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1410A - Touch sensing appratus and touch sensing method - Google Patents

Touch sensing appratus and touch sens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1410A
KR20100041410A KR1020080100577A KR20080100577A KR20100041410A KR 20100041410 A KR20100041410 A KR 20100041410A KR 1020080100577 A KR1020080100577 A KR 1020080100577A KR 20080100577 A KR20080100577 A KR 20080100577A KR 20100041410 A KR20100041410 A KR 20100041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contact
touch
area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5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05916B1 (en
Inventor
김윤태
Original Assignee
(주)멜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멜파스 filed Critical (주)멜파스
Priority to KR1020080100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916B1/en
Publication of KR20100041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4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9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PURPOSE: A touch sensing device and a touch sensing method are provided to sense touch generated in the border between different touch sensing areas as a continuous pattern, thereby improving sensing accuracy of the touch generated in the border between touch sensing areas. CONSTITUTION: A first sensing area(110) includes at least one first sensing electrode. A second sensing area(120) is adjacent to the first sensing area. The second sensing area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Using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a touch decision unit decides the touch of the first sensing area and the second sensing area. The first sensing electrode is arranged around to a first axis.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is arranged around to a second axis.

Description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방법{TOUCH SENSING APPRATUS AND TOUCH SENSING METHOD}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 sensing method {TOUCH SENSING APPRATUS AND TOUCH SENSING METHOD}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방법이 개시된다. 특히, 전극 구조가 불연속적으로 배치된 서로 다른 접촉 감지 영역 사이에서 발생하는 접촉을 연속적인 패턴으로 감지할 수 있는 접촉 감지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A touch sensing device and a touch sensing method are disclosed. In particular, a touch sensing device and method are disclosed that can detect, in a continuous pattern, contacts that occur between different touch sensing regions where electrode structures are discontinuously arranged.

최근 휴대폰과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입력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터치 스크린이나 터치 키와 같이, 접촉 입력 기반의 입력 장치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Recently, research on input devices that can be us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particular,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input devices based on touch input, such as touch screens and touch keys.

터치 스크린이나 터치 키 등의 접촉 감지 장치는, 접촉이 발생하면 상기 접촉이 발생한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접촉에 따라 휴대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 touch sensing device such as a touch screen or a touch key may provide an intuitive interface to a user by identifying a location where the contact occurs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contact when a contact occurs.

접촉 감지 장치는 그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전극 구조에 따라 다양한 패턴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원형 스크롤 패턴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접촉 감지 장치는 극좌표의 θ축을 따라 원형으로 배치된 전극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접촉의 θ축상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원형 스크롤 패턴의 접촉을 감지 할 수 있다. The touch sensing apparatus may sense various patterns of contact according to the electrode structure included therein. For example, a touch sensing device capable of sensing a touch of a circular scroll pattern has an electrode structure arranged in a circle along the θ axis of the polar coordinates, and thus detects the contact of the circular scroll pattern by identifying a position on the θ axis of the contact. Can be.

접촉 감지 장치는 그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전극 구조에 따라 접촉을 감지하므로, 접촉 감지 장치에 서로 다른 전극 구조를 갖는 접촉 감지 영역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경우, 서로 다른 전극 구조의 접촉 감지 영역 사이에서 인가되는 연속적인 접촉 입력을 감지하기는 곤란하다. 결국, 접촉 감지 장치가 서로 다른 전극 구조를 갖는 다수의 접촉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Since the touch sensing device senses a touch according to the electrode structure included therein, when the touch sensing area having different electrode structures is disposed adjacent to the touch sensing device, the touch sensing devic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ouch sensing areas of the different electrode structures.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continuous contact input applied. As a result, when the touch sensing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touch sensing regions having different electrode structures, there is a difficulty in providing a user with a more convenient input interface.

따라서, 접촉 감지 장치에 서로 다른 전극 구조를 갖는 접촉 감지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접촉 감지 영역 사이에 연속적인 접촉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Therefore, when the touch sensing apparatus includes touch sensing regions having different electrode structures, a study on a technique for enabling continuous touch input between the touch sensing regions is needed.

서로 다른 전극 구조를 갖는 접촉 감지 영역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접촉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이 서로 인접하는 경계부에서 발생하는 접촉에 대한 감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상기 접촉 감지 영역 사이에서 발생하는 접촉을 연속적인 패턴으로 감지할 수 있는 접촉 감지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 touch sensing apparatus in which touch sensing regions having different electrode structure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touch sensing region may increase the accuracy of sensing of a contact occurring at a boundary portion adjacent to each other, and between the touch sensing regions. Disclosed is a touch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sensing a generated contact in a continuous pattern to provide a user with a more convenient input interfa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제 1 감지 영역, 상기 제 1 감지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제 2 감지 영역, 및 상기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으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감지 영역 및 상기 제 2 감지 영역에 대한 접촉을 판단하는 접촉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판단부는 상기 제 2 감지 영역의 경계에 인접한 상기 제 1 감지 영역에서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 2 감지 전극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제 1 감지 영역의 접촉을 판단한다.The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sensing region including at least one first sensing electrode, a second sensing region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ensing region, and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And a touch determining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contact between the first sensing region and the second sensing region by using a sensing region and sensing signals obtained from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wherein the touch determining unit When a contact occurs in the first sensing area adjacent to the boundary of the second sensing area, the contact of the first sensing area is determined by referring to a sensing signal obtaine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는 제 1 축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제 1 감지 영역, 제 2 축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감지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감지 영역, 및 상기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2 감지 전 극으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감지 영역에 인가되는 접촉 입력과 연관된 제 1 접촉 정보 및 제 2 감지 영역에 인가되는 접촉 입력과 연관된 제 2 접촉 정보를 생성하는 접촉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판단부는, 상기 제 2 감지 영역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축의 연장선에 의해 정의되는 확장 영역에 인가되는 접촉 입력에 대해 상기 제 1 접촉 정보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nsing region including at least one first sensing electrode disposed along the first axis, the at least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disposed along the second axis A second sensing area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ensing area, and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first sensing area by using a sensing signal obtained from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And a contact determiner configured to generate first contac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first touch information and second contac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second sensing area, wherein the touch determiner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axis of the first axis formed inside the second sensing area. The first contact information is generated for a contact input applied to an extension area defined by an extension lin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방법은, 제 2 감지 영역과의 경계에 인접한 제 1 감지 영역에서 접촉이 발생하면, 상기 제 1 감지 영역에 포함되는 제 1 감지 전극으로부터 제 1 감지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감지 영역에 포함되는 제 2 감지 전극으로부터 제 2 감지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감지 신호와 제 2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접촉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ouch sen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ntact occurs in the first sensing region adjacent to the boundary with the second sensing region, the first sensing from the first sensing electrode included in the first sensing region Acquiring a signal, acquiring a second sensing signal from a second sensing electrode included in the second sensing region, and determining the contact with reference to the first sensing signal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축을 따라 배치되는 제 1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제 1 감지 영역과 제 2 축을 따라 배치되는 제 2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제 2 감지 영역을 구비한 접촉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접촉을 감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감지 영역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축의 연장선에 의해 정의되는 확장 영역에 접촉이 인가되면 상기 제 2 감지 전극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접촉의 제 1 축을 따른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ensing region including a first sensing electrode disposed along a first axis and a second sensing region including a second sensing electrode disposed along a second axis are provided. A method of sensing a touch using a touch sensing device, wherein when a touch is applied to an extended area defined by an extension line of the first axis formed inside the second sensing area, a sensing signal is obtained from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And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along the first axis of contact using the obtained sense signal.

개시되는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방법에 의하면, 서로 다른 전극 구조를 갖는 접촉 감지 영역들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접촉 감지 영역 들 간의 경계와 인접하여 발생하는 접촉에 대한 감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상기 접촉 감지 영역 사이에서 발생하는 접촉을 연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touch sensing apparatus and the touch sensing method, when touch sensing regions having different electrode structure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accuracy of sensing of a touch occurring adjacent to a boundary between the touch sensing regions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a contact occurring between the touch sensing areas can be continuously detected, a more convenient input interfa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감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ing area of a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는 제 1 감지 영역(110)과 제 2 감지 영역(120)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접촉을 수용하는 윈도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nsing region 110 and a second sensing region 120, and further includes a window (not shown) for selectively receiving a contact. It may include.

