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0988A - Mobile device having wide display - Google Patents

Mobile device having wide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0988A
KR20100040988A KR1020080099936A KR20080099936A KR20100040988A KR 20100040988 A KR20100040988 A KR 20100040988A KR 1020080099936 A KR1020080099936 A KR 1020080099936A KR 20080099936 A KR20080099936 A KR 20080099936A KR 20100040988 A KR20100040988 A KR 20100040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unit
lower case
folder
mai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9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상욱
정용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9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0988A/en
Publication of KR20100040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9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device is provided to easily carry a mobile terminal while including a wide display unit by combining a sub display unit with a main display unit according to user needs. CONSTITUTION: A top case(100) includes a main display unit(110) in the upper side and is slid on the bottom case(200). A folder unit(220) includes a sub display unit(210) in the upper side and is connected to a hinge unit(230) installed in one side of the bottom case. The folder unit is revolved centering on the hinge unit and is combined in the upper sid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case. The wide display unit is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of the upper case in order to be plane surface with the upper side of the main display unit and the upper side of the sub displaying unit.

Description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Mobile device having wide display}Mobile device having a wide display unit {Mobile device having wide display}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wide display unit.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란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무선 통신, 네트워크 접속, 디지털 방송 수신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이다.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통신 기능의 수행은 물론, 인터넷 접속, 디지털 방송 수신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 문서 작성, 게임 등의 기능도 추가되고 있다.In general, a mobile terminal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freely use functions such a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and digital broadcast reception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Recently,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to perform not only communication functions but also functions such as Internet access and digital broadcast reception. In addition, functions such as document creation and games have been added to the portable terminal.

최근 휴대 단말기는 통화 기능 이외에도 디지털 카메라 기능,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인터넷 웹 브라우징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편리하게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휴대 단말기의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는 점점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the mobile terminal may perform a digital camera function,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 video playback function, an internet web browsing func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a call function. In order to conveniently perform such a function, the display unit showing th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user is increasing.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고정되어 있고 그 크기가 충분하지 않아 인터넷 웹 브라우징 기능 등을 이용하기에는 시각적으로 많은 제한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을 극복하고자 넓은 영역의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는 경우, 그에 따라 휴대 단말기 자체의 크기도 커지게 되어, 휴대 단말기의 휴대 편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a display unit of a mobile terminal has a limited display area and its size is not sufficient, so that it has a lot of visual limitations to use the internet web browsing function. However,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when the display unit of a wide area is used,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is also increased, thereby reducing the portability of the portable terminal.

따라서,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한 인터넷 웹 브라우징 기능 등이 가능하면서도, 휴대 단말기의 휴대 편이성을 만족하는 휴대 단말기가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Internet web browsing function through a wide display area and satisfying portable convenience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폴더부를 회전하여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결합함으로써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하면서도 휴대 단말기의 휴대 편이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de display unit by combining a sub-display unit with a main display unit by rotating a folder unit according to a user's needs, while providing convenience of carrying a portable terminal. It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satisfy.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other technical problem that i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하부 케이스와, 상부면에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 위에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는 상부 케이스 및 상부면에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 측에 설치된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결합하는 폴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폴더부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할 때에,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면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면이 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ase, the upper surface has a main display portion, and the upper case and the upper surface which slides on the lower case and has a sub display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a folder part rotatably connected to a hinge par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lower case, and rotated about the hinge part to couple to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wherein the folder part is centered on the hinge part. When the rotation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case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isplay uni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display unit forms a wide display unit.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 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폴더부를 회전하여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결합할 수 있으므로,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하면서도 휴대 단말기의 휴대 편이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display unit can be combined with the main display unit by rotating the folder unit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of the portable terminal while providing a wide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폴더부를 회전하여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결합시켜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 용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otating the folder unit to combine the sub display unit with the main display unit to provide a wide 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폴더부를 회전하여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결합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 내부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older unit can be rotated to combine the sub display unit with the main display unit, the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implified and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as a whole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which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to more clearly communicate without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For the same reas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addition,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in each drawing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는, 상부 케이스(100), 메인 디스플레이부(110), 하부 케이스(200), 서브 디스플레이부(210), 폴더부(220) 및 힌지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드 형(Sliding Type)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1)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 등과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 기기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case 100, a main display unit 110, a lower case 200, a sub display unit 210, a folder unit 220, and a hinge unit ( 230).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of a sliding type. The portable terminal 1 may refer to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vices such as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the lik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0)는 그 상부면에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에게 원하는 화면을 출력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평상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를 이용할 때에 볼 수 있는 화면이다.As shown in FIG. 1, the upper case 100 may include a main display unit 110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he main display unit 110 may serve as a user interface that outputs a desired screen to the user or receives a command from the user. The main display unit 110 is a screen normally seen when the user uses the portable terminal 1.

