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9967A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9967A
KR20100049967A KR1020080109028A KR20080109028A KR20100049967A KR 20100049967 A KR20100049967 A KR 20100049967A KR 1020080109028 A KR1020080109028 A KR 1020080109028A KR 20080109028 A KR20080109028 A KR 20080109028A KR 20100049967 A KR20100049967 A KR 20100049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allocation
terminal
allocation method
information
cha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성현
김세호
강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9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9967A/ko
Publication of KR20100049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변화에 따라 자원 할당 방식을 동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단말의 채널 변화를 확인하는 과정과, 단말의 채널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자원 할당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한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단말의 채널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자원 할당 메시지에 따른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어 자원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무선통신시스템, 자원할당방식, 고정자원할당, 그룹자원할당, 채널 변화량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변화에 따라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의 이동성(mobility)과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는 고속 서비스를 지원한다.
OFDM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은 시간 축과 주파수 축을 고려하여 이차원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들로 자원을 할당하여 무선 자원 할당에 대한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기지국은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메시지를 단말들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자원 할당 메시지는 한정된 시간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오버헤드로 작용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지국은 VoIP(Voice of IP)와 같이 주기적으로 트래픽이 발생하는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말로 무선 자원을 고정 할당한다.
고정 할당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은 자원을 초기 할당하는 경우에만 고정 할당한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할당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므로 자원 할당 메시지에 따른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자원할당 메시지를 통해 확인한 사용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고정 확인받은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은 무선 자원을 초기할당하는 경우에만 자원 할당 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무선 자원을 고정할당한 단말과의 채널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무선 자원을 초기할당하는 시점의 단말과의 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단말과의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결정한다. 만일, 단말과의 채널 상태가 나빠지는 경우, 기지국은 자원 할당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으므로 단말과의 MCS 레벨에 변화를 줄 수 없어 단말과 원활하게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단말의 채널 변화에 따라 자원할당 방식을 동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단말의 이동 속도에 따라 자원할당 방식을 동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단말의 이동 속도에 따라 그룹 자원 할당 방식과 고정 자원 할당 방식을 동적으로 선택하여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채널 변화가 심한 단말로 그룹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채널 변화가 적은 단말로 고정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채널 변화에 따라 기지국이 선택한 자원 할당 방식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은,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단말의 채널 변화를 확인하는 과정과, 단말의 채널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자원 할당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한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할당받은 자원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은, 서빙국으로부터 자원 할당 방식 변경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자원 할당 변경 정보에서 변경된 자원 할당 방식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자원 할당 방식에 따른 자원 할당 정보를 통해 서빙국에서 할당한 자원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는,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단말의 채널 변화를 확인하는 채널 변화 확인부와, 단말의 채널 변화를 고려하여 결정한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할당받은 자원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는, 서빙국으로부터 자원 할당 방식 변경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자원 할당 변경 정보에서 변경된 자원 할당 방식을 확인하는 자원 할당 방식 확인부와, 상기 변경된 자원 할당 방식에 따른 자원 할당 정보를 통해 서빙국에서 할당한 자원을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주기적으로 트래픽이 발생하는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말의 채널 변화에 따라 자원 할당 방식을 동적으로 선택하여 자원을 할당함으로써, 단말의 채널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자원 할당 메시지에 따른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어 자원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변화에 따라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기지국은 단말의 이동 속도(velocity)를 이용하여 단말의 채널 변화를 확인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때, 단말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느린 경우, 기지국은 단말의 채널 변화가 적은 것으로 인식한다. 한편, 단말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빠른 경우, 기지국은 단말의 채널 변화가 심한 것 으로 인식한다.
이하 설명에서 단말은 VoIP(Voice of IP)와 같이 주기적으로 트래픽이 발생하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단말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느린 경우, 기지국은 자원 할당에 따른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고정 자원 할당(Persistent Allocation) 방식을 이용하여 자원을 할당한다. 한편, 단말의 이동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빠른 경우, 기지국은 자원을 할당할 때마다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단말의 채널 변화가 심한 경우, 상기 기지국은 하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자원 할당(Group Resource Allocation) 방식을 이용하여 자원을 할당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기준 속도를 결정하는 방식에 따라 단말의 이동 속도와 기준 속도가 동일한 경우, 채널의 변화가 적은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고 채널의 변화가 심한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단말의 이동 속도와 기준 속도가 동일한 경우, 기지국은 단말의 채널 변화가 적은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기지국은 101단계에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단말의 이동 속도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포함하는 단말이 GPS를 통해 측정하여 전송한 단말의 이동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과 송수신하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이용하여 단말의 이동 속도를 추정할 수도 있다.
