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9399A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9399A
KR20100049399A KR1020080108535A KR20080108535A KR20100049399A KR 20100049399 A KR20100049399 A KR 20100049399A KR 1020080108535 A KR1020080108535 A KR 1020080108535A KR 20080108535 A KR20080108535 A KR 20080108535A KR 20100049399 A KR20100049399 A KR 20100049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iscontinuous reception
rrc connection
base station
discontinu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3842B1 (ko
Inventor
김성훈
데르 벨데 힘케 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8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842B1/ko
Priority to US12/590,065 priority patent/US8902813B2/en
Priority to PCT/KR2009/006410 priority patent/WO2010062055A2/en
Publication of KR20100049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399A/ko
Priority to US14/552,280 priority patent/US1047012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불연속 수신 동작 제어 방법은 RRC 연결 재설정 절차 개시 시, 단말의 불연속 수신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RRC 연결 재설정 대상인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이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LTE (Long Term Evolution), DRX (Discontinuous Reception),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RECEPTION AT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RRC 연결 재설정 또는 핸드오버 후, 중단되었던 불연속 수신 동작의 재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시스템은, 유럽식 이동통신 시스템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을 기반으로 하고 광대역(Wideband) 부호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한다)을 사용하는 제3 세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다.
현재 UMTS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UMTS 시스템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LTE(Long Term Evolution)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LTE는 최대 100 Mbps 정도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로서 2010년 정도에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구조를 간단히 해서 통신로 상에 위치하는 노드의 수를 줄이는 방안이나, 무선 프로토콜들을 최대한 무선 채널에 근접시키는 방안 등이 논의 중에 있다.
한편, LTE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통신을 수행하기에 앞서 네트워크와 RRC(Radio Resource Control, 또는 무선 자원 제어) 연결을 설정한다. RRC 연결을 설정한다는 것은 RRC 제어 메시지 등의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시그날링 무선 베어러 (Signaling Radio Bearer)를 설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RRC 연결을 설정한 단말은 RRC 연결 상태에 있다고 한다.
LTE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RRC 연결 상태의 단말에 불연속 수신 동작(DRX, Discontinuous Reception)을 적용해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다. DRX 동작이 설정된 RRC 연결 상태인 단말은 정해진 시점에 순방향 제어 채널을 감시해서 스케줄링 여부를 검사하고, 스케줄링이 되었다면 소정의 절차를 따라 데이터 송수신을 진행하고, 스케줄링이 되지 않았으면 다음 시점까지 순방향 제어 채널을 감시하지 않는 동작을 반복한다.
한편 RRC 연결 상태 단말은 무선 링크 실패, 핸드 오버 실패, 기지국이 지시한 설정 명령 미수행 등의 상황이 발생하면 RRC 연결 재설정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절차를 시작한다. 이 경우, 상기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란 단말의 채널 상황 열화에 따라 현재 셀과 정상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핸드 오버 실패란 단말이 핸드 오버할 것을 지시 받은 셀로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RRC 연결 상태 단말은 RRC 연결 재설정 절차가 시작되면, 셀 검색을 실행해서 적절한 채널 품질을 제공하는 셀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셀에서 RRC 연결 재설정 요청(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약 상기 선택된 셀이 단말을 인지하고 있다면, 즉 단말의 RRC 연결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셀이라면, 기지국은 단말에게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를 전송해서 RRC 연결 재설정을 지시한다. 반면 상기 선택된 셀이 해당 단말을 인지하지 못하면, 기지국은 단말에게 RRC 연결 재설정 거절(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JECT) 메시지를 전송해서 단말의 RRC 연결을 해제한다.
현재 LTE 표준에서는 불연속 수신 동작이 설정되어 있는 단말에 RRC 연결 재설정 절차가 시작되었을 때 또는 핸드오버 절차가 시작되었을 때, 단말의 불연속 수신 동작을 계속 지속할 것인지, 새로운 설정으로 변경할지 등에 대해서 정의된 바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불연속 수신 동작이 설정되어 있는 단말에 RRC 연결 재설정 절차가 시작되거나 핸드오버 절차가 시작되었을 때 단말이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절차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RRC 연결 재설정 또는 핸드오버 후, 중단되었던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시점을 결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불연속 수신 동작의 제어 방법은 RRC 연결 재설정 절차 개시 시, 단말의 불연속 수신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RRC 연결 재설정 대상인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이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불연속 수신 동작의 제어 방법은 RRC 연결 재설정 절차 개시 시, 단말의 불연속 수신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RRC 연결 재설정 대상인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이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불연속 수신 설정 정보 포함 시, 상기 단말이 상기 불연속 수신 설정 정보에 따라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단계 및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불연속 수신 설정 정보 미포함 시,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최초로 수신하면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불연속 수신 동작의 제어 방법은 단말이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결과를 상기 소스 기지국에 전송하고 불연속 수신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 오버 명령을 수신한 상기 단말이 핸드 오버 하기 위한 타겟 기지국과 랜덤 액세스 완료 후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불연속 수신 동작 제어 장치는 설정된 규칙에 따라 단말의 송수신에 대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제어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 제어부 및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불연속 수신 동작의 중단 및 재개 시점을 제어하는 무선 자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RRC 연결을 재설정하거나 핸드 오버를 수행함에 있어서 적절한 시점에 DRX 동작을 중지하고 재개함으로써,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
이하에서는 단말의 불연속 수신 동작(Discontinuous Reception)을 'DRX' 라고 칭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불연속 수신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로 구분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이 경우, 제1 실시예는 단말의 RRC 연결 재설정 이후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고, 제2 실시예는 단말의 RRC 연결 재구성 이후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며, 제3 실시예는 핸드 오버 완료 후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4는 제1 실시예에 적용되는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6은 제2 실시예에 적용되는 도면이며, 도 7 내지 도 10은 제3 실시예에 적용되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구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UMTS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 구조를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세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volved Radio Access Network, 이하 E-RAN라 한다)(110, 112)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또는 Node B라 한다)(120, 122, 124, 126, 128, 이하 기지국의 도면 부호는 120으로 칭할 수 있다)과, 상위 노드(Access Gateway라 한다)(130, 132)의 2 노드 구조로 단순화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단말)(101)은 E-RAN(110, 112)에 의해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이하 IP라 한다) 네트워크로 접속한다.