이러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를 이용할 수 있다. LCD는 인가 전압에 따른 액정의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종 장치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 정보로 변화시켜 전달하는 전기소자이다. 또한, OLED는 형광성 유기 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전계 발광 현상을 이용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 발광형 유기 물질을 말한다. 한편,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로 TFT(Thin Film Transistor), 전기 영동(Electrophoretic), LITI(Laser Induced Thermal Image) 기술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후술하겠지만,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기능을 가지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display unit 110 may us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n LCD is an electric element that changes and transmits various electrical information generated by various devices into visual information by using a change in transmittance of liquid crystal according to an applied voltage. In addition, OLED refers to a self-luminous organic material that emits light by using an electroluminescence phenomenon that emits light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a fluorescent organic compound. Meanwhile, a thin film transistor (TFT), electrophoretic (Laser), laser induced thermal image (LITI) technology,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main display unit 110.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ain display unit 110 is preferably implemented to have a touch screen function.

상부 케이스(100)는 휴대 단말기(1) 본체의 상부를, 하부 케이스(200)는 휴대 단말기(1) 본체의 하부를 의미하며, 상부 케이스(100)는 하부 케이스(200) 위에서 슬라이딩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상부 케이스(100) 또는 하부 케이스(200)는 상부 케이스(100)가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딩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부는 상부 케이스(100)의 하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과 상부 케이스(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도록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부 케이스(100)의 하부면과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 사이에 엘엠 가이드(LM Guide)와 같은 부품을 삽입할 수도 있다. 슬라이딩부는 상부 케이스(1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며, 그 설치 위치도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The upper case 100 refers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1, the lower case 200 refers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1, and the upper case 100 slides up and down the lower case 200. I can move it. In this case, the upper case 100 or the lower case 200 may include a sliding part (not shown) for guiding the upper case 100 to slide and move. For example, the sliding part may be formed of a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00 and the groov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00. have. Alternatively, a part such as an LM guide may be inser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The sliding part may be any shape as long as it is a structure capable of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upper case 100, and its installation position may be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 받는 키 입력부(2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케이스(100)가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200)의 하단부에는 상부 케이스(100)이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멈춤단(202)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may be formed with a key input unit 240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from the user, when the upper case 100 is moved by sliding the exposure to the outside Can be. In addition, a stop 202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case 200 to restrict the upper case 100 from sliding downwar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220)는 상부면에 서브 디스플레이부(210)를 구비하고, 하부 케이스(200)의 일 측에 설치된 힌지부(2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폴더부(220)는 대략 키 입력부(240)와 같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폴더부(220)는 서브 디스플레이부(210)를 고정 지지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회전하여 서브 디스플레이부(210)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결합시킴으로써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때, 서브 디스플레이부(210)로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같이, LCD 또는 OLED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older unit 220 may include a sub display unit 210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a hinge unit 2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case 200. The folder unit 220 may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size as the key input unit 240. The folder unit 220 may fix and support the sub display unit 210, and may rotate and rotate the sub display unit 210 as necessary to provide a wide display unit by combining the sub display unit 210 with the main display unit 110. . In this case, like the main display unit 110, the sub display unit 210 may use an LCD or an OLED, and may have a touch screen function.