단말의 이동속도를 확인한 후, 상기 기지국은 103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의 이동속도와 기준 속도를 비교한다.
만일, 단말의 이동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빠른 경우, 상기 기지국은 단말의 채널 변화가 심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은 105단계로 진행하여 자원 할당 방식을 그룹 자원 할당 방식으로 결정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107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113단계로 진행하여 단말로 자원을 할당한다.
한편, 상기 107단계에서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된 경우, 상기 기지국은 109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이 포함되는 그룹의 ID와 사용자 인덱스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덱스는 그룹 할당 맵에 포함되는 사용자 비트맵에서 단말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비트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상기 그룹 ID와 사용자 인덱스를 결정한 후, 상기 기지국은 1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결정한 그룹 ID와 사용자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하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를 생성한다.
Assignment_METHOD_IE(){
Message TYPE 4
Number of Assignment 4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단말의 개수
For(i=1: Number_of_Assignment; ++1)
{
CID 16
Assignment FLAG 1 0: GROUP RESOURCE ALLOCATION 1: PERSISTENT ALLOCATION
if(Assignment FLAG==0)
{
GROUP ID 4 그룹 할당 자원의 ID
USER INDEX 5 USER BITMAP에서의 INDEX 번호
}
}
CRC 16
}
여기서,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는 메시지의 타입을 나타내는 필드(Message TYPE),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되는 단말의 개수를 나타내는 필드(Number of Assignment),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되는 단말의 연결 식별자를 나타내는 필드(CID: Connection ID), 변경되는 자원 할당 방식을 나타내는 필드(Assignment FLAG), 그룹 자원 할당 방식으로 자원을 할당받는 단말의 자원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 할당 맵의 그룹 ID를 나타내는 필드(GROUP ID), 그룹 자원 할당 방식으로 변경되는 단말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덱스 필드(USER INDEX) 및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의 오류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필드(CRC: Cyclic Redundancy Checking)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은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를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되는 단말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USCCH(Unicast Service Control Channel)를 이용하여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를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되는 단말로 전송한다. 한편,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되는 단말이 다수 개인 경우, 기지국은 각각의 단말들에 대한 자원 할당 방식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의 자원할당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비스 영역으로 방송할 수도 있다.
상기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은 상기 113단계로 진행하여 단말로 자원을 할당한다.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한 후, 상기 기지국은 115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자원 할당 방식에 따라 단말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메시지를 생성 및 전송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자원 그룹의 공통 정보와 그룹 할당 맵들을 포함하는 자원 할당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공통 정보는 자원 할당 메시지의 타입과 크기 및 자원 할당 메시지에 포함되는 그룹들의 개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그룹 할당 맵은 각각의 개별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들로 할당한 자원의 크기 및 위치 정보, 사용자 비트맵 정보와 자원 비트맵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비트맵은 개별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들의 동작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비트맵의 크기는 개별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의 개수와 동일하다. 상기 자원 비트맵은 개별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들의 MCS 레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자원 비트맵은 미리 정해진 MCS레벨의 종류에 따라 활성 상태인 단말들의 MCS레벨 인덱스를 표시한다. 따라서, MCS 레벨의 종류가 n개이고, 활성 상태인 단말이 k개인 경우, 자원 비트맵의 크기는
Figure 112008076519167-PAT00001
으로 정해진다.
상기 자원 할당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은 1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자원 할당 메시지를 통해 단말로 할당한 자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103단계에서 단말의 이동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느리거나 같은 경우, 상기 기지국은 단말의 채널 변화가 적은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119단계로 진행하여 자원 할당 방식을 고정 자원 할당 방식으로 결정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121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129단계로 진행하여 단말로 고정 할당한 자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121단계에서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된 경우, 기지국은 123단계로 진행하여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은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를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되는 단말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USCCH를 이용하여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를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되는 단말로 전송한다. 만일,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되는 단말이 다수 개인 경우, 기지국은 각각의 단말들에 대한 자원 할당 방식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할당 메시지를 생성하여 방송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은 125단계로 진행하여 단말로 고정 할당하기 위한 자원을 결정한다.
