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477A - 오리나무속 나무를 이용한 납으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오리나무속 나무를 이용한 납으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477A
KR20100036477A KR1020080095720A KR20080095720A KR20100036477A KR 20100036477 A KR20100036477 A KR 20100036477A KR 1020080095720 A KR1020080095720 A KR 1020080095720A KR 20080095720 A KR20080095720 A KR 20080095720A KR 20100036477 A KR20100036477 A KR 20100036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soil
plant
alnus
cont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영세
이덕범
남웅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95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6477A/ko
Publication of KR20100036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1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microbiologically, biologically or by using enzymes
    • B09C1/105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microbiologically, biologically or by using enzymes using fungi or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리나무속 나무를 이용한 납으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임해준설매립지의 납으로 오염된 토양에 오리나무속 나무를 식재하여 납을 상기 오리나무속 나무의 체내로 흡수시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해준설매립지의 납으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납-오염 토양의 정화 방법은 임해준설매립지와 같은 염분이 다량 함유된 중금속 오염 토양에서, 염분에 내성을 보유하고, 단기간에 토양으로부터 중금속, 특히 납의 흡수량이 우수하며 기능적으로 속성수(fast growing tree)의 특징을 보유하는 오리나무속 나무를 이용함으로써 납으로 오염된 산업폐기물 매립지역의 토양을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095720
식물재배정화, 납, 오염, 토양, 오리나무속

Description

오리나무속 나무를 이용한 납으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 방법{Phytoremediation of soils contaminated with lead using Alnus plant}
본 발명은 납-오염 토양의 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리나무속 나무를 이용하여 임해준설매립지의 납-오염 토양의 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 식물재배정화법(phytoremendiation)에 관한 연구로는 김 등(1999)에 의한 휴·폐광지역 오염토양의 식물재배정화를 위한 식물자원 검색연구, 우와 이(1997)에 의한 쓰레기 매립지에서 친환경적 조림을 통한 식물재배정화법의 가능성에 관한 고찰 연구, 이(2002)에 의한 킬레이트제와 금속의 화학적 형태가 식물재배정화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장(1999)에 의한 식물을 이용한 식물재배정화법 연구가 있었으며, 최근에는 국립산림과학원에 식물을 이용한 환경정화연구팀이 발족되어 폐광지 중금속 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외국의 경우에는 Baker와 Brooks(1989)에 의해 식물체에 의한 흡수농도를 토대로 Cd의 경우 100mg/kg 이상, Cu, Pb, Cr 등의 경우 1,000mg/kg 이상, 그리고 Zn, Mn의 경 우 10,000mg/kg 이상 조직에 흡수하는 식물들을 초축적자(Hyperaccumulator)로 정의하였고, 전 세계적으로 400여종의 초축적자가 알려져 있다(Eapen et al., 2007). 그리고 육상식물을 이용한 중금속 흡수력이 강한 식물 선발 및 적용 연구(Baker et al., 1992; Baker and Brooks, 1989; Brown and Hall, 1990; Gbriell et al., 1991; Boyd and Martens, 1998), 중금속 오염된 토양에서 식물의 중금속 이용도에 관한 연구(Brun et al., 2001), 균근(mycorrhiza) 역할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Allen, 1998; Baeza et al., 2005; Zhuang et al., 2007), 농작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복원에 관한 연구(Felix, 1997), 식물을 이용한 토양내 TNT 성분의 무독화에 관한 연구(Hannink et al., 2001; Subramanian et al., 2006) 등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교목류 중에서 포플러와 버드나무, 초본류 중에서는 해바라기가 중금속 오염토양에서 우수한 후보수종임을 보고하기도 하였다(Pulford and Watson, 2003; Lin et al., 2003).
