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6462A -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 보강용 탄소섬유판 보강재의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 보강용 탄소섬유판 보강재의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6462A
KR20100046462A KR1020080105307A KR20080105307A KR20100046462A KR 20100046462 A KR20100046462 A KR 20100046462A KR 1020080105307 A KR1020080105307 A KR 1020080105307A KR 20080105307 A KR20080105307 A KR 20080105307A KR 20100046462 A KR20100046462 A KR 20100046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fiber
prestressing
fiber plate
reinforcement
tes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상균
송영철
한상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80105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6462A/ko
Publication of KR20100046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4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085Tensile members made of fiber reinforced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섬유판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보나 슬래브의 휨 보강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에 가장 유효하게 사용되어지는 프리스트레싱 공법에 의한 효과 및 프리스트레싱을 가장 효과적으로 부가할 수 있는 탄소섬유판 단부 정착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프리스트레싱 공법을 적용할 수 있는 탄소섬유판 단부 정착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을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 보강 및 전단보강 효과를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하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콘크리트, 탄소섬유판,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 유압장치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 보강용 탄소섬유판 보강재의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A Prestressing Anchorage System of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Plate for Flexural Strengthening of RC Structures}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 보강용 탄소섬유판 보강재의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소섬유판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의 보수보강시 가장 효과적으로 탄소섬유판을 프리스트레싱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 보강용 탄소섬유판 보강재의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수명이 다한 경우나 예기치 못한 응력이 가해져 균열발생 또는 발생우려가 있는 경우에 이를 무시하는 경향이 팽배했으나, 구조물 안전에 관한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그리고 건축 및 토목분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진단 및 이를 바탕으로 한 보수보강 기술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한편, 국내·외적으로 노후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증가함에 따라 강판이나 FRP(fiber reinforced polymer)등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전체 건설시장 가운데 구조물 보수·보강 분야의 비중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역학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내부식성의 장점을 갖고 있는 탄소섬유 보강재와 같은 복합 신소재가 기존의 강판대용으로 이용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관리 및 보수·보강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FRP를 이용한 보강공법은 고가의 보강재 료의 사용으로 인한 경제성 문제와 FRP로 보강된 구조물이 파괴되는 경우 취성적으로 파괴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어 그 사용이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FRP 생산업체의 증가와 제조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저렴한 FRP의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무엇보다도 FRP를 현장 시공하는 경우 기존 보강재료에 비해 공사기간을 크게 줄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전체 시공경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어 현재는 그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재료를 이용한 기존의 보강방법은 주로 표면부착을 통해 보강이 이루어지므로 보강재 단부에서의 응력집중과 환경적 요인(통기성, 수분 접촉 등)에 의해 부식 및 박리가 발생하여 보강재가 충분한 성능을 발휘하기도 전에 조기 파괴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육안으로 관측되지 않기 때문에 진행된다 하더라도 감지할 수가 없고 추측에 의한 정성적인 평가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탄소섬유판(CFRP)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보나 슬래브를 보수 보강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 보강용 탄소섬유판보강재의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으로서,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로 이루어지며, 소정 위치에 앵커볼트공이 천공된 시험체; 보강재로서 상기 시험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탄소섬유판; 상기 시험체와 상기 탄소섬유판의 한쪽 선단에 배치되며 프리스트레싱력을 조절하여 부가하며, 제1, 2 이동단 곡률을 갖는 상, 하부 이동단으로 구성된 이동단; 상기 이동단이 형성된 타측의 시험체에 앵커볼트에 의해 설치되고 탄소섬유판을 고정결합시키기 위한 제1, 2 고정단 곡률을 갖는 상, 하부 고정단으로 구성된 고정단; 및 상기 탄소섬유판에 프리스트레스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이동단 측에 설치된 유압장치; 상기 유압장치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2 고정단 곡률과 동일한 곡률반경인 제 1, 2 가동단 곡률을 형성하는 상, 하부 가동단으로 구성되고, 탄소섬유판에 프리스트레싱력이 가해진 후, 시험체와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가동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소섬유판 및 고정단은 에폭시 수지에 의해 상기 시험체에 부착되며, 상기 앵커볼트가 앵커볼트공에 체결될 때 에폭시 수지가 주입되며, 상기 에폭시 수지는 상온에서 2일 이상 경화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보강용 탄소섬유판 보강재의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의 이동단의 상, 하부 이동단에 형성된 제 1 이동단 곡률은 450 ∼ 500mm이내로 형성하고, 제 2이동단 곡률은 150 ∼ 200mm이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보강용 탄소섬유판 보강재의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의 고정단의 상, 하부 고정단에 형성된 제 1 고정단 곡률은 250 ∼ 300mm이내로 형성하고, 제 2 고정단 곡률은 600 ∼ 650mm이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보강용 탄소섬유판 보강재의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은, 콘크리트 보의 보강을 프리스트레싱을 위한 장치를 이용하여 탄소섬유판을 프리스트레싱공법으로 정착시킴으로써, 현장적용이 용이하면서 공기단축 및 우수한 보강효과와 더불어 재료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의 이용시 탄소섬유판을 클램핑하는 각각의 접착판 형상을 슬립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탄소섬유판의 파손을 줄일 수 있는 구조인 곡률 형상으로 제작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물의 신축공사뿐만 아니라 보수공사시에도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200)은, 시험체(110), 탄소섬유판(120), 이동단(130), 고정단(140), 유압장치(150) 및 가동단(1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험체(110)는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로 이루어지며, 소정 위치에는 앵커볼트(미도시)에 의해 후술할 가동단(160) 및 고정단(14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앵커볼트공(미도시)이 천공되어진다.