윈도우는 접촉 감지 장치의 외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신체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의 도전성 물체의 접촉을 수용한다. 이때, 접촉에 따른 윈도우의 손상 또는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층을 선택적으로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접촉'이라는 용어는 접촉 수용면에 대한 직접적인 접촉을 의미하는 것에 더해 접촉 수용면으로부터 도전성 물체가 상당한 거리만큼 근접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는 도전성 물체의 접촉을 인식하거나, 또는 상당 거리 이내로의 근접을 인식하는 기능을 구비한 패널 또는 장치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The window may serve to maintain the appearance of the touch sensing devic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o receive contact of a user's body or a conductive object such as a stylus pen.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add a protective layer to prevent damage or destruction of the window due to contact. For reference, the term 'contact' a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broadly to mean that the conductive object is approached by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contact receiving surface in addition to the direct contact with the contact receiving surface. That is, the touch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a panel or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recognizing a contact of a conductive object or recognizing a proximity within a considerable distance.

제 1 감지 영역(110)은 제 1 감지 영역(110)에서 발생하는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감지 전극을 구비하며, 제 2 감지 영역(120)은 제 2 감지 영역(120)에서 발생하는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을 구비한다.The first sensing region 110 includes at least one first sensing electrode for sensing a contact occurring in the first sensing region 110, and the second sensing region 120 is formed in the second sensing region 120. At least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for sensing a contact that occur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감지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으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감지 영역(110) 및 제 2 감지 영역(120)에 대한 접촉을 판단하는 접촉 판단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ensing device senses the first sensing region 110 and the second sensing using sensing signals obtained from the at least on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at least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determiner (not shown) for determining a contact with the region 120.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감지 전극은 제 1 축에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은 제 2 축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 least one first sensing electrode may be disposed along a first axis, and the at least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may be disposed along a second axis.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판단부는 제 1 감지 영역(110)에 대한 접촉의 제 1 축에 따른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a position along the first axis of contact with the first sensing region 11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축과 상기 제 2 축은 서로 다른 좌표계를 따르는 좌표축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may be coordinate axes along different coordinate systems.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접촉 판단부가 제 1 감지 영역(110)에 대한 제 1 접촉(111) 및 제 2 감지 영역(120)에 대한 제 2 접촉(121)을 판단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first contact 111 for the first sensing region 110 and the second contact 121 for the second sensing region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Let's do i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감지 전극은 상기 제 1 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은 상기 제 2 축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축 및 상기 제 2 축은 서로 다른 좌표계를 따르는 좌표축이 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at least one first sensing electrode may be disposed along the first axis, and the at least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may be disposed along the second axis. The two axes can be coordinate axes that follow different coordinate system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축은 극좌표계를 따르는 좌표축이 될 수 있고, 상기 제 2 축은 직교 좌표계를 따르는 좌표축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xis may be a coordinate axis along the polar coordinate system, and the second axis may be a coordinate axis along the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먼저, 상기 접촉 판단부가 제 1 감지 영역(110)에 대한 제 1 접촉(111)을 판단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first contact 111 with respect to the first sensing region 110 by the touch determination unit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면, 제 1 감지 영역(110)에 포함되는 8개의 제 1 감지 전극은 C1부터 C8까지의 센싱 채널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eight first sensing electrodes included in the first sensing region 110 are connected to sensing channels C1 to C8, respectively.

상기 접촉 판단부는 둘 이상의 감지 전극에서 접촉이 발생하면, 상기 둘 이상의 감지 전극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센싱 채널을 통해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이들 센싱 채널을 통해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접촉을 판단한다.When a contact occurs in two or more sensing electrodes, the touch determining unit receives a sensing signal through a sensing channel connected to each of the two or more sensing electrodes, and determines the contact using the sensing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sensing channels. do.

예컨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감지 전극에서 제 1 접촉(111)이 발생하는 경우, 접촉 영역 A1과 A2에 대응하는 정전용량 성분이 센싱 채널 C3 및 C4와 연결되는 감지 전극에서 각각 생성된다. 상기 접촉 판단부는 접촉 영역 A1과 A2의 넓이에 비례하여 생성되는 정전용량 성분을 나타내는 감지 신호를 센싱 채널 C3과 C4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의, 예컨대 세기의 비율을 이용하여, 제 1 접촉(111)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tact 111 occurs in the at least one first sensing electrode, capacitanc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areas A1 and A2 are generated at the sensing electrodes connected to the sensing channels C3 and C4, respectively. The touch determining unit receives a sensing signal indicating a capacitance component generated in proportion to the widths of the contact areas A1 and A2 through the sensing channels C3 and C4 and uses a ratio of the intensity, for example, the intensity of the first signal, to contact the first contact. The position of 111 can be determined.

다음으로, 상기 접촉 판단부가 제 2 감지 영역(120)에 대한 제 2 접촉(121)을 판단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second contact 121 with respect to the second sensing region 120 by the touch determination unit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면, 제 2 감지 영역에 포함되는 14개의 제 2 감지 전극은 L1 부터 L7까지의 센싱 채널과 R1부터 R7까지의 센싱 채널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감지 영역에 포함되는 제 2 감지 전극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직각삼각형 형상 이외에도 직사각형, 마름모, 사다리꼴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1, fourteen second sensing electrodes included in the second sensing region are connected to sensing channels L1 to L7 and sensing channels R1 to R7, respectively. Here,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included in the second sensing region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rectangular, rhombus, and trapezoid in addition to the right triangle shape as shown in FIG. 1.

상기 접촉 판단부는 접촉에 의해 상기 제 2 감지 전극 중 둘 이상의 감지 전극에서 접촉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용량 성분을 나타내는 감지 신호가 생성되면, 센싱 채널을 통해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접촉을 판단한다.The touch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e contact by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through a sensing channel when a detection signal indicating a capacitance component formed by the contact is generated by the contact at two or more detection electrodes of the second detection electrode.

예컨대, 상기 제 2 감지 전극에 제 2 접촉(121)이 발생하는 경우, 접촉 영역 B1, B2, B3이 형성되는 제 2 감지 전극에서 각 전극에 대해 형성된 정전용량 성분을 나타내는 감지 신호가 생성된다. 접촉 판단부는 상기 생성된 감지 신호를 센싱 채널 L2, R3, L3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의, 예컨대 세기의 비율을 이용하여, 제 2 접촉(121)이 인가된 정확한 위치를 판단한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contact 121 is generated in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a sensing signal representing the capacitance component formed for each electrode is generated in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in which the contact areas B1, B2, and B3 are formed. The touch determination unit receives the generated sensing signals through the sensing channels L2, R3, and L3, and determines the correct position where the second contact 121 is applied using the ratio of the intensity of the sensing signals, for examp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판단부는 제 2 감지 영역(120)의 경계에 인접한 제 1 감지 영역(110)에서 접촉이 발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제 1 감지 영역(110)의 접촉을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ntact occurs in the first sensing region 110 adjacent to the boundary of the second sensing region 120, the contact determining unit is obtaine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at least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The touch of the first sensing region 110 may be determined with reference to one sensing signal.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감지 영역(120)의 경계에 인접한 제 1 감지 영역(110)에서 접촉(112)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접촉 판단부는 상기 제 2 감지 전극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접촉(112)에 의해 생성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센싱 채널 L7으로부터 수신하는 감지 신호와, 센싱 채널 C1에 연결된 제 1 감지 전극으로부터 수신한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접촉(112)을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1, when the contact 112 occurs in the first sensing region 110 adjacent to the boundary of the second sensing region 120, the contact determin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Receive a sense signal generated by the contact 11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act 112 may be determined by referring to a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ing channel L7 and a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sensing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nsing channel C1.