그러나, 식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법은 그 처리속도가 느리고 처리기간이 긴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식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법에서 처리속도를 가속화시켜 처리기간과 효율을 증진시키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히, 임해준설매립지와 같이 염분이 다량 함유된 중금속 오염 토양에서 식물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시키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임해준설매립지와 같은 염분이 다량 함유된 중금속 오염 토양에서, 염분에 내성을 보유하고, 단기간에 토양으로부터 중금속, 특히 납의 흡수량이 우수하며 기능적으로 속성수(fast growing tree)의 특징을 보유하는 오리나무속 나무를 이용하여 납으로 오염된 산업폐기물 매립지역의 토양을 정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견지에 의하면, 임해준설매립지의 납으로 오염된 토양에 오리나무속 나무를 식재하여 납을 상기 오리나무속 나무의 체내로 흡수시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해준설매립지의 납으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납-오염 토양의 정화 방법은 임해준설매립지와 같은 염분이 다량 함유된 중금속 오염 토양에서, 염분에 내성을 보유하고, 단기간에 토양으로부터 중금속, 특히 납의 흡수량이 우수하며 기능적으로 속성수(fast growing tree)의 특징을 보유하는 오리나무속 나무를 이용함으로써 납으로 오염된 산업폐기물 매립지역의 토양을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임해준설매립지의 납으로 오염된 지역에 오리나무속 나무를 식재하여 납을 오리나무속 나무의 체내로 흡수시켜 제거하는 임해준설매립지의 납으로 오염된 토양의 식물상 복원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사방오리나무 및 물오리나무와 같은 오리나무속 나무와 이외에 다른 종류의 식물들을 임해준설매립지에서 우려기준이상의 납으로 오염된 토양에 식재하여 납 흡수량을 측정하여 납 제거능을 평가하였다.
오리나무속 나무는 염분에 내성을 보유하고 있어 임해준설매립지와 같은 염분이 다량 함유된 토양에서 잘 자라는 특성이 있다. 또한 오리나무속 나무에 있는 방선균근류(Actinorhizal root-nodule)의 영향에 의해 인산과 질소는 자연적으로 고정되어 이용되기 때문에 임해준설매립지의 토양에 잘 적응함과 동시에 질소 고정능력을 갖는 속성수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지하부에 균근(mycorrhiza)이 접종됨으로써 토양에 불용성 영양원의 이용도를 높일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오리나무속 나무를 임해준설매립지의 납으로 오염된 토양에서 재배하여 납 제거효율을 고찰하고 식물체에서의 납 흡수율을 평가함으로써 납-오염 토양의 복원에 적용하였다.
본 발명에 유용한 오리나무속 나무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사방오리나무(알누스 피르마(Alnus firma)) 및 물오리나무(알누스 히르수타(Alnus hirsuta))를 포함한다.
상기 오리나무속 나무는 식재시 이들 유묘의 간격을 가능한 좁게 유지하여 고밀도로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재시 유묘의 간격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적어도 1m 이하로 유지하면서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고밀도로 식재함으로써 납 흡수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다음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매립원 기반 조성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임해준설매립지인 광양제철소의 미시시설 지역 중 산업폐기물 매립지역이 우려기준이상의 납으로 오염된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즉, 1982년부터 1989년까지 광양만 해저의 갯벌을 준설공법(sand pumping)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일부 지역의 제철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매립한 후 1999년부터 2000년 사이에 산토를 이용하여 객토피복이 이루어졌다(포항산업과학연구원 2003). 부지의 토양은 부분적으로 납과 아연이 우려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의 중금속 농도를 측정한 결과 토양의 납 농도는 14-492mg/kg으로 평균 87.4mg/kg으로 나타났다.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식물재배정화 실험포지(pilot system)는 2004년 3월 3일부터 시작하여 2004년 4월 9일에 아래와 같이 조성을 완료하였다.
실험포지의 지반은 중금속함유량이 거의 없는 조경용 토양과 연구대상지인 오염된 토양을 1:1이 되도록 혼합하여 20mm 체로 자갈 등의 이물질을 체가름하여 조성하였다. 임해준설매립지내의 실험포지의 규격은 가로 33m X 세로 50m X 높이 1.0m로, 이 규격내에 고밀도재배지의 경우는 가로 10m X 세로 10m로 설계하였고, 저밀도재배지의 경우는 가로 20m X 세로 10m로 설계하였다(도 1).
토양 시료 채취는 수직으로나 수평적으로 균일하지 않으므로, 채취한 시료가 대상지역의 토양을 대표해야한다는 점에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실시하였다. 기준년도의 토양시료는 실험구 조성 후 20개 조사정점을 선정하고, 선정한 지점을 중심으로 4방위로 1m 지점에서 토양채취기(soil sampler)를 이용하여 1m 깊이에서 채취 후 4시료를 혼합하는 방법으로 정점에 대하여 토양 채취를 실시하였다.