폴더부(220)는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결합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평상시 폴더부(220)가 하부 케이스(200)의 하부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The folder unit 22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by rotating about the hinge unit 230. In FIG. 1, the folder unit 220 is normal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만약, 사용자가 넓은 화면을 원할 때에는, 폴더부(220)는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폴더 부(220)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면과 서브 디스플레이부(210)의 상부면이 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부 케이스(100)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도 5a의 300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서브 디스플레이부(210) 표면 사이의 단차를 없앨 수 있으므로, 서브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화면의 끊어짐이 없이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자연스럽게 확장할 수 있다. 즉,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서브 디스플레이부(210)를 일체화함으로써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할 수 있다.If the user wants a wide screen, the folder unit 220 may be rotated about the hinge unit 230 a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In addition, the folder unit 22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case 100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isplay unit 1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display unit 210 form one plane, and thus the wide display unit 300 (in FIG. 5A). Reference). Therefore, since the step between the main display unit 110 and the surface of the sub display unit 210 can be eliminated, the main display unit 110 can be naturally expanded without breaking the screen through the sub display unit 210. That is, the wide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by integrating the main display unit 110 and the sub display unit 210.

한편, 힌지부(230)는 하부 케이스(200)의 측면 또는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는데, 도 2에서는 힌지부(230)가 하부 케이스(200)의 오른쪽 측면에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하부 케이스(200)의 멈춤단(201) 주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230)는, 하부 케이스(200)의 일 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축(231a, 231b)과,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축(231a, 231b)에 대응하도록 폴더부(220)의 일 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회전축(233a, 233b) 및 일단(232a??1)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축(231a, 231b)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232a??2)은 적어도 하나의 제2 회전축(233a, 233b)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아암(232a, 232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힌지부(230)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며, 폴더부(220)를 회전하여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적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inge portion 230 may be formed on the side or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200, Figure 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hinge portion 230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lower case 200, the lower case ( It may be formed around the stop 201 of the 200. As shown in FIG. 2, the hinge part 230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rotational shaft 231a and 231b and at least one first rotational shaft 231a and 231b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case 200. At least one second rotation shaft 233a and 233b and one end 232a ?? 1 formed on one side of the folder unit 220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first rotation shaft 231a and 231b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other end 232a ?? 2 may include at least one rotation arm 232a, 232b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second rotation axis 233a, 233b so as to be rotatable. The structure of the hinge portion 230 shown in FIG. 2 is exemplary, and any structure may be applied as long as the structure can be coupled to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by rotating the folder portion 220. .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220)가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부 케이스(200)의 하부면에 결합할 때에 폴더부(220)의 하부면과 하부 케 이스(200)의 하부면과 일치하도록, 하부 케이스(200)의 하부면에는 폴더부(220)가 삽입되는 제1 고정단(20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단(201)의 폭 및 깊이는 폴더부(220)의 폭 및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단(201)의 폭은 폴더부(220)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단(201)의 깊이는 폴더부(220)의 하부면과 하부 케이스(200)의 하부면과 일치할 수 있도록 폴더부(22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when the folder portion 220 is rotated about the hinge portion 230 and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the lower surface and lower case of the folder portion 220 The first fixing end 201 in which the folder part 220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to coincid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200. The width and depth of the first fixing end 201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folder unit 220.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first fixing end 201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folder unit 220. In addition, the depth of the first fixing end 201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folder portion 220 so as to match the bottom surface of the folder portion 22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220)가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 결합할 때에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면과 서브 디스플레이부(210)의 상부면이 일 평면을 이루도록, 폴더부(220)의 두께는 상부 케이스(10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when the folder unit 220 is rotated about the hinge unit 230 a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the upper surface and the sub display of the main display unit 110 are displayed. The thickness of the folder part 220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upper case 10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 210 forms one plane.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는 폴더부(220)가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 결합할 때에,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면과 서브 디스플레이부(210)의 상부면이 일 평면을 이루도록 폴더부(220)가 삽입되는 제2 고정단이 형성될 수도 있다. 폴더부(220)의 두께가 상부 케이스(100)의 두께보다 클 경우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 경우, 키 입력부(240)는 제2 고정단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고정단의 폭 및 깊이는 폴더부(220), 키 입력부(240) 등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고정단의 폭은 폴더부(220)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단의 깊이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면과 서브 디스플레이부(210)의 상부면이 일치할 수 있도록 폴더부(220)의 두께와 키 입력부(240)의 돌출 높이를 고려하여 결 정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main display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by rotating the folder unit 220 around the hinge unit 23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A second fixing end into which the folder unit 220 is inserted may be form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display unit 210 form one plane.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folder 220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pper case 100. In this case, the key input unit 24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ixed end. The width and depth of the second fixed en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older 220, the key input 240, or the like.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second fixing end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folder portion 220. In addition, the depth of the second fixed end may be such that the thickness of the folder 220 and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of the key input unit 240 may coincid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isplay unit 1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display unit 210. It may be decided in considera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는 키 입력부(240)와 별도로 설치되고,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 받는 보조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terminal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key input unit 240, and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from the us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보조 키 입력부의 형태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form of an auxiliary key input unit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보조 키 입력부(121, 122)는 키패드(Keypad)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보조 키 입력부(121, 12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최소한의 기능 키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 형식의 보조 키 입력부(121, 122)는 상부 케이스(100)의 상단부 또는 측부에 형성되거나, 하부 케이스(200)의 하단부 또는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a)에서는 보조 키 입력부(121)가 상부 케이스(100)의 상단부에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도 3의 (b)에서는 보조 키 입력부(122, 123)가 상부 케이스(100)의 일 측부 및 하부 케이스(200)의 일 측부에 각각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a) 및 (b)는 예시적인 것이며, 키패드 형식의 보조 키 입력부는 필요에 따라 여러 위치에 복수 개 제공될 수도 있다.First, the auxiliary key input units 121 and 12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keypad. At this time, the auxiliary key input unit 121, 122 may be composed of a minimum of function keys for receiving input from the user. The auxiliary key input units 121 and 122 of the keypad type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r side of the upper case 100, or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r side of the lower case 200. 3A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auxiliary key input unit 12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case 100, and in FIG. 3B, the auxiliary key input units 122 and 123 are formed on the upper case 100. An example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portion and the lower case 200 is shown. (A) and (b) of FIG. 3 are exemplary,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key input units in keypad form may be provided in various positions as necessary.

