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1650A -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1650A
KR20100041650A KR1020080132587A KR20080132587A KR20100041650A KR 20100041650 A KR20100041650 A KR 20100041650A KR 1020080132587 A KR1020080132587 A KR 1020080132587A KR 20080132587 A KR20080132587 A KR 20080132587A KR 20100041650 A KR20100041650 A KR 20100041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ne
waste collection
unit
waste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장근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9/00471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044541A2/en
Publication of KR20100041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04C5/185Dust collectors
    • B04C5/187Dust collectors forming an integral part of the vortex cha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로부터 오물을 수집하고 필터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이클론부; 및 상기 사이클론부에서 분리된 오물을 저장하는 오물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물수집부는 오물을 수집하기 위한 공간이 가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집진, 오물, 수거, 가변, 용량, 다단, 신축, 인장, 청소기.

Description

집진장치{Dust collecting device}
본 발명은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집진된 오물을 수거하고 오물과 함께 유입된 공기는 필터링하여 배출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는 피청소면을 따라 주행하면서 피청소면의 오물을 클리닝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집진장치를 통해 흡입모터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으로 피청소면으로부터 오물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한 후, 사이클론 기류로 흡입된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 수거한다. 또한 오물과 분리된 공기는 집진장치 외부로 배출되며 최종적으로 진공청소기 본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집진장치는 통상 오물을 수거할 수 있는 용량 즉, 집진장치의 수거용량이 이미 제조 시 결정된 상태로 제품화된다.
그런데, 종래의 집진장치는 오물의 수거용량을 가변할 수 없기 때문에 청소환경에 따라 집진되는 오물의 양이 많은 경우 사용자는 집진장치에 수거된 오물을 자주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오물 수거용량을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플라스틱이나 견고한 재질로 구성되고 집진공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오물수집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클론부; 및 상기 사이클론부에서 분리된 오물을 저장하는 오물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물수집부는 오물을 수집하기 위한 공간이 가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오물수집부를 관통하는 배출유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오물수집부의 공간 변화에 대응되도록 그 길이가 가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기울어진 사이클론부; 및 상기 사이클론부 하측에 연통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사이클론부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적재되는 오물수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오물수거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사이클론부 하단으로부터 통체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통체와 상기 오물수거부는 상호 위치 변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통체는 상기 오물수거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오물수거부의 오물 수거공간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오물수거부의 내부에는, 상기 사이클론부로 오물을 포함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튜브; 및 상기 사이클론부로부터 배출되는 필터링된 공기가 모터실로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 배출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유입튜브 및 배출튜브는 신축 가능한 주름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튜브 및 배출튜브는 신축 가능한 슬라이드 파이프로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고, 이 경우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는 외측파이프 및, 상기 외측파이프 내부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내측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및 외측파이프 사이에는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은 상기 통체를 상기 오물수거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는 돌려서 고정시키거나 돌려서 고정을 해제하는 나사식 부재 또는 눌러서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버튼식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오물수거부는 진공청소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오물수거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오물수거부는 하부에 오물을 배출하기 위한 개폐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기울어진 사이클론부; 및 상기 사이클론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사이클론부로부터 분리된 오물을 수거하며, 상기 사이클론부 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세워진 오물수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오물수거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사이클론부 