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928A - 무선접속망에서의 상향간섭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접속망에서의 상향간섭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928A
KR20100050928A KR1020080110053A KR20080110053A KR20100050928A KR 20100050928 A KR20100050928 A KR 20100050928A KR 1020080110053 A KR1020080110053 A KR 1020080110053A KR 20080110053 A KR20080110053 A KR 20080110053A KR 20100050928 A KR20100050928 A KR 20100050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erence
terminal
base station
uplink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1608B1 (ko
Inventor
박평수
김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10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608B1/ko
Publication of KR20100050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04Traffic adaptive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접속망에서의 상향간섭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중 셀 기반 무선접속망에서 셀 중첩 영역에 위치한 단말들에 의한 인접 셀로의 상향 간섭을 제어함으로써, 상향링크 접속 용량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다중 셀 기반 무선접속망의 기지국에서 상향간섭 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연결된 단말이 셀 중첩 영역에 위치하여 인접 셀에 간섭을 일으키는지를 확인하는 간섭 확인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인접 셀에 간섭을 일으키면, 상기 단말에 대한 상향 대역폭을 축소하여 할당하는 대역폭 축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중 셀, 무선접속망, OFDM, 상향 간섭, 간섭 제어, RSSI, CINR

Description

무선접속망에서의 상향간섭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INTERFERENCE IN WIRELESS ACCESS NETWORK}
본 발명은 다중 셀 기반 무선접속망에서 상향간섭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향 링크의 간섭을 제어함으로써 상향 링크 접속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무선접속망에서의 상향간섭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특성상 동일 셀내에서의 상향 간섭보다는 인접 셀에 의한 상향 간섭이 시스템 성능열화에 더욱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즉, 동일 셀내의 가입자들은 상향전송용으로 할당받은 서브채널이 OFDM/OFDMA 특성상 서로 직교하므로 상호 간섭이 없지만, 타셀의 사용자들이 할당받은 주파수는 간섭원으로 작용한다. 여기서, OFDM 시스템에는 WIBRO, IEEE 802.16, IEEE802.11a/g 등이 해당된다.
특히, WIBRO 시스템 등과 같이 주파수 재사용률이 "1"인 시스템에서, 셀 중 첩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는 인접 셀로 간섭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간섭신호에 노출된 기지국 시스템은 셀내 상향 신호 복조 성능이 열화된다.
도 1은 다중 셀 기반의 광대역 무선접속망(무선접속 시스템)에 대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중 셀(101, 102) 환경에서 기지국1(111)이 단말a, b(11, 12)로부터 수신하는 전력을 각각 P1a, P1b, 기지국2(112)가 단말a, b(11, 12)로부터 수신하는 전력을 각각 P2a, P2b, 그리고 단말a(11)는 기지국 1(111)과 통신하고 있고 단말b(12)는 기지국2(112)와 통신하고 있다고 가정할 때, 기지국1(111)의 시스템 용량을 나타내는 [수학식 1]의 섀논(Shannon) 이론은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각종 무선 단말을 의미하며, 이하에서는 간단히 '단말'이라 한다.
Figure 112008077070553-PAT00001
여기서, W는 시스템 용량, B는 대역폭, S/N은 신호대 잡음비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77070553-PAT00002
여기서, P1a는 기지국1(111)에서 수신되는 단말a(11)의 전력, N1은 기지국 1(111)의 열잡음, P1b는 기지국1(111)에서 수신되는 단말b(12)의 전력을 나타낸다.