다른 실시예로서, 보조 키 입력부(123, 124)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형태의 보조 키 입력부(123, 124)는 사용 상태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부(210) 상의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c)에서는 보조 키 입력부(123)가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도 3의 (d)에서는 보조 키 입력부(124)가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측부에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폴더부(220)를 회전시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결합시켜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할 때에는, 서브 디스플레이부(210) 상에 형성될 수도 있고,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서브 디스플레이부(210)가 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auxiliary key input units 123 and 124 may be provided on the main display unit 110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e auxiliary key input units 123 and 124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may be formed at appropriate positions on the main display unit 110 or the sub display unit 210 according to the use state. 3C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auxiliary key input unit 123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display unit 110, and in FIG. 3D, the auxiliary key input unit 124 is one of the main display unit 110. The example formed in the side part is shown. Although not shown, when the folder unit 220 is rotated to be combined with the main display unit 110 to provide the wide display unit, the display unit 210 may be formed on the sub display unit 210, and the main display unit 110 and the sub display unit 210 may be provided. The display unit 210 may be formed in contact with the display unit 210.

도 3의 (a) 내지 (d)는 보조 키 입력부(121, 122, 123, 124)의 형성 방법이나 위치에 관한 몇 가지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3A to 3D illustrate some examples of a method and a position of the auxiliary key input units 121, 122, 123, and 124,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부 케이스(100) 또는 하부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회로 기판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회로 기판은 휴대 단말기(1)의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1)의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휴대 단말기 제어 장치라고 칭하기로 한다.Although not shown, a circuit board may be installed inside the upper case 100 or the lower case 200, and the circuit board may include various software module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 It can be implemented through. Hereinafter,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software module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 will be referred to as a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휴대 단말기 제어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서브 디스플레이부(210)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케이스(100) 또는 하부 케이스(200)에는 폴더부(220)의 회전에 따른 서브 디스플레이부(21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센서부의 출력 신호를 전달 받아 서브 디스플레이부(210)의 위치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서브 디스플레이부(210)의 화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폴더부(220)가 하부 케이스(200)의 하부면에 결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만을 통해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폴더부(220)가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 결합하여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서브 디스플레이부(210)를 결합하여 와이드 디스플레이부(300)를 형성할 때에,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출력 화면을 와이드 디스플레이부(300)의 전체 화면으로 확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may include a display controller (not shown) that controls screen output of the main display unit 110 and the sub display unit 210. For example, the upper case 100 or the lower case 200 may include a sensor unit (not shown)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ub display unit 21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older unit 220. The display controller may control the screen output of the main display unit 110 and the sub display unit 21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b display unit 210 by receiv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ensor unit. That is, when the folder unit 22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the display controller may control to output the screen only through the main display unit 110. In addition, when the folder unit 22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to combine the main display unit 110 and the sub display unit 210 to form the wide display unit 300, the display control unit is the main The output screen of the display 110 may be controlled to extend to the entire screen of the wide display 300.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4a 및 도 4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만을 사용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A and 4B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when only the main display unit is used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220)는 평상시 하부 케이스(20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고정단(201)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부 케이스(100)가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경우,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 형성된 키 입력부(240)만이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the folder unit 22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end 20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Therefore, when the upper case 100 is normally moved by sliding, only the key input unit 24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may be exposed to the user.