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869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감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감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869A
KR20100038869A KR1020080098010A KR20080098010A KR20100038869A KR 20100038869 A KR20100038869 A KR 20100038869A KR 1020080098010 A KR1020080098010 A KR 1020080098010A KR 20080098010 A KR20080098010 A KR 20080098010A KR 20100038869 A KR20100038869 A KR 20100038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ath
cinr
receiver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환
박형원
김신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8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8869A/ko
Publication of KR20100038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8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9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by improving strong signal performance of the receiver when strong unwanted signals are present at the receiver in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04B1/525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with means for reducing leakage of transmitter signal in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RF 수신기의 간섭 감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송신 신호 경로와 공유된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제공받는 메인 수신 경로와, 다른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제공받는 서브 수신 경로와, 수신 신호에 대한 RSSI 및 CINR을 측정하고 각각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송신 누설 신호에 의한 신호 감쇄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메인 수신 경로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모뎀을 포함하여, 송신 누설 신호에 의한 잡음을 감소시켜 수신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시스템의 셀 반경을 넓게 할 수 있다.
간섭신호, 송신 누설 신호, 수신감도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감쇄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MOBILE CP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감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감도를 통해 송신 누설 신호가 수신부로 인가됨을 감지하여 상기 송신 누설 신호에 의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각 노드의 송신부에서 출력되는 송신 신호는 송신 대역의 신호이외에도 불필요한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에서 출력되는 불필요한 신호는 수신 대역에도 존재하여 동일한 노드의 수신부로 인가됨으로써, 수신 신호에 잡음으로 작용하여 상기 수신부의 전체 잡음 레벨을 증가시키게 되고, 결국에는 상기 수신부의 수신 감도를 열화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수신 대역을 갖는 단말기에서 상기 송신부(TX)(101)로부터 출력된 송신 신호 중 불필요한 신호는(111, 113) 듀플렉서(Duplexer) 혹은 안테나 를 통해 수신부(RX1, RX2)(103, 105)로 인가됨으로써, 다른 노드의 수신 신호에 대한 잡음으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주파수 분할 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대역폭이 증가할 수록 수신 대역에는 더 많은 양의 송신 잡음이 인가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WCDMA 혹은 CDMA 시스템에 비해 큰 송신 대역폭을 갖는 LTE 시스템에서는 상기 WCDMA 혹은 CDMA 시스템에 비해 더 많은 송신 잡음이 수신 대역으로 인가되게 된다. 즉,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출력된 강한 송신 신호에 의해 더 많은 량의 잡음을 인가받게 됨으로써, 수신감도가 열화되게 된다.
상기 수신부의 수신 감도를 열화시키기 않기 위해서 송신 출력을 낮추거나 송신 채널 대역폭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상향링크의 효율을 감소시키고 셀 반경을 축소시키게 되는 단점을 가져온다.
따라서, 상향링크의 효율을 감소시키거나 셀 반경을 축소시키지 않고 상기 송신 신호에 의한 잡음을 감쇄시켜 수신부의 수신 감도 열화를 방지하는 기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감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감도를 통해 송신 누설 신호가 수신부로 인가됨을 감지하여 상기 송신 누설 신호에 의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 개의 수신경로를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수신 경로만으로 신호를 수신하여 송신 누설 신호로 인한 수신 감도 감쇄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 개의 수신경로를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인 수신 경로로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정한 후 서브 수신 경로의 신호와 결합하여 송신 누설 신호로 인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RF 수신기의 간섭 감쇄 장치는, 송신 신호 경로와 공유된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제공받는 메인 수신 경로와, 다른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제공받는 서브 수신 경로와, 수신 신호에 대한 RSSI 및 CINR을 측정하고 각각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송 신 누설 신호에 의한 신호 감쇄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메인 수신 경로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RF 