상기 탄소섬유판(120)은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의 보강재로서 상기 시험체(110)의 표면에 에폭시 수지에 의해 부착되며, 양 측면으로는 상기 가동단(160) 및 고정단(140)에 의해 고정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탄소섬유판(120)은 다양한 형 태로 형성할 수 있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X축 방향으로만 방향성을 갖는 일방향의 탄소섬유판(120)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이동단(130)은 시험체(110)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되며 후술할 유압장치(150)를 이용하여 탄소섬유판(120)에 프리스트레싱력을 조절하여 부가하고, 시험체(110)에서 탄소섬유판(120)을 해체시킬 수 있도록 후술하겠지만, 도 4의 상부 이동단(131)과 하부 이동단(132) 사이에 탄소섬유판(120)을 넣고 압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탄소섬유판(120)의 한쪽 선단에 배치되어 프리스트레싱력을 조절하여 부가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이동단(130)은 제1, 2 이동단 곡률(R1, R2)을 갖는 상, 하부 이동단(131, 1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이동단(131)의 하측과 하부 이동단(132)의 상측은 제1, 2 이동단 곡률(R1, R2)을 형성하여, 상기 탄소섬유판(120)의 끝단이 결합될 때에 탄소섬유판(120)이 결 방향으로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유압장치(150)를 이용하여 탄소섬유판(120)에 프리스트레싱력을 가할 때에, 시험체(110)에 고정되지 않은 이동단(130)으로 부터 탄소섬유판(120)이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탄소섬유판(120)을 클램핑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이동단 곡률(R1)과 제 2이동단 곡률(R2)의 반경은 이동단(130)의 가동시 탄소섬유판(120)의 파손 방지 및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반경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상기 제 1이동단 곡률(R1)은 450 ∼ 500mm로 형성하고, 제 2이동단 곡률(R2)은 150 ∼ 200mm로 차이를 두고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출원인이 상기와 같이 차이를 두고 형성하였을 때에 탄소섬유판(12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탄소섬유판(120)에 프리스트레스력을 가하였을 때, 제1, 2 이동단 곡률(R1, R2)에 의해 마찰력이 증가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임을 실험을 통해 얻은 수치이다.
한편, 상기 고정단(140)은 시험체(110) 중 이동단(130)이 설치된 위치의 반대방향에 에폭시 수지 및 앵커볼트에 의해 설치되어 탄소섬유판(120)의 끝단을 고정결합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단(140)은 도 5에서와 같이 제1, 2 고정단 곡률(r1, r2)을 형성한 상, 하부 고정단(141, 142)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고정단(142)은 시험체(110)에 고정결합하도록 에폭시 수지 및 앵커볼트에 의해 결합되며, 상부 고정단(141)의 하측과 하부 이동단(142)의 상측으로 제1, 2 고정단 곡률(r1, r2)을 형성하여, 상기 탄소섬유판(120)의 끝단이 고정결합될 때에 탄소섬유판(120)이 결 방향으로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탄소섬유판(120)의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2 고정단 곡률(r1,r2)의 반경은 이동단(130)과는 다르게, 에폭시 수지 및 앵커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이동단(130)보다 탄소섬유판(120)을 클램핑하는 힘이 더 크기 때문에, 이동단(130)에 형성된 제1, 2 이동단 곡률(R1, R2)보다 완만한 형태로 탄소섬유판(120)의 파손 및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반경으로 형성하되,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고정단 곡률(r1)의 반경은 250 ∼ 300mm로 형성하고, 제2 고정단 곡률(r2)은 600 ∼ 650mm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이는, 본 출원인이 상기와 같이 차이를 두고 형성하였을 때에 탄소섬유판(12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탄소섬유판(120)에 프리스트레스력을 가하였을 때에, 제1, 2 고정단 곡률(r1, r2)에 의해 마찰력이 증가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임을 실험을 통해 얻은 수치이다.
