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5228A - Optical film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ptical film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5228A
KR20100045228A KR1020080104316A KR20080104316A KR20100045228A KR 20100045228 A KR20100045228 A KR 20100045228A KR 1020080104316 A KR1020080104316 A KR 1020080104316A KR 20080104316 A KR20080104316 A KR 20080104316A KR 20100045228 A KR20100045228 A KR 20100045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microstructure
backlight unit
light
diffu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3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37769B1 (en
Inventor
도영수
박정호
안정애
남궁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to KR1020080104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769B1/en
Priority to PCT/KR2009/006155 priority patent/WO2010047557A2/en
Publication of KR20100045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2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7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7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voids or po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0Fillers, e.g. particles, powders, beads, flakes, spheres, chi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PURPOSE: An optical film and a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thin the backlight unit and improve brightness uniformity and a view angel property by including glass bubbles with a hollow space. CONSTITUTION: An optical source unit(110) is comprised of a plurality of optical sources which are long extended in one direction. A lamp cover(120) fixes the optical source and improves optical efficiency by reflecting light emitted to the lower, right and left sides of the optical source upward. An optical film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optical source and diffus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optical source. A prism sheet(150) improves brightness by collecting the light diffused from the optical film.

Description

광학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OPTICAL FILM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Optical film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OPTICAL FILM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장치의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공을 가지는 글라스 버블들을 포함하여 휘도 균일성 및 시야각 특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백라이트 유닛을 박형화할 수 있는 광학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 backlight uni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tical film that can thin a backlight unit while improving brightness uniformity and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including glass bubbles having hollows. It relates to a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LCD 소자는 인가전압에 따른 액정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종 장치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정보로 변화시키는 전자소자이다. LCD 소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소자이면서도 자체 광원이 없으면 시각화할 수 없다. 따라서 텔레비전 및 노트북 등에 사용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는 LCD 소자에 표시되고 있는 정보를 시각화하기 위해서 그 후면에서 LCD 소자 전체에 수직으로 균일하게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BLU)을 포함한다.In general, LCD devices are electronic devices that change various electrical information generated by various devices into visual information by using a change in liquid crystal transmittance according to an applied voltage. LCD devices display various information and cannot be visualized without their own light source. Accordingly, liquid crystal displays used in televisions and laptops include a back-light unit (BLU) that uniformly provides light vertically to the entire LCD element from the rear thereof in order to visualiz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LCD element. .

통상,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직하형과 에지형으로 구분된다. 에지형은 광원이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박형을 요구하는 노트 북 등의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에 적용된다. 그리고 직하형은 광원이 백라이트 유닛의 하부쪽에 배치되는 것으로, LCD 텔레비전 등과 같이 고휘도를 요구하는 대형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다.In general, the backlight unit is classified into a direct type and an edge typ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The edge type is that the light source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acklight unit, and is appli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such as a notebook, which requires a thin shape. In the direct type, the light source is disposed at the lower side of the backlight unit, and is applied to a larg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requiring high brightness such as an LCD television.

도 1은 일반적인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general direct type backlight uni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반사판(20)과 광원부(10)와, 확산판(30)과 확산시트(40)와 제1프리즘시트(50)와 제2프리즘시트(6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direct type backlight unit includes a reflecting plate 20, a light source unit 10, a diffusion plate 30, a diffusion sheet 40, a first prism sheet 50, and a second prism sheet 60. It consists of.

광원부(10)는 다수의 광원이 일방향으로 길게 병렬로 구성되어 상측 방향으로 광을 출사한다. 상기 광원으로는 열음극 형광램프(Hot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 또는 냉음극 형광램프(Clo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등이 사용된다. The light source unit 10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ranged in parallel in one direction to emit light in an upward direction. The light source may be a hot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 or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램프커버(20)는 상기 광원부(10)에서 하측으로 방출된 광을 상측으로 반사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램프커버(2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광원부(10)를 보호한다.The lamp cover 20 reflects the light emitted downwar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 upward to improve the light efficiency. In addition, the lamp cover 20 protects the light source unit 10 from external impact.

확산판(30)은 광원부(10)의 다수의 광원, 즉 다수의 램프들에서 출사되는 광을 확산하여 상기 다수의 램프들의 배치에 따라 발생하는 명부와 암부를 제거한다.The diffusion plate 30 diffus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of the light source unit 10, that is, the plurality of lamps to remove the light and dark portions generat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lamps.

확산시트(40)는 확산판(30)을 통해 올라온 광을 고르게 분산시켜 명부와 암부를 추가적으로 제거한다. 통상, 확산시트(40)는 비드형, 반구형 및 반원기둥형이 있다. 통상 반원기둥형 확산시트의 광 확산효과는 상기 반원기둥 패턴의 단면의 넓이(W)와 높이(H)에 의해 결정되며, 이를 세장비(=H/W)라 한다. 통상적으로, 세장비 를 높이면 확산효과가 향상된다.The diffusion sheet 40 evenly disperses the light raised through the diffusion plate 30 to further remove the light and dark portions. Typically, the diffusion sheet 40 has a bead type, hemispherical shape, and semi-cylindrical shape. In general, the light diffusion effect of the semi-cylindrical diffusion sheet is determined by the width (W) and the height (H) of the cross-section of the semi-cylindrical pattern, which is referred to as fine (= H / W). In general, increasing the fine equipment improves the diffusion effect.