상향 전송용량을 증가시키거나 데이터 전송확률을 높이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수학식2]의 P1a/(N1+P1b) 항을 증가시키는 기술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26692호에 기재된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 제어 장치 및 방법"이라는 종래기술은 P1a/(N1+P1b) 항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단말b의 MCS(Modulation Coding Scheme) 레벨을 낮추어(예를 들어, 단말b의 변조방식을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에서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로 변경) 송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단말b의 변조 방식을 낮춤으로써 기지국1로 전달되는 간섭량을 감소시키는 방식이며, 이는 [수학식 2]의 P1a/(N1+P1b) 항에서 분모항에 해당되는 P1b가 작게 함으로써 기지국1(111)의 시스템 용량(W)을 증가시키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인접셀로부터 간섭을 받는 단말을 주기적 탐색하거나 또는 특정한 이벤트를 통하여 탐색하고, 그 탐색된 단말의 정보를 인접 기지국과 교환한다. 그리고 교환된 정보를 이용해서 용량(Capacity)을 최대화하기 위한 기지국을 선택하고, 자신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자신이 관장하는 해당 단말의 MCS레벨 및 송신전력을 낮게 조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기지국 간에 빈번한 백본 메시지 생성을 야기시키고, 급변하는 간섭지역의 채널환경을 제대로 반영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셀 중첩지역(100)에서 무선품질이 악화되어 낮은 변조방식이 적용되는 상황에서는 더 이상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무선 채널 상황이 악화된 단말은, 특히 무선 링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더 이상 낮은 변조방식을 적용할 수 없는 단말(즉, 더 이상 변조 방식을 낮추어 적용하면 무선 링크를 유지할 수 없는 단말)은 지속적으로 단말의 출력(Power)을 높이기 때문에, 상기 종래 기술은 무선 채널 상황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는 순간적으로 MCS 레벨을 줄여 간섭을 줄일 수는 있지만, 결국에는 단말이 송신할 수 있는 최대의 간섭량을 인접셀에 송신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요컨대, 상기의 종래 기술은 무선 채널 상황이 양호한 경우에는 효과적이지만, 무선 채널 상황이 악화된 경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향 링크의 간섭을 제어하여 상향 링크 접속 용량을 증대시키는, 무선접속망에서의 상향간섭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중 셀 기반 무선접속망에서 셀 중첩 영역에 위치한 단말들에 의한 인접 셀로의 상향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중 셀 기반 무선접속망의 기지국에서 상향간섭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연결된 단말이 셀 중첩 영역에 위치하여 인접 셀에 간섭을 일으키는지를 확인하는 간섭 확인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인접 셀에 간섭을 일으키면, 상기 단말에 대한 상향 대역폭을 축소하여 할당하는 대역폭 축소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셀 기반 무선접속망의 단말에서 상향간섭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당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하향 수신신호세기(RSSI) 및 하향 신호대 간섭비(CINR)를 측정하여 보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 대역폭을 축소 할당받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상향 대역폭이 이전 상향 대역폭보다 축소된 경우이면, 상기 축소할당된 상향 대역폭에 기초하여 송신전력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셀 기반 무선접속망의 단말에서 상향간섭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당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하향 수신신호세기(RSSI) 및 하향 신호대 간섭비(CINR)를 측정하여 보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 대역폭을 축소 할당받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전력 증가 명령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송신전력 증가 명령메시지에 따라 송신전력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발명은, 다중 셀 기반의 무선접속망에서 상향 링크의 간섭(상향 간섭)을 제어함으로써 인접 셀로의 간섭을 줄이고 상향 링크 접속 용량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무선 채널 상황이 악화된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상향 링크 접속 용량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광대역 무선접속망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서브채널의 구조도이다.
WIBRO/IEEE802.16규격에서 사용되는 상향 서브채널의 기본단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Tile) 구조를 나타낸다.
PUSC(Partial Usage of Subcarrier) 서브채널의 1개의 타일(Tile)은, 주파수 축상의 4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subcarrier)(톤)들 및 시간축상의 3개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된다. 즉, 하나의 타일은 총 12(4톤 ×3 OFDM심볼)개의 톤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8개는 데이터 톤이고, 4개는 파일럿 톤이다. 파일럿 톤은 기지국과 단말에서 미리 알고 있는 정해진 신호(파일럿 신호)를 전송하는 톤으로, 그 위치들은 미리 정해진다. 타일에 속하는 8개의 데이터 심볼들에 대한 채널 추정 값은 4개의 파일럿 심볼들을 이용해 계산된다.
상향 서브채널의 기본단위에 해당하는 도 2와 같은 구조의 타일은, [수학식 3]과 같은 방식으로 결정된다.
Figure 112008077070553-PAT00003
여기서,
Figure 112008077070553-PAT00004
는 부반송파에 사용된 최대 음수부터 최대 양수까지 연속적으로 정렬된 타일들의 FFT에서의 물리적인 타일 인덱스, n은 하나의 서브채널에서의 타일 인덱스(0 ~ 5), Pt는 타일 순열(Tile Permutation), s는 서브채널 번호(0 ~ Nsubchannels - 1),
Figure 112008077070553-PAT00005
는 관리 엔티티에 의하여 할당된 정수값(0 ~ 69),
Figure 112008077070553-PAT00006
는 FFT 크기를 위한 서브채널 개수를 나타낸다.
이때, 기지국 1(111)은 UL PermBase=1, 기지국 2(112)는 UL PermBase=2 로 가정하여, 물리적으로 할당받는 단말a(11)와 단말b(12)의 부반송파를 구해보면 도 3a 및 도 3b와 같다.
