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511A - 다중표준 모바일 방송 스트림 수신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표준 모바일 방송 스트림 수신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511A
KR20100036511A KR1020080095768A KR20080095768A KR20100036511A KR 20100036511 A KR20100036511 A KR 20100036511A KR 1020080095768 A KR1020080095768 A KR 1020080095768A KR 20080095768 A KR20080095768 A KR 20080095768A KR 20100036511 A KR20100036511 A KR 20100036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sing
protocol
stream
stream data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6990B1 (ko
Inventor
박용석
이경택
박세호
김성준
권기원
백종호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95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990B1/ko
Publication of KR20100036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15DVB-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7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6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video broadcasting - handhelds [DVB-H]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방송 수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표준 방송 스트림을 처리할 수 있는 모바일 방송 수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방송 수신장치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의 스트림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는 복수의 기저대역 처리모듈을 구비한 기저대역 처리부; 상기 복수의 기저대역 처리모듈로부터 제공된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장치 추상화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스트림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판별하여 그 판별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파싱하여 오디오 스트림, 비디오 스트림 및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통합 파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바일, 다중, 방송, 스트림, 수신장치

Description

다중표준 모바일 방송 스트림 수신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protocol digital mobile broadcasting streams}
본 발명은 모바일 방송 수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표준 방송 스트림을 처리할 수 있는 모바일 방송 수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디지털 모바일 방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모바일 방송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국가별, 대륙별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모바일 방송 표준을 사용하고 있다. 예컨대, 한국은 T-DMB(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유럽은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 Handheld), 일본은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Terrestrial) 1-Seg(1-Segment)가 대표적인 디지털 모바일 방송 표준으로서 시행되고 있다.
이와같이 모바일 방송에 있어서 지역별로 영향력이 높은 디지털 모바일 방송 기술이 있으나, 디지털 모바일 방송 표준은 아직까지 세계시장에서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표준이 없어, 특정 지역에서 한 가지 이상 방식의 모바일 TV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디지털 모바일 방송 수신기는 각 프로토콜에 따라 RF 모듈, Baseband 모듈, 스트림 파서, 멀티미디어 복호화기(Decoder)를 각각 구비하여야 한다.
즉, 종래의 수신기는 RF모듈, Baseband 모듈 및 스트림 파서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표준을 기반으로 구현되므로, 각각의 수신기가 상호 호환 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특정 지역에서 제공받을 수 있었던 모바일 TV 서비스를 다른 지역에서는 서비스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사용자는 각 국가별 지역별 표준에 대하여 각각 수신기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표준의 모바일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 할 수 있는 모바일 방송 수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모바일 방송 수신장치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의 스트림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는 복수의 기저대역 처리모듈을 구비한 기저대역 처리부; 상기 복수의 기저대역 처리모듈로부터 제공된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장치 추상화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스트림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판별하여 그 판별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파싱하여 오디오 스트림, 비디오 스트림 및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통합 파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모바일 방송 수신방법은, DVB-H 스트림 데이터, ISDB-T 스트림 데이터 및 T-DMB 스트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받은 스트림 데이터의 프로토콜 타입을 판별하는 단계; 상기 프로토콜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받은 스트림 데이터를 역다중화하는 파싱 단계; 및 상기 파싱 단계에 의하여 출력된 오디오 스트림 또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방송을 서비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합 및 최적화 된 모바일 스트림의 파서(Parser)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어, 디지털 모바일 방송 수신 모듈이나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에 있어서 요구되는 표준 사항에 맞추어 단기간에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개발 및 구현의 용이성에 따라 또한 본 발명은 개발기간 단축과 원가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 파서가 적용된 1개의 모듈로 DAB/T-DMB, DVB-H, ISDB-T 1-Seg 또는 이들의 혼합 표준을 만족할 수 있는 수신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기종, 다기능, 다매체 수신이 가능한 모바일 방송용 단말에 관련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여 각각 디지털 모바일 방송 표준 방식에 대하여 공통된 요소를 모으고 중복된 요소를 제거하는 프로토콜 구조의 최적화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디지털 모바일 방송의 대표적 표준으로는 한국의 T-DMB(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유럽의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 Handheld), 일본의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Terrestrial) 1-Seg(1-Segment)가 있다.