제1미세패턴 시트(50)는 확산시트(40)로부터 낮은 각도로 입사되는 광을 굴절시켜 LCD 소자에 수직으로 입사하도록 1차 집광하여 출사하므로 확산시트(40)에 의해 급격히 떨어진 휘도 및 출사각을 높여준다. 통상 제1미세패턴 시트(50)는 확산시트(4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LCD 소자에 수직으로 방출하기 위해 상부면에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프리즘 패턴들이 나란히 배열된다. 통상 상기 프리즘 패턴은 꼭지각이 90도 내외인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Since the first fine pattern sheet 50 refract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diffusion sheet 40 at a low angle, the first fine pattern sheet 50 is focused on the LCD element so that the first fine pattern sheet 50 is vertically incident on the LCD device, and thus the luminance and the emission angle sharply dropped by the diffusion sheet 40. Increase In general, the first fine pattern sheet 50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prism patterns extending in one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in order to emit light incident from the diffusion sheet 40 perpendicular to the LCD element. Typically, the prism pattern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having a vertex angle of about 90 degrees.

제2미세패턴 시트(60)는 제1미세패턴 시트(50)에서 1차 집광된 광의 휘도 균일성을 높이고 출사각을 더 높이기 위해 2차 집광하여 방출한다.The second fine pattern sheet 60 collects and emits the secondary light in order to increase the luminance uniformity of the light primarily collected in the first fine pattern sheet 50 and to increase the emission angle.

각각의 미세패턴 시트는 프리즘 패턴들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상에 입사하는 광을 상기 미세패턴 시트의 법선방형으로 수렴하고, 프리즘 패턴들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평면상에서 입사하는 광은 집광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광을 집광하기 위해서 제1미세패턴 시트(50)와 제2미세패턴 시트(60)는 각각의 프리즘 패턴들이 수직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Each micropattern sheet converges light incident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ism patterns i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micropattern sheet, and does not collect light incident on a plan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ism patterns. Therefore, in order to focus light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he first fine pattern sheet 50 and the second fine pattern sheet 60 are generally disposed such that the respective prism patterns are vertical.

그 외에도 상기 제1미세패턴 시트(50) 또는 제2미세패턴 시트(60) 상부에 위치하여 제1미세패턴 시트(4) 또는 제2미세패턴 시트(5)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시트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cratch is generated on the first fine pattern sheet 4 or the second fine pattern sheet 5 by being positioned on the first fine pattern sheet 50 or the second fine pattern sheet 60. A protective sheet for preventing may be further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하부쪽에 일방향으로 길게 나란히 연장되는 광원들에 의해 발생하는 암부와 명부를 제거하기 위해 확산판 및 확산시트를 구비하여야 하고, 확산판 및 확산시트에 의해 낮아진 정면 휘도를 높이 기 위해 복수의 미세패턴 시트들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백라이트 유닛을 박형화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direct type backlight unit must include a diffusion plate and a diffusion sheet to remove the dark portion and the ridge caused by the light sources extending side by side in one direction on the lower side, and the front face lowered by the diffusion plate and the diffusion sheet. Since a plurality of fine pattern sheets must be provided to increase the brightness,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backlight unit.

상기한 바와 같이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서 광의 집광 및 균일도를 향상하여 램프들에 의해 발생되는 명부와 암부를 제거하기 위해 원기둥형의 확산시트를 사용하나 원하는 확산효과를 얻기 위한 세장비를 갖는 구조를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a cylindrical diffusion sheet is used to remove light and shadow generated by lamps by improving light condensing and uniformity in the direct backlight unit, but fabricating a structure having fine equipment for obtaining a desired diffusion effect. There was a difficult problem.

또한, 종래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매 이상의 확산시트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생산단가가 증가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박형화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direct type backlight unit, two or more diffusion sheets must be used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by increasing production cost and making it difficult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backlight unit.

또한, 종래 백라이트 유닛은 확산판 이외에도 확산시트 및 미세패턴 시트들 등과 같이 다수의 광학시트들을 사용함에 의해 백라이트 유닛 조립공정을 복잡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절단 및 조립 시에 불량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acklight unit not only complicates the backlight unit assembly process by using a plurality of optical sheets such as diffusion sheets and fine pattern sheets in addition to the diffusion plate, but also has a problem that may cause defects during cutting and assembl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을 가지는 글라스 버블들을 포함하여 휘도 균일성 및 시야각 특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백라이트 유닛을 박형화할 수 있는 광학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film and a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which can reduce the thickness of the backlight unit while improving brightness uniformity and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including glass bubbles having hollow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학필름은; 판상의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 상부면에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마이크로 구조물들이 나란하게 배열되는 굴절구조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글라스 버블들이 확산됨을 특징한다.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t includes a base plate and a refractive structure that i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microstructure extending in one direction on the base upper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lass bubbles having a hollow inside the microstructure is diffused.

