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793A -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793A
KR20100042793A KR1020080101939A KR20080101939A KR20100042793A KR 20100042793 A KR20100042793 A KR 20100042793A KR 1020080101939 A KR1020080101939 A KR 1020080101939A KR 20080101939 A KR20080101939 A KR 20080101939A KR 20100042793 A KR20100042793 A KR 20100042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ervice
message transmission
portable terminal
transmiss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to KR1020080101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2793A/ko
Publication of KR20100042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복수의 메시지를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이 개시된다. 저장된 복수의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선택되는 단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전송될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각각의 전송을 위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및 상기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각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복수의 메시지를 한번의 조작으로 전송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메시지, SMS, MMS, 전송, 복수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복수의 메시지를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의 세대 진화에 따라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더욱 고속화되고 있고, 이에 상응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사용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2세대 이동 통신에서는 음성 및 단문 메지시 서비스(SMS:Short Message Service) 등과 같은 저속의 데이터 서비스만 가능하였으나, 3세대 이후 데이터 서비스의 속도가 증가하면서 최근에는 음성 통화 이외에도 LMS(Long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멀티메일, 동영상 메일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상용화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부가 서비스 중에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과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부의 부가 기능(예를 들면, 그룹기능)을 연계하여 하나의 메시지를 여러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는 동보 전송 서비스가 있 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동보 전송 기능은 사용자가 작성한 하나의 메시지를 복수의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에 동시에 전송하는 기능만 제공 할 뿐, 수신된 여러개의 메시지를 다시 전송(즉, 메시지 전달 기능)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메시지를 사용자가 직접 전송을 해야 하는 동일한 과정을 여러 번 수행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된 복수의 메시지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은, 저장된 복수의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전송될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각각의 전송을 위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및 상기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각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각각의 전송을 위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중 제1 메시지가 제1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된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및 상기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각각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제1 메시지가 제1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해 전송가능하고 상기 입력된 목적지 정보에 제2 메시지 전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목적지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선택된 제1 메시지를 제1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및 제2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해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메시지 전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목적지 정보는 이메일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제1 메시지를 제1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및 제2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해 각각 전송하는 것은 상기 입력된 목적지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에 대해서는 상기 제1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입력된 목적지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메일 주소에 대해서는 상기 제2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메시지 서비스는 LMS(Long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멀티 메일 서비스, 동영상 메일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중 제1 메시지가 제1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선택된 제1 메시지에 입력된 메시지의 크기 및 상기 선택된 제1 메시지에 멀티미디어 컨텐츠 포함 유무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중 제1 메시지가 제1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선택된 소정 메시지가 수신된 메시지 전송 서비스의 유형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복수의 메시지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복수의 메시지가 전송될 복수의 목적지 정보를 입력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선택된 메시지가 수신된 메시지인 경우에는 메시지의 헤더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해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메시지가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어 저장된 메시지인 경우에는 작성된 각각의 메시지의 크기 또는 파일 첨부 여부를 판단하여 메시지 전 송 서비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복수의 메시지를 동일한 방법을 통해 각각의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한번의 메시지 전송 조작으로 복수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수신된 메시지 또는 작성된 메시지의 유형에 적합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해 각각의 메시지를 전송하므로 메시지 전송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 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 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상응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메시지를 선택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메시지는 다양한 전송 방법을 통해 미리 수신된 메시지 및/또는 사용자가 미리 입력하여 저장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메시지를 제공받고(단계 101), 상기 선택된 메시지가 전송될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정보를 제공받는다(단계 103).
여기서, 상기 목적지 정보는 예를 들어, 전화번호 및/또는 이메일(e-mail) 주소가 될 수 있고, 상기 전화번호와 이메일 주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입력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01에서 선택된 메시지 중 소정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판단한다(단계 105).
단계 101에서 선택된 메시지가 다른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인 경우에는, 단계 105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소정 메시지의 헤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메시지가 SMS 메시지인 경우에는 소정 메시지를 SMS 전송 대상 으로 판단하고, 상기 소정 메시지가 SMS 메시지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소정 메시지의 메시지 전송 서비스의 유형에 기초하여 메시지 전송 대상을 판단한다.
또는,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01에서 선택된 메시지 중 소정 메시지가 SMS(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라 약칭함) 전송 대상인지 또는 SMS 전송 대상이 아닌 다른 메시지 서비스 전송 대상(예를 들면, MMS, LMS, 멀티 메일 서비스, 동영상 메일 서비스)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105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소정 메시지가 텍스트만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텍스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 크기(예를 들면, 80byte)와 비교하여, 텍스트의 크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는 입력된 메시지를 SMS 전송 대상(즉, 메시지를 SMS를 통해 전송함)으로 판단하고, 상기 텍스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 크기보다 크고 메시지가 텍스트로만 구성된 경우에는 입력된 메시지를 LMS(Long Message Service, 이하, 'LMS'라 약칭함)전송 대상으로 판단한다.
또는,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소정 메시지의 내용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도 메시지에 동영상, 이미지, 음악 등이 첨부된 경우에는 첨부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내용 또는 크기에 따라 입력된 메시지를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멀티 메일, 동영상 메일 중 어느 하나의 전송 대상으로 판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선택한 메시지가 SMS 전송 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MMS 전송 대상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메시지 전송 서비스 판단에 기초하여 소정 메시지의 SMS 전송 대상 유무를 판단한다(단계 107).
단계 107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소정 메시지가 SMS 전송 대상으로 판단되면, 단계 103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 정보를 검색하여 목적지 정보에 이메일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109).
단계 109에서, 목적지 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이메일 주소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목적지 정보에 따라 소정 메시지를 SMS 및 MMS로 구분하여 전송한다.
먼저, 휴대용 단말기는 목적지 정보 중 소정 전화번호를 독출하고(단계 111), 사용자가 선택한 메시지 중 소정 메시지를 SMS를 통해 독출된 소정 전화번호로 전송한다(단계 113).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목적지 정보 중 소정 이메일 주소를 독출하고(단계 115), 사용자가 선택한 메시지 중 소정 메시지를 MMS를 통해 독출된 소정 이메일 주소로 전송한다(단계 117).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01에서 선택된 모든 메시지가 전송이 완료 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119). 단계 119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선택된 모든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 되지 않은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105로 되돌아가서 상기 선택된 복수의 메시지 각각이 입력된 목적지 정보로 전부 전송될 때 까지 단계 105 내지 단계 117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또한, 단계 119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선택된 모든 메시지가 전송 완료 된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을 종료한다.
단계 107에서, 소정 메시지의 헤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메시지가 SMS 메시지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소정 메시지를 MMS를 통해 전송한다(단계 121).
또는, 소정 메시지의 텍스트가 미리 설정된 기준 크기 보다 크거나, 동영상, 이미지, 음악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첨부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소정 메시지가 SMS 전송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소정 메시지를 MMS를 통해 전송한다(단계 121).
또한, 단계 109에서 목적지 정보에 이메일 주소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 105에서 판단된 소정 메시지는 SMS 전송 대상에 해당하고, 단계 103에서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정보가 모두 전화번호로만 구성된 것을 의미하므로, 휴대용 단말기는 소정 메시지를 SMS를 통해 전송한다(단계 123).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메시지 중 2개의 SMS 메시지와 1개의 MMS 메시지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메시지가 전송될 전화번호를 1개 입력하는 경우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가 도 2의 (a)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안녕하세요', '축하합니다', '환영해요'의 3개의 메시지를 선택하여 '전달'버튼을 선택하게 되면, 도 2의 (b)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되고 선택된 메시지가 전송될 전화번호 '123456789'를 입력하고 '발신'버튼을 선택하면, 도 2의 (c)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된다. 도 2의 (c)는 선택된 메시지 중 2개 SMS가 전송완료 된 후 1개의 MMS가 전송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며, 선택된 메시지가 전송완료 되면 도 2의 (d)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어 선택된 메시지가 전송 완료 됨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복수의 메시지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복수의 메시지가 전송될 복수의 목적지 정보를 입력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선택된 메시지가 수신된 메시지인 경우에는 메시지의 헤더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해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메시지가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어 저장된 메시지인 경우에는 작성된 각각의 메시지의 크기 또는 파일 첨부 여부를 판단하여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복수의 메시지를 동일한 방법을 통해 각각의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한번의 메시지 전송 조작으로 복수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수신된 메시지 또는 작성된 메시지의 유형에 적합한 메시 지 전송 서비스를 통해 각각의 메시지를 전송하므로 메시지 전송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Claims (8)

