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148A - 바이오가스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바이오가스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148A
KR20100050148A KR1020080109289A KR20080109289A KR20100050148A KR 20100050148 A KR20100050148 A KR 20100050148A KR 1020080109289 A KR1020080109289 A KR 1020080109289A KR 20080109289 A KR20080109289 A KR 20080109289A KR 20100050148 A KR20100050148 A KR 20100050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rrier
biogas
water level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7419B1 (ko
Inventor
황경엽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09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419B1/ko
Publication of KR20100050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66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 C02F3/2893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with biogas recyc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유기성물질을 함유한 폐수나 폐기물로부터 생물학적인 반응을 통하여 바이오가스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이오가스 발생장치내에 고농도의 미생물을 확보하기 위한 담체를 투입하였으며, 담체 투입 시 발생하는 물질전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강한 전단력을 가지는 유체가 흐르도록 하여 미생물에게 필요한 물질의 공급과 생성물의 제거가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바이오가스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방향성이 일정한 강한 유체흐름에 의하여 담체층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물질전달이 용이한 표면부착상태로 유지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바이오가스 발생장치를 사용하면 바이오가스의 생산성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음식쓰레기나 농축산 폐기물과 같이 고형물이 함유된 물질을 원료로 사용하는 경우 반응장치내에 잔류하기 쉬운 부유성 오니의 발생문제를 없앨 수 있어 반응장치의 성능이 최적으로 유지되므로 바이오가스 발생장치에서 종종 발생할 수 있는 과부하에 의한 문제를 없앨 수 있다.
생분해성 유기물, 폐수, 생물학적 반응, 바이오가스, 담체

Description

바이오가스 발생장치{Biogas production plant}
본 발명은 생분해성 유기성물질을 함유한 폐수 또는 폐기물로부터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바이오가스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이오가스는 생분해성 유기물이 산소와 차단된 상태에서 미생물의 분해활동에 의하여 발생된다.
바이오가스를 발생시킬 목적으로 제조된 반응장치들은 자연의 이러한 기본적인 원리를 이용한 것들이며, 반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반응기내로 산소가 차단되도록 하는 기본적인 조건 외에 물질전달과 생체촉매인 미생물의 농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장치 고안의 주안점 들이다.
그러나, 혐기성 미생물들은 성장속도가 느려서 장치들에서 제일 먼저 추구하는 바는 적정한 미생물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반응기내 미생물의 체류시간과 물의 체류시간을 분리하는 것이며, 장치내에서 이 기능이 보장되지 않을 경우 미생물들이 성장하기 이전에 장치 밖으로 배출되어 결과적으로 생물반응장치는 기능을 상실 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바이오가스 발생용 생물반응장치들은 미생물과 물의 체류시간 분리방법에 따라 대별되며, 주요한 형태로는 반응기를 떠난 미생물이 침전조에서 침전되도록 한 후 재차 반응기로 반송시키는 방법과 반응기내에 미생물이 부착하여 서식할 수 있도록 일정형태의 담체를 제공하는 것들이다.
미생물의 반송에 의존하는 방법은 침전조의 성능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대부분의 바이오가스 공정에서 추구하는 바와 같이 반응기로 유입되는 원료물질에 유기성 고형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 고형물의 분해시간이 매우 길어서 반응기에서 완전히 분해되지 못하고 침전조로 상당량이 유입된다.
그 결과 침전조에 유입된 고형물들은 그곳에서도 생분해가 지속되어 바이오가스가 발생하게 되고, 이 바이오가스에 의하여 반송되어야 할 미생물들의 침전성능이 매우 저조하게 되므로 공정유지를 가능하게 하려면 매우 긴 체류시간을 택하여 막대한 비용을 감내할 수밖에 없다.
또한, 반응기내에도 바이오가스에 부착된 고형물들은 반응기 상부로 부상하여 부상슬러지층을 형성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두께가 점차 커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활성화된 반응용적이 감소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반응기의 성능이 추가로 저조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미생물은 특정한 조건에서 구슬형태의 입자를 형성하여 침전성이 좋게 된다.
이 원리를 이용하는 방법은 이 공정에 적정한 폐수처리에 널리 사용되어 왔 으나, 축산폐수나 음식물쓰레기 등에 과량으로 존재하는 질소성분은 입자형성을 저지하므로 매우 조심스럽게 선택되어야 할 공정이다.
미생물에게 서식처인 담체를 제공하여 그곳에 부착시키는 방법은 일견 매우 이상적인 체류시간 분리방법이다.