도 1에는 접촉(112)이루는 영역이 제 1 접촉(111)의 그것보다 작게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접촉(112)이 인가된 위치가 어느 감지 영역에 속해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접촉(112)에 의해 형성되는 접촉 영역이 제 1 접촉(111)의 그것과 동일한 수준이라고 할 때, 이 영역은 센싱 채널 C1과 L7에 걸쳐 있게 된다. 따라서, 센싱 채널 C1을 통해 획득된 감지 신호만을 이용하는 대신, 인접한 제 2 감지 영역(120)의 제 2 감지 전극에 연결된 센싱 채널 L7을 통해 획득된 감지 신호를 함께 이용함으로써 제 1 감지 영역(110)과 제 2 감지 영역(120)의 경계부 근방에서의 접촉 입력의 정확한 위치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Although the area of contact 112 is shown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contact 111 in FIG. 1, this is to indicate to which sensing area the position to which contact 112 is applied belongs. In fact, when the contact region formed by the contact 112 is at the same level as that of the first contact 111, this region spans the sensing channels C1 and L7. Therefore, instead of using only the sensing signal acquired through the sensing channel C1, the first sensing region 110 may be used together by using the sensing signal acquired through the sensing channel L7 connected to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of the adjacent second sensing region 120. The exact position of the contact input near the boundary of the second sensing region 120 can be determin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판단부는 제 1 감지 영역(110)의 경계에 인접한 제 2 감지 영역(120)에서 접촉이 발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감지 전극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제 2 감지 영역(120)의 접촉을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ntact occurs in the second sensing region 120 adjacent to the boundary of the first sensing region 110, the contact determin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the at least one first sensing electrode. The contact of the second sensing region 120 may be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sensing signal obtained from the sensor.

이와 관련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감지 영역(110)의 경계에 인접한 제 2 감지 영역(120)에서 접촉(122)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접촉 판단부는 센싱 채널 L7에 연결된 제 2 감지 전극에 대해 형성된 정전용량 성분을 나타내는 감지 신호와 센싱 채널 C1에 연결된 제 1 감지 전극에 대해 형성된 정전용량 성분을 나타내는 감지 신호를 각각 센싱 채널 L7 및 C1을 통해 수신하고, 이들 수신된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접촉(122)이 인가된 정확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에서는 접촉(122)이 인가된 중심 위치가 어느 감지 영역에 속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접촉(122)에 의해 형성되는 실제 접촉 영역이 반드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작은 면적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In this regard, referring to FIG. 1, when the contact 122 occurs in the second sensing region 120 adjacent to the boundary of the first sensing region 110, the contact determination is performed. The unit receives a sensing signal indicating a capacitance component formed for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nsing channel L7 and a sensing signal representing the capacitance component formed for the first sensing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nsing channel C1 through the sensing channels L7 and C1,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exact position to which the contact 122 is applied may be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received detection signals.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in FIG. 1, only the sensing area to which the center position to which the contact 122 is applied belongs is described, and the actual contact area formed by the contact 122 is necessarily illustrated in FIG. 1. It is not as small as it is.

그러나, 실제로 접촉(112) 또는 접촉(122)에 의해 직접 형성되는 접촉 영역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작은 면적을 갖는 경우에도, 정전용량 성분의 특성상 가장자리 효과(fringing effect)에 의해 접촉 영역이 직접 형성되지 않은 인접한 감지 전극에서도 어느 정도의 정전용량 성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감지 영역(110)과 제 2 감지 영역(120) 중 상기 경계에 인접한 어느 하나의 감지 영역에서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접촉에 의한 접촉 영역이 직접 발생하지 않은 다른 감지 영역으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접촉을 판단함으로써, 두 감지 영역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접촉에 대한 감지율을 높임과 동시에 접촉이 발생한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However, even when the contact area formed directly by the contact 112 or the contact 122 has a small area as shown in Fig. 1, the contact area is directly affected by the edge effect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capacitance component. Some capacitance components may also be formed in adjacent sensing electrodes that are not formed. Therefore, when a contact occurs in any one of the first sensing area 110 and the second sensing area 120 adjacent to the boundary, the contact area due to the contact is obtained from another sensing area that does not directly occur. By determining the contact with reference to one sensing signal,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etection rate for the contact occurring at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sensing regions an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ontact more accurately.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감지 영역(110) 및 제 2 감지 영역(120)의 경계에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접촉 판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으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경계에 인가된 접촉을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ntact occurs at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sensing region 110 and the second sensing region 120, the contact determining unit may include the at least on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at least one. A contact applied to the boundary may be determined by referring to a sensing signal acquired from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결국, 상기 접촉 판단부는 제 1 감지 영역(110) 및 제 2 감지 영역(120)의 경계에 접촉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에서 획득한 감지 신호를 모두 참조함으로써, 접촉이 제 1 감지 영역(110)과 제 2 감지 영역(120)의 경계에서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은 경우의 접촉 입력을 별도의 입력 패턴으로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감지 영역(120)이 터치스크린의 일부를 구성하는 경우, 본 접촉 감지 장치가 탑재되는 전자 기기의 화면 좌우측 하단, 즉 센싱 채널 L7 및 R7에 대응하는 제 2 감지 영역(120)상의 위치에 매우 작은 크기로 메뉴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해당 메뉴 버튼을 터치하게 되면 반드시 센싱 채널 C1 또는 C8에 연결된 제 1 감지 전극 위에도 접촉 영역이 형성되며, 따라서, 센싱 채널 C1과 L7에서 동시에 일정 세기 이상의 감지 신호가 생성된 경우, 혹은 센싱 채널 C8과 R7에서 동시에 일정 세기 이상의 감지 신호가 생성된 경우 해당 메뉴 버튼에 대한 접촉 입력이 정상적으로 인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a contact is applied to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sensing region 110 and the second sensing region 120, the contact determining unit acquires the at least on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at least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By referring to all of the sensing signals,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contact has occurr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sensing region 110 and the second sensing region 120, and the touch input in such a case can be processed as a separate input pattern. Can be. For example, when the second sensing area 120 constitutes a part of the touch screen, the second sensing area 120 corresponding to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on which the present touch sensing device is mounted, that is, the sensing channels L7 and R7, is formed. The menu button can be displayed in a very small size at the position on the dot. In this case, when the corresponding menu button is touched, a contact area is also formed o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nsing channels C1 or C8. Therefore, when a sensing signal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or more is simultaneously generated in the sensing channels C1 and L7, or the sensing channel. When a sensing signal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or more is generated at the same time in C8 and R7,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nput for the corresponding menu button is normally appli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판단부는 제 1 감지 영역(110)에 대한 접촉에 대응하는 0차원 접촉 정보 또는 1차원 접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전극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 접촉 판단부는 앞서 설명한 메뉴 버튼에 대한 접촉 입력의 유무를 나타내는 0차원 접촉 정보를 생성하거나, 제 1 감지 영역(110)에 인가된 접촉(111, 112)에 대해 제 1 감지 전극이 배치된 극좌표계의 θ축을 따른 위치를 나타내는 1차원 접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determination unit may generate 0-dimensional contact information or 1-dimensional conta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with the first sensing area 110. When the electrode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1 is applied, the touch determination unit generates 0-dimensional contact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a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menu button described above, or contacts 111 and 112 applied to the first sensing region 110. 1D contact information indicating a position along the θ axis of the polar coordinate system in which the first sensing electrode is disposed.

