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5760A - Communication terminal, digital contents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content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terminal, digital contents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content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5760A
KR20100045760A KR1020080104851A KR20080104851A KR20100045760A KR 20100045760 A KR20100045760 A KR 20100045760A KR 1020080104851 A KR1020080104851 A KR 1020080104851A KR 20080104851 A KR20080104851 A KR 20080104851A KR 20100045760 A KR20100045760 A KR 20100045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ntent
signal
terminal
distribution serv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8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문균
이주영
추현곤
남제호
신상권
안상우
정원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04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5760A/en
Publication of KR20100045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7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communication terminal, a digital content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contents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transmit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digital contents to a digital contents distribution server to other terminal, thereby preventing illegal distribution of the digital content. CONSTITUTION: A receiving unit(121) receives the first signal from a digital contents circulation server(110). The first signal comprises digital contents. The digital contents are extracted from the first signal. It a transmission command from the digital contents to other terminal is inputted, the second signal generator generates the second signal. The second signal comprises connection information to a digital contents distribution server. A transmitting unit transmits the second signal to the other terminal.

Description

통신 단말,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COMMUNICATION TERMINAL, DIGITAL CONTENTS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CONTENTS USING THE SAME}COMMUNICATION TERMINAL, DIGITAL CONTENTS TRANSMITTING / RECEIV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 RECEIVING BROADCASTING CONTENT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신 단말,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a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and a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고유번호: 2007-S-003-02, 과제명: 지상파DTV 방송프로그램 보호기술 개발].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a study conducted as part of the IT new growth engine cor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and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Development].

디지털 콘텐츠는 부호·문자·음성·음향 이미지·영상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 처리한 자료 및 정보로서, 드라마, 영화 등의 시청각 콘텐츠 및 비디오 게임을 포함하며, 그 형식 및 범위는 계속하여 확장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콘텐츠는 유무선 전기 통신망을 이용하여 손쉽게 유통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 으며, 이러한 특성에 따라 최근 디지털 콘텐츠의 창작 및 유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인터넷 등의 디지털 네트워크가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의 전자 상거래 시장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Digital contents are materials and information that digitally produce and process codes, texts, voices, sound images, videos, etc., and include audiovisual contents such as dramas and movies, and video games. have. Such digital conten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distributed using wired and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s, and according to this characteristic,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has been actively performed recently. In particular,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the electronic commerce market for digital contents is rapidly expanding.

그러나, 디지털 콘텐츠는 P2P 사이트 및 웹하드 등의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해 손쉽게 녹화, 복사 및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디지털 콘텐츠 제작자 및 디지털 콘텐츠 제공자의 권리 보호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digital content can be easily recorded, copied, and transmitted through digital networks such as P2P sites and web har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vulnerable to the rights protection of digital content producers and digital content providers.

예를 들어, 지상파 TV 방송프로그램은 지상파를 이용하여 공중파 방송으로 송출되는데, 프로그램 스크램블링, 수신 가능한 단말 인증, 시청 가능한 사용자 인증 절차 등을 통해 선별적으로 수신을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통신 단말은 제약 없이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재생, 녹화 및 복사할 수 있다.For example, a terrestrial TV broadcast program is transmitted to a terrestrial broadcast using terrestrial waves, and the reception is not selectively limited through program scrambling, receivable terminal authentication, viewable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receive a broadcast program without restriction, and can freely reproduce, record, and copy the received broadcast program.

이와 같이 지상파 TV 방송프로그램은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를 용이하게 저장, 복사 및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포털 사이트 또는 P2P 사이트를 통해 불법으로 유포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더욱이, 디지털 TV 방송의 경우, 방송프로그램을 녹화 및 복사하여 인터넷과 같은 포털 사이트를 통하여 유포하더라도 원본과 동일한 품질을 유지하므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 보호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errestrial TV broadcast program can easily store, copy, and transmit corresponding contents using a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very likely to be illegally distributed through a portal site or a P2P site. Moreover, in the case of digital TV broadcasting, even if the broadcast program is recorded and copied and distributed through a portal site such as the Internet, the same quality as the original is maintained, so efforts for protecting digital television broadcasting programs are required.

