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014A -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014A
KR20100050014A KR1020080109091A KR20080109091A KR20100050014A KR 20100050014 A KR20100050014 A KR 20100050014A KR 1020080109091 A KR1020080109091 A KR 1020080109091A KR 20080109091 A KR20080109091 A KR 20080109091A KR 20100050014 A KR20100050014 A KR 20100050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program
broadcast
program
time poin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4377B1 (ko
Inventor
함영권
송윤정
이수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09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377B1/ko
Priority to US13/127,644 priority patent/US20110219415A1/en
Priority to PCT/KR2009/006466 priority patent/WO2010053296A2/en
Publication of KR20100050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3Processing operations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Addressing
    • H04N21/6408Uni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미 시작되어 진행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시점을 파악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처음부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PVR(Personal Video Recorder)을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미리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 없이도, TV 채널을 익숙한 방식으로 탐색하면서 이미 시작되어 진행중인 방송 프로그램을 처음부터 볼 수 있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VOD에 비하여 통신 채널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통신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 스트리밍 서버, 신호 결합, 채널 탐색

Description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V program}
본 발명은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이미 시작한 방송 프로그램을 처음부터 볼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S-005-01, 과제명: HFC 망에서의 IP 기반 초고속 멀티미디어 전송기술 개발].
현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는 방송 채널을 이리저리 돌리다가, 괜찮아 보이는 프로그램이 보이면 채널을 고정하고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한다. 그런데, 방송 프로그램이 좋다고 판단되어 이미 방송중인 프로그램을 처음부터 보고자 하더라도, 현재 기술로는 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없다.
처음부터 완전한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방송 편성 프로를 보고 미리 기다려서 보는 방법 또는 PVR(Personal Video Recorder) 기능을 이용하여 미리 원하는 채널을 예약 녹화하여 보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현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던 중에 특별한 일이 발생할 경우, PVR 기능을 이용하여 방송 녹화를 한다 하더라도 녹화를 시작한 후의 방송만을 볼 수 있을 뿐 처음부터 사용자에게 방 송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외에도 VOD(Video On Demand)와 같이 방송이나 케이블 TV에서 프로그램을 일방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내용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있다. 그러나, 이는 VOD 서비스는 통신망을 통하여 영상 정보를 지속적으로 이용하게 되므로, 통신망 과부하의 주요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익숙한 방식으로 TV 채널을 탐색하면서 이미 시작되어 진행중인 방송을 처음부터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방송 송신부 또는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송출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법은,
상기 방송 송신부로부터 송출되는 제1 방송 프로그램의 임의의 시점에 미리 설정된 서비스의 제공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부가 데이터로부터 상기 스트리밍 서버의 주소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한 주소에 대응하는 스트리밍 서버로 제2 방송 프로그램을 요청하고, 상기 제공 신호가 발생한 임의의 시점에 따른 연결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 또는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 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제1 망과 제2 망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망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제1 시점에 상기 제2 망을 통해 상기 제1 시점 이전의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점부터 상기 제1 망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점부터 제2 시점까지 상기 제2 망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점 이후에 상기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방송 송신부 또는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송출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방송 송신부로부터 송출되는 제1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거나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임의의 시점에 상기 방송 송신부로부터 송출된 제1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중에 임의의 선택 지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과 제2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임의의 선택 지점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 또는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 시작되어 진행중인 방송 프로그램을 처음부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VOD(Video On Demand)에 비하여 통신 채널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TV 채널을 익숙한 방식으로 탐색하면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청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방송 송신부(200), 스트리밍 서버(300) 및 방송 수신부(400)를 포함한다.
