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7116A -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 구성 정보 통지 방법 - Google Patents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 구성 정보 통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7116A
KR20100047116A KR1020090067916A KR20090067916A KR20100047116A KR 20100047116 A KR20100047116 A KR 20100047116A KR 1020090067916 A KR1020090067916 A KR 1020090067916A KR 20090067916 A KR20090067916 A KR 20090067916A KR 20100047116 A KR20100047116 A KR 20100047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essage
group
size
information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6854B1 (ko
Inventor
김수남
최진수
임빈철
김정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9/00622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050724A2/en
Priority to US12/588,767 priority patent/US8195176B2/en
Priority to CN200980142947.3A priority patent/CN102197608B/zh
Priority to JP2011533113A priority patent/JP5268205B2/ja
Publication of KR20100047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116A/ko
Priority to US13/240,685 priority patent/US887412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3Selective call receivers with message or information receiving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사용자 기기에게 제어 메시지 구성 정보를 통지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에 대한 복수의 제어 메시지의 구성 방식을 알려주는 제어 메시지 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메시지 구성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에 대한 복수의 제어 메시지는 상향링크 ACK/NACK(Acknowledgment/Negative Acknowledgment) 채널 인덱스를 암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지 여부, 제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기가 상향링크 ACK/NACK 채널 인덱스를 암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 제어 메시지의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의 크기, 제어 메시지가 소정 개수의 서브 블록(sub block)으로 분리되었는지 여부, 제어 메시지에 적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 MCS레벨 적용 후의 제어 메시지의 정보 요소(allocated IE)의 크기, 제어 메시지의 정보 요소가 존재하는 주파수 영역(Frequency Partition)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그룹화(grouping)되고 상기 그룹화에 의해 생성된 그룹들이 정렬되어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메시지의 정렬 정보는 상기 그룹화에 의해 생성된 각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어 메시지의 개수 혹은 그룹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 메시지, 블라인드 디텍션, 그룹핑

Description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 구성 정보 통지 방법{METHOD FOR INDICATING DOWNLINK CONTROL MESSAGE CONSTRUC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셀룰러(cellular)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 또는 사용자 기기 그룹에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때, 사용자 기기가 전송받은 제어 메시지를 디텍션함에 있어서 그 복잡도를 줄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각 단말은 각자의 데이터가 존재하는 자원의 위치, 변조 및 코딩 방법, MIMO 방식등과 같은 각종 정보 메시지(이하 제어 메시지라 칭함)가 우선 전송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어 메시지(control message)는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자 하는 각 단말마다 존재하여야 한다. 유사하게 몇몇 단말을 그룹으로 형성하여 그룹별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제어 메시지의 크기는 정보의 내용 및 변조 및 코딩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이 서로 크기가 다른 제어 메시지들을 단말들에게 전송함에 있어서, 제어 메시지들의 프레임 내의 배치 정보와 변조 및 코딩 정보를 미리 알려주는 방법과 상기 정보를 알려주지 않는 방법을 각각 고려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각 단말은 해당 제어 메시지의 프레임 내 위치와 변조 및 코딩 정보를 알고 있기 때문에 해당 제어 메시지를 쉽게 디텍션(detection)할 수 있지만 추가적인 정보를 더 보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 후자의 경우 추가적인 정보를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오버헤드(overhead)는 전혀 발생하지 않지만, 각 단말은 자신의 제어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블라인드 디텍션(blind detection)을 해야 한다. 이는 모든 단말이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는 프레임 내의 모든 구간에서 블라인드 디텍션을 해야 함을 의미한다. 한편, 블라인드 디텍션을 할 때 고려되는 경우의 수가 많아지게 되면 제어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복잡성 및 시간이 증가하고 이로 인한 단말의 전력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면서 블라인드 디텍션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제어 메시지가 어떠한 크기들로 구성되는가와 몇 개까지의 제어 메시지를 고려해야 하는가에 따라 블라인드 디텍션의 복잡성은 달라진다. 만일 모든 제어 메시지의 길이가 각각 다르다면 이는 더욱 복잡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제어 메시지의 길이는 몇 가지로 한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제어 메시지의 크기로 30 비트(bit), 60 비트 및 90 비트의 총 3가지의 크기만을 허용한다고 하면 복잡성은 많이 줄어들 것이다. 이러한 크기의 기본 단위를 편의상 CB(Control Block)이라고 정의한다면, 위 예시는 1, 2 및 3CB의 3가지 크기를 지닌 제어 메시지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단, 1CB = 30bit이라 가정할 경우).
하지만 제어 메시지의 크기를 CB 단위로 한다고 하여도 블라인드 디텍션의 복잡성은 매우 크다. 예를 들어 CB는 3가지의 종류가 존재하고, 총 4개까지의 제어 메시지를 고려해야 하는 경우 블라인드 디텍션을 고려해보면 제어 메시지가 1 개일 경우는 3가지(CB가 1CB 혹은, 2CB 혹은 3CB) 경우가 존재하고, 제어 메시지가 2개일 경우는 32 가지가 존재하고, 제어 메시지가 3개일 경우 33 가지가 존재하고, 제어 메시지가 4개일 경우 34 경우가 존재한다.
총 120가지의 경우가 존재하고 단말은 이에 관한 어떠한 정보도 없기 때문에, 각 단말은 최대 120번의 디텍션을 수행해야지만 해당 단말의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그리고 존재한다면 어떠한 정보를 내포하고 있는지 알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CB의 종류의 개수를 N, 제어 메시지의 최대 개수를 M 이라 하면 디텍션을 수행하기 위한 최대 시도 회수는 sum(Nm)가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디텍션의 횟수는 시스템의 성능의 열화를 초래하므로, 디텍션의 횟수를 줄이는 방법이 고려되어야 한다.
한편, 주파수 재사용은 셀룰러 시스템에서 단위면적 당 채널 수를 증가시키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전파의 세기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점점 약해지므로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곳에서는 전파간의 간섭이 적어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런 원리를 이용하여 동일한 주파수를 동시에 여러 지역에서 사용하여 가입자 용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의 효율적 활용을 주파수 재사용이라 한다. 지역을 구분하기 위한 단위를 셀(이동통신 셀)이라 하며, 통화를 유지하기 위한 셀 간의 주파수 채널 전환을 핸드오프라고 한다. 아날로그 셀룰러 이동 통신 방식에서는 주파수 재사용 기술이 필수적이다. 주파수 재사용율은 셀룰러 시스템 에서 주파수 효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중의 하나이다. 주파수 재사용율은 다중 셀 구조에서 동시에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셀(섹터)의 총 수를 다중 셀 구조 전체의 셀(섹터)의 총 수로 나눈 값이다.
1G 시스템(예컨데, AMPS)의 주파수 재사용율은 1 보다 작다. 예를 들어, 7-셀 주파수 재사용에 있어서, 주파수 재사용율은 1/7이다. 2G 시스템(예컨데, CDMA 및 TDMA)의 주파수 재사용율은 1G에 비하여 향상되었다. 예를 들어, FDMA와 TDMA가 결합된, GSM에서 주파수 재사용율은 1/4 내지 1/3에 도달할 수 있다. 2G CDMA 시스템 및 3G WCDMA 시스템의 경우, 주파수 재사용율은 1에 도달할 수 있어, 스펙트럼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네트워크 배치 비용이 감소한다.
한 셀 내의 모든 섹터, 그리고 한 네트워크 내의 모든 셀이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할 때 주파수 재사용율 1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주파수 재사용율 1을 얻는다는 것은, 셀의 경계에 있는 사용자들은 인접한 셀로부터의 간섭에 의해 신호 수신 성능이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OFDMA에서는 채널이 부채널(subchannel) 단위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부채널 상에서 신호가 전송되며, 3G(CDMA2000 또는 WCDMA)에서처럼 모든 채널을 다 사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셀 중앙에 있는 사용자들과 셀 경계(셀 가장자리)에 있는 사용자들의 처리량(throughput)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셀의 중앙 영역은 기지국으로부터 가깝기 때문에 인접한 셀로부터의 공동-채널 간섭(co-channel interference)에서 안전하다. 따라서 셀 중앙에 있는 내 부 사용자들은 사용 가능한 모든 부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셀 경계에 있는 사용자들은 사용 가능한 모든 부채널들 중 일부만을 사용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셀 경계에서, 각 셀은 서로 다른 부채널을 사용하도록 주파수를 할당된다. 이런 방식을 부분 주파수 재사용(FFR, fractional frequency reuse)이라고 부른다.
셀룰러 시스템에 FFR이 적용되는 경우에 상기에 설명한 블라인드 디텍션을 할 때 고려되는 경우의 수가 많아지게 되면 제어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복잡성 및 시간이 증가되며 이로 인한 단말의 전력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면서 블라인드 디텍션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면서 사용자 기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어 메시지의 블라인드 디텍션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사용자 기기에게 제어 메시지 구성 정보를 통지하는 방법은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에 대한 복수의 제어 메시지의 구성 방식을 알려주는 제어 메시지 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메시지 구성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에 대한 복수의 제어 메시지는 상향링크 ACK/NACK(Acknowledgment/Negative Acknowledgment) 채널 인덱스를 암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지 여부, 제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기가 상향링크 ACK/NACK 채널 인덱스를 암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 제어 메시지의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의 크기, 제어 메시지가 소정 개수의 서브 블록(sub block)으로 분리되었는지 여부, 제어 메시지에 적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 MCS레벨 적용 후의 제어 메시지의 정보 요소(allocated IE)의 크기, 제어 메시지의 정보 요소가 존재하는 주파수 영역(Frequency Partition)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그룹화(grouping)되고 상기 그룹화에 의해 생성된 그룹들이 정렬되어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메시지의 정렬 정보는 상기 그룹화에 의해 생성된 각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어 메시지의 개수 혹은 그룹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각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어 메시지의 개수에 관한 정보는 미리 결정된 테이블에서 선택된 인덱스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각 그룹은 논리적으로 연속하는(logically contiguous) 자원 유닛(Resource Unit) 또는 물리적으로 연속하는 (physically contiguous) 자원유닛(resource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그룹에 포함된 제어 메시지의 개수 혹은 그룹의 크기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불특정(non-user specific) 제어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각 그룹은 각 그룹에 포함된 제어 메시지가 상향링크 ACK/NACK(Acknowledgment/Negative Acknowledgment) 채널 인덱스를 암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지 여부, 제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기가 상향링크 ACK/NACK 채널 인덱스를 암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 제어 메시지의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의 크기, 제어 메시지가 소정 개수의 서브 블록(sub block)으로 분리되었는지 여부, 제어 메시지에 적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 MCS레벨 적용 후의 제어 메시지의 정보 요소(allocated IE)의 크기, 제어 메시지의 정보 요소가 존재하는 주파수 영역(Frequency Partition)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정렬되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 메시지를 소정 규칙으로 정렬하여 전송하고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제어 메시지의 정렬 패턴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 줌으로써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면서 제어 메시지의 블라인드 디텍션을 수월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복잡성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기지국이 사용하고 있는 전체 대역은 소정 개수의 서브 대역으로 구분된다. 전체 대역은 FFR(Fractional Frequency Reuse)이 사용되는 경우 기지국에 의해 미리 구분될 수도 있고, 또는 제어 메시지(control message)의 전송 편의를 위하여 구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체 대역이 구분되어 생성되는 서브 대역의 수는 하나 이상으로 다양하게 존재 할 수 있고 각 서브 대역의 크기는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분된 서브 대역 내에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 받기 위한 자원 영역이 할당된다면 해당 단말의 제어 메시지는 상기 서브 대역 내에 존재하도록 한다.