도 3a 및 도 3b에서 단말a(11)와 단말b(12)가 할당받은 타일들(Tiles) 중 서로 중첩되는 부분은 "음영"으로 표시된 부분이다.
도 3a 및 도 3b와 같이 단말a(11)와 단말b(12)가 각각의 기지국에서 전대역의 부반송파를 할당받는 경우는 100% 간섭이 발생하게 되지만, 각각 1/2을 할당 받는 경우에는 50% 간섭(동일한 부반송파(또는 타일)를 할당받을 수 있는 확률이 50%이 됨), 1/3을 할당받는 경우는 33%로 간섭구간이 줄어들게 된다.
이런 특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간섭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셀 기반 광대역 무선접속망의 기지국에서 상향간섭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기지국이 링크 연결되어 있는 해당 단말들에게 보고 요청(REP-REQ) 메시지(Report Request Message)를 전송하면(400), 단말들은 보고 응답 메시지에 해당하는 REP-RSP 메시지(Report Response Message)를 통해 하향(DL) 신호대 간섭비(CINR: Carrier to Information Noise Ratio)와 하향(DL) 수신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주기적으로 보고한다. 여기서, 하향 CINR과 하향 RSSI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하향 신호를 수신할 때에 측정되는 CINR 및 RSSI를 나타낸다. '하향 CINR'을 통해서는 '단말이 받는 간섭량'을 알 수 있고, '하향 RSSI'를 통해서는 단말과 기지국 간의 거리 등을 포함하여 단말의 위치를 알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REP-RSP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지국은 그 수신된 REP-RSP 메시지로부터 하향 CINR과 하향 수신신호세기(RSSI)를 획득한다(402).
기지국은 획득된 하향 CINR과 하향 수신신호세기(RSSI)를 이용하여 하향 신호에 대한 수신품질을 확인한다(404). 즉, 하향 수신신호세기(RSSI)가 -70dBm(기준값은 운용자에 의해 조정이 가능함)큰지 여부("조건 ①") 및 하향 CINR이 제1 기준치(예를 들면, 5dB)보다 작은지 여부("조건 ②")를 확인한다.
하향 신호의 수신품질 확인 결과, 조건 ① 및 조건 ② 중 적어도 어느 하나 가 만족하지 않으면, 즉, 수신 품질이 양호하면, 기지국은 현재 단말에 대하여 할당되어 있는 상향(UL) 대역폭을 유지한다(406).
여기서, 조건 ①은 기지국에 링크 연결되어 있는 단말의 위치(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향 수신신호세기(RSSI)가 -70dBm 이상이면 셀 중첩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하향 수신신호세기(RSSI)가 매우 작은 경우, 예를 들어 -20dBm인 경우에는, 이미 해당 기지국의 셀 영역을 벗어나서 다른 셀로 진입한 경우(즉, 해당 기지국과 연결이 절단된 경우)이므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조건 ①"은 해당 기지국의 셀 영역 내에 위치하면서(이를 기본적인 전제로 하여) -70dBm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조건 ②는 특정한 기지국에 연결된 특정 단말이 받는 간섭량을 확인하는 것으로서, 특정 단말이 받는 간섭량이 크다는 것은 특정 단말에 대하여 간섭으로 작용하는 단말들(다른 기지국에 속하는 단말들)이 인근에 존재하거나, 또는 특정 단말이 인근 기지국에 가까이 있어 그 인근 기지국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반대로, 이는 특정 단말이 인근 단말이나 다른 인접 셀의 기지국에 간섭을 일으킨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그 특정 단말의 대역폭을 축소 할당하면 특정 단말에 의한 인접 셀로의 간섭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향 신호의 수신품질 확인 결과, 조건 ① 및 조건 ②가 모두 만족하면, 즉 수신 품질이 나쁘면, 기지국은 해당 단말이 상향 대역폭을 통하여 전송한 상향 신호에 대한 CINR(상향 CINR)를 측정해서 제2 기준치와 비교한다("조건 ③" 확인과 정)(408). 여기서, 제2 기준치는 제1 기준치와 동일하게 5dB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기준치가 7dB이고 제2 기준치가 5dB일 수도 있다. 다만, 제1 기준치는 제2 기준치와 같거나 커야한다. 여기서, 조건 ③(408)은 특정 기지국에 대하여 간섭으로 작용하는 인근 단말(인근의 다른 기지국에 연결된 단말)의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요컨대, 조건 ① 및 조건 ② 및 조건 ③을 만족한다는 것은 셀 중첩 영역에 인근 단말(다른 기지국에 연결된 단말)이 존재하여 간섭원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408"의 비교 결과, 상향 CINR이 제2 기준치보다 이상이면, 기지국은 이전에 할당된 하향 대역폭을 유지한다(406). 이와 달리, 상향 CINR이 제2 기준치(예를 들면, 5dB)보다 작으면, 기지국은 다음번의 스케줄링시에는 단말에 대하여 현재 할당된 상향 대역폭을 축소하고, 이를 하향(DL) MAP 메시지를 통해 고지한다(410).