하단으로부터 통체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통체와 상기 오물수거부는 상호 위치 변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부의 일측에는 상기 사이클론부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보수용 개폐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물수거부의 내부에는, 상기 사이클론부로 오물을 포함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튜브와, 상기 사이클론부로부터 배출되는 필터링된 공기가 모터실로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 배출튜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입튜브 및 배출튜브는 신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사이클론부; 및 상기 사이클론부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사이클론부로부터 배출되는 오물을 적재하며, 상기 사이클론부와 동일방향으로 세워진 오물수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오물수거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사이클론부 하단으로부터 통체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통체와 상기 오물수거부는 상호 위치변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부는, 하측으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구와, 상기 사이클론부 내측에 배치되는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회전 상승시켜 오물과 분리한 후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물수거부는 바닥면에 형성된 입구와 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물수거부의 입구와 상기 사이클론부의 공기유입구를 연결하는 신축가능한 제1 튜브와, 상기 오물수거부의 출구와 상기 사이클론부의 배출관을 연결하는 신축 가능한 제2 튜브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튜브는, 각각 내측 및 외측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각 내측파이프는 상기 각 외측파이프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오물수거부는 일측에 상기 오물수거부를 청소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사이클론부와 오물수거부와 신축가능하게 형성된 공기유입관 및 공기배출관을 통해, 오물의 수거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성향 또는 청소환경에 따라 집진장치의 수거용량을 선택적으로 조절가능하므로 진공청소기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집진장치는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또는 캐니스터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흡입구체(미도시)를 통해 청소기 본체(미도시)로 유입된 오물을 공기로부터 분리하여 수집하고, 필터링된 공기는 집진장치 외부로 배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집진장치는 사이클론부(100) 및 사이클론부(100) 하측에 배치되는 오물수거부(200)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사이클론부(100)는 대략 수평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며, 내측에는 유입된 공기로부터 원심력에 의해 오물을 분리하기 위한 사이클론챔버(110)가 형성된다. 사이클론챔버(110)는 유입유로(310)의 일측 및 배출유로(330)의 일측과 각각 연통되는 격벽(111)에 의해 오물 수거공간(S)과 격리된다. 사이클론챔버(110) 내측에는 오물과 분리된 공기가 사이클론챔버(110)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관(113)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113) 입구에는 배출되는 공기 중 입자가 비교적 큰 오물을 걸러내기 위한 그릴필터(115)가 설치된다 아울러 사이클론챔버(110) 에는 배출관(113)을 따라 나선형으로 유입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나선형 가이드(114)가 형성된다.
또한, 사이클론부(100)는 배출관(113)의 맞은 편에 소정 지름의 관통구멍(117)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117)에는 그릴필터(115)를 보수하기 위한 보수용 개폐도어(12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수용 개폐도어(120)는 외측에 파지부(121)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배출관(113)을 향해 돌출된 스테이빌라이저(123)를 구비한다. 스테이빌라이저(123)는 오물이 사이클론챔버(110) 내에 잔류하지 않고 격벽(111)과 보수용 개폐도어(120)의 내측 사이에 형성된 투입구(119)를 통해 모두 배출될 수 있도록 사이클론챔버(110) 내로 유입된 공기의 선회력을 유지시킨다.
더욱이, 사이클론부(100)는 하부에 연장형성된 통체(130)를 구비한다. 통체(130)는 오물수거부(200)에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통체(130)와 오 물수거부(200)는 상호 위치 변동이 가능하다. 즉, 통체(130)는 사이클론부(100) 상측에 형성된 손잡이(101)를 파지하고 사이클론부(100)를 오물수거부(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기거나 반대로 오물수거부(200)를 향해서 밀어 넣으면 오물수거부(200)의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에 따라 오물 수거공간(S)은 통체(130)와 오물수거부(200)의 위치 변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확장 또는 축소된다.
통체(130)는 하부의 외주면을 따라 씨일링(131)이 결합됨에 따라 집진장치 내부의 기밀을 유지함으로써 압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오물수거부(200)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측에 오물 수거공간(S)을 갖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오물배출용 개폐도어(210), 고정유닛(240), 씨일링(250) 및 걸림턱(260)을 포함한다.
오물배출용 개폐도어(210)는 오물 수거공간(S)에 수거된 오물을 배출하기 위한 오물수거부(200) 하단에 배치된다. 오물배출용 개폐도어(210)는 일단(211)이 오물수거부(200)의 외주 일측에 형성된 제1 지지부(221)에 제1 힌지핀(221a)을 통해 힌지 결합되고, 타단(213)이 록킹버튼(223)의 후크부(224)에 의해 스냅 결합된다. 록킹버튼(223)은 오물수거부(200) 하단 타측에 돌출된 제2 지지부(222)에 제2 힌지핀(225)을 통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오물배출용 개폐도어(210)의 타단(213)을 록킹 및 언록킹한다. 오물배출용 개폐도어(210)는 유입유로(310) 및 배출유로(330)의 타측과 각각 관통하는 유입구멍(215) 및 배출구멍(217)이 관통 형성된다.