4년이 경과한 비교년도의 시료 채취지점은 사방오리(알누스 피르마(Alnus firma)), 물오리나무(알누스 히르수타(Alnus hirsuta)), 곰솔(피누스 선베르기(Pinus thunbergii)) 및 피라칸사(피라칸사 안구스티폴리아(Pyracantha angustifolia))의 실험구에서 고밀도와 저밀도로 구분하여 3개 지점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3개 지점에서 각각 주변 4방위의 1m 거리에 있는 1개 지점씩 총 4개 지점으로 실험구당 12지점을 정하였다. 토양시료의 채취는 식물재배 정화공정 식재지반 조성높이 0-100cm 깊이의 토양 표면에 있는 잡초나 유기물 등 이물질을 제거한 후 토양채취기로 약 0.5kg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토양시료 중 약 300g을 분취하여 중금속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봉지에 넣어 보관하였다.
채취한 토양시료 중 나머지는 입구가 넓은 200ml 유리병에 가득 담고 마개로 밀봉한 후, 0-4℃의 냉장상태인 실험실로 운반하여 수분보정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채취지점에서 채취한 토양시료를 폴리에틸렌제 밧트(vat) 위에 균일한 두께로 하여 음지에서 풍건시킨 다음, 나무망치로 분쇄하여 눈금간격 2mm의 10mesh 표준체로 사별(篩別)한 시료를 각각 약 200g씩 균등량을 취하여 사분법에 의해 균일하게 혼합하여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채취지점에서 채취한 토양시료의 입자 차이가 크거나 밀도 차이가 있는 입자의 혼입으로 인하여 시료 채취량에 오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토양시료는 시료 전체를 막자와 막자사발을 이용하여 분쇄한 다음 눈금간격 0.15mm의 100mesh 표준체로 사별하여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토양의 Pb 농도는 풍건한 시료 100g 이상을 평량하여 정제수에 염산을 넣어 pH 5.8-6.3으로 한 용매를 1:10(W:V) 비율로 2L 삼각플라스크에 혼합하고, 진탕기를 사용하여 6시간 진탕한 다음 1.0㎛ 초자섬유 필터(glass fiber filter)로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각각 원소에 알맞은 방법(토양오염시험공정방법, 환경부 2005)에 따라 처리한 후 원자흡광도계로 측정하였다.
토양내의 중금속 흡수능을 평가하기 위한 공시식물은 사방오리나무(알누스 피르마(Alnus firma)), 물오리나무(알누스 히르수타(Alnus hirsuta)), 곰솔(피누스 선베르기(Pinus thunbergii)) 및 피라칸사(피라칸사 안구스티폴리아(Pyracantha angustifolia))를 최종 실험 대상수종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수목은 수종별로 각각 1,000주의 유묘(sapling) 중에서 수고 및 생장량이 비슷한 100주씩을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식물재배정화법을 위한 선발 수종의 식재조건은 향후 밀도 효과를 조 사하기 위하여 고밀도의 경우는 실험포지 면적 100㎡(10m X 10m)내에 1m 간격으로 사방오리, 물오리나무, 곰솔 및 피라칸사를 각각 100주씩 식재하였고, 저밀도 식재지역의 경우는 실험포지 면적 200㎡(10m X 20m)내에 1.5m 간격으로 실험 대상수종을 각각 98주씩 식재하였다. 식물재배 정화공정에서 식재 수종의 생장량 조사는 각 대상수종의 생장수고와 흉고직경을 측정하였다. 실험대상 수종의 식물량 조사는 기준년도 식재 당시의 경우, 각 수종에 대하여 잎, 가지·줄기, 뿌리로 구분하여 조사하였고, 비교년도의 식물량은 지상부를 열매, 잎, 가지, 줄기로 구분하여 측정하였고, 그리고 지하부를 주근(main roots), 직경이 2-8mm인 중근(coarse roots) 및 2mm 이하인 세근(fine roots)으로 구분하여 생중량을 측정하였다. 식물량 조사는 종간 및 처리구별로 3개체에 대하여 기관별로 수확하여 건조기에서 80℃로 5일간 건조하였으며, 기관별로 건중량을 측정하였다.