여기서, 상향 대역폭의 축소 과정을 설명하면, 처음에는 기할당된 대역폭의 절반(1/2)을 할당하고, 이후에도 계속하여 축소가 필요하면 1/3, 1/4, ..., 1/n씩 축소한다.
그러면, 하향(DL) MAP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그 수신한 하향(DL) MAP 메시지에 포함된 할당 대역폭(축소된 대역폭)에 기초하여 송신전력을 증가시킨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MAP 메시지는 사용자별 자원 할당을 위해 매 프레임마다 맨 앞부분에 위치하여 단말에게 동적으로 자원이 할당된 결과를 통보하는 관리용 MAC 관리 메시지로서, 이에는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에서 각 단말별로 동적으로 할당된 서브채널의 위치와 개수를 지정하는 역할을 하는 하향(DL) MAP 메시지와 상향(UL) MAP 메시지가 있다. 특히, 하향(DL) MAP 메시지는 하나의 기지국에서 관리하는 전체 연결(Connection) 관련 정보의 집합을 보여주는 브로드캐스팅 메시지로서, 이에는 대역 할당 정보, 프레임 구성정보, ACK 정보 등이 포함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기지국이 축소된 상향 대역폭에 기초하여 별도의 송신전력 증가 명령메시지를 생성해서 단말에 전송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단말은 송신전력 증가 명령메시지의 명령 내용(제어 내용)에 따라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에서 상향간섭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보고 요청(REP-REQ) 메시지를 수신하면(500), 단말은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하는 하향 신호에 대하여 하향 RSSI 및 하향 CINR을 측정한다(502).
그리고 나서, 단말은 그 측정된 하향 RSSI 및 하향 CINR을 보고 응답(REP-RSP) 메시지에 실어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504).
그러면, 기지국은 보고 응답(REP-RSP) 메시지에 들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4의 "404" 내지 "410"을 수행한다(도 4 참조).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하향(DL) MAP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그 수신된 하향(DL) MAP 메시지에 들어 있는 대역폭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할당된 상향 대역폭이 이전 상향 대역폭보다 축소된 경우에는 그 "축소(감축)된 상향 대역폭"에 기초하여 송신전력을 증가시킨다. 즉, 단말은 할당받은 상향 대역폭에 최대 전력으로 신호를 실어 보낼 수 있도록 송신전력을 증가시키는데, 구체적으로는 단말 출력이득을 대략 3dB(도 4에서, 상향 대역폭이 절반으로 축소 할당된 경우) 증가시킨다. 만약,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별도의 송신전력 증가 명령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수신된 송신전력 증가 명령메시지의 명령 내용(제어 내용)에 따라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다.
이로 인하여, 단말의 송신전력이 3dB 증가했기 때문에 서빙 셀(현재 링크가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로의 전송 성공확률은 증가하고, 또한 사용하는 대역폭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인접 셀로 유기되는 간섭량도 감소하게 된다. 즉, 다중 셀 기반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상향성능이 개선된다.