따라서,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여, 저작권자 특히, 디지털 콘텐츠 제공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기술로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이 제안되고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복제를 막고 사용 자 인증, 과금 절차 등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의 생성에서 유통까지 일괄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무단으로 복사 및 전송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저작권자의 이익을 보호한다. 이 밖에도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유통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복호화하여 재생하거나, 디지털 콘텐츠를 복사하여 사적 이용 범위 밖으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다.Accordingly,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has been proposed as a technology for preventing unauthorized use of digital content and protecting the rights and interests of copyright holders, in particular, digital content providers. This prevents illegal copying of digital content and enables collective management from digital content creation to distribution through user authentication and billing procedures. It also protects the interests of copyright holders by preventing unauthorized copying and transmission of the digital content.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illegal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a method of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encrypted, stored and decrypted and reproduced broadcast programs, or the copying and transmission of digital content outside of private use has been proposed.

그러나, 디지털 콘텐츠 특히, 방송 프로그램은 그 특성상 저작물로서 보호되어야 하는 동시에, 창작물로서 유통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을 제한하는 경우,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이 제한되어 오히려 디지털 콘텐츠 제작자 및 제공자의 이익 창출을 저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digital contents, especially broadcast programs, must be protected as copyrighted works, and at the same time, circulation as creative works needs to be activated. That is, when the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is restrict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the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is restricted, and thus, a problem of inhibiting profit generation of digital content producers and providers occur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타 단말로의 디지털 콘텐츠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의 연결 정보를 전송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유통을 방지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적법한 유통을 활성화시키는 통신 단말,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a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command is input to another terminal, the conn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for the digital content, thereby preventing illegal distribution of the digital conten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munication terminal, a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nd a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activates legitimate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1신호로부터 추출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하여 타 단말로의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의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는 제2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제2신호를 상기 타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first signal containing the digital content; A second signal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second signal including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when a transmission command to another terminal is input to the digital content extracted from the received first signal;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cond signal to the oth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송신하는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 및 상기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부터 제1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통신 단말은,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1신호에 포함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타 단말로의 전송 명령 입력시,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 정보 및 타 단말의 이용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상기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의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는 제2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2신호를 상기 타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comprising: a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configured to transmit a first signal including digital content;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ceiving a first signal from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where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es: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first signal including digital content from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A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by checking prote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content and usage information of the other terminal when a transmission command to another terminal is input to the digital content included in the received first signal;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determination unit, if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a second signal including the digital content is generated, and if it is impossible to transmit the digital content,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content to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is provided. A second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second signal including; And a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the second signal to the oth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신호로부터 추출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하여 타 단말로의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의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신호를 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 content,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first signal including digital content from a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Generating a second signal including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when a transmission command to another terminal is input to the digital content extracted from the received first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econd signal to another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타 단말로의 디지털 콘텐츠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의 연결 정보를 타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유통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를 적법한 유통 절차로 유도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의 적법한 유통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특히, 디지털 콘텐츠를 전송하고자하는 타 단말의 이용 정보 또는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 정보를 통해 전송가능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을 관리 및 활성화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command to another terminal is input, by transmitt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other content distribution server for the digital content to another terminal, to prevent illegal distribution of the digital content and at the same time By inducing legitimate distribution procedures, legitimate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can be activate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age and activate the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by determining whether transmission is possible through use information of another terminal or digital information protectio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시스템(100)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시스템(100)은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110)와 다수의 통신 단말(120A,120B,120C) 간의 통신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를 송수신한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100 transmits and receives digital content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110 and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s 120A, 120B, and 120C.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110)는 통신 단말(120A,120B,120C)로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제2신호를 수신한 통신 단말(120A,120B,120C)이 연결 정보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110)로 연결된 경우, 연결된 통신 단말로 제1신호를 송신한다.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110 transmits a first signal including digital conten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s 120A, 120B, and 120C. 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s 120A, 120B, and 120C that have received the second signal are connected to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110 through the connection information, the fir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ed communication terminal.