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이들은 모두 공통적으로 MPEG- 2(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Part 1, Systems에 정의되어있는 TS(Transport Stream)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TS 프로토콜은 불안전한 매체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원활하게 위한 것으로, 디지털 오디오와 비디오를 다중화(Multiplexing)하여 패킷(Packet) 형태로 전송한다. 이 외에도 콘텐츠, 접근제어, 네트워크와 관련된 각종 테이블(Table) 정보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함께 다중화 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와같이 추가된 각종 정보는 방송프로그램 편성표 등의 작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는 T-DMB 표준에 따른 프로토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T-DMB는 Eureka-147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된 것으로, 오디오 서비스만 가능하던 DAB 시스템에 비디오 및 기타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개선한 것이다. Band-III와 L-Band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세부적인 프로토콜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비디오 부호화는 MPEG-4 Part 10(H.264), 오디오 부호화는 MPEG-4 Part 3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또는 HE-AAC(High-Efficiency Advanced Audio Coding) V2를 사용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MPEG-2 TS에 내포되며 RS(Reed-Solomon) 부호화 및 길쌈 인터리빙(Interleaving)되어 전송된다. MPEG-4 Part 11의 BIFS(Binary Format for Scenes)의 전송도 가능하며, 이는 방송되는 콘텐츠에 대해서 사용자 상호작용(User Interaction)을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MPEG4-SL(Sync Layer)는 타임 스탬프(Timestamp) 및 시간(Clock) 기준과 같은 정보를 보유하며 수신기가 비디오, 오디오 및 기타 데이터의 동기를 맞출 수 있도록 한다.
도 2은 DVB-H 표준에 따른 프로토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DVB-H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 표준인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 Terrestrial)에서 파생된 표준으로 저전력을 요구하는 휴대용 환경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세부적인 프로토콜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스트림 데이터는 IP Packet 형태로 내포되어 MPEG-2 TS(Transport Stream)를 통해 전송된다. DVB-H에 적용된 타임 슬라이스(Time Slicing) 기술은 평균 소비전력을 줄이고 원활한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MPE-FEC(Multi-Protocol Encapsulation Forward Error Correction)는 이동 채널의 C/N 도플러(Doppler) 성능을 개선하고 임펄스 간섭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한다.
유럽에서는 UHF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표준에서 사용해야 할 비디오/오디오 부호화는 정의하고 있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다른 모바일 방송 표준과 마찬가지로 H.264와 HE-AAC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추가적으로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이는 비실시간 데이터 파일을 방송하여 수신기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원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ISDB-T 표준에 따른 프로토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ISDB-T는 일본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 규격으로 UHF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주파수 대역은 50개의 채널로 분할되며 각 채널은 13개의 세그먼트(Segment)로 구분된다. 이러한 세그먼트 중 하나를 모바일 방송에 사용하기 때문에 1-Seg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Seg는 H.264/MPEG-4 AVC 비디오와 HE-AAC 오디오를 MPEG-2 TS를 통해 전송하고, 그 외 데이터 서비스는 BML(Broadcast Markup Language)을 사용하여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방송 수신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방송 수신장치는, T-DMB, DVB-H, ISDB-T 1-Seg 방식으로 수신된 스트림을 공통으로 처리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장치 추상화 계층(Device Abstraction Layer, 이하 '인터페이스부'라 칭함)(200)를 구현하고, 파서(Parser) 단을 통합 및 최적화하여 통합 파서(300)를 구현하고, 멀티미디어 복호화기는 공통으로 사용하여 각 표준 방식에 맞는 단말이나 모듈 개발 시 개발기간 단축과 자원(Resource)의 최소화 및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방송 수신장치는 모바일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저대역 처리모듈(110,120,130)을 복수개 구비한 기저대역 처리부(100), 복수개의 기저대역 처리모듈(110,120,130)로부터 스트림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합 파서(300)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200) 및 인터페이스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스트림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판별하여 그 판별된 프로토콜에 따라 스트림 데이터를 역다중화, 즉 파싱하여 오디오 스트림 또는 비디오 스트림을 출력하는 통합 파서(300)를 포함한다.