한편, 도 2에 도시된 다른 형태의 전극 구조를 포함하는 접촉 감지 장치의 경우, 제 1 감지 영역(210)에 포함되는 4개의 제 1 감지 전극에 개별적으로 접촉 입력이 인가되면 접촉 판단부는 상기 4개의 제 1 감지 전극 중 적어도 하나와 센싱 채널 L7 및 R7에 연결된 제 2 감지 영역(220)의 하단부에 위치한 제 2 감지 전극으 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접촉 입력의 인가 유무를 나타내는 0차원 접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4개의 제 1 감지 전극 위를 횡스크롤 형태로 이동하는 방식의 접촉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접촉 판단부는 제 1 감지 영역(210)에 포함되는 상기 4개의 제 1 감지 전극과 센싱 채널 L7 및 R7에 연결된 제 2 감지 전극으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접촉 입력의 가로축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1차원 접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0차원 접촉 정보는 제 1 감지 영역(210)에 포함된 4개의 제 1 감지 전극 각각이 4개의 터치 버튼으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1차원 접촉 정보는 4개의 감지 전극을 가로지르는 횡방향 스크롤을 입력받아 화면을 전환하거나 볼륨, 줌 배율 등의 레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디어 재생 위치를 이동하는 등의 어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touch sensing apparatus including the electrode structure of the other type shown in FIG. 2, if a touch input is individually applied to four first sensing electrodes included in the first sensing region 210, the touch determin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touch sensing. A zero-dimensional contact indicating whether a touch input is applied using a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sensing region 220 connected to the sensing channels L7 and R7.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However, in contrast, when a touch input is applied to move the four first sensing electrodes in a horizontal scroll form, the touch determination unit senses the four first sensing electrodes included in the first sensing region 210. One-dimensional contact information indicating a position on the horizontal axis of the contact input may be generated using a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a second sensing electrode connected to channels L7 and R7. As an example, the 0-dimensional contact information may be applied to an application in which each of the four first sensing electrodes included in the first sensing region 210 operates with four touch buttons, and the one-dimensional contact information includes four sens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application of changing a screen, increasing or decreasing a level, a volume, a zoom factor, or the like, or moving a media playback position by receiving a horizontal scroll across an electrode.

참고로, 1차원 접촉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 입력의 일 축을 따른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더 나아가 버튼 터치 형태의 접촉 입력이 인가된 경우, 해당 접촉 입력의 인가 압력 혹은 해당 접촉 입력에 의해 형성되는 접촉 영역의 면적 등의 1차원적인 정보를 스칼라(scalar)량으로 나타낸 것을 의미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one-dimensional contact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indicating a position along one axis of the contact input as described above, but furthermore, when a touch input in the form of a button touch is applied, the application pressure of the corresponding contact input or the corresponding contact It may mean that one-dimensional information such as the area of the contact area formed by the input is represented by a scalar amount.

상기 접촉 판단부는 제 2 감지 영역(220)의 경계에 인접한 제 1 감지 영역(210)에 상술한 다양한 형태의 접촉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제 1 감지 영역(210)에 대해 버튼 터치 형태의 접촉 입력이 인가되었는지 혹은 횡스크롤 형태의 접촉 입력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한 후 판단된 접촉 입력의 형태에 대응하는 0차원 접촉 정보 또는 1차원 접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touch determination unit detects the at least one portion of the at least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when the above-described various types of touch inputs are applied to the first sensing region 210 adjacent to the boundary of the second sensing region 220. 0-dimensional contact information or 1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ontact input type after determining whether a touch input in the form of a button touch or a horizontal scroll input is applied to the first sensing area 210 with reference to the signal. Dimensional contact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마찬가지로, 제 1 감지 영역(110, 210)에 인접한 제 2 감지 영역(120, 220)에 접촉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접촉 판단부는 제 2 감지 영역(120, 220)에 포함되는 제 2 감지 전극으로부터 획득된 감지 신호뿐만 아니라 제 1 감지 영역(110, 210)에 포함된 제 1 감지 전극으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를 함께 참조하여 제 2 감지 영역(120, 220)에 대한 접촉에 대응하는 2차원 접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2차원 접촉 정보란 접촉 입력이 인가된 위치의 2차원 평면상의 좌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감지 영역(110, 210)에 인접한 제 2 감지 영역(120, 220)의 경계부 근처에서의 접촉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Similarly, when a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second sensing areas 120 and 220 adjacent to the first sensing areas 110 and 210, the touch determining unit includes a second sensing electrode included in the second sensing areas 120 and 220. A two-dimensional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with the second sensing areas 120 and 220 by referring to the sensing signals obtained from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included in the first sensing areas 110 and 210 as well as the sensing signals obtained from th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Here, the two-dimensional contact information may refer to coordinate information on the two-dimensional plane of the position where the contact input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contact position near the boundary of the second sensing areas 120 and 220 adjacent to the first sensing areas 110 and 21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감지 영역(110, 210)은 제 2 감지 영역(120, 220)과 둘 이상의 경계면을 이룰 수 있다. 즉, 제 1 감지 영역(110, 210)은 제 2 감지 영역(120, 220)의 상하측 또는 좌우측 등 제 2 감지 영역(120, 220)과 다수의 경계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nsing regions 110 and 210 may form two or more boundary surfaces with the second sensing regions 120 and 220. That is, the first sensing regions 110 and 210 may be arranged to form a plurality of boundary surfaces with the second sensing regions 120 and 220, such as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sensing regions 120 and 22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감지 영역(110, 210)은 서로 다른 제 2 감지 전극과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nsing regions 110 and 210 may be disposed to be adjacent to different second sensing electrodes, respectively,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감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ing area of a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하측 제 1 감지 영역(321), 상측 제 1 감지 영역(322) 및 제 2 감지 영역(310)이 도시되어 있다. 하측 제 1 감지 영역(321)과 상측 제 1 감지 영역(3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감지 영역(310)의 서로 다른 제 2 감지 전극과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a lower first sensing region 321, an upper first sensing region 322, and a second sensing region 310 are illustrated. The lower first sensing region 321 and the upper first sensing region 322 are disposed adjacent to different second sensing electrodes of the second sensing region 310 as shown in FIG. 2.

또한, 하측 제 1 감지 영역(321)과 상측 제 1 감지 영역(32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측 제 1 감지 영역(321)에 포함된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과 상측 제 1 감지 영역(322)에 포함된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의 일부 또는 전부는 각각 동일한 센싱 채널을 공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first sensing region 321 and the upper first sensing region 3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some or all of the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included in the lower first sensing region 321 and the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included in the upper first sensing region 322 may share the same sensing channel. have.

예컨대, 하측 제 1 감지 영역(321)에 포함된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과 상측 제 2 감지 영역(322)에 포함된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1부터 C4까지의 센싱 채널을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이 경우, 만약 상기 접촉 판단부가 센싱 채널 C1과 C2로부터 동시에 접촉에 대한 감지 신호를 수신했다면, 이것은 하측 제 1 감지 영역(321) 내에 인접하여 배치된 두 제 1 감지 전극 사이에서 접촉이 발생한 것이거나, 상측 제 1 감지 영역(322) 내에 이격하여 배치된 두 제 1 감지 전극에 동시에 두 개의 접촉 입력이 인가된 것이거나, 혹은 하측 제 1 감지 영역(321)에 상기와 같은 접촉 입력이 인가되는 동시에 상측 제 1 감지 영역(322)상의 이격하여 배치된 두 제 1 감지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접촉 입력이 인가된 경우일 수 있다. 이때, 상측 제 1 감지 영역(322)과 하측 제 1 감지 영역(321) 중 어느 하나에만 단일한 접촉 입력이 인가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면, 접촉 판단부 는 하측 제 1 감지 영역(321)의 센싱 채널 C1과 C2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두 제 1 감지 전극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접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included in the lower first sensing region 321 and the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included in the upper second sensing region 322 may be formed from C1 to C4 as illustrated in FIG. 3. The sensing channels can be shared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if the contact determining unit receives the sensing signal for the contact from the sensing channels C1 and C2 at the same time, this means that a contact has occurred between two first sensing electrodes disposed adjacent in the lower first sensing region 321. At the same time, two contact inputs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two first sensing electro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upper first sensing region 322, or the same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lower first sensing region 321. The contact input may be applied to at least one of two first sensing electro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first sensing region 322. In this case, if it is assumed that a single touch input is applied to only one of the upper first sensing region 322 and the lower first sensing region 321, the touch determining unit senses a sensing channel of the lower first sensing region 321.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ontact has occurr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between two first sensing electrodes connected to C1 and C2, respectively.