기준년도 식물시료 채취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묘(sapling)를 잎, 가지, 줄기 및 뿌리로 구분하여 부 표본(subsample)으로 준비하였고, 비교년도의 식물시료 채취는 각 수종을 열매, 잎, 가지, 줄기, 주근(main root), 중근(coarse roots) 및 세근(fine roots)으로 구분하여 부 표본으로 준비하였다. 분석용 시료의 조제는 실험대상 수종의 기관별로 구분한 건조시료를 80℃ 건조기에서 추가로 24시간 건조시킨 다음 Micromill grinder(Thomas scientific 3383-L20)를 이용하여 분말로 만들어 분석에 사용하였다. 중금속 분석을 위한 시료의 전처리는 식물시료 0.5g에 각각 질산(HNO3)을 넣어 고온, 고압(MARS-5)으로 하였고, 중금속 분석은 식물체 중금속 분석법에 의거 원자흡광도계(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Perkin Elma 6000)로 분석하였으며, 식물체당 중금속 농도는 조직내 중금속 농도(mg/kg)에 식물량을 곱하여 환산하였다. 식물재배 정화공정 실험포지 조성 당시 토양의 중금속 농도를 측정한 결과 Pb의 농도는 42.6-482.0 mg/kg으로 평균 267.4±99.1 mg/kg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토양환경기준법에 의거 우려기준을 초과하는 중금속은 Pb(400mg/kg)이었다.
<개체별 식물량의 변화>
사방오리나무, 물오리나무, 곰솔 및 피라칸사를 고밀도와 저밀도로 식재하여 4년이 경과한 2007년 9월에 수확한 식물량의 결과 도 2와 같다. 식물재배 정화공정에서 사방오리나무의 경우, 고밀도 식재지역에서의 한 개체당 식물량은 63±4 g·d.w./indiv.에서 5,967±350 g·d.w./indiv.으로 약 95배 증가하였고, 저밀도 식재지역에서는 12,397±430 g·d.w./indiv.으로 약 197배 증가하여 고밀도 식재지역의 것보다 약 2배 많은 식물량을 나타내었고, 물오리나무의 경우, 고밀도 식재지역에서의 한 개체당 식물량은 85±7 g·d.w./indiv.에서 2007년 9월에 10,659±520 g·d.w./indiv.으로 약 125배 증가하였고, 저밀도 식재지역에서는 18,908±210 g·d.w./indiv.으로 약 222배 증가하여 고밀도 식재지역의 것보다 약 1.8배 많은 식물량을 나타내었으며, 곰솔의 경우, 고밀도 식재지역에서의 한 개체당 식물량은 393 ±5 g·d.w./indiv.에서 2007년 9월에 3,018±1,102 g·d.w./indiv.으로 약 8배 증가하였고, 저밀도 식재지역에서는 4,926±1,301 g·d.w./indiv.으로 약 13배 증가하여 고밀도 식재지역의 것보다 약 1.6배 많은 식물량을 나타내었고, 피라칸사의 경우 고밀도 식재지역에서의 한 개체당 식물량은 63±3 g·d.w./indiv.에서 2007년 9월에 463±68 g·d.w./indiv.으로 약 7배 증가하였고, 저밀도 식재지역에서는 989±91 g·d.w./indiv.으로 약 16배 증가하여 고밀도 지역의 것보다 약 2.1배 많은 식물량을 나타내었다.
고밀도와 저밀도 식재지역에서 개체당 식물량은 물오리나무 > 사방오리나무 > 곰솔 > 피라칸사 순으로 나타났으며, 식물재배 정화공정 실험구에서 4종 모두 고밀도 식재지역보다 저밀도 식재지역에서 약 2배 높은 식물량을 나타냈다. 이는 토양내의 영양염류의 이용경쟁에 있어 고밀도 식재지역보다 저밀도 식재지역에서 더욱 유리한 조건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특히, 오리나무속에서는 방선균근류(Actinorhizal root-nodule)의 영향에 의해 인산과 질소는 자연적으로 고정되어 이용되기 때문에 임해준설매립지의 토양에 잘 적응함과 동시에 질소 고정능력을 갖는 속성수의 특성 및 지하부에 균근(mycorrhiza)이 접종됨으로써 토양에 불용성 영양원의 이용도를 높일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도 3).
<식물조직의 중금속 농도>
1) 수종별 조직의 중금속 농도
식물재배 정화공정을 통해 토양의 중금속 정화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표준규격의 유묘(sapling)를 외부에서 도입하였고, 기준년도 유묘의 중금속 농도는 표 1과 같다. 사방오리나무 유묘의 개체당 Pb 중금속 농도는 0.18 mg/indiv. 이었고, 물오리나무의 유묘는 0.38 mg/indiv. 이었으며, 곰솔의 유묘는 각각 1.08 mg/indiv. 이었고, 피라칸사의 유묘는 각각 0.20 mg/indiv.이었다(표 1). 기준년도의 사방오리나무, 물오리나무, 곰솔 및 피라칸사의 식물체내 중금속 농도는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냄으로써 식재 후 중금속 흡수능 평가에 있어 양호한 지표로 삼을 수 있었다.