여기서, 디지털 콘텐츠는 부호·문자·음성·음향 이미지·영상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 처리한 자료 및 정보로서,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 드라마, 영화 등의 시청각 콘텐츠 및 비디오 게임일 수 있다. Here, the digital content is a material and information obtained by digitally producing and processing codes, characters, sound, sound images, videos, and the like, and may be, for example, audiovisual content such as broadcast programs, dramas, movies, and video games.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110)는 예를 들어, 방송국 서버 또는 디지털 콘텐츠를 유통하기 위해 디지털 콘텐츠 제공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110)는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송신하는데, 소정의 사용자 인증 및 과금 절차를 통해 이용 권한이 있는 통신 단 말(120A,120B,120C)에 한해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110 may be, for example, a broadcasting station server or a server operated by a digital content provider to distribute digital content. Here,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110 transmits the first signal including the digital content, and transmits the digital content only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s 120A, 120B, and 120C authorized to use it through a predetermined user authentication and billing procedure. The first signal may also be transmitted.

여기서, 제1신호는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110)로의 연결 정보 또는 보호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정보는 제2신호를 수신한 통신 단말(120A,120B,120C)이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110)에 연결하기 위한 정보로서, 해당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110)의 IP 주소 또는 콘텐츠 식별자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통신 단말(120A,120B,120C)은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 이동하거나, 해당 서버의 해당 디지털 콘텐츠 다운 주소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signal preferably further includes connection information or protection information to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110 for the corresponding digital content. The connec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the communication terminals 120A, 120B, and 120C receiving the second signal to connect to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110. The connection information may be an IP address or a content identifier of the corresponding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110. desirable. As such, the communication terminals 120A, 120B, and 120C may move to the corresponding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or directly to the corresponding digital content download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server us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보호 정보는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법 보호 대상 여부에 관한 것으로서, 조건 없이 유통 즉, 배포가 가능한 것인지 또는 저작권법 보호 대상의 저작물로서 유통을 위해 사용자 인증 및 과금 등의 소정 절차가 필요한 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보호 정보를 통해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저장 또는 복사 허용 여부를 알 수 있다.Protected information refers to whether or not the digital content is subject to copyright protection, and includes information on whether it can be distributed without conditions, or whether a certain procedure such as user authentication and billing is required for distribution as a copyrighted work. . Therefore, the protection information may indicate whether the digital content is allowed to be stored or copied.

통신 단말(120A,120B,120C)은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110)로부터 제1신호를 수신하거나 통신 단말(120A,120B,120C) 간에 제2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 단말1(120A)을 중심으로 단말2(120B) 및 단말3(120C)과의 관계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시스템(100)의 네트워크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communication terminals 120A, 120B and 120C may receive a first signal from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110 or transmit and receive a second signal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s 120A, 120B and 120C. Hereinafter, the network of the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2 (120B) and the terminal 3 (120C) centering on the terminal 1 (120A).

단말1(120A)은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110)로부터 제1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추출하여 재생 또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 2(120B) 및 단말3(120C)으로부터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여 단말2(120B) 및 단말3(120C)으로 전송한다.Terminal 1 (120A) may receive a first signal from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110, it may be extracted or reproduced or stored in the digital content. In addition, when a request for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digital content is input from the terminal 2 (120B) and the terminal 3 (120C), a second signal including connec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 (120B) and the terminal 3 (120C). .

여기서, 제2신호는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한 타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타 단말에 대해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이 가능한 경우, 디지털 콘텐츠를 더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여 타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 가능 여부는 타 단말의 이용 정보,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 정보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signal is to transmit to the other terminal requesting the transmission of the digital content, and if the corresponding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to the other terminal, generating a second signal further including the digital content to transmit to the other terminal It is preferable. In this case, whether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usage information of another terminal and protec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igital content.