ENB(120 내지 128)는 UMTS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되며, 단말(101)과 무선 채널로 연결된다. 상기 ENB(120 내지 128)는 기존 노드 B와 달리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단말(101)들의 상황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20 내지 128)가 담당한다. 최대 100 Mbps의 전송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는 최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또한 단말(101)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도 2는 LTE 시스템에 규격화된 무선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205, 240), RLC(Radio Link Control 210, 235), MAC (Medium Access Control 215,230)으로 이루어진다.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205, 2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비화/역비화, 무손실 핸드오버 지원 등의 동작을 담당한다.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210, 2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 이하 특정 프로토콜 계층 장치에서 출력되는 패킷을 상기 프로토콜의 PDU라고 칭한다)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ARQ 동작 등을 수행한다. MAC (215,230)은 한 단말(101)에 구성된 여러 RLC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리 계층(220, 2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제1 실시예>
이하에서는 단말(101)의 RRC 연결 재설정 이후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우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단말(101)이 기지국(120)과의 RRC 연결 재설정 이후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RRC 연결 재설정 절차가 시작되면 단말(101)은 셀 선택을 위한 주변 셀들의 채널 품질 측정(measurement)을 시작한다. 이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측정을 수행하는 단말(101)이 불연속 수신 동작을 병행하면 채널 품질 측정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불연속 수신 동작이란, 단말(101)이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줄링을 받지 않는 경우, 소정의 기간 동안 현재 셀의 순방향 제어 채널을 감시하고, 나머지 기간 동안 수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통상 단말(101)은 상기 수면 상태 동안 주변 셀의 채널 품질 측정 등을 수행한다. 특히 주파수 대역이 다르거나 무선 액세스 기술이 다른 셀에 대한 측정은 현재 셀의 순방향 제어 채널 감시와 병행될 수 없기 때문에, 단말(101)의 불연속 수신 동작을 지속한다는 것은 주파수 대역이 다르거나 무선 액세스 기술이 다른 셀에 대한 측정이 현재 셀의 순방향 제어 채널을 감시하는 기간 만큼 지연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말(101)은 RRC 연결 재설정 절차가 시작되면(315) 현재 진행 중인 불연속 수신 동작을 즉시 중지한다(320). 그리고 단말(101)은 소정의 절차에 따라서 새로운 셀을 선택하기 위한 측정 과정을 수행하고(325),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셀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셀의 random access 채널을 통해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330). 상기 메시지에는 단말(101)이 RRC 연결 재설정 절차 이 전의 셀에서 사용하던 단말(101)의 식별자인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와 상기 이 전 셀의 식별자가 수납되며, 기지국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101)의 C-RNTI와 셀 식별자를 이용해서 상기 단말(101)의 RRC 연결을 재설정할 수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단말(101)과 RRC 연결을 재설정할 수 있다면 기지국은 단말(101)에게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를 전송한다(335).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01)은 SRB 1이라는 시그날링 무선 베어러의 동작을 재개한다. 상기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에 새로운 SRB 1 설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 다면 단말(101)은 RRC 연결 재설정 이 전에 사용하던 설정을 그대로 사용해서 SRB1의 동작을 재개한다 (340). 그리고 소정의 후속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를 간략히 설명하면, 무선 베어러란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로로, 통상 서비스 당 하나의 무선 베어러가 설정된다. 하나의 무선 베어러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설정된 PDCP 장치, RLC 장치, MAC 장치를 합한 것이다. RRC 제어 메시지를 주고 받는 무선 베어러를 SRB라고 하며, 한 단말(101)에는 SRB 1과 SRB 2라는 두 개의 SRB가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인 사용자 데이터를 처리하는 무선 베어러는 DRB(Data Radio Bearer)라 한다.
본 발명에서 단말(101)은 RRC 연결 재설정 절차가 시작되면, 즉 RRC 연결 재설정 절차의 시작 이벤트 중 하나가 발생하면 현재 진행 중인 DRX 동작을 중지하고, RRC 연결 재설정 절차가 성공적으로 종료되면서 SRB 1의 동작이 재개되면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단말(101)이 기지국으로부터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를 수신하면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한다. 이 경우, 상기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에 새로운 불연속 수신 설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단말(101)은 RRC 연결 재설정 이 전에 사용하던 불연속 수신 설정을 그대로 사용해서 불연속 수신을 재개한다. 반면, 상기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에 새로운 불연속 수신 정보가 포함된 경우라면, 단말(101)은 새로운 불연속 수신 설정에 따라 불연속 수신을 재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101)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405 단계에서 RRC 연결 재설정 절차가 시작되면 단말(101)은 410 단계로 진행해서 현재 진행 중인 불연속 수신 동작을 중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101)은 무선 링크 실패, 기지국이 지시한 설정 명령 미수행 등의 상황이 발생한 경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중지하고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101)은 소정의 시점에 최소한 소정의 기간 동안 순방향 제어 채널을 감시하는 동작을 중지하고,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할 셀을 선택하기 위한 측정 동작 등을 수행한다.