수신기의 간섭 감쇄 방법은, 수신 신호에 대한 RSSI 및 CINR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RSSI 및 CINR을 각각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송신 누설 신호에 의한 신호 감쇄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메인 수신 경로의 전원을 오프시켜 서브 수신 경로만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감도를 통해 송신 누설 신호가 수신부로 인가됨을 감지하여 서브 수신 경로만으로 신호를 수신하거나 메인 수신 경로로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정한 후 서브 수신 경로의 신호와 결합함으로써, 송신 누설 신호에 의한 잡음을 감소시켜 수신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시스템의 셀 반경을 넓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 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감도를 통해 송신 누설 신호가 수신부로 인가됨을 감지하여 상기 송신 누설 신호에 의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안테나 즉,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와 수신만을 위한 안테나를 구비한 RF 송수신기를 가정하여 설명하며, 다중 안테나를 구비한 모든 RF 송수신기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RF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F 수신기는 수신을 위한 메인 경로(Main Rx Path)(310)와 서브 경로(Sub Rx Path)(350), 모뎀(300) 및 국부발진기(LO: Local Oscillator)(3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경로(310)는 메인 I채널과 메인 Q채널을 위해 두 개의 믹서(Mixer)(312, 314), 90°지연기(316), 두 개의 가변 이득 증폭기(VGA: Variable Gain Amplifier)(320, 322), 두 개의 기저대역 필터(BB Filter: BaseBand Filter)(324, 326), 두 개의 지연기(328, 330), 두 개의 스위치(332, 3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브 경로(350)는 서브 I채널과 서브 Q채널을 위해 두 개의 믹서(Mixer)(352, 354), 90°지연기(356), 두 개의 가변 이득 증폭기(VGA: Variable Gain Amplifier)(358, 360), 두 개의 기저대역 필터(BB Filter: BaseBand Filter)(362, 364), 두 개의 결 합기(366, 36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메인 경로(310)를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RF 수신기의 메인 경로(310)는 신호 송신 경로와 안테나를 공유하며, 듀플렉서에 의해 상기 공유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경로(310)에 포함된 두 개의 믹서(312, 314)는 상기 국부 발진기(302)에서 제공되는 기준 주파수원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저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두 개의 가변 이득 증폭기(320, 322)로 출력한다.
상기 90°지연기(316)는 상기 국부 발진기(302)로부터 출력된 기준 주파수원의 위상을 90°만큼 지연시켜 상기 두 개의 믹서(312, 314)로 제공되는 기준 주파수원이 서로 90°의 위상차를 갖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두 개의 가변 이득 증폭기(320, 322)는 입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모뎀(300)의 제어에 따라 이득 조정값을 변경하여 상기 입력 신호의 이득을 제어한다.
상기 두 개의 기저대역 필터(324, 326)는 상기 두 개의 가변 이득 증폭기(320, 322)로부터 이득이 제어된 신호를 제공받아 기저대역 신호만을 통과시킴으로써, 잡음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두 개의 지연기(328, 330)는 상기 기저대역 필터(324, 32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지연시킨다. 즉, 상기 두 개의 지연기(328, 330)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모뎀(300)의 제어 하에 상기 메인 경로 신호의 잡음 위상이 상기 서브 경로 신호의 잡음 위상과 반대가 되도록 상기 기저대역 필터(324, 326)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위상을 지연시킨다.
상기 두 개의 스위치(332, 334)는 상기 모뎀(30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두 개의 지연기(328, 3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메인 I/Q 채널로 출력하거나 상기 서브 경로(350)에 포함된 두 개의 결합기(366, 368)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상기 서브 경로(350)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서브 경로(350)에 포함된 두 개의 믹서(Mixer)(352, 354)는 상기 국부 발진기(302)에서 제공되는 기준 주파수원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저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두 개의 가변 이득 증폭기(358, 360)로 출력한다.
상기 90°지연기(356)는 상기 국부 발진기(302)로부터 출력된 기준 주파수원의 위상을 90°만큼 지연시켜 상기 두 개의 믹서(352, 354)로 제공되는 기준 주파수원이 서로 90°의 위상차를 갖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두 개의 가변 이득 증폭기(358, 360)는 입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두 개의 기저대역 필터(362, 364)는 상기 두 개의 가변 이득 증폭기(358, 360)로부터 이득이 제어된 신호를 제공받아 기저대역 신호만을 통과시킴으로써, 잡음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두 개의 결합기(366, 368)는 상기 두 개의 기저대역 필터(362, 364)로부터 제공되는 서브 경로 신호와 상기 메인 경로(310)의 스위치(332, 334)에 의해 제공되는 메인 경로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서브 I/Q 채널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결합기(366, 368)는 상기 상기 메인 경로(310)의 스위치(332, 334)에 의해 메인 경로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시에는 상기 두 개의 기저대역 필터(362, 364)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바이패스시킨다.