상기 중공의 직경은 글라스 버블의 투과율 및 반사율을 고려하여 4 ~ 30 mm 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ameter of the hollow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4 ~ 30 mm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of the glass bubble.

상기 글라스 버블들은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 내부의 총부피의 40% ~ 70%의 밀도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lass bubbles are preferably formed to have a density of 40% to 70% of the total volume inside the microstructure.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이 길이 방향에 대해 좌우로 불규적으로 구불구불하게 형성되는 카오스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icro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otic shape irregularly twisted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이 반원기둥형 또는 렌티큘러 형상인 경우 상기 반원기둥 및 렌티큘러의 세장비가 0.1 내지 1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microstructure is a semi-cylindrical or lenticular shap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thin equipment of the semi-cylindrical cylinder and the lenticular to be 0.1 to 1.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이 길이 방향에 대해 좌우로 구불구불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icro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ding side to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광원들을 가지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 상부에 배치되며, 판상의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 상부면에 상기 일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마이크로 구조물들이 나란하게 배열되는 굴절구조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글라스 버블들이 확산되는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The backligh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light source unit hav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ranged side by side in one direction, disposed on the light source portion, the base portion of the plate, parallel to the one direction on the base upper surface It includes a refractive structure that is arranged parallel to the micro-structures extending in paralle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tical film in which the glass bubbles having a hollow inside the micro-structure is diffused

상기 중공의 직경은 글라스 버블의 투과율 및 반사율을 고려하여 4 ~ 30 mm 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ameter of the hollow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4 ~ 30 mm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of the glass bubble.

상기 글라스 버블들은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 내부의 총부피의 40% ~ 70%의 밀도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lass bubbles are preferably formed to have a density of 40% to 70% of the total volume inside the microstructure.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이 길이 방향에 대해 좌우로 불규적으로 구불구불하게 형성되는 카오스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icro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otic shape irregularly twisted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확산판, 확산시트와 미세패턴 시트 등의 광학시트 없이도 한 장의 광학필름으로 다수의 광원들에 의해 발생하는 명부 및 암부를 제거할 수 있는 확산효과 및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을 박형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ffusion effect and luminance and luminance that can remove the dark and dark areas generated by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with one optical film without an optical sheet such as a diffusion plate, a diffusion sheet and a fine pattern sheet. Uniformity can be improved and the backlight unit can be thinned.

또한,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부품수 및 공정 수를 감소시키므로 제조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조립 공정상에서 발생하는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number of parts and the number of processes constituting the backlight unit, manufacturing cost can be saved, and the defect rate occurring in the assembly process can be reduc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direct typ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 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irect typ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부(110)와 램프커버(120)와 광학필름(140)과 미세패턴 시트(150)를 포함한다.2,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110, a lamp cover 120, an optical film 140, and a fine pattern sheet 150.

광원부(110)는 최초로 광을 발산하는 부분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다수의 광원, 즉 램프들로 구성된다. 램프로는 열음극 형광램프(Hot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 또는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등이 사용된다.The light source unit 110 emits light for the first time,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that is, lamps, extending in one direction. Hot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 or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is used as the lamp.

램프커버(120)는 상기 광원부(110)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좌우 및 하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광원부(110)에서 하측 및 좌우측으로 출사되는 광을 상측으로 반사시켜 광효율을 증가시키며, 광원부(110)를 보호한다.The lamp cover 120 has a structure capable of fixing the light source unit 110, and is configured to surround left and right sides and a lower side, and increases light efficiency by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10 to the lower side and the left side upward. , To protect the light source 110.

광학필름(140)은 상기 광원부(110)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부(110)에서 출사되는 광을 확산 및 집광하여 출사한다.The optical film 140 is positioned above the light source unit 110 and diffuses and condens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10.

프리즘시트(150)는 상기 광학필름(140)에서 확산되어 출사되는 광을 집광하여 휘도 특성을 향상시킨다.The prism sheet 150 collects the light diffused from the optical film 140 to improve luminance characteristics.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반원기둥형 광학필름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b는 도 3a의 글라스 버블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도 2의 광학필름(14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Figure 3a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mi-cylindrical optica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glass bubble of Figure 3a.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film 140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광학필름(140)은 상기 광원부(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판상의 기저부(141)와 상기 판상의 기저부(141) 상부면에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마이크로 구조물(142)들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입사되는 광을 확산 및 집광하여 출사하는 굴절구조 부(145)로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142)은 도 3a와 같이 반원통 형상, 삼각 프리즘 형상 및 반원통 형상이 길이 방향에 대해 좌우로 구불구불하게 형성되는 카오스 반원통 형상 및 삼각 프리즘 형상의 길이 방향에 대해 좌우로 구불구불하게 형성되는 카오스 형상 등이 될 수 있다.The optical film 140 has a plate-shaped base portion 141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110 and microstructures 142 extending in one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shaped base portion 141 arranged side by side to be incident. It is composed of a refractive structure portion 145 for diffusing and condensing the light is emitted. The microstructure 142 may be bent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otic semi-cylindrical shape and the triangular prism shape in which the semi-cylindrical shape, the triangular prism shape, and the semi-cylindrical shape are meandering from side to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3A. It may be a chaotic shape or the like that is formed to be serpentine.

