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9280A - Biodegradable polymer film,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lex film,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age thereof - Google Patents

Biodegradable polymer film,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lex film,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ag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9280A
KR20100049280A KR1020080108382A KR20080108382A KR20100049280A KR 20100049280 A KR20100049280 A KR 20100049280A KR 1020080108382 A KR1020080108382 A KR 1020080108382A KR 20080108382 A KR20080108382 A KR 20080108382A KR 20100049280 A KR20100049280 A KR 20100049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self
biodegradable polymer
film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3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93716B1 (en
Inventor
윤희숙
김승언
현용택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08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716B1/en
Publication of KR20100049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2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7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3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5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involving carbon-to-carbon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87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6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16Biodegradabl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manufacturing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lex film is provided to quickly and simply manufacture and to control thickness and penetrability of the film. CONSTITU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biodegradable polymer film comprises: a step of dissolving biodegradable polymer in organic solvent to obtain polymer solution(1); a step of uniformly mixing salt particle in the polymer solution; a third step of dropping the polymer solution using a syringe to form a layer on the water; a step of folding the film using a glass bar to obtain a polymer tube; and a step of cutting the polymer tube to form polymer film.

Description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Biodegradable polymer film,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lex film,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age thereof}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lex self-supporting film,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e thereof {Biodegradable polymer film,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lex film, preparation method about and usage}

본 발명은 수면 전개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prepared using a sleep development method, a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membrane,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 use thereof.

본 발명은 수면 전개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prepared using a sleep development method, a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membrane,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 use thereof.

수면 전개법은 미량의 고분자 용액을 깨끗한 수면 위에 떨어뜨리면 유막처럼 수면 위에 점개됨과 동시에 겔화가 일어나 물에 불용성인 고체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수면 전개법을 사용한 고분자 박막의 제조와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은 하기에서 설명한다. The surface development method is a method of forming a solid thin film insoluble in water by dropping a small amount of polymer solution onto a clean surface and gelling on the surface like an oil film.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preparation of a polymer thin film using such a sleep development method is described below.

미국특허 제3,874,986호에서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테트라클로로그로판/테트라클로로에탄 혼합용매에 용해시켜 제조한 고분자 용액을 수면 위에 전개시켜 두께가 0.1 마이크로미터인 박막 제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U.S. Patent No. 3,874,986 discloses a thin film having a thickness of 0.1 micrometers by dispersing a polymer solution prepared by dissolving a polysiloxane / polycarbonate copolymer in a tetrachlorogropan / tetrachloroethane mixed solvent onto a water surface.

미국특허 제4,155,793호에서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폴리페닐렌옥사이드와 브랜드시켜 테트라클로로펜텐에 용해시킨 고분자 용액으로 두께 0.05 마이크로미터인 박막제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U.S. Patent No. 4,155,793 discloses the preparation of thin films having a thickness of 0.05 micrometers with a polymer solution of a polysiloxane / polycarbonate copolymer branded with polyphenylene oxide and dissolved in tetrachloropentene.

대한민국특허 제163176호에서는 올레핀 중합체, 셀룰로오스유도체,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액정중합체, 상기 중합체들의 공중합체들을 용매에 용해한 고분자 용액을 수면 상에서 전개하여 제조되는, 액정표시장치로 사용되는 위상판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No. 163176 discloses an olefin polymer, a cellulose derivative, an acrylate polymer, a liquid crystal polymer, and a phase plate us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developing a polymer solution obtained by dissolving a copolymer of the polymers in a solvent on the water surface. have.

대한민국특허 제056018호에서는 단량체 a-옥타데실 아크릴산, 단량체 w-트리코센산을 클로로포름에 용해한 고분자 용액을 수면 전개법을 사용하여 우수한 강도 및 내열성을 갖는 고분자 초박막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고분자 초박막은 유기전도체, 포토크로믹소자, 바이오센서, 인공각막 등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Korean Patent No. 056018 discloses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ymer ultrathin film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using a surface development method of a polymer solution in which monomer a-octadecyl acrylic acid and monomer w-tricosenoic acid are dissolved in chloroform. The polymer ultra thin film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organic conductors, photochromic devices, biosensors, artificial corneas, and the like.

미국특허 제5,342,432호에서는 친수기 당 8 내지 18 개, 특별하게는 8 내지 16 개의 탄소 분자를 갖는 한 개 내지 두 개의 알킬 체인을 갖는 양친매성 분자를 용매에 용해한 고분자 용액을 수면 전개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복합막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U.S. Patent No. 5,342,432 describes the preparation of a polymer solution using a surface expansion method in which a polymer solution in which an amphiphilic molecule having one to two alkyl chains having 8 to 18, especially 8 to 16 carbon molecules per hydrophilic group is dissolved in a solvent. A composite membrane is disclosed.

미국특허 제5,135,678호에서는 양친매성 고분자 물질(분자량 2,000 ~ 300,000)을 용매에 용해한 고분자 용액을 수면 전개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배향막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U.S. Patent No. 5,135,678 discloses an alignment film that can be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a polymer solution obtained by dissolving an amphiphilic polymer material (molecular weight 2,000 to 300,000) in a solvent is prepared by using a surface expansion method.

미국특허 제5,067,797호에서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의 다양한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한 유기 고분자 용액을 수면 전개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액정 디스플레이 셀에 사용될 수 있는 배향막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U.S. Patent No. 5,067,797 discloses an alignment film that can be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cell in which an organic polymer solution prepared by dissolving various polymers such as polyimide-based polymers, polyesters, polyamides, and the like in an organic solvent is produced using a surface expansion method. have.

일본공개특허 제2006-231100호에서는 탄화 수소, 함산소 유기 용매, 할로겐화 탄화수소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고분자 용액을 수면 전개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광전자공학 각종 기기에 사용될 수 있는 박막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6-231100 discloses a thin film that can be used in various optoelectronic devices in which a polymer solution prepared by using a hydrocarbon, an oxygen-containing organic solvent, a halogenated hydrocarbon, or the like is produced using a surface development method. have.

일본공개특허 평7-68214호에서는 양친매성 고분자층을 미리 액면상에서 광중합하여 폴리머화하고, 상기 분자층에 대해 기판을 수직으로 상승시켜 기판 상에 고분자층을 부착하고, 광조사하고, 광중합한 유기 박막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68214, an amphiphilic polymer layer is polymerized by photopolymerization on a liquid surface in advance, and the substrate is vertically raised with respect to the molecular layer to attach a polymer layer on the substrate, and irradiates and photopolymerizes the organic lay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thin film is disclosed.

일본공개특허 평6-246143호에서는 폴리 디페닐 아세틸렌 고분자 용액을 수면 전개법을 사용하여 다공질 지지막에 한층 이상 적층시키고, 상기 지지막에 실록산계 고분자로 구성된 고분자 용액을 한층 이상 적층시켜 제조한 기체분리 복합막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246143, a polydiphenyl acetylene polymer solution is prepared by laminating one or more layers on a porous support membrane using a surface expansion method, and by laminating one or more layers of a polymer solution composed of siloxane polymer on the support membrane. A method for producing a separation composite membrane is disclosed.