또한, 상기 고정단(140)을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 즉, 시험체(110)에 체결하는 앵커볼트가 앵커볼트공에 체결될 때 에폭시 수지를 주입하여 앵커볼트의 유동을 최소화한다.
상기 유압장치(150)는 탄소섬유판(120)에 프리스트레스력을 정확하게 가하기 위해서 이동단(130) 측에 설치되어 있되, 이동단(130)과 고정단(140) 사이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유압장치(150)의 하측에는 유압장치(150)와 결합된 가동단(160)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가동단(160)도 상술한 이동단(130)과 마찬가지로 시험체(110)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치한다. 즉, 이동단(130)을 이용하여 탄소섬유판(120)에 프리스트레싱력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동단(160)을 시험체(110)에서 고정하지 않은 상태로 놓고 소정의 프리스트레싱력을 도입해야 한다.
다음에 탄소섬유판(120)에 프리스트레싱력을 가한 후, 탄소섬유판(120)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시험체(110)에 결합함과 동시에 상측에 결합된 유압장치(150)를 해체하고 이동단(130)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섬유판(120) 및 고정단(140)을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로 이루어진 시험체(110)에 부착하기 위한 에폭시 수지는 상온에서 2일 이상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을 이용하여서 콘크리트 구조물 프리스트레싱 공법을 통해 탄소섬유판의 보강성능을 규명하기 위해 무보강된 기준실험체와 보강된 실험체와의 극한 하중, 극한상태에서의 처짐, 철근 및 보강재의 변형률 그리고 파괴모드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상기 프리스트레싱 보강방법의 효율성 및 적용성을 분석하기 위해 탄소섬유판을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에 보강한 후 4점 휨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콘크리트 보를 대상으로 무보강, 표면 부착 그리고 프리스트레싱 보강된 실험체의 거동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상기 콘크리트 보의 보강을 위해 사용된 탄소섬유판(120)은 스위스 에스(Swiss S)사에서 개발한 두께가 1.4mm인 라미네이트(Laminate) 150/2000 제품으로서, 철근과 비교하여 탄성계수는 거의 동일하지만 인장강도는 5배 정도 우수한 재료를 이용하였다.
상기 탄소섬유판(120)의 재료물성치는 표 1과 같다.
탄성계수(MPa) 극한 강도(MPa) 극한 변형률(%)
S&P Laminate (150/2000) 165,000 2,700~3,000 1.4
상기 탄소섬유판(120), 이동단(130) 및 고정단(140)을 시험체(110)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된 에폭시 수지는 스위스 에스(Swiss S)사의 제품인 에폭시 레진 220을 사용하였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주제와 경화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재료 물성치는 표 2와 같다.
압축강도*(MPa) 휨강도*(MPa) 부착강도**(MPa) 경도***(HDD)
에폭시수지 220 80.3 42.2 3.0 84
시험방법 : * KS M 3015 - '97, ** KS F 4921 - '99, *** KS M 3043 - '90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을 이용하여서 콘크리트 구조물 프리스트레싱 공법에 의한 콘크리트 보의 보강성능을 규명하는데 있어서, 약간의 휨실험 변수들이 적용되는 데, 그 변수들을 요약하면 표 3과 같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의 시험체에 대한 상세도로서, 탄소섬유판(120)으로 휨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성능 개선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시험체(110)이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보의 시험체(110)를 구성하여 탄소섬유판(120)을 콘크리트 보의 인장부에 부착한 후 시험체(110)에서 휨파괴나 탄소섬유판(120)의 박리파괴가 발생하기 전에 전단파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단철근(360)을 150mm 간격으로 배근하였다.
상기 시험체(110)에 사용된 인장철근은 KS D 3504의 이형철근으로 SD 400을 사용하였다.
또한, 압축철근(370)과 전단철근(360)은 D10 철근을 사용하였으며, 그 재료 물성치는 표 4와 같다.