고정유닛(240)은 대략 오물수거부(200)의 외주 상측에 설치되며, 고정구(241) 및 이탈방지구(243)를 포함한다. 고정구(241)는 오물수거부(200) 외주에 관통 형성되는 삽입구멍(201)을 관통하여 상기 통체(130)의 외주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된 다수의 고정홈(133,135)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삽입부(241a)를 구비하고, 삽입부(241a)와 연장 형성되며 오물수거부(200) 외측에 위치하여 삽입부(241a)를 다수의 고정홈(133,135)에 삽입 및 이탈시키기 위한 헤드부(241b)를 구비한다. 이탈방지구(243)는 헤드부(241b)를 일부 둘러싸도록 오물수거부(200) 외주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이탈방지구(243)는 헤드부(241b)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동이 가능하도록 헤드부(241b)의 상단과 이격된다. 이에 따라 고정구(241)는 삽입부(241a)가 고정홈(133,135)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도 오물수거부(2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홈(133,135)을 상측 및 하측에 2개를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2개 이상의 고정홈을 동일 또는 상이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씨일링(250)은 오물수거부(200) 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됨으로써 집진장치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여 압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턱(260)은 오물수거부(200) 외주에 리브형상으로 소정길이 돌출 형성된다. 도 7을 참고하면, 걸림턱(260)은 집진장치를 진공청소기 본체(1)에 장착 시 진공청소기 본체(1)의 일부에 형성된 고정구멍(3)에 삽입됨에 따라 오물수집부(200)를 진공청소기 본체(1)에 고정한다. 이에 따라 오물 수거공간(S)을 확장시키기 위해 사이클론부(100)를 상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잡아당길 때 오물수거부(200)가 사이클론부(100)와 함께 상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함으로써 오물 수거공간(S)을 원활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유입유로(310)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를 사이클론챔버(110)로 안내하며, 배출유로(330)는 사이클론챔버(110)로부터 필터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상기 유입유로(310) 및 배출유로(330)는 사이클론부(100)와 오물수거부(200) 사이의 오물 수거공간(S)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며 오물 수거공간(S)의 확장 및 축소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입유로(310)는 상호 슬라이딩 결합되는 내측파이프(311) 및 외측파이프(313)를 포함한다. 내측파이프(311)는 일단이 오물배출용 개폐도어(210)의 유입구멍(211)과 연통되며, 외측파이프(313)는 일단이 격벽(111)에 연통되어 있는 곡선유로(315)와 연통된다. 이 경우 내/외측파이프(311,313)는 오물배출용 개폐도어(210)를 닫은 상태에서 내측파이프(311)가 외측파이프(313)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일부가 삽입된다.
또한 배출유로(330)는 유입유로(310)와 마찬가지로, 상호 슬라이딩 결합되는 내측파이프(331) 및 외측파이프(333)를 포함한다. 내측파이프(331)는 일단이 오물배출용 개폐도어(220)의 배출구멍(213)과 연통되며, 외측파이프(333)는 일단이 격벽(111)에 연통하여 배출관(113)으로 연통된다. 이 경우 내/외측파이프(331,333)는 오물배출용 개폐도어(210)를 닫은 상태에서 내측파이프(331)가 외측파이프(333)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일부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유입유로(310) 및 배출유로(330)는 오물 수거공간(S)의 확장 및 축소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유입유로(310) 및 배출유로(330)의 신축 시 상호 결합되는 내/외측파이프(311,313;331,333) 사이에서 압력손실이 발생 하는 것을 방지토록 씨일링(351,353)이 내/외측파이프(311,313;331,333) 사이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작용을 도 4, 도 5 및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5와 같이,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미도시)로부터 유입된 오물을 포함한 공기는 집진장치의 유입유로(310)를 통해 사이클론부(100)로 유입된다. 이 경우 오물이 포함된 공기는 곡선유로(315)를 거치면서 소정의 원심력을 가진 상태로 사이클론부(100)의 사이클론챔버(110)로 유입된다.
도 4와 같이, 사이클론챔버(110)로 유입된 오물을 포함한 공기는 나선형 가이드를 따라 선회면서 원심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에 포함된 오물은 이 원심력에 의해 오물투입구(119)를 통해 오물수거부(200)의 오물 수거공간(S)으로 배출된다.