이 때 복수개의 기저대역 처리모듈(110,120,130)은 서로 상이한 표준의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즉, 기저대역 처리부(100)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 Handheld) 프로토콜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저대역 처리모듈(110),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Terrestrial) 프로토콜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저대역 처리모듈(120) 및 T-DMB(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프로토콜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저대역 처리모듈(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다양한 기저대역 처리모듈 (RF + Baseband module)(110,120,130)과 통합 파서(300)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인터페이스부(200)는 통합 파서(300)가 기저대역 처리모듈(110,120,130)의 프로토콜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도록 독립적이며 추상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00)는 통합 파서(300)로부터 공통된 제어명령(즉, 기저대역 처리모듈의 프로토콜을 고려하지 않은 공통된 제어명령을 의미한다)를 제공받아, 이를 각 프로토콜에 대응되도록 변환하여 각각의 기저대역 처리모듈들(110,120,13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부(200)는 통합 파서(300)로부터 전달받은 공통 제어명령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기저대역 처리모듈(110,120,130)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이 외에도 기저대역 처리모듈(110,120,130)의 출력(예컨대, 스트림 데이터)을 통합 파서(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통합 파서(300)는 T-DMB, DVB-H 및 ISDB-T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MPEG-2 TS Demux 관련 기능들을 통합한 것으로 다중화된 데이터를 추출 및 분리하여, 멀티미디어 부호화기(400)가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한다.
이러한 통합 파서(300)는 전달받은 스트림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판별하는 프 로토콜 판별부, 프로토콜 판별부로부터 전달받은 DVB-H 프로토콜의 스트림 데이터를 역다중화 하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파서 및 프로토콜 판별부로부터 전달받은 T-DMB 프로토콜의 스트림 데이터 또는 ISDB-T 프로토콜의 스트림 데이터를 역다중화 하는 TS(Transport Stream) 파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은 도 4에 따른 통합 파서의 동작흐름도로서, 이하에서는 도 5을 참조하여 통합 파서(300)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통합 파서(300)는, 인터페이스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스트림 데이터의 역다중화(Demultiplexing) 및 디코딩(Decoding)을 위하여 필요한 파라메터(Parameter)들을 초기화하고(S600), 스트림 데이터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S602, S604).
인터페이스부(200)에서 스트림 데이터가 전송되면, 통합 파서(300)는 현재 입력된 스트림 데이터가 사용되고 있는 표준 프로토콜의 종류를 확인한다(S606).
이러한 프로토콜의 인식은, OpMode(Operation Mode)라는 파라메터의 설정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OpMode는 기저대역 처리모듈(110,120,130)이 현재 동작하고 있는 표준(DAB/T-DMB, DVB-H, ISDB-T) 모드에 따라 설정된다.
프로토콜의 확인 결과, 수신받은 스트림 데이터가 DAB/T-DMB(이하, 'T-DMB'로 통칭하여 표기함) 또는 ISDB-T 프로토콜이면, TS(Transport Stream) 파서를 통해서 분석된다(S608).
또는 프로토콜의 확인 결과, 수신받은 스트림 데이터가 DVB-H 프로토콜 이면, 그 수신받은 스트림 데이터는 RTP 파서를 통해서 분석된다(S610).
DVB-H 프로토콜의 경우, 하드웨어 기반의 수신모듈인 기저대역 처리모 듈(110)에서 TS 역다중화(Demultiplexing)와 MPE-FEC (Multi-Protocol Encapsulation Forward Error Correction)를 수행하고, IP 패킷을 추출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DVB-H 모드일 경우, 인터페이스부(200)에서 제공된 스트림 데이터에 대해서 TS 파서를 사용하지 않고 RTP 파서를 사용한다.
