장된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402). 이때,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추후, 사용자에 의해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이 요청된 경우,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중앙 관리 서버에 현재 공장 상황 정보 및 작업별 공정 정보를 요청한다(S404).
그러면,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현재 공장 상황 정보 및 작업별 공정 정보를 기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로 전송한다(S406).
그러면,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작업별 공정 정보를 이용하여 기존 공정의 처리시간에 영향을 주는 팩터를 이용하여, 그 팩터에 따른 공정별 처리 시간을 생성한다(S408).
그런 다음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현재 및 미래 작업에 대한 공정 시나리오를 생성한다(S410). 즉,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시뮬레이션을 위한 초기 상태를 설정하고, 그 초기 상태 이후 작업에 대한 공정 시나리오를 생성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생성한 공정 시나리오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게 된다(S412).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에 의해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일정 계획 정보에 최대한 상응하는 공정 시나리오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 관리 서버가 현재 공장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방 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중앙 관리 서버는 각 단말로부터 현재 공장 상황 정보가 수신되면(S500), 상기 수신된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기 저장된 공장 상황 정보와 비교하여(S502), 상응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04).
상기 S504의 판단결과 상응하지 않은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상기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기 저장된 공장 상황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506).
예를 들어,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현재 공장 상황 정보 중 공정 상황 정보가 일정 계획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일정 계획에 상응하는지를 판단하고, 상응하지 않은 경우 일정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장치가 공장 전체 상황을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시뮬레이션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이 요청되면(S600), 중앙 관리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현재 공장 상황 정보 및 작업별 공정 정보를 획득한다(S602).
그런 다음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시뮬레이션을 위한 초기 상태를 설정하고(S604), 상기 작업별 공정 정보를 이용하여 공정의 처리 시간에 영향을 주는 팩터를 이용한 수학적 모형으로 각 공정별 처리 시간을 생성한다(S606).
그리고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초기 상태로 설정한 현재 및 미래 작업 에 대한 공정 시나리오를 생성한다(S608).
즉,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현재 및 미래 작업에 대한 공정에 대하여 처리 시간에 영향을 주는 팩터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현재 및 미래에 진행해야 할 작업에 대한 공정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생성한 공정 시나리오에 따른 공정 처리 시간을 상기 추정된 공정별 처리 시간에 대한 수학적 모형을 이용하여 생성하고(S610), 그 생성된 공정 처리 시간을 상기 일정 계획 정보 및 공장 설계 정보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한다(S612).
그런 후,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시뮬레이션에 대하여 여러 대안들의 수행 결과를 이용하여 최선의 공정 시나리오를 결정한다(S614).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장 전체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중앙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장 전체 상황 모니터링 및 시뮬레이션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 관리 서버가 현재 공장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장치가 공장 전체 상황을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말 200 : 중앙 관리 서버
210 : 데이터베이스 220 : 공장 상황 정보 수집부
230 : 일정 계획 관리부 240, 310 : 통신부
320 : 데이터 수집부 330 : 공정별 처리시간 추정부
340 : 공정 시나리오 생성부 350 : 시뮬레이션 수행부
360 : 결과 분석부

Claims (16)

  1. 물류의 이동, 물류의 적치 상황, 공정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복수의 단말;
    각 단말로부터 전송된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기 저장된 공장 상황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중앙 관리 서버;및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 요청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현재 공장 상황 정보, 작업별 공정 정보 및 일정 계획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시뮬레이션을 위한 초기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작업별 공정 정보를 근거로 각 공정의 처리시간에 영향을 주는 팩터(factor)를 이용하여 확률적 오차가 포함될 수 있는 수학적 모형 또는 확률분포를 추정하고, 그 모형에 따른 공정별 처리 시간을 시뮬레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반복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초기 상태로 설정된 현재 및 미래의 작업에 대한 공정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장치;
    를 포함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의 일정 계획 정보, 작업 공정 정보, 물류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더 포함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이동통신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 유선통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각 공정별 처리 시간에 영향을 주는 팩터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공정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생성한 공정 시나리오에 따른 공정 처리 시간을 상기 추정된 공정별 처리 시간의 수학적 모형을 이용하여 생성하고, 그 생성된 공정 처리 시간을 상기 일정 계획 정보 및 공장 설계 정보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6. 공장 전체의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중앙 관리 서버에 있어서,