광학필름(140)은 마이크로 구조물(142)의 길이 방향이 길게 연장되는 램프들의 일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142)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미드(Polyim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우레탄(Ployurethane) 등의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The optical film 140 may be disposed to coincide with one direction of lamps in which the length direction of the microstructure 142 extends. The microstructure 142 may be made of a resin such as polymethylmethacrylate, polyamide, polypropylene, and polyurethane.

각 마이크로 구조물(142)들 내부에는 도 3b와 같이 중심부에 중공(146)이 형성된 글라스 버블(143)들이 확산된다. 광원(110)에서 출사되어 기저부(141)를 통해 입사하는 광은 중공(144)에 의해 반사 및 투과되어 확산 및 집광되고, 마이크로 구조물(142)의 표면에서 2차 확산 및 집광되어 출사된다. 상기 글라스 버블(143)은 통상 글라스(Glass)로 구성되며, 높은 투명도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스틸렌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버블(143)이 갖는 두께((D1-D2)/2)는 글라스 버블의 외부직경(D1)의 1/2이하의 값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글라스 버블의 두께는 외부직경(D1)의 50% 이내에서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라스 버블의 두께가 1/2이상의 값을 갖게 될 경우 확산효과 및 휘도균일도가 감소하게 된다.Inside the microstructures 142, glass bubbles 143 having hollow 146 formed therein are diffused as shown in FIG. 3B.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and incident through the base 141 is reflected and transmitted by the hollow 144 to be diffused and collected, and secondly diffused and collected at the surface of the microstructure 142. The glass bubble 143 is typically composed of glass, and may be composed of polyester resin, polyacrylic resin, polystyrene resin, and polycarbonate resin having high transparency. The thickness (D1-D2) / 2 of the glass bubble 143 may be formed to have a value of 1/2 or less of the outer diameter D1 of the glass bubble.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glass bubble is preferably formed thin within 50% of the outer diameter (D1). When the thickness of the glass bubble has a value of 1/2 or more, the diffusion effect and luminance uniformity are reduced.

도 4a는 일반적인 비드형 확산시트에서 비드에 의한 확산효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을 가지는 글라스 버블에 의한 확산효과를 나타 낸 도면이다.Figure 4a is a view showing the diffusion effect by the beads in the general bead-type diffusion sheet, Figure 4b is a view showing the diffusion effect by the glass bubble having a ho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버블(143)은 마이크로 구조물(142) 내에 확산되나, 일반적인 비드형 확산시트에서 비드의 확산효과와 비교하기 위해 일반적인 수지층에 본 발명의 글라스 버블(143)이 확산된 경우를 나타내었다.In FIG. 4B, the glass bubble 14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ffuses into the microstructure 142, but the glass bubble 143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uses into the general resin layer in order to compare the diffusion effect of the beads in the general bead type diffusion sheet. The case was shown.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144)을 가지는 글라스버블(146)을 마이크로구조물(142) 내에 확산하지 않고 도 4a에서와 같이 수지층에 확산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글라스 버블(143)의 확산효과가 비드의 확산효과보다 더 좋음을 알 수 있다. 즉, 중공(144)을 가지는 글라스 버블(143)을 본 발명의 마이크로 구조물(142)에 확산시킬 경우, 글라스 버블(143)에 의해 확산된 광을 2차적으로 확산 및 집광하므로 본 발명의 광학필름(140)이 일반적인 비드형 확산시트보다 휘도 균일성 및 확산효과가 더 향상됨을 할 수 있다.FIG. 4B shows the glass bubble 143 of the present invention despite the fact that the glass bubble 146 having the hollow 14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used into the resin layer as shown in FIG. 4A without diffusing into the microstructure 142. It can be seen that the diffusion effect is better than that of the beads. That is, when the glass bubble 143 having the hollow 144 is diffused into the microstructure 14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diffused by the glass bubble 143 is secondaryly diffused and condensed. 140 may improve luminance uniformity and diffusion effect more than the general bead diffusion sheet.