이러한 RTP 파서는 인터페이스부(200)로부터 IP 스트림을 입력받는다. RTP 파서는 수신받은 IP 패킷의 동기를 맞추고, IP 패킷에 캡슐화(Encapsulate) 되어 있는 RTP 패킷을 분석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RTP 파서는 RTP 패킷의 헤더(Header)를 분석하여 RTP 타입(Type)을 파악하며, 그 파악된 RTP 타입에 따라 비디오 또는 오디오 스트림으로 구분하고 분리시킨다. 분리된 오디오와 비디오 스트림은 멀티미디어 부호화기(400)로 제공된다.
TS 파서는 T-DMB 및 ISDB-T 1-Seg를 지원하는 통합 TS 역다중화기(Demultiplexer)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TS 파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S 파서는 입력된 스트림 데이터에 대하여, 입력이 Sync 바이트인 0x47로 시작하는지 확인한다(S700).
0x47이 아닐 경우, 프레임 동기화(Frame Synchronization)을 통해 스트림의 시작점(0x47)을 찾는다(S702).
0x47로 시작되어 동기가 맞을 경우, TS 파서는 TS 패킷의 헤더를 분석한다(S704). 이러한 헤더분석 과정 중에, 패킷의 내용에 따라 각 패킷을 구분가능하 게 하는 13 Bit 길이의 PID(Packet Identifier)를 저장한다.
그 후, TS 파서는 Adaptation Field의 포함여부를 확인한다(S706).
즉, 헤더에 Adaptation Field 존재 여부에 대한 플래그 비트(Flag Bit)가 설정되어있으면 그 패킷의 페이로드(Payload)에 Adaptation Field가 포함되어있는 것이므로 Adaptation Field를 읽어들여 이를 파싱한다(S708). 이러한 Adaptation Field는 MPEG-2 TS 상태 정보(State Signaling), 타이밍 정보, 비디오 슬라이싱 정보 등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daptation Field의 파싱이 종료되었거나 Adaptation Field가 없으면, TS 파서는 패킷의 페이로드를 분석한다(S710).
도 7은 도 6에 도시된 TS 파서의 페이로드 분석단계(S706)의 동작 흐름도로서,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TS 파서의 페이로드 분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S 패킷의 페이로드를 파싱하는 단계는, 크게 T-DMB 표준과 ISDB-T 표준에 공통되는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CAT(Conditional Access Table) 및 PMT(Program Map Table)에 대하여 파싱하는 단계와, T-DMB 표준과 ISDB-T 표준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기능(블록)을 구분하여 파싱하는 단계로 구분된다. 이는 TS 파싱의 처리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TS 파서는 입력되는 스트림 데이터의 PID를 보고 해당되는 파서를 이용하여 TS 패킷의 페이로드를 비디오 스트림 또는 오디오 스트림으로 분리하도록 파싱한다.
즉, PID가 PAT, CAT, PMT인지를 확인하고(S800,S804,S808), 해당되는 파서를 이용하여 PAT 파싱(S802), CAT 파싱(S806) 또는 PMT 파싱(S810)을 수행한다.
PAT는 TS에서 제공하는 모든 프로그램(Program)에 대한 정보 목록(List)을 제공한다. CAT는 스트림의 접근제어(Conditional Access)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PMT는 각 프로그램에 해당되는 ES(Elementary Stream)의 PID로 구성되어 있다.
ISDB-T 표준과 T-DMB 표준은 비디오와 오디오 ES(Elementary Stream)도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나, 두 표준의 처리 방식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별도의 파서에서 각각 처리된다.
이를 위하여, OpMode의 확인을 통하여 스트림 데이터의 표준이 ISDB-T인지 확인한다(S812).
