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5954A -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5954A
KR20100035954A KR1020080095355A KR20080095355A KR20100035954A KR 20100035954 A KR20100035954 A KR 20100035954A KR 1020080095355 A KR1020080095355 A KR 1020080095355A KR 20080095355 A KR20080095355 A KR 20080095355A KR 20100035954 A KR20100035954 A KR 20100035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s
pair
diaphragm
permanent magne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7957B1 (ko
Inventor
양동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5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957B1/ko
Priority to US12/558,997 priority patent/US8472649B2/en
Publication of KR20100035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2Aspects regarding the stray flux internal or external to the magnetic circuit, e.g. shielding, shape of magnetic circuit, flux compensation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5Acoustic transduc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장치를 통하여 설치되는 영구 자석,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제1 진동판과 제2 진동판, 상기 영구 자석의 표면에서 각각 소정 간격 떨어져서 상기 제1 진동판 및 상기 제2 진동판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전자석, 및 상기 한 쌍의 전자석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전자석은 전류가 흐를 경우 자속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권선 방향이 되어 있다.
푸쉬풀, 스피커, 진동판

Description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Push-pull type speak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피커 장치에 사용되는 영구 자석의 N극과 S극 모두에 전자석을 배치하고 N극과 결합하는 자속과 S극과 결합하는 자속이 푸쉬풀 방식으로 진동판을 구동하도록 하여 모두 음향으로 바꿀 수 있는 스피커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전기 및 전자적으로 수신되는 음향신호 또는 미리 입력된 벨 또는 멜로디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소리로서 출력시키는 발성기기로서,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계(磁界)속에 있으면 힘을 받는다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하여 코일 전자석에 의해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즉, 여러 주파수가 포함된 전류신호가 전자석에 인가되면 전자석은 전류의 세기와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전자석에 부착되어 있는 진동판(Diaphragm)에 진동을 발생시켜 궁극적으로 인간의 귀가 인지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음압(音壓)을 발생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스피커의 자기회로(Magnetic Circuit)는 프레임 내에 영구 자석을 이용하여 전자석에 직각으로 자속(磁束, Magnetic Flux)이 쇄교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전자석은 진동판에 접합되어 있어 입력신호에 의해 상하로 기전력을 발생시켜 프레임에 접착 구속되어 있는 진동판을 진동시켜서 음압을 발생시킨다.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음압은 공통적으로 스피커의 위치, 크기, 공명구조 및 영구자석과 전자석간의 결합 자속 능력에 의하여 달라진다. 따라서 같은 조건에서라면 영구자석의 단위 면적당 결합 자속을 최대로 이용할 때에 효율적으로 전기신호를 소리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피커는 영구 자석의 한 쪽 방향에만 전자석이 위치하고 있어, 전체 자속과 스피커 진동판 구동용 자속과의 결합능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스피커의 음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명 공간을 확보한다거나, 스피커의 직경과 높이를 크게 한다거나 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밖에 없으며, 이는 곧 스피커의 부피 증가로 이어져, 최근 요구되는 스피커의 소형 경량화 및 고성능화에 역행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구자석의 N극과 S극이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특징을 이용하여 N극과 결합하는 자속과 S극과 결합하는 자속 모두를 음향으로 바꿀 수 있는 스피커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구자석의 N극과 S극을 모두 이용하므로 영구자석 하나만으로도 두 배의 자속 결합능을 갖는 부피가 저감된 스피커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장치를 통하여 설치되는 영구 자석,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제1 진동판과 제2 진동판, 상기 영구 자석의 표면에서 각각 소정 간격 떨어져서 상기 제1 진동판 및 상기 제2 진동판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전자석, 및 상기 한 쌍의 전자석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전자석은 전류가 흐를 경우 자속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권선 방향이 되어 있다.
상기 전원 구동부가 상기 한 쌍의 전자석에 동일한 위상의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전자석은 반대 방향으로 권선되어 있고, 차동 쌍(differential pair) 방식으로 상기 한 쌍의 전자석에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전자석은 동일한 방향으로 권선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원 구동부는 제1 진동판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 신호와 제2 진동판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 신호의 위상차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전자석 각각은, 원통형으로 권선되어 상기 진동판에 부착되거나, 상기 진동판에 맴돌이 형상으로 인쇄되어 상기 진동판과 일체화될 수 있다. 진동판에 맴돌이 형상으로 인쇄되는 경우는 원통형으로 권선되는 경우보다 스피커 장치의 부피를 더 작게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프레임에 영구자석을 고정시키는 메커니즘은, 상기 영구 자석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에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끼워 맞춤으로써 행해진다.