휨실험 변수
실험체명 콘크리트강도*(MPa) 보강방법 프리스트레싱 수준**(%) 프리스트레스력 (kN) 인장철근비 (%)
MU-III 28.0 (27.0) 무보강 - - 0.86
M0-III 28.0 (27.0) 표면부착 - - 0.86
M4-III 28.0 (27.0) 프리스트레싱 보강 0.4(0.40) 46.1 0.86
M6-III 28.0 (27.0) 프리스트레싱 보강 0.6(0.61) 70.9 0.86
M8-III 28.0 (27.0) 프리스트레싱 보강 0.8(0.80) 92.0 0.86
M4-I 28.0 (27.0) 프리스트레싱 보강 0.4(0.51) 58.3 0.30
M6-I 28.0 (27.0) 프리스트레싱 보강 0.6(0.60) 69.5 0.30
M8-I 28.0 (27.0) 프리스트레싱 보강 0.8(0.73) 84.4 0.30
M6-II 28.0 (27.0) 프리스트레싱 보강 0.6(0.61) 71.0 0.55
M8-II 28.0 (27.0) 프리스트레싱 보강 0.8(0.80) 92.6 0.55
M6-IV 28.0 (27.0) 프리스트레싱 보강 0.6(0.64) 74.0 1.26
M8-IV 28.0 (27.0) 프리스트레싱 보강 0.8(0.72) 83.4 1.26
L6-III 21.0 (21.8) 프리스트레싱 보강 0.6(0.59) 67.9 0.86
L8-III 21.0 (21.8) 프리스트레싱 보강 0.8(0.77) 88.7 0.86
H6-III 36.0 (33.0) 프리스트레싱 보강 0.6(0.57) 66.2 0.86
H8-III 36.0 (33.0) 프리스트레싱 보강 0.8(0.78) 90.5 0.86
U7-I 40.0 (44.1) 프리스트레싱 보강 0.7(0.65) 74.7 0.30
U7-II 40.0 (44.1) 프리스트레싱 보강 0.7(0.69) 80.2 0.55
U7-III 40.0 (44.1) 프리스트레싱 보강 0.7(0.70) 81.1 0.86
U7-IV 40.0 (44.1) 프리스트레싱 보강 0.7(0.77) 88.6 1.26
.1.1.1.1.1.1.*:목표강도(실제강도), ** : 목표 프리스트레싱 수준(실제 프리스트레싱 수준)
철근치수 탄성계수(MPa) 인장강도(MPa) 항복강도(MPa) 신장률(%)
D10mm* 2×105 626.2 500.7 17.8
D13mm* 622.2 498.7 20.0
D16mm* 732.1 476.2 16.3
D19mm* 683.1 465.8 16.4
* KS D3504 SD400, INI Steel Company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행하였다.
상기 실험은 탄소섬유판(CFRP)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보나 슬래브를 보수보강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 보강용 탄소섬유판(120) 보강재의 프리스트레싱 정착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탄소섬유판(120)을 상기 콘크리트의 보나 슬래브의 시험체(110)의 표면에 용이하게 부착하기 위한 표면처리단계(S10); 프리스트레싱 전에 상기 콘크리트의 보나 슬래브의 시험체(110) 표면에 탄소섬유판(120) 및 고정단(140)을 에폭시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이동단(130) 및 유압장치(150)를 결합한 가동단(160)을 시험체(110) 표면에 배치하기 위한 부착 및 배치단계(S20); 프리스트레스력을 도입하고 상기 고정단(14), 상기 이동단(130) 및 유압장치(150)를 결합한 가동단(160)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의 시험체(110)표면에 탄소섬유판(120)을 부착 ㅇ 고정시키기 위한 가력 및 부착고정단계(S30); 및 상기 콘크리트의 보나 슬래브의 시험체(110)와 탄소섬유판(120) 및 고정단(140)에 주입된 에폭시를 양생하기 위한 에폭시 양생단계(S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면처리단계(S10)는, 상기 콘크리트의 보나 슬래브의 시험체(110) 표면을 연삭기를 이용하여 그라인딩 처리하는 단계(S11), 해머드릴을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의 보나 슬래브 시험체(110) 소정 위치에 앵커볼트공을 천공하는 단계(S12), 상기 콘크리트의 보나 슬래브 시험체(110)의 표면 및 천공된 앵커볼트공을 물과 공기를 이용하여 고압 세척하는 단계(S13), 고압세척된 상기 콘크리트의 보나 슬래브 시험체(110)를 건조시키는 단계(S14)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 및 배치단계(20)는, 프리스트레싱 전에 상기 탄소섬유판(120)을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 시험체(110)의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S21), 고정단(140)을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 시험체(110) 및 탄소섬유판(120) 상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부착시키고, 시험체(110)의 표면에 이동단(130) 및 유압장치(150)를 결합한 가동단(160)을 배치하는 단계(S22), 상기 앵커볼트의 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앵커볼트공에 에폭시를 주입하는 단계(S23), 및 상기 고정단(140)을 상기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 시험체(110)와 일체화시킨 후, 에폭시를 경화시키는 단계(S24)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력 및 부착고정단계(S30)는, 상기 고정단(140)의 상부 고정단(141)과 하부 고정단(142)를 앵커볼트로 체결하여 상기 탄소섬유판(120)의 일측 끝단을 상기 고정단(140)에 고정시키는 단계(S31)와, 에폭시 수지를 상기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의 아래 부분인 시험체(110)의 하면과 상기 탄소섬유판(120) 상에 약 2 ~ 3mm 정도로 균일하게 바른 후 압착시키는 단계(S32), 상기 탄소섬유판(120)을 이동단(130)의 유압장치(150)를 이용하여 밀어내어 프리스트레스력을 가하는 단계(S33), 상기 가동단(160)과 시험체(110)를 앵커볼트로 조여 긴장된 탄소섬유판(120)을 가동단측 정착판에 고정시키는 단계(S34)와, 시험체(110)에 배치된 이동단(130)과 가동단(160) 상측의 유압장치(150)를 탈착시키는 탈착단계(S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폭시 양생단계(S40)는 상온에서 2일 이상 행해지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단계들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보강용 탄소섬유판(120) 보강재의 프리스트레싱 정착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탄소섬유판(120)으로 보강한 시험체의 휨실험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시스템의 시험장비를 구성하였으며, 유압잭(도면에 미도시)과 로드셀(도면에 미도시)로 이루어진 유압장치(150)를 통해 하중이 재하되도록 하였다.