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220)의 일 측에 형성된 제2 회전축(233a)은 하부 케이스(200)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회전축(231a)을 중심으로 아래에 위치하게 되어 폴더부(220)가 하부 케이스(20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고정단(201)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서브 디스플레이부(210)는 하부 케이스(200)의 제1 고정단(201)의 하부면에 밀착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4B, the second rotation shaft 233a formed at one side of the folder part 220 is positioned below the first rotation shaft 231a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case 200. The part 22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end 20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In this case, since the sub display unit 2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end 201 of the lower case 200, the sub display unit 21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평상시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만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전체 휴대 단말기(1)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어 휴대 단말기의 휴대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As such, since only the main display unit 110 is normally exposed to the outside, the size of the entire portable terminal 1 can be reduced in size, thereby making it easier to carry the portable terminal.

도 5a 및 도 5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결합하여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A and 5B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when a wide display unit is used by combining a main display unit and a sub display unit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만약, 사용자가 인터넷 웹 브라우징 등 넓은 화면을 필요로 할 때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0)를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킨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200)의 제1 고정단(201)에 결합되어 있는 폴더부(220)를 회전시켜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 결합시킴으로써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단부와 연결할 수 있다.When the user needs a wide screen such as Internet web browsing, the first fixing end 201 of the lower case 200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case 100 is slid and moved as shown in FIG. 5A. By rotating the folder unit 220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display unit 110.

따라서,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 형성된 키 입력부(240)는 폴더부(220) 아래에 위치하게 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받기 위해 보조 키 입력부(121, 122, 123, 124)를 이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key input unit 24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is positioned below the folder unit 220 and can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the auxiliary key input unit 121, 122, 123, 124 may be used to receive an operation command from the user.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220)의 일 측에 형성된 제2 회전축(233a)은 하부 케이스(200)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회전축(231a)을 중심으로 위쪽에 위치하게 되어 폴더부(220)가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면과 서브 디스플레이부(210)의 상부면이 일치하며, 와이드 디스플레이부(300)를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B, the second rotation shaft 233a formed at one side of the folder part 220 is positioned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ation shaft 231a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case 200. The unit 22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isplay unit 1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display unit 210 may coincide with each other, thereby providing the wide display unit 300.

이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폴더부(220)를 회전시켜 서브 디스플레이부(210)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일체화하여 와이드 디스플레이부(300)를 제공 함으로써, 사용 용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As such, by rotating the folder unit 220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 sub display unit 210 is integrated with the main display unit 110 to provide the wide display unit 300. Can be easily adjusted.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켜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A to 6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roviding a wide display unit by rotating the sub display unit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만약, 사용자가 와이드 디스플레이부(3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의 상부 케이스(100)를 하부 케이스(200)의 위에서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220)를 하부 케이스(200)의 일 측에 설치된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220)를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면에 결합하여 와이드 디스플레이부(300)를 사용할 수 있다.If the user wants to use the wide display unit 300, as illustrated in FIG. 6A, the upper case 100 of the mobile terminal 1 may be moved by sliding on the lower case 200. . As illustrated in FIG. 6B, the folder 220 may be rotated about the hinge 23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lower case 200. Finally, as shown in FIG. 6C, the folder unit 22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to use the wide display unit 300.