본 발명자들은 수면 전개법을 사용하여 액정표시장치 등에 사용되는 박막을 제조하는 종래기술들과는 달리, 생분해성 고분자를 각기 다른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수면 상에 전개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및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을 제조하는 경우, 매우 빠르고 단순한 공정으로 나노두께의 자립막을 제조할 수 있고, 상기 유기 용매의 물과의 유전상수 차 이를 이용하여 자립막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고, 생분해성 고분자 용액에 나노다공성 생체활성 세라믹을 혼합하여 유무기 복합체 자립막을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이들의 생체활성을 조절할 수 있으며, 나노다공성 생체활성 세라믹에 약물을 흡착시켜 유무기 복합체 자립막을 제조함으로써 약물방출기능을 가지는 자립막으로도 활용이 가능하고, 염 혼합물을 고분자 용액 혹은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용액에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 자립막에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여 자립막의 투과성을 조절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The present inventors, unlike the prior art of manufacturing a thin film used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urface development method, to prepare a polymer solution by dissolv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in different organic solvents, and then spread it on the surface of the biodegradable In the case of preparing th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and the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a nano-thick self-supporting film can be manufactured by a very fast and simple process, and the thickness of the self-supporting film can be controlled by using a dielectric constant difference between the organic solvent and water.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self-supporting membrane can be prepared by mixing the nanoporous bioactive ceramics with the biodegradable polymer solution, and can also control their bioactivity, and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self-supporting membrane can be prepared by adsorbing the drug to the nanoporous bioactive ceramics. It can be used as a self-supporting film having a drug release function, salt By uniformly dispersing the mixture in a polymer solution or a polymer-ceramic composite solution, it was found that micropores were formed in the self-supporting membrane to control the permeability of the self-supporting membrane,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및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를 적층한 양면의 생체에 대한 반응성이 다른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치아 또는 골 형성 유도용 차폐막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and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having different reactivity with respect to a living body having both surfaces laminated with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to induce tooth or bone formation using the same It is to provide a shielding film f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 유기 용매, 나노다공성 세라믹 입자, 염 입자 및 이들의 혼합물을 혼합한 고분자 용액을 수면 상에 전개시켜 제조한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차폐막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biodegradable polymer prepared by developing a polymer solution mixed with a biodegradable polymer, an organic solvent, nanoporous ceramic particles, salt particles and a mixture thereof on the water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shielding film prepa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면 전개법을 사용하여 매우 빠르고, 단순한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및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두께 및 투과성을 조절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및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자립막은 생체(차폐막, 투석필터, 화상부위 재생/보호막), 환경, 전자 등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y fast and simple process using the sleep development method, the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and the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which can control the thickness and permeability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and the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membrane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The self-supporting film manufactured using the manufacturing method may be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 fields such as a living body (shielding film, dialysis filter, image regeneration / protective film), environment, and electrons.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생분해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Dissolv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in an organic solvent to prepare a polymer solution (step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에 염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혼합 하는 단계(단계 2);Mixing the salt particles to be uniformly dispersed in the polymer solution prepared in step 1 (step 2);

상기 단계 2에서 혼합된 고분자 용액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증류수 상에 적하시켜 수면 위에 막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 Dropping the polymer solution mixed in step 2 onto distilled water using a syringe to form a film on the water surface (step 3);

상기 단계 3에서 형성된 막을 유리 막대를 사용하여 말아 감음으로써 고분자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4); 및Preparing a polymer tube by rolling up the membrane formed in step 3 using a glass rod (step 4); And

상기 단계 4에서의 고분자 튜브를 절제하여 고분자 자립막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5)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comprising the step (step 5) of forming a polymer self-supporting film by cutting the polymer tube in step 4.

또한, 본 발명은,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생분해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Dissolv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in an organic solvent to prepare a polymer solution (step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에 나노다공성 세라믹 입자, 염 입자 및 이들의 혼합물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혼합하는 단계(단계 2);Mixing the nanoporous ceramic particles, the salt particles, and a mixture thereof to the polymer solution prepared in step 1 so as to be uniformly dispersed (step 2);

상기 단계 2에서 혼합된 고분자 용액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증류수 상에 적하시켜 수면 위에 막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 Dropping the polymer solution mixed in step 2 onto distilled water using a syringe to form a film on the water surface (step 3);

상기 단계 3에서 형성된 막을 유리 막대를 사용하여 말아 감음으로써 고분자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4); 및Preparing a polymer tube by rolling up the membrane formed in step 3 using a glass rod (step 4); And

상기 단계 4에서의 고분자 튜브를 절제하여 고분자 자립막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5)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membrane comprising a step (step 5) of cutting the polymer tube in step 4 to form a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도 1은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및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and a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및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 전개법을 사용하며, 제조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및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투과도, 생체활성, 조성, 두께 등을 조절할 수 있다.The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and the method of preparing a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using a sleep development method, as shown in FIG. 1,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and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Permeability, bioactivity, composition, thickness and the like can be adjusted.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및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and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tep by step.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및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생분해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유기 용매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의 함량의 범위 내에서 유기 용매에 용해되는 고분자의 농도를 조절하여 생성되는 고분자 자립막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preparing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and a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membrane, step 1 is a step of preparing a polymer solution by dissolv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in an organic solvent. The biodegradable polymer is based on an organic solvent It is preferably included in 1 to 20% by weight. The thickness of th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produced by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dissolved in the organic solvent within the range of the content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can be adjusted.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카프로락톤(Poly ε-caprolactone; PCL), 폴리 락타이드 카프로락톤(Poly lactide-co-caprolactone; PLCL),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락트산-글로콜산 공중합체(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폴리아미노산(Poly amino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단독 및 이들의 복합체 등의 합성 고분자; 셀룰로오스, 리그닌, 전분, 알긴산 등의 생분해성을 가지는 천연 고분자; 및 바이오 폴리에스테르, 바이오 셀룰로오스, 다당류, 폴리아민산 등의 생물 생산물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 examples of biodegradable polymers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oly ε-caprolactone (PCL), poly lactide-co-caprolactone (PLCL), polylactic acid (Poly (lactic acid); PLA), polylactic-co-glycolic acid (Poly (lactic-co-glycolic acid); PLGA), polyamino acid, polyglycolic acid (PG), aliphatic polyester alone and Synthetic polymers such as composites thereof; Natural polymers having biodegradability such as cellulose, lignin, starch and alginic acid; And biological products such as bio polyesters, bio celluloses, polysaccharides, polyamine acids, and the like,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대표적으로 사용한 PCL은 양호한 기계적 강도와 생체적합성 등으로 인해 여러 가지 생체재료분야에서 이용이 가능하여 조직공학적 응용 등을 위하여 최근 2차원 박막형으로의 형상제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PCL 제조법에는 용매전개법, 스핀캐스팅법, 2롤 밀링법, 및 2축 연신필름법 등이 있으나 이들 모두 막두께를 1 마이크로미터 이하로 제어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수면 전개법에 의한 PCL 자립막 제조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PCL 자립막 두께 제어의 한계를 극복한 1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초박막 (<0.1마이크로미터)의 제조가 가능하다. 자립막의 두께는 수면 위 고분자 용액의 전개특성에 의해 결정되며,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를 용해시키는 용매의 수면 전개특성을 제어함으로 자립막의 두께제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기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 즉,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아세톤 등이 있다. 상기 유기 용매들은 유전상수 및 물에의 용해도가 각기 다르며, 사용하고자 하는 유기 용매들의 유전상수를 고려하여 제조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및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 용된 유기용매와 증류수 간의 유전상수 차가 클수록 막의 전개성이 우수하며 엷은 막의 제조가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즉, 유전상수는 전개도를 좌우하는 점도 및 표면장력과 관계가 있으며, 유전상수가 작을수록 점도는 낮고, 확산계수는 크며, 표면장력이 작아짐으로 전개도는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유전상수를 갖는 즉, 극성물질인 물에 대해 낮은 유전상수를 가지는 즉, 비극성용매는 우수한 수면 위 고분자 용액 전개성을 나타내며, 유전상수가 이들보다 높으며 극성용매의 경우는 낮은 전개성을 나타낸다. In addition, PCL, which is typically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biomaterials fields due to its good mechanical strength and biocompatibility. It is actively underway. Conventional PCL production methods include a solvent development method, a spin casting method, a two roll milling method, and a biaxially oriented film method, but all of them have difficulty in controlling the film thickness to 1 micrometer or less. In the case of using the PCL self-supporting film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urface develop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 ultra-thin film (<0.1 micrometer) of 1 micrometer or less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 of PCL self-supporting film thickness control in a very simple manner. The thickness of the self-supporting film is determined by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the polymer solution on the water surfac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ckness control of the self-supporting film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surfac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the solvent in which the polymer is dissolved. Specific examples of the organic solvent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olvents capable of dissolving biodegradable polymers, such as chloroform, ethyl acetate, dichloromethane, acetone, and the like. The organic solvents have different dielectric constants and solubility in water, and the thicknesses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and the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membran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organic solvents to be used may be adjusted. More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greater the dielectric constant difference between the organic solvent used and the distilled water, the more excellent the development of the membrane and the thin film production was possible. That is, the dielectric constant is related to the viscosity and surface tension that influence the development degree, and the smaller the dielectric constant, the lower the viscosity, the larger the diffusion coefficient, and the smaller the surface tension. Thus, nonpolar solvents have high dielectric constants, i.e. low dielectric constants for water, which is a polar substance. .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에 염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염 입자는 염화나트륨, 암모늄바이카보네이트, 소듐바이카보네이트, 사카린 등을 입자화하여 상기 고분자 용액에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염 입자는 상기 고분자 용액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 입자의 함량 범위 내에서 고분자 용액에 혼합되는 염 입자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투과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preparing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step 2 is a step of mixing the salt particles to be uniformly dispersed in the polymer solution prepared in step 1. The salt particles are Sodium chloride, ammonium bicarbonate, sodium bicarbonate, saccharin and the like can be granulated and mixed in the polymer solution. remind Salt particles are preferably contained in 10 to 60% by weight based on the polymer solution. Permeability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content of salt particles mixed in the polymer solution within the content range of the salt particles.