제어 메시지가 어떠한 크기들로 구성되는가, 몇 개까지의 제어 메시지를 고려해야 하는가에 따라 블라인드 디텍션(blind detection)의 복잡성은 달라진다. 만일 모든 제어 메시지의 길이가 각각 다르다면 이는 더욱 복잡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제어 메시지의 길이는 몇 가지로 한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제어 메시지의 크기로 30 비트(bit), 60 비트 및 90 비트의 총 3가지의 크기만을 허용한다고 하면 복잡성은 많이 줄어들 것이다. 이러한 크기의 기본 단위를 편의상 CB(Control Block)이라고 정의한다면, 예를 들어 1CB는 30비트에 해당한다고 가정하는 경우, 위 예시는 1, 2 및 3CB의 3가지 크기를 지닌 제어 메시지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원 영역에 할당된 제어 메시지를 취합한 후, 기지국은 이들 제어 메시지의 크기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제어 메시지가 각각 2CB, 1CB, 3CB, 3CB의 크기로 되어 있다고 하면 이들을 3CB, 3CB, 2CB, 1CB 순으로 정렬하여 전송하도록 한다.
도 1은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자원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의상 CB의 크기는 정수 배(예를 들어, 1CB, 2CB, 3CB 등)로 구성된다고 가정하고 가장 큰 CB의 크기를 N으로 한다. 또한, 구분된 영역 내에서 총 M CB 크기만큼의 자원이 제어 메시지 전송을 위하여 할당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모든 메시지의 크기가 1CB인 경우에, 위의 구분된 영역에서는 최대 M개의 제어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제어 메시지 전송을 위해 M CB 크기만큼의 자원이 할당되는 영역에서 1 내지 N CB크기의 제어 메시지가 조합되어 전송되는 경우 다양한 조합이 존재하지만, 기지국에서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전송되는 경우에는, 그 경우의 수는 제한적이며 그 패턴 역시 제한적이다.
분할된 영역에서 가장 큰 제어 메시지의 크기가 1CB 경우부터 N CB인 경우를 각각 고려해 볼 수 있다. 만일 가장 큰 제어 메시지의 크기가 n (1≤n≤N) CB라고 가정하면 실제로는 1 내지 n CB크기의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게 되는데 이는 모두 내림차순으로 정렬이 되어 전송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 메시지가 정렬된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제어 메시지 구성정보라 할 때, 제어 메시지가 전송되기 전에 기지국은 제어 메시지에 대한 구성정보를 미리 보내주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제어 메시지 구성정보의 구성방법이 기술 된다.
이때 제어 메시지 구성정보를 형성하기 위하여 M CB 크기의 분할 영역 모두에 제어 메시지정보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즉, 전체 제어 메시지들의 크기가 M CB 보다 작을 경우 나머지 부분에는 1 CB의 제어 메시지들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도 2는 제어 메시지 구성정보의 생성 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M=12, n=3이고 3CB와 2CB 크기의 제어 메시지가 각각 1개씩 존재한다고 할 경우 이에 대한 구성정보 생성 예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표 1은 가장 큰 제어 메시지의 크기가 n 인 경우 제어 메시지 구성정보를 형성하고 있는 CB크기들의 조합을 나타낸다.
가장 큰 제어 메시지의 크기가 n CB인 경우 제어 메시지 조합
(n)
(n,1) (n,2), (n, 2,1 )
(n,3), (n, 3,1), (n,3,2), (n,3,2,1)
(n,4), (n, 4,1), (n,4,2), (n,4,2,1),(n,4,3),(n,4,3,1), (n,4,3,2), (n,4,3,2,1)
...
(n, n-1), (n, n-1, 1), ... (n, n-1, n-2, … 1)
상기 표 1에 개시된 조합에 매칭되는 구성정보의 형태 수는 M 값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메시지의 구성정보의 패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편의상 M=12, n=3 이라고 가정하는 경우 (3, 2, 1)의 조합(이는 1CB, 2CB 및 3CB 크기의 제어 메시지로 이루어진 제어 메시지 구성정보를 나타낸다)을 예로 들면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턴이 존재한다.
상기 도 3에서 나열된 구성정보는 모두 (3, 2, 1)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되지만 각 CB가 몇 개씩 존재하는지는 M값에 따라 결정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조합에 있어서, 가장 작은 크기의 CB 다음으로 큰 다음 크기의 CB를 가진CB을 차 하위 CB로 정의하고, 차 하위 CB 다음으로 큰 크기의 CB을 가진 CB를 차 차하위 CB으로 정의하기로 하고, 차 차하위 CB보다 큰 크기의 CB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규칙에 따라 정의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3, 2, 1, 1, 1, 1, 1, 1, 1]조합을 고려할 때, 각 숫자는 CB의 크기를 나타내고 가작 작은 크기의 CB은 1CB이고, 차 하위 CB은 1CB 다음으로 큰 2CB이고, 차 차하위 CB는 2CB 다음으로 큰 3CB이다.
동일한 CB조합에서 생성되는 구성정보의 생성 방법은 가장 크기가 작은 크기의 CB를 제외한 나머지 CB들은 각 1개로 설정하고, 가장 작은 크기의 CB을 나머지 영역으로 채운 후(예를 들어, [3, 2, 1, 1, 1, 1, 1, 1, 1]), 차 하위 CB의 개수(예를 들어, 2CB의 개수)를 증가시키도록 한다(예를 들어, [3, 2, 2, 1, 1, 1, 1, 1], [3, 2, 2, 2, 1, 1, 1], [3, 2, 2, 1]).
이와 같은 과정을 차 차하위 CB의 개수(예를 들어, 3CB의 개수)를 한 개씩 점진적으로 증가시킨 후 계속 반복한다.
즉 차 차하위 CB의 크기(예를 들어 3CB)가 2개 존재하여 [3, 3, 2, 1, 1, 1, 1]이 되고, 차 하위 CB(2CB)의 수가 차차 증가하여 [3, 3, 2, 2, 1, 1]이 된 후, 차 차하위 CB의 크기(3CB)가 3개 존재하여 [3, 3, 3, 2, 1]이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다 보면 M 값에 따라서 특정 CB조합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M 값이 16이라 가정하면 CB 조합 (3)의 경우는 발생 할 수 없게 된다. 3CB가 5개 존재하면 나머지 한 개는 반드시 1CB로 채워지기 때문에 CB 조합 (3)의 경우는 (3,1) 조합에 포함되게 된다.따라서 위에서 나열한 가장 큰 제어 메시지의 크기가 n인 경우 그 구성정보를 형성하고 있는 CB크기들의 조합은 M 값에 따라 일부 제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N 과 M 값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것에 준하여 형성된 각종 패턴을 구성정보로 활용한다.
만일, 5개의 제어 메시지가 각각 3CB, 1CB, 2CB, 1CB, 3CB의 크기로 구성되었다고 가정하면 이들에 대한 내림차순 정렬은 [3, 3, 2, 1, 1] 이 되고 기지국은 이와 같은 순서로 제어 메시지를 정렬하여 전송한다. 이때 구성정보로서 상기 예의 [3, 3, 2, 1, 1, 1, 1] 패턴 정보를 알려준다면 단말은 순차적으로 3CB, 3CB, 2CB, 1CB, 1CB, 1CB, 1CB 단위로 제어 메시지를 디코딩(decoding)하여 자신의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게 된다. 각 단말은 기지국에서 어떠한 형태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지 알고 있기 때문에 디코딩에 있어서 제어 메시지의 크기에 따른 복잡도는 없어지게 된다. 또한 변조 및 코딩 방식으로 인하여 큰 크기의 제어 메시지가 생성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복조 및 디코딩 시에도 그 점을 활용한다면 그 복잡도는 줄어들 수 있다.
실시예 1
전체 대역이 구분되어 생성된 서브 대역에서 제어 메시지를 위해 총 16CB가 할당되고, 제어 메시지가 1CB 내지 3CB크기까지 허용된다고 가정하면 구성정보는 다음의 표 2과 같이 총 30가지로 구성되며, 기지국은 총 5 비트(bit)로 형성된 인덱스(index)정보를 각 단말에 알려주면 된다.
인덱스 패턴 CB 조합
1 [1,1,1,1,1,1,1,1,1,1,1,1,1,1,1,1] (1)
2 [2,1,1,1,1,1,1,1,1,1,1,1,1,1,1] (2,1)
3 [2,2,1,1,1,1,1,1,1,1,1,1,1,1] (2,1)
4 [2,2,2,1,1,1,1,1,1,1,1,1,1] (2,1)
5 [2,2,2,2,1,1,1,1,1,1,1,1] (2,1)
6 [2,2,2,2,2,1,1,1,1,1,1] (2,1)
7 [2,2,2,2,2,2,1,1,1,1] (2,1)
8 [2,2,2,2,2,2,2,1,1] (2,1)
9 [2,2,2,2,2,2,2,2] (2)
10 [3,1,1,1,1,1,1,1,1,1,1,1,1,1] (3,1)
11 [3,2,1,1,1,1,1,1,1,1,1,1,1] (3,2,1)
12 [3,2,2,1,1,1,1,1,1,1,1,1] (3,2,1)
13 [3,2,2,2,1,1,1,1,1,1,1] (3,2,1)
14 [3,2,2,2,2,1,1,1,1,1] (3,2,1)
15 [3,2,2,2,2,2,1,1,1] (3,2,1)
16 [3,2,2,2,2,2,2,1] (3,2,1)
17 [3,3,1,1,1,1,1,1,1,1,1,1] (3,1)
18 [3,3,2,1,1,1,1,1,1,1,1] (3,2,1)
19 [3,3,2,2,1,1,1,1,1,1] (3,2,1)
20 [3,3,2,2,2,1,1,1,1] (3,2,1)
21 [3,3,2,2,2,2,1,1] (3,2,1)
22 [3,3,2,2,2,2,2] (3,2)
23 [3,3,3,1,1,1,1,1,1,1] (3,1)
24 [3,3,3,2,1,1,1,1,1] (3,2,1)
25 [3,3,3,2,2,1,1,1] (3,2,1)
26 [3,3,3,2,2,2,1] (3,2,1)
27 [3,3,3,3,1,1,1,1] (3,1)
28 [3,3,3,3,2,1,1] (3,2,1)
29 [3,3,3,3,2,2] (3,2)
30 [3,3,3,3,3,1] (3,1)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메시지의 1회 전송 시 전송할 수 있는 제어 메시지의 최대 개수가 한정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 1에서 형성된 각 패턴에서 최대 개수만큼 만을 분리하여 패턴을 재구성하고, 동일한 패턴은 제거하여 구성정보를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 1에서 최대 제어 메시지의 수가 6개로 제한될 경우 그 패턴 및 인덱스는 상기 표 2의 결과를 재구성하여 얻을 수 있다. 아래의 표 3은 최대 제어 메시지의 수가 6개로 제한되는 경우에 상기 표 2의 결과를 재구성하여 제어 메시지 구성정보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즉, 표 2의 각 제어 메시지의 패턴에서 왼쪽에서부터 순서대로 6개의 제어 메시지를 선택하여 패턴을 재구성하고 각 재구성된 패턴에 새로운 인덱스를 부여한다.