반대로, 와이드 디스플레이부(300)를 더 이상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술한 순서와 반대로, 폴더부(220)를 회전시켜 하부 케이스(20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고정단(201)에 삽입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wide display unit 300 anymore, in contrast to the above-described procedure, the folder unit 220 is rotated to the first fixed end 20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Can be inser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폴더부를 회전하여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결합할 수 있으므로, 인터넷 웹 브라우징 기능 등을 지원하는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하면서도 휴대 단말기의 휴대 편이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폴더부를 회전하여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결합시켜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 용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폴더부를 회전하여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결합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 내부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display unit can be combined with the main display unit by rotating the folder unit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reby providing a wide display unit supporting the Internet web browsing function and the like.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portability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by rotating the folder unit to combine the sub display unit with the main display unit to provide a wide display unit,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 purpose. In addition, since the folder unit can be rotated to combine the sub display unit with the main display unit, the structure of the in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implified, and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as a whole can be reduced.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it is mere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보조 키 입력부의 형태에 따른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modifications according to the form of an auxiliary key input unit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만을 사용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A and 4B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when only the main display unit is used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결합하여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A and 5B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when a wide display unit is used by combining a main display unit and a sub display unit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켜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A to 6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roviding a wide display unit by rotating the sub display unit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휴대 단말기1: mobile terminal

100: 상부 케이스 110: 메인 디스플레이부100: upper case 110: main display unit

121, 122, 123, 124: 키입력부121, 122, 123, 124: key input unit

200: 하부 케이스 201: 제1 고정단200: lower case 201: first fixed end

202: 멈춤단 210: 서브 디스플레이부202: stop step 210: sub display unit

220: 폴더부 230: 힌지부220: folder portion 230: hinge portion

221a, 221b: 제1 회전축 222a, 222b: 회전 아암221a, 221b: 1st rotation axis 222a, 222b: rotation arm

223a, 223b: 제2 회전축 230: 키패드223a and 223b: second axis of rotation 230: keypad

Claims (14)

하부 케이스;Lower case; 상부면에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 위에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는 상부 케이스; 및An upper case having a main display unit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slidingly moving on the lower case; And 상부면에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 측에 설치된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결합하는 폴더부를 포함하며,It includes a sub display unit on the upper surface,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nge portion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case, includes a folder unit to rotate around the hinge portion to couple to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상기 폴더부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할 때에,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면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면이 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folder uni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case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isplay uni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display unit form one plane when the folder unit rotates about the hinge unit an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힌지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측면 또는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hinge portion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side or bottom of the lower cas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힌지부는,The hinge portion,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 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축;At least one first rotating shaft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case;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축에 대응하도록 상기 폴더부의 일 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회전축; 및At least one second rotation shaft formed on one side of the folder part to correspond to the at least one first rotation shaft; And 일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축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회전축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said at least one first rotational axis, and the other end comprises at least one rotational arm rotatably connected to said at least one second rotational axi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폴더부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부면에 결합할 때에 상기 폴더부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부면과 일치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부면에는 상기 폴더부가 삽입되는 제1 고정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 first insertion of the folder por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such that the folder portion is rotated about the hinge portion and coincides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to coincid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end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폴더부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할 때에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면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면이 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폴더부의 두께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n the folder part rotates about the hinge part to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the thickness of the folder part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upper case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isplay par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display part form one plane.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formed in the same wa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폴더부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 에 결합할 때에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면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면이 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에는 상기 폴더부가 삽입되는 제2 고정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folder part is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isplay par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display part form one plane when the folder part rotates about the hinge part to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fixed end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 받는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key input uni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and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from a user.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키 입력부와 별도로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 보조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supplementary key input unit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key input unit and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from the user.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보조 키 입력부는 키패드(Keypad) 형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auxiliary key input unit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form of a keypad (Keypad).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보조 키 입력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단부 또는 측부에 형성되거나,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단부 또는 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auxiliary key input unit is formed at an upper end or side of the upper case, or is formed at a lower end or side of the lower cas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보조 키 입력부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 상에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auxiliary key input un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on the main display unit or the sub display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main display unit or the sub display unit i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폴더부의 회전에 따른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And a display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screen output of the main display unit and the sub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b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older unit.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되어 상기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할 때에,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화면을 상기 와이드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화면으로 확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display control unit controls to expand the output screen of the main display unit to the full screen of the wide display unit when the main display unit and the sub display unit are connected to form the wide display unit. 몸체부에 설치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A main display unit installed in the body unit;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서브 디스플레이부; 및A sub display unit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unit; And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며,And a display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screen output of the main display unit and the sub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ub display unit.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면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면이 일 평면을 이루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된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할 때에,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화면을 상기 와이드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화면으로 확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display controller may display an output screen of the main display unit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isplay uni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display unit form one plane to form a wide display unit to which the main display unit and the sub display unit are connected.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o expand to the full screen of the negative.
KR1020080099936A 2008-10-13 2008-10-13 Mobile device having wide display KR201000409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936A KR20100040988A (en) 2008-10-13 2008-10-13 Mobile device having wid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936A KR20100040988A (en) 2008-10-13 2008-10-13 Mobile device having wide displ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988A true KR20100040988A (en) 2010-04-22