따라서, 단말1(120A)은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이용 권한이 있는(도면의 점선 참조) 단말2(120B)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디지털 콘텐츠를 더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여 단말2(120B)로 전송한다.Accordingly, the terminal 1 120A generates a second signal further including the digital content when a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command is input to the terminal 2 120B, which has permission to use the corresponding digital content (see dotted line in the drawing). To the terminal 2 (120B).

반면에,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이용 권한이 없는 단말3(120C)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전송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단말1(120A)은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여 단말3(120C)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경우, 단말3(120C)은 제2신호로부터 연결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110)에 연결한 후, 사용자 인증 및 과금 절차를 통해 적법한 유통 절차를 거쳐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3(120C)은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110)로부터 제1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제1신호로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추출하여 재생 또는 저장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terminal 3 (120C) that does not have permission to use the digital content is input, the terminal 1 (120A) generates a second signal includ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3 (120C) To send. In this case, the terminal 3 (120C) may extract the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signal, connect it to the corresponding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110, and then receive the digital content through a legal distribution procedure through a user authentication and billing procedure. . That is, the terminal 3 (120C) may receive the first signal from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110, and then extract or play the digital content from the received first signal.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타 단말로의 디지털 콘텐츠 전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전송이 가능한 경우에는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적법한 유통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determined whether to transmit the digital content to the other terminal, and if the transmission is possible to generate and transmit a second signal including the digital content, if the transmission of the digital content is impossible to connect A second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herefore, even when transmission of digital content is impossible, the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can be activated by providing a legitimate distribution path to the us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시스템(100)은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110)와 통신 단말(120) 간의 통신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를 송수신한다. 또한, 통신 단말(120)은 수신부(121), 제2신호생성부(124) 및 전송부(125)를 포함하며, 저장부(122), 판단부(123) 및 연결부(12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100 transmits and receives digital content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11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12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20 includes a receiver 121, a second signal generator 124, and a transmitter 125, and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122, a determination unit 123, and a connection unit 126. It is desirable to.

수신부(121)는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110)로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121)는 타 단말로부터 제2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통신 단말(120)은 수신된 제1신호로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추출한 후, 추출된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 또는 저장할 수 있다.The receiver 121 receives a first signal including digital content from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110. In addition, the receiver 121 may receive a second signal from another terminal. Through this, the communication terminal 120 may extract digital content from the received first signal, and then play or store the extracted digital content.

제2신호생성부(124)는 수신된 제1신호로부터 추출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상기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110)로의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한다. 즉, 타 단말로의 디지털 콘텐츠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여 타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타 단말이 해당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 직접 연결되어 적법한 유통 경로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second signal generator 124 generates a second signal including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110 for the digital content extracted from the received first signal. That is, when a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command to another terminal is input, the second signal includ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terminal, whereby the other terminal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and digitally connected through a legal distribution path. To receive the content.

이때, 제2신호생성부(124)는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제2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이 가능한 경우에는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고,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디지털 콘텐츠 전송 가능 여부 판단의 상세한 과정은 판단부(123)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second signal generator 124 may determine whether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and generate the second signal. In particular, when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the second signal generator 124 generates the second signal including the digital content. In the case where transmission of digital content is impossible, it is more preferable to generate a second signal including connection information. A detailed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ermination unit 123.

또한, 전송부(125)는 제2신호생성부(124)에 의해 생성된 제2신호를 타 단말로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transmitter 125 transmits the second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signal generator 124 to another terminal.

이와 같이, 수신부(121), 제2신호 생성부(124) 및 전송부(125)로 이루어진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송수신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적 유통을 방지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제작자 및 제공자의 이익을 보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 콘텐츠의 적법한 유통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의 적법한 유통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As such,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 content using a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receiver 121, a second signal generator 124, and a transmitter 125, the illegal distribution of the digital content is prevented to prevent the producer and provider of the digital content. You can protect your interests. In addition, by providing a legal distribution channel of digital content, it is possible to activate the legal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또한, 통신 단말(120)은 타 단말의 이용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2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타 단말의 이용 정보는 타 단말로부터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2)는 제1신호로부터 추출된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20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122 for storing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other terminal. Here, the usage information of another terminal may be transmitted and stored from another terminal.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22 may store the digital content extracted from the first signal.

