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778A - 다양한 종류의 p2p 시스템을 지원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양한 종류의 p2p 시스템을 지원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778A
KR20100042778A KR1020080101921A KR20080101921A KR20100042778A KR 20100042778 A KR20100042778 A KR 20100042778A KR 1020080101921 A KR1020080101921 A KR 1020080101921A KR 20080101921 A KR20080101921 A KR 20080101921A KR 20100042778 A KR20100042778 A KR 20100042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r
content
virtual super
request
reque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토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토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토비
Priority to KR1020080101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2778A/ko
Publication of KR20100042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P2P 시스템을 지원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버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하나만의 P2P 시스템에 국한되지 않게 여러 종류의 프로토콜을 지원토록 하여 다양한 P2P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임의의 콘텐츠 목록을 요청하는 복수의 피어그룹(PG_x); 각각 외부의 P2P 시스템과 1:1 대응하는 복수의 피어 프로세스(SP_x)로 구성되며, 상기 피어그룹에서 요청한 콘텐츠 목록 요청 정보를 수락하는 가상 슈퍼피어(V_1); 및 상기 가상 슈퍼피어에서 수락된 콘텐츠 목록 요청 정보를 찾아 제공하는 저장매체(ST_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버를 이용하지 않고 가상 슈퍼피어(V_1)를 통함으로써 집중된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사용하는 P2P 시스템의 종속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고, P2P 시스템의 특성상 해당 콘텐츠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P2P 시스템, 프로토콜, 피어그룹, 가상 슈퍼피어