상기 단말로 고정할당할 자원을 결정한 후, 상기 기지국은 127단계로 진행하여 고정 자원 할당 방식에 따라 단말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메시지를 생성 및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자원 할당 메시지는 단말의 MCS 레벨, 단말로 고정 할당한 자원의 크기 정보 및 고정 할당 주기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자원 할당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은 상기 129단계로 진행하여 단말로 고정 할당한 자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기지국은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ID와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를 들어, 기지국은 자원 할당 방식 변경 정보만을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기지국은 그룹 자원 할당 방식에 따른 그룹 ID와 인덱스 정보는 별도의 제어 메시지를 통해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에서 단말의 채널 변화를 고려하여 결정한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단말은 하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당받은 자원을 확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동적으로 할당받은 자원을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단말은 201단계에서 서빙국으로부터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서빙국은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접속되어있는 기지국을 의미한다.
만일,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은 기지국이 기존에 자원을 할당한 자원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단말은 203단계로 진행하여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에서 변경된 자원 할당 방식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205단계로 진행하여 자원 할당 방식이 그룹 자원 할당 방식으로 변경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그룹 자원 할당 방식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단말은 207단계로 진행하여 자신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 할당 맵을 식별하기 위한 그룹 ID와 사용자 인덱스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에서 그룹 ID와 사용자 인덱스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받은 별도의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그룹 ID와 사용자 인덱스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209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자원 할당 방식에 따라 구성된 자원 할당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자원 할당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단말은 211단계로 진행하여 자원 할당 메시지에서 자원 그룹 공통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자원 그룹 공통 정보는 자원 할당 메시지의 타입과 크기 및 자원 할당 메시지에 포함되는 그룹들의 개수 정보를 포함한다.
자원 그룹 공통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단말은 213단계로 진행하여 자원 할당 메시지에 포함되는 그룹 할당 맵들 중 상기 207단계에서 확인한 그룹 ID에 해당하는 그룹 할당 맵을 확인한다.
그룹 할당 맵을 확인한 후, 상기 단말은 215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할당 맵에서 사용자 비트맵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2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07단계에서 확인한 사용자 인덱스에 해당하는 사용자 비트맵의 비트를 확인하여 자신이 자원을 할당받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비트맵에서 사용자 인덱스에 해당하는 비트가 1인 경우, 상기 단말은 자신이 자원을 할당받은 것으로 인식한다. 한편, 사용자 비트맵에서 사용자 인덱스에 해당하는 비트가 0인 경우, 상기 단말은 자신이 자원을 할당받지 못한 것으로 인식한다.
만일, 자원을 할당받지 못한 경우, 상기 단말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자원을 할당받은 경우, 상기 단말은 219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할당 맵에서 자신의 자원할당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은 자신의 그룹 ID에 해당하는 그룹 할당 맵에서 자원의 크기 및 위치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단말은 자원 비트맵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MCS레벨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2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인한 자원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서빙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205단계에서 자원 할당 방식이 고정 자원 할당 방식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단말은 223단계로 진행하여 고정 자원 할당 방식에 따라 구성된 자원 할당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자원 할당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은 227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자원 할당방식으로 변경되기 전에 서빙국으로부터 고정 할당받았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서빙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자원 할당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단말은 225단계로 진행하여 자원 할당 메시지에서 서빙국으로부터 고정할당받은 자원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은 고정 할당한 자원의 크기 정보 및 고정 할당 주기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고정할당받은 자원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단말은 상기 22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인한 고정 할당 자원을 이용하여 서빙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단말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그룹 자원 할당 방식과 고정 자원 할당 방식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느리거나 같은 단말에 대해 하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자원을 할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고정 자원 할당 방식에 따른 자원 할당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단말은 고정 패킷을 수신받은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에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로 자원을 초기 할당하는 경우, i번째 프레임 동안 기지국은 단말로 고정 할당한 자원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300). 여기서, 상기 자원 정보는 고정 할당한 자원의 위치 및 크기와 고정 할당 주기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i번째 프레임 동안 상기 기지국은 단말로 고정 할당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고정 패킷을 전송한다(302).
i번째 프레임 동안 단말은 i번째 프레임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받은 자원 정보에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는 고정 패킷을 수신받는다. 이때, 상기 단말은 수신받은 고정 패킷에 대한 오류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i+1)번째 프레임 동안 상기 단말은 고정 패킷에 대한 ACK/N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304). 예를 들어, 고정 패킷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 NACK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고정 패킷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 ACK 정보를 전송한다.