최대 control message 수 제한 시(6개)
인덱스 패턴 CB 조합 재구성된 패턴 CB 조합 새로운 인덱스
1 [1,1,1,1,1,1,1,1,1,1,1,1,1,1,1,1] (1) [1,1,1,1,1,1] (1) 1
2 [2,1,1,1,1,1,1,1,1,1,1,1,1,1,1] (2,1) [2,1,1,1,1,1] (2,1) 2
3 [2,2,1,1,1,1,1,1,1,1,1,1,1,1] (2,1) [2,2,1,1,1,1] (2,1) 3
4 [2,2,2,1,1,1,1,1,1,1,1,1,1] (2,1) [2,2,2,1,1,1] (2,1) 4
5 [2,2,2,2,1,1,1,1,1,1,1,1] (2,1) [2,2,2,2,1,1] (2,1) 5
6 [2,2,2,2,2,1,1,1,1,1,1] (2,1) [2,2,2,2,2,1] (2,1) 6
7 [2,2,2,2,2,2,1,1,1,1] (2,1) [2,2,2,2,2,2] (2) 7
8 [2,2,2,2,2,2,2,1,1] (2,1) [2,2,2,2,2,2] (2)
9 [2,2,2,2,2,2,2,2] (2) [2,2,2,2,2,2] (2)
10 [3,1,1,1,1,1,1,1,1,1,1,1,1,1] (3,1) [3,1,1,1,1,1] (3,1) 8
11 [3,2,1,1,1,1,1,1,1,1,1,1,1] (3,2,1) [3,2,1,1,1,1] (3,2,1) 9
12 [3,2,2,1,1,1,1,1,1,1,1,1] (3,2,1) [3,2,2,1,1,1] (3,2,1) 10
13 [3,2,2,2,1,1,1,1,1,1,1] (3,2,1) [3,2,2,2,1,1] (3,2,1) 11
14 [3,2,2,2,2,1,1,1,1,1] (3,2,1) [3,2,2,2,2,1] (3,2,1) 12
15 [3,2,2,2,2,2,1,1,1] (3,2,1) [3,2,2,2,2,2] (3,2) 13
16 [3,2,2,2,2,2,2,1] (3,2,1) [3,2,2,2,2,2] (3,2)
17 [3,3,1,1,1,1,1,1,1,1,1,1] (3,1) [3,3,1,1,1,1] (3,1) 14
18 [3,3,2,1,1,1,1,1,1,1,1] (3,2,1) [3,3,2,1,1,1] (3,2,1) 15
19 [3,3,2,2,1,1,1,1,1,1] (3,2,1) [3,3,2,2,1,1] (3,2,1) 16
20 [3,3,2,2,2,1,1,1,1] (3,2,1) [3,3,2,2,2,1] (3,2,1) 17
21 [3,3,2,2,2,2,1,1] (3,2,1) [3,3,2,2,2,2] (3,2) 18
22 [3,3,2,2,2,2,2] (3,2) [3,3,2,2,2,2] (3,2)
23 [3,3,3,1,1,1,1,1,1,1] (3,1) [3,3,3,1,1,1] (3,1) 19
24 [3,3,3,2,1,1,1,1,1] (3,2,1) [3,3,3,2,1,1] (3,2,1) 20
25 [3,3,3,2,2,1,1,1] (3,2,1) [3,3,3,2,2,1] (3,2,1) 21
26 [3,3,3,2,2,2,1] (3,2,1) [3,3,3,2,2,2] (3,2) 22
27 [3,3,3,3,1,1,1,1] (3,1) [3,3,3,3,1,1] (3,1) 23
28 [3,3,3,3,2,1,1] (3,2,1) [3,3,3,3,2,1] (3,2,1) 24
29 [3,3,3,3,2,2] (3,2) [3,3,3,3,2,2] (3,2) 25
30 [3,3,3,3,3,1] (3,1) [3,3,3,3,3,1] (3,1) 26
상기 표 3에 나타난 것처럼, 최대 제어 메시지의 수가 6개로 제한되는 경우에 중복되는 패턴이 존재하기 때문에 30개의 인덱스에서 26개의 인덱스로 인덱스의 총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표 3에 나타난 패턴은 전송 유효 비트 수를 줄이기 위하여 일부 결합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패턴 [3, 3, 3, 2, 2, 2, 1] 및 패턴 [3, 3, 3, 2, 2, 1, 1, 1]은 각각 패턴 [3, 3, 3, 2, 2, b, 1]로 대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턴 [3, 3, 3, 2, 2, 2, 1]에서 밑줄로 표시한 부분과 상기 패턴 [3, 3, 3, 2, 2, 1, 1, 1]에서 밑줄로 표시한 부분을 b로 대치하여 [3, 3, 3, 2, 2, b, 1]로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제어 메시지 구성정보의 전송 유효 비트 수를 줄이기 위한 제어 메시지의 구성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b는 1 또는 2의 크기로 되어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단말에서는 이 부분에 대해서만 2CB와 1CB의 크기로 각각 디코딩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전체 패턴을 이러한 원리로 조합하는 작업을 수행하면 전체 인덱스 수는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확장하여 전체 패턴에 대하여 특정 부분을 'b'로 대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위와 동일한 패턴 [3, 3, 3, 2, 2, 2, 1]와 [3, 3, 3, 2, 2, 1, 1, 1]을 [3, 3, 3, 2, b, 1]로 대치할 수 있다. 즉, 상기 패턴 [3, 3, 3, 2, 2, 2, 1]와 [3, 3, 3, 2, 2, 1, 1, 1]에서 밑줄로 표시한 부분을 'b'로 대치하여 [3, 3, 3, 2, b, 1]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b' 부분을 확인하기 위하여'2,2','2,1,1' 및 '1,1,1,1'의 세 번의 디코딩을 해야 한다. 따라서 [3,3,3,2,1,1,1,1,1]의 패턴도 동일한 집합으로 고려된다. 'b'로 표시된 부분이 몇 개의 CB를 고려해야 하는지 시스템에서 사전에 결정되어 있거나 또는 기지국이 그 값을 단말에 알려 줌으로써 총 인덱스 수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로 형성되는 구성정보의 사용에 있어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제어 메시지의 개수를 먼저 알려주고, 이때 재구성되는 구성정보에 따라서 인덱스 하는 방법 또한 가능하다.
지금까지는 전체 대역을 몇 개로 서브 대역으로 구분하여 제어 메시지를 할당된 서브 대역에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어 메시지의 구성을 서브대역 별로 제한하지 않고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실제 대역은 FFR등과 같은 이유로 몇 개의 서브 대역으로 구분되어 있을지라도 제어 메시지는 이와는 무관하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메시지의 신뢰성 높은 전송을 위하여 파워 부스팅(power boosting)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FFR과 같은 응용에 매우 적합할 것이다. 여기서 구성정보의 생성원리는 서브 대역의 크기 M값 및 제어 메시지 수를 전체 대역으로 고려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제어 메시지 구성정보와 더불어 아래와 같은 부가적인 메시지가 필요할 수도 있다.
○ 전체의 대역을 K개의 서브 대역으로 분할하였다고 가정하면 각 분할 영역에 제어 메시지의 존재 유무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비트맵(bitmap)형식으로 이 내용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전체 대역을 3개로 분할했다면 {b1, b2, b3}와 같이 3 비트로 이루어지는 비트맵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각 비트 b1, b2, b3는 각각 3개의 서브 대역을 순서대로 나타낸다. 비트맵의 각 비트는, 예를 들어, 대응되는 서브 밴드에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1' 값을 갖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0'값을 갖는 것으로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서브 대역에만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b1, b2, b3}={1, 0, 0}이 된다.
○ 영역 정보:
총 제어 메시지 수
서브 대역에서 허용 할 수 있는 최대 제어 메시지 수 (M 값)
최대 제어 메시지 수
각 서브 대역에서의 제어 메시지 수
IEEE 802.16m 표준에서 진행되는 USCCH(Unicast Service Control Channel)의 전송에 본 내용을 적용할 수 있다. USCCH은 사용자 특정 제어 정보(User-Specific Control Information; USCI)와 사용자 불특정 제어 정보(Non User-Specific Control Information; NUSCI)로 구분이 되는데 이때 USCI을 전송할 때 각 USCI들은 개별적으로 코딩(separate coding)되어 있다. 이러한 USCI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떠한 정보도 없다면 단말은 블라인드 디텍션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은 NUSCI 또는 BCH(broadcast channel)을 이용하여 위에서 설명한 구성정보를 전송해주도록 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각 USCI에 대하여 그 크기별로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전송하도록 한다.
본문에서 형성된 구성정보는 내림차순에 의하여 설명이 되어 있으나, 이는 오름차순으로의 정렬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제어 메시지의 구성 방법이 기술된다.
M CB크기의 영역에 1CB 내지 N CB크기의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는 매우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기지국에서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그 경우의 수는 제한적이며 그 패턴 역시 제한적이게 된다. 따라서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후 각 크기 별로 그룹(group)을 생성할 것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제어 메시지를 변조(modulation) 및/또는 코딩을 수행하고 난 후 그 크기가 1CB크기인 경우를 Group 1으로 하고, 2CB인 경우를 Group 2 등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이렇게 생성된 그룹의 수는 제어 메시지의 크기 별 종류 수만큼 형성되게 된다. 총 제어 메시지의 합의 크기를 M 이하로 유지하면서 가능한 모든 그룹 수를 고려한다.