    물류의 이동, 물류의 적치 상황, 작업 공정 정보, 일정 계획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복수의 단말로부터 물류의 이동, 물류의 적치 상황, 공정 상황 중 적어도 하 나를 포함하는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공장 상황 정보 수집부;및
    상기 공장 상황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공정 상황을 근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일정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일정 계획 관리부;
    를 포함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중앙 관리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대일정, 중일정, 소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일정 계획 정보가 저장된 일정 계획 정보 데이터베이스;
    각 공정의 처리 시간에 영향을 주는 팩터와 그 공정별 처리 시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작업 공정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공장 상황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물류의 이동 및 적치 상황 정보가 저장된 물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중앙 관리 서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계획 업데이트부는, 상기 공정 상황 정보가 일정 계획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일정 계획에 상응하는지를 판단하고, 상응하지 않은 경우 일정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중앙 관리 서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계획 업데이트부는, 상기 공정 상황 정보가 작업 종료를 나타낸 경우, 작업 공정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작업에 대한 작업 시간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중앙 관리 서버.
  10. 현재 공장 상황 정보, 작업별 공정 정보, 일정 계획 정보 및 공장 설계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작업별 공정 정보를 근거로 현재 이후 작업에 대하여, 공정의 처리시간에 영향을 주는 팩터(factor)를 이용하여 확률적 오차가 포함될 수 있는 수학적 모형 및 분포를 추정하고, 그 수학적 모형에 따른 공정별 처리 시간을 생성하는 공정별 처리시간 추정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시뮬레이션을 위한 초기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초기 상태로 설정한 현재 및 미래 작업에 대한 공정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공정 시나리오 생성부;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일정 계획 정보 및 공장 설계 정보에 상기 공정 시나리오 생성부에서 생성한 공정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 수행부;
    를 포함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뮬레이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부에서 수행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하여 최선의 공정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결과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뮬레이션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시나리오 생성부는 각 공정의 처리 시간에 영향을 주는 팩터들의 조합의 결과로 나타나는 가상의 가공 소요 시간 등에 의한 공정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뮬레이션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부는 상기 공정 시나리오 생성부에서 생성한 공정 시나리오에 따른 공정 처리 시간을 상기 공정별 처리 시간 추정부에서 추정한 수학적 모형에 따른 공정별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생성하고, 그 생성된 공정 처리 시간을 상기 일정 계획 정보 및 공장 설계 정보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뮬레이션 장치.
  14. 복수의 단말이 물류의 이동, 물류의 적치 상황, 공정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기 저장된 공장 상황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이 요청된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현재 공장 상황 정보 및 작업별 공정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작업별 공정 정보를 이용하여 기존 공정의 처리시간에 영향을 주는 팩터를 이용하여 수학적 모형 및 분포를 추정하고, 그 모형에 따른 공정별 처리 시간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현재 및 미래의 작업에 대한 공정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생성한 공정 시나리오에 따른 공정 처리 시간을 상기 공정별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생성하고, 그 생성된 공정 처리 시간을 상기 일정 계획 정보 및 공장 설계 정보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를 이용하여 최선의 공정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 방법.
  16. 시뮬레이션 장치가 공장 전체 상황을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이 요청된 경우, 중앙 관리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현재 공장 상황 정보 및 작업별 공정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재 공장 상황 정보를 근거로 시뮬레이션을 위한 초기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작업별 공정 정보를 이용하여 기존 공정의 처리시간에 영향을 주는 팩터를 이용하여 확률적 오차를 포함할 수 있는 수학적 모형 또는 확률분포를 추정하고 그 모형에 따른 공정별 처리 시간을 시뮬레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반복적으로 실행하는 단계;
    상기 초기 상태로 설정한 현재 및 미래의 작업에 대한 공정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공정 시나리오에 따른 공정 처리 시간을 상기 공정별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생성하고, 그 생성된 공정 처리 시간을 상기 일정 계획 정보 및 공장 설계 정보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및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를 이용하여 최선의 공정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 방법.