고정 할당 주기가 4인 경우, (i+4)번째 프레임 동안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 고정 할당한 자원을 이용하여 고정 패킷을 전송한다(312). 예를 들어, (i+1)번째 프레임 동안 단말로부터 ACK 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새로운 고정 패킷을 전송한다.
(i+4)번째 프레임 동안 단말은 i번째 프레임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받은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는 고정 패킷을 수신받는다. 이때, 상기 단말은 상기 수신받은 고정 패킷에 대한 오류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i+5)번째 프레임 동안 단말은 고정 패킷에 대한 ACK/NACK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314). 예를 들어, 고정 패킷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은 기지국으로 NACK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고정 패킷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은 기기지국으로 ACK 정보를 전송한다.
(i+8)번째 프레임 동안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 고정 할당한 자원을 이용하여 고정 패킷을 전송한다(322). 예를 들어, (i+5)번째 프레임 동안 단말로부터 NACK 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NACK 정보에 대한 고정 패킷을 상기 단말로 재전송한다. 다른 예를 들어, (i+5)번째 프레임 동안 단말로부터 NACK 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기지국은 고정 패킷을 재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별도로 할당하여 상기 NACK 정보에 대한 고정 패킷을 상기 단말로 재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 고정 할당한 자원을 이용하여 새로운 고정 패킷을 전송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기지국은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빠른 단말에 대해 하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자원을 할당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그룹 자원 할당 방식에 따른 자원 할당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i번째 프레임 동안 기지국은 그룹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로 할당한 자원 정보를 전송한다(400). 이때, 상기 자원 정보를 그룹 패킷을 재전송하기 위한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i번째 프레임 동안 상기 기지국은 i번째 프레임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한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그룹 패킷들을 전송한다(402, 404).
i번째 프레임 동안 단말은 i번째 프레임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받은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는 그룹 패킷들을 수신받는다. 이때, 상기 단말은 수신받은 그룹 패킷에 대한 오류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i+1)번째 프레임 동안 상기 단말은 그룹 패킷들에 대한 ACK/N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406, 408). 예를 들어, 그룹 패킷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 NACK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그룹 패킷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 ACK 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i+4)번째 프레임 동안 상기 기지국은 그룹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로 할당한 자원 정보를 전송한다(410). 이때, 상기 자원 정보를 그룹 패킷을 재전송하기 위한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i+4)번째 프레임 동안 상기 기지국은 (i+4)번째 프레임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한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그룹 패킷들을 전송한다(412, 414). 만일, 상기 (i+1)번째 프레임 동안 단말로부터 NACK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기지국은 (i+4)번째 프레임 동안 상기 NACK 정보에 때한 그룹 패킷을 단말로 재전송할 수도 있다.
(i+4)번째 프레임 동안 단말은 (i+4)번째 프레임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받은 자원 정보에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는 그룹 패킷들을 수신받는다. 이때, 상기 단말은 상기 수신받은 그룹 패킷들에 대한 오류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i+5)번째 프레임 동안 단말은 그룹 패킷들에 대한 ACK/NACK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416, 418). 예를 들어, 그룹 패킷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은 기지국으로 NACK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그룹 패킷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은 기기지국으로 ACK 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i+8)번째 프레임 동안 상기 기지국은 그룹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로 할당한 자원 정보를 전송한다(420). 이때, 상기 자원 정보를 그룹 패킷을 재전송하기 위한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i+8)번째 프레임 동안 상기 기지국은 (i+8)번째 프레임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한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그룹 패킷을 전송한다(422). 만일, 상기 (i+5)번째 프레임 동안 단말로부터 NACK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기지국은 (i+8)번째 프레임 동안 상기 NACK 정보에 때한 그룹 패킷을 단말로 재전송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단말의 채널 변화를 고려하여 각각의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방식을 결정한다. 이때, 채널 변화가 적은 단말들만 존재하는 경우, 기지국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고정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자원을 할당한다. 또한, 채널 변화가 심한 단말들만 존재하는 경우, 기지국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그룹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자원을 할당한다. 또한, 채널 변화가 심한 단말과 채널 변화가 적은 단말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 기지국은 각각의 단말별로 고정 자원 할당 방식과 그룹 자원 할당 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자원을 할당한다.