상기 하중재하는 500kN 용량의 유압장치(150)를 이용하였으며, 하중재하방식에 의해 4점 재하하였다.
상기 콘크리트 보의 중앙부에 위치한 인장철근에 3개의 변형률 게이지와 탄소섬유판(120)에 5개의 게이지를 부착하여 변형률을 측정하였으며, 처짐을 측정하기 위해 변위계(linear variable displacement transducer, LVDT)를 2개 설치하여 그 평균값을 변위로 취하였다.
또한, 데이터 로거(data logger)를 이용하여 시험체(110)의 최종 파괴 시까지 시험체(110) 중앙부에서의 처짐과 철근, 콘크리트 그리고 탄소섬유판(120)의 변형률을 하중단계별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시험체(110)의 초기균열과 균열진행상황, 탄소섬유판(120)의 탈락 등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기록하였으며, 각 하중단계에서 발생되는 균열을 부재면에 기록하여 실험 종료 후 균열도를 작성하였다.
기준 실험체 및 탄소섬유판(120)으로 프리스트레싱 휨보강된 콘크리트 보의 휨실험 결과는 다음의 표 5와 같다.
실험결과 기준실험체와 비교하여 탄소섬유판(120)을 표면부착한 경우 하중저항능력이 20.6% 증가함을 보였으며, 프리스트레싱 보강된 실험체는 46.7 내지243.0% 증가하여 보강효과가 표면 부착한 경우에 비해 크게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보강된 실험체의 경우 기준실험체에 비해 초기균열 발생시점의 하중이 증가하여 초기균열 억제효과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08074375110-PAT00001
기준실험체의 파괴형태는 인장철근 항복 이후 콘크리트의 압축부가 파괴되는 전형적인 휨파괴 형태를 보였지만, 탄소섬유판(120)을 표면부착 보강한 경우는 계면박리파괴, 그리고 탄소섬유판(120)을 프리스트레싱 보강한 경우는 철근의 항복 후에 탄소섬유판(120)을 접착시킨 에폭시가 파괴된 다음, 탄소섬유판(120)의 인장파괴양상과 정착판의 박락에 의한 파괴양상을 나타내었다.
도 6은 콘크리트 보의 강도에 따른 하중-처짐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프리스트레싱 수준이 0.6%로 거의 동일하고 콘크리트 보의 강도가 다른 L6-III, M6-III, H6-III 실험체의 하중-CFRP판의 변형률 관계를 나타내었다.
프리스트레싱 수준이 동일하고 철근비가 동일한 경우 콘크리트 강도와 상관없이 하중-탄소섬유판의 변형률 곡선이 거의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모든 실험체의 파괴 시 변형률이 탄소섬유판(120)의 직접 인장시 극한 변형률 1.4%를 상회하는 것으로 휨 인장 극한 변형률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콘크리트 보의 프리스트레싱 정착방법에 따른 최대하중의 비교 그래프이며, 도 8은 콘크리트 보의 프리스트레싱 정착방법에 따른 하중-처짐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7 및 도 8은 콘크리트 강도와 철근비가 동일한 실험체에서 보강방법과 프리스트레싱 수준에 따른 최대하중과 하중-처짐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MU-III(111)은 콘크리트 강도 21㎫, 0.8%(88.7kN 프리스트레싱력)프리스트레싱 수준을 가한 인장철근비 0.86% 시험체(110)이고, M0-III(112)는 콘크리트 강도 28㎫, 0.6%(70.9kN 프리스트레싱력)프리스트레싱 수준을 가한 인장철근비 0.86% 시험체(110)이고, M4-III(113)는 콘크리트 강도 28㎫, 0.4%(46.1kN 프리스트레싱력)프리스트레싱 수준을 가한 인장철근비 0.86% 시험체(110)이고, M6-III(114)는 콘크리트 강도 28㎫, CFRP판 표면부착 상태의 인장철근비 0.86% 시험체(110)이며, M8-III(125)는 콘크리트 강도 28㎫, 무보강 상태의 인장철근비 0.86% 시험체(110)이다.
