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844A - 프로브 - Google Patents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844A
KR20100050844A KR1020080109941A KR20080109941A KR20100050844A KR 20100050844 A KR20100050844 A KR 20100050844A KR 1020080109941 A KR1020080109941 A KR 1020080109941A KR 20080109941 A KR20080109941 A KR 20080109941A KR 20100050844 A KR20100050844 A KR 20100050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main body
module
connec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식
송은홍
구교종
김범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슨
Priority to KR1020080109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0844A/ko
Publication of KR20100050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13Tomography
    • A61B8/14Echo-to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27Device being portable or laptop-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the prob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프로브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본체부; 및 이 본체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모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시 모듈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시켜 그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보관 및 휴대 편의성이 향상되고, 다수 개의 프로브를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프로브로 여러 종류의 진단작업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초음파 진단장치 휴대시 프로브가 차지하는 공간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 트랜스듀서

Description

프로브{PROBE}
본 발명은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파 진단 시스템에 구비되는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진단 시스템은 피검체의 체표로부터 체내의 소망 부위를 향하여 초음파 신호를 조사하고, 반사된 초음파 신호(초음파 에코신호)의 정보를 이용하여 연부조직의 단층이나 혈류에 관한 이미지를 무침습으로 얻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X선 진단장치, CT스캐너(Computerized Tomography Scanner), MRI(Magnetic Resonance Image), 핵의학 진단장치 등의 다른 영상진단장치와 비교할 때, 소형이고 저렴하며, 실시간으로 표시 가능하고, X선 등의 피복이 없어 안전성이 높은 장점이 있어, 심장, 복부, 비뇨기 및 산부인과 진단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초음파 시스템은 대상체의 초음파 영상을 얻기 위해 초음파 신호를 대상체로 송신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되어 온 초음파 에코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브를 포함한다.
프로브는 트랜스듀서와, 상단이 개방된 하우징 및 개방된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어 대상체의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커버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원하는 초음파 영상을 얻기 위해,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로브를 대상체의 체표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또는 대상체의 체표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프로브를 회전시키면서 초음파 영상을 얻는다.
상기와 같은 프로브에 따르면, 하나의 프로브가 지정된 주파수 대역을 갖는 한 종류의 초음파만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성능과 진단영역의 종류에 따라 그에 맞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프로브를 다수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하나의 프로브로 여러 종류의 진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프로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는 모듈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제1접속부; 및 상기 모듈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접속부와 접속되는 제2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 중 어느 하나는 외부로 돌출되는 접속돌부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접속돌부가 삽입되는 접속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다른 특성을 갖는 다수 개의 모듈부가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듈부는 트랜스듀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모듈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프로브에 따르면, 필요시 모듈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시켜 그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보관 및 휴대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 개의 프로브를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프로브로 여러 종류의 진단작업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초음파 진단장치 휴대시 프로브가 차지하는 공간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모듈부가 교체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초기 구매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로브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로브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100)는 본체부(110)와 모듈부(12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하우징(112)과, 피씨비(114)와, 케이블(116) 및 커넥터(118)를 포함한다.
하우징(112)은 본체부(110)의 외관을 이루며, 프로브(100) 사용시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부분이다. 하우징(112)의 내부에는 피씨비(114) 등과 같은 구성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다.
피씨비(PCB; 114)는 하우징(112)의 내부에 수용된다. 피씨비(114)는 모듈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배선전극(미도시)을 포함한다.
케이블(116)은 피씨비(114)의 배선전극과 연결되며 하우징(112)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케이블(118)의 연장된 일측에는 커넥터(118)가 구비된다. 커넥터(118)는 프로브(100)로부터 전송되는 초음파 에코신호를 수신하는 초음파 진단장치(10)에 프로브(100)를 접속시키는 것으로, 초음파 진단장치(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본체부(110)에는 제1접속부(1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접속부(115)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접속돌부(115a)를 구비한다. 접속돌부(115a)는 본체 부(110)의 외부로 돌출되되, 바람직하게는 반구 형상으로 돌출된다. 접속돌부(115a)는 전도체로 형성되며, 본체부(110)의 내부에서 케이블(118)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모듈부(120)는 제1접속부(115)가 구비된 본체부(110)의 일측에 구비된다. 모듈부(120)는 본체부(110)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트랜스듀서(121)와, 케이스(122) 및 커버(124)를 구비한다.