단말(101)은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셀을 발견하면 상기 셀을 선택하고 415 단계로 진행한다. 415 단계에서 단말(101)은 상기 셀을 관장하는 기지국으로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약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이 상기 단말(101)의 RRC 연결을 재설정할 수 있는 기지국이라면,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101)을 식별할 수 있는 단말 식별자가 수납된다. 그러면 기지국은 상기 메시지에 수납된 단말 식별자를 검사하고, RRC 연결 재설정을 수락할지 또는 거부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기지국이 상기 단말(101)을 인지한다면, 즉 상기 단말(101)의 RRC 설정에 대해서 필요한 정보를 이미 가지고 있다면 기지국은 단말(101)에게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 420 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101)은 425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새로운 DRX 설정 정보가 수납되어 있는지 검사한다. 새로운 DRX 설정 정보가 수납되어 있다면 430 단계로, 새로운 DRX 설정 정보가 수납되어 있지 않다면 435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DRX 설정 정보란, 불연속 수신 주기나 불연속 수신 동작에 사용되는 타이머의 길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430 단계로 진행한 단말(101)은 해당 셀의 SFN을 취득한 후 상기 수신한 새로운 DRX 설정 정보를 이용해서 DRX 동작을 재개한다. SFN이란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1 씩 증가하는 일종의 카운터이며, 단말(101)과 기지국은 상기 SFN을 통해 시점을 공통으로 인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된 시간 주기는 10ms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FN은 시스템 정보를 통해 방송된다.
435 단계로 진행한 단말(101)은 해당 셀의 SFN을 취득한 후 RRC 연결 재설정 동작을 시작하기 전에 사용하던 DRX 설정 정보를 이용해서 DRX 동작을 재개한다.
<제2 실시예>
이하에서는 단말(101)의 RRC 연결 재구성 이후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즉, 이하의 제2 실시예에서는 RRC 연결 재설정 동작을 수행한 단말(101)이 RRC 연결 재구성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한 후 DRX 동작을 재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단말(101)이 기지국(120)과의 RRC 연결 재구성 이후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515)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520)의 교환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과정을 통해서 SRB1의 동작만 재개되며, 기지국은 상기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을 완료한 후 RRC 연결 재구성 과정을 진행해서 SRB 1 이외의 무선 베어러 들의 동작을 재개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단말(101)이 기지국으로부터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하면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101)의 동작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605 단계에서 RRC 연결 재설정 절차가 시작되면 단말(101)은 610 단계로 진행해서 현재 진행 중인 불연속 수신 동작을 중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101)은 무선 링크 실패, 기지국이 지시한 설정 명령 미수행 등의 상황이 발생한 경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중지하고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101)은 소정의 시점에 최소한 소정의 기간 동안 순방향 제어 채널을 감시하는 동작을 중지하고,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할 셀을 선택하기 위한 측정 동작 등을 수행한다. 단말(101)은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셀을 발견하면 상기 셀을 선택하고, 615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셀을 관장하는 기지국으로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약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이 상기 단말(101)의 RRC 연결을 재설정할 수 있는 기지국이라면,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 에는 단말(101)을 식별할 수 있는 단말 식별자가 수납된다. 그러면 기지국은 상기 메시지에 수납된 단말 식별자를 검사하고, RRC 연결 재설정을 수락할지 또는 거부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기지국이 상기 단말(101)을 인지한다면, 즉 상기 단말(101)의 RRC 설정에 대해서 필요한 정보를 이미 가지고 있다면 기지국은 단말(101)에게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 620 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101)은 625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새로운 DRX 설정 정보가 수납되어 있는지 검사한다. 새로운 DRX 설정 정보가 수납되어 있다면 630 단계로, 새로운 DRX 설정 정보가 수납되어 있지 않다면 635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DRX 설정 정보란, 불연속 수신 주기나 불연속 수신 동작에 사용되는 타이머의 길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630 단계로 진행한 단말(101)은 해당 셀의 SFN을 취득한 후 상기 수신한 새로운 DRX 설정 정보를 이용해서 DRX 동작을 재개한다. 기지국은 예를 들어 단말(101)이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후 즉시 DRX 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하기를 원한다면,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DRX 설정 정보를 수납할 것이다.
한편, 635 단계로 진행한 단말(101)은 DRX 동작을 중지한 상태에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는 단말(101)이 SRB1을 제외한 나머지 무선 베어러 들의 동작을 재개하기 위한 정보가 수납된다. 단말(101)은 수신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가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성공한 후 처음으로 수신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라면 640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DRX 설정 정보가 수납되어 있는지 검사한다.
DRX 설정 정보가 수납되어 있다면 645 단계로 진행해서 해당 셀의 SFN을 취득한 후 상기 새로운 DRX 설정 정보에 따라 DRX 동작을 재개한다. 반면,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DRX 설정 정보가 수납되어 있지 않다면 단말(101)은 650 단계로 진행해서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을 수행하기 전에 사용하던 이전 DRX 설정에 따라 DRX 동작을 재개한다.