이어서 오물과 분리된 공기는 그릴필터(115)를 통과하면서 다시 한번 필터링된 후 배출관(113)으로 유입된다. 그후, 공기는 배출유로(330)를 통해 진공청소기 본체(1)에 설치된 모터실(미도시)로 배출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집진장치는, 오물 수거공간(S)을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도 4와 같이 오물 수거공간(S)을 확장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구(241)의 헤드부(241b)를 파지하여 삽입부(241a)가 상측 고정홈(133)으로부터 인출함으로써 통체(130)가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사이클론부(100)의 손잡이(101)를 잡고 오물수거 부(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통체(130)는 오물수거부(20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고 유입유로(310) 및 배출유로(330)의 외측파이프(313,333)가 각각 내측파이프(311,33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통체(130)의 이동거리와 동일한 거리만큼 신장된다.
이와같이 오물 수거공간(S)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고정구(241)의 헤드부(241b)를 밀어 삽입부(241a)가 하측 고정홈(135)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통체(130)가 오물수거부(200)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집진장치는 오물 수거공간(S)을 간단한 동작으로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고정유닛(240)은 상술한 구성에 제한되지 않고, 도 9 내지 도 1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유닛(1240,2240,324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9를 참고하면, 고정유닛(1240)의 다른 실시예는 본 실시예의 고정유닛(240)과 대부분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다만, 이탈방지구(1243)와 헤드부(1241b) 사이에 코일스프링(1245)이 배치되는 점이 상이하다. 이 경우, 고정구(1241)는 코일스프링(1245)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삽입부(1241a)를 고정홈(133,135)에 삽입 시 헤드부(1241b)를 당겼다가 놓으면 삽입부(1241a)에 견고하게 삽입된다.
또한 도 10을 참고하면, 고정유닛(2240)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본 실시예의 고정유닛(240)과 대부분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다만, 고정구(2241)의 삽입부(2241a) 의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홈(2133)의 내주에도 나사산이 형성된 점이 상이하다. 이에 따라 삽입부(2241a)는 고정홈(2133)에 나사결합함으로써, 통체(130)를 오물수거부(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더욱이 도 11을 참고하면, 고정유닛(3240)의 또 다른 실시예는 버튼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버튼식 고정유닛(3240)은 버튼부(3241) 및 코일스프링(3248)을 포함한다. 버튼부(3241)는 오물수거부(200) 외주에 형성된 지지리브(3246)에 중앙이 힌지핀(3243)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또한 버튼부(3241)는 일단에 고정홈(133)에 선택적으로 삽입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후크(3242)가 형성되며, 타단에 버튼부(3241)를 선회시킴으로써 후크(3242)를 고정홈(133)에 삽입 및 분리시키기 위한 가압부(3247)가 형성된다. 코일스프링(3248)은 가압부(3247)와 오물수거부(200)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버튼부(3241)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아울러,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유입유로(310) 및 배출유로(330)는 상술한 구성에 제한되지 않고, 도 12 및 도 13에 개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와 같이 유입유로(1310) 및 배출유로(1330)를 각각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진 주름관으로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유입유로(1310) 및 배출유로(1330)는 각각 양단이 격벽(111)과 오물배출용 개폐도어(210)의 유입구멍(215) 및 배출구멍(217)과 각각 연통된다. 이때 개폐도어(210)의 유입구멍(215) 및 배출구멍(217)과 각각 연통되는 유입유로(1310) 및 배출유로(1330)의 타단은 오물수거부(200) 내에 배치된 소정의 지지대(135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그 위치를 고정한다. 이는 오물배출용 개폐도어(210)의 개방 후 폐쇄 시 유입유로(1310) 및 배출유로(1330)의 타단이 개폐도어(210)의 유입구멍(215) 및 배출구멍(217)과 그 위치를 일치시키기 위함이다.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는 사이클론부(100)는 대략 수평으로 누운상태로 배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사이클론부(100)의 배치 각도에 한정되지 않고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와 같이 사이클론부(100)가 수직으로 세워져 있도록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4를 참고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사이클론부(2100) 및 사이클론부(2100)와 동일방향으로 세워지며 사이클론부(2100) 하측에 배치되는 오물수거부(2200)를 포함한다.
사이클론부(210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하우징(2101)과, 사이클론챔버(2110), 상부커버(2120) 및 통체(213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1)은 상하부가 개방되고, 그 상부에 상부커버(21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에 사이클론챔버(2110)가 일측으로 편심되게 배치된다.