마찬가지로, 상기 접촉 판단부가 센싱 채널 C2와 C4로부터 접촉에 대한 감지 신호를 동시에 수신한 경우, 위의 가정이 성립한다면 상기 접촉 판단부는 센싱 채널 C2와 C4에 연결되어 있는 상측 제 1 감지 영역(322)의 두 제 1 감지 전극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접촉이 발생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touch determination unit simultaneously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or a contact from sensing channels C2 and C4, if the above assumption is true, the touch determina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first sensing area 322 connected to the sensing channels C2 and C4.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ontact has occurr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between the two first sensing electrodes.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감지 영역(310)과 둘 이상의 경계면을 이루며 각기 다른 제 2 감지 전극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감지 영역(321, 322) 간에 센싱 채널을 공유함과 동시에, 이들 다수의 제 1 감지 영역(321, 322)에 각각 포함된 제 1 감지 전극에 센싱 채널을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할당함으로써, 적은 수의 센싱 채널을 이용하여 다수의 제 1 감지 영역(321, 322)에 대한 접촉 입력을 개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sensing channel is shared between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regions 321 and 322, which form two or more boundary surfaces with the second sensing region 310 and are disposed adjacent to different second sensing electrodes. By assigning the sensing channels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first sensing regions 321 and 322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the plurality of first sensing regions 321 and 322 using a small number of sensing channels. Can be determined individually.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감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ing area of a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는 제 1 감지 영역(410)과 제 2 감지 영역(420)을 포함한다. 제 1 감지 영역(410)은 제 1 축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감지 전극을 포함하며, 제 2 감지 영역(420)은 제 2 축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을 포함한다. 제 2 감지 영역(420)은 제 1 감지 영역(41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4, the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nsing region 410 and a second sensing region 420. The first sensing region 410 includes at least one first sensing electrode disposed along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sensing region 420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disposed along the second axis. The second sensing region 42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ensing region 4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축과 상기 제 2 축은 상이한 좌표 계를 따르는 좌표축이 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 1 축은 극좌표계를 따르는 좌표축이며, 상기 제 2 축은 직교 좌표계를 따르는 좌표축이 될 수 있다. 도 4에서 제 1 감지 영역(410)은 극좌표의 θ축을 따라 반원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 1 감지 전극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may be coordinate axes along different coordinate systems. As an example, the first axis may be a coordinate axis along a polar coordinate system, and the second axis may be a coordinate axis along a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In FIG. 4, the first sensing region 41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disposed in a semicircle along the θ axis of polar coordinate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감지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으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감지 영역(410)에 인가되는 접촉 입력과 연관된 제 1 접촉 정보 및 제 2 감지 영역(420)에 인가되는 접촉 입력과 연관된 제 2 접촉 정보를 생성하는 접촉 판단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ensing device is applied to the first sensing region 410 by using a sensing signal obtained from the at least on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at least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determiner (not shown) that generates first contac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touch input, and second contac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touch input applied to the second sensing area 420.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감지 영역(410)에 제 1 접촉(411)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접촉 판단부는 접촉 영역 A1과 A2에 의해 제 1 감지 전극에서 생성되는 정전용량 성분을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센싱 채널 C3과 C4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제 1 접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접촉 판단부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 1 접촉 정보는 제 1 감지 전극이 배치된 극좌표의 θ축을 따른 접촉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the first contact 411 is applied to the first sensing region 410, the contact determining unit generates the capacitive component generated at the first sensing electrode by the contact regions A1 and A2. The first contac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receiving a sensing signal including a sensing channel through sensing channels C3 and C4. In this case, the first contac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act determination unit may indicate a contact position along the θ axis of the polar coordinate where the first sensing electrode is disposed.

또한, 제 2 감지 영역(420)에 제 2 접촉(421)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접촉 판단부는 접촉 영역 B1, B2, B3에 의해 제 2 감지 전극에서 생성되는 정전용량 성분을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센싱 채널 L2, R3, L3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제 2 접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contact 421 is applied to the second sensing area 420, the contact determining unit may detect a sensing signal including the capacitance component generated at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by the contact areas B1, B2, and B3. The second contac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receiving through the sensing channels L2, R3, and L3.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판단부는 제 2 감지 영 역(420)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축의 연장선에 의해 정의되는 확장 영역(430)에 인가되는 접촉 입력에 대해 상기 제 1 접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determination unit may be configured for the contact input applied to the extension area 430 defined by the extension line of the first axis formed inside the second sensing area 420. The first contac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제 2 감지 영역(420)에 접촉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접촉 판단부는 제 2 감지 영역(420)에 포함되는 제 2 감지 전극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제 2 감지 영역(420)상의 접촉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접촉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접촉이 확장 영역(430)에 인가된 접촉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접촉 판단부는 접촉 위치의 좌표와 제 1 감지 전극이 배치된 극좌표상의 원점에 해당하는 좌표 사이의 거리를 확장 영역(430)의 반지름의 길이와 비교함으로써, 접촉이 확장 영역(430) 내부에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this regard, for example, in detail, first, when a contact is applied to the second sensing region 420, the touch determining unit receives a sensing signal from a second sensing electrode included in the second sensing region 420. The contact position on the second sensing region 420 is determin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tact is the contact applied to the expansion region 430 based on the determined contact position. For example, the contact determining unit compares the distance between the coordinate of the contact position and the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origin of the polar coordinate on which the first sensing electrode is disposed with the length of the radius of the extended region 430, so that the contact is inside the extended region 430.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authorized.

상기 판단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431)이 확장 영역(430)에 인가된 접촉인 경우, 상기 접촉 판단부는 상기 접촉(431)에 대해 상기 제 1 접촉 정보를 생성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확장 영역(430)에 인가된 접촉에 대해 생성되는 제 1 접촉 정보 역시 상기 접촉(431)의 극좌표의 θ축을 따른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 의해 원형 스크롤 패턴으로 제 1 감지 영역(410)과 확장 영역(430) 사이를 이동하는 형태의 접촉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 1 접촉 정보는 일정 시간동안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 또는 최초 접촉 위치에 대한 상대 이동량을 상기 극좌표상의 각도 단위로 표현한 것일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s shown in FIG. 4, when the contact 431 is a contact applied to the expansion area 430, the contact determination unit generates the first contact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contact 431.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tact information generated for the contact applied to the extended area 430 may also indicate a position along the θ axis of the polar coordinate of the contact 431. Alternatively, when a contact input of a type that moves between the first sensing area 410 and the expansion area 430 is applied by a user in a circular scroll pattern, the first contact information may include a moving direction and a moving amount for a predetermined time, Alternatively, the relative movement amount with respect to the initial contact position may be expressed in an angle unit on the polar coordin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판단부는 제 1 감지 영역(410)에 인가되는 접촉 입력이 확장 영역(430)으로 진입하는 경우 또는 확장 영역(430)에 인가되는 접촉 입력이 제 1 감지 영역(410)으로 진입하는 경우, 제 1 감지 영역(410) 및 확장 영역(430)의 접촉 입력에 대해 생성되는 제 1 접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접촉 입력을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determination unit detects a first case where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first sensing area 410 enters the extended area 430 or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extended area 430 is detected. When entering the area 410, the contact input may be continuously processed using first contact information generated for the contact input of the first sensing area 410 and the extended area 430.

예컨대, 접촉(431)이 제 1 감지 영역(410)에서 확장 영역(430)으로 원형 스크롤 패턴으로 진입하거나 상기 접촉(431)이 확장 영역(430)에서 제 1 감지 영역(410)으로 원형 스크롤 패턴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접촉 판단부는 확장 영역(430)의 상기 접촉 (431)에 대해서도 상기 제 1 접촉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접촉(431)을 제 1 감지 영역(410)과 확장 영역(430) 사이의 연속적인 원형 스크롤 패턴으로 처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act 431 enters the circular scroll pattern from the first sensing area 410 to the extended area 430 or the contact 431 enters the circular scroll pattern from the extended area 430 to the first sensing area 410. When entering, the contact determination unit generates the first contact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contact 431 of the extended area 430 so that the contact 431 is between the first sensing area 410 and the extended area 430. Can be treated as a continuous circular scroll patter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접촉 정보는 제 2 감지 영역(420)에 인가되는 접촉 입력의 2차원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tact information may include two-dimensional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touch input applied to the second sensing area 42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판단부는 제 1 감지 영역(410)과 제 2 감지 영역(420)의 경계부에 접촉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경계부 근방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감지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으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접촉을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ntact is applied to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sensing region 410 and the second sensing region 420, the contact determin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first disposed near the boundary. The contact may be determined by referring to a sensing signal acquired from the sensing electrode and the at least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접촉 판단부가 상기 경계부에 인가된 접촉을 판단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regard,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contact applied to the boundary unit by the contact determination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감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감지 영역(510) 및 제 2 감지 영역(520)이 도시되어 있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ing area of a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a first sensing region 510 and a second sensing region 520 are shown.