<제3 실시예>
이하에서는 단말(101)의 핸드 오버 완료 후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방법에 대한 제3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DRX 동작을 수행 중인 단말(101)이 핸드 오버를 하는 경우, DRX 동작을 적절한 시점에 중지하고 재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3 실시 예에서는 핸드 오버를 하는 단말(101)이 DRX 동작을 중지하고 재개하는 절차 및 장치를 제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단말(101)이 핸드 오버 완료 후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핸드 오버를 진행하기 위해, 소스 기지국(710)은 단말(101)에게 측정할 대상 및 상기 측정 결과가 어떤 기준을 충족할 때 측정 결과를 만들어서 기지국으로 전송할지여부를 측정 구성 정보 (Measurement Configuration)를 통해 설정한다. 다시 말해, 소스 기지국(710)은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단말(101)의 RRC 연결 상태 천이 후,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RRC 메시지에 수납하여 단말(101)에게 전달한다.
하나의 단말(101)에 다수의 측정이 구성될 수도 있으며, 측정 구성 정보는 도 8에 도시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측정은 측정 식별자 (Measurement ID, 축약해서 MeasId), 측정 대상 식별자 (Measurement Object ID, 축약해서 measObjectId), 측정 보고 구성 식별자 (Reporting configuration ID, 축약해서 reportConfigId)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특정 측정은 측정 식별자가 x1 (8005)으로, 측정 대상 식별자가 m1(810), 측정 보고 구성 식별자가 r1(815)으로 설정되고 상기 m1과 r1이 의미하는 바는 별도의 정보 (825, 830)로 주어진다.
단말(101)은 소스 기지국(710)으로부터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면, m1으로 대변되는 측정 대상에 대해서 소정의 측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측정 결과가 r1으로 대변되는 측정 보고 설정에서 제시된 기준에 부합되면, 상기 단말(101)은 측정 결과를 수납한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850)를 구성해서 소스 기지국(710)으로 전송한다. 상기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에는 측정 결과(845)가 수납되며, 상기 측정 결과에는 해당 측정 식별자 x1(840)이 부착된다.
상기 측정의 가장 주된 이유는 단말(101)의 핸드 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지만, 기타 여러 가지 이유로 측정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셀간 간섭 (inter cell interference)을 줄이기 위해서 단말(101)에게 측정을 지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소스 기지국(710)이 단말(101)에게 측정을 설정하면서, 핸드 오버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측정에 대해서는 '측정 결과 보고를 전 송한 후 DRX 동작을 중지'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함께 전달한다. 상기 정보를 이 후 'DRX 중지 지시자 (OutOfDrx indicator)(820)로 명명한다.
도 7의 설명으로 복귀하면, 소스 기지국(710)은 임의의 단말(101)에 두 개의 측정을 설정하면서 측정 식별자 x1으로 대변되는 측정의 DRX 중지 지시자는 Yes로, 측정 식별자 x2로 대변되는 측정의 DRX 중지 지시자는 No로 설정해서 단말(101)에게 전송한다 (715).
이 후 단말(101)은 DRX 중지 지시자가 No로 설정된 측정에 대한 측정 결과를 소스 기지국(710)에 보고하면, 즉 측정 식별자가 x2인 측정 결과를 수납한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면(720) DRX 동작을 지속한다.
이 후 단말(101)은 DRX 중지 지시자가 Yes로 설정된 측정에 대한 측정 결과를 소스 기지국(710)에 보고하면, 즉 측정 식별자가 x1인 측정 결과를 수납한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면(725) DRX 동작을 중지한다 (730).
소스 기지국(710)은 상기 측정 결과를 수신하면, 상기 측정 결과를 토대로 핸드 오버를 결정한다. 핸드 오버할 타겟 셀의 기지국(760)과 소정의 메시지 교환을 통해 핸드 오버 준비 과정을 수행한 후, 소스 기지국(710)은 단말(101)에게 핸드 오버를 명령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735).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01)은 소스 기지국(710)이 지시한 타겟 셀로 이동해서, 핸드 오버가 완료되었음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 상기 타겟 셀에서 랜덤 액세스 동작을 개시한다(740). 상기 랜덤 액세스 동작은 단말(101)이 소정의 프리앰블을 타겟 기지국(760)으로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타겟 기지 국(760)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에 수납되어 있는 정보에 따라서 역방향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는 것은, 타겟 기지국이(760) 상기 단말(101)의 존재를 인지하였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므로,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시점이, DRX를 재개할 수 있는 가장 이른 시점이며, 본 발명에서 단말(101)은 타겟 셀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750), DRX 동작을 재개한다(755).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말(101)의 동작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905 단계에서 단말(101)은 소스 기지국(710)으로부터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는 다수의 측정에 대한 정보가 수납될 수 있으며, 하나의 측정에 대한 정보로는 측정 식별자, 측정 대상 식별자, 측정 보고 구성 식별자 및 DRX 중지 지시자가 있다. 소스 기지국(710)은 하나의 단말(101)에 설정하는 여러 측정 중, 핸드 오버 결정을 위해 설정하는 측정의 DRX 중지 지시자를 'Yes'로 설정한다. 단말(101)은 소스 기지국(710)으로부터 수신한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서 측정을 설정하고 910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구성된 측정 들을 수행한다. 임의의 측정 보고 구성에 의해서 설정된 기준이 충족되면, 단말(101)은 해당 기준이 충족된 측정 결과를 수납한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를 구성한다. 상기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에는 해당 측정의 측정 식별자와 측정 결과 보고가 수납된다.