사이클론챔버(2110)는 격벽(2111)에 의해 하우징(2101) 내측의 오물 수거공간(S1)과 격리되며, 격벽(2111)은 상단(2111a)이 하우징(2101)의 상단(2101a)보다 다소 낮은 위치에 설정된다. 또한 사이클론챔버(2110)는 하단 일측으로부터 오물을 포함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110a)를 구비하며, 오물과 분리된 공기를 사이클론챔버(2110)로부터 배출하도록 사이클론챔버(2110) 하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대략 사이클론챔버(2110)의 중앙에 배치되는 배출관(2113)을 구비한다.
더욱이 사이클론챔버(2110)는 내부에 배출관(2113)을 따라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나선형 가이드(2114)를 구비하며, 이 나선형 가이드(2114)는 유입구(2110a)를 통해 사이클론챔버(2110)로 유입된 공기를 사이클론챔버(2110)의 상측으로 안내하되 원심력을 부가함으로써 오물이 공기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나선방향으로 선회시킨다.
상부커버(2120)는 하우징(210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2212)를 형성한다. 또한 상부커버(2120)는 저면에 사이클론챔버(2110)의 둘레와 동일하거나 다소 큰 오물역류방지막(2214)이 사이클론챔버(2110)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경우, 오물역류방지막(2214)의 하단(2214a)과 격벽(2111)의 상단(2111a) 사이에 오물투입구(2119)가 형성되며, 이 오물투입구(2119)는 사이클론챔버(2110) 상측으로 부터 오물수거공간(S)으로 배출하는 통로역할을 한다. 또한 상부커버(2120)는 사이클론챔버(211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사이클론챔버(211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대략 반구형상의 돌출부(2213)을 구비한다.
통체(2130)는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우징(2101) 하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통체(2130)는 오물수거부(2200)와 상호 위치 변동이 가능하도록 오물수거부(2200)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 경우, 통체(2130)는 사이클론부(2100)를 오물수거부(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기거나 반대로 오물수거부(2200)를 향해서 밀어 넣으면 오물수거부(2200)의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에 따라 오물수거공간(S)은 통체(2130)와 오물수거부(2200)의 위치 변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확장 또는 축소된다. 아울러 통체(2130) 는 하부의 외주면을 따라 씨일링(2131)이 결합됨에 따라 집진장치 내부의 기밀을 유지함으로써 압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오물수거부(2200)는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가 개방되며 내측에 오물 수거공간(S)을 갖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오물배출용 개폐도어(2210), 고정유닛(2240), 씨일링(2250) 및 걸림턱(2260)을 포함한다.
오물배출용 개폐도어(2210)는 오물 수거공간(S)에 수거된 오물을 배출하기 위한 오물수거부(2200) 하단에 배치된다. 오물배출용 개폐도어(2210)는 일단(2211)이 오물수거부(2200)의 외주 일측에 형성된 제1 지지부(2221)에 제1 힌지핀(2221a)을 통해 힌지 결합되고, 타단(2213)이 록킹버튼(2223)의 후크부(2224)에 의해 스냅 결합된다. 록킹버튼(2223)은 오물수거부(2200) 하단 타측에 돌출된 제2 지지부(2222)에 제2 힌지핀(2225)을 통해 힌지 결합되며, 오물배출용 개폐도어(2210)의 타단(2213)을 록킹 및 언록킹한다. 오물배출용 개폐도어(2210)는 유입유로(2310) 및 배출유로(2330)의 타측과 각각 관통하는 유입구멍(2215) 및 배출구멍(2217)이 관통 형성된다.
고정유닛(2240)은 대략 오물수거부(2200)의 외주 상측에 설치되며, 삽입부(2240a) 및 헤드부(2240b)를 구비한다. 삽입부(2240a)는 오물수거부(2200) 외주에 관통 형성되는 삽입구멍(2201)을 관통하여 상기 통체(2130)의 외주에 통체(2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고정구멍(2133,1235)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됨에 따라, 사이클론부(2100)와 오물수거부(2200)의 상호 간 위치변환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삽입부(2240a)와 다수의 고정구멍(2133,1235) 은 상호 나사결합되도록 각각 나사산이 형성될수 있다. 헤드부(2240b)는 삽입부(2240a)와 연장 형성되며 오물수거부(2200) 외측에 위치하여 삽입부(2240a)를 당기거나 회전시켜 다수의 고정구멍(2133,2135)으로부터 삽입 및 이탈시킨다.