담체로서는 플라스틱 조형물이나 화산석, 모래 등등 여러 가지 재료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담체를 사용하는 반응장치에서 고형물의 유입은 성능에 치명적인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있으며, 그 이유는 담체와 담체 사이에 고형물이 축적되어 충전탑 형태의 반응장치에 심대한 단락현상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탈피하고자 모래와 같이 작은 알갱이를 담체로 사용하여 유동시키는 방법도 있으나, 우선 모래와 같이 비중이 큰 물체를 유동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막대한 에너지 문제 이외에, 반응기내에 오래 체류하여야 분해될 유기물 입자들이 반응기로부터 신속하게 배출되므로 유기물의 이용효율이 매우 낮게 됨과 아울러 배출수의 처리문제도 심각하게 남게 된다.
그러므로 담체를 사용하는 공정이 효율적인 형태가 되려면 단락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담체사이에 정체되어 있는 기포나 고형물을 주기적으로 제거하여 주어야 하며, 바이오가스의 주발생원이 되는 유기성고형물의 이용율을 높이려면 이 고형물이 반응장치의 하부에서 활성화된 미생물과 균일하게 혼재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강한 물질전달이 이루어져야 함과 아울러 가수분해 등의 과정으로 연화된 고형물의 표피가 신속히 떨어져 나갈 수 있도록 강한 전단력이 작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담체 사용 반응기의 단점인 물질전달 문제 및 유기성고형물로 인한 담체층 내부의 단락현상과 부유슬러지층의 형성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즉 담체를 사용하는 반응기에서 전형적으로 발생하는 저효율성과 공정장애를 극복할 수 있고, 아울러 유기성고형물의 분해가 촉진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강한 전단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높은 성능의 바이오가스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바이오가스 발생장치는 의도적인 수위차 형성에 의해 수면이 낮아지는 저위조와 수면이 높아지는 고위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위조와 고위조 사이에는 고위조측으로 물을 강제 압송하기 위한 펌프와 저위조측으로 물을 자연 이송시키기 위한 물개폐용 밸브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고위조의 내부에는 일정량의 담체가 채워지는 동시에 담체의 아래쪽 하부에 여러 개의 수직관을 가지는 하부판이 설치되어서, 형성된 수위차가 해소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향의 강한 유체흐름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담체층 내부에 강한 전단력이 발생하도록 함과 더불어 수직관을 통과한 제트류를 통해 바닥부위에 존재하는 미생물측으로의 물질전달을 원활하게 하면서 이 부위에 존재할 수 있는 유기성고형물의 부상을 방지하고 분해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저위조와 고위조 간에 형성된 수위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식으로 물개폐용 밸브를 개폐제어하는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오가스 발생장치의 경우, 바이오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수위차를 형성하고, 또 형성된 수위차를 해소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저위조와 고위조 사이에는 윗쪽으로 가스개폐용 밸브가 연결 설치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바이오가스 발생장치는 반응장치내에 제공된 담체와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강한 유체의 흐름으로 인하여 반응장치내에 미생물 농도와 활성도가 높게 유지되고, 결과적으로 매우 높은 반응기의 성능을 나타내어 고농도의 생분해성 유기물을 함유한 폐수 또는 폐기물로부터 효과적으로 바이오가스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입되는 유기성고형물은 반응기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반응기 상부로 부상하는 것이 저지되고,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강한 전단력장에 의하여 신속한 분해가 이루어지도록 유도됨으로써, 고형물을 다량 함유한 원료물질의 바이오가스화 장치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부상슬러지층 발생문제가 차단되는 등 지속적으로 높은 장치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 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이오가스 발생장치는 저위조(10)와 고위조(11)로 나뉘어져 있다.
상기 저위조(10)는 내부가 빈 상태의 통으로서, 원료물질이 펌프에 의해서 유입되는 유입구(21)가 갖추어져 있고, 윗쪽과 아래쪽으로는 고위조측과 통하는 적어도 3개의 관이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관에는 바이오가스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가스개폐용 밸브(17), 저위조측 물을 고위조측으로 압송하기 위한 펌프(12), 고위조측 물을 저위조측으로 보내기 위한 물개폐용 밸브(1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위조(11) 역시 내부가 빈 상태의 통으로서, 내부에는 위아래 2개의 판, 즉 윗쪽의 상부판(18)과 아래쪽의 하부판(16)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판(18)의 경우에는 철망이나 다공판 등과 같이 홀(19)이 무수히 뚫려 있고, 하부판(16)에는 아래쪽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여러 개의 수직관(15)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홀(19)은 담체(1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부판(16)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관(15)의 하단과 고위조(11)의 바닥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다.