또한,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에 나노다공성 세라믹 입자, 염 입자 및 이들의 혼합물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혼합하는 단계이다.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preparing a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membrane, step 2 is a step of mixing the nanoporous ceramic particles, salt particles, and mixtures thereof uniformly in the polymer solution prepared in step 1 above.

상기 나노다공성 세라믹 입자로는 나노다공성 생체활성유리, 저결정성 아파 타이트, 트리칼슘포스페이트(tricalcium phosphate; TCP) 등 칼슘과 인을 포함하여 뼈와 유사성분인 아파타이트의 생성을 유도하며 지지체의 생체내 분해를 유도하는 세라믹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염 입자는 염화나트륨, 암모늄바이카보네이트, 소듐바이카보네이트, 사카린 등을 입자화하여 상기 고분자 용액에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나노다공성 세라믹, 염 입자 및 이들의 혼합물은 상기 고분자 용액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용액에 혼합되는 나노다공성 세라믹 입자, 염 입자 및 이들의 혼합물의 함량을 상기 범위에서 조절함으로써 제조되는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투과도, 조성, 생체활성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용액에 혼합되는 나노다공성 세라믹 입자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제조되는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생체활성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고분자 용액에 혼합되는 염 입자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투과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분자 용액에 혼합되는 나노다공성 세라믹 입자, 염 입자 및 이들의 혼합물의 함량을 조절하여 투과도, 조성, 생체활성을 조절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용이한 것이다.The nanoporous ceramic particles include nanoporous bioactive glass, Low-crystalline apatite, tricalcium phosphate (TCP), such as calcium and phosphorus, including calcium and phosphorus to induce the production of apatite, a bone-like component and may be used a ceramic that induces in vivo degradation of the support, the salt particles Is Sodium chloride, ammonium bicarbonate, sodium bicarbonate, saccharin and the like can be granulated and mixed in the polymer solution. remind Nanoporous ceramics, salt particles and mixtures thereof are preferably contained in 10 to 60% by weight based on the polymer solution. Mixed with the polymer solution The permeability, composition, bioactivity, etc. of the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membrane prepared by adjusting the content of the nanoporous ceramic particles, the salt particles, and mixtures thereof in the above range can be adjusted. More specifically, to be mixed in the polymer solution The biodegradability of the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membrane prepared by controlling the content of the nanoporous ceramic particles can be controlled, and the permeability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content of salt particles mixed in the polymer solution. These are mixed in the polymer solution It is easy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control the permeability, composition, and bioactivity by adjusting the content of nanoporous ceramic particles, salt particles, and mixtures thereof.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분해성 고분자 용액에 나노다공성 생체활성유리 분말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는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에 높은 생체활성을 부여할 수 있고 더불어 나노기공에 진통제, 소염제, 항염제, 항암제 및 골형성인자 등을 흡착 및 방출시킴으로 약물방출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염 입자를 혼합함으로써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을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구조로 형성하여 자립막내로의 물질의 투과도를 조절하여 투과성 및 차폐성 등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분자 용액에 혼합되는 나노다공성 세라믹 입자, 염 입자, 이들의 혼합물들은 응용하고자 하는 분야에 따라 그 종류 및 함량이 조절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mixing the nanoporous bioactive glass powder with the biodegradable polymer solution, high bioactivity can be imparted to the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membrane to be prepared. And by adsorbing and releasing a bone formation factor, etc., the drug release function can be imparted, and by mixing salt particles as described above, the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is formed into a micro-sized pore structure to control the permeability of the material into the self-supporting membrane. Functions such as permeability and shielding can be adjusted. As described, the nanoporous ceramic particles, salt particles, and mixtures thereof mixed in the polymer solution may be adjusted in kind and content depending on the field of application.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및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혼합된 고분자 용액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증류수 상에 적하시켜 수면 위에 막을 형성하는 단계이다(도 1 참조). 상기 고분자 용액을 증류수 위 1 내지 10 mm 상에서 적하시켜 수면 상에 전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용액을 증류수 위 10 mm 초과 높이에서 적하시키는 경우 수면 상에 막이 형성되기 어려우며, 고분자 겔 덩어리 형태로 증류수 바닥에 침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method for preparing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and a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step 3 is a step of dropping the polymer solution mixed in step 2 onto distilled water using a syringe to form a film on the water surface (Fig. 1). The polymer solution on distilled water It is preferable to drip on 1-10 mm and to develop on water surface. When the polymer solution is dropped at a height greater than 10 mm above the distilled water, it is difficult to form a film on the water surfac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lymer gel may be stagnated at the bottom of the distilled water in the form of agglomerates.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및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4는 상기 단계 3에서 형성된 막을 유리 막대를 사용하여 말아 감음으로써 고분자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 제조되는 고분자 튜브의 두께는 상기 단계 3에서 형성된 막을 유리 막대에 말아 감는 횟수 및 형성된 막의 두께를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고, 상기 고분자 튜브의 직경은 사용하는 유리 막대의 직경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튜브를 제조하는 방법 이외에 막을 막과 분리가능한 기판 혹은 망을 이용하여 천천히 수면 위에서 건져냄으로써 막을 회수할 수 있으며 적층횟수에 따라 단층막에서 복층막으로 제어하여 회수 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and a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step 4 is a step of preparing a polymer tube by rolling the film formed in step 3 using a glass rod. The thickness of the polymer tube manufactured in this step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imes the film formed in step 3 is rolled on the glass rod and the thickness of the formed film, and the diameter of the polymer tub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glass rod to be used. Can be.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polymer tube, the film can be recovered by slowly passing the film on the water surface using a substrate or a network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film, and can be recovered by controlling from a single layer film to a multilayer film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minations.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및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5는 상기 단계 4에서의 고분자 튜브를 절제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및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튜브를 절제하여 원하는 크기의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및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을 얻을 수 있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and a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step 5 is a step of cutting the polymer tube in the step 4 to form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and a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to be. The tube thus prepared may be excised to obtain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and a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membrane having a desired size.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및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및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은 나노크기의 기공구조 및/또는 생체활성을 가짐으로써 생체에 적용하여 약물방출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생체 외의 환경, 전자 등의 분야에도 응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and a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The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and th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nano-sized pore structure and / or bioactivity, which can be used for drug release by applying to a living body, and also in fields such as in vitro environment and electrons. Can be applied.

또한, 본 발명은 양면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backsid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n both sides.

상기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은,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back surface self-supporting film,

생분해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A);Dissolv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in an organic solvent to prepare a polymer solution (step A);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증류수 상에 적하 시켜 수면 위에 막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B);Dropping the polymer solution prepared in step A on distilled water using a syringe to form a film on the water surface (step B);

상기 단계 B에서 제조된 고분자 자립막을 유리막대를 사용하여 말아 감으로써 고분자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C); Preparing a polymer tube by rolling up th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prepared in step B using a glass rod (step C);

생분해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한 고분자 용액에 나노다공성 세라믹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혼합하는 단계(단계 D);Mix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in a polymer solution prepared by dissolving it in an organic solvent to uniformly disperse the nanoporous ceramic (step D);

상기 단계 D에서 혼합된 나노다공성 세라믹-고분자 용액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증류수 상에 적하시켜 나노다공성 세라믹-고분자 복합체 자립막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E);Dropping the nanoporous ceramic-polymer solution mixed in step D onto distilled water using a syringe to form a nanoporous ceramic-polymer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step E);

상기 단계 E에서 형성된 나노다공성 세라믹-고분자 복합체 자립막을 상기 단계 C에서 제조된 고분자 튜브 위에 말아 감음으로써 한 면에는 고분자 단독으로, 반대면에는 나노다공성세라믹-고분자 복합체로 구성되어진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F); 및Preparing a tube composed of a polymer alone on one side and a nanoporous ceramic-polymer composite on the opposite side by rolling the nanoporous ceramic-polymer composite self-supporting membrane formed in step E on the polymer tube prepared in step C. Step F); And

상기 단계 F에서의 고분자 튜브를 절제하여 양면의 성분이 상이한 고분자 / 나노다공성 세라믹-고분자 복합체 자립막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G)를 포함한다.Cutting the polymer tube in step F to form a polymer / nanoporous ceramic-polymer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having different components on both sides (step G).