ISDB-T가 아니고 T-DMB 표준인 경우, BIFS 처리를 위해 OD를 처리한다(S814, S816). OD 파싱(S816)은 MPEG-4 섹션 정보를 처리하고, 스트림 맵(Stream Map) 정보를 설정한다. 그후 MPEG4 SL Depacketizing 과정을 비디오 및 오디오 ES 처리 시 추가적으로 수행한다(S820, S824).
ISDB-T 표준이면, NIT(Network Information Table),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TOT(Time Offset Table), BIT(Broadcast Information Table), EIT(Event Information Table) 등을 추가적으로 파싱한다(S826 내지 S844).
NIT는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멀티플렉스(Multiplex)와 TS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SDT는 서비스의 이름, ID, 상태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TOT는 현재 날짜, 시간정보와 데이터 표시 시차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BIT는 각 방송 단위에 대해서 SI 전송 파라메터 정보를 제공한다. EIT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ISDB-T 표준에 따라 비디오를 파싱하고(VIDEO_ES 파싱), 오디오를 파싱한다(AUDIO1_ES 파싱, AUDIO2_ES 파싱). 이때, ISDB-T 표준의 경우 오디오가 주 오디오(Primary)와 부 오디오(Secondary)로 구분되어 오디오 ES가 동시에 2개 들어올 수도 있으며, 이에따른 별도의 처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부 오디오(Secondary)를 처리하는 별도의 파서(AUDIO2_ES 파서)도 존재할 수 있다(S852, S856).
또한 ISDB-T 표준은 이 외에 비디오와 오디오에 대한 자막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S858), 이를 추가적으로 파싱(CAPTION_ES 파싱)할 수 있다(S860).
전술한 바와 같이, 통합 파서(300)에 의하여 처리된 페이로드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디코더(400)로 전달된다. 멀티미디어 디코더(400)는 전달된 페이로드의 분류에 따라 해당되는 디코더를 적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한다. 예컨대, 비디오 스트림 이 전달되면 H.264 디코더를 적용하고, AAC 스트림이 전달되면 AAC 디코더를 적용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한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를 포함 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모바일 방송 표준에 따른 수신기의 구성도.
도 2는 T-DMB 표준에 따른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3은 DVB-H 표준에 따른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4는 ISDB-T 표준에 따른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방송 수신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따른 통합 파서의 동작 흐름도.
도 7은 도 5에 따른 TS 파서의 동작 흐름도.
도 8은 도 7의 페이로드 분석의 동작 흐름도

Claims (16)

  1. 서로 다른 프로토콜의 스트림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는 복수의 기저대역 처리모듈을 구비한 기저대역 처리부;
    상기 복수의 기저대역 처리모듈로부터 제공된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장치 추상화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스트림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판별하여 그 판별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파싱하여 오디오 스트림, 비디오 스트림 및 데이터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통합 파서;
    를 포함하는 모바일 방송 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통합 파서로부터 제공된 제어명령을 상기 각 프로토콜에 대응되도록 변환하여, 상기 각 기저대역 처리모듈로 전송하는 것
    인 모바일 방송 수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 Handheld) 프로토콜 스트림 데이터를 수 신하는 제1 기저대역 처리모듈;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Terrestrial) 프로토콜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기저대역 처리모듈; 및
    T-DMB(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프로토콜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3 기저대역 처리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인 모바일 방송 수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파서는,
    상기 전달받은 스트림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판별하는 프로토콜 판별부;
    상기 프로토콜 판별부로부터 제공된 DVB-H 프로토콜의 스트림 데이터를 파싱하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파서; 및
    상기 프로토콜 판별부로부터 제공된 T-DMB 프로토콜의 스트림 데이터 또는 ISDB-T 프로토콜의 스트림 데이터를 파싱하는 TS(Transport Stream) 파서;
    를 포함하는 것인 모바일 방송 수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TP 파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받은 스트림 데이터 내의 IP 패킷에 캡슐화되어 있는 RTP 패킷의 헤더를 분석하여 상기 비디오 스트림 및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분리하는 것
    인 모바일 방송 수신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TS 파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받은 스트림 데이터 내의 TS(Transport Stream) 패킷의 헤더를 분석하여 PID(Packet IDentifier)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PID를 이용하여 상기 TS 패킷의 페이로드를 상기 비디오 스트림 및 상기 오디오 스트림으로 분리하여 파싱하는 것
    인 모바일 방송 수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TS 파서는,
    상기 TS 패킷의 헤더를 분석하여 MPEG-2 TS(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Transport Stream) 상태정보, 타이밍 정보 및 비디오 슬라이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필드(Adaptation field)의 포함여부를 확인하고, 포함되어 있으면 페이로드 파싱 이전에 상기 필드를 먼저 파싱하는 것
    인 모바일 방송 수신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TS 파서는,
    상기 PID를 이용하여 상기 TS 패킷의 페이로드에 대하여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파싱, CAT(Conditional Access Table) 파싱 및 PMT(Program Map Table) 파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
    인 모바일 방송 수신장치.