또한, 상기 고위조(11)의 내부 일측, 예를 들면 상부판(18)의 하부에는 담 체(14)가 일정량 채워지게 되는데, 이때 물보다 비중이 낮은 담체를 사용하는 경우 상부판(18)으로 인하여 담체가 수면으로 부상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담체의 비중이 물보다 높은 경우 담체는 하부판(7) 위에 놓여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담체(14)의 충진율은 고위조 용량의 20∼80%가 적당하며, 20% 미만인 경우 미생물농도를 높이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추구하는 담체 사이에 끼어 있는 생성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어려운 유동 문제가 있어, 위의 충진율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위조(11)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펌프(12)가 있는 관, 물개폐용 밸브(13)가 있는 관 및 가스개폐용 밸브(17)가 있는 관에 의해 저위조측과 연결되어 있다.
이때, 물개폐용 밸브(13)가 설치되어 있는 관의 경우 그 연결위치는 하부판(16)의 바로 밑면 위치가 될 수 있다.
한편, 하부판(16)과 수직관(15) 및 고위조(11)의 벽면은 바이오가스가 고위조(11)의 상부로 상승하는 것을 막아주므로, 하부판(16) 밑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 중 수직관(15)을 통하여 빠져나가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고위조(11)의 상부로 올라가지 못하고 하부판(16) 밑에 고이게 되며, 궁극적으로 물개폐용 밸브(13)가 열린 상태가 되면 이 관을 통하여 저위조(1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위조(11)에는 반응장치를 떠나는 물이 밖으로 배출되는 유출구(22), 발생하는 바이오가스가 가스저장고로 향하게 하는 가스배출관(20), 하단의 슬러지 배출구(23) 등이 갖추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저위조(10)와 고위조(11)는 단열처리가 되어 있으며, 장치 내의 반응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적정한 형태의 가열기가 장치 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체류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장치의 외부에 별도의 가열기가 설치되어 물을 가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위조(10)의 경우 실시예와 같이 고위조(11) 밖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온도유지에 유리하게 하거나 설치장소가 협소한 경우 등 다른 필요에 따라 고위조(11) 안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24는 밸브, 펌프 등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로서, 컨트롤러의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밸브나 펌프의 개폐작동을 제어하는 방법 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바이오가스 발생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 발생장치에서 유체의 흐름양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생분해성유기물을 함유한 물과 미생물이 저위조(10)와 고위조(11)에 채워진 후(도 3a), 물개폐용 밸브(13)가 잠겨진 상태에서 저위조(10)의 물이 펌프(12)에 의하여 고위조(11)로 이송된다.
이 과정을 통하여 저위조(10)와 고위조(11) 간에는 수위차가 형성되며(도 3b), 일정한 정도의 수위차가 형성된 후, 물개폐용 밸브(13)가 열림과 동시에 고위 조(11)의 물이 저위조(10)로 흘러들어 오게 된다(도 3c).
이 과정에서 저위조(10)와 고위조(11)의 상부를 연결하는 가스개폐용 밸브(17)는 항상 열려진 상태로 있다.
적정한 수위차를 형성함에 있어 압송되는 물의 양이 너무 많이 소요되면 투입되어야 하는 에너지가 과다하게 소요될 수 있으므로, 저위조(10)의 단면적이 고위조(11)의 단면적에 비하여 작은 것이 바람직하나, 과다하게 작을 경우 수위차가 짧은 시간에 해소되므로, 이로 인한 교반효과가 저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저위조(10)의 단면적과 고위조(11)의 단면적 비율을 적정하게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 시간 당 많은 양의 바이오가스가 발생하면 펌프(12)의 사용을 배제하고, 바이오가스에 의하여 수위차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물개폐용 밸브(13)는 항시 열린 상태로 유지되며, 저위조(10)와 고위조(11)의 상부를 연결하는 가스개폐용 밸브(17)는 닫힌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저위조(10)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는 저위조 상부로 부상하게 되고, 고위조(11)의 하부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판(16)과 이 하부판(16)에 설치된 수직관(15)에 의하여 고위조 상부로 부상하지 못하고 하부판(16)의 저면부까지 도달한 후, 물개폐용 밸브(13)가 설치되어 있는 관으로 유도되어 저위조(10)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되는 바이오가스에 의해 조성되는 압력에 의해 저위조(10)의 물이 고위조(11)로 이송되고, 결국 저위조(10)와 고위조(11) 간에는 수위차가 형성된 다.