상기 양면이 상이한 조성으로 구성된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은 하기에서 단계별로 설명한다.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cksid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composed of different compositions on both sides will be described step by step.

상기 단계 A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A는 앞서 설명한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의 단계 1과 대응되는 단계이고, 이와 동일하게 수행된다.Step A is a step of preparing a polymer solution by dissolv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in an organic solvent. Step A is a step corresponding to step 1 of the method for preparing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described above, and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상기 단계 B는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증류수 상에 적하시켜 수면 위에 막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B는 앞서 설명한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의 단계 3과 대응되는 단계이고, 이와 동일하게 수행된다.Step B is a step of dropping the polymer solution prepared in step A on distilled water using a syringe to form a film on the water surface. Step B is a step corresponding to step 3 of the method for preparing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described above, and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상기 단계 C는 상기 단계 B에서 전개된 자립막을 적정 굵기의 유리막대 등을 이용하여 튜브형태로 막을 제조하여 회수하는 단계이며, 튜브 제작이 아닌 자립막의 회수를 위해서는 유리막대에 감아 회수하는 방법에 한정하지 않고 분리가능한 기판이나 망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step C is a step of recovering the self-supporting film developed in the step B by using a glass rod of a suitable thickness, etc. in the form of a tube, and recovering the film. It is possible to use a detachable substrate, a net, or the like.

상기 단계 D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한 고분자 용액에 나노다공성 세라믹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D에서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는 응용하고자 하는 분야에 따라 단계 A에서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와 동일한 고분자 또는 다른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In the step D, the nanoporous ceramic is uniformly dispersed in the polymer solution prepared by dissolv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in an organic solvent. The biodegradable polymer used in step D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polymers as the biodegradable polymer used in step A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to be applied.

상기 단계 E는 상기 단계 D에서 혼합된 나노다공성 세라믹-고분자 용액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증류수 상에 적하시켜 수면 위에 복합체 막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D에서 혼합된 나노다공성 세라믹-고분자 용액은 수면 위 1 내지 10 mm 지점에서 적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tep E is a step of dropping the nanoporous ceramic-polymer solution mixed in Step D onto distilled water using a syringe to form a composite membrane on the water surface. The nanoporous ceramic-polymer solution mixed in the step D is preferably dropped at a point of 1 to 10 mm above the water surface.

상기 단계 F는 상기 단계 E에서 전개된 나노다공성 세라믹-고분자 복합체 자립막을 상기 단계 C에서 회수된 고분자 자립막으로 형성된 튜브 혹은 막 위에 겹쳐서 회수하는 단계로 성분이 서로 다른 자립막을 각각 양면에 혹은 교대로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e step F, the nanoporous ceramic-polymer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developed in the step E is superimposed on a tube or a film formed of th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recovered in the step C. It can be used by laminating.

상기 단계 G는 상기 단계 F에서 제조된 튜브를 절제하여 튜브를 자립막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이다. The step G is a step of forming the tube into a self-supporting film shape by cutting the tube manufactured in the step F.

상기 단계 C 및 단계 F 내지 G는 각각 앞서 설명한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의 단계 4 및 단계 5와 각각 대응되는 단계이고, 이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Steps C and F to G are steps corresponding to steps 4 and 5 of the method for preparing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respectively, and a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또한, 제조되는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양면에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단계 A 및 단계 D에서의 고분자 용액에 염화나트륨, 암모늄바이카보네이트, 소듐바이카보네이트, 사카린 등의 염 입자를 추가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In addition, sodium chloride, ammonium bicarbonate, sodium bicarbonate, saccharin in the polymer solution in the step A and step D to form a micro-sized pore structure on both sides of the prepared self-supporting polymer self-supporting film Salt particles, such as these, can be mixed further.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cksid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에 따른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양면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내부는 생체활성이 낮은 PCL 고분자 자립막으로만 형성되고,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외부는 나노다공성 생체활성유리가 균일하게 분산된 PCL 고분자 자립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내부는 PCL-NaCl 고분자 자립막으로 형성되고,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외부는 나노다공성 생체활성유리가 분산된 PCL-NaCl 고분자 자립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NaCl과 같은 염은 자립막 제조 후 세척 등에 의하여 침출시켜 사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은, 차폐막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이, 한 면에는 치아나 골 생성을 유도하기 위한 생체활성을 부여되고, 다른 면에는 그 형성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제조될 수 있다. Both sides of the backsid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More specific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of the backside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is formed only of the PCL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with low bioactivity, and the outside of the backside self-supporting membrane is a nanoporous bioactive glass uniformly dispersed It may be formed of a PCL polymer self-supporting film.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of the backsid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is formed of a PCL-NaCl polymer self-supporting film, and the outside of the backing polymer self-supporting film is formed of a PCL-NaCl polymer self-supporting film in which nanoporous bioactive glass is dispersed. Salts such as NaCl may be used by leaching after washing the self-supporting membrane. As described above, the backsid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to impart bioactivity for inducing teeth or bone formation on one side and to suppress its formation on the other side, as required by the shielding film.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차폐막을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hielding film manufactured using the backsid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to illustrate the invention, bu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 1> PCL를 사용한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Example 1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Using PCL

생분해성 고분자 폴리카프로락톤 (Poly ε-caprolactone; PCL) 1 g을 비극성 용매인 클로로포름 10 ml에 균일하게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고분자 용액을 주사기에 옮겨 주사바늘을 통하여 넓은 샤알레에 담겨진 증류수 위 약 5 mm 지점에서 한 방울 떨어뜨렸다. 그 결과, 고분자 용액 적하와 동시에 매우 엷은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이 형성되었고, 상기 형성된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이때 형성된 막의 두께는 약 80-100 nm였으며, 막의 넓이는 6-10 cm 가량이었다. 막의 두께는 고분자의 농도 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였으며 용액의 적하 거리가 수면에서 지나치게 많이 떨어진 경우 막의 형성은 어려우며 고분자 겔 덩어리 형태로 증류수 바닥으로 침체되었다.A polymer solution was prepared by uniformly dissolving 1 g of biodegradable polymer polycaprolactone (PCL) in 10 ml of chloroform, which is a nonpolar solvent. The prepared polymer solution was transferred to a syringe and dropped one drop at a point about 5 mm above the distilled water contained in the wide chaale through a needle. As a result, a very thin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was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dropping of the polymer solution,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photograph of the formed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was shown in FIG. 2. The thickness of the formed film was about 80-100 nm and the width of the film was about 6-10 cm. The thickness of the membrane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and if the dropping distance of the solution is too far from the surface, the formation of the membrane is difficult and stagnated at the bottom of the distilled water in the form of a polymer gel mass.

<실시예 2> PLCL를 사용한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Example 2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Using PLCL

생분해성 고분자 폴리 락타이드 카프로락톤 공중합체(Poly lactide-co-caprolactone; PLCL) 1 g을 비극성 용매인 클로로포름 10 ml에 균일하게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고분자 용액을 주사기에 옮겨 주사바늘을 통하여 넓은 샤알레에 담겨진 증류수 위 약 5 mm 지점에서 한 방울 떨어뜨렸다. 그 결과, 고분자 용액 적하와 동시에 매우 엷은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이 형성되었고, 상기 형성된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SEM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이때 형성된 막의 두께는 약 100 nm였으며, 막의 넓이는 5-10 cm 가량이었다. 상기 자립막은 PLCL 고분자의 특성에 따라 우수한 탄성을 가짐이 확인되었다.A polymer solution was prepared by uniformly dissolving 1 g of a biodegradable polymer poly lactide-co-caprolactone (PLCL) in 10 ml of chloroform, which is a nonpolar solvent. The prepared polymer solution was transferred to a syringe and dropped one drop at a point about 5 mm above the distilled water contained in the wide chaale through a needle. As a result, a very thin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was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dropping of the polymer solution, and the SEM photograph of the formed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is shown in FIG. 3. The thickness of the formed film was about 100 nm, and the width of the film was about 5-10 cm. The self-supporting film was confirmed to have excellent elasticity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PLCL polymer.