단말(101)은 925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구성한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에 수납된 측정 결과 중 DRX 중지 지시자가 'Yes'인 측정의 측정 식별자가 있는지 검사 한다. DRX 중지 지시자가 'Yes'로 설정된 측정 식별자에 대한 측정 결과가 있다면, 상기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에 의해서 핸드 오버가 유발될 것이기 때문에, 단말(101)은 930 단계로 진행해서 현재 진행 중인 DRX 동작을 중지한다 . 측정 결과 중 측정 식별자의 DRX 중지 지시자가 'Yes'인 측정 결과가 없다면 단말(101)은 935 단계로 진행해서 현재 진행 중인 DRX 동작을 지속하면서 910 단계로 회귀해서 소정의 측정을 계속 수행한다.
도 10은 핸드 오버 수행 중인 단말(101)이 DRX 동작을 재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1005 단계에서 핸드 오버를 지시하는 RRC 메시지를 소스 기지국(710)으로부터 수신하면, 단말(101)은 1010 단계로 진행해서 현재 진행 중인 DRX를 중지한다. 일반적인 경우, 단말(101)이 DRX 중지 지시자가 Yes로 설정된 측정 식별자가 수납된 측정 결과 보고를 전송한 후 DRX가 중지되지만, 기지국이 상기 측정 결과 보고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 핸드 오버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핸드 오버를 지시하는 메시지가 송수신되는 상황에 DRX가 여전히 진행 중일 수 있다.
단말(101)은 핸드 오버를 지시하는 메시지에 수납된 정보에 따라 핸드 오버를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단말(101)은 1015 단계에서 상기 메시지에서 지시된 셀과 동기를 맞추고 상기 셀의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한다. 단말(101)은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을 통해 핸드 오버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RRC 메시지를 소스 기지국(7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1020 단계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완료하면 단말(101)은 1025 단계로 진행한다. 랜덤 액세스 과 정이 완료되는 시점은 단말(101)의 전용 프리앰블 사용 여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3GPP의 규격인 36.321에 정의되어 있다.
단말(101)은 1025 단계에서 상기 셀의 SFN을 취득한 후 DRX 동작을 재개한다. 핸드 오버를 지시하는 메시지에 새로운 DRX 구성 정보가 수납되어 있었다면, 단말(101)은 상기 새로운 DRX 구성 정보에 따라서 DRX 동작을 수행하고, 핸드 오버를 지시하는 메시지에 DRX 구성 정보가 수납되어 있지 않았다면, 단말(101)은 이전 셀에서 사용하던 DRX 구성에 따라서 DRX 동작을 수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1)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단말(101) 장치는 다중화 및 역다중화 장치(1105), HARQ processor (1115), 송수신부(1130), DRX 제어부(1125), 제어 채널 처리부(1120), PDCP/RLC 장치 (1135), 상위 계층 장치 (1145, 1150), RRC 장치(또는 무선 자원 제어부)(1140)로 구성된다.
단말(101)의 송수신부(1130)는 DRX 제어부(1125)의 제어에 의해, on 되거나 off 된다. DRX 제어부(1125)는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송수신의 불연속 수신 동작을 제어한다. DRX 제어부(1125)는 또한 RRC 장치의 제어에 의해서 DRX 동작을 중지하거나 재개한다.
ARQ 프로세서(1115)는 소정의 HARQ 동작을 통해 수신부(1130)가 수신하는 HARQ 패킷을 처리하고, 오류가 없는 HARQ 패킷은 역다중화 장치(1105)로 전달한다. 또한 다중화 장치가 전달하는 패킷을 소정의 HARQ 동작을 통해 송신부를 거쳐서 전송한다.
다중화 및 역다중화 장치(1105)는 상위 계층에서 발생한 패킷들을 하나의 HARQ 패킷으로 다중화해서 HARQ 프로세서로 전달하거나, HARQ 프로세서가 전달한 HARQ 패킷을 역다중화해서 적절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 한다.
PDCP/RLC 장치(1135)는 무선 베어러마다 하나씩 구성되며, 상위 계층 장치나 RRC 장치에서 전달한 데이터를 처리해서 다중화 및 역다중화 장치로 전달하거나, 다중화 및 역다중화 장치가 전달한 데이터를 처리해서 상위 계층 장치나 RRC 장치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RRC 장치(1140)는 RRC 연결 재설정이 시작되면 DRX 제어부(1125)에게 DRX 동작을 중지할 것을 명령하고,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면 DRX 동작을 재개하도록 DRX 제어부(1125)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RRC 장치(1140)는 RRC 연결 재설정이 시작되면 DRX 동작을 중지하도록 DRX 제어부를 제어하고,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면 DRX 동작을 재개하도록 DRX 제어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RRC 장치(1140)는 DRX 중지 지시자가 Yes로 설정된 측정 식별자가 수납된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면 DRX 동작을 중지하도록 DRX 제어부를 제어하고, 타겟 셀에서 핸드 오버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과정이 완료되면 DRX 동작을 재개하도록 DRX 제어부(1125)를 제어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 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구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LTE 시스템에 규격화된 무선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단말(101)이 기지국(120)과의 RRC 연결 재설정 이후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101)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단말(101)이 기지국(120)과의 RRC 연결 재구성 이후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101)의 동작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단말(101)이 핸드 오버 완료 후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8은 기지국에서 단말(101)로 전송되는 측정 구성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말(101)의 동작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10은 핸드 오버 수행 중인 단말(101)이 DRX 동작을 재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1) 장치의 블록 구성도.