또한, 통신 단말(120)은 디지털 콘텐츠의 타 단말로의 전송 명령 입력시,디지털 콘텐츠의 전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12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 가능 여부는 타 단말의 이용 정보 또는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 정보를 기초로 하여 판단될 수 있으며, 또한, 이들을 조합하여 판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20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determination unit 123 that determines whether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when the digital content is transmitted to another terminal. Here, whether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may be determined based on usage information of another terminal or prote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content, and may be determined by combining them.

첫째, 타 단말의 이용 정보를 기초로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를 살펴보도록 한다. 이용 정보는 해당 단말이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이용 권한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즉, 해당 단말의 사용자가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사용자 인증을 거치거나 적절한 이용료를 지불한 적법한 사용자인 경우, 해당 단말은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이용 권한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110)로부터 적법한 유통 절차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콘텐츠를 컴퓨터에 저장한 후,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복사하여 자신의 MP3(타 단말)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컴퓨터와 MP3는 동일한 사용자가 소유한 단말이므로 MP3가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이용 권한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First, a case of determining whether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based on usage information of another terminal will be described. The usage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terminal has a right to use the digital content. That is, when the user of the terminal is a legitimate user who has passed user authentication or paid an appropriate fee for the digital content, the terminal may be regarded as having authority to use the digital content. For example, if a user wants to store the digital content received from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110 through a legitimate distribution procedure in a computer, then copy the digital content and transmit it to his MP3 (other terminal). Since MP3 and MP3 are owned by the same user, MP3 can be regarded as having access rights to the corresponding digital content.

따라서, 이용 정보는 해당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용 정보는 해당 단말이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되는지 아니면 가정 및 이에 준하는 비영리적 목적으로 사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비영리적 목적 즉, 사적 이용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단말의 경우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이용 권한이 있다고 볼 수 있다.Therefore, the usag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user of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usag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the terminal is used for commercial purposes or for home and non-commercial purposes. In this case, it can be said that a terminal included in a non-profit purpose, that is, a private use range, has a right to use the corresponding digital content.

이와 같이, 판단부(123)는 타 단말의 이용 정보를 통해 타 단말이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이용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타 단말이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이용 권한이 있는 경우에는 디지털 콘텐츠가 전송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반면에, 타 단말이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이용 권한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가 전송 불가하다고 판단한다.In this way, the determination unit 123 checks whether the other terminal has the authority to use the corresponding digital content through the use information of the other terminal.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other terminal has the authority to use the digital content, it is determined that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On the other hand, if the other terminal does not have a right to use the digital content, it is determined that the digital content cannot be transmitted.

둘째,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 정보를 확인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를 살펴보도록 한다. 여기서, 보호 정보는 제1신호에 포함되어 수신되거나, 검색 등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판단부(123)는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 정보 확인 결과, 해당 디지털 콘텐츠가 저작권 보호 대상인 경우에는 디지털 콘텐츠가 전송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반면에, 디지털 콘텐츠가 저작권 보호 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디지털 콘텐츠가 전송 불가능하다고 판단한다.Second, look at the case of determining whether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by checking the prote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content. In this case, the protec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by being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or may be confirmed through a search.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prote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content, the determination unit 123 determines that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when the digital content is a copyright protection target. On the other hand, if the digital content is not subject to copyright protec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gital content cannot be transmitted.