<실시예 3> PCL를 사용한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제조Example 3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Using PCL

생분해성 고분자 PCL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킨 후 나노크기의 기공을 가지는 나노다공성 세라믹 입자, 특히 생체활성이 우수한 나노다공성 생체활성유리의 나노분말(대한민국특허 10-0831348)을 제조하여 상기 PCL에 대하여 40 중량% 함량으로 고분자 용액에 혼합하였다. 상기 고분자 용액을 주사기를 이용하여 샤알레에 담긴 물의 수면 위에 적하하였고, 그 결과 수면 위에 얇은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이 형성되었다. 상기 형성된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SEM 사진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의 (a)는 형성된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측단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고, 도 4의 (b)는 형성된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표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노다공성 세라믹을 혼합함으로 인하여 나노다공성 세라믹을 혼합하지 않은 막보다 막의 두께(약 500-1000 nm)가 증가하였으며, 균일하게 세라믹이 분포된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After dissolv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PCL in chloroform, nanoporous ceramic particles having nano-sized pores, in particular, nanopowder of nanoporous bioactive glass having excellent bioactivity (Korea Patent 10-0831348) were prepared and weighed 40 wt. It was mixed in the polymer solution in% content. The polymer solution was added dropwise onto the water surface of the Shaale using a syringe. As a result, a thin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was formed on the water surface. The SEM imag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formed above is shown in FIG. 4. Figure 4 (a) is a SEM photograph of the side cross-section of the formed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Figure 4 (b) is a SEM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the formed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As shown in FIG. 4, the thickness of the film (about 500-1000 nm) was increased by mixing the nanoporous ceramic, and the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having a uniform ceramic distribution was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formed.

<실시예 4> PCL를 사용한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Example 4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Using PCL

생분해성 고분자 PCL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킨 고분자 용액에 40 중량% 함량의 염화나트륨 입자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을 형성하였고, 이후 물로 세척하였다. 물로 세척한 후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구조가 형성된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SEM 사진을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 입자의 크기가 반영된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구조가 형성된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이 형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wa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40% by weight of sodium chloride particles were mixed in a polymer solution in which biodegradable polymer PCL was dissolved in chloroform, and then washed with water. The SEM imag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ic self-supporting membrane having a micro-sized pore structure after washing with water is shown in FIG. 5. As shown in FIG. 5, it was confirmed that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having a micro-sized pore structure reflecting the size of salt particles may be formed.

<실시예 5> PCL를 사용한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제조Example 5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Using PCL

생분해성 고분자 PCL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킨 고분자 용액에 나노다공성 생체활성유리의 나노분말 및 염화나트륨 입자를 40 중량% 함량으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을 형성하였고, 이후 물로 세척하였다. 물로 세척한 후,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구조가 형성 된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SEM 사진을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분자, 나노다공성 세라믹 입자, 염 입자를 모두 혼합하여 제조된 고분자 용액을 수면 전개법에 적용하는 경우,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The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membran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nanopowder of nanoporous bioactive glass and sodium chloride particles were mixed in a polymer solution in which biodegradable polymer PCL was dissolved in chloroform. Formed, and then washed with water. After washing with water, the SEM imag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membrane in which the micro-sized pore structure was formed is shown in FIG. 6. As shown in FIG. 6, when the polymer solution prepared by mixing all of the polymer, the nanoporous ceramic particles, and the salt particles was applied to the surface development method, the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was formed.

<실시예 6> PCL를 사용한 생분해성 고분자 튜브의 제조Example 6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Polymer Tube Using PCL

생분해성 고분자 PCL 1 g을 비극성용매인 클로로포름 10 ml에 균일하게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고분자 용액에 염화나트륨 입자를 PCL에 대하여 40 중량% 함량으로 혼합한 후, 상기 고분자 용액을 주사기에 옮겨 주사바늘을 통하여 넓은 샤알레에 담겨진 증류수 위 약 5 mm 지점에서 한 방울 떨어뜨렸다. 그 결과 고분자 용액 적하와 동시에 매우 엷은 투명한 막이 수면 위에 형성되었다. 형성된 막을 도 1에 나타난 방법으로 유리 막대에 말아 감아 고분자 튜브를 제조하였고, 제조된 고분자 튜브에 대하여 사진을 촬영하여 도 7에 나타내었고, 상기 고분자 튜브를 제조한 후 세척에 의하여 염을 제거한 고분자 튜브에 대하여 사진을 촬영하여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을 튜브 형태로 회수할 수 있다.A polymer solution was prepared by uniformly dissolving 1 g of biodegradable polymer PCL in 10 ml of chloroform, which is a nonpolar solvent, and adding sodium chloride particles to the prepared polymer solution. After mixing by weight percent content, the polymer solution was transferred to a syringe and dropped by one drop at about 5 mm above the distilled water contained in the wide chaale through a needle. As a result, a very thin transparent film was formed on the water surface simultaneously with the dropping of the polymer solution. The formed film was rolled up on a glass rod in the manner shown in FIG. 1 to prepare a polymer tube, and a photograph was taken of the prepared polymer tube and shown in FIG. 7. Photographs were taken for FIG. 8. As illustrated in FIGS. 7 and 8, the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covered in the form of a tube.

<실시예 7>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Example 7 Preparation of Backside Polymer Self-Containing Film

생분해성 고분자 PCL 1 g을 비극성용매인 클로로포름 10 ml에 균일하게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고, 상기 고분자 용액을 주사기에 옮겨 주사바늘을 통 하여 넓은 샤알레에 담겨진 증류수 위 약 5 mm 지점에서 한 방울 떨어뜨렸고, 그 결과 매우 엷은 투명한 막이 수면 위에 형성되었다. 형성된 고분자 자립막을 유리막대에 말아 회수한다. 이후 생분해성 고분자 PCL 1 g을 비극성용매인 클로로포름 10 ml에 균일하게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고분자 용액에 생체활성유리 분말을 PCL에 대하여 50 중량% 함량으로 혼합한 후, 상기 고분자 용액을 주사기에 옮겨 주사바늘을 통하여 수면 위에 한 방울 떨어뜨려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상기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을 앞서 고분자막을 회수한 유리막대로 겹쳐 회수한다. 제조된 고분자 튜브를 절제하여 얻어진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양면에 대하여 사진을 촬영하여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된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내부면은 PCL만으로 형성되었고, 제조된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외부면은 생체활성유리-PCL 복합체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A polymer solution was prepared by uniformly dissolving 1 g of biodegradable polymer PCL in 10 ml of non-polar solvent, chloroform, and transferring the polymer solution into a syringe at about 5 mm above distilled water in a wide range of chalets through a needle. Dropped, and a very thin transparent 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e formed polymer self-supporting film is rolled up to a glass rod and recovered. Thereafter, 1 g of a biodegradable polymer PCL was uniformly dissolved in 10 ml of chloroform, which is a nonpolar solvent, to prepare a polymer solution. The bioactive glass powder was mixed with the prepared polymer solution in a content of 50 wt% based on PCL, and then the polymer solution. Was transferred to a syringe and dropped one drop onto the water surface through a needle to form a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The formed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is recovered by overlapping the glass rod from which the polymer film was previously collected. Photographs of both surfaces of the backsid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obtained by cutting the prepared polymer tube are shown in FIG. 9. As shown in FIG. 9, the inner surface of the prepared self-supporting polymer self-supporting film was formed of PCL onl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epared self-supporting polymer self-supporting film was composed of a bioactive glass-PCL composite.