이하 설명은 단말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자원 할당 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지국의 블록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무선통신시스템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듀플렉서(500), 수신기(510), 제어부(520) 및 송신기(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듀플렉서(500)는 듀플렉싱 방식에 따라 상기 송신기(530)로부터 제공받은 송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수신기(51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시분할 복신(TDD: 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듀플렉서(500)는 송신 구간 동안 상기 송신기(530)로부터 제공받은 송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한편, 상기 듀플렉서(500)는 수신 구간 동안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수신기(510)로 제공한다.
상기 수신기(510)는 RF처리기(51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Analog/Digital Convertor)(513), OFDM 복조기(515), 복호화기(517) 및 메시지 처리기(5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기(511)는 상기 듀플렉서(500)로부터 제공받은 고주파신호를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13)는 상기 RF처리기(511)로부터 제공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샘플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OFDM복조기(515)는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을 통해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13)로부터 제공받은 시간 영역의 샘플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복호화기(517)는 상기 OFDM복조기(515)로부터 제공받은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에서 실제 수신하고자 하는 부반송파들의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후, 상기 복호화기(517)는 상기 선택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복조 및 복호하여 출력한다.
상기 메시지 처리기(519)는 상기 복호화기(517)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서 제어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어부(52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520)는 자원 할당 제어부(523)에서 결정한 자원 할당 방식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할 단말들로 자원을 할당한다. 예를 들어, 자원 할당 제어부(523)에서 단말 1에 대한 자원 할당 방식을 그룹 자원 할당 방식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520)는 그룹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 1로 자원을 할당한다. 한편, 자원 할당 제어부(523)에서 단말 2에 대한 자원 할당 방식을 고정 자원 할당 방식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520)는 고정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 2로 자원을 할당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20)는 단말의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되는 경우, 자원 할당 방식 변경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신기(530)를 제어한다.
상기 자원 할당 제어부(523)는 채널 변화 확인부(521)로부터 제공받은 단말의 채널 변화에 따라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자원 할당 방식을 결정한다. 즉, 단말의 채널 변화가 적은 경우, 상기 자원 할당 제어부(523)는 상기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방식을 고정 자원 할당 방식으로 결정한다. 한편, 단말의 채널 변화가 심한 경우, 상기 자원 할당 제어부(523)는 자원을 할당할 때마다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자원 할당 제어부(523)는 상기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방식을 그룹 자원 할당 방식으로 결정한다.
상기 채널 변화 확인부(521)는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단말의 채널 변화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단말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느린 경우, 상기 채널 변화 확인부(521)는 단말의 채널 변화가 적은 것으로 인식한다. 한편, 단말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빠른 경우, 상기 채널 변화 확인부(521)는 단말의 채널 변화가 심한 것으로 인식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 변화 확인부(521)는 단말이 GPS를 통해 측정하여 전송한 단말의 이동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하느 상기 채널 변화 확인부(521)는 단말과 송수신하는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의 이동 속도를 추정할 수도 있다.
상기 송신기(530)는 메시지 생성기(531), 부호화기(533), OFDM 변조기(535),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Analog Convertor)(537) 및 RF처리기(5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시지 생성기(531)는 상기 제어부(520)의 제어에 따라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즉, 단말의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 생성기(531)는 상기 제어부(520)의 제어에 따라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메시지 생성기(531)는 상기 <표 1>과 같이 구성되는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생성기(531)는 상기 제어부(520)에서 각각의 단말들로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당 방식에 따라 각각의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메시지 생성기(531)는 상기 제어부(520)에서 그룹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자원을 할당하는 단말들에 대한 자원 할당 메시지를 상기 제어부(520)에서 자원을 할당할 때마다 생성한다. 한편, 상기 메시지 생성기(531)는 상기 제어부(520)에서 고정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자원을 할당하는 단말들에 대한 자원 할당 메시지를 상기 제어부(520)에서 자원을 초기 할당할 때만 생성한다.