실시예 2
아래의 표 4는 시스템의 M이 5이고 제어 메시지의 크기가 1, 2, 4CB인 것을 허용한다고 가정할 때 구성정보의 형성의 일례이다. 표 4에서, Group 1은 1CB 크기의 제어 메시지들의 그룹이고, Group 2는 2CB 크기의 제어 메시지들의 그룹이며, Group 3은 4CB 크기의 제어 메시지들의 그룹을 나타낸다.
인덱스 Group 1 (1CB) Group2 (2CB) Group3 (4CB)
0 0 0 0
1 1 0 0
2 2 0 0
3 3 0 0
4 4 0 0
5 5 0 0
6 0 1 0
7 1 1 0
8 2 1 0
9 3 1 0
10 0 2 0
11 1 2 0
12 0 0 1
13 1 0 1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임의의 인덱스에서 계산된 총 제어 메시지의 크기는 M(본 실시예에서는 5)보다 작거나 같다. 또한 이들에 대한 순서는 위의 예제와 같이 Group 1부터 Group 3까지를 순서대로 연결하여 그 값이 작은 순서대로 정렬할 수 있고, 이와는 반대로 큰 순서대로 정렬할 수도 있으며, 그 외의 다양한 방법들, 예를 들어 총 제어 메시지가 차지하는 크기의 순서 (오름차순 or 내림차순)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실시예 3
아래의 표 5는 상기 표 4를 이용하여 총 제어 메시지가 차지하는 크기에 의하여 정렬한 제어 메시지 정렬 패턴의 구성을 나타낸 표이다. 표 5에서, Group 1은 1CB 크기의 제어 메시지들의 그룹이고, Group 2는 2CB 크기의 제어 메시지들의 그룹이며, Group 3은 4CB 크기의 제어 메시지들의 그룹을 나타낸다. 또한, 표 5에서는 Group 1 내지 Group 3은 G1, G2, G3로 표시한다. 그리고, 각 그룹의 괄호 안의 값은 해당 그룹에 속하는 제어 메시지의 개수를 나타낸다.
인덱스2 제어 메시지의 총 크기 [단위: CB]
1 2 3 4 5
1 G1(1),G2(0),G3(0) G1(2),G2(0),G3(0) G1(3), G2(0),G3(0) G1(4), G2(0),G3(0) G1(5), G2(0),G3(0)
2 - G1(0),G2(1), G3(0) G1(1),G2(1), G3(0) G1(2),G2(1), G3(0) G1(3),G2(1), G3(0)
3 - - - G1(0),G2(2), G3(0) G1(1),G2(2), G3(0)
4 - - - G1(0),G2(0),G3(1) G1(1), G2(0),G3(1)
상기 실시예 1에서의 13개의 종류(표 3의 인덱스 1 내지 13)는 상기 표 5에 모두 나타나 있다. 따라서 제어 메시지 구성을 알려주기 위한 인덱스의 생성을 상기 표 5에서 제어 메시지의 총 크기 및 인덱스 2의 값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 4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되는 인덱스의 유효 비트 수를 줄이기 위해 총 제어 메시지의 합의 크기가 M이 되도록 유지하면서 특정 Group n을 제외하여 그룹별 모든 가능한 조합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제외된 Group n에 해당하는 제어 메시지는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n=1로 하는 경우, 단말은 Group 1(1CB 크기 group)에 포함된 제어 메시지에 대해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아래의 표 6은 Group 1을 제외한 제어 메시지 정렬 패턴의 구성을 나타낸 표이다.
인덱스 Group1(1CB) Group2(2CB) Group3(4CB)
0 0~5 0 0
1 0~3 1 0
2 0 or 1 2 0
3 0 or 1 0 1
즉 상기 표 6에서 인덱스가 1 이라고 한다면 이는 2CB 크기의 제어 메시지가 1개 존재하고, 4CB 크기의 제어 메시지가 0개 존재하며, 1CB 크기의 제어 메시지는 0 내지 3개중 임의의 개수만큼 존재함을 의미한다. 만일 기지국이 제어 메시지들을 크기 순으로 정렬하여 전송했다고 가정하면 Group 3, Group 2를 먼저 디코딩한 후, 남은 제어 메시지를 총 제어 메시지 크기(M)까지 1CB단위로 블라인드 디코딩한다.
한편, 1CB단위로 블라인드 디코딩에 대한 복잡성을 줄이기 위하여 기지국은 이 인덱스와 더불어 아래와 같은 정보를 추가로 더 보낼 수 있다.
○ Group 1에 포함된 제어 메시지 수 또는 Group 1의 총 크기
○ 각 Group 내에 존재하는 제어 메시지의 총 개수 또는 실제 제어 메시지가 차지한 영역(Group 1 내지 3)의 총 크기(ex: CB 혹은 RU(Resource Unit) 크기)
이와 같은 원리로 형성되는 구성정보의 사용에 있어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제어 메시지 수 또는 사용된 자원의 크기(예를 들어, CB 수 또는 RU 수)를 먼저 알려주고 인덱스 하는 방법은 현재의 구성된 제어 메시지의 총 개수 또는 그 크기를 미리 알려줌으로써 단말로 하여금 추가적인 블라인드 디텍션을 하는 수고를 덜어 줄 수 있다.
한편 제어 메시지의 총 개수 또는 그 크기 등은 시스템의 상황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값은 시스템의 대역폭(bandwidth) 또는 시스템에서 단말에게 전송해야 할 제어 메시지의 수의 증가 등의 이유로 변경될 수 있다. 위에서 나열된 방법들은 M값이 변화할 때 총 경우의 수를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M값(M1<M2)에 대하여, M1이 고려된 모든 경우의 수는 M2가 고려된 모든 경우의 수에 경우에 대한 부분 집합이 된다. 따라서 시스템이 허용하는 가장 큰 M값에 대한 표를 작성 후 M의 변화에 따라 이를 재구성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 2에서 M=5인 경우 상기 표 4와 같이 구성하여 표 전체의 값(제어 메시지 총 크기 1CB 내지 5CB)을 이용했을 경우, M값이 4로 변화한 경우 제어 메시지의 총 크기를 1CB 내지 4CB까지만을 고려하여 인덱스를 재구성하면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사항은 인덱스의 유효 비트 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특정 Group을 블라인드 디코딩에 포함한 경우에도 해당된다. 상기 실시예 3과 같이 n=1 즉 Group 1(1CB 크기 Group)으로 인한 사항을 블라인드 디코딩에 포함시킨 경우를 고려하면 아래의 표 7과 같다.
인덱스 2 M [단위: CB]
1 2 3 4 5
0 G1(0~1),G2(0),G3(0) G1(0~2),G2(0),G3(0) G1(0~3), G2(0),G3(0) G1(0~4), G2(0),G3(0) G1(0~5), G2(0),G3(0)
1 - G1(0),G2(1), G3(0) G1(0~1),G2(1), G3(0) G1(0~2),G2(1), G3(0) G1(0~3),G2(1), G3(0)
2 - - - G1(0),G2(2), G3(0) G1(0~1),G2(2), G3(0)
3 - - - G1(0),G2(0),G3(1) G1(0~1), G2(0),G3(1)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M값을 모든 단말에게 전송할 경우(예를 들어, broadcast channel 등을 이용), 이 M값에 상응하는 제어 메시지의 구성정보인 인덱스 2를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표 6을 이용한 또 한가지의 방법으로, 만약 현재 프레임에서 구성된 제어 메시지의 총 수를 N(0≤N≤M)이라 할 경우, 상기 표 6에서 M값 대신 N값을 이용하여 해당영역을 찾고 그에 상응하는 인덱스 2를 이용하여 구성정보를 알려주도록 한다. 아래의 표 8은 현재 프레임에서 구성된 제어 메시지의 총 수를 N에 의해 구성한 구성정보 표이다.
인덱스2 N [단위: CB]
1 2 3 4 5
0 G1(1~1),G2(0),G3(0) G1(1~2),G2(0),G3(0) G1(1~3), G2(0),G3(0) G1(1~4), G2(0),G3(0) G1(1~5), G2(0),G3(0)
1 - G1(0),G2(1), G3(0) G1(0~1),G2(1), G3(0) G1(0~2),G2(1), G3(0) G1(0~3),G2(1), G3(0)
2 - - - G1(0),G2(2), G3(0) G1(0~1),G2(2), G3(0)
3 - - - G1(0),G2(0),G3(1) G1(0~1), G2(0),G3(1)
즉, 만일 N값이 5이고 인덱스 2가 1인 경우, 구성정보는 G1(0~3), G2(1), G3(0)임을 의미하지만, N이 3이고 인덱스 2가 1인 경우의 구성정보는 G1(0~1), G2(1), G3(0)임을 의미하게 된다. 이때 N이 5인 경우 인덱스 2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2비트가 필요하지만, N이 3인 경우 인덱스 2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1비트만 필요하게 된다. 즉, N값의 결정으로 인덱스 2를 표시하기 위한 유효 비트 수는 상기 표 8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구성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비트 수가 감소하게 된다.
한편 상기 표 7은 상기 표 5로부터 생성할 수 있다.
Group 1으로 인한 사항을 블라인드 디코딩에 포함하였기 때문에 표 5에서 Group 1에 대한 영역이 변경되어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만일 시스템이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전체 경우의 수를 고려하여 전송하는 경우와 상기 실시예 3과 같이 특정 Group에게 블라인드 디코딩을 포함시킨 경우에 대하여 동일한 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체 가능한 경우의 수를 고려하는 경우와, 일부 Group을 블라인드 디코딩에 포함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시스템은 이 구성 정보의 특징을 전체 단말에게 BCH(Broadcast Channel) 또는 NUSCI(Non-User Specific Control Information )등을 이용하여 알려 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표 4 또는 상기 표 6과 같은 구성은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위의 설명한 모든 방법에 있어서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되는 인덱스는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Group 1 내지 3에서 제어 메시지의 수가 모두 0인 경우, 각 Group 내에 존재하는 제어 메시지의 총 개수를 알고 있다면 이 인덱스는 필요 없게 된다.
IEEE 802.16m 표준안에서 진행되는 USCCH(Unicast Service Control Channels)의 전송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USCCH는 USCI(User-Specific Control Information)와 NUSCI(Non User-Specific Control Information)로 구분이 되는데 이때 USCI을 전송할 때 각 USCI들은 개별적으로 코딩(separate coding)되어 있다. 이러한 USCI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떠한 정보도 없다면 단말은 블라인드 디텍션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NUSCI 혹은 BCH(broadcast channel)을 이용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에 준하는 구성정보를 전송해주도록 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각 USCI에 대하여 그 크기별로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전송하도록 한다.