방송 송신부(200)는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혹은 프로그램 제공자)(100)이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송 프로그램을 송출한다. 이때, 사용자가 이미 방송중인 방송 프로그램을 처음부터 볼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된다는 것을 화면을 통해 표시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임을 알리는 부가 데이터를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하여 방송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서비스라 함은 "처음부터 보기"와 같은 서비스를 의미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트리밍 서버(300)는 방송 송신부(200)에서 송출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통신망을 통해서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통신망에 위치한다. 사용자는 스트리밍 서버(300)를 통해서 이미 방송 송신부(200)로부터 송출되어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처음부터 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방송 수신부(400)는 방송 송신부(200) 또는 스트리밍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며, 스위칭부(410), 프로그램 저장부(420), 제어부(430) 및 디스플레이부(440)를 포함한다.
스위칭부(41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예를 들어, 처음부터 보기 등)를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이미 방송중인 방송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저장부(420) 또는 제어부(430) 중 어느 하나로 스위칭한다.
프로그램 저장부(420)는 방송망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임의의 시점부터 저장한다. 여기서 임의의 시점이라 함은, 사용자에 의해 "처음부터 보기" 서비스가 선택된 시점을 의미한다.
제어부(430)는 방송망과 통신망 양쪽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적당한 시점마다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어느 한쪽의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4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수신기(431), 신호 결합기(432) 및 제어기(433)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조도이다.
먼저, 신호 수신기(431)는 방송 송신부(200)로부터 송출되어 프로그램 저장부(420)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프로그램 또는 스트리밍 서버(300)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한다. 그리고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는 부가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어기(433)로 전달한다. 또한, 사용자가 "처음부터 보기" 기능을 선택하면 이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가 발생한 시점을 확인한다.
신호 결합기(432)는 제어기(433)로부터 수신한 연결 시점 정보를 토대로 스트리밍 서버(300)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저장부(420)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프로그램이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연결 시점 정보는 사용자가 "처음부터 보기"를 선택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제어기(433)는 신호 수신기(431)로부터 수신한 부가 데이터 내의 스트리밍 서버의 주소를 확인하여 해당 스트리밍 서버로 방송 프로그램을 요청한다. 또한, 신호 결합기(432)에서 방송 프로그램을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 시점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다음 상기 도 1의 디스플레이부(440)는 제어부(430)에서 선택된 방송망을 통 해 송출되는 방송 프로그램 또는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의 구조를 이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청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 경과에 따른 저장 및 디스플레이 내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200)에서 송출된 프로그램은 "처음부터 보기"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을 수신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부가 데이터를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하여 송출한다(S100). 여기서 부가 데이터는 사용자가 리모컨과 같은 장치를 조작하여 선택할 수 있는 "처음부터 보기" 기능의 존재 여부 정보, 동일한 방송 프로그램 제공 스트리밍 서버 및 프로그램의 주소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채널 탐색 도중 "처음부터 보기" 기능을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처음부터 보기를 원하여 "처음부터 보기" 기능을 선택하면 방송 수신부(400)의 제어부(430)는 해당 신호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한다. 그리고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리밍 서버의 주소를 확인한다(S110). 이때, 제어부(430)가 "처음부터 보기" 기능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의 발생 인식 방법에 대해서는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 다.
그리고, 제어부(430)는 현재 방송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이 "처음부터 보기" 신호가 수신된 시점부터 프로그램 저장부(420)에 저장될 수 있도록 스위칭부(410)에 요청하여 제어한다. 이를 통해 스위칭부(410)는 방송 송신부(200)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저장부(420)에 저장되도록 스위칭한다(S120). 그리고 나서 제어부(430)는 S110 단계에서 확인한 스트리밍 서버의 주소에 해당하는 스트리밍 서버(300)에, 현재 제공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부터 스트리밍 할 것을 요청한다(S130).