상기 부호화기(533)는 전송 데이터 및 상기 메시지 생성기(531)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메시지를 해당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부호 및 변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OFDM변조기(535)는 역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을 통해 상기 부호화기(533)로부터 제공받은 주파수 영역 데이터를 시간 영역의 샘플데이터(OFDM심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37)는 상기 OFDM 변조기(535)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샘플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RF처리기(539)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37)로부터 제공받은 기저대역의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채널 변화 확인부(521)와 자원 할당 제어부(523)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구현하는 경우 이들 모두를 제어부(52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만 상기 제어부(52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에서 단말의 채널 변화를 고려하여 결정한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단말은 하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할당받은 자원을 확인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동적으로 할당받은 자원을 확인하기 위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듀플렉서(600), 수신기(610), 제어부(620) 및 송신기(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듀플렉서(600)는 듀플렉싱 방식에 따라 상기 송신기(630)로부터 제공받은 송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수신기(61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시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듀플렉서(600)는 송신 구간 동안 상기 송신기(630)로부터 제공받은 송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한편, 상기 듀플렉서(600)는 수신 구간 동안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수신기(610)로 제공한다.
상기 수신기(610)는 RF처리기(61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13), OFDM 복조기(615), 복호화기(617) 및 메시지 처리기(6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기(611)는 상기 듀플렉서(600)로부터 제공받은 고주파신호를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13)는 상기 RF처리기(611)로부터 제공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샘플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OFDM복조기(615)는 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해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13)로부터 제공받은 시간 영역의 샘플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복호화기(617)는 상기 OFDM복조기(615)로부터 제공받은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에서 실제 수신하고자 하는 부반송파들의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후, 상기 복호화기(617)는 상기 선택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복조 및 복호하여 출력한다.
상기 메시지 처리기(619)는 상기 복호화기(617)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서 제어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어부(62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처리기(619)는 상기 복호화기(617)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서 자원 할당 방식 변경 정보를 확인하여 자원 할당 방식 확인부(621)로 전송한다.
상기 자원 할당 방식 확인부(621)는 상기 메시지 처리기(619)로부터 제공받은 자원 할당 방식 변경 정보에서 서빙국에서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데 사용한 자원 할당 방식의 변경 정보를 확인한다.
한편, 자원 할당 방식 변경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자원 할당 방식 확인부(621)는 서빙국에서 기존에 자원을 할당하는데 사용했던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어부(620)는 상기 메시지 처리기(617)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정보에서 상기 자원 할당 방식 확인부(621)로부터 확인한 자원 할당 방식에 따른 자원 할당 정보를 검출하여 서빙국으로부터 할당받은 자원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620)는 서빙국으로부터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20)는 서빙국에서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GPS를 통해 측정한 이동속도를 서빙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620)는 서빙국에서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를 추정할 수 있도록 서빙국과 기준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송신기(630)는 메시지 생성기(631), 부호화기(633), OFDM 변조기(635),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37) 및 RF처리기(6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시지 생성기(631)는 상기 제어부(620)의 제어에 따라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메시지 생성기(631)는 상기 제어부(620)에서 GPS를 통해 측정한 이동 속도 정보를 서빙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부호화기(633)는 전송 데이터 및 상기 메시지 생성기(631)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메시지를 해당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부호 및 변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OFDM변조기(635)는 역 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해 상기 부호화기(633)로부터 제공받은 주파수 영역 데이터를 시간 영역의 샘플데이터(OFDM심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37)는 상기 OFDM 변조기(635)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샘플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RF처리기(639)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37)로부터 제공받은 기저대역의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620)는 상기 자원 할당 방식 확인부(621)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구현하는 경우 이들 모두를 제어부(62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만 상기 제어부(62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동적으로 할당받은 자원을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고정 자원 할당 방식에 따른 자원 할당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그룹 자원 할당 방식에 따른 자원 할당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동적으로 할당받은 자원을 확인하기 위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Claims (24)

  1.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단말의 채널 변화를 확인하는 과정과,
    단말의 채널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자원 할당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한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변화를 확인하는 과정은,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단말의 이동 속도를 확인하는 과정과,
    단말의 이동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빠른 경우, 상기 단말의 채널 변화가 심한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과,
    단말의 이동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느린 경우, 상기 단말의 채널 변화가 적은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과,
    단말의 채널 변화가 적은 경우, 자원 할당 방식을 고정 자원 할당 방식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단말의 채널 변화가 심한 경우, 자원 할당 방식을 그룹 자원 할당 방식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방식을 결정한 후,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된 경우,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상기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결정한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는,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된 단말의 식별자 정보, 변경된 자원 할당 방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는, 자원 할당방식이 그룹 자원 할당 방식으로 변경되는 경우, 단말이 포함되는 그룹의 식별자와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들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비트맵에서 상기 단말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비트의 인덱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할당받은 자원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서빙국으로부터 자원 할당 방식 변경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자원 할당 변경 정보에서 변경된 자원 할당 방식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자원 할당 방식에 따른 자원 할당 정보를 통해 서빙국에서 할당한 자원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는,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된 단말의 식별자 정보, 변경된 자원 할당 방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는, 자원 할당방식이 그룹 자원 할당 방식으로 변경된 경우, 단말이 포함되는 그룹의 식별자와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들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비트맵에서 상기 단말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비트의 인덱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방식은, 고정 자원 할당 방식 또는 그룹 자원 할당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서빙국으로부터 자원 할당 방식 변경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는 과정과,