제 1 감지 영역(510)과 제 2 감지 영역(520)의 경계부에 접촉(530)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접촉 판단부는 센싱 채널 C1을 통해 제 1 감지 전극으로부터 제 1 감지 신호를 획득하고, 센싱 채널 L7을 통해 제 2 감지 전극으로부터 제 2 감지 신호를 획득한 후 상기 제 1 감지 신호와 상기 제 2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접촉(530)을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contact 530 is applied to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sensing region 510 and the second sensing region 520, the contact determining unit obtains a first sensing signal from the first sensing electrode through the sensing channel C1, and senses the sensing. After acquiring the second sensing signal from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through the channel L7, the contact 530 may be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first sensing signal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결국, 상기 접촉 판단부는 제 1 감지 영역(510)과 제 2 감지 영역(520)의 경계부에 인가되는 접촉(530)을 상기 제 1 감지 전극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으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판단함으로써, 제 1 감지 영역(510)과 제 2 감지 영역(520) 사이에 발생하는 연속적인 접촉 입력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감지 영역(510)과 제 2 감지 영역(520)의 경계부를 넘나들며 이동하는 스크롤 패턴의 접촉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경계부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접촉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touch determination unit may refer to a touch signal 530 applied to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sensing area 510 and the second sensing area 520 with reference to a sensing signal obtained from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By determining, the continuous contact input generated between the first sensing region 510 and the second sensing region 520 may be accurately determined.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contact input of a scroll pattern moving across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sensing region 510 and the second sensing region 520 is applied, the contact position continuously changing at the boundary is extracted. can do.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sen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610)에서는 제 2 감지 영역의 경계에 인접한 제 1 감지 영역에서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 1 감지 전극을 통해 상기 접촉에 대한 제 1 감지 신호를 획득한다. 이때, 상기 제 1 감지 영역은 상기 제 2 감지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감지 전극은 상기 제 1 감지 영역에 포함된다.In operation S610, when a contact occurs in the first sensing area adjacent to the boundary of the second sensing area, a first sensing signal for the contact is obtained through at least one first sensing electrode. In this case, the first sensing regio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sensing region, and the at least one first sensing electrode is included in the first sensing region.

단계(S610)에서 접촉 판단부가 획득하는 제 1 감지 신호는, 제 1 감지 영역에서 접촉에 의해 생성되는 정전용량 성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제 1 감지 영역에 접촉이 인가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 1 감지 전극에 접촉 영역이 발생하면, 상기 접촉 영역의 면적에 비례하여 소정의 정전용량 성분이 생성된다. 접촉 판단부는 제 1 감지 전극 각각에 연결되는 센싱 채널을 통해, 상기 정전용량 성분을 나타내는 제 1 감지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In operation S610, the first sensing signal acquired by the touch determination unit may indicate a capacitance component generated by the touch in the first sensing region. For example, when a contact is applied to the first sensing area to generate a contact area on the at least one first sensing electrode, a predetermined capacitance component is generated in proportion to the area of the contact area. The touch determination unit may acquire a first sensing signal representing the capacitance component through a sensing channel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단계(S620)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접촉에 대한 제 2 감지 신호를 획득한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은 상기 제 2 감지 영역에 포함된다. 접촉 판단부는 단계(S610)과 유사한 방법으로, 접촉에 의해 제 2 감지 전극에서 생성되는 정전용량 성분을 나타내는 제 2 감지 신호를 제 2 감지 전극 각각에 연결된 센싱 채널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In operation S620, a second sensing signal for the contact is obtaine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at least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is included in the second sensing region. In a similar manner to step S610, the contact determiner may acquire a second sensing signal representing the capacitance component generated by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through the sensing channel connected to each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단계(S630)에서는 상기 제 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 2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접촉을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감지 전극은 제 1 축에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은 제 2 축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축과 상기 제 2 축은 서로 다른 좌표계를 따르는 좌표축이 될 수 있다.In operation S630, the contact is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first detection signal and the second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 least one first sensing electrode may be disposed along a first axis, and the at least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may be disposed along a second axis. 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may be coordinate axes along different coordinate system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630)에서는 상기 접촉의 제 1 축에 따른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축에 따른 상기 접촉의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극좌표계의 θ축을 따르는 좌표일 수 있다. 특히, 제 1 감지 영역과 제 2 감지 영역의 경계에 인접한 제 1 감지 전극에서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접촉이 발생한 제 1 감지 전극과 인접하는 제 2 감지 전극으로부터 획득한 제 2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접촉을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630, the position along the first axis of the contact may be determined.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contact along the first axis may be a coordinate along the θ axis of the polar coordinate system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when a contact occurs i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djacent to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sensing region and the second sensing region, the second sensing signal acquired from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adjacent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 where the contact occurs is referred to. The contact can be judged.

정전용량 성분의 특성상, 가장자리 효과에 의해 접촉 영역이 상기 경계에 인접한 제 1 감지 전극에만 형성되는 경우라 할지라도, 상기 접촉 영역과 인접한 제 2 감지 전극에서도 소정의 정전용량 성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 판단부는 상기 경계에 인접한 어느 하나의 감지 영역에서 접촉이 발생하면, 접촉 영역이 직접 생성되지 않은 다른 감지 영역에서 획득한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접촉을 판단함으로써, 경계에 인접하여 발생하는 접촉 감지의 해상도를 높일 수 있다.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pacitance component, even if the contact region is formed only o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djacent to the boundary due to the edge effect, a predetermined capacitance component may also be formed on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adjacent to the contact region. Therefore, when a contact occurs in one sensing area adjacent to the boundary, the touch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e contact by referring to a sensing signal acquired in another sensing area in which the contact area is not directly generated, and thus occurs near the boundary. The resolution of touch sensing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630)에서는 상기 접촉에 대응하는 0차원 접촉 정보 또는 1차원 접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감지 영역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제 2 감지 영역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접촉 판단부는 제 1 감지 전극과, 상기 제 1 감지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2 감지 전극에서 동시에 감지 신호를 획득하는 경우, 터치 버튼의 동작에 해당하는 On 신호를 0차원 접촉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감지 영역이 터치스크린의 일부를 구성하는 경우, 제 1 감지 전극의 배치에 따라 다수의 메뉴가 터치스크린의 하단에 표시되도록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고, 제 1 감지 전극에 인가되는 접촉 입력에 의해 On / Off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0차원 접촉 정보를 입력으로 활용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630, zero-dimensional contact information or one-dimensional conta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may be generated.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first sensing regio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sensing region in the form as shown in FIG. 2, the contact determining uni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first sensing region. When the sensing signals are simultaneously acquired by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the 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ouch button may be generated as the 0-dimensional contact information. Therefore, when the second sensing region forms a part of the touch screen, the applica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menus are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and the touch input applied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By generating On / Off signal, 0-dimensional contact information can be used as input.