이와 같은 고정유닛(2240)은 상기 구성에 제한되지 않고,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 예를 든 다양한 구조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아울러 고정구멍(2133,2135)을 상측 및 하측에 2개를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2개 이상의 고정구멍을 동일 또는 상이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씨일링(2250) 및 걸림턱(2260)의 구성도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3 실시예의 유입유로(2310) 및 배출유로(233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이클론부(2100)와 오물수거부(2200) 사이의 오물 수거공간(S)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며 오물 수거공간(S)의 확장 및 축소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유입유로(2310)는 상호 슬라이딩 결합되는 내측파이프(2311) 및 외측파이프(2313)를 포함하고, 배출유로(2330)는 상호 슬라이딩 결합되는 내측파이프(2331) 및 외측파이프(2333)를 포함한다.
다만, 유입유로(2310)의 외측파이프(2313)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달리 격벽(2111)이 아닌 유입구(2110a)에 연통되며,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모두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미설명부호 2351 및 2353는 씨일링으로, 내/외측파이프(2311,2313;2331,2333) 사이에 각각 삽입된다.
상술한 제3 실시예의 집진장치는, 오물 수거공간(S)을 확장시키기 위해서 도 14와 같이 오물 수거공간(S)을 확장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유닛(2240)을 상측 고정구멍(2135)으로부터 인출함으로써 통체(2130)가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15와 같이, 사이클론부(2100)를 오물수거부(2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통체(2130)는 오물수거부(220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고 유입유로(2310) 및 배출유로(2330)의 외측파이프(2313,2333)가 각각 내측파이프(2311,233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통체(2130)의 이동거리와 동일한 거리만큼 신장된다. 이와같이 오물 수거공간(S)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고정유닛(2240)을 하측 고정구멍(2133)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통체(130)가 오물수거부(200)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집진장치는 오물 수거공간(S)을 간단한 동작으로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상술한 제3 실시예에의 유입유로(2310) 및 배출유로(2330)는 각각 상호 슬라이딩 결합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고, 도 16 및 도 17에 개시된 제4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와 같이, 유입유로(3310) 및 배출유로(3330)를 각각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진 주름관으로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유입유로(3310)는 일단이 유입구(2110a)에 연통되고, 타단이 오물배출용 개폐도어(2210)의 유입구멍(2215)에 연통된다. 배출유로(3330)는 일단이 배출관(2113)의 하단에 연통되고, 타단이 오물배출용 개폐도어(2210)의 배출구멍(2217)과 각각 연통된다. 이때 개폐도어(2210)의 유입구멍(2215) 및 배출구멍(2217)과 각각 연통되는 유입유로(3310) 및 배출유로(3330)의 타측은 오물수거 부(2200) 내에 배치된 소정의 지지대(335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그 위치를 고정한다. 이는 오물배출용 개폐도어(2210)의 개방 후 폐쇄 시 유입유로(3310) 및 배출유로(3330)의 타단이 개폐도어(3210)의 유입구멍(3215) 및 배출구멍(3217)과 그 위치를 일치시키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 같이, 사이클론부가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아울러 사이클론부가 소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양한 각도로 배치된 사이클론부와 오물수거부 사이에 파이프 형상 또는 주름관 형상의 유입/배출튜브를 구비함에 따라, 오물수거공간(S)을 늘릴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사이클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오물수집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Ⅳ-Ⅳ선을 따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Ⅴ-Ⅴ선을 따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Ⅵ-Ⅵ선을 따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진공청소기 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오물 수거공간을 확장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통체를 오물수거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유닛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100: 사이클론부 110,2110: 사이클론챔버
130,2130: 통체 200,2200: 오물수거부
210,2210: 오물배출용 개폐도어 240,1240,2240: 고정유닛
260,2260: 걸림턱 310,1310,2310,3310: 유입유로
311,331,2311,2331: 내측파이프 313,333,2313,2333: 외측파이프
330,1330,2330,3330: 배출유로

Claims (25)

  1. 진공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플라스틱이나 견고한 재질로 구성되고 집진공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오물수집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2. 사이클론부; 및
    상기 사이클론부에서 배출된 오물을 저장하는 오물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물수집부는 오물을 수집하기 위한 공간이 가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오물수집부를 관통하는 배출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오물수집부의 공간 변화에 대응되도록 그 길이가 가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5. 기울어진 사이클론부; 및
    상기 사이클론부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사이클론부로부터 배출된 오물을 적재하는 오물수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오물수거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사이클론부 하단으로부터 통체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통체와 상기 오물수거부는 상호 위치 변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는 상기 오물수거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로 이동하는 만큼 상기 오물수거부의 오물 수거공간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수거부의 내부에는, 상기 사이클론부로 오물을 포함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튜브; 및 상기 사이클론부로부터 배출되는 필터링된 공기가 모터실로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 배출튜브;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튜브 및 배출튜브는 신축 가능한 주름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튜브 및 배출튜브는 신축 가능한 슬라이드 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는 외측파이프; 및, 상기 외측파이프 내부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내측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및 외측파이프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를 상기 오물수거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돌려서 고정시키거나 돌려서 고정을 해제하는 나사식 부재 또는 눌러서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버튼식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수거부는 진공청소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오물수거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수거부는 하부에 오물을 배출하기 위한 개폐도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7. 수평방향으로 기울어진 사이클론부; 및