상기 시험체(110)들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M0-III은 MU-III에 비해 20.6%의 하중증가율을 보였고, M4-III, M6-III, M8-III은 각각 51.7%, 59.4% 68.4%를 나타내어 보강방법의 효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초기균열도 기준실험체에 비해 프리스트레싱 보강한 경우가 상당히 지연됨을 알 수 있었고, 보강방법에 따른 하중-처짐 곡선이 확연히 구분됨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프리스트레싱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극한하중은 증가하나 그 이후의 거동에 있어서는 명확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표면 부착한 경우에 비해 연성이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9는 동일한 강도를 나타내는 콘크리트 보에 탄소섬유판(120)의 프리스트레싱 수준을 변화하여 부가된 시험체(110)의 하중 및 변형률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M0-III에서는 탄소섬유판(120)의 변형률이 약 0.67%에서 계면박리 파괴가 발생하여, 탄소섬유판(120) 재료성능의 50% 수준까지 성능을 발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M4-III, M6-III, 그리고 M8-III 실험체의 파괴 시 탄소섬유판(120) 변형률은 모두 1.4%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프리스트레싱 보강을 하는 경우 탄소섬유판(120)의 재료성능을 거의 100%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동일한 강도를 나타내는 콘크리트 보에 탄소섬유판(120)의 프리스트레싱 수준을 변화하여 부가된 시험체(110)의 최대하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보의 인장철근비가 0.30%인 경우가 기준실험체에 비해 최대하중의 증가율이 169.6%, 188.1%, 199.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든 시험체에서 탄소섬유판(120)의 재료성능이 100% 발휘되는 것이며, 각 시험체에서 재료성능에 해당하는 휨성능이 증가하였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프리스트레싱 수준에 따라 하중이 증가하는 것은 프리스트레싱 수준이 커짐에 따라 초기균열 시점이 지연되고 최대하중 부근에서 에폭시가 떨어지는 시점이 지연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또한, 기준실험체에 비해 탄소섬유판(120)을 표면부착한 경우 파괴하중은 20.6% 증가하였으며, 프리스트레싱 보강을 한 경우는 46.7 내지 243.0%까지 증가하여 보강에 따른 휨성능 증대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표면부착 보강을 한 경우는 탄소섬유판(120)의 변형률이 약 0.67%에서 계면박리 파괴가 일어난 반면, 프리스트레싱 보강을 한 경우는 극한 변형률을 넘어 항복인장강도에 가까운 약 1.3~1.5%에서 파괴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섬유판(120)의 프리스트레싱 보강을 통해 콘크리트의 초기균열 발생시점을 상당히 지연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프리스트레싱 보강을 한 경우 프리스트레싱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파괴하중이 증가함을 알수 있으며, 시험체의 인장철근비가 작을수록 하중증가율을 보여 보강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탄소섬유판(120)의 효과적인 프리스트레싱 보강을 위해서는 앵커볼트의 길이나 보강길이에 요구되는 적정 프리스트레싱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싱 정착방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를 보수보강하기 위한 정착 시스템의 개요도.
도 2는 도 1의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를 보수보강하기 위한 정착 시스템에 대한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 시험체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콘크리트강도에 따른 하중-처짐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콘크리트 보의 프리스트레싱 정착방법에 따른 최대하중의 비교 그래프.