<실시예 8>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Example 8 Fabrication of Backside Polymer Self-Containing Film

생분해성 고분자 PCL 1 g을 비극성용매인 클로로포름 10 ml에 균일하게 용해시킨 후, 염화나트륨 입자를 PCL에 대하여 40 중량% 함량으로 혼합하여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고분자 용액을 주사기에 옮겨 주사바늘을 통하여 넓은 샤알레에 담겨진 증류수 위 약 5 mm 지점에서 한 방울 떨어뜨렸고, 그 결과 매우 엷은 투명한 고분자 자립막이 수면 위에 형성되었다. 형성된 고분자 자립막을 유리막대를 이용하여 감아 회수한다. 이후 생분해성 고분자 PCL 1 g을 비극성용매인 클로로포 름 10 ml에 균일하게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고분자 용액에 염화나트륨 입자 및 생체활성유리 분말을 PCL에 대하여 50 중량% 함량으로 혼합한 후, 상기 고분자 용액을 주사기에 옮겨 주사바늘을 통하여 수면 위에 한 방울 떨어뜨려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상기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을 앞서 회수한 고분자 튜브위에 감아 회수한다. 그 결과 양면이 서로 다른 성분으로 제조된 이면성 고분자 튜브가 형성되어 이것을 절제함으로 이면성 자립막을 얻었다. 제조된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내부면은 PCL-NaCl으로 형성되었고, 제조된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외부면은 생체활성유리-PCL-NaCl로 구성되었다. 증류수를 이용한 세척으로 NaCl이 석출되어 NaCl 부분은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이 형성되었다.After dissolving 1 g of biodegradable polymer PCL uniformly in 10 ml of chloroform, which is a nonpolar solvent, sodium chloride particles were mixed in an amount of 40% by weight relative to PCL to prepare a polymer solution, and the polymer solution was transferred to a syringe through a needle. A drop was dropped about 5 mm above the distilled water contained in the wide chaele, resulting in a very thin transparent polymer freestanding film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e formed polymer self-supporting film is wound up and collected using a glass rod. Thereafter, 1 g of a biodegradable polymer PCL was uniformly dissolved in 10 ml of chloroform, which is a nonpolar solvent, to prepare a polymer solution, and sodium chloride particles and bioactive glass powder were mixed in the prepared polymer solution in a content of 50 wt% based on PCL. Thereafter, the polymer solution was transferred to a syringe and dropped one drop onto the water surface through a needle to form a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The formed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is wound on a previously recovered polymer tube and recovered. As a result, a backside polymer tube made of a component having different surfaces on both sides was formed, and this was cut off to obtain a backside self-supporting film. The inner surface of the prepared backing polymer self-supporting film was formed of PCL-NaCl,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epared backing polymer self-supporting film was composed of bioactive glass-PCL-NaCl. NaCl was precipitated by washing with distilled water to form micro-sized pores in the NaCl portion.

<실험예 1>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생체활성 테스트Experimental Example 1 Bioactivity Test of a Backside Polymer Self-Containing Film

실시예 7에서 제조된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을 유사체액에 침적시킨 후 생체골과 유사성분을 함유하는 아파타이트 결정의 형성여부를 관찰하였다. 상기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내부면 및 외부면에 대하여 유사체액에 침적시킨 후, 0h와 24h에서 SEM 사진을 촬영하여 각각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사체액에 침적시킨 후 24 시간 경과 후에도 PCL만으로 형성된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내부면에는 아파타이트 결정이 거의 생성되지 않았으나,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생체활성유리-PCL 복합체로 형성된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외부면에는 아파타이트 결정이 막 전체에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써 나노다공성 생체활성세라믹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에 높은 생체활성기능을 부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After immersing the backside self-supporting film prepared in Example 7 into the analog solution, it was observed whether apatite crystals containing the living bone and similar components were formed. 10 and 11, respectively, were photographed with SEM images after the immersion of the analogous liquid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lf-supporting polymer self-supporting film. As shown in FIG. 10, even after 24 hours of immersion in the analogous fluid, apatite crystals were hard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side self-supporting polymer film formed solely of PCL. However, as shown in FIG. 11, the bioactive glass-PCL composite was used. It can be seen that apatite crystals wer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ormed backsid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high bioactive functions can be imparted to the backing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by mixing and using nanoporous bioactive ceramics.

<실험예 2>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생체활성 테스트Experimental Example 2 Bioactivity Test of the Backside Polymer Self-Containing Film

실시예 8에서 제조된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을 유사체액에 침적시킨 후 생체골과 유사성분을 함유하는 아파타이트 결정의 형성여부를 관찰하였다. 상기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내부면 및 외부면에 대하여 유사체액에 침적시킨 후, 0h와 24h에서 SEM 사진을 촬영하여 각각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사체액에 침적시킨 후 24 시간 경과 후에도 PCL-NaCl만으로 형성된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내부면에는 아파타이트 결정이 거의 생성되지 않았으나,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생체활성유리-PCL-NaCl 복합체로 형성된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외부면에는 아파타이트 결정이 막 전체에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은 차폐막에서 요구되는 특성, 즉 한쪽 면에서는 치아나 골 생성을 유도하는 기능이 필요하나 다른 한쪽 면에서는 치아나 골 생성을 유도하는 기능이 억제되어야 하는 특성을 잘 충족시킴을 알 수 있다.The backsid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prepared in Example 8 was deposited in the analogous fluid, and then the formation of apatite crystals containing the living bone and similar components was observed. 12 and 13 were taken by SEM images at 0h and 24h after being deposited in the analogous liqui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backside self-supporting polymer self-supporting film. As shown in FIG. 12, even after 24 hours of immersion in the analog solution, almost no apatite crystals we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side self-supporting polymer film formed solely of PCL-NaCl, but as shown in FIG. 13, the bioactive glass-PCL It can be seen that apatite crystals wer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backside self-supporting film formed of the -NaCl complex. Thus, the backing polymer self-support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ell required for the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the shielding film, that is, the function of inducing teeth or bone formation on one side but the function of inducing teeth or bone formation on the other side is well suppressed. It can be seen that.

<실험예 3> 사용되는 유기 용매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두께 조절Experimental Example 3 Thickness Control of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According to Organic Solvents Used

생분해성 고분자 PCL을 유전상수 및 물에의 용해도가 서로 다른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수면 위에 전개하여 막을 형성하였고, 사용되는 유기용매에 따른 형성된 막의 두께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The biodegradable polymer PCL was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having different dielectric constants and solubility in water, and sprea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o form a film. The thickness of the formed film according to the organic solvent used was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112008076163735-PAT00001
Figure 112008076163735-PA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되는 유기용매의 유전상수가 물의 유전상수에 비해 작을수록(유전상수 차가 클수록) 제조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수면 위 전개가 우수하였으며 얇은 막의 형성이 가능하였다. 클로로포름(유전상수 4.8)에 용해된 PCL의 경우 약 80-100 nm 정도의 막두께를 가지며 넓게 펼쳐진 막을 형성하는 반면에 아세톤(유전상수 21)에 용해된 PCL의 경우 약 5000 nm의 두께를 가지며 잘 퍼지지 않은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물에의 용해성이 낮으며 유전상수가 큰, 즉 물과의 유전상수 차가 작은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의 경우는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형성이 불가능하였으며 수면 아래로 뭉쳐진 상태로 가라앉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이 상기 표 1에 기재된 물의 유전상수에 대하여 0.3 배 이하의 유기 용매를 선택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막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the smaller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organic solvent used (the larger the dielectric constant difference) was, the better the development on the water surface of the prepared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was, and the thin film was formed. PCL dissolved in chloroform (dielectric constant 4.8) has a film thickness of about 80-100 nm and forms a wide spread film, whereas PCL dissolved in acetone (dielectric constant 21) has a thickness of about 5000 nm. It was confirmed that the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was not formed. Dimethylformamide (DMF), which has low solubility in water and a large dielectric constant, that is, has a low dielectric constant difference from water, is unable to form a biodegradable self-supporting film and has a tendency to settle down to the surface. Seemed. Thus, the thickness of the film to be prepared can be adjusted by selecting an organic solvent of 0.3 tim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dielectric constant of water described in Table 1 above.

도 1은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 및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and a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측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FIG. 2 is a SEM photograph of the side surfac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prepared in Example 1. FIG.

도 3은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측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Figure 3 is a SEM photograph of the sid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prepared in Example 2.

도 4의 (a)는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측단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고, 도 4의 (b)는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표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Figure 4 (a) is a SEM photograph of the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prepared in Example 3, Figure 4 (b) is a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prepared in Example 3 SEM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the film.

도 5는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평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FIG. 5 is a SEM photograph of a plan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prepared in Example 4. FIG.

도 6은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평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FIG. 6 is a SEM photograph of a plan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prepared in Example 5. FIG.

도 7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고분자 튜브를 촬영한 사진이다.7 is a photograph of the polymer tube prepared in Example 6.

도 8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고분자 튜브를 세척한 후 촬영한 사진이다.8 is a photograph taken after washing the polymer tube prepared in Example 6.

도 9의 (a)는 실시예 7에서 제조한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내부면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9의 (b)는 실시예 7에서 제조한 이면성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외부면을 촬영한 사진이다.9 (a) is a photograph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side self-supporting polymer film prepared in Example 7, Figure 9 (b) is a photograp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side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prepared in Example 7 One picture.