셋째, 타 단말의 이용 정보 및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 정보를 확인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를 살펴보도록 한다. 판단부(123)는 타 단말이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이용 권한이 없고, 디지털 콘텐츠가 저작권 보호 대상인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가 전송 불가하다고 판단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가 전송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이를 간단히 나타내면 표 1과 같다. Third, look at the case of determining whether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by checking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other terminal and the prote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content. The determination unit 123 determines that the digital content cannot be transmitted when the other terminal does not have the right to use the digital content and the digital content is the copyright protection target, and determines that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otherwise. In brief, it is shown in Table 1.

이용 권한 OPermissions O 이용 권한 XPermission X 저작권 보호 대상OCopyright protection subject O 전송 가능Can be sent 전송 불가Can't send 저작권 보호 대상XCopyright protected subjectX 전송 가능Can be sent 전송 가능Can be sent

즉, 타 단말이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이용 권한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적법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해당 디지털 콘텐츠가 저작권 보호 대상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전송이 가능하다. 그러나, 타 단말이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이용 권한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디지털 콘텐츠가 저작권 보호 대상인지에 따라 전송 가능 여부가 결정된다. 즉, 이용 권한이 없을지라도 저작권 보호 대상이 아닌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서는 전송이 허용된다. 이와 같이, 타 단말의 이용 정보 및 보호 정보를 모두 고려하여 전송 가능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함과 동시에 유통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That is, when another terminal has a right to use the digital content, it can be regarded as a terminal used by a legitimate user, and thus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regardless of whether the digital content is subject to copyright protection. However, if the other terminal does not have a right to use the digital content, whether or not the digital content is subject to copyright protection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ransmission. In other words, transmission is allowed for digital content that is not subject to copyright protection even if there is no use right. In this way,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ransmission i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usage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copyright of the digital content and at the same time activate the distribution.

또한, 통신 단말(120)은 타 단말로부터 제2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2신호에 포함된 연결 정보를 통해 통신 단말(120)과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11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12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결부(126)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통신 단말(120)과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110)를 연결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signal is received from another terminal, the communication terminal 120 connects the connection unit 126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120 and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110 through the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signal.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Here, the connection unit 126 is more preferably connected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20 and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110 via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network.

예를 들어, 단말1은 단말2에 대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하여 제2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2신호에 디지털 콘텐츠가 포함된 경우에는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추출하여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신호에 디지털 콘텐츠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연결부(126)는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110)로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1은 사용자 인증 및 과금 등의 절차를 거쳐 적법한 유통 경로를 통해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erminal 1 may request the terminal 2 to transmit digital content and receive a second signal. In this case, when the digital content is included in the second signal, the digital content may be extracted and reproduced. However, if the digital content is not included in the second signal, the connection unit 126 may connect to the corresponding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110 us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Through this, the terminal 1 can use the corresponding digital content through a legal distribution channel through a procedure such as user authentication and billing.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을 설명한다.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의 구체적인 사항은 앞의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3 to 5, a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Details of the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여기서, 단말1(120A)은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제1신호로부터 추출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상기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의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한다. 이하, 순서도를 참조하여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terminal 1 (120A) receives the first signal including the digital content from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and includes the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for the digital content extracted from the received first signal. To generate a second signal. Hereinafter,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 cont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flowchart.