  9.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 Handheld) 스트림 데이터,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Terrestrial) 스트림 데이터 및 T-DMB(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스트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받은 스트림 데이터의 프로토콜 타입을 판별하는 단계;
    상기 프로토콜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받은 스트림 데이터를 파싱하여 오디오 스트림 또는 비디오 스트림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스트림 또는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방송 수신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받은 스트림 데이터가 DVB-H 스트림 데이터로 판별되면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파싱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받은 스트림 데이터가 ISDB-T 스트림 데이터 또는 T-DMB 스트림 데이터로 판별되면 TS(Transport Stream) 파싱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모바일 방송 수신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RTP 파싱 단계는,
    상기 수신받은 스트림 데이터의 IP 패킷에 대하여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된 IP 패킷에 캡술화된 RTP 패킷의 헤더를 분석하여, RTP 타입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 또는 오디오 스트림을 분리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모바일 방송 수신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TS 파싱 단계는,
    상기 수신받은 스트림 데이터의 TS 패킷에 대하여 시작점을 찾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된 TS 패킷의 헤더를 분석하여 PID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PID에 해당하는 파서를 이용하여 상기 동기화된 TS 패킷의 페이로드를 파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모바일 방송 수신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를 분석하여 PID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헤더에 MPEG-2 TS(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Transport Stream) 상태정보, 타이밍 정보 및 비디오 슬라이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필드(Adaptation field)의 플래그 비트의 설정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확인 결과 상기 필드(Adaptation field)의 플래그 비트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TS 패킷의 페이로드의 상기 필드(Adaptation field)를 파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모바일 방송 수신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TS 패킷의 페이로드를 파싱하는 단계는,
    상기 PID가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CAT(Conditional Access Table) 및 PMT(Program Map Table) 중 어느 하나이면, 상기 PID에 해당하는 파서로 상기 TS 패킷의 페이로드를 파싱하는 제1 파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모바일 방송 수신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TS 패킷의 페이로드를 파싱하는 단계는,
    상기 PID가 상기 PAT, 상기 CAT 및 상기 PMT 중 어느 하나가 아니면, 상기 TS 패킷이 ISDB-T 프로토콜 또는 T-DMB 프로토콜인지 판별하여, 그 판별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TS 패킷의 페이로드를 파싱하는 제2 파싱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모바일 방송 수신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싱 단계는,
    상기 TS 패킷이 ISDB-T 프토토콜이면, 상기 TS 패킷의 페이로드에 대하여 NIT(Network Information Table) 파싱,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파싱, TOT(Time Offset Table) 파싱, BIT(Broadcast Information Table) 파싱, EIT(Event Information Table) 파싱, VIDEO_ES 파싱, AUDIO1_ES 파싱, AUDIO2_ES 파싱 및 CAPTION_ES 파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고, 상기 TS 패킷이 T-DMB 프로토콜이면, MPEG-4 SL(Moving Picture Experts Group-4 Sync Layer) 패킷분석을 포함하여 OD 파싱, VIDEO_ES 파싱 및 AUDIO1_ES 파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모바일 방송 수신방법.