도 10의 (a)는 실험예 1에서 유사체액에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을 침적시킨 직후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내부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고, 도 10의 (b)는 유사체액에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을 침적시키고 24시간 경과한 후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내부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10 (a) is a SEM photograph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polymer self-supporting film immediately after depositing the back polymer self-supporting film in the analogous fluid in Experimental Example 1, and FIG. 10 (b) is the back surface self-supporting polymer in the analog fluid The SEM imag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side self-supporting film after 24 hours after the film was deposited.

도 11의 (a)는 실험예 1에서 유사체액에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을 침적시킨 직후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외부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고, 도 11의 (b)는 유사체액에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을 침적시키고 24시간 경과한 후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외부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FIG. 11 (a) is a SEM photograp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polymer self-supporting film immediately after depositing the back polymer self-supporting film in the analogous fluid in Experimental Example 1, and FIG. 11 (b) is the back surface self-supporting polymer in the analog fluid. SEM imag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side self-supporting film after 24 hours after the film was deposited.

도 12의 (a)는 실험예 2에서 유사체액에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을 침적시킨 직후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내부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고, 도 12의 (b)는 유사체액에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을 침적시키고 24시간 경과한 후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내부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12 (a) is a SEM photograph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sid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immediately after depositing the backsid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in the analogous fluid in Experimental Example 2, and FIG. 12 (b) shows the backside self-supporting polymer in the analogous fluid. The SEM imag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side self-supporting film after 24 hours after the film was deposited.

도 13의 (a)는 실험예 2에서 유사체액에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을 침적시킨 직후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외부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고, 도 13의 (b)는 유사체액에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을 침적시키고 24시간 경과한 후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외부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FIG. 13A is a SEM photograp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side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immediately after depositing the backside polymer self-supporting membrane in the analogous fluid in Experimental Example 2, and FIG. 13B is the backside self-supporting polymer in the body fluid SEM imag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side self-supporting film after 24 hours after the film was deposited.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Short description for the drawing symbols *

1 : 고분자 용액 2 : 증류수1: polymer solution 2: distilled water

3 : 고분자 자립막 4 : 유리막대3: polymer self-supporting film 4: glass rod

5 : 고분자 튜브 5: polymer tube

Claims (32)

생분해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Dissolv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in an organic solvent to prepare a polymer solution (step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에 염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혼합하는 단계(단계 2);Mixing the salt particles to be uniformly dispersed in the polymer solution prepared in step 1 (step 2); 상기 단계 2에서 혼합된 고분자 용액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증류수 상에 적하시켜 수면 위에 막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 Dropping the polymer solution mixed in step 2 onto distilled water using a syringe to form a film on the water surface (step 3); 상기 단계 3에서 형성된 막을 유리 막대를 사용하여 말아 감음으로써 고분자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4); 및Preparing a polymer tube by rolling up the membrane formed in step 3 using a glass rod (step 4); And 상기 단계 4에서의 고분자 튜브를 절제하여 고분자 자립막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5)Cutting the polymer tube in step 4 to form a polymer self-supporting film (step 5) 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의 생분해성 고분자는 유기 용매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iodegradable polymer in step 1 with respect to the organic solvent Method for producing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contained in 1 to 20% by w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의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Poly ε-caprolactone; PCL), 폴리 락타이드 카프로락톤(Poly lactide-co-caprolactone; PLCL),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락트산-글로콜산 공중합체(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폴리아미노산(Poly amino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 리그닌, 전분, 알긴산, 바이오 폴리에스테르, 바이오 셀룰로오스, 다당류 및 폴리아민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iodegradable polymer in step 1 is poly ε-caprolactone (PCL), poly lactide-co-caprolactone (PLCL), polylactic acid (Poly (lactic acid) PLA), 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poly amino acid, polyglycolic acid (PG), aliphatic polyester And at least one biodegradable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lignin, starch, alginic acid, bio polyester, bio cellulose, polysaccharides, and polyamine aci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의 유기 용매는 수면 위에 전개되는 고분자 자립막의 전개 정도를 높이기 위해 물의 유전상수에 대하여 0.3 배 이하의 유전상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rganic solvent in step 1 has a dielectric constant of 0.3 times or less relative to the dielectric constant of water to increase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the polymeric self-supporting film that is develop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rganic solv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loroform, ethyl acetate, dichloromethane and acet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의 염 입자는 염화나트륨, 암모늄바이카보네이트, 소듐바이카보네이트 및 사카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alt particles in step 2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chloride, ammonium bicarbonate, sodium bicarbonate and sacchar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의 염 입자는 상기 고분자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alt particles in step 2 is a method for producing a 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contained in 10 to 60% by weight relative to the poly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의 고분자 용액은 주사기를 사용하여 증류수 위 1 내지 10 mm 상에서 적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lymer solution in Step 3 is dropped on 1 to 10 mm above distilled water using a syringe. 제1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자립막.Biodegradabl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claim 1. 생분해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Dissolv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in an organic solvent to prepare a polymer solution (step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에 나노다공성 세라믹 입자, 염 입자 및 이들의 혼합물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혼합하는 단계(단계 2);Mixing the nanoporous ceramic particles, the salt particles, and a mixture thereof to the polymer solution prepared in step 1 so as to be uniformly dispersed (step 2); 상기 단계 2에서 혼합된 고분자 용액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증류수 상에 적하시켜 수면 위에 막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 Dropping the polymer solution mixed in step 2 onto distilled water using a syringe to form a film on the water surface (step 3); 상기 단계 3에서 형성된 막을 유리 막대를 사용하여 말아 감음으로써 고분자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4); 및Preparing a polymer tube by rolling up the membrane formed in step 3 using a glass rod (step 4); And 상기 단계 4에서의 고분자 튜브를 절제하여 고분자 자립막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5)Cutting the polymer tube in step 4 to form a polymer self-supporting film (step 5) 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a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의 생분해성 고분자는 유기 용매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biodegradable polymer in step 1 with respect to the organic solvent Method for producing a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membrane, characterized in that contained in 1 to 20% by weigh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의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Poly ε-caprolactone; PCL), 폴리 락타이드 카프로락톤(Poly lactide-co-caprolactone; PLCL),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락트산-글로콜산 공중합체(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폴리아미노산(Poly amino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 리그닌, 전분, 알긴산, 바이오 폴리에스테르, 바이오 셀룰로오스, 다당류 및 폴리아민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biodegradable polymer in step 1 is poly ε-caprolactone (PCL), poly lactide-co-caprolactone (PLCL), polylactic acid (Poly (lactic acid) PLA), 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poly amino acid, polyglycolic acid (PG), aliphatic polyester And at least one biodegradable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lignin, starch, alginic acid, bio polyester, bio cellulose, polysaccharides, and polyamine acid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의 유기 용매는 수면 위에 전개되는 고분자 자립막의 전개 정도를 높이기 위해 물의 유전상수에 대하여 0.3 배 이하의 유전상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제조방법.The self-degradable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of claim 10, wherein the organic solvent in step 1 has a dielectric constant of 0.3 tim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dielectric constant of water to increase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th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that is developed on the water surface. Method of Making Membrane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organic solv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loroform, ethyl acetate, dichloromethane, and aceton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의 나노다공성 세라믹 입자는 나노다공성 생체활성유리 분말 및 아파타이트의 생성을 유도하며 지지체의 생체내 분해를 유도 하는 세라믹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제조방법.The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nanoporous ceramic particles in step 2 are ceramic particles which induce the production of nanoporous bioactive glass powder and apatite and induce degradation of the support in vivo. Method of producing a self-supporting fil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의 염 입자는 염화나트륨, 암모늄바이카보네이트, 소듐바이카보네이트 및 사카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alt particles in the step 2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chloride, ammonium bicarbonate, sodium bicarbonate and sacchari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의 나노다공성 세라믹 입자, 염 입자 및 이들의 혼합물은 상기 고분자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nanoporous ceramic particles, the salt particles, and a mixture thereof are included in an amount of 10 wt% to 60 wt% with respect to the polym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의 고분자 용액은 주사기를 사용하여 증류수 위 1 내지 10 mm 상에서 적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olymer solution in step 3 is dropped on 1 to 10 mm above distilled water using a syringe. 제10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membrane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claim 1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은 나노기공구조로 인한 약물방출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복합체 자립막.The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membrane of claim 19, wherein the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osite self-supporting membrane has a drug release function due to the nanopore structure. 생분해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A);Dissolv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in an organic solvent to prepare a polymer solution (step A);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증류수 상에 적하시켜 수면 위에 막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B);Dropping the polymer solution prepared in step A onto distilled water using a syringe to form a film on the water surface (step B); 상기 단계 B에서 제조된 고분자 자립막을 유리막대를 사용하여 말아 감으로써 고분자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C); Preparing a polymer tube by rolling up the polymer self-supporting film prepared in step B using a glass rod (step C); 생분해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한 고분자 용액에 나노다공성 세라믹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혼합하는 단계(단계 D);Mix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in a polymer solution prepared by dissolving it in an organic solvent to uniformly disperse the nanoporous ceramic (step D); 상기 단계 D에서 혼합된 나노다공성 세라믹-고분자 용액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증류수 상에 적하시켜 나노다공성 세라믹-고분자 복합체 자립막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E);Dropping the nanoporous ceramic-polymer solution mixed in step D onto distilled water using a syringe to form a nanoporous ceramic-polymer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step E); 상기 단계 E에서 형성된 나노다공성 세라믹-고분자 복합체 자립막을 상기 단계 C에서 제조된 고분자 튜브 위에 말아 감음으로써 한 면에는 고분자 단독으로, 반대면에는 나노다공성세라믹-고분자 복합체로 구성되어진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F); 및Preparing a tube composed of a polymer alone on one side and a nanoporous ceramic-polymer composite on the opposite side by rolling the nanoporous ceramic-polymer composite self-supporting membrane formed in step E onto the polymer tube prepared in step C. Step F); And 상기 단계 F에서의 고분자 튜브를 절제하여 양면의 성분이 상이한 고분자 / 나노다공성 세라믹-고분자 복합체 자립막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G)Cutting the polymer tube in step F to form a polymer / nanoporous ceramic-polymer composite self-supporting film having different components on both sides (step G) 를 포함하는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a backside self-supporting polymer film comprising a.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및 단계 D에서의 생분해성 고분자는 유기 용매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biodegradable polymer in the step A and step D with respect to the organic solvent Method for producing a backside self-support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contained in 1 to 20% by weight.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의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Poly ε-caprolactone; PCL), 폴리 락타이드 카프로락톤(Poly lactide-co-caprolactone; PLCL),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락트산-글로콜산 공중합체(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폴리아미노산(Poly amino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 리그닌, 전분, 알긴산, 바이오 폴리에스테르, 바이오 셀룰로오스, 다당류 및 폴리아민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biodegradable polymer in step A is poly ε-caprolactone (PCL), poly lactide-co-caprolactone (PLCL), polylactic acid (Poly (lactic acid) PLA), 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poly amino acid, polyglycolic acid (PG), aliphatic polyester And at least one biodegradable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lignin, starch, alginic acid, bio polyester, bio cellulose, polysaccharides, and polyamine acids.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및 단계 D에서의 유기 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organic solvent in steps A and 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loroform, ethyl acetate, dichloromethane and acetone.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의 생분해성 고분자는 상기 단계 A에서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와 동일한 생분해성 고분자 또는 다른 생분해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biodegradable polymer in step D is the same biodegradable polymer or another biodegradable polymer as the biodegradable polymer used in step A.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의 나노다공성 세라믹 입자는 나노다공성 생체활성유리 분말 및 아파타이트의 생성을 유도하며 지지체의 생체내 분해를 유도하는 세라믹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nanoporous ceramic particles in the step D is a ceramic particle to induce the production of nanoporous bioactive glass powder and apatite and induce the in vivo degradation of the support, the preparation of the backing polymer self-supporting film Way.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및 단계 D에서의 고분자 용액은 염 입자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polymer solution in step A and step D further comprises salt particles.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염 입자는 염화나트륨, 암모늄바이카보네이트, 소듐바이카보네이트 및 사카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28. 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the salt particle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chloride, ammonium bicarbonate, sodium bicarbonate, and saccharin.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의 나노다공성 세라믹 입자는 상기 고분자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nanoporous ceramic particles in step D are included in an amount of 10 to 60 wt% based on the polymer.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의 고분자 용액은 증류수 위 1 내지 10 mm 상에서 적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의 제조방법.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polymer solution in step B is added dropwise on 1 to 10 mm above distilled water. 제21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A backside self-supporting film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claim 21. 제31항의 이면성 고분자 자립막을 이용하여 제조된 치아 또는 골 생성을 유도하기 위한 차폐막.A shielding film for inducing tooth or bone formation produced using the backside self-supporting film of claim 31.
KR1020080108382A 2008-11-03 2008-11-03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lex film,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age thereof KR1010937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382A KR101093716B1 (en) 2008-11-03 2008-11-03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lex film,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ag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382A KR101093716B1 (en) 2008-11-03 2008-11-03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lex film,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ag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280A true KR20100049280A (en) 2010-05-12
KR101093716B1 KR101093716B1 (en) 2011-12-19