먼저,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110)로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신호가 전송되면(S300), 단말1(120A)은 수신부(121)를 통해 제1신호를 수신한 후, 제1신호로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추출하여 재생하거나 저장부(123)에 저장한다(S310). 이어서, 단말2(120B)로부터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 요청이 수신되거나, 단말2(120B)로의 디지털 콘텐츠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S320), 제2신호생성부(124)는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한다(S330). 이어서, 전송부(125)는 생성된 제2신호를 단말2(120B)로 전송한다(S340). 여기서, 단말2(120B)의 연결부(126)는 제2신호에 포함된 연결 정보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110)로 연결하여 적법한 유통 절차로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First, when the first signal including the digital content is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110 (S300), the terminal 1 (120A) receives the first signal through the receiving unit 121, and then the digital signal from the first signal The content is extracted and played back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3 (S310). Subsequently, when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digital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2 (120B) or a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command is input to the terminal 2 (120B) (S320), the second signal generator 124 includes a second information including connection information. 2 generates a signal (S330). Subsequently, the transmitter 125 transmits the generated second signal to the terminal 2 120B (S340). Here, the connection unit 126 of the terminal 2 (120B) may be connected to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110 through the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signal to receive the digital content in a legitimate distribution procedur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단말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sequen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수신부(121)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110)로부터 제1신호가 수신되면(S410), 제1신호로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추출하여 재생하거나 이를 저장부(122)에 저장한다. 이어서, 추출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타 단말로의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S420), 판단부(123)는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430). 이어서, 판단부(123)의 판단 결과, 디지털 콘텐츠가 전송 가능한 경우 제2신호생성부(124)는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한다(S440). 또한,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한다(S450). 이어서, 전송부(125)는 생성된 제2신호를 타 단말로 전송한다(S460). First, when the fir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110 through the receiver 121 (S410), the digital content is extracted from the first signal and reproduced or stored in the storage 122. Subsequently, when a transmission command to another terminal is input to the extracted digital content (S420), the determination unit 123 determines whether transmission of the digital content is possible (S430). Subsequently, when the determination unit 123 determines that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the second signal generation unit 124 generates a second signal including the digital content (S440). In addition, when transmission of the digital content is impossible, a second signal including connec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S450). Subsequently, the transmitter 125 transmits the generated second signal to another terminal (S460).

도 5는 판단부(12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서, 앞서 설명한 도 4의 디지털 콘텐츠 전송 가능 여부 판단 단계(S43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특히, 타 단말의 이용 정보 및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 정보를 모두 확인하여 전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determination unit 123, and more specifically illustrates the step (S430) of determining whether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in FIG. 4.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ransmission is possible by checking both usage information of another terminal and protection information of digital content.