    상기 사이클론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사이클론부로부터 배출된 오물을 적재하며, 상기 사이클론부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세워진 오물수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오물수거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사이클론부 하단으로부터 통체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통체와 상기 오물수거부는 상호 위치 변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부의 일측에는 상기 사이클론부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보수용 개폐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수거부의 내부에는, 상기 사이클론부로 오물을 포함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튜브; 및 상기 사이클론부로부터 배출되는 필터링된 공기가 모터실로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 배출튜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입튜브 및 배출튜브는 신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20.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사이클론부; 및
    상기 사이클론부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사이클론부로부터 배출되는 오물을 적재하며, 상기 사이클론부와 동일방향으로 세워진 오물수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오물수거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사이클론부 하단으로부터 통체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통체와 상기 오물수거부는 상호 위치변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부는, 하측으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구와, 상기 사이클론부 내측에 배치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회전 상승시켜 오물과 분리한 후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수거부는 바닥면에 형성된 입구와 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물수거부의 입구와 상기 사이클론부의 공기유입구를 연결하는 신축가능한 제1 튜브와, 상기 오물수거부의 출구와 상기 사이클론부의 배출관을 연결하는 신축 가능한 제2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튜브는, 각각 내측 및 외측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각 내측파이프는 상기 각 외측파이프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수거부는 외측에 상기 오물수거부를 청소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KR1020080132587A 2008-10-13 2008-12-23 집진장치 KR20100041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4715 WO2010044541A2 (en) 2008-10-13 2009-08-24 Dust collec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262 2008-10-13
KR20080100262 2008-10-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650A true KR20100041650A (ko) 2010-04-22

Family

ID=4221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587A KR20100041650A (ko) 2008-10-13 2008-12-23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165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054B1 (ko) * 2012-08-31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1414656B1 (ko) * 2012-08-31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CN105559693A (zh) * 2011-04-15 2016-05-11 戴森技术有限公司 旋风分离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9693A (zh) * 2011-04-15 2016-05-11 戴森技术有限公司 旋风分离器
KR101397054B1 (ko) * 2012-08-31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1414656B1 (ko) * 2012-08-31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US9125534B2 (en) 2012-08-31 2015-09-08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9138118B2 (en) 2012-08-31 2015-09-22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291B1 (ko) 진공청소기
US7556662B2 (en) Multi-cyclone dust separating apparatus
KR101491031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709418B1 (ko) 진공청소기
CN101128145B (zh) 双桶真空吸尘器
CN103829879B (zh) 清洁器具
CN103860103B (zh) 清洁器具
KR100709417B1 (ko) 진공청소기
KR100626736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0713272B1 (ko) 진공청소기
KR100783142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US6901625B2 (en) Dust collection unit for use in vacuum cleaner and main body of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64083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CN101310668A (zh) 用于真空吸尘器的旋风灰尘分离单元
EP2033562A2 (en) Cyclone dust-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KR20060037989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RU2007112397A (ru) Пылесб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ылесоса (варианты)
KR20090058929A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20140009243A (ko) 전기 청소기
AU2016340619A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776404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US20140208539A1 (en) Dirt separator for a vacuum cleaner
CN106659347A (zh) 吸尘器和应用于吸尘器的灰尘分离装置
KR20100041650A (ko) 집진장치
JP2003339595A (ja) 集塵装置及び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