도 8은 콘크리트 보의 프리스트레싱 정착방법에 따른 하중-처짐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동일한 강도를 나타내는 콘크리트 보에 탄소섬유판의 프리스트레싱 수준을 변화하여 부가된 시험체의 하중 및 변형률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동일한 강도를 나타내는 콘크리트 보에 탄소섬유판의 프리스트레싱 수준을 변화하여 부가된 시험체의 최대하중을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시험체 120: 탄소섬유판
130: 이동단 131 : 상부 이동단
132 : 하부 이동단 140: 고정단
141 : 상부 이동단 142 : 하부 이동단
150: 유압장치 160 : 가동단
161 : 상부 가동단 162 : 하부 가동단
R1 : 제1 이동단 곡률 R2 : 제2 이동단 곡률
r1 : 제1 고정단 곡률 r2 : 제2 고정단 곡률
r3 : 제1 가동단 곡률 r4 : 제2 가동단 곡률
200 :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보강용 탄소섬유판 보강재의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
111: 콘크리트 강도 21㎫, 0.8%(88.7kN 프리스트레싱력)프리스트레싱 수준을 가한 인장철근비 0.86% 시험체
112: 콘크리트 강도 28㎫, 0.6%(70.9kN 프리스트레싱력)프리스트레싱 수준을 가한 인장철근비 0.86% 시험체
113: 콘크리트 강도 28㎫, 0.4%(46.1kN 프리스트레싱력)프리스트레싱 수준을 가한 인장철근비 0.86% 시험체
114: 콘크리트 강도 28㎫, CFRP판 표면부착 상태의 인장철근비 0.86% 시험체
115: 콘크리트 강도 28㎫, 무보강 상태의 인장철근비 0.86% 시험체

Claims (3)

  1. 탄소섬유판(CFRP)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보나 슬래브를 보수보강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보강용 탄소섬유판보강재의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에 있어서,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로 이루어지며, 소정 위치에 앵커볼트공이 천공된 시험체(110);
    보강재로서 상기 시험체(110)의 표면에 부착되는 탄소섬유판(120);
    상기 시험체(110)와 상기 탄소섬유판(120)의 한쪽 선단에 배치되며 프리스트레싱력을 조절하여 부가하며, 제1, 2 이동단 곡률(R1, R2)을 갖는 상, 하부 이동단(131, 132)으로 구성된 이동단(130);
    상기 이동단(130)이 형성된 타측의 시험체(110)에 앵커볼트에 의해 설치되어 있으며 탄소섬유판(120)을 고정결합시키기 위한 제1, 2 고정단 곡률(r1, r2)을 갖는 상, 하부 고정단(141, 142)으로 구성된 고정단(140); 및
    상기 탄소섬유판(120)에 프리스트레싱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이동단(130) 측에 설치된 유압장치(150);
    상기 유압장치(15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2 고정단 곡률(r1, r2)과 동일한 곡률반경인 제1, 2 가동단 곡률(r3, r4)을 갖는 상, 하부 가동단(161, 16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탄소섬유판(120)에 프리스트레싱력이 가해진 후, 시험체(110)와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가동단(16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소섬유판(120) 및 고정단(140)은 에폭시 수지에 의해 상기 시험체(110)에 부착되며,
    상기 앵커볼트가 앵커볼트공에 체결될 때 에폭시 수지가 주입되며,
    상기 에폭시 수지는 상온에서 2일 이상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보강용 탄소섬유판 보강재의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130)의 상, 하부 이동단(131, 132)의 제1 이동단 곡률(R1)은 450 ∼ 500mm이내로 형성하고, 제2 이동단 곡률(R2)은 150 ∼ 200mm이내로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보강용 탄소섬유판 보강재의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140)의 상, 하부 고정단(141, 142)의 제1 고정단 곡률(r1)은 250 ∼ 300mm이내로 형성하고, 제2 고정단 곡률(r2)은 600 ∼ 600mm이내로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보강용 탄소섬유판 보강재의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
KR1020080105307A 2008-10-27 2008-10-27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 보강용 탄소섬유판 보강재의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 KR201000464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307A KR20100046462A (ko) 2008-10-27 2008-10-27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 보강용 탄소섬유판 보강재의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307A KR20100046462A (ko) 2008-10-27 2008-10-27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 보강용 탄소섬유판 보강재의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462A true KR20100046462A (ko) 2010-05-07

Family

ID=42273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307A KR20100046462A (ko) 2008-10-27 2008-10-27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 보강용 탄소섬유판 보강재의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6462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2152A (zh) * 2011-09-29 2012-01-18 重庆大学 预应力碳纤维板张拉系统及张拉加固方法
CN104775629A (zh) * 2015-04-14 2015-07-15 沈阳工业大学 自控式纤维布预应力张拉的方法和设备
CN105369746A (zh) * 2015-12-02 2016-03-02 洛阳双瑞特种装备有限公司 一种预应力碳纤维加固张拉弯转装置
CN105569349A (zh) * 2015-12-25 2016-05-11 广东工业大学 一种纤维布预应力施加装置和方法
CN106049300A (zh) * 2016-08-03 2016-10-26 深圳市威士邦建筑新材料科技有限公司 牵引式预应力碳纤维筋张拉装置及施工方法
CN106703433A (zh) * 2016-12-29 2017-05-24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预应力纤维片材组合装配式张拉装置及其施工方法
CN106836021A (zh) * 2017-01-06 2017-06-13 东南大学 一种预应力frp片材抗剪加固混凝土梁实验装置
CN109881591A (zh) * 2019-04-04 2019-06-14 徐慧云 碳纤维板反向张拉预应力锚具
CN115030553A (zh) * 2022-07-05 2022-09-09 王明明 一种建筑工程的预应力加固结构