트랜스듀서(121)는, 압전물질이 진동하면서 전기적인 신호와 음향신호를 상호변환시키는 압전층(부호생략)과, 이 압전층에서 발생된 초음파 신호가 대상체에 최대한 전달될 수 있도록 압전층과 대상체 사이의 음향 임피던스 차이를 감소시키는 정합층(부호생략)과, 압전층의 전방으로 진행하는 초음파 신호를 특정 지점에 집속시키는 렌즈층(부호생략) 및 초음파가 압전층의 후방으로 진행되는 것을 차단시켜 영상 왜곡을 방지하는 흡음층(부호생략)을 포함한다.
케이스(122)는 모듈부(120)의 외관을 이루며, 내부에 트랜스듀서(121)를 수용한다. 케이스(122)의 상단은 개방되게 형성되며, 케이스(122)의 개방된 상단에는 대상체의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커버(124)가 결합된다.
아울러, 모듈부(120)에는 제1접속부(115)와 접속되는 제2접속부(1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접속부(125)는 접속돌부(115a)가 삽입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접속홈부(125a)를 구비한다. 접속홈부(125a)는 모듈부(120) 상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접속돌부(115a)의 형상과 대응되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접속홈부(125a)는 전도체로 형성되며, 모듈부(120) 내부에서 압전층에 형성된 전극 (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한 제1접속부(115)와 제2접속부(125)의 접속에 의해 본체부(110)와 모듈부(120)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제1접속부(115)는 본체부(110)의 피씨비(114)와 연결되고 제2접속부(125)는 모듈부(120)의 트랜스듀서(121)와 연결된 상태이므로, 접속돌부(115a)가 각각 그에 대응되는 접속홈(115a)에 삽입됨으로써 제1접속부(115)와 제2접속부(125)가 접속되면, 본체부(110)와 모듈부(120)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아울러, 본체부(110)의 내부에 구비된 피씨비(114)는 케이블(116)을 통해 커넥터(118)와 연결된 상태이므로, 모듈부(120)는 본체부(110)와 연결됨은 물론 본체부(110)를 통해 초음파 진단장치(10)와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접속부(115)에 접속돌부(115a)가 구비되고 제2접속부(125)에 접속홈부(125a)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프로브(100)는 제1접속부(115)에 접속홈부(125a)가 구비되고 제2접속부(125)에 접속돌부(115a)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프로브(100)는 각각 다른 특성을 갖는 다수 개의 모듈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모듈부(120)는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트랜스듀서(121)를 구비할 수도 있고, 다른 형태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모듈부(120)는 선형(Linear), 볼록형(Convex), 부채꼴형(Arc), 곡면형(Curved) 등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다.
사용자는, 종류가 각각 다른 다수의 모듈부(120)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성능과 진단영역에 따라 적합한 모듈부(12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프로브(100)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성능과 진단영역에 따라 적합한 모듈부(120)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듈부(120)를 본체부(11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프로브(100) 사용 중 다른 종류의 진단작업을 수행하게 될 경우, 사용 중이던 모듈부(120)를 분리해내고 그 진단작업에 적합한 다른 모듈부(120)를 본체부(110)에 사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프로브(100)는, 제1접속부(115)와 제2접속부(125)를 매개로 모듈부(120)가 본체부(110)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비됨으로써, 필요시 모듈부(120)를 본체부(110)로부터 분리시켜 그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보관 및 휴대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프로브(100)는,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트랜스듀서(121) 또는 다른 형상을 갖는 케이스(122)나 커버(124)를 포함하는 모듈부(120)를 다수 개 구비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성능과 진단영역에 따라 적합한 모듈부(12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수 개의 프로브(100)를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프로브(100)로 여러 종류의 진단작업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초음파 진단장치(10) 휴대시 프로브(100)가 차지하는 공간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프로브(100)는, 모듈부(120)가 교체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초기 구매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 이 있다.
도 4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실시예와 구성 및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인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200)는 제1결합부(230)와 제2결합부(240)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230)는 본체부(110)에 구비된다. 제1결합부(230)는 제1접속부(115)가 구비된 본체부(1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결합부(240)는 모듈부(120)에 구비되며 제1결합부(230)와 결합된다. 제2결합부(240)는 제2접속부(125)가 구비된 모듈부(1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결합부(240)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결합부(240)는, 케이스(122)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외측 방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을 갖는다. 또한, 제1결합부(230)는 본체부(110)의 하우징(112) 상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결합부(230)는 제1접속부(115)에 인접된 하우징(112)의 일측에 형성되는 관통홀(232)과, 관통홀(232)과 다른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홈(234)을 포함한다.
제2결합부(240)는, 관통홀(232)을 통해 하우징(112)의 내부로 삽입되며, 후크 부분이 걸림홈(234)에 걸림됨으로써 제1결합부(230)와 결합된다. 이처럼 제1결합부(230)와 제2결합부(240)가 결합되면 제1접속부(115)와 제2접속부(125)는 서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러한 제1 및 제2결합부(230,240)의 결합과 제1 및 제2접속부(115,125)의 연결에 의해 본체부(110)와 모듈부(120)는 그 물리적인 결합과 전기적인 접속이 완료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결합부(230)가 관통홀(232)과 걸림홈(234)을 포함하고 제2결합부(240)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프로브(200)는 제1결합부(230)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결합부(240)가 관통홀(232)과 걸림홈(234)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접속부(230,240)는 상술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부(110)와 모듈부(120)를 결합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형태인 것이라도 이에 적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로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로브의 구성도이다.
도 4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200 : 프로브 110 : 본체부
112 : 하우징 114 : 피씨비
115 : 제1접속부 116 : 케이블
118 : 커넥터 120 : 모듈부
121 : 트랜스듀서 122 : 케이스
124 : 커버 125 : 제2접속부
230 : 제1결합부 240 : 제2결합부