Description

다양한 종류의 P2P 시스템을 지원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Content Delivery Network Based On Multiple P2P Protocol}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P2P 시스템을 지원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서버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하나만의 P2P 시스템에 국한되지 않게 여러 종류의 프로토콜을 지원토록 하여 다양한 P2P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들은 클라이언트-서버(C/S) 구조나 피어-투-피어(P2P) 구조를 갖는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P2P 모델의 개념은 그 동안 서버 중심의 컴퓨팅 환경에서 서버의 용량 제한 및 과부하의 단점을 보완하고, 사용자나 기업에게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모든 데이터를 서버가 단독으로 가지고 이것을 사용하는 장치에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데이터를 분산화시키고,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함 으로써 자료의 효율적 관리를 지원하도록 하는 것이 P2P의 개념이다.
특히, P2P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노드(node)는 피어(peer)로 간주되며, 각 피어들은 서로 직접 통신할 수도 있어 중앙 네트워크 구조가 요구되지 않으며, 이들 피어들은 또한 서로 협조하여 서비스와 자원을 서로 공유하므로, 소위 말하는 피어-그룹을 형성한다.
또한, 피어들은 어느 때나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거나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그 시스템에 임의로 결합하기도 하고 탈퇴하는 등, 피어-그룹들은 분리되거나 합쳐지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다이내믹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반면에 클라이언트-서버의 네트워크 구조는 네트워크를 통합적으로 관리,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장점은 기술적인 면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관점에서는 유용하게 활용된다.
현재 전형적인 콘텐츠 제공 모델은 클라이언트-서버(C/S)로서 대다수가 이 모델을 따른다. 하지만 C/S 모델은 서버에 집중되는 트래픽으로 인해, 많은 비용이 요구 된다.
또한, 과거 대다수의 개인용 PC가 저 사양이며, 고가의 하드웨어로 인해 자연스럽게 C/S 구조로 진행되어져 왔다면, 앞으로는 서번트(Servent: 하나의 노드가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동시에 함)로 진행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그만큼 하드웨어는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고 있고, 그 비용 또한 매우 저렴해 지고 있다.
이러한 서번트 구조를 이용하여 서버로 집중되어진 네트워크상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상당한 비용절감을 이룰 수 있다.
하지만 서번트들을 연결하는 기술인 P2P는 아쉽게도 그 프로그램을 제작한 제작자나 제작사에 따라 내부적으로 운용되는 방식이나, 프로토콜 등이 조금씩 다르다. 즉 동일한 P2P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들끼리 서로 그룹(피어그룹)을 형성하며 사용 되어질 뿐, 이들 피어그룹들 간에는 운용방법이나 프로토콜 등의 한계로 정보공유를 위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지 못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분산 효과를 거둘 수 있는 P2P 모델을 이용하여 기존의 C/S모델을 따르지 않으면서, 각기 다른 형태의 P2P 시스템 상의 요청을 모두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보요청 측이 어떠한 P2P 시스템을 사용하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콘텐츠를 제공하는 측에서 다양한 P2P 시스템들의 요청을 수용하여 처리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P2P 시스템을 지원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임의의 콘텐츠 목록을 요청하는 복수의 피어그룹(PG_x); 각각 외부의 P2P 시스템과 1:1 대응하는 복수의 피어 프로세스(SP_x)로 구성되며, 상기 피어그룹에서 요 청한 콘텐츠 목록 요청 정보를 수락하는 가상 슈퍼피어(V_1); 및 상기 가상 슈퍼피어에서 수락된 콘텐츠 목록 요청 정보를 찾아 제공하는 저장매체(ST_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피어 프로세스는 전송 처리를 담당하는 복수의 서비스 피어들과, 상기 서비스 피어들의 업무분담을 조절해주는 하나의 분배프로세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가상 슈퍼피어는 자신이 속해있는 피어그룹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콘텐츠 목록 요청정보를 수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를 이용하지 않고 가상 슈퍼피어(V_1)를 통함으로써 집중된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사용하는 P2P 시스템의 종속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고, P2P 시스템의 특성상 해당 콘텐츠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피어 f가 자신의 피어그룹 PG_2에서 구할 수 없는 콘텐츠를 피어프로세스 SP_2를 이용하여 취득했을 경우, 차후 피어 g는 피어 f와 피어프로세스 SP_2 양쪽에서 더욱 빠르고 안정적으로 콘텐츠를 취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 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시스템으로서 HDN의 가상 슈퍼피어가 피어들과 연결되어 요청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각기 다른 P2P 그룹들이 HDN에 접속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피어프로세스가 내부의 분배프로세스를 이용해 외부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임의의 P2P 프로그램에서 자신이 요청 가능한 콘텐츠들을 목록으로 보여주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콘텐츠 제공시스템은 임의의 콘텐츠 목록을 요청하는 복수의 피어그룹(PG_x)과; 각각 외부의 P2P 시스템과 1:1 대응하는 복수의 피어 프로세스(SP_x)로 구성되며, 상기 피어그룹에서 요청한 콘텐츠 목록 요청 정보를 수락하는 가상 슈퍼피어(V_1); 및 상기 가상 슈퍼피어에서 수락된 콘텐츠 목록 요청 정보를 찾아 제공하는 저장매체(ST_1)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정보 요청 피어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P2P 시스템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요청하더라도 이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가상 슈퍼피어(V_1)의 사용권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상 슈퍼피어(V_1)는 실질적으로 전송 처리를 담당하는 서비스피어들과, 이들 서비스피어들의 업무분담을 조절해주는 분배프로세스의 사용권을 제한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은 가상의 슈퍼피어(V_1)를 구성한다.
먼저, 도 2를 살펴보면 HDN(Hybrid Delivery Network : H_1)이 있는데 이는 도 1에서와 같이 가상 슈퍼피어(V_1)와 저장매체(ST_1)로 구성된다. 기존의 P2P 모델에 따르면, 도 2의 피어그룹 PG_3의 피어 k는 피어i, j와만 정보를 교환할 수 있을 뿐이다. 이들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HDN을 통해서 피어 k는 더 많은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어그룹들(PG_1, PG_2, PG_3, ..., PG_x)과 가상 슈퍼피어(V_1)는 기존의 C/S모델과는 확연히 다르다. HDN(H_1)내의 가상 슈퍼피어(V_1)는 여러 개의 피어 프로세스(SP_1, SP_2, SP_3,..., SP_x)로 이루어지는데, 이들 피어프로세스는 각각 외부의 P2P 시스템과 1:1 대응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콘텐츠 목록의 요청 과정은 임의의 피어 k가 HDN(H_1)에 연결된 상태라면 임의의 피어 k는 HDN(H_1)을 하나의 피어로 여기고 콘텐츠 목록을 요청한다. 여기까지는 기존의 P2P 시스템과 동일하다. 이 경우 HDN내의 가상 슈퍼피어(V_1)내의 피어프로세스가 이 요청을 받아 정보를 제공한다.
도 1에서와 같이, 피어 k는 피어그룹 PG_3의 멤버이다. 이 경우 피어 k의 피어프로세스는 SP_3이 된다. 물론 SP_3은 PG_3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피어프로세스이다.
피어프로세스 SP_3이 피어 k로부터 콘텐츠 목록요청의 수락 처리가 끝나면, 저장매체(ST_1)로부터 공개되어 있는 콘텐츠들의 정보를 수집해 피어 k에 전달한다.
그러면, 도 4와 같이 피어 k의 화면에는 요청할 수 있는 콘텐츠들이 출력된다. 이때, 출력된 목록에는 피어 i나 j가 제공하는 목록 이외에 피어프로세스 SP_3이 제공한 콘텐츠도 함께 출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요청 과정은 콘텐츠 목록 요청 방법과 동일하다. 임의의 피어 k에 상응 하는 피어프로세스 SP_3이 콘텐츠 요청을 수락하고, 저장매체(ST_1)에서 콘텐츠를 찾아 제공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3을 살펴보면 가상 슈퍼피어(V_1)를 좀 더 확대했을 경우 그 중에서 가상 슈퍼피어 내에서 하나의 피어그룹 처리를 전담하게 된다.
피어프로세스 SP_1은, 하나의 분배 프로세스(D_1)와 여러 개의 서비스피어(SP_1a, SP_1b, SP_1c,…, SP_1x)로 구성되어지는데, 피어그룹 PG_1로부터 콘텐츠 요청을 받으면 피어프로세스 SP_1의 분배 프로세스 D_1이 이 요청을 수락하여, 자신이 관리하는 서비스피어들 중 가장 업무 분담률이 낮은 SP_1c를 찾아 요청 콘텐츠의 전송 처리를 요청하고, 서비스피어 SP_1c는 이에 대한 처리를 시작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버를 이용하지 않고 가상 슈퍼피어(V_1)를 통함으로써 집중된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사용하는 P2P 시스템의 종속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고, P2P 시스템의 특성상 해당 콘텐츠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시스템으로서 HDN의 가상 슈퍼피어가 피어들과 연결되어 요청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각기 다른 P2P 그룹들이 HDN에 접속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피어프로세스가 내부의 분배프로세스를 이용해 외부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임의의 P2P 프로그램에서 자신이 요청 가능한 콘텐츠들을 목록으로 보여주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3)