즉, 제어부(430)는 현재 방영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과 동일한 프로그램이 있는 통신망에 위치한 스트리밍 서버(300)의 주소를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 데이터를 통해 확인한 후(S110), 스트리밍 서버(300)에 접속하여 해당 프로그램의 스트리밍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한다(S130). 제어부(430)에서 스트리밍 서버(300)로 방송 프로그램의 스트리밍을 요청하면, 방송 송신부(200)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저장부(420)로 저장된다(S140). 이와 동시에 제어부(430)의 신호 결합기(432)는 방송 프로그램 시작부터 사용자가 "처음부터 보기"를 선택한 시점까지의 스트리밍 서버(300)로부터의 방송 프로그램 내용을 디스플레이부(440)에 보내어(S150),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스트리밍 서버(30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이 제공됨과 동시에, 제어부(430)는 스트리밍 서버(30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받다가 방송망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계속해서 제공받을 프로그램 연결 지점을 확인한다(S160). 즉, 제어부(430)는 사용자가 "처음부터 보기"를 수행하였을 때, 방송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위치 정보를 알아낸다.
이를 통해 통신망으로부터 스트리밍 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같은 위치를 찾아내어, 통신망으로부터의 스트리밍 서비스(도 4의 "방송 프로그램 (A)" 또는 "제2 방송 프로그램" 부분)를 중단시킨다(S150). 그리고 방송망으로부터 송출되어 저장된 프로그램(도 4의 "방송 프로그램 (B)" 또는 "제1 방송 프로그램" 부분)이, 이 연결 지점에서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처음부터 보기" 선택지점의 위치를 정확히 알아내기 위해서는 방송 프로그램의 MPEG-2 TS(Transport Stream)등과 같은 프로토콜의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찾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처음부터 보기"를 시작한 시점까지의 방송 프로그램 내용을 디스플레이부(440)에 보내어(S170),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 후, "처음부터 보기"를 시작한 시점 이후부터는 프로그램 저장부(420)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망을 타고 온 나머지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부(440)에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180).
한편 스트리밍 서버(300)는 동일한 프로그램을 통신망으로 전송할 때 수신부(400)에서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프로그램에서 "처음부터 보기" 선택 지점을 정확히 찾기 위하여, 방송망에서 사용된 프로그램 그대로를 통신 채널에 적합한 프로 토콜로 캡슐화하여 전송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에서 MPEG-2 TS를 사용한 경우, 스트리밍 서버(300) 역시 MPEG-2 TS를 포함한 형태로 캡슐화하여 전송한다.
이와 같이, 통신망과 방송망을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미 방송중인 프로그램을 처음부터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신망 과부하의 원인이 되는 통신 채널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청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청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 경과에 따른 저장 및 디스플레이 내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Claims (11)

  1. 방송 송신부 또는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송출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송신부로부터 송출되는 제1 방송 프로그램의 임의의 시점에 미리 설정된 서비스의 제공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부가 데이터로부터 상기 스트리밍 서버의 주소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한 주소에 대응하는 스트리밍 서버로 제2 방송 프로그램을 요청하고, 상기 제공 신호가 발생한 임의의 시점에 따른 연결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 또는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의 주소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임의의 시점 이후에 상기 방송 송신부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과 동일한 방송 프로그램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인 방송 수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임의의 시점 이전 부분은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임의의 시점에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송출이 중단되도록 요청하고, 상기 저장된 제1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방법.
  5. 제1 망과 제2 망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망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제1 시점에 상기 제2 망을 통해 상기 제1 시점 이전의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점부터 상기 제1 망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점부터 제2 시점까지 상기 제2 망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점 이후에 상기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망은 방송망이고, 상기 제2 망은 통신망인 방송 수신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점부터 상기 제2 시점까지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프로그램은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되는 방송 수신 방법.
  8. 방송 송신부 또는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송출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 송신부로부터 송출되는 제1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거나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임의의 시점에 상기 방송 송신부로부터 송출된 제1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중에 임의의 선택 지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과 제2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임의의 선택 지점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 또는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 또는 제2 방송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 내에 포함되어 있는 부가 데이터를 추출하는 신호 수신기;
    상기 신호 수신기에서 추출된 부가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스트리밍 서버의 주소를 확인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요청하고,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과 제2 방송 프로그램이 연결되도록 연결 시점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에서 생성된 연결 시점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과 제2 방송 프로그램을 연결하여 출력하는 신호 결합기
    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 주소 및 서비스 제공 기능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과 제2 방송 프로그램은 동일한 방송 프로그램인 방 송 수신 장치.