이 과정을 통하여 수위차가 충분히 형성된 후, 양쪽 조의 상부를 연결하고 있는 가스개폐용 밸브(17)가 열리면, 고위조(11)로부터 저위조(10)로 물이 흘러들어 가게 되므로, 양쪽 조의 압력차이가 해소된다.
이 때 물이 흘러들어 오는 속도와 시간은 수위차와 물의 통로 사이에 존재하는 수력학적 저항인자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 과정에서 담체는 하향하는 물에 의하여 씻겨지게 되며, 수직관을 통하여 고위조의 바닥으로 수직하향하는 제트류(도 3c에서의 화살표)에 의하여 바닥에 있는 미생물 슬러지와 고형물은 강한 전단력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하여 미생물은 극도로 활성화된 상태에 놓이게 되며, 고형물의 표피가 연화되어 있으면 전단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담체에 부착되어 있던 바이오가스와 담체 사이나 겉표면에 약하게 부착되어 존재하던 고형물은 빠른 속도로 하향하는 물을 따라 일차적으로 담체로부터 분리되며, 고형물은 중량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하향이동하고, 바이오가스는 유체의 하향력과 부력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하향이동을 멈추고 그 위치에서 합착에 의하여 대형화함으로써 높아진 부력으로 담체층을 뚫고 신속히 상향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효과로 인하여 본 발명의 반응장치 하부와 담체에 존재하는 미생물은 항상 활성화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며, 유기성고형물은 대부분 수직관으로 경계지어진 하부에 존재하고 강한 전단력을 동반하는 제트류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표피가 전단되므로, 부상슬러지층을 형성하지 못하도록 저지되며 빠른 시간에 분해된 다.
한편, 고형물이 바이오가스에 부착되어 상부로 부상하여도 주기적인 하향류 발생시 상부에 설치된 상부판과의 충돌이나 상부판 홀을 통과하는 동안의 압밀작용으로 바이오가스가 고형물로부터 탈리되어 두꺼운 부상슬러지층을 형성하지 못하게 되고, 하부로 침전하거나 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수위가 안정된 후 저위조로부터 고위조로 물을 압송하는 시간간격은 공정의 여건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압송시간은 수위측정이나 시간측정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가스 발생장치는 미생물에게 서식처인 담체를 제공함으로써 장치내의 미생물농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장치 특성적으로 발생하는 강한 전단력을 가진 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미생물로의 먹이공급과 미생물이 생성시킨 바이오가스 및 담체사이에 정체할 수 있는 고형물을 신속히 제거함으로써 생체촉매인 미생물이 항상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되며 유입되는 유기성고형물이 부유슬러지층을 형성하지 못하여 장치의 전체용적이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특성적인 유체의 흐름으로 인하여 저위조로 유입된 유입물이 주기적으로 희석되므로 국부적인 과부하를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장치의 높은 성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겉보기 직경이 약 15밀리미터인 담체를 장치내에 충진하고,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생슬러지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저위조와 고위조의 단면비를 1:8로 하고 장치의 내부높이를 2,000mm, 9개의 수직관이 설치되어 있는 고위조의 하부판을 밑바닥에서 500mm 위치에 설치하고, 상부판을 장치 상부에서 400mm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였다.
물개폐용 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펌프를 작동하여 수위차가 최소 1500mm가 되도록한 후, 물개폐용 밸브를 열어 고위조의 물이 저위조 안으로 흘러들어 오게 하는 과정을 일정간격으로 반복하였다.