Claims (15)

  1. RRC 연결 재설정 절차 개시 시, 단말의 불연속 수신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RRC 연결 재설정 대상인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이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 또는 상기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한 서빙 셀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단계는,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불연속 수신 설정 정보 포함 시, 상기 단말이 상기 불연속 수신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의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단계는,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불연속 수신 설정 정보 미포함 시, 상기 단말이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 중단 이전에 설정된 불연속 수신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의 제어 방법.
  5. RRC 연결 재설정 절차 개시 시, 단말의 불연속 수신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RRC 연결 재설정 대상인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이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불연속 수신 설정 정보 포함 시, 상기 단말이 상기 불연속 수신 설정 정보에 따라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단계; 및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불연속 수신 설정 정보 미포함 시,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최초로 수신하면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 또는 상기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한 서빙 셀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불연속 수신 설정 정보 포함 시, 상기 불연속 수신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의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불연속 수신 설정 정보 미포함 시,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 중단 이전에 설정된 불연속 수신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의 제어 방법.
  9. 단말이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결과를 상기 소스 기지국에 전송하고 불연속 수신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 오버 명령을 수신한 상기 단말이 핸드 오버 하기 위한 타겟 기지국과 랜덤 액세스 완료 후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측정 식별자, 측정 대상 식별자, 측정 보고 구성 식별자, 불연속 수신 동작 중지 지시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오버 명령에 불연속 수신 설정 정보 포함 시, 상기 단말이 상기 불연속 수신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의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오버 명령에 불연속 수신 설정 정보 미포함 시, 상기 단말이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 중단 이전에 설정된 불연속 수신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의 제어 방법.
  13. 설정된 규칙에 따라 단말의 송수신에 대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제어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 제어부; 및
    RRC 연결 재설정 절차 개시 시 상기 단말의 불연속 수신 동작을 중단하고, 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 수신 시 상기 단말의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도록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 제어부를 제어하는 무선 자원 제어부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 제어 장치.
  14. 설정된 규칙에 따라 단말의 송수신에 대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제어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 제어부; 및
    RRC 연결 재설정 절차 개시 시 상기 단말의 불연속 수신 동작을 중단하고,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의 최초 수신 시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도록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 제어부를 제어하는 무선 자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 제어 장치.
  15. 설정된 규칙에 따라 단말의 송수신에 대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제어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 제어부; 및
    상기 단말이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한 측정 결과를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 전송 시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 오버 명령을 수신한 상기 단말이 랜덤 액세스 완료 후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재개하도록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 제어부를 제어하는 무선 자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 제어 장치.
KR1020080108535A 2008-11-03 2008-11-03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03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535A KR101503842B1 (ko) 2008-11-03 2008-11-03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US12/590,065 US8902813B2 (en) 2008-11-03 2009-11-0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CT/KR2009/006410 WO2010062055A2 (en) 2008-11-03 2009-11-03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4/552,280 US10470123B2 (en) 2008-11-03 2014-11-2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535A KR101503842B1 (ko) 2008-11-03 2008-11-03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399A true KR20100049399A (ko) 2010-05-12
KR101503842B1 KR101503842B1 (ko) 2015-03-18

Family

ID=42131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535A KR101503842B1 (ko) 2008-11-03 2008-11-03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902813B2 (ko)
KR (1) KR101503842B1 (ko)
WO (1) WO2010062055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8891A1 (ko) * 2012-05-11 2013-11-14 주식회사 팬택 패킷 도착 간격을 고려한 drx 재구성 방법 및 장치
KR20140042913A (ko) * 2011-08-11 2014-04-07 인텔 코포레이션 무선 자원 제어(rrc) 상태 전환 중 시그널링 오버헤드 감소
KR20150020636A (ko) 2015-01-05 2015-02-26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무선 통신 시스템의 cgi 정보 보고를 위한 기지국 구동 방법
KR20150134408A (ko) * 2013-03-29 2015-12-0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업링크 인증 자원 요구를 제어하는 방법, 사용자 기기, 및 기지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6257A2 (en) * 2009-04-27 2010-11-0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erforming a measurement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781853B1 (ko) * 2010-02-09 2017-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셀의 구성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5243492B2 (ja) * 2010-06-21 2013-07-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移動局、測定結果情報制御方法
US9516560B2 (en) 2010-08-14 2016-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of communicating measuremen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KR101735832B1 (ko) * 2010-11-15 2017-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속도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2136889A1 (en) 2011-04-07 2012-10-1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mmodat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handover determination