상기 모뎀(MODEM)(300)은 일반적으로 송수신 신호의 변복조를 수행하며, 본 발명에 따라 송신 신호 전력 크기,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및 CINR(Carrier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을 측정하여 송신 누설 신호에 수신 감도가 열화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송신 누설 신호에 의해 수신 감도가 열화되었을 시, 상기 메인 경로(310)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상기 메인 경로(310)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조정하여 서브 경로(350) 신호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송신 누설 신호를 감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모뎀(300)은 상기 송신 누설 신호에 의해 수신 감도가 열화됨이 판단되면, 먼저, 서브 경로(350)만으로 신호가 수신되도록 메인 경로(310)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이때, 상기 서브 경로(350)만을 통한 신호 수신 방법으로 수신 신호가 복조되지 않을 시, 상기 모뎀(300)은 상기 메인 경로 신호의 잡음과 서브 경로 신호의 잡음이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면서 반대 위상을 갖고 결합되도록 상기 메인 경로(310)의 전압 이득 조정기(320, 322)와 지연기(328, 330) 및 상기 스위치(332, 334)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모뎀(300)은 약전계 상황에서 상기 RSSI가 RSSI 임계값보다 높은데도 불구하고, 상기 CINR이 CINR 임계값보다 낮아지면, 메인 경로(310)와 서브 경 로(350) 각각의 CINR을 측정하여 비교한 후, 서브 경로(350)의 CINR이 메인 경로(310)의 CINR보다 높으면, 상기 메인 경로(310)의 전원을 오프시켜 서브 경로(350)만으로 신호를 수신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서브 경로(350)만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이유는 상기 서브 경로(350)에 인가되는 송신 누설 신호 량이 상기 메인 경로(305)에 인가되는 송신 누설 신호 량보다 적기 때문이다. 즉, 이론적으로 상기 서브 경로(350)에 인가되는 송신 누설 신호량이 메인 안테나와 서브 안테나 사이의 커플링 격리(coupling isolation) 특성만큼 작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약전게 상황은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고, 상기 RSSI와 CINR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상황을 의미한다.
상기 서브 경로(350)만으로 신호를 수신하였으나, 신호가 복조되지 않는 경우 상기 모뎀(300)은 상기 메인 경로(310)에 포함딘 전압 이득 조정기(320, 322)의 이득을 조절하여 메인 경로 신호의 잡음 크기를 상기 서브 경로 신호의 잡음 크기와 동일하게 하고, 상기 지연기(328, 330)의 지연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메인 경로 신호의 잡음 위상이 서브 경로 신호의 잡음 위상과 반대가 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모뎀(300)은 서브 경로(350)의 CINR 값에 따라 상기 전압 이득 조정기(320, 322)의 이득을 조절하지 않고 상기 지연기(328, 330)의 지연 정도만을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모뎀(300)은 상기 서브 경로(350)의 CINR 값이 0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전압 이득 조정기(320, 322)의 이득은 조절하지 않고 상기 지연기(328, 330)의 지연 값만을 조절하고, 상기 서브 경로(350)의 CINR 값이 0보다 클 경우, 상기 전압 이득 조정기(320, 322)의 이득 및 상기 지연기(328, 330)의 지연 값을 조절한 다. 이때, 상기 모뎀(300)은 상기 서브 경로(350)의 CINR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지연기(328, 330)의 지연 값을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모뎀(300)은 SPI(Stateful Packet Inspection) 혹은 I2C(Inter Integrated Circuit) 방식으로 상기 전압 이득 조정기(320, 322)와 지연기(328, 3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국부발진기(302)는 신호의 주파수를 바꾸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작동하는 발진기로서, 상기 메인 경로(310)와 서브 경로(350)에 포함된 각 믹서(312, 314, 352, 354)에서 주파수 변환을 위해 사용되는 기준 주파수원 신호, 즉, 국부 발진 신호를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누설 신호에 의한 잡음 제거를 위한 RF 수신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RF 수신기는 401단계에서 약전계 검사를 위해 송신 신호 전력 크기, RSSI 및 CINR을 측정하고, 403단계에서 상기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약전계 상황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RF 수신기는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고, 상기 RSSI와 CINR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약전계 상황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RSSI와 CINR은 메인 경로와 서브 경로 모두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RSSI와 CINR이다.