상기에서는 글라스 버블(143)의 베이스 물질, 두께 및 일반적인 비드와 비교하여 확산효과 및 휘도 균일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버블의 직경(D1) 결정 방법을 설명한다.In the above, the diffusion effect and luminance uniformity are described in comparison with the base material, thickness, and general beads of the glass bubble 143. Hereinafter, a method of determining the diameter D1 of the glass bub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a는 글라스 버블의 직경이 600nm이고, 대략 7억개/㎣의 수밀도로 마이크로 구조물(142)에 확산된 경우의 반사 및 투과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글라스 버블의 직경(D1)이 800nm이고, 295,358,650개/㎣의 수밀도로 확산된 경우의 반사 및 투과 특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5c는 글라스 버블의 직경(D1)이 1um이고, 151,187,900개/㎣의 수밀도로 확산된 경우의 반사 및 투과 특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5d는 글라스 버벌의 직경(D1)이 3um이고, 5,600,000개/㎣의 수밀도로 확산된 경 우의 반사 및 투과 특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5e는 직경(D1)이 6um이고 700,000개/㎣의 수밀도로 확산된 경우의 반사 및 투과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마이크로 구조물(142) 내에서 글라스 버블(146)들이 차지하는 부피가 동일한 경우의 반사 및 투과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버블(146)의 직경(D1)에 따른 반사율과 투과율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5A shows th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when the glass bubble has a diameter of 600 nm and is diffused into the microstructure 142 at a water density of approximately 700 million / μs. FIG. 5B shows that the glass bubble has a diameter D1 of 800 nm. , And shows th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when diffused at a density of 295,358,650 pieces / ㎣, and FIG. 5C shows th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when diffused at a density of 151,187,900 pieces / ㎣ with a glass bubble diameter (D1) of 1 μm. 5D shows th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when the diameter D1 of the glass bubble is 3 μm and is diffused at a water density of 5,600,000 pieces / ㎣, and FIG. 5E shows the diameter D1 of 6 μm and 700,000 pieces / ㎣. This shows th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when diffused to a density of, and th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when the volume of the glass bubbles 146 in the microstructure 142 is the same. 6 is a view showing the reflectance and transmittance according to the diameter (D1) of the glass bubble 14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글라스 버블(146)의 직경(D1)이 600nm인 경우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은 광학필름을 투과하지 못하고 반사됨을 알 수 있으며, 도 5b와 같이 직경(D1)이 800nm인 경우에도 극히 일부만을 투과시킬 뿐 대부분은 반사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5A, when the diameter D1 of the glass bubble 146 is 600 nm,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10 may not be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film and may be reflected. As shown in FIG. 5B, the diameter D1 may be reflected. Even at 800 nm, only a part of the light is transmitted, and most of the light is reflected.

또한, 도 5c에서와 같이 글라스 버블(146)의 직경(D1)이 1um인 경우에도 직경(D1)이 800nm인 경우보다 일부 광을 투과하기는 하나 광의 투과율이 낮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diameter (D1) of the glass bubble 146 is 1um as shown in Figure 5c it can be seen that although the light transmits some light than the case where the diameter (D1) is 800nm.

이에 반해, 도 5d와 같이 글라스 버블(146)의 직경(D1)이 3um인 경우에는 반사율과 투과율이 비슷함을 알 수 있으며, 도 5e와 같이 글라스 버블의 직경(D1)이 6um인 경우에는 반사율보다 투과율이 더 큼을 알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diameter D1 of the glass bubble 146 is 3 μm as shown in FIG. 5D, the reflectance and transmittance are similar. When the diameter D1 of the glass bubble is 6 μ as shown in FIG. 5E, the reflectance is 6 μm. It can be seen that the transmittance is greater than.

도 6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글라스 버블(146)의 직경(D1)이 커지면 투과율은 증가하고, 반사율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에서는 확산효과와 휘도 균일성이 중요하므로 투과율이 50%이상이고 반사율이 5% 이상의 특성을 가지는 직경(D1)을 선택한다.Referring again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as the diameter D1 of the glass bubble 146 increases, the transmittance increases and the reflectance decreases. In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ffusion effect and the uniformity of luminance are important, the diameter D1 having a transmittance of 50% or more and a reflectance of 5% or more is selected.

그러므로 도 6에서 투과율이 50%이상이고 반사율이 5%이상인 조건을 만족하 는 글라스 버블(146)의 직경(D1)은 4um 내지 30um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글라스 버블(143)은 4um 내지 30um의 직경(D1)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can be seen from FIG. 6 that the diameter D1 of the glass bubble 146 satisfying the condition that the transmittance is 50% or more and the reflectance is 5% or more is 4um to 30um. Therefore, the glass bubble 143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diameter (D1) of 4um to 30um.

또한, 상기와 같이 결정된 직경(D1)을 가지는 글라스 버블(143)들은 휘도를 고려하여 마이크로 구조물(142) 내에 마이크로 구조물(142) 내부의 총부피의 40% ~ 70%의 밀도를 가지도록 확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글라스 버블의 수밀도를 상기 40% 내지 70%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원하는 광의 확산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glass bubbles 143 having the diameter D1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are diffused to have a density of 40% to 70% of the total volume inside the microstructure 142 in the microstructure 142 in consideration of luminance. It is preferable. That is, by adjusting the number density of the glass bubble within the range of 40% to 70% can obtain the desired light diffusion effect.