[표 1]
식물재배정화 실험포지에서 각 식물개체당 Pb 농도
Pb 농도(mg/개체)
기준년도 4년후
저밀도 고밀도
알누스 피르마(Alnus firma) 0.18±0.03 606.63±69.70 318.09±21.71
알누스 히르수타(Alnus hirsuta) 0.38±0.09 929.41±35.08 571.34±25.61
피누스 선베르기(Pinus thunbergii) 1.08±0.22 336.05±77.26 186.85±67.41
피라칸사 안구스티폴리아(Pyracantha angustifolia) 0.20±0.02 70.40±7.56 30.83±3.67
2) 비교년도 수종별 조직의 납 농도
비교년도의 사방오리나무, 물오리나무, 곰솔 및 피라칸사 개체당 Pb의 흡수 량은 저밀도 식재지역에서 각각 606, 929, 336 및 70 mg/개체이었고, 고밀도 식재지역에서 각각 318, 571, 186 및 30 mg/개체로 저밀도와 고밀도 지역을 평균한 값은 각각 462, 750, 261 및 50 mg/개체이었다(표 1). 주요 수종별 개체당 납 흡수량은 물오리나무 > 사방오리나무 > 곰솔 > 피라칸사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각 수종의 물질생산량의 산물인 식물량이 크기 때문으로 속성일수록 단위 개체당 중금속 흡수능은 매우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3) 단위면적당 비교년도 수종별 납 흡수능 평가
각 식물개체당 납 흡수량을 단위면적당(g/ha) 납 흡수량으로 환산하여 각 수종별로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식물재배정화 실험포지에서 각 수종별 납 흡수량
납 흡수량(g/ha)
저밀도 고밀도
알누스 피르마(Alnus firma) 2,972 3,180
알누스 히르수타(Alnus hirsuta) 4,554 5,713
피누스 선베르기(Pinus thunbergii) 1,646 1,868
피라칸사 안구스티폴 리아(Pyracantha angustifolia) 344 308
비교년도의 사방오리나무, 물오리나무, 곰솔 및 피라칸사 단위면적당 납의 흡수량은 저밀도 식재지역에서 각각 2,972, 4,554, 1,646 및 344 g/ha 이었고, 고 밀도 식재지역에서 각각 3,180, 5,713, 1,868 및 308 g/ha로 저밀도보다 고밀도 식재시 보다 많은 양의 납을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2).
[표 3]
중금속 오염 토양의 처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정화법*과 본 발명에 따른 정화법의 비용 비교
처리법 비용 범위(원/톤)
소각법 200,000-1,500,000
토양증기추출법 360,000-440,000
고형화/안정화법 240,000-340,000
토양세척법 80,000-200,000
열탈착법 120,000-300,000
생물학적 통풍법 20,000-220,000
생물학적 분해법 50,000-150,000
목초지를 이용한 식물재배정화법 10,000-35,000
본 발명에 의한 물오리나무를 이용한 식물재배정화법 10,000-20,000
*: Champagne, 2007
또한, 오염토양 1톤당 정화비용을 비교하여 보면, 소각법은 200,000-1,500,000 원, 토양증기추출법은 360,000-440,000 원, 고형화 및 안정화법은 240,000-340,000 원, 토양세척법은 80,000-200,000 원, 열탈착법은 120,000-300,000 원, 생물학적 통풍법은 20,000-220,000 원, 생물학적 분해법은 50,000-150,000 원, 목초지를 이용한 식물재배정화법(Phytoremediation)이 10,000-35,000 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Champagne, 2007), 이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물오리나무를 이용한 식물재배정화법은 10,000-20,000 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표 3). 상술한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열적처리방법이나 이·화학적 처리방법은 처리 효율은 높으나 비용이 많이 들며, 생물학적 처리방법은 비용이 적게 들지만 처리 효율이 낮아 장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단기간에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납으로 오염된 산업폐기물을 정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사용된 식물재배정화 실험포지의 식재 조건을 나타내는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사용된 식물재배정화 실험포지의 식재 조건에 따른 4종의 총 식물량을 비교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오리나무속 나무중 사방오리나무(알누스 피르마(Alnus firma))(좌), 물오리나무(알누스 히르수타(Alnus hirsuta))(우)의 방선균근류(Actinorhizal root-nodule)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Claims (3)

  1. 임해준설매립지의 납으로 오염된 토양에 오리나무속 나무를 식재하여 납을 상기 오리나무속 나무의 체내로 흡수시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해준설매립지의 납으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나무속 나무는 사방오리나무 및 물오리나무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해준설매립지의 납으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무의 식재시 이들 유묘의 간격을 적어도 1m 이하로 유지하면서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해준설매립지의 납으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 방법.