본문에서 형성된 구성정보는 내림차순에 의하여 설명이 되어 있으나, 이는 오름차순의 정렬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5
M 값은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실제 다를 수 있다. 아래의 표 9는 시스템에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M값에 따른 인덱스를 보여준다. 여기서 G1, G2, G3, G4, G5는 각각 제어 메시지의 크기가 1CB, 2 CB, 4 CB, 8CB 및 16CB인 경우를 나타낸다. Group 1의 경우는 Group 2가 끝나는 시점부터 M CB까지 단말이 블라인드 디텍션을 수행하기 때문에 생략 가능하다.
인덱스2 M [단위: CB]
1 2 3 4 5
0 G1(0~1),G2(0),G3(0), G4(0),G5(0) G1(0~2),G2(0),G3(0), G4(0), G5(0) G1(0~3), G2(0),G3(0), G4(0), G5(0) G1(0~4),G2(0),G3(0),G4(0),G5(0) G1(0~5),G2(0),G3(0),G4(0),G5(0)
1 - G1(0),G2(1),G3(0),G4(0),G5(0) G1(0~1),G2(1),G3(0),G4(0),G5(0) G1(0~2),G2(1),G3(0),G4(0),G5(0) G1(0~3),G2(1),G3(0),G4(0),G5(0)
2 - - - G1(0),G2(2),G3(0),G4(0),G5(0) G1(0~1),G2(2),G3(0),G4(0),G5(0)
3 - - - G1(0),G2(0),G3(1),G4(0),G5(0) G1(0~1),G2(0),G3(1),G4(0),G5(0)
인덱스2 M [단위: CB]
6 7 8 9 10
0 G1(0~6),G2(0),G3(0),G4(0),G5(0) G1(0~7),G2(0),G3(0),G4(0),G5(0) G1(0~8),G2(0),G3(0),G4(0),G5(0) G1(0~9),G2(0),G3(0),G4(0),G5(0) G1(0~10),G2(0),G3(0),G4(0),G5(0)
1 G1(0~4),G2(1),G3(0),G4(0),G5(0) G1(0~5),G2(1),G3(0),G4(0),G5(0) G1(0~6),G2(1),G3(0),G4(0),G5(0) G1(0~7),G2(1),G3(0),G4(0),G5(0) G1(0~8),G2(1),G3(0),G4(0),G5(0)
2 G1(0~2),G2(2),G3(0),G4(0),G5(0) G1(0~3),G2(2),G3(0),G4(0),G5(0) G1(0~4),G2(2),G3(0),G4(0),G5(0) G1(0~5),G2(2),G3(0),G4(0),G5(0) G1(0~6),G2(2),G3(0),G4(0),G5(0)
3 G1(0),G2(3),G3(0),G4(0),G5(0) G1(0~1),G2(3),G3(0),G4(0),G5(0) G1(0~2),G2(3),G3(0),G4(0),G5(0) G1(0~3),G2(3),G3(0),G4(0),G5(0) G1(0~4),G2(3),G3(0),G4(0),G5(0)
4 G1(0~2),G2(0),G3(1),G4(0),G5(0) G1(0~3),G2(0),G3(1),G4(0),G5(0) G1(0),G2(4),G3(0),G4(0),G5(0) G1(0~1),G2(4),G3(0),G4(0),G5(0) G1(0~2),G2(4),G3(0),G4(0),G5(0)
5 G1(0),G2(1),G3(1),G4(0),G5(0) G1(0~1),G2(1),G3(1),G4(0),G5(0) G1(0~4),G2(0),G3(1),G4(0),G5(0) G1(0~5),G2(0),G3(1),G4(0),G5(0) G1(0),G2(5),G3(0),G4(0),G5(0)
6 G1(0~2),G2(1),G3(1),G4(0),G5(0) G1(0~3),G2(1),G3(1),G4(0),G5(0) G1(0~6),G2(0),G3(1),G4(0),G5(0)
7 G1(0),G2(2),G3(1),G4(0),G5(0) G1(0~1),G2(2),G3(1),G4(0),G5(0) G1(0~4),G2(1),G3(1),G4(0),G5(0)
8 G1(0),G2(0),G3(2),G4(0),G5(0) G1(0~1),G2(0),G3(2),G4(0),G5(0) G1(0~2),G2(2),G3(1),G4(0),G5(0)
9 G1(0),G2(0),G3(0),G4(1),G5(0) G1(0~1),G2(0),G3(0),G4(1),G5(0) G1(0),G2(3),G3(1),G4(0),G5(0)
10 G1(0~2),G2(0),G3(2),G4(0),G5(0)
11 G1(0),G2(1),G3(2),G4(0),G5(0)
12 G1(0~2),G2(0),G3(0),G4(1),G5(0)
13 G1(0),G2(1),G3(0),G4(1),G5(0)
한편 상기 표 9에서 인덱스 0에서 Group 1의 경우는 G1(0~M)과 같이 나타낸다. 현재 전송되는 제어 메시지의 수(혹은 제어 메시지의 총 크기)를 별도로 전송해 준다면, 인덱스 0에 나타난 Group 1의 G1(0~M)은 G1(1~M)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왜냐하면, 제어 메시지의 수(혹은 제어 메시지의 총 크기)가 0일 경우 어떠한 제어 메시지도 보낼 것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경우 구성표는 상기 실시예 4에서 상기 표 7을 상기 표 8로 전환하여 적용한 것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즉 M 값을 N 값으로 고려하여 현재 구성된 총 제어 메시지의 수를 기반으로 인덱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그룹 설정 방법은 크기에 의한 방법 이외에도 아래와 같은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는 실제 전송되기 위하여 변조 및 코딩된다. 이때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적용하기 위하여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는 몇 개의 서브블록(sub block)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를 편의상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 IE(Information Element), 분리된 서브 블록(sub block)을 확장 IE(extended IE), MCS 적용 후 실제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할당(allocated) IE로 칭하기로 한다. 또한, 할당 IE의 기본 크기 단위는 MLRU(Minimum A-MAP Logical Resource Unit)로 칭하기로 한다. 특정 목적에 부합되도록 제어 메시지를 그룹핑하여 전송하고, 이 그룹핑에 관한 적합한 정보를 보내주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 IE는 하향링크/상향링크 기본 할당 IE(DL/UL basic assignment IE), 상향링크 기본 할당 IE(UL basic assignment IE), 하향링크/상향링크 그룹 자원 할당 IE(DL/UL group resource allocation IE), 하향링크/상향링크 지속적 IE(DL/UL persistent IE) 등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그룹핑 방법의 예로서 아래의 케이스들을 고려할 수 있다.
첫 번째 케이스는 상향링크 ACK/NACK 채널 인덱스를 암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과 아닌 것으로 그룹핑하는 케이스이다. 예를 들어, 그룹 1은 하향링크 기본 할당 IE로 하고, 그룹 2는 다른 타입의 IE들로 하여, 제어 메시지들을 그룹 1과 그룹 2로 그룹핑할 수 있다.
두 번째 케이스는 상향링크 ACK/NACK 채널 인덱스를 암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제어 메시지와 그렇지 않은 것으로 그룹핑하는 케이스이다. 예를 들어, 그룹 1은 하향링크/상향링크 기본 할당 IE로 하고 그룹 2는 다른 타입의 IE들로 하여 제어 메시지들을 그룹 1과 그룹 2로 그룹핑할 수 있다. 이때, 한 사용자의 제어 메시지 IE는 연속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케이스와 두 번째 케이스에서, ACK/NACK 채널 인덱스를 “암시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의 예로 제어 메시지의 순서를 ACK/NACK 채널 인덱스로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그룹핑 방법을 이용할 경우 ACK/NACK 채널 인덱스를 위한 부가적인 시그널링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세 번째 케이스는 제어 메시지 IE의 크기 별로 그룹핑하는 케이스이다. 예를 들어, 제어 메시지 IE의 크기가 56비트 인 경우에 그룹 1으로 제어 메시지 IE의 크기가 90비트인 경우에 그룹 2로 하여 제어 메시지들을 그룹 1과 그룹 2로 그룹핑할 수 있다.
네 번째 케이스는 확장 IE와 그렇지 않은 것들로 구분하여 전송하는 케이스이다. 즉, 확장 IE는 그룹 1으로 그룹핑하고, 다른 타입의 IE들(예를 들어 기본 IE)은 그룹 2로 그룹핑 하여 제어 메시지들을 그룹 1과 그룹 2를 그룹핑할 수 있다. 여기서 확장 IE라 함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원래의 제어 메시지의 구성 시 그 정보가 많아서 시스템에서 허용하는 기본적인 제어 메시지의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원래의 제어 메시지를 다수 개로 분리하여 생성된 서브블록을 칭한다. 이때 다수 개의 서브블록으로 분리된 확장 IE는 연속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섯 번째 케이스는 동일한 MCS 레벨별로 구분하여 전송하는 케이스이다. 예를 들어, 그룹 1은 제어 메시지의 MCS 레벨이 QPSK 1/2이고 그룹 2는 제어 메시지의 MCS 레벨이 QPSK 1/8로 하여 제어 메시지들을 그룹 1과 그룹 2로 그룹핑 할 수 있다.