KR1020080109091A 2008-11-04 2008-11-04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964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091A KR100964377B1 (ko) 2008-11-04 2008-11-04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US13/127,644 US20110219415A1 (en) 2008-11-04 2009-11-04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broadcasting program
PCT/KR2009/006466 WO2010053296A2 (en) 2008-11-04 2009-11-04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broadcasting progr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091A KR100964377B1 (ko) 2008-11-04 2008-11-04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014A true KR20100050014A (ko) 2010-05-13
KR100964377B1 KR100964377B1 (ko) 2010-06-17

Family

ID=42153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091A KR100964377B1 (ko) 2008-11-04 2008-11-04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219415A1 (ko)
KR (1) KR100964377B1 (ko)
WO (1) WO2010053296A2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1357B2 (en) * 1999-05-28 2006-05-23 Intel Corporation Communicating ancillary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audio/video programs
US7107606B2 (en) * 2000-08-30 2006-09-12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System and method for highly scalable video on demand
US7146632B2 (en) * 2001-06-08 2006-12-05 Digeo, Inc. Interactive information aggregator for a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US8635355B2 (en) * 2002-05-01 2014-01-21 Stmicroelectronics, Inc. Method for pre-caching content to enable true VOD systems from NVOD or stream limited VOD systems
KR100525175B1 (ko) * 2003-05-14 2005-10-31 하나로텔레콤 주식회사 DualChannel을 이용한 멀티캐스트 방식의VOD방송 서비스 방법
KR100568941B1 (ko) * 2003-10-16 2006-04-07 학교법인 한양학원 동적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방법 및 장치
KR100647206B1 (ko) * 2004-12-09 2006-11-23 파이로웍스(주) 시간-시프트된 채널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KR100759807B1 (ko) * 2005-12-09 2007-09-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tv 방송에서 시청시간 이동 서비스 방법
US20080120648A1 (en) * 2006-11-21 2008-05-22 Carlson Michael P System and method to change stations and start programming at beginning of seg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53296A2 (en) 2010-05-14
WO2010053296A3 (en) 2011-03-31
US20110219415A1 (en) 2011-09-08
KR100964377B1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2224B2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SMIL documents
EP1909459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adaptive broadcast signal and method thereof
US10063934B2 (en) Reducing unicast session duration with restart TV
US101942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dynamic media content
US2015011357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ent switching
US20130290848A1 (en) Connected multi-screen video
US8677394B2 (en) Integrating and processing embedded links to related video content in a video stream to provide advertising information
EP32037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streaming media data seamlessly connecting in intelligent home
EP1942674A1 (en) Method of transmitting preview cont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preview content
US20090144783A1 (en)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receiving adaptive broadcast signal
KR20080077248A (ko) 인스턴트 리플레이와 타임 쉬프트 재생 기능을 기초로 하는네트워크
US102059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linking real-time broadcasting with non-real-time video service using user history information
CN104185070A (zh) 电视不同显示窗口的切换方法
KR100738043B1 (ko) 채널 정보를 이용한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전환 미디어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351040B1 (ko) 컨텐츠 데이터 전송 방법, 방송 수신기 및 방송 수신 방법
KR100937328B1 (ko) 전자 서비스 가이드를 위한 셋탑박스 및 그의 동작 방법과그를 이용한 전자 서비스 가이드 제공 방법
US826131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edia content presentation
KR100878023B1 (ko) Iptv의 채널탐색 시간을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장치,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964377B1 (ko)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CN111147879B (zh) 直播节目缓存方法、系统、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KR101302136B1 (ko) 개별 채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별 채널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00047506A (ko) 방송 서비스 정보 처리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70011333A (ko)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 녹화 방법
US200702684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pvr functionalities
KR20080050657A (ko) 동영상 탐색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