상기와 같은 상향 성능 개선 효과를 [수학식 2]를 통하여 고찰해 보면, 대역폭 B는 절반으로 줄어들지만(3dB 감소), P1a/(N1+P1b) 항은 단말의 출력(송신전력)의 증가로 인하여 P1a가 3dB 증가하고, 간섭에 해당되는 P1b가 3dB 감소하게 되어 전체적으로는 1~2dB의 용량 증가가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다중 셀 기반 광대역 무선접속망에 대한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상향 서브채널의 기본단위의 구조도,
도 3a는 단말a가 할당받은 상향 타일의 구조도,
도 3b는 단말b가 할당받은 상향 타일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접속망의 기지국에서 상향간섭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에서 상향간섭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Claims (10)

  1. 다중 셀 기반 무선접속망의 기지국에서 상향간섭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연결된 단말이 셀 중첩 영역에 위치하여 인접 셀에 간섭을 일으키는지를 확인하는 간섭 확인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인접 셀에 간섭을 일으키면, 상기 단말에 대한 상향 대역폭을 축소하여 할당하는 대역폭 축소 단계
    를 포함하는 상향간섭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확인 단계는,
    상기 단말의 위치와 상기 단말이 받는 간섭량을 확인하는 제1 확인 단계;
    상기 기지국이 받는 간섭량을 측정하는 기지국 측정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셀 중첩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단말 및 상기 기지국이 각각에 대한 해당 기준치 이상의 간섭을 받는지를 확인하는 제2 확인 단계
    를 포함하는 상향간섭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인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보고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하향 수신신호세기(RSSI) 및 하향 신호대 간섭비(CINR)가 포함된 보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 수신신호세기(RSSI)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하향 신호대 간섭비(CINR)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받는 간섭량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향간섭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측정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향 신호에 대하여 신호대 간섭비(CINR)(상향 신호대 간섭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간섭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인 단계는,
    상기 단말이 셀 중첩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하향 신호대 간섭비(CINR)가 제 1 기준치 이내이고 상기 기지국의 상향 신호대 간섭비(CINR)가 제2 기준치 이내인지를 확인하는 상향간섭 제어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축소 단계는,
    상기 축소 할당된 상향 대역폭 정보를 하향(DL) MAP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간섭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 할당된 상향 대역폭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전력 증가 명령메시지를 생성해서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향간섭 제어 방법.
  8. 다중 셀 기반 무선접속망의 단말에서 상향간섭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당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하향 수신신호세기(RSSI) 및 하향 신호대 간섭비(CINR)를 측정하여 보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 대역폭을 축소 할당받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상향 대역폭이 이전 상향 대역폭보다 축소된 경우이면, 상기 축소할당된 상향 대역폭에 기초하여 송신전력을 증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향간섭 제어 방법.
  9. 다중 셀 기반 무선접속망의 단말에서 상향간섭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당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하향 수신신호세기(RSSI) 및 하향 신호대 간섭비(CINR)를 측정하여 보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 대역폭을 축소 할당받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전력 증가 명령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송신전력 증가 명령메시지에 따라 송신전력을 증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향간섭 제어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단계는,
    상기 하향(DL) MAP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상향 대역폭을 할당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간섭 제어 방법.
KR1020080110053A 2008-11-06 2008-11-06 무선접속망에서의 상향간섭 제어 방법 KR101611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053A KR101611608B1 (ko) 2008-11-06 2008-11-06 무선접속망에서의 상향간섭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053A KR101611608B1 (ko) 2008-11-06 2008-11-06 무선접속망에서의 상향간섭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928A true KR20100050928A (ko) 2010-05-14
KR101611608B1 KR101611608B1 (ko) 2016-04-11

Family

ID=4227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053A KR101611608B1 (ko) 2008-11-06 2008-11-06 무선접속망에서의 상향간섭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6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9042A2 (en) * 2010-06-14 2011-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gnitive inter-cell interferen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20170002170A (ko) * 2015-06-29 2017-01-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셀제어장치 및 전이중전송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9042A2 (en) * 2010-06-14 2011-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gnitive inter-cell interferen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WO2011159042A3 (en) * 2010-06-14 2012-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gnitive inter-cell interferen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9072103B2 (en) 2010-06-14 2015-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gnitive inter-cell interferen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20170002170A (ko) * 2015-06-29 2017-01-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셀제어장치 및 전이중전송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1608B1 (ko) 201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042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84264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973946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밴드 적응적변조 및 코딩 서브 채널 운용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477746B2 (en) Base st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KR100964546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77068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EP15872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communication systems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
US2013007071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headroom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KR20090042128A (ko) 상향링크 스케줄링 방법
KR101251895B1 (ko) 셀룰러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대응하는 기지국의 다운링크 방향에서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
KR20100037883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우선순위 결정 장치 및 방법
WO2009031840A2 (en) Method of reporting channel state
US103057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ultiple modulation schem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11608B1 (ko) 무선접속망에서의 상향간섭 제어 방법
KR20080026692A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19626B1 (ko) 하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20130071807A (ko) 상향링크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20100125701A (ko) 무선통신 환경에서의 배타적 주파수 자원 재사용 장치
KR101513569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우선순위 결정 장치 및 방법
KR101522637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엠씨에스 결정 장치 및방법
KR100882427B1 (ko) 셀 로딩 상태를 이용한 ofdm 프레임의 프리앰블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ofdm 송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