CN102960030A (zh) * 2011-06-15 2013-03-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无线用户设备和接入网设备
CN102883441B (zh) * 2011-07-15 2015-04-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宽带通信方法和装置
EP2557890B1 (en) 2011-08-12 2019-07-17 BlackBerry Limited Simplified ue + enb messaging
EP2557889B1 (en) * 2011-08-12 2019-07-17 BlackBerry Limited Simplified ue + enb messaging
TWI501602B (zh) * 2011-08-12 2015-09-21 Blackberry Ltd 處置無線通信系統中之一連接
KR102092579B1 (ko) 2011-08-22 2020-03-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주파수 밴드 지원 방법 및 장치
EP2810482A4 (en) * 2012-01-30 2015-11-11 Nokia Solutions & Networks Oy IMPROVED MOBILITY WITH DISCONTINUOUS RECEPTION USING THE STATE OF MOBILITY
US9295095B2 (en) 2012-03-27 2016-03-22 Blackberry Limited UE preference indicator for suspension
US9247575B2 (en) 2012-03-27 2016-01-26 Blackberry Limited eNB storing RRC configuration information at another network component
US9155121B2 (en) 2012-03-27 2015-10-06 Blackberry Limited Re-establishment of suspended RRC connection at a different eNB
CN102625471A (zh) * 2012-04-12 2012-08-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南京分公司 无线链路的重建方法及装置
US9806873B2 (en) 2012-05-09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644413B2 (en) 2012-05-29 2014-02-04 Magnolia Broadband Inc. Implementing blind tuning in hybrid MIMO RF beamforming systems
US8885757B2 (en) 2012-05-29 2014-11-11 Magnolia Broadband Inc. Calibration of MIMO systems with radio distribution networks
US8767862B2 (en) 2012-05-29 2014-07-01 Magnolia Broadband Inc. Beamformer phase optimization for a multi-layer MIMO system augmented by radio distribution network
US8619927B2 (en) 2012-05-29 2013-12-31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crete gain control in hybrid MIMO/RF beamforming
US8971452B2 (en) 2012-05-29 2015-03-03 Magnolia Broadband Inc. Using 3G/4G baseband signals for tuning beamformers in hybrid MIMO RDN systems
US8649458B2 (en) 2012-05-29 2014-02-11 Magnolia Broadband Inc. Using antenna pooling to enhance a MIMO receiver augmented by RF beamforming
US9154204B2 (en) 2012-06-11 2015-10-06 Magnolia Broadband Inc. Implementing transmit RDN architectures in uplink MIMO systems
US9161267B2 (en) 2012-08-06 2015-10-13 Apple Inc. Performing neighboring cell searches while transitioning to connected-mode
WO2014055091A1 (en) * 2012-10-05 2014-04-10 Nokia Corporation Limiting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eestablishment
GB2506917B (en) 2012-10-12 2015-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establishment of a connection with a mobile terminal
US9343808B2 (en) 2013-02-08 2016-05-17 Magnotod Llc Multi-beam MIMO time division duplex base station using subset of radios
US8797969B1 (en) 2013-02-08 2014-08-05 Magnolia Broadband Inc. Implementing 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U MIMO) base station using single-user (SU) MIMO co-located base stations
US8989103B2 (en) 2013-02-13 2015-03-24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attenuation of preamble reception in co-located WI FI access points
US9155110B2 (en) 2013-03-27 2015-10-06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co-located and co-channel Wi-Fi access points
US20140226740A1 (en) 2013-02-13 2014-08-14 Magnolia Broadband Inc. Multi-beam co-channel wi-fi access point
US9100968B2 (en) 2013-05-09 2015-08-04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cancellation scheme with multi-beam
US9900772B2 (en) * 2013-05-09 2018-02-20 Intel IP Corporation Small data communications
US20160105927A1 (en) * 2013-05-15 2016-04-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a drx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9425882B2 (en) 2013-06-28 2016-08-23 Magnolia Broadband Inc. Wi-Fi radio distribution network stations and method of operating Wi-Fi RDN stations
US8995416B2 (en) 2013-07-10 2015-03-31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co-channel access of neighboring access points
US9125112B2 (en) * 2013-08-06 2015-09-01 Blackberry Limited Communicating radio resource configuration information
US9497781B2 (en) 2013-08-13 2016-11-15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co-located and co-channel Wi-Fi access points
US9060362B2 (en) 2013-09-12 2015-06-16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n occupied Wi-Fi channel by a client using a nulling scheme
US9088898B2 (en) * 2013-09-12 2015-07-21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cooperative scheduling for co-located access points
US9172454B2 (en) 2013-11-01 2015-10-27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ng a transceiver array
US8891598B1 (en) 2013-11-19 2014-11-18 Magnolia Broadband Inc. Transmitter and receiver calibration for obtaining the channel reciprocity for time division duplex MIMO systems
US8929322B1 (en) 2013-11-20 2015-01-06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side lobe suppression using controlled signal cancellation
US8942134B1 (en) 2013-11-20 2015-01-27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registration in a multi-beam system
US9294177B2 (en) 2013-11-26 2016-03-22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 and receive antenna patterns calibration for time division duplex (TDD) systems
US9014066B1 (en) 2013-11-26 2015-04-21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 and receive antenna patterns calibration for time division duplex (TDD) systems
US9042276B1 (en) 2013-12-05 2015-05-26 Magnolia Broadband Inc. Multiple co-located multi-user-MIMO access points
US9172446B2 (en) 2014-03-19 2015-10-27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parse explicit sounding by implicit data
US9100154B1 (en) 2014-03-19 2015-08-04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explicit AP-to-AP sounding in an 802.11 network
US9271176B2 (en) 2014-03-28 2016-02-23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backhaul based sounding feedback
US10412651B2 (en) 2014-08-28 2019-09-10 Apple Inc. User equipment triggered handover with long connected-discontinuous-reception cycle in connected mode