KR1020080095720A 2008-09-30 2008-09-30 오리나무속 나무를 이용한 납으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 방법 KR20100036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720A KR20100036477A (ko) 2008-09-30 2008-09-30 오리나무속 나무를 이용한 납으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720A KR20100036477A (ko) 2008-09-30 2008-09-30 오리나무속 나무를 이용한 납으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477A true KR20100036477A (ko) 2010-04-08

Family

ID=42213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720A KR20100036477A (ko) 2008-09-30 2008-09-30 오리나무속 나무를 이용한 납으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64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71669A (zh) * 2013-01-08 2013-05-01 华东师范大学 用禾本科植物富集修复土壤重金属污染的方法
KR101282042B1 (ko) * 2011-03-16 2013-07-04 이영진 해바라기 줄기를 이용한 흡착력이 증진된 중금속 이온흡착제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042B1 (ko) * 2011-03-16 2013-07-04 이영진 해바라기 줄기를 이용한 흡착력이 증진된 중금속 이온흡착제의 제조방법
CN103071669A (zh) * 2013-01-08 2013-05-01 华东师范大学 用禾本科植物富集修复土壤重金属污染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rger et al. Stable and radioactive cesium: a review about distribution in the environment, uptake and translocation in plants, plant reactions and plants' potential for bioremediation
Laureysens et al. Clonal variation in heavy metal accumulation and biomass production in a poplar coppice culture: I. Seasonal variation in leaf, wood and bark concentrations
Hamzah et al. Phytoremediation of cadmium-contaminated agricultural land using indigenous plants
Ho et al. Assessment of Pb uptake, translocation and immobilization in kenaf (Hibiscus cannabinus L.) for phytoremediation of sand tailings
US7829754B2 (en) Method of cleaning heavy metals-containing soil
CN101905237B (zh) 一种利用红苋菜修复治理铯和/或锶污染土壤的方法
Entry et al. Potential remediation of 137 Cs and 90 Sr contaminated soil by accumulation in Alamo switchgrass
Stevovic et al. Environmental impact quantification and correlation between site location and contents and structure of Tansy
Takács et al. Effect of metal non-adapted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on Cd, Ni and Zn uptake by ryegrass
KR20100036477A (ko) 오리나무속 나무를 이용한 납으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 방법
Chizzola et al. Variability of the cadmium content in Hypericum species collected in Eastern Austria
CN103894399A (zh) 用植物激素和螯合剂复合促进红苋菜富集铯或/和锶的方法
CN102989757B (zh) 一种利用野古草植物修复锡污染土壤和浅水水体的方法
Dai et al. Intraspecific variation in cadmium tolerance and accumulation of a high-biomass tropical tree Averrhoa carambola L.: implication for phytoextraction
Fiqri et al. Effect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on the potential of three wild plant species for phytoextraction of mercury from small-scale gold mine tailings
Vukojević et al. Mosses accumulate heavy metals from the substrata of coal ash
Shang et al. Effects of Caragana microphylla plantations on organic carbon sequestration in total and labile soil organic carbon fractions in the Horqin Sandy Land, northern China
RU2629571C1 (ru)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загрязненных кадмием почв для фиторемедиации
KR20110039904A (ko) 곰솔을 이용한 카드뮴으로 오염된 지역의 식물재배정화법
Han et al. Conventional tillage improves the storage of soil organic carbon in heavy fractions in the Loess Plateau, China
Dan et al. Phytoextraction ability of Amaranthus mangostanus L. from contaminated soils with Cs or Sr
RU2670253C1 (ru)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загрязненной тяжелыми металлами почвы для фиторемедиации
Zhu et al. Effect of biochar on soil cadmium content and cadmium uptake of cotton (Gossypium hirsutum L.) grown in northwestern China.
CN110205132A (zh) 一种改性蛭石-蒙脱土复合材料的制备方法及应用
Lawal Sequestration of Soil Organic Carbon Pools under Diverse Tillage Practices and Cover Crops in Northern Guinea Savanna, Nig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