장기간의 실험결과 체류시간이 약 1일인 COD 부하속도 30gCOD/(1ㆍday) 상태에서도 공정상의 장애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약 95%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고(도 4a 참조), 이에 상응하는 바이오가스가 발생하여 20일의 체류시간 후 제거효율이 80%인 기존 공정(⊙로 표시)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개폐밸브(13)를 열어둔 채 이송펌프(12)의 가동을 중단시킴으로써 수위차 형성에 의한 교반을 중지하고, 유체가 반응기를 통과만 하는 형태로 반응기 운전방식을 전환하자(도 4b 참조) 제거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양상을 나타냄으로써 반응기 특성적인 교반방식이 본 발명의 반응기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 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 발생장치에서 유체의 흐름양상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 발생장치에서 COD 부하속도에 대한 COD 제거율 및 가스생성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 발생장치에서 반응기를 일반적인 운전방식으로 가동했을 때의 COD 제거율을 보여주기 위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위조 11 : 고위조
12 : 펌프 13 : 물개폐용 밸브
14 : 담체 15 : 수직관
16 : 하부판 17 : 가스개폐용 밸브
18 : 상부판 19 : 홀
20 : 가스배출관 21 : 유입구
22 : 유출구 23 : 슬러지 배출구
24 : 컨트롤러

Claims (6)

  1. 의도적인 수위차 형성에 의해 수면이 낮아지는 저위조와 수면이 높아지는 고위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위조와 고위조 사이에는 고위조측으로 물을 강제 압송하기 위한 펌프와 저위조측으로 물을 자연 이송시키기 위한 물개폐용 밸브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고위조의 내부에는 일정량의 담체가 채워지는 동시에 담체의 아래쪽 하부에 여러 개의 수직관을 가지는 하부판이 설치되어서, 형성된 수위차가 해소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향의 강한 유체흐름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담체층 내부에 강한 전단력이 발생하도록 함과 더불어 수직관을 통과한 제트류를 통해 바닥부위에 존재하는 미생물측으로의 물질전달을 원활하게 하면서 이 부위에 존재할 수 있는 유기성고형물의 부상을 방지하고 분해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 발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위조와 고위조 간에 형성된 수위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물개폐용 밸브를 개폐제어하는 방식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 발생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바이오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수위차를 형성하고, 또 형성된 수위차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저위조와 고위조 사이에는 윗쪽으로 가스개폐용 밸브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 발생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위조의 단면적을 고위조의 단면적보다 작게 하여 압송되는 물의 양을 적정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 발생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물보다 비중이 낮은 담체 또는 물보다 비중이 높은 담체를 사용할 수 있고, 담체가 물보다 비중이 낮은 경우에는 수면 위로 담체가 부상하는 것을 막기 위해 고위조에 상부판(1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 발생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의 충진율은 고위조 용량의 2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 발생장치.
KR1020080109289A 2008-11-05 2008-11-05 바이오가스 발생장치 KR100977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289A KR100977419B1 (ko) 2008-11-05 2008-11-05 바이오가스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289A KR100977419B1 (ko) 2008-11-05 2008-11-05 바이오가스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148A true KR20100050148A (ko) 2010-05-13
KR100977419B1 KR100977419B1 (ko) 2010-08-24

Family

ID=42276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289A KR100977419B1 (ko) 2008-11-05 2008-11-05 바이오가스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4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871B1 (ko) * 2012-09-10 2014-03-28 지에스네오텍(주) 액상 유기성 폐수의 고효율 혐기소화 반응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1492A (en) 1981-04-15 1982-10-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ethane fermenting vat
KR100455800B1 (ko) 2001-10-26 2004-11-08 박래훈 메탄화처리에 의한 순환식 수세식 화장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871B1 (ko) * 2012-09-10 2014-03-28 지에스네오텍(주) 액상 유기성 폐수의 고효율 혐기소화 반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7419B1 (ko) 201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18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EP3009408B1 (en) Pulse wastewater injection and mixing device and wastewater injection method for anaerobic reactors
CA2713952C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treatment of waste water
EP2508488B1 (en) Improved biological waste water purification reactor and method
EP1888471B1 (en) Anaerobic purification device
EP2065344A1 (en) Settling device, purifier containing the settling device and method for anaerobic or aerobic water purification
US20140097137A1 (en) Coupling bioreactor and method for purifying malodorous gases and wastewater
CN104445600A (zh) 一种基于膜污染原位控制的膜生物反应器及其工艺
EA022513B1 (ru) Способ и реактор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CN101781059A (zh) 新型的厌氧膜生物反应器
KR101268116B1 (ko) 연속회분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기성 입상 슬러지의 제조방법
JP2010042352A (ja) 嫌気性処理方法及び装置
CN104193082A (zh) 一种餐厨垃圾废水的快速处理装置和方法
KR100977419B1 (ko) 바이오가스 발생장치
WO2013064742A1 (en) Water treatment plant
CN204281406U (zh) 一种基于膜污染原位控制的膜生物反应器
CN201436286U (zh) 一种组合式污水处理设备模块
CN104150700B (zh) 一种土壤渗滤法处理不同季节生活污水的装置和方法
JP2003340487A (ja) 上向流嫌気性処理装置の被処理水供給方法
CN106512912A (zh) 废水处理装置及其系统
EP3580183B1 (en) Device for sewage treatment
CN215479989U (zh) 一种mbbr泄水斗装置
WO2013001555A1 (en) Sewage water depuration plant, comprising a vertical reactor
JP2005205327A (ja) 嫌気性消化槽内の浮上夾雑物の除去方法及び装置
CN208485666U (zh) 结合多相循环模块的mbbr污水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