여섯 번째 케이스는 할당 IE의 크기별로 구분하여 전송하는 케이스이다. 예를 들어, 그룹 1은 2MLRU로 그룹 2는 4MLRU로 하여 제어 메시지들을 그룹 1과 그룹 2로 그룹핑할 수 있다. 여기서, 할당 IE라 함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어 메시지에 MCS 가 적용되고 난 후 실제 자원영역에 할당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곱 번째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1 내지 케이스 6에 의한 그룹핑 방법을 서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케이스 3을 적용하여 1차로 제어 메시지를 적용하여 그룹핑을 한 후에, 상기 그룹핑에 의해 생성된 각 그룹에 상기 케이스 5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1은 제어 메시지의 사이즈가 56비트 사이즈이고 MCS는 QPSK1/2로, 그룹 2는 제어 메시지의 사이즈가 56 비트이고 MCS는 QPSK1/8로, 그룹 3은 제어 메시지의 크기가 90 비트이고 MCS는 QPSK1/2로, 그룹 4는 제어 메시지의 사이즈가 90비트이고 MCS는 QPSK1/2로 제어 메시지를 구분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그룹의 수는 경우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며, 그 목적 역시 상기 기술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실시예 6
상기와 같은 그룹 설정 방법은 크기에 의한 방법 이외에도 변조 및 복조 코딩 방법(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레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제어 메시지의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 별로 그룹을 구분하고 각 그룹별 제어 메시지의 개수를 단말에게 알려줌으로써 블라인드 디텍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어 메시지들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16 (MCS4), QPSK 1/8 (MCS3), QPSK 1/4 (MCS2) 및 QPSK 1/2 (MCS1)로 변복조 코딩될 수 있다고 하면 각 MCS 레벨 별로 몇 개의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는지를 그 구성정보로 이용하여 상기에 설명되어 있는 방법으로 인덱스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한편 기지국에서는 크기에 따른 구성정보를 전송할 경우, 크기 별로 구분된 각 그룹에서 MCS 레벨 별로 정렬(MCS1에서 MCS4 순으로 정렬하거나 또는 MCS4에서 MCS1 순으로 정렬)하여 전송하여 블라인드 디텍션을 좀더 수월하게 하도록 한다. 반면 MCS 레벨별로 그룹을 구성하였을 경우에는 그룹 내에서 크기별로 정렬(내림차순 혹은 올림차순)하여 전송하여 블라인드 디텍션을 좀더 수월하게 하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그룹 별 전송에 있어서 실제 그룹 별 제어 메시지의 개수를 직접 시그널링(signaling) 해 줄 수도 있다.
이상에서 기술된 제어 메시지의 일례로 IEEE802.16m 시스템의 A-MAP(Advanced Map) IE(Information Element)을 고려할 수 있다. 만일 A-MAP IE에 변복조 코딩이 적용된 이후에 실제 A-MAP 채널에 할당되는 A-MAP 자원 유닛(A-MAP resource allocation unit 이하, A-MAP IE 할당(allocation) 유닛이라 한다)의 크기별로 그룹을 구성하면, 각 그룹 내에 존재하는 A-MAP IE 할당 유닛의 크기는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메시지 정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복조 코딩이 적용된 이후에 A-MAP IE 할당 유닛들을 크기별로 정렬하고 동일한 크기의 A-MAP IE 할당 유닛들을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A-MAP IE에 변복조 코딩이 적용된 이후에 실제 A-MAP 채널에 할당되는 A-MAP IE 할당 유닛들을 크기 별로 정렬하고, 동일한 크기를 가진 A-MAP IE 할당 유닛들 내에서 상기 A-MAP IE 할당 유닛들을 MCS레벨 별로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메시지 정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A-MAP IE 할당 유닛의 크기와 동일한 MCS레벨을 가진 A-MAP IE 할당 유닛들을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A-MAP IE는 1MLRU(Minimum A-MAP Logical Resource Unit)와 2MLRU의 크기로 존재하고 상기 A-MAP IE에 QPSK1/2 과 QPSK 1/4 (MCS의 종류는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의 변복조 코딩이 수행된다고 가정하면, 실제 A-MAP 채널에 할당되는 A-MAP IE 할당 유닛의 크기는 1MLRU, 2MLRU, 4MLRU가 된다. 상기 MLRU는 A-MAP IE의 크기 단위이다. 이때 1MLRU크기의 A-MAP IE 할당 유닛은 1MLRU의 A-MAP IE가 QPSK1/2로 변복조 코딩된 것으로 존재하고, 2MLRU크기의 A-MAP IE 할당 유닛은 2MLRU의 A-MAP IE가 QPSK1/2로 변복조 코딩된 것과 1MLRU의 A-MAP IE가 QPSK1/4로 변복조 코딩된 것으로 존재하고, 4MLRU 크기의 A-MAP IE 할당 유닛은 2MLRU의 A-MAP IE가 QPSK1/4로 변복조 코딩된 것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그룹은 총 4개가 존재하며, 블라인드 디텍션을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각 그룹별 크기(또는 A-MAP IE 할당 유닛의 개수) 또는 특정 패턴으로 정의된 인덱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사용자 불특정(Non-user specific A-MAP) A-MAP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A-MAP IE 할당 유닛을 MCS 레벨별로 그룹을 구성하면, 그룹 내에 존재하는 각 A-MAP IE 할당 유닛의 크기는 다를 수 있지만 그룹 내에 존재하는 A-MAP IE 할당 유닛의 MCS 레벨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메시지 정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에서는 A-MAP IE에 변복조 코딩이 적용된 이후의 A-MAP IE 할당 유닛을 MCS 레벨별로 그룹을 구성한다.
또한, A-MAP IE에 변복조 코딩이 적용된 이후에 실제 A-MAP 채널에 할당되는 A-MAP IE 할당 유닛들을 MCS 레벨 별로 정렬한 후 동일한 MCS레벨을 가진 A-MAP IE 할당 유닛들 내에서 크기 별로 다시 정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메시지 정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A-MAP IE 할당 유닛의 크기와 동일한 MCS레벨을 가진 A-MAP IE 할당 유닛들을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A-MAP IE 할당 유닛이 1 MLRU와 2MLRU의 크기로 존재하고 이들 IE를 QPSK1/2 과 QPSK 1/4 (MCS의 종류는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로 변복조 코딩이 수행된다고 가정하면, 실제 A-MAP 채널에 할당되는 A-MAP IE 할당 유닛의 크기는 1MLRU, 2MLRU, 4MLRU이 된다. 이때 1MLRU크기의 A-MAP IE 할당 유닛은 1MLRU의 A-MAP IE가 QPSK1/2로 변복조 코딩된 것으로 존재하고, 2MLRU크기의 A-MAP IE 할당 유닛은 2MLRU의 A-MAP IE가 QPSK1/2로 변복조 코딩된 것과 1MLRU의 A-MAP IE가 QPSK1/4로 변복조 코딩된 것으로 존재하고, 4MLRU 크기의 A-MAP IE 할당 유닛은 2MLRU의 A-MAP IE가 QPSK1/4로 변복조 코딩된 것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그룹은 총 4개가 존재하며, 블라인드 디텍션을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각 그룹별 크기(또는 A-MAP IE 할당 유닛의 개수) 또는 특정 패턴으로 정의된 인덱스 정보를 통해 전송하도록 하도록 한다. 이 정보는 사용자 불특정 (Non-user specific A-MAP) A-MAP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단말에게 알려주는 방법으로는 셀(cell) 내에 있는 모든 단말에게 브로드캐스트(broadcast) 해주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IEEE802.16m 시스템을 가정했을 때 사용자 불특정 A-MAP(Non-user specific A-MAP) 혹은 SFH (Superframe Header)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전송해 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불특정 A-MAP은 부분 주파수 재사용(Fractional Frequency Reuse; FFR)과 같은 다중 주파수 파티션(multiple frequency partition)이 적용되었다면, 각 파티션 별로 사용자 불특정 A-MAP이 존재하는 경우, 임의의 파티션에서의 A-MAP 구성 정보를 다른 파티션에 할당된 사용자 불특정 A-MAP에서 알려주는 경우 및 불특정 A-MAP이 재사용(reuse) 영역별로 1개씩 존재하는 경우 등을 고려할 수 있다. 각 파티션 별로 사용자 불특정 A-MAP이 존재할 때 본 발명에서 제안한 해당 파티션의 A-MAP 구성 정보는 해당 파티션에서 전송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 불특정 A-MAP이 모든 파티션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임의의 파티션에서의 A-MAP 구성 정보를 다른 파티션에 할당된 사용자 불특정 A-MAP에서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사용 1(reuse 1) 영역과 재사용 3(reuse 3)이 동시에 적용된 경우를 고려한다면, 파워 부스팅(power boosting)되는 특정 재사용-N(reuse-N) 영역 혹은 재사용 1 영역에서만 사용자 불특정 A-MAP를 전송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 불특정 A-MAP 에 각 영역(partition)별 A-MAP 구성 정보(각 그룹별 크기 또는 A-MAP IE 할당 유닛 수 또는 상기에서 설명된 인덱스 생성 방법을 이용한 인덱스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파워 부스팅되는 특정 재사용-N 영역과 재사용 1 영역 모두 사용자 불특정 A-MAP을 전송하는 경우, 해당 파티션에 해당하는 A-MAP 정보는 해당 파티션의 사용자 불특정 A-MAP에서 알려줄 수 있다.
그룹은 각 파티션 별 A-MAP IE 할당 유닛들의 총 크기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다중 파티션이 적용되어 총 4개의 파티션이 구성되어 있다면 그룹은 4개가 존재하고 각 파티션 별로 그룹 별 크기(또는 A-MAP IE 할당 유닛의 수) 또는 상기에서 설명된 인덱스 생성 방법을 이용한 인덱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불특정 A-MAP 혹은 SFH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각 파티션 별로 사용자 불특정 A-MAP이 존재할 때 본 발명에서 제안한 해당 파티션의 A-MAP 구성 정보는 해당 파티션에서 전송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시스템에서 부분 주파수 재사용(Fractional Frequency Reuse; FFR)과 같은 다중 주파수 영역(Frequency Partition; FP)이 적용되었을 경우, 사용자 불특정 A-MAP의 구성과 상기 구성 정보의 전송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FFR과 같은 이유로 고려될 수 있는 FP는 운영방법에 따라 그 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FR방식이 FFR 1/3(즉, FFR과 관련된 주파수 재사용율이 1/3임을 의미)이 적용되는 경우, FP는 3개가 되며, FFR 1/3과 FFR 1이 적용되는 경우, FP는 4개가 된다.
또한, FP의 특성(예를 들어, 파워 부스팅)을 고려하여 FP별로 특정 MCS 레벨을 한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워 부스팅된 FP에 대해서는 QPSK 1/2를 적용하고 한정하고, FFR 1 영역에 대해서는 QPSK 1/2 및/또는 QPSK 1/8를 적용하고, 파워 다운된 FP에 대해서는 QPSK 1/8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메시지는 모든 FP에 존재할 수도 있고, 미리 정해놓은 특정 FP에만 존재할 수도 있다. 제어 메시지가 미리 정해 놓은 특정 FP에만 존재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FFR 1/3인 경우, 파워 부스팅된 FP에만 존재할 수 있고, FFR 1/3과 FFR1의 경우, 파워 부스팅된 FP 및/또는 FFR 1의 FP에만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메시지를 그룹핑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는 FP에 본 발명에서 제안한 그룹핑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FFR을 적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메시지를 그룹핑하여 전송하는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예는 A(Assignment)-A-MAP IE의 크기는 A 타입과 B타입의 두 가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FP의 개수는 1(FFR 1 적용)이고, 사용 가능한 MCS는 QPSK 1/2 및 QPSK 1/8이 적용되는 경우이다. A 타입에 QPSK 1/2 및 QPSK 1/8가 각각 적용되어 각각 1MLRU 할당 유닛과 4MLRU 할당 유닛이 생성되고, B타입에 QPSK 1/2 및 QPSK 1/8가 각각 적용되어 각각 2MLRU 할당 유닛과 8MLRU 할당 유닛이 생성된다. 따라서, MCS 적용 후, A-MAP IE의 할당 유닛(allocation unit)은 1, 2, 4, 8 MLRU(Minimum A-MAP Logical Resource Unit)이 존재한다. 생성된 1MLRU를 그룹 1으로 하고, 2MLRU를 그룹 2로 설정하고, 4MLRU를 그룹 3으로 설정하고, 8MLRU를 그룹 4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최대 전송 가능한 A-A-MAP IE의 수는 A-A-MAP를 위하여 할당된 자원영역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FR이 적용된 경우 제어 메시지 정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생성된 MLRU는 동일한 MCS 레벨과 동일한 IE사이즈로 이루어진 자원들을 논리적으로 연속한(logically consecutive) MLRU들로 이루어진 각 그룹에 매핑할 수 있다.