    서빙국으로부터 이전에 자원을 할당받은 자원 할당 방식의 자원 할당 정보를 통해 상기 서빙국에서 할당한 자원을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단말의 채널 변화를 확인하는 채널 변화 확인부와,
    단말의 채널 변화를 고려하여 결정한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변화 확인부는,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단말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단말의 이동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빠른 경우, 상기 단말의 채널 변화가 심한 것으로 판단하고,
    단말의 이동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느린 경우, 상기 단말의 채널 변화가 적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말의 채널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자원 할당 방식을 결정하는 자원 할당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여,
    상기 자원 할당 제어부에서 결정한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제어부는, 단말의 채널 변화가 적은 경우, 자원 할당 방식을 고정 자원 할당 방식으로 결정하고,
    단말의 채널 변화가 심한 경우, 자원 할당 방식을 그룹 자원 할당 방식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원 할당 방식을 결정한 후,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된 경우, 자원 할당 방식 변경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자원 할당 방식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송신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는,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된 단말의 식별자 정보, 변경된 자원 할당 방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는, 자원 할당방식이 그룹 자원 할당 방식으로 변경되는 경우, 단말이 포함되는 그룹의 식별자와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들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비트맵에서 상기 단말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비트의 인덱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할당받은 자원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서빙국으로부터 자원 할당 방식 변경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자원 할당 변경 정보에서 변경된 자원 할당 방식을 확인하는 자원 할당 방식 확인부와,
    상기 변경된 자원 할당 방식에 따른 자원 할당 정보를 통해 서빙국에서 할당한 자원을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는,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된 단말의 식별자 정보, 변경된 자원 할당 방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는, 자원 할당방식이 그룹 자원 할당 방식으로 변경된 경우, 단말이 포함되는 그룹의 식별자와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들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비트맵에서 상기 단말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비트의 인덱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방식 확인부는, 자원 할당 방식 변경 메시지를 통해 고정 자원 할당 방식 또는 그룹 자원 할당 방식 중 변경된 자원 할당 방식을 확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방식 확인부는, 서빙국으로부터 자원 할당 방식 변경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자원 할당 방식이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80109028A 2008-11-04 2008-11-04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KR20100049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028A KR20100049967A (ko) 2008-11-04 2008-11-04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028A KR20100049967A (ko) 2008-11-04 2008-11-04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967A true KR20100049967A (ko) 2010-05-13

Family

ID=42276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028A KR20100049967A (ko) 2008-11-04 2008-11-04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99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620A (ko) * 2018-02-12 2019-08-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채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을 운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620A (ko) * 2018-02-12 2019-08-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채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을 운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3841A1 (en) Terminal, base station, system, and feedback method
ES2464447T3 (es) Planificación de sistemas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US77646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overhead for signaling
KR2008010977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공통 시간 주파수 무선 자원
KR20150134908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저비용(low-cost)단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060111864A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20110135571A (ko)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자원 할당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1355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01537B1 (ko) 제어채널 할당장치, 이동통신 시스템 및 제어채널 할당방법
US84641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111080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uplink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200931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allocating resources in communication system
US81552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81642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채널 할당 장치 및 방법
KR20080090249A (ko)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재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00049967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KR20110003716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피드백 채널 할당 장치 및 방법
KR10091416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쉐이킹을 수행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110128710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레인징을 위한 자동 재전송 요청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12183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이브리드 에이알큐 지원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073803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고정 할당된 자원의 식별자 할당 장치 및 방법
KR20100053089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정 할당된 자원을 변경 및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90132762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합 자동 재전송 요청 응답채널을 구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035262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채널 할당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