US10136387B2 (en) * 2014-10-31 2018-11-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event-triggered DRX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6341906A (zh) * 2015-07-08 2017-01-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网络连接处理方法及装置
US11272563B2 (en) * 2015-09-10 2022-03-0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Selective proprietary protocol support indication removal
CN106954270B (zh) * 2016-01-06 2021-12-28 夏普株式会社 无线资源控制流程监测方法和设备
US10264611B2 (en) * 2016-03-29 2019-04-16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esume procedure
US10912142B2 (en) 2016-04-01 2021-02-02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esume procedure
EP3563608A4 (en) * 2016-12-30 2020-07-01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NEW RADIO MOBILITY
WO2019088905A1 (en) * 2017-11-03 2019-05-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figuring measurement reporting for new radio
JP2023163321A (ja) * 2022-04-28 2023-1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車両、サーバ、車両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866A (ko) 2000-10-24 2002-05-03 구자홍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무선 링크 설정 방법
KR100547845B1 (ko) * 2002-02-07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서빙 고속 공통 제어 채널 셋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방법
EP1698084A4 (en) * 2003-12-01 2007-04-04 Interdigital Tech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UNAVAILABILITY OF BROADCAST / MULTICAST SERVICES
SE0402321D0 (sv) * 2004-09-23 2004-09-23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060063317A (ko) 2004-12-07 2006-06-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중첩된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조건설정 방법
US7885662B2 (en) 2005-08-30 2011-02-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lection of channel for radio resource control signaling in HSDPA
US8818321B2 (en) * 2006-06-20 2014-08-2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ply-controlled discontinuous reception
KR100957348B1 (ko) 2006-10-16 201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53151B1 (ko) * 2006-11-30 2010-04-19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연속패킷 연결성을 개선하는 방법 및장치
JP5342452B2 (ja) * 2006-12-20 2013-11-13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イベントトリガ型のdrxサイクルの調整のための方法及び配置
KR20080067293A (ko) * 2007-01-15 2008-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의역방향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600218B1 (ko) 2007-03-16 2016-03-04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링크 제어 파라미터의 재구성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US8060122B2 (en) * 2007-05-29 2011-11-15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ownlink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782171B2 (en) * 2007-07-20 2014-07-15 Voice Enabling Systems Technology Inc. Voice-enabled web portal system
ES2529195T3 (es) * 2007-08-03 2015-02-1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Información de nivel de sistema para la recepción discontinua, la reselección de células y RACH
EP2028890B1 (en) * 2007-08-12 2019-01-02 LG Electronics Inc. Handover method with link failure recovery,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for implementing such method
AU2009209066B2 (en) * 2008-02-01 2013-03-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cell reselection for WTRU operating in discontinuous recep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2913A (ko) * 2011-08-11 2014-04-07 인텔 코포레이션 무선 자원 제어(rrc) 상태 전환 중 시그널링 오버헤드 감소
WO2013168891A1 (ko) * 2012-05-11 2013-11-14 주식회사 팬택 패킷 도착 간격을 고려한 drx 재구성 방법 및 장치
KR20150134408A (ko) * 2013-03-29 2015-12-0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업링크 인증 자원 요구를 제어하는 방법, 사용자 기기, 및 기지국
KR20150020636A (ko) 2015-01-05 2015-02-26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무선 통신 시스템의 cgi 정보 보고를 위한 기지국 구동 방법
US10136414B2 (en) 2015-01-05 2018-11-20 Qucell Networks Co., Ltd. Operating method of ENB for CGI information repor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842B1 (ko) 2015-03-18
WO2010062055A3 (en) 2010-07-29
US20150103718A1 (en) 2015-04-16
US20100111039A1 (en) 2010-05-06
US10470123B2 (en) 2019-11-05
WO2010062055A2 (en) 2010-06-03
US8902813B2 (en) 201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84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678244B2 (en) Method for offloading traffic by means of wireless LAN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10512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bility for cell having small cell service are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5069546B2 (ja) 通信制御方法、基地局及びユーザ装置
US96031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on multiple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578564B2 (en) Method and apparatus at the physical and link layer for mobile communications
CN105940753B (zh) 移动通信系统中的随机接入方法和设备
KR101042829B1 (ko) 개인 네트워크 셀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링크 연결 장치 및 방법
JP6046138B2 (ja) デュアルモード端末の性能情報報告方法及び装置
KR100931459B1 (ko) 이중 전송 모드에서의 이동국을 위한 전용 및 공유 자원의핸드오버 방법
KR20180088337A (ko) 단말 획득 정보를 효율적으로 기지국에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21264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캐리어가 집적된 단말기의 라디오링크 실패 탐지 및 복구 방법
CN111132251B (zh) 通信系统中的终端及其方法
KR20150020177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상태 천이 시 이동 정보 보존 및 이종 셀 네트워크에서 효과적으로 재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
EP2815607A1 (en) Low overhead mobility in local area wireless network
US10091681B2 (en) Mobile terminal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 measurement
US9313699B2 (en) Method for handover from home cell to public ce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3000235A1 (zh) 一种终端切换的方法及装置
KR20160031171A (ko)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드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878308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캐리어가 집적된 단말기의 라디오링크 실패 탐지 및 복구 방법
KR20120114171A (ko) 이동통신시스템 반송파 집적화 동작에서의 단말기의 효율적인 랜덤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