상기 RF 수신기는 상기 약전계 상황일 경우, 405단계로 진행하여 셀프 감지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약전계 상황이 아닐 경우, 상기 401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셀프 감지 모드는 서브 경로에 입력된 송신 누설 신호가 메인 경로에 입력된 송신 누설 신호보다 작을 경우, 상기 서브 경로만으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모드로, 이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RF 수신기는 상기 셀프 감지 모드를 수행하고, 407단계로 진행하여 수신신호가 복조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RF 수신기는 상기 수신 신호가 복조되지 않을 경우, 409단계로 진행하여 송신 누설 신호 제거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수신 신호가 복조될 경우, 상기 405단계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제거모드는 상기 메인 경로로 수신된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조정한 후 서브 경로로 수신된 신호와 결합하여 송신 신호로 인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모드로, 이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5는 도 4에서 설명된 셀프 감지 모드의 상세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셀프 감지 모드 진입 시, 상기 RF 수신기는 501단계에서 수신 신호의 RSSI가 기 설정된 RSSI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수신 신호의 CINR이 기 설정된 CINR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검사한다. 이때, 상기 RSSI와 CINR은 메인 경로와 서브 경로 모두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RSSI와 CINR이다.
상기 수신 신호의 RSSI가 기 설정된 RSSI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수신 신호의 CINR이 기 설정된 CINR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시, 상기 RF 수신기는 503단계에서 서브 경로로 수신되는 신호의 CINR과 메인 경로로 수신되는 CINR을 각 각 측정한 후, 5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서브 경로의 CINR이 메인 경로의 CINR보다 큰지 검사한다.
상기 RF 수신기는 상기 서브 경로의 CINR이 메인 경로의 CINR보다 클 경우, 507단계에서 상기 메인 경로의 전원을 오프시켜 서브 경로만으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도 4의 407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서브 경로의 CINR이 메인 경로의 CINR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501단계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상기 서브 경로만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메인 안테나와 서브 안테나 사이의 커플링 격리(couling isolation) 특성만큼 상기 서브 경로에 인가되는 송신 누설 신호량이 상기 메인 경로에 인가되는 송신 누설 신호 량보다 작기 때문이다. 또한, 이때 송신 누설 신호에 의한 잡음은 열잡음과 같은 비상관적인(uncorrelated) 잡음이 아니기 때문에, 다이버시티(diversity) 수신 시에 사용하는 MRC(Maximum Ratio Combining)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서브 경로만을 사용한다.
도 6은 도 4에서 설명된 송신 누설 신호 제거모드의 상세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제거 모드 진입 시, 상기 RF 수신기는 601단계에서 스위칭을 통해 메인 경로의 I/Q 라인을 서브 경로의 I/Q 라인과 결합시킨다.
이후, 상기 RF 수신기는 603단계에서 서브 경로의 CINR 크기가 0보다 작은지 검사한다. 상기 서브 경로의 CINR 크기가 0보다 작을 시, 상기 RF 수신기는 605단계로 진행하여 메인 경로에 포함된 전압 이득 조정기(VGA)의 이득(gain)을 유지하고, 상기 서브 경로의 CINR 크기가 0보다 작지 않을 시, 상기 RF 수신기는 613단계로 진행하여 메인 경로에 포함된 전압 이득 조정기(VGA)의 이득(gain)을 조정한다. 이때, 상기 RF 수신기는 상기 메인 경로 신호의 잡음 크기가 상기 서브 경로 신호의 잡음 크기와 동일해지도록 상기 전압 이득 조정기의 이득을 조정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 경로의 CINR 크기가 0보다 작을 시, 상기 메인 경로에 포함된 전압 이득 조정기(VGA)의 이득(gain)을 유지하는 것은 자동 이득 제어(AGC: Automatic Gain Control) 기능에 의해 상기 메인 경로 신호의 잡음 크기와 서브 경로 신호의 잡음 크기가 유사해지기 때문이다.