CN115095182A (zh) * 2022-07-19 2022-09-23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一种新型纤维布的锚固装置及方法
CN117664548A (zh) * 2023-12-11 2024-03-08 长沙理工大学 一种cfrp加固梁耐久性试验设备及试验方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2152A (zh) * 2011-09-29 2012-01-18 重庆大学 预应力碳纤维板张拉系统及张拉加固方法
CN104775629B (zh) * 2015-04-14 2017-05-31 沈阳工业大学 自控式纤维布预应力张拉的方法和设备
CN104775629A (zh) * 2015-04-14 2015-07-15 沈阳工业大学 自控式纤维布预应力张拉的方法和设备
CN105369746A (zh) * 2015-12-02 2016-03-02 洛阳双瑞特种装备有限公司 一种预应力碳纤维加固张拉弯转装置
CN105569349A (zh) * 2015-12-25 2016-05-11 广东工业大学 一种纤维布预应力施加装置和方法
CN105569349B (zh) * 2015-12-25 2017-03-29 广东工业大学 一种纤维布预应力施加装置和方法
CN106049300A (zh) * 2016-08-03 2016-10-26 深圳市威士邦建筑新材料科技有限公司 牵引式预应力碳纤维筋张拉装置及施工方法
CN106703433A (zh) * 2016-12-29 2017-05-24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预应力纤维片材组合装配式张拉装置及其施工方法
CN106836021A (zh) * 2017-01-06 2017-06-13 东南大学 一种预应力frp片材抗剪加固混凝土梁实验装置
CN106836021B (zh) * 2017-01-06 2018-07-24 江苏纬信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预应力frp片材抗剪加固混凝土梁实验装置
CN109881591A (zh) * 2019-04-04 2019-06-14 徐慧云 碳纤维板反向张拉预应力锚具
CN115030553A (zh) * 2022-07-05 2022-09-09 王明明 一种建筑工程的预应力加固结构
CN115095182A (zh) * 2022-07-19 2022-09-23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一种新型纤维布的锚固装置及方法
CN117664548A (zh) * 2023-12-11 2024-03-08 长沙理工大学 一种cfrp加固梁耐久性试验设备及试验方法
CN117664548B (zh) * 2023-12-11 2024-05-17 长沙理工大学 一种cfrp加固梁耐久性试验设备及试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6462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 보강용 탄소섬유판 보강재의 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
El-Hacha et al. Flexural strengthening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using prestressed, near-surfacemounted CFRP bars.
Bournas et al. Flexural strengthening of RC columns with NSM FRP or stainless steel
Qeshta et al. Flexural behaviour of RC beams strengthened with wire mesh-epoxy composite
Obaydullah et al. Prestressing of NSM steel strands to enhanc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prestressed concrete beams
Yinh et al. Strengthening effect of natural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NFRP) on concrete
KR20070046581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보강용 탄소섬유판 보강재의프리스트레싱 정착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방법
Glišović et al. Glulam beams externally reinforced with CFRP plates
Shahverdi et al. Strengthening of RC beams with iron-based shape memory alloy strips
Al-Jabari et al. Effectiveness of FRCM system in strengthening reinforced masonry walls subjected to cyclic loading
Samad et al. Shear rehabilitation of RC deep beams using NSM CFRP anchor bars
Khalifa et al. FRP composites for shear strengthening of RC beams
Kałuża et al. Comparison of behaviour of concrete beams with passive and active strengthening by means of CFRP strips
Mahmoud et al. Strengthening of prestressed concrete hollow-core slab openings using near-surface-mounted carbonfiber-reinforced polymer reinforcement
Djamaluddin et al. Flexural capacity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strengthened using GFRP sheet after fatigue loading for sustainable construction
Shrivastava et al. Effect of cyclic loading on flexural behaviour of FRP strengthened RC beams: A stability point approach
Abbas et al. Impact of anchored CFRP composites on the strengthening of partially damaged PC girders
Gopinath et al. Strengthening of Load Bearing Masonry Wall Panels with Externally Bonded Precast Textile Reinforced Concrete Laminate
FRITSCH et al. Nailed iron-based shape memory alloy (Fe-SMA) strips for strengthening of steel members
Woo et al. Development of strength prediction method of RC beams strengthened with prestressed CFRP plates by cross-section analysis
Rampini et al. Experimental study on SFRC beams and slabs strengthened with FRCM composite materials
Przygocka et al. Strengthening of RC slabs with prestressed and nonprestressed NSM CFRP strips
Micelli et al. Confinement of natural block masonry columns using fibre reinforced polymer rebars and laminates
Ghafoori et al. Recent developments of strengthening techniques for metallic structures
Sun et al. Static and fatigue behavior of CFRP-strengthened RC bridge girders subjected to vehicle overloa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