Claims (6)

  1.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는 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제1접속부; 및
    상기 모듈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접속부와 접속되는 제2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 중 어느 하나는 외부로 돌출되는 접속돌부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접속돌부가 삽입되는 접속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다른 특성을 갖는 다수 개의 모듈부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부는 트랜스듀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모듈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KR1020080109941A 2008-11-06 2008-11-06 프로브 KR20100050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941A KR20100050844A (ko) 2008-11-06 2008-11-06 프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941A KR20100050844A (ko) 2008-11-06 2008-11-06 프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844A true KR20100050844A (ko) 2010-05-14

Family

ID=42276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941A KR20100050844A (ko) 2008-11-06 2008-11-06 프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08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699A (ko) * 2014-02-27 2015-09-04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개선된 방열 특성을 갖는 트랜스듀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699A (ko) * 2014-02-27 2015-09-04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개선된 방열 특성을 갖는 트랜스듀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214B1 (ko) 초음파 진단장치용 프로브
US6645148B2 (en) Ultrasonic probe including pointing devices for remotely controlling functions of an associated imaging system
CN103156641B (zh) 超声诊断装置的探测器
US20100249598A1 (en) Ultrasound probe with replaceable head portion
US62612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ltrasound imaging with biplane instrument guidance
JP5788989B2 (ja) スキャンヘッドが分離可能なプローブ
KR101031010B1 (ko) 피씨비 및 이를 구비하는 프로브
JP2012533342A (ja) 超音波プローブ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20110224552A1 (en) Ultrasound assembly and system comprising interchangable transducers and displays
KR101496863B1 (ko) 분리 결합형 초음파 프로브 장치
JPWO2015053044A1 (ja) 超音波内視鏡先端部
CN213097979U (zh) 超声探头
KR101940917B1 (ko) 트랜스듀서 모듈이 추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초음파 프로브 및 시스템
CN110448332A (zh) 一种通用型的超声换能器
KR20100047393A (ko) 프로브 및 이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KR20100050845A (ko) 휴대용 초음파 진단장치
KR20100050844A (ko) 프로브
CN211534501U (zh) 一种通用型超声换能器
KR20110064511A (ko) 초음파 프로브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5515850A (en) Apparatus for coupling acoustic waves with an acoustic waveguide
KR100992445B1 (ko) 초음파 진단장치
KR20210076730A (ko)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제어방법
KR101089746B1 (ko) 휴대용 초음파 진단기
KR20110003056A (ko) 초음파 프로브 및 초음파 진단장치
US11185306B2 (en) Ultrasound pro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