Family

ID=42216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936A KR20100040988A (en) 2008-10-13 2008-10-13 Mobile device having wide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0988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866B1 (en) * 2010-12-10 2012-05-02 (주) 프렉코 Hinge device of folding type mobile phone
WO2013069858A1 (en) * 2011-11-09 2013-05-16 주식회사 예일전자 Securing structure of sound output mechanism and sound processing means of mobile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visual and sound signals
KR101421052B1 (en) * 2011-11-09 2014-07-22 주식회사 예일전자 Sound out mechanism of mobile feasible visual and sound signal
KR20200034946A (en) * 2018-09-21 2020-04-01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Terminal screen, control method and terminal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866B1 (en) * 2010-12-10 2012-05-02 (주) 프렉코 Hinge device of folding type mobile phone
WO2013069858A1 (en) * 2011-11-09 2013-05-16 주식회사 예일전자 Securing structure of sound output mechanism and sound processing means of mobile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visual and sound signals
GB2508763A (en) * 2011-11-09 2014-06-11 Yeil Electronics Co Ltd Securing structure of sound output mechanism and sound processing means of mobile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visual and sound signals
KR101421052B1 (en) * 2011-11-09 2014-07-22 주식회사 예일전자 Sound out mechanism of mobile feasible visual and sound signal
CN103999370A (en) * 2011-11-09 2014-08-20 礼一电子有限公司 Securing structure of sound output mechanism and sound processing means of mobile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visual and sound signals
US9380366B2 (en) 2011-11-09 2016-06-28 Yeil Electronics Co., Ltd. Securing structure of sound output mechanism and sound processing means of mobile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visual and sound signals
KR20200034946A (en) * 2018-09-21 2020-04-01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Terminal screen, control method and terminal
US11295695B2 (en) 2018-09-21 2022-04-05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Terminal screen, control method thereof and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31059B1 (en) Terminal with flexible screen
KR101510717B1 (en) Mobi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KR101752750B1 (en) Display device having expandable display,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606707B1 (en) Mobile device having wide display
US8675109B2 (e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649824B2 (e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00333006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101608748B1 (en) Mobile device having detachable sub display
US8836611B2 (en) Multi-panel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US20070142101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rotatable keypad
US2012019211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108016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dual sliding flip hinge assembly
KR20070045868A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ulti-input device
US20180059721A1 (en) Data processing device, display method, input/output method, server system, and computer program
JP2010128140A (en) Terminal device and program
EP2314054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open channel hinge assembly
KR20100040988A (en) Mobile device having wide display
KR20090006606A (en) Mobi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S8275121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combined slider and flip hinge assembly
JP2009171085A (en) Electronic device
JP2011049806A (en) Mobile terminal
KR20100061941A (en) Touch screen panel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JP532425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4695661B2 (en) Electronics
JP4347117B2 (en) Op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