본 발명을 종래기술과 비교하면, 도 3a에서와 같이 마이크로 구조물(142)이 반원기둥형인 경우 종래에는 원하는 확산효과, 즉 원하는 휘도 균일도 및 시야각을 얻기 위해 반원기둥의 폭(W)과 높이(H)에 의해 결정되는 세정비(H/W)를 조절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원하는 확산효과를 얻기 위해 세정비를 조절할 필요없이 마이크로 구조물(142) 내부에 확산되는 중공(146)을 가지는 글라스 버블(144)의 수밀도를 조절하여 확산효과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부가적으로 상기 세장비를 조절하여 확산효과가 더 향상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쉽게 원하는 확산효과를 얻을 수 있다. 통상, 마이크로 구조물(142)이 반원기둥형인 경우 마이크로 구조물 단면의 폭(W)과 높이(H)는 1um 내지 200um을 갖도록 형성된다.Compar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prior art, when the microstructure 142 is semi-cylindrical as in FIG. 3a, the width (W) and the height (H) of the semi-cylinder in order to obtain a desired diffusion effect, that is, the desired brightness uniformity and viewing angle Although the cleaning ratio (H / W) determined by) should be adjus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lass bubble having the hollow 146 diffused inside the microstructure 142 without the need to adjust the cleaning ratio in order to obtain a desired diffusion effec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ffusion effect by adjusting the number density of 144). However, it may be adjusted to further improve the diffusion effect by adjusting the thin equipmen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asily obtain the desired diffusion effect. In general, when the microstructure 142 has a semi-cylindrical shape, the width (W) and the height (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microstructures are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1 um to 200 um.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반원기둥형 마이크로 구조물을 가지는 광학필름이 적용된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즘형 마이크로 구조물을 가지는 광학필름이 적용된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구조물 내에 확산되는 중공을 가지는 글라스 버블의 수밀도에 따른 확산효과를 나타낸 것이다.7A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backlight unit to which an optical film having a semi-cylindrical micro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7B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cklight unit to which an optical film having a prismatic micro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Drawing. And Figure 8 shows the diffusion effect according to the number density of the glass bubble having a hollow diffused in the micro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에서와 같이 마이크로 구조물은 반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도 7b에서와 같이 마이크로 구조물은 프리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A, the microstructures may be configur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and as shown in FIG. 7B, the microstructures may be configured in a prism shape.

중공(146)을 가지는 글라스 버블(142)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구조물(142) 내부의 총부피의 40% ~ 70%의 밀도를 가지도록 확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Glass bubbles 142 having a hollow 146 is preferably diffused to have a density of 40% to 70% of the total volume inside the microstructure 142 as described above.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142)을 프리즘 형상으로 구성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 버블(142)에 의해 확산된 광의 집광효율을 높이기 위해 프리즘의 꼭지각은 40 ~ 110 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마이크로 구조물은 렌티큘러, 즉 반원구형 렌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렌티큘러의 크기는 폭과 높이 비(h/w: 세장비)가 0.1 ~ 1 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보다 작을 경우 패턴의 곡률이 커짐으로 인한 확산효과 및 휘도균일성이 떨어지게 되며, 이보다 컸을 경우 패턴의 가공이 힘들뿐만 아니라 곡률이 작아짐에 따라 확산효과가 떨어지게 되며, 휘도 균일성 또한 나빠지게 된다. 마이크로 구조물이 반원통형인 경우에도 세장비는 0.1 ~ 1 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microstructure 142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prism, in order to increase the light collecting efficiency of the light diffused by the glass bubble 142, the vertex angle of the prism is preferably formed at 40 to 110 degrees. In addition, the microstructures may be formed in a lenticular, that is, semi-spherical lens shape. The size of the lenticular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width-to-height ratio (h / w: thin equipment) has a value between 0.1 and 1. If the size is smaller than this, the diffusion effect and luminance uniformity are reduced due to the large curvature of the pattern. If larger than this, the processing of the pattern is not only difficult but also the diffusion effect is reduced as the curvature is reduced, the luminance uniformity is also worsened. Even when the microstructure is semi-cylindrical,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n equipment is formed to have a value between 0.1 and 1.