Family

ID=42275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382A KR101093716B1 (en) 2008-11-03 2008-11-03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complex film,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ag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716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243B1 (en) * 1999-06-07 2002-06-21 이승진 Moldable drug releasing barrier membranes and their fabrication method
KR100355563B1 (en) * 2000-06-23 2002-10-11 주식회사 바이오메드랩 Biodegradable porous polymer scaffolds by using effervescent mixture for tissue engineering and their preparation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3716B1 (en) 201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iramaji et al. Super-paramagnetic responsive silk fibroin/chitosan/magnetite scaffolds with tunable pore structure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Kouhi et al. Poly (ε-caprolactone) incorporated bioactive glass nanoparticles and simvastatin nanocomposite nanofibers: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drug release for bone regeneration applications
Duan et al. A vascular tissue engineering scaffold with core–shell structured nano-fibers formed by coaxial electrospinning and its biocompatibility evaluation
Rezk et al. Rational design of bone extracellular matrix mimicking tri-layered composite nanofibers for bone tissue regeneration
Sharma et al. Multifunctional nanofibers towards active biomedical therapeutics
Rezaei et al. In vitro study of hydroxyapatite/polycaprolactone (HA/PCL) nanocomposite synthesized by an in situ sol–gel process
US8257624B2 (en) Porous nanosheath networks, method of making and uses thereof
Hu et al. Pickering high internal phase emulsion-based hydroxyapatite–poly (ε-caprolactone) nanocomposite scaffolds
Nahanmoghadam et al. Design and fabrication of bone tissue scaffolds based on PCL/PHBV containing hydroxyapatite nanoparticles: dual‐leaching technique
Apsite et al. 4D Biofabrication of fibrous artificial nerve graft for neuron regeneration
Fu et al.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nano‐hydroxyapatite/PCL‐PEG‐PCL composite membranes for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Fan et al. Tissue engineered esophagus scaffold constructed with porcine small intestinal submucosa and synthetic polymers
Ahmadi et al. Core–shell fibrous membranes of PVDF–Ba0. 9Ca0. 1TiO3/PVA with osteogen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for bone regeneration
Ma et al. Electrospun sandwich configuration nanofibers as transparent membranes for skin care drug delivery systems
Kolanthai et al. Effect of solvent; enhancing the wettability and engineering the porous structure of a calcium phosphate/agarose composite for drug delivery
KR20090116211A (en) Porous titanium scaffol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Bretcanu et al. Electrospun nanofibrous biodegradable polyester coatings on Bioglass®-based glass-ceramics for tissue engineering
Zhao et al. Collagen, polycaprolactone and attapulgite composite scaffolds for in vivo bone repair in rabbit models
Castro et al. Electrospun fibrous membranes of poly (lactic-co-glycolic acid) with β-tricalcium phosphate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application
Sun et al. Porous polyetheretherketone microcarriers fabricated via hydroxylation together with cell-derived mineralized extracellular matrix coatings promote cell expansion and bone regeneration
Jeong et al. 3D-printed cardiovascular polymer scaffold reinforced by functional nanofiber additives for tunable mechanical strength and controlled drug release
Dehnavi et al. A novel silver-based metal-organic framework incorporated into nanofibrous chitosan coatings for bone tissue implants
Guo et al. A natural biomineral for enhancing the biomineralization and cell response of 3D printed polylactic acid bone scaffolds
Bao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poly (ε‐caprolactone)/biphasic calcium phosphate hybrid composite microspheres
Vasita et al. Degradation behavior of electrospun microfibers of blends of poly (lactide-co-glycolide) and Pluronic® F-108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