제2예는 A-A-MAP(Assignment) IE의 크기는 A 타입과 B타입의 두 가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FP의 개수는 3(FFR 1/3적용)인 경우이다. 또한, A-A-MAP은 파워 부스팅된 영역에만 존재하고 사용하는 MCS는 QPSK 1/2로 한정한다. A 타입과 B타입에 각각 QPSK 1/2이 적용되어 1MLRU 할당 유닛과 2MLRU 할당 유닛이 생성되므로, MCS 적용 후, A-A-MAP IE의 할당 유닛은 1MLRU와 2MLRU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 생성된 1MLRU 할당 유닛을 그룹 1으로 하고, 2MLRU 할당 유닛을 그룹 2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FR이 적용된 경우 제어 메시지 정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MCS 레벨을 가지면서 동일한 IE 크기로 이루어진 자원들을 논리적으로 연속한(logically consecutive) MLRU들로 이루어진 각 그룹에 매핑할 수 있다.
제3예는 A(Assignment)-A-MAP IE의 크기는 A 타입과 B타입의 두 가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FP의 개수는 4(FFR 1/3과 FFR 1 적용)인 경우이다. 또한, 해당 FP의 특성(예를 들어, 파워 부스팅)을 고려하여 FP 별로 특정 MCS 레벨로 한정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 가능한 MCS는 FFR 1/3의 파워 부스팅 된 영역에 QPSK 1/2가 적용되고 및 FFR 1 영역에 QPSK 1/8이 적용된다. FFR 1/3의 파워 부스팅 영역에는 A 타입과 B 타입에 각각 QPSK 1/2이 적용되어 각각 1MLRU 할당 유닛과 2MLRU 할당 유닛이 생성되고, FFR 1 영역에는 A 타입과 B타입에 QPSK 1/8이 적용되어 각각 4MLRU 할당 유닛과 8MLRU 할당 유닛이 생성된다. 따라서, 본 경우에, MCS 적용 후, A-MAP IE의 할당 유닛(allocation unit)은 1, 2, 4, 8 MLRU(Minimum A-MAP Logical Resource Unit)이 존재한다. 상기 생성된 1MLRU를 그룹 1으로 하고, 2MLRU를 그룹 2로 설정하고, 4MLRU를 그룹 3으로 설정하고, 8MLRU를 그룹 4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FR이 적용된 경우 제어 메시지 정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생성된 MLRU는 동일한 MCS 레벨과 동일한 IE사이즈로 이루어진 자원들을 논리적으로 연속한(logically consecutive) MLRU들로 이루어진 각 그룹에 매핑할 수 있다.
제4예는 A(Assignment)-A-MAP IE의 크기는 A타입과 B타입의 두 가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FP의 개수는 4(FFR 1/3과 FFR 1 적용)인 경우이다. 또한, 해당 FP의 특성(예를 들어, 파워 부스팅)을 고려하여 FP 별로 특정 MCS 레벨로 한정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 가능한 MCS는 FFR 1/3의 파워 부스팅 된 영역에 QPSK 1/2가 적용되고 및 FFR 1 영역에 QPSK 1/2 및 QPSK 1/8이 적용된다. FFR 1/3의 파워 부스팅 영역에는 A 타입과 B 타입에 각각 QPSK 1/2이 적용되어 각각 1MLRU 할당 유닛과 2MLRU 할당 유닛이 생성되고, FFR 1 영역에는 A 타입과 B타입에 QPSK 1/2이 적용되어 각각 1MLRU 할당 유닛과 2MLRU 할당 유닛이 생성되고, A타입과 B타입에 QPSK 1/8이 적용되어 각각 4MLRU 할당 유닛과 8MLRU 할당 유닛이 생성된다.
본 경우에, MCS 적용 후, A-MAP IE의 할당 유닛(allocation unit)은 1, 2, 4, 8 MLRU(Minimum A-MAP Logical Resource Unit)이 존재한다. 상기 FFR 1/3의 파워 부스팅 영역의 1MLRU 할당 유닛을 그룹 1으로 하고, 2MLRU를 그룹 2로 설정하고, 상기 FFR 1 영역의 1MLRU 할당 유닛을 그룹 3, 2MLRU를 그룹 4, 4MLRU를 그룹 5, 8MLRU를 그룹 6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FR이 적용된 경우 제어 메시지 정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생성된 MLRU는 동일한 MCS 레벨과 동일한 IE사이즈로 이루어진 자원들을 논리적으로 연속한(logically consecutive) MLRU들로 이루어진 각 그룹에 매핑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MCS 레벨 및 동일한 IE 크기로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서로 다른 FP에 존재하면 다른 그룹으로 매핑할 수 있다.
제5예는 A(Assignment)-A-MAP IE의 크기는 A 타입과 B타입의 두 가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FP의 개수는 4(FFR 1/3과 FFR 1 적용)인 경우이다. 모든 FP에 동일한 MCS 레벨을 한정하여 사용하고, 링크 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 시 파워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가능한 MCS로 QPSK 1/2를 사용할 수 있다. FFR 1/3의 파워 부스팅 영역에는 A 타입과 B 타입에 각각 QPSK 1/2이 적용되어 각각 1MLRU 할당 유닛과 2MLRU 할당 유닛이 생성되고, FFR 1 영역에는 A 타입과 B타입에 QPSK 1/2이 적용되어 각각 1MLRU 할당 유닛과 2MLRU 할당 유닛이 생성된다.
이때, A-A-MAP이 동일한 MCS 레벨 및 동일한 IE 사이즈로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서로 다른 FP에 존재하면 다른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FFR 1/3의 파워 부스팅 영역의 1MLRU 할당 유닛을 그룹 1로 하고, 2MLRU를 그룹 2로 설정하고, 상기 FFR 1 영역의 1MLRU 할당 유닛을 그룹 3으로 하고, 2MLRU를 그룹 4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FR이 적용된 경우 제어 메시지 정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생성된 MLRU는 동일한 MCS 레벨과 동일한 IE사이즈로 이루어진 자원들을 논리적으로 연속한(logically consecutive) MLRU들로 이루어진 각 그룹에 매핑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MCS 레벨 및 동일한 IE 크기로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서로 다른 FP에 존재하면 다른 그룹으로 매핑할 수 있다.
즉 상기에서 설명된 FFR로 인한 FP가 다수 개 존재할 경우 그룹핑 방법의 예로써 제어 메시지가 속해 있는 FP 내에서 상기에 설명한 그룹핑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에서 설명된 그룹핑 방법의 예와 함께 조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다수의 단말에게 방송(broadcast)해 주는 제어 채널에 A-A-MAP IE가 전송되는 방법을 시그널링(signaling)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양한 FP가 시스템에서 허용될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시그널링 해 주는 방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각 그룹별 A-A-MAP IE의 할당 유닛의 수 또는 각 그룹의 크기를 시그널링 해 줄 수 있다. 또는 각 그룹 별 모든 가능한 A-A-MAP IE 할당 유닛의 수를 테이블로 만들고 해당 전송 방법 맞는 인덱스를 시그널링해 줄 수 있다. 이때, 최대 MLRU의 개수(예를 들어, 최대 MLRU의 개수가 16, 17, 18, 19, 20, 21, 23,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별로 각각 테이블을 만들고 해당 전송 방법에 맞는 테이블에서 인덱스를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테이블을 생성하여 인덱스를 시그널링 해주는 방법을 전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경우는 FP 구성에 무관한 공통되는 초집합(superset) 테이블을 생성하여 상기 테이블의 인덱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P의 개수가 1, 3 또는 4가 된다고 하더라도 모두 적용할 수 있는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FP의 개수가 1, 3 또는 4인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모든 그룹을 포괄하는 초집합 개념의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전송방법에 따라 초집합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한 제1예, 제2예 및 제3예까지 전부 포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총 4개의 그룹까지 적용 가능한 초집합 테이블을 작성한다. 또한, 제1예, 제2예 및 제5예를 전부 포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총 4개의 그룹까지 적용 가능한 초집합 테이블을 작성한다. 제1예, 제2예 및 제4예를 모두 포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총 6개의 그룹까지 적용 가능한 초집합 테이블을 작성한다.
제2 경우는 초집합 테이블을 만들고 특정 FP에 관련된 인덱스들을 상기 초집합 테이블의 부분집합(subset)으로 하여 시그널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예, 제2예 및 제3예를 모두 포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총 4개의 그룹까지 적용 가능한 초집합 테이블이 존재하는 경우, 제1예 및 제3예에 대해서는 초집합 테이블을 모두 사용하고 제2예에서는 상기 초집합 테이블에서 인텍스를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시그널링할 수 있다.
제3 경우는 FP 구성에 따라 개별적으로 테이블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FP에 따라 서로 다른 테이블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P의 개수가 1, 3 또는 4가 지원되는 시스템인 경우, 각각의 경우에 적합한 최적이 테이블을 생성하고 해당 테이블에서 인덱스를 시그널링해 준다. 이때 테이블의 생성 원리는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과 동일하다. 상기 제1예와 같은 경우에, 4개의 그룹의 각 유닛의 개수 또는 그룹 사이즈를 이용하여 생성된 테이블에서 해당 인덱스를 시그널링 해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예와 같은 경우, 2개의 그룹의 각 유닛의 수 또는 그룹 사이즈를 이용하여 생성된 테이블에서 해당 인덱스를 시그널링 해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예 내지 제5예의 경우와 같은 경우에는 각 그룹의 수 또는 그룹의 사이즈를 이용하여 생성된 테이블에서 해당 인덱스를 시그널링 해 줄 수 있다.