한편, 1차원 접촉 정보는 제 1 감지 영역에서 연속적인 접촉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도 1에 도시된 제 1 감지 영역에서 극좌표계의 θ축을 따라 원형 스크롤 패턴의 접촉 입력이 인가되거나, 도 2에 도시된 제 1 감지 영역에서 횡스크롤 형태로 접촉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접촉 판단부는 제 1 감지 전극으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θ축 좌표 정보, 또는 가로축 좌표 정보를 나타내는 1차원 접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1차원 접촉 정보는 표시 화면의 이동, 스크롤, 줌 인/아웃, 또는 재생 시간 이동 등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one-dimensional contac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when a continuous contact input is applied in the first sensing area. In one embodiment, a contact input of a circular scroll pattern is applied along the θ axis of the polar coordinate system in the first sensing region shown in FIG. 1, or a contact input is applied in a horizontal scroll form in the first sensing region illustrated in FIG. 2. In this case, the touch determination unit may generate one-dimensional contact information indicating the θ-axis coordinate information or the abscissa coordinate information using the sensing signal acquired from the first sensing electrode. The one-dimensional contact informa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user interfaces such as moving the display screen, scrolling, zooming in / out, or moving the playback tim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감지 영역은 상기 제 2 감지 영역과 둘 이상의 경계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감지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 중에서 서로 다른 제 2 감지 전극과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감지 영역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측 제 1 감지 영역(322)과 하측 제 1 감지 영역(321)을 배치하고, 제 1 감지 영역(321, 322)에 포함되는 제 1 감지 전극의 일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동일한 센싱 채널에 접속시킴으로써, 채널 수를 절약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nsing region may form two or more boundary surfaces with the second sensing region. 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nsing region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second sensing electrode among the at least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t may include. As shown in FIG. 3, an upper first sensing region 322 and a lower first sensing region 321 are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second sensing region, and included in the first sensing regions 321 and 322, respectively. The number of channels can be sav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a portion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to be connected to the same sensing channel.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감지 영역은 제 1 축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제 2 감지 영역은 제 2 축을 따라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을 포함한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sens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ensing region includes at least one first sensing electrode disposed along a first axis, and the second sensing region comprises the at least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disposed along a second axis.

단계(S710)에서는 제 1 감지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2 감지 영역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 1 축의 연장선에 의해 정의되는 확장 영역에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을 통해 감지 신호를 획득한다. 접촉 판단부는 제 2 감지 영역에서 발생하는 접촉 위치의 좌표를 계산하고, 상기 접촉 위치의 좌표와 제 1 감지 전극이 배치된 극좌표 상의 원점에 해당하는 좌표 사이의 거리를 확장 영역의 반지름의 길이와 비교하여, 접촉이 확장 영역의 내부에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operation S710, when a contact occurs in an extended area defined by an extension line of a first axis formed inside the second sensing area adjacent to the first sensing area, the sensing is performed through at least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Acquire the signal. The touch determination unit calculates the coordinates of the contact position occurring in the second sensing region, and compares the distance between the coordinates of the contact position and the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origin on the polar coordinate where the first sensing electrode is disposed with the length of the radius of the extended region. Thus,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contact is applied inside the extension area.

제 2 감지 영역에서 발생하는 접촉이 상기 확장 영역의 내부에 인가된 것으로 판단하면, 단계(S720)에서는 상기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감지 영역에 인가되는 접촉 입력과 연관된 접촉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감지 영역에 인가되는 접촉 입력과 연관된 접촉 정보는, 극좌표의 θ축을 따른 위치를 나타내는 접촉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일정 시간 동안의 접촉의 이동 방향, 이동량 등을 극좌표의 각도로 표현한 정보일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ct generated in the second sensing area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extended area, in operation S720, contac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touch input applied to the first sensing area is generated using the sensing signal. In this case, the contac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touch input applied to the first sensing area may be contact information indicating a position along the θ axis of the polar coordinate. Alternatively, th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expressed by an angle of polar coordinates, such as a movement direction and a movement amount of the contact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와 같이, 제 2 감지 영역에서 발생하는 접촉이 상기 확장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접촉에 대해 생성하는 접촉 정보를 다르게 함으로써, 접촉 판단부는 제 1 감지 영역과 제 2 감지 영역 사이를 이동하는 형태의 접촉 입력을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감지 영역과 제 2 감지 영역 사이에서 제 1 축을 따르는 원형 스크롤 패턴으로 접촉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접촉 판단부는 제 2 감지 영역에서 발생하는 좌표에 대해 극좌표의 θ축에 대응하는 접촉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접촉 입력을 제 1 감지 영역과 제 2 감지 영역 사이의 연속적인 원형 스크롤 패턴으로 처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varying the contact information generated for the contac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contact generated in the second sensing area is located inside the extension area, the contact determin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separate the first sensing area from the second sensing area. Moving contact inputs can be processed continuously. For example, when a contact input is applied in a circular scroll pattern along the first axis between the first sensing area and the second sensing area, the contact determining unit corresponds to the θ axis of the polar coordinates with respect to the coordinates occurring in the second sensing area. By generating contact information, the contact input can be treated as a continuous circular scroll patter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areas.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감지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touch sen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such description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감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ing area of a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감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ing area of the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감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ing area of a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감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ing area of a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감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ing area of a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sen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sens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1)