또한 도 7c 및 7d와 같이 반원통 형상 및 삼각 프리즘 형상의 마이크로 구조물(142)을 길이 방향에 대해 좌우로 불규칙하게 구불구불하게 형성(이하 "카오스 형상"이라 함)하여, 웨트(Wet-out), 뉴턴링 및 무아레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오스 패턴의 경우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구불구불한 모양을 갖기 때문에 주기성을 갖는 패턴 형상을 피할 수 있어 무아레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구불구불한 형상의 경우 직선으로 이루어진 패턴에 비해 상부필름과의 접촉부위가 불규칙하게 이루어지므로 웨트와 뉴턴링의 개선에 더욱 효과를 가질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S. 7C and 7D, the semi-cylindrical and triangular prism-shaped microstructures 142 are irregularly twisted from side to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haos shape”) to wet. , Newton ring and moire can be improved. Specifically, since the chaos pattern has a serpentine shape in the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directions, the pattern shape having periodicity can be avoided, thereby reducing the moire. Since the contact portion of the irregularity can be mad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wet and Newton ring.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140)은 도 7a 내지 도 7d에서와 같이 램프의 길이방향과 마이크로 구조물의 길이방향이 일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ptical film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rranged such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mp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icrostructure as shown in Figure 7a to 7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을 적용한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 균일 특성과 종래 기술에 따라 확산판(30)을 적용한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 균일 특성을 비교한 도면이다.8 is a view comparing luminance uniformity of the backlight unit to which the optica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luminance uniformity characteristic of the backlight unit to which the diffusion plate 30 is applie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8의 (가)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백라이트에서는 확산판(30)을 적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램프들에 의한 명부 및 암부가 확연하게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확산판 상부에 확산시트를 추가 적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도 8의 (나)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확산판을 적용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광원부(110)의 램프들에 의해 발생하는 명부 및 암부가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광학필름(140)에서 출사되는 광의 확산 및 휘도 균일 특성이 종래 확산판(30)을 적용하였을 경우의 광의 확산 및 휘도 균일 특성보다 좋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8A, although the diffuser plate 30 is applied to the backligh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light and dark portions caused by the lamps are clearly seen. Therefore, in this case, the diffusion sheet must be additionally a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diffusion plate. However, as shown in (b) of FIG. 8,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pply the diffusion plate,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and dark portions generated by the lamps of the light source unit 110 are not visible.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diffusion and luminance uniformity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ptical film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etter than the light diffusion and luminance uniformity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 diffusion plate 30.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를 적용한 백라이트 유닛의 시야각 특성과 종래 기술에 따라 확산판을 적용한 백라이트 유닛의 시야각 특성을 비교한 도면이다.9 is a view comparing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of the backlight unit applying the optica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of the backlight unit applying the diffusion plat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9의 (가)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상하 시야각은 대략 80도 정도이고, (나)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상하 시야각은 대략 90도 정도로,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의 시야각이 종래 백라이트 유닛의 시야각보다 더 좋음을 알 수 있다. 좌우 시야각 또한 본 발 명의 백라이트 유닛이 종래 백라이트 유닛보다 더 좋음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9,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n upper and lower viewing angle of about 80 degrees, and as shown in (b),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upper and lower viewing angle of about 90 degrees. It can be seen that the viewing angle of the backlight unit is bett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backlight unit. Left and right viewing angles can also be seen that the backligh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backlight unit.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ypical preferred embodiment, but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lterations, substitutions or additions in the art Anyone who has this can easily understand it. If such improvement, change, substitution or addition is carried out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 technical spirit should also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일반적인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general direct type backlight uni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irect typ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반원기둥형 광학필름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mi-cylindrical optica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도 3a의 글라스 버블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lass bubble of FIG. 3A.

도 4는 일반적인 비드와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버블의 확산효과를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diffusion effect of the glass bea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bead

도 5는 본 발명의 글라스 버블의 크기에 따른 투과율 및 반사율을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the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lass bubb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글라스 버블의 크기에 따른 투과율 및 반사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6 is a graph showing the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lass bubb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구조물이 반원기둥형인 광학필름를 적용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7A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rect backlight unit to which the micro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semi-cylindrical optical film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구조물이 프리즘형인 광학필름을 적용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7b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rect type backlight unit to which an optical film having a prism type micro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구조물이 카오스 반원기둥형인 광학필름을 적용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7c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rect type backlight unit to which the micro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haos semi-cylindrical optical film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구조물이 카오스 삼각프리즘형인 광학필름을 적용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7d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rect backlight unit to which the micro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 optical film of a chaotic triangular prism type.

도 8은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의 휘도 균일도 특성을 나타낸 도면8 illustrates luminance uniformity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or art;

도 9는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의 시야각 특성을 나타낸 도면9 is a view showing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or ar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code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12 : 반사시트 2, 13: 도광판1, 12: reflection sheet 2, 13: light guide plate

3 : 확산시트 4: 제1미세패턴 시트3: diffusion sheet 4: first fine pattern sheet

5: 제2미세패턴 시트 6, 15: 보호시트5: 2nd fine pattern sheet 6, 15: protective sheet

7, 11: 광원 14: 반사패턴7, 11: light source 14: reflection pattern

21: 상부면 22, 35: 하부면21: upper surface 22, 35: lower surface

23, 31: 제1전방단부면 24, 32: 제2전방단부면23, 31: first front end face 24, 32: second front end face

25, 33: 내측면 26, 34: 외측면25, 33: inner side 26, 34: outer side

Claims (10)