FP의 개수 또는 사용되어야 하는 테이블의 종류는 방송채널(Broadcast Channel; BCH)를 통해 각 단말에게 방송될 수도 있고, 인덱스가 사용되기 전 A-MAP 내에 사용자 불특정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시그널링할 수도 있다.
제4 경우는 각 FP에 존재하는 그룹 중 동일한 특성의 그룹(예를 들어, 동일 MCS 및/또는 IE 크기)을 통합하여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예 또는 제5예에서 그룹 3은 그룹1과 그룹 4는 그룹 2와 그 특성이 동일하다. 이런 경우, 그룹 1과 그룹 3을 통합하여 그룹 A로 하고, 그룹 2와 그룹 4를 통합하여 그룹 B로 하는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 단말에서 먼저 제어 메시지를 디코딩하는 FP에서 테이블을 통합하기 전보다 블라인드 디텍션의 복잡도가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제어 메시지를 그룹핑하는 기준에 추가하여, 제어 메시지의 용도, 예를 들어 상향링크 할당, 하향링크 할당 또는 하향링크 지속적(persistent) 할당 별로 그룹핑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에 있어서 그룹핑의 기준은 주로 제어 메시지의 크기 또는 MCS레벨을 예로 들었지만, 그룹을 구성하는 기준은 상기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기준을 기초로 그룹핑이 가능하며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은 상기 다양한 기준에 적용이 가능하다. 다양한 FP를 지원하는 테이블 생성 방법 및 시그널링 방법은 다양한 대역 및 제어 시그널링 주기를 지원하는 테이블 생성 방법과 결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테이블 생성 방법은 각 그룹 별 가능한 모든 조합을 고려하여 생성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제어 메시지의 정렬 패턴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 줌으로써 오버헤드를 최소화 하면서 블라인드 디텍션을 수월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복잡성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4는 기지국과 사용자 기기에 적용 가능하고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60)는 처리 유닛(61), 메모리 유닛(62), RF(Radio Frequency) 유닛(63), 디스플레이 유닛(64)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65)을 포함한다. 물리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은 상기 처리 유닛(61)에서 수행된다. 상기 처리 유닛(61)은 제어 플레인(plane)과 사용자 플레인(plane)을 제공한다. 각 계층의 기능은 처리 유닛(61)에서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62)은 처리 유닛(6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및 일반 파일을 저장하고 있다. 만약 상기 디바이스(60)가 사용자 기기라면, 디스플레이 유닛(64)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공지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65)은 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공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RF 유닛(63)은 처리 유닛(6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무선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지국과 단말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가 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은 이동 단말(MS: Mobile Station)에 해당하며, 이동 단말은 사용자 기기 (UE: User Equipment), SS(Subscriber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또는 단말(Mobile Terminal)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송신단은 데이터 또는 음성 서비스를 전송하는 노드를 말하고, 수신단은 데이터 또는 음성 서비스를 수신하는 노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향링크에서는 단말이 송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수신단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향링크에서는 단말이 수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송신단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 단말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접속 시스템에 사용되는 단말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자원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제어 메시지 구성정보의 생성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메시지의 구성정보의 패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어 메시지 구성정보의 전송 유효 비트 수를 줄이기 위한 제어 메시지의 구성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메시지 정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메시지 정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메시지 정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메시지 정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FR이 적용된 경우 제어 메시지 정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기지국과 사용자 기기에 적용 가능하고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Claims (5)

  1.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사용자 기기에게 제어 메시지 구성 정보를 통지하는 방법으로서,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에 대한 복수의 제어 메시지의 구성 방식을 알려주는 제어 메시지 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메시지 구성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에 대한 복수의 제어 메시지는 상향링크 ACK/NACK(Acknowledgment/Negative Acknowledgment) 채널 인덱스를 암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지 여부, 제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기가 상향링크 ACK/NACK 채널 인덱스를 암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 제어 메시지의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의 크기, 제어 메시지가 소정 개수의 서브 블록(sub block)으로 분리되었는지 여부, 제어 메시지에 적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 MCS레벨 적용 후의 제어 메시지의 정보 요소(allocated IE)의 크기, 제어 메시지의 정보 요소가 존재하는 주파수 영역(Frequency Partition)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그룹화(grouping)되고 상기 그룹화에 의해 생성된 그룹들이 정렬되어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메시지의 정렬 정보는 상기 그룹화에 의해 생성된 각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어 메시지의 개수 혹은 그룹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 구성 정보 통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어 메시지의 개수에 관한 정보는 미리 결정된 테이블에서 선택된 인덱스 정보인,
    제어 메시지 구성 정보 통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그룹은 논리적으로 연속하는(logically contiguous) 자원 유닛(Resource Unit) 또는 물리적으로 연속하는 (physically contiguous) 자원유닛(resource unit)을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 구성 정보 통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그룹에 포함된 제어 메시지의 개수 혹은 그룹의 크기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불특정(non-user specific) 제어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어 메시지 구성 정보 통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그룹은 각 그룹에 포함된 제어 메시지가 상향링크 ACK/NACK(Acknowledgment/Negative Acknowledgment) 채널 인덱스를 암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지 여부, 제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기가 상향링크 ACK/NACK 채널 인덱스를 암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 제어 메시지의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의 크기, 제어 메시지가 소정 개수의 서브 블록(sub block)으로 분리되었는지 여부, 제어 메시지에 적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 MCS레벨 적용 후의 제어 메시지의 정보 요소(allocated IE)의 크기, 제어 메시지의 정보 요소가 존재하는 주파수 영역(Frequency Partition)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정렬되어 전송되는,
    제어 메시지 구성 정보 통지 방법.
KR1020090067916A 2008-10-27 2009-07-24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 구성 정보 통지 방법 KR101276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6222 WO2010050724A2 (en) 2008-10-27 2009-10-27 Method for informing user equipment of downlink control message construction information in cellular system
US12/588,767 US8195176B2 (en) 2008-10-27 2009-10-27 Method for informing user equipment of downlink control message construction information in cellular system
CN200980142947.3A CN102197608B (zh) 2008-10-27 2009-10-27 在蜂窝系统中向用户设备通知下行链路控制消息构造信息的方法
JP2011533113A JP5268205B2 (ja) 2008-10-27 2009-10-27 セルラーシステムにおけるダウンリンク制御メッセージ構成情報通知方法
US13/240,685 US8874121B2 (en) 2008-10-27 2011-09-22 Method for informing user equipment of downlink control message construction information in cellula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55908P 2008-10-27 2008-10-27
US61/108,559 2008-10-27
US13961908P 2008-12-21 2008-12-21
US61/139,619 2008-12-21
US13963508P 2008-12-22 2008-12-22
US61/139,635 2008-12-22
US14902409P 2009-02-02 2009-02-02
US61/149,024 2009-02-02
US14970809P 2009-02-04 2009-02-04
US61/149,708 2009-02-04
US15755509P 2009-03-05 2009-03-05
US61/157,555 2009-03-05
US16822309P 2009-04-10 2009-04-10
US61/168,223 2009-04-10
US18167209P 2009-05-28 2009-05-28
US61/181,672 2009-05-28
US22058409P 2009-06-26 2009-06-26
US61/220,584 2009-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116A true KR20100047116A (ko) 2010-05-07
KR101276854B1 KR101276854B1 (ko) 2013-06-18

Family

ID=422742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916A KR101276854B1 (ko) 2008-10-27 2009-07-24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 구성 정보 통지 방법
KR1020090067915A KR101294813B1 (ko) 2008-10-27 2009-07-24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 전송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915A KR101294813B1 (ko) 2008-10-27 2009-07-24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5268205B2 (ko)
KR (2) KR101276854B1 (ko)
CN (2) CN10219761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813B1 (ko) * 2008-10-27 2013-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 전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0724A2 (en) 2008-10-27 2010-05-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informing user equipment of downlink control message construction information in cellular system
KR101363001B1 (ko) 2010-11-01 2014-0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검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851B1 (ko) * 1999-12-29 200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AU2002317073A1 (en) 2001-06-27 2003-03-03 Nortel Networks Limited Mapping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KR100557150B1 (ko) 2003-10-31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제어 메시지 전송프레임 및 그 방법
KR100946910B1 (ko) * 2003-11-19 201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제어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50114165A (ko) * 2004-05-31 2005-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신 방법
CN101253790B (zh) * 2005-08-30 2012-11-07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高速下行链路分组接入的控制消息的侦测
US7664091B2 (en) * 2005-10-03 2010-02-1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and reception
KR101002800B1 (ko) * 2006-06-09 2010-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제어 정보 송신 방법
EP1901496B1 (en) * 2006-09-12 2010-09-01 Panasonic Corporation Link adaptation dependent on control signaling
TWI416913B (zh) * 2006-10-02 2013-11-21 Lg Electronics Inc 傳輸下鏈控制訊號的方法
KR101049138B1 (ko) * 2007-03-19 201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확인신호 수신 방법
EP3598653B1 (en) * 2007-10-29 2021-03-10 Panasonic Corporation Control channel allocation
KR101276854B1 (ko) * 2008-10-2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 구성 정보 통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813B1 (ko) * 2008-10-27 2013-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68204B2 (ja) 2013-08-21
CN102197608A (zh) 2011-09-21
JP2012507184A (ja) 2012-03-22
KR101294813B1 (ko) 2013-08-08
KR101276854B1 (ko) 2013-06-18
CN102197619B (zh) 2014-10-29
CN102197619A (zh) 2011-09-21
JP2012507185A (ja) 2012-03-22
KR20100047115A (ko) 2010-05-07
JP5268205B2 (ja) 2013-08-21
CN102197608B (zh)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4121B2 (en) Method for informing user equipment of downlink control message construction information in cellular system
US1085631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ommunicating via sub-band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P1901496B1 (en) Link adaptation dependent on control signaling
CN103648147B (zh) 用于无线系统的控制信令的方法
CN103095398B (zh) 传输控制信息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KR101527008B1 (ko)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위한 제어 정보 제공 방법
CN116388943A (zh) 资源单元指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224763B (zh) 一种下行传输方法和用户终端设备
EP2418899B1 (en) Processing method for group resource allocation
CN106411465B (zh) 传输信道状态信息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CN107911205A (zh) 无线通信方法、无线通信系统、基站和终端
US8958443B2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a broadcast channel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1112018A2 (ko) 캐리어 병합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시그널링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29523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messages in cellular system
KR101276854B1 (ko)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 구성 정보 통지 방법
US20150318967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KR20100010498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그룹 자원할당 방법
CN108023664B (zh) 干扰协调方法和系统、基站、用户终端和频谱分配装置
US20240039664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structing type 1 harq-ack codebook
CN113498167A (zh) 利用群组广播方式传送小数据包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