이후, 상기 RF 수신기는 607단계에서 상기 메인 경로에 포함된 지연기의 위상 지연값을 조정한다. 이때, 상기 RF 수신기는 상기 메인 경로 신호의 잡음 위상이 서브 경로 신호의 잡음 위상과 반대가 되도록 상기 지연기의 위상 지연값을 조정한다. 즉, 상기 상기 RF 수신기는 상기 서브 경로의 CINR이 최대가 되도록 메인 경로에 포함된 지연기의 위상 지연값을 조정한다.
이후, 상기 RF 수신기는 609단계에서 상기 서브 경로 신호가 크기가 같고 위상이 반대인 메인 경로 신호와 결합된 후 복조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RF 수신기는 결합된 신호가 복조되지 않을 시, 6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메인 경로에 포함된 전압 이득 조정기의 이득을 조정한 후 상기 609단계로 되돌아가고, 상기 결합된 신호가 복조될 시, 615단계로 진행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RF 송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신호가 송신 대역폭에 따라 수신 대역폭에 간섭을 미치는 정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RF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누설 신호에 의한 잡음 제거를 위한 RF 수신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에서 설명된 셀프 감지 모드의 상세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6은 도 4에서 설명된 송신 누설신호 제거 모드의 상세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2)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RF 수신기의 간섭 감쇄 장치에 있어서,
    송신 신호 경로와 공유된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제공받는 메인 수신 경로와,
    다른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제공받는 서브 수신 경로와,
    수신 신호에 대한 RSSI 및 CINR을 측정하고 각각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송신 누설 신호에 의한 신호 감쇄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메인 수신 경로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RF 수신기의 간섭 감쇄 방법에 있어서,
    수신 신호에 대한 RSSI 및 CINR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RSSI 및 CINR을 각각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송신 누설 신호에 의한 신호 감쇄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메인 수신 경로의 전원을 오프시켜 서브 수신 경로만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0098010A 2008-10-07 2008-10-07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감쇄 장치 및 방법 KR20100038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010A KR20100038869A (ko) 2008-10-07 2008-10-07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감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010A KR20100038869A (ko) 2008-10-07 2008-10-07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감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869A true KR20100038869A (ko) 2010-04-15

Family

ID=42215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010A KR20100038869A (ko) 2008-10-07 2008-10-07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감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88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2547B2 (en) Diversity receiver
KR101532848B1 (ko) 안테나 이득 임밸런스를 보상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7734311B2 (en) Multimode communication apparatus
US201102126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In-Band Interference for a Shared Antenna
US20130242809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11800179B (zh) 一种分集接收机及终端
US20110134810A1 (en) Module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ying the same therein
US20100002620A1 (en) Repeater having dual receiver or transmitter antenna configuration with adaptation for increased isolation
US76342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blocker attenuation using multiple receive antennas
JP2009038809A (ja) 受信器の干渉イミュニティを向上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CN107257245B (zh) 抗干扰收发单元、收发装置及抗干扰衰减处理方法
WO2019109723A1 (zh) 全时双工系统、全时双工电路以及控制方法
JP201652262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信号相殺方法および装置
US20210258816A1 (en) Interference cancell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JP2004215246A (ja) 同位相の合成ダイバーシティ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US8638836B2 (en) Transmitter signal injection compensation
WO2013091713A1 (en) Automatic transmit power control in xpic configuration for wireless applications
CN111162808A (zh) 射频接收电路、接收机和基站
WO2011060449A1 (en) Diversity blocker protection
KR2010003886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감쇄 장치 및 방법
CN103238275B (zh) 无线电收发机及其控制方法
EP0957587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transmitter overload in a transmit scanning receiver
CN210693907U (zh) 射频接收电路、接收机和基站
KR10175680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Nightingale et al. RF interference cancellation–a key technology to support an integrated communications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