먼저, 타 단말의 이용 정보를 통해, 타 단말이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이용 권한을 갖는지 확인한다(S510). 여기서, 이용 권한을 갖는 경우에는,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 정보에 관계없이 전송 가능하다고 판단한다(S520). 반면에, 타 단말이 이용 권한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 정보를 확인하여 저작권 보호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530). 보호 정보 확인 결과, 저작권 보호 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타 단말이 이용 권한을 갖고 있지 않더라도 디지털 콘텐츠 제작자 및 제공자의 이익을 해할 염려가 없으므로, 전송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S520). 그러나, 디지털 콘텐츠가 저작권 보호 대상인 경우에는 전송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S540). First, through the use information of the other terminal, it is checked whether the other terminal has the use authority for the corresponding digital content (S510). If the user has the right to use, it is determined that the data can be transmitted regardless of the prote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content (S520). On the other hand, if the other terminal does not have a right to use, by checking the prote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content to determine whether the copyright protection target (S530).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protection information, even if the other terminal does not have a right to use, there is no fear of harming the profits of the digital content producer and provider, and thus it is determined that the data can be transmitted (S520). However, if the digital content is subject to copyright protection, it is determined that transmission is impossible (S540).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CD-ROM,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etc.) in a computer-readable form. Since this proces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not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전송 가능 여부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first signal including digital content from a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상기 수신된 제1신호로부터 추출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하여 타 단말로의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의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는 제2신호 생성부; 및A second signal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second signal including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when a transmission command to another terminal is input to the digital content extracted from the received first signal; And 상기 생성된 제2신호를 상기 타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cond signal to the other terminal 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타 단말의 이용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A storage unit which stores usage information of another terminal; And 상기 타 단말의 이용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availability of the digital content by checking the use information of the other terminal 를 더 포함하고,More, 상기 제2신호 생성부는, The second signal generator,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더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는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determination unit, if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generating a second signal further including the digital content. 통신 단말.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by checking the prote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content 를 더 포함하고,More, 상기 제2신호 생성부는,The second signal generator,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이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더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는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determination unit, when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generating a second signal further including the digital content. 통신 단말.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타 단말로부터 상기 제2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신호에 포함된 상기 연결 정보를 통해, 상기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 연결하는 연결부When the second signal is received from another terminal, the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o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through the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signal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시스템.Digital cont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송신하는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 및A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transmitting a first signal including digital content; And 상기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부터 제1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단말A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a first signal from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을 포함하되,≪ / RTI > 상기 통신 단말은, Th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1신호에 포함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타 단말로의 전송 명령 입력시,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 정보 및 타 단말의 이용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상기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의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는 제2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2신호를 상기 타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first signal including digital content from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A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by checking prote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content and usage information of the other terminal when a transmission command to another terminal is input to the digital content included in the received first signal;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determination unit, if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a second signal including the digital content is generated, and if the digital content cannot be transmitted,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content to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is provided. A second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second signal including;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second signal to the other terminal. 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시스템.Digital cont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comprising a.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통신 단말은,Th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타 단말로부터 상기 제2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신호에 포함된 상기 연결 정보를 통해, 상기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 연결하는 연결부When the secon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ther terminal, the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o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through the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signal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시스템.Digital cont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는,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상기 제2신호를 수신한 통신 단말이 상기 연결 정보를 통해 상기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연결된 통신 단말로 상기 제1신호를 송신하는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the second signal is connected to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through the connec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first signal to the connected communication terminal.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시스템.Digital cont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first signal including digital content from a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상기 수신된 제1신호로부터 추출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하여 타 단말로의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버로의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Generating a second signal including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erver when a transmission command to another terminal is input to the digital content extracted from the received first signal; And 상기 제2신호를 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second signal to another terminal 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Digital cont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comprising a.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타 단말의 이용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Storing usage information of the other terminal; And 상기 타 단말의 이용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 가능 여부 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by checking usage information of the other terminal; 를 더 포함하고,More, 상기 제2신호 생성 단계는,The second signal generating step,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더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는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ransmission of the digital content is possible, generating a second signal further including the digital content.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How to send and receive digital content.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digital content can be transmitted by checking prote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content 를 더 포함하고,More, 상기 제2신호 생성 단계는,The second signal generating step,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이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더 포함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는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ransmission of the digital content is possible, generating a second signal further including the digital content.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How to send and receive digital content.
KR1020080104851A 2008-10-24 2008-10-24 Communication terminal, digital contents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contents using the same KR201000457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851A KR20100045760A (en) 2008-10-24 2008-10-24 Communication terminal, digital contents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content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851A KR20100045760A (en) 2008-10-24 2008-10-24 Communication terminal, digital contents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content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760A true KR20100045760A (en) 2010-05-04

Family

ID=42273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851A KR20100045760A (en) 2008-10-24 2008-10-24 Communication terminal, digital contents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content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576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4921C (en) Import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content
US7299362B2 (en) Apparatus of a baseline DVB-CPCM
US8595854B2 (en) Processing recordable content in a stream
JP4009634B2 (en) ACCESS CONTROL METHOD, ACCESS CONTROL SYSTEM, METADATA CONTROLLER, AND TRANSMISSION DEVICE
US20070124252A1 (en) Reception device, transmission device, security module, and digital right management system
KR101705010B1 (en) Processing recordable content in a stream
KR20060109266A (en) Broadcasting content protection/management system
US7616763B2 (en) Validity verification method for a local digital network key
US201002179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orting content
JP4566683B2 (en) METADATA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RECEPTION DEVICE, AND TRANSMISSION DEVICE
WO2005046238A1 (en) Meta data access control system, method thereof, reception device, and transmission device
CA259395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border guard between security domains
US20100017892A1 (en) Ip streaming copy control method and system
US201002504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contents streamed through re-transmission
KR20100045760A (en) Communication terminal, digital contents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contents using the same
JP2010206540A (en) File generating apparatus, file reproduc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KR20040101524A (en) Testing content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KR101806006B1 (en) Stored and streaming media contents access control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KR20060124883A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on of broadcasting and multimedia contents
KR101205716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using of broadcasting program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6760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orting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