KR1020080111438A 2008-11-11 2008-11-11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52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438A KR20100052634A (ko) 2008-11-11 2008-11-11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438A KR20100052634A (ko) 2008-11-11 2008-11-11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634A true KR20100052634A (ko) 2010-05-20

Family

ID=42277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438A KR20100052634A (ko) 2008-11-11 2008-11-11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263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5066A1 (ko) * 2012-04-30 2013-11-07 주식회사 지노스 모바일을 이용한 원격 시뮬레이션 기반 조선 생산 시스템 및 방법
KR101444539B1 (ko) * 2012-11-15 2014-09-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통계적 공정 분석 방법 및 그 분석 장치
KR101485635B1 (ko) * 2012-09-17 2015-01-23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시뮬레이션 기반 강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37224B1 (ko) * 2013-04-02 2015-07-17 주식회사 지노스 조선소 물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80063536A (ko)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레이월드 공장 가시화에 의한 위치 기반의 공장 측정 자동화 시스템
KR101993476B1 (ko) 2018-01-22 2019-06-27 주식회사 지노스 물류 토큰과 공정 중심 모델링 방법을 이용한 조선소 블록 물류 시뮬레이션 모델링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5066A1 (ko) * 2012-04-30 2013-11-07 주식회사 지노스 모바일을 이용한 원격 시뮬레이션 기반 조선 생산 시스템 및 방법
KR101485635B1 (ko) * 2012-09-17 2015-01-23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시뮬레이션 기반 강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44539B1 (ko) * 2012-11-15 2014-09-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통계적 공정 분석 방법 및 그 분석 장치
KR101537224B1 (ko) * 2013-04-02 2015-07-17 주식회사 지노스 조선소 물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80063536A (ko)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레이월드 공장 가시화에 의한 위치 기반의 공장 측정 자동화 시스템
KR101993476B1 (ko) 2018-01-22 2019-06-27 주식회사 지노스 물류 토큰과 공정 중심 모델링 방법을 이용한 조선소 블록 물류 시뮬레이션 모델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9878B2 (en) System to manage economics and operational dynamics of IT systems and infrastructure in a multi-vendor service environment
US8340948B1 (en) Fleet performance optimization tool for aircraft health management
US10424132B2 (en) Vehicle component failure prevention
AU2018271267B2 (en) Robotic regression testing for smart devices
KR20100052634A (ko) 공장 상황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6009480B (zh) 一种数控机床的故障监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9733627B2 (en) Cloud computing system and method for advanced process control
CN112700131B (zh) 基于人工智能的ab测试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WO2016155996A1 (en)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220269595A1 (en) Testing iot-applications based on a fleet of iot-devices
Jeon et al. Design considerations and architecture for cooperative smart factory: MAPE/BD approach
CN114782012A (zh) 工装变更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0288530B2 (en) Method for improving severity estimates
da Silva et al. Plug & Produce robot assistants as shared resources: A simulation approach
Jufer et al. Performance Factory–A new approach of performance assessment for the Factory of the Future
Ariansyah et al. Digital twin development: a step by step guideline
KR102183328B1 (ko) 클라우드 상에서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스마트 공장을 진단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시스템
CN109829639A (zh) 服务项目监控方法及装置
KR20120133362A (ko) 로딩 시뮬레이션 기반 동적 피드백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장착한 최적화된 생산 스케줄링 시스템
Teufl et al. Optimised–developing a state of the art system for production planning for industry 4.0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using simulation-based optimisation
CN110555218A (zh) 生产模型更新系统、装置、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Bowman et al. How the Internet of Things will improve reliability tracking
US202304175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use of coordinate measuring devices
US20230385730A1 (en) Segmenting processes into stand-alone services
Coching et al. Cyber-Physical System Modeling for Bottleneck Analysis of the Manufacturing Production Line of Core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