KR1020080095768A 2008-09-30 2008-09-30 다중표준 모바일 방송 스트림 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986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768A KR100986990B1 (ko) 2008-09-30 2008-09-30 다중표준 모바일 방송 스트림 수신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768A KR100986990B1 (ko) 2008-09-30 2008-09-30 다중표준 모바일 방송 스트림 수신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511A true KR20100036511A (ko) 2010-04-08
KR100986990B1 KR100986990B1 (ko) 2010-10-11

Family

ID=42214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768A KR100986990B1 (ko) 2008-09-30 2008-09-30 다중표준 모바일 방송 스트림 수신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9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2842A (ko) * 2011-09-23 2013-04-0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Mmt 시스템을 위한 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5160137A1 (ko) * 2014-04-18 2015-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20180050763A (ko) * 2011-01-19 201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프레임 전송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666B1 (ko) 2009-12-29 2011-10-14 전자부품연구원 다종의 방송신호 자동 처리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송신호 자동 결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198B1 (ko) * 2000-12-28 200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튜너방식 텔레비전 및 텔레비전 튜너선택방법
KR20040041189A (ko) * 2002-11-08 2004-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젼에서 데이터 방송 표시 방법
US20060026662A1 (en) 2004-07-28 2006-02-02 Microsoft Corporation Broadcast metadata format independent of transmission standard
KR20070102224A (ko) * 2006-04-14 2007-10-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통합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및 멀티미디어 신호 통합처리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763A (ko) * 2011-01-19 201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프레임 전송장치 및 방법
KR20190035954A (ko) * 2011-01-19 2019-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프레임 송/수신장치 및 방법
KR20190086038A (ko) * 2011-01-19 2019-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프레임 전송장치 및 방법
US10694230B2 (en) 2011-01-19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frame in broadcast system
KR20130032842A (ko) * 2011-09-23 2013-04-0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Mmt 시스템을 위한 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90029551A (ko) * 2011-09-23 2019-03-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mt 시스템을 위한 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5160137A1 (ko) * 2014-04-18 2015-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US10897636B2 (en) 2014-04-18 2021-01-19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method
US11272231B2 (en) 2014-04-18 2022-03-08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method
US11706467B2 (en) 2014-04-18 2023-07-18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6990B1 (ko) 2010-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899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broadcast signals, and broadcast reception device using said method
US8359615B2 (en) Method and digital broadcasting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SG
KR100552678B1 (ko) 데이터 패킷의 접근 지연 시간 단축을 위한 송/수신 장치및 그 방법
EP188162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n electronic service guide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20090222871A1 (en) Method of transmitting digital services over a network and device implementing the method
US20130291040A1 (en) Transmission method and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combined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service
EP2739043A1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3d service through a connection with a reference image transmitted in real time and additional image and content transmitted separately
CA279519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non-real-time broadcast service and content transmitted by broadcast signal
US9554171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receiver using the method
US20170078765A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KR100986990B1 (ko) 다중표준 모바일 방송 스트림 수신장치 및 그 방법
EP3247120B1 (en) Recep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application relating to a broadcast program
US780856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orming a digital TV broadcasting signal to a digital radio broadcasting signal
US10616618B2 (en)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device, broadcast signal receiving device,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iving method
EP1839440A2 (en) Visual radio broadcasting method, encoder and decoder for the method, and receiver using the decoder
US9998774B2 (en)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and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US7680145B2 (en) Retransmission apparatus using packet method for DMB service
Villamarín et al. Generating a transport stream for 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 system in conformance with ISDB-Tb standard
JP2011223353A (ja) デジタル放送のデータ送出方法
KR101420188B1 (ko) 재난방송 제공 방법, 방송 중계 장치, 다중화기 및 다중화 방법
US20180359495A1 (en) Apparatus for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for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for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and method for broadcast signal reception
KR20030055414A (ko)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
KR101685157B1 (ko) Pp 실시간 편성정보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223354A (ja) デジタル放送のデータ送出方法
KR101435826B1 (ko) 방송 수신기의 방송 신호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