  1.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저장된 복수의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전송될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각각의 전송을 위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및 상기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각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각각의 전송을 위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중 제1 메시지가 제1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및 상기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각각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제1 메시지가 제1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해 전송가능하고 상 기 입력된 목적지 정보에 제2 메시지 전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목적지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선택된 제1 메시지를 제1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및 제2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해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 전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목적지 정보는,
    이메일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제1 메시지를 제1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및 제2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해 각각 전송하는 것은,
    상기 입력된 목적지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에 대해서는 상기 제1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입력된 목적지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메일 주소에 대해서는 상기 제2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 서비스는,
    LMS(Long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멀티 메일 서비스, 동영상 메일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중 제1 메시지가 제1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선택된 제1 메시지에 입력된 메시지의 크기 및 상기 선택된 제1 메시지에 멀티미디어 컨텐츠 포함 유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중 제1 메시지가 제1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선택된 소정 메시지가 수신된 메시지 전송 서비스의 유형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20080101939A 2008-10-17 2008-10-17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20100042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939A KR20100042793A (ko) 2008-10-17 2008-10-17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939A KR20100042793A (ko) 2008-10-17 2008-10-17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793A true KR20100042793A (ko) 2010-04-27

Family

ID=4221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939A KR20100042793A (ko) 2008-10-17 2008-10-17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27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6252B2 (ja) 移動通信端末機のメッセージ送受信方法
CN102318295B (zh) 用于处理消息的设备和方法
EP1787186B1 (en) Multimodal interface for mobile messaging
US20090181702A1 (en) Multi-mode communication
US200900675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ociating Related Messages Of Different Types
US200300403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ating a recipient for transmission of a message in a mobile terminal
KR1013731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처리 방법
JP3909083B2 (ja) 電子メール配信システム及び電子メール配信方法
US200901776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er-to-peer contact information look-up
US20060128387A1 (en) Method of providing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CN100474865C (zh) 用于一次按键消息发送的移动通信终端和方法
KR100844815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64384B1 (ko) 송,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한 화면에 표시하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표시 방법
KR20100042793A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US8078202B1 (en) Wireless handset configured to forward multiple messages
KR10105154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신메시지 표시방법
KR101195305B1 (ko) 휴대단말기의 통신기록 관리 방법
KR20100032017A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동보 전송 방법
KR100662102B1 (ko) 메시지 전송 방법 및 메시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
KR100549921B1 (ko) 다중 문자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KR101140213B1 (ko) 대화명 관리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를 이용한 대화명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3099379A (ja) 電子メールサービス提供装置
KR20060026703A (ko) 관용구 삽입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WO2003009571A1 (fr) Appareil de telephone portable
KR2006006301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테마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