판상의 기저부와,The base of the plate, 상기 기저부 상부면에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마이크로 구조물들이 나란하게 배열되는 굴절구조부를 포함하되,It includes a refractive structure in which the micro-structures extending in one direction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base upper surface,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글라스 버블들이 확산됨을 특징으로 광학필름.Optical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glass bubbles having a hollow in the microstructure is diffus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글라스 버블의 직경이 4 ~ 30 mm 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Optical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glass bubble is 4 ~ 30 m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글라스 버블들이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 내부의 총부피의 40% ~ 70%의 밀도를 가지도록 확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And the glass bubbles are diffused to have a density of 40% to 70% of the total volume inside the micro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이 반원기둥, 프리즘 또는 렌티큘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The microstructure of the optical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mi-cylindrical, prismatic or lenticular shap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이 반원기둥형 또는 렌티큘러 형상인 경우 상기 반원기둥 및 렌티큘러의 세장비가 0.1 내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When the microstructure is a semi-cylindrical or lenticular shape, the optical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e equipment of the semi-cylindrical cylinder and the lenticular is 0.1 to 1.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이 길이 방향에 대해 좌우로 불규칙적으로 구불구불하게 굴곡되는 카오스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The micro-structure is an optical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otic shape bent irregularly curved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광원들을 가지는 광원부와,A light source unit hav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ranged side by side in one direction, 상기 광원부 상부에 배치되며, 판상의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 상부면에 상기 일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마이크로 구조물들이 나란하게 배열되는 굴절구조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글라스 버블들이 확산되는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Is disposed above the light source portion, and includes a plate-shaped base portion and the refractive structure portion is arranged in parallel to the microstructure extending in parallel to the base surface on the base portion, wherein the glass bubbles having a hollow inside the microstructure is diffused The direct type backlight unit comprising an optical film.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글라스 버블의 직경이 4 ~ 30 mm 임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The direct type backlight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glass bubble 4 ~ 30 mm.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글라스 버블들이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 내부의 총부피의 40% ~ 70%의 밀도를 가지도록 확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And the glass bubbles are diffused to have a density of 40% to 70% of the total volume inside the microstructur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이 길이 방향에 대해 좌우로 불규적으로 구불구불하게 형성되는 카오스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And a chaotic shape in which the microstructures are irregularly twisted from side to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KR1020080104316A 2008-10-23 2008-10-23 Optical film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KR1010377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316A KR101037769B1 (en) 2008-10-23 2008-10-23 Optical film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PCT/KR2009/006155 WO2010047557A2 (en) 2008-10-23 2009-10-23 Optical film, and backlight unit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316A KR101037769B1 (en) 2008-10-23 2008-10-23 Optical film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228A true KR20100045228A (en) 2010-05-03
KR101037769B1 KR101037769B1 (en) 2011-05-27

Family

ID=4211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316A KR101037769B1 (en) 2008-10-23 2008-10-23 Optical film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37769B1 (en)
WO (1) WO2010047557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012B1 (en) 2014-12-03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smart window using a glass bead and liquid crystal,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KR102071472B1 (en) 2018-06-28 2020-01-30 주식회사 엘엠에스 Optical film for mini led or micro led backlight unit
TW202134759A (en) 2020-02-10 2021-09-16 美商康寧公司 Backlights including patterned reflectors
CN115097670B (en) * 2022-06-28 2024-04-16 深圳市兆驰光元科技有限公司 Laminating film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905B1 (en) * 2004-10-27 2012-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Light control palate and back 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1168419B1 (en) * 2005-08-29 2012-07-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Diffuser Plate, Method of Fabricating the Diffuser Plate and Back Light Unit
KR20070040956A (en) * 2005-10-13 200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sm sheet including light diffusion means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JP4605046B2 (en) * 2006-02-22 2011-01-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guide plate
KR20070104958A (en) * 2006-04-24 2007-10-30 주식회사 코오롱 The plate for brightness enhancement
KR20080079466A (en) * 2007-02-27 2008-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Optical shee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7769B1 (en) 2011-05-27
WO2010047557A2 (en) 2010-04-29
WO2010047557A3 (en)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147B1 (en) Light guide panel for LCD back light unit and LCD back light unit thereby
KR100864321B1 (en) Diffuser prism sheet comprising amorphous light diffuser on the valley of prism and lcd back light unit thereby
TWI494615B (en) Optical prism sheet having a certain roughness thereon
JP4512137B2 (en) Light guide pl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KR101556610B1 (en) Optical shee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978078B1 (en) Prism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JP2005221619A (en) Optical sheet, back-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781328B1 (en) Light guide panel for lcd back light unit and lcd back light unit thereby
KR101037769B1 (en) Optical film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KR20110071993A (en) Light guiding panel and back light unit using the same
KR20090086759A (en) Prism sheet having lengthwise wave patterned prisms with improved front brightness, back light unit having the prism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back light unit
JP4815930B2 (en) Light transmissive film,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7080800A (en) Light guide plate of backlight unit
JP2008304501A (en) Diffusion plate
JP2011133556A (en)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display device, and die
KR100983332B1 (en) Light guide panel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KR100980496B1 (en) Combination sheet for improving hot spot and back light unit using the same
KR100610617B1 (en) Optical Sheet and Back Light Unit Using the same
KR20100091613A (en) Optical sheet improved uniformity and lcd having the same
KR101086366B1 (en) Prism sheet having high handling property and LCD back light unit thereby
KR101038661B1 (en) Prism sheet having wet-out property and LCD back light unit thereby
KR100918033B1 (en) Prism sheet having wet-out property and LCD back light unit thereby
JP4394564B2 (en) Direct type backlight
JP2008304500A (en) Diffusion plate
WO2008140176A1 (en) Prism sheet and lgp using polygonal prism structure, blu and lcd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