  1. 임의의 콘텐츠 목록을 요청하는 복수의 피어그룹(PG_x);
    각각 외부의 P2P 시스템과 1:1 대응하는 복수의 피어 프로세스(SP_x)로 구성되며, 상기 피어그룹에서 요청한 콘텐츠 목록 요청 정보를 수락하는 가상 슈퍼피어(V_1); 및
    상기 가상 슈퍼피어에서 수락된 콘텐츠 목록 요청 정보를 찾아 제공하는 저장매체(ST_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 프로세스는
    전송 처리를 담당하는 복수의 서비스 피어들과, 상기 서비스 피어들의 업무분담을 조절해주는 하나의 분배프로세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가상 슈퍼피어는 자신이 속해있는 피어그룹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콘텐츠 목록 요청정보를 수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KR1020080101921A 2008-10-17 2008-10-17 다양한 종류의 p2p 시스템을 지원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KR20100042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921A KR20100042778A (ko) 2008-10-17 2008-10-17 다양한 종류의 p2p 시스템을 지원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921A KR20100042778A (ko) 2008-10-17 2008-10-17 다양한 종류의 p2p 시스템을 지원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778A true KR20100042778A (ko) 2010-04-27

Family

ID=4221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921A KR20100042778A (ko) 2008-10-17 2008-10-17 다양한 종류의 p2p 시스템을 지원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27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3038A (zh) * 2021-06-25 2021-09-28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cdn-p2p混合架构下效用最优协同缓存管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3038A (zh) * 2021-06-25 2021-09-28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cdn-p2p混合架构下效用最优协同缓存管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1835B2 (en) Distributed client services based on execution of service attributes and data attributes by multiple nodes in resource groups
US8335844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quality of service-enabled contents in peer-to-peer networks
US8224968B1 (en) Method and system for scalable content storage and delivery
US78730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gateway bandwidth sharing ad-hoc networks
US8219614B2 (en) Edge peer device, pan gateway device, super peer device, and P2P network-based interconnection method
US20090247207A1 (en) Device and Method for Participating in a Peer-to-Peer Network
Hofstätter et al. Chordella-a hierarchical peer-to-peer overlay implementation for heterogeneous, mobile environments
KR20100042778A (ko) 다양한 종류의 p2p 시스템을 지원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Tran et al. Decentralized online social network using peer-to-peer technology
WO200914082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articipating in a peer-to-peer network
Mastroianni et al. A scalable super-peer approach for public scientific computation
Sacha et al. A service-oriented peer-to-peer architecture for a digital ecosystem
CN103269373A (zh) 一种基于jxta平台的p2p文件共享方法
Lu et al. A scalable P2P overlay based on arrangement graph with minimized overhead
Xhafa et al. Extending jxta protocols for p2p file sharing systems
Sun et al. P2CP: A new cloud storage model to enhance performance of cloud services
Prasanna et al. An Effective Cloud Downloading Service Using Adaptive Mode Selection Algorithm
Bocciarelli et al. QSHARE: QoS-enabled Description and Discovery of Services in SOA-based P2P Applications
Otto et al. A model for data management in peer-to-peer systems
Hsu et al. An experiment on the load shifting from service registry to service providers in soa
Pairot et al. Achieving load balancing in structured peer-to-peer grids
Jacob Efficient Load Balancing in Peer-to-Peer Systems with Partial knowledge of the System
Mistry et al. P2P Based Service Provisioning on Distributed Resources.
Vijayalakshmi et al. LOAD BALANCING WITH PARTIAL KNOWLEDGE OF SYSTEM IN PEER TO PEER NETWORKS
Goldsmith Enabling grassroots distributed computing with comptorr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