적어도 하나의 제 1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제 1 감지 영역;A first sensing region comprising at least one first sensing electrode; 상기 제 1 감지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제 2 감지 영역; 및A second sensing region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ensing region and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And 상기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으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감지 영역 및 상기 제 2 감지 영역에 대한 접촉을 판단하는 접촉 판단부; 를 포함하며,A touch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a contact between the first sensing region and the second sensing region by using sensing signals obtained from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Including; 상기 접촉 판단부는 상기 제 2 감지 영역과의 경계에 인접한 상기 제 1 감지 영역에서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 2 감지 전극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제 1 감지 영역에 대한 접촉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When a contact occurs in the first sensing area adjacent to the boundary with the second sensing area, the touch determining unit contacts the first sensing area with reference to a sensing signal obtaine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Judging 접촉 감지 장치.Touch sens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판단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act determining unit 상기 제 1 감지 영역과의 경계에 인접한 상기 제 2 감지 영역에서 접촉이 발생하면, 상기 제 1 감지 전극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감지 영역에 대한 접촉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When a contact occurs in the second sensing area adjacent to the boundary with the first sensing area, the contact with the second sensing area is determined by referring to a sensing signal acquire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By 접촉 감지 장치.Touch sens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판단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act determining unit 상기 경계와 인접한 일부의 제 1 감지 전극 및 제 2 감지 전극으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경계에 인가된 접촉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touch applied to the boundary is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sensing signals acquired from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adjacent to the boundary. 접촉 감지 장치.Touch sens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감지 전극은 제 1 축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 2 감지 전극은 제 2 축을 따라 배치되고,The first sensing electrode is disposed along a first axis,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is disposed along a second axis, 상기 접촉 판단부는 상기 제 1 감지 영역에 대한 접촉의 상기 제 1 축에 따른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nd the contact determining unit determines a position along the first axis of contact with the first sensing area. 접촉 감지 장치.Touch sensing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 1 축과 상기 제 2 축은 서로 다른 좌표계를 따르는 좌표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Wherein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are coordinate axes along different coordinate systems. 접촉 감지 장치.Touch sens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판단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act determining unit 상기 제 1 감지 영역에 대한 접촉에 대응하는 0차원 접촉 정보 및 1차원 접 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Generating at least one of 0-dimensional contact information and 1-dimensional conta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with the first sensing area. 접촉 감지 장치.Touch sens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판단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act determining unit 상기 제 2 감지 영역에 대한 접촉에 대응하는 2차원 접촉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Generating two-dimensional conta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with the second sensing area. 접촉 감지 장치.Touch sens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 영역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ensing area is 상기 제 2 감지 영역과 둘 이상의 경계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t least two boundary surfaces with the second sensing region. 접촉 감지 장치.Touch sens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 영역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ensing area is 서로 다른 상기 제 2 감지 전극과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nd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접촉 감지 장치.Touch sensing device. 제 1 축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제 1 감지 영역;A first sensing region comprising at least one first sensing electrode disposed along a first axis; 제 2 축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감지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감지 영역; 및A second sensing region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disposed along a second axis, the second sensing region being adjacent to the first sensing region; And 상기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으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감지 영역에 인가되는 접촉 입력과 연관된 제 1 접촉 정보 및 상기 제 2 감지 영역에 인가되는 접촉 입력과 연관된 제 2 접촉 정보를 생성하는 접촉 판단부; 를 포함하며,First contac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first sensing region and a second input associated with the touch input applied to the second sensing region using sensing signals acquired from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A contact determination unit generating contact information; Including; 상기 접촉 판단부는, 상기 제 2 감지 영역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축의 연장선에 의해 정의되는 확장 영역에 인가되는 접촉 입력에 대해 상기 제 1 접촉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touch determination unit may generate the first contact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 contact input applied to an extension area defined by an extension line of the first axis formed inside the second detection area. 접촉 감지 장치.Touch sensing device.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 1 축과 상기 제 2 축은 상이한 좌표계를 따르는 좌표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are coordinate axes along different coordinate systems. 접촉 감지 장치.Touch sensing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 1 축은 극좌표계를 따르는 좌표축이며, 상기 제 2 축은 직교 좌표계를 따르는 좌표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first axis is a coordinate axis along the polar coordinate system, and the second axis is a coordinate axis along the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접촉 감지 장치.Touch sensing de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판단부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act determining unit, 상기 제 1 감지 영역에 인가되는 접촉 입력이 상기 확장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또는 상기 확장 영역에 인가되는 접촉 입력이 상기 제 1 감지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확장 영역의 접촉 입력에 대해 생성된 상기 제 1 접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접촉 입력을 연속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When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first sensing area enters the extended area or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extended area enters the first sensing area, a contact input generated in the extended area is genera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input is continuously processed using the first contact information. 접촉 감지 장치.Touch sensing de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판단부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act determining unit, 상기 제 1 감지 영역과 상기 제 2 감지 영역의 경계부에 접촉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경계부와 인접하는 상기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으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경계부에 인가된 접촉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When a contact is applied to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sensing area and the second sensing area, the contact is applied to the boundary with reference to sensing signals obtained from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adjacent to the boundary. Judging 접촉 감지 장치.Touch sensing device. 서로 인접하여 경계를 형성하는 제 1 감지 영역과 제 2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접촉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접촉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detecting a contact using a touch sens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sensing region and a second sensing region adjacent to each other, forming a boundary, 상기 제 1 감지 영역에서 상기 경계에 인접하여 접촉이 발생하면, 상기 제 1 감지 영역에 포함되는 제 1 감지 전극으로부터 제 1 감지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감지 영역에 포함되는 제 2 감지 전극으로부터 제 2 감지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When a contact occurs near the boundary in the first sensing region, a first sensing signal is obtained from a first sensing electrode included in the first sensing region,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included in the second sensing region is obtained. Obtaining a second sensed signal; And 상기 제 1 감지 신호 및 제 2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접촉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Determining the contact with reference to the first sensing signal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접촉 감지 방법.Contact detection method.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 1 감지 전극은 제 1 축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 2 감지 전극은 제 2 축을 따라 배치되고,The first sensing electrode is disposed along a first axis,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is disposed along a second axis, 상기 접촉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접촉의 상기 제 1 축에 따른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determining of the contact may include determining a position along the first axis of the contact. 접촉 감지 방법.Contact detection metho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을 판단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determining the contact comprises: 상기 접촉에 대응하는 0차원 접촉 정보 및 1차원 접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룰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t least one of 0-dimensional contact information and 1-dimensional conta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is generated. 접촉 감지 방법.Contact detection method. 제 1 축을 따라 배치되는 제 1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제 1 감지 영역과 제 2 축을 따라 배치되는 제 2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제 2 감지 영역을 구비한 접촉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접촉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sensing contact using a touch sensing device having a first sensing region including a first sensing electrode disposed along a first axis and a second sensing region comprising a second sensing electrode disposed along a second axis. In 상기 제 2 감지 영역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축의 연장선에 의해 정 의되는 확장 영역에 접촉이 인가되면 상기 제 2 감지 전극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Acquiring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when a contact is applied to an extension region defined by an extension line of the first axis formed inside the second sensing region; And 상기 획득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접촉의 상기 제 1 축을 따른 위치에 관계된 접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Generating contact information relating to a position along the first axis of the contact using the obtained sense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접촉 감지 방법.Contact detection method.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제 1 감지 영역에 접촉이 인가되면 상기 제 1 감지 전극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Obtaining a detec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ing electrode when a contact is applied to the first sensing region; 상기 제 1 감지 전극으로부터 획득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감지 영역에 인가된 접촉의 제 1 축에 따른 위치에 관계된 접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Generating contact information relating to a position along a first axis of contact applied to the first sensing region using the sensing signal obtained from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상기 제 1 감지 영역과 상기 확장 영역 사이에서 접촉 입력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감지 영역 및 상기 확장 영역에 인가된 접촉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접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접촉 입력을 연속적으로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Continuously processing the contact input using the contac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act applied to the first sensing area and the extended area when the touch input moves between the first sensing area and the extended area. ;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접촉 감지 방법.Contact detection method.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제 1 감지 영역과 상기 제 2 감지 영역의 경계부에 접촉이 인가되면, 상기 경계부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감지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경계부에 인가된 접촉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When a contact is applied to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sensing region and the second sensing region, a sensing signal is obtained from at least on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at least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adjacent to the boundary and applied to the boundary. Determining a contac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접촉 감지 방법.Contact detection method.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generating the contact information comprises: 상기 경계부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감지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감지 전극으로부터 획득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경계부에 인가된 접촉의 상기 제 1 축을 따른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Calculating a position along the first axis of contact applied to the boundary using sense signals obtained from at least one first sense electrode and at least one second sense electrode adjacent to the bounda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접촉 감지 방법.Contact detection method.
KR1020080100577A 2008-10-14 2008-10-14 Touch sensing appratus and touch sensing method KR1015059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577A KR101505916B1 (en) 2008-10-14 2008-10-14 Touch sensing appratus and touch sens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577A KR101505916B1 (en) 2008-10-14 2008-10-14 Touch sensing appratus and touch sens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410A true KR20100041410A (en) 2010-04-22
KR101505916B1 KR101505916B1 (en) 2015-03-25

Family

ID=4221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577A KR101505916B1 (en) 2008-10-14 2008-10-14 Touch sensing appratus and touch sens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916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12A (en) * 1992-06-19 1994-01-14 Toshiba Mach Co Ltd Touch panel
JP3304290B2 (en) 1997-06-26 2002-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Pen input device, pen input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en input control program
JP4543758B2 (en) 2004-06-02 2010-09-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Image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area allocation method, and display area allocation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916B1 (en)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6965B2 (en) Finger tracking in wet environment
US20170262110A1 (en) Hybrid force sensor
US8330474B2 (en) Sensor device and method with at surface object sensing and away from surface object sensing
US9880655B2 (en) Method of disambiguating water from a finger touch on a touch sensor panel
AU2014254406B2 (en) Disambiguation of touch input events on a touch sensor panel
US8902191B2 (en) Proximity sensing for capacitive touch sensors
CN107219272B (en) Moisture management
KR101531770B1 (en) A method for disambiguating multiple touches on a projection-scan touch sensor panel
US10592027B2 (en) State-based touch threshold
JP6234462B2 (en) Touch screen inpu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N103154866A (en) Concurrent signal detection for touch and hover sensing
JP2011134111A (en) Touch panel device, touch panel control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102297040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narrow bezel and proximity sensing method thereof
KR20130099420A (en) Terminal having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and method of touch position detecting the same
JP2014095968A (en) Touch panel device
CN105468214B (en) Location-based object classification
JP2008165575A (en) Touch panel device
KR101369431B1 (en) touch panel, apparatus for sensing touch including touch panel and method for sensing touch
WO2015060932A1 (en) Ghost suppression using hybrid capacitive sensing
CN107272970B (en) Capacitive side position extrapolation
KR101540453B1 (en) Input device and input sensing method based on pressure
KR1019941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ouch sensing
KR101505916B1 (en) Touch sensing appratus and touch sensing method
CN110134269B (en)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for verifying multi-finger touch detection via annular touch islands
JP59040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