본 발명의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은,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영구 자석을 설치하는 단계, 전원 구동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 한 쌍의 전자석을 제1 진동판 및 제2 진동판에 각각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전자석 각각이 형성된 상기 제1 진동판 및 상기 제2 진동판을 상기 영구 자석의 상하면에서 소정 간격 떨어뜨려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전자석을 상기 진동판에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전자석에 전류가 흐를 경우 자속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권선 방향이 되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구자석의 N극과 S극을 모두 이용하고 전자석의 권선 방향을 조정하여 N극과 결합하는 자속과 S극과 결합하는 자속 모두를 음향으로 바꿀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구자석의 N극과 S극을 모두 이용하므로 영구자석 하나만으로도 두 배에 가까운 음량을 발생시킬 수 있어 스피커 장치의 소형 경량화 및 고성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는 프레임(101), 영구자석(102), 진동판(103), 전자석(104), 고정장치(105), 덮개판(106) 및 전원 구동부(107)를 포함한다.
프레임(101)은 내면에 공간을 가져, 영구자석(102), 진동판(103) 및 전자석(104)이 장착된다. 프레임(101)은 영구자석(102)의 자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자성체 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101)의 형상을 원통형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통형 이외에 삼각, 사각, 오각 등의 다각 기둥형 및 타원 기둥형 등의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영구자석(102)은 프레임(101)의 중간쯤 높이에 고정장치(105)에 의해 설치되며, 프레임(101)의 형상과 같은 원형이다. 영구자석(102)으로는 희토류 자석의 하나로 자기 에너지가 매우 강하여 소형 및 경량의 첨단제품에 쓰이는 네오디뮴(Neodymium, Nd) 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 Nd 자석을 사용한 스피커 장치는 팜탑(palmtop), 랩탑(laptop) 등의 소형 컴퓨터 또는 LCD 모니터 등에 일체형으로 장착되고 있다.
진동판(103)은 프레임(101)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며, 일면에 전자석(104)이 형성된다. 전자석(10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103)의 일면에 수직방향의 원통형으로 권선되어 있다. 전자석(104)은 전원 구동부(107)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다. 덮개판(106)은 프레임(101)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며 프레임(101)의 개구를 덮는다.
도 2를 참조하여 고정장치(105)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고정장치(105)는 프레임(101)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105a)와 영구자석(102)의 둘레에 형성된 복수의 홈(105b)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영구자석(102)의 홈(105b)에 프레임(101)의 돌기부(105a)를 끼워 맞춤으로써 영구자석(102)을 프레임(101)에 고정시킨다. 즉, 영구자석(102)의 홈(105b)에 프레임(101)의 반원부의 내부에 형성된 돌기부(105a)를 끼워 맞춘후, 프레임(101)의 나머지 반원부의 내부에 형성된 돌기부(105a)를 마저 끼워 맞춘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101)과 영구자석(102)의 고정 메커니즘에 대하여 돌기부(105a)와 홈(105b)의 결합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로서, 프레임(101)의 내부에 'ㄷ'자 형상의 부품을 형성하고 그 홈에 영구자석을 끼운다거나, 프레임(101)과 영구자석(102)을 본딩 접합한다거나 하는 등 구성 요소들을 서로 고정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음은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의 작동 관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자석(104)의 권선 방향을 살펴보면, 영구자석(102)의 N극측에 위치한 전자석(104b)은 전류가 흐를 경우 영구자석(102)에 가까운 쪽이 N극, 먼쪽이 S극을 형성하도록 권선 방향이 되어 있고, 영구자석(102)의 S극측에 위치한 전자석(104a)은 전류가 흐를 경우 영구자석(102)에 가까운 쪽이 N극, 먼쪽이 S극을 형성하도록 권선 방향이 되어 있다. 따라서 영구자석(102)의 N극측은 밀어내는 힘(push, 푸쉬)이 작용하고 영구자석(103)의 S극측은 당기는 힘(pull, 풀)이 작용하여 상부 및 하부의 진동판(103a, 103b)이 구동할 때 상/하 한 방향으로만 공기를 밀어내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자석(104a, 104b)은 전원 구동부(107)에서 동일한 위상의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되며, 차동 쌍(differential pair) 방식, 즉 위상을 반대로 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 권선 방향이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진동판(103a) 및 하부 진동판(103b)은 항상 한 방향으로 진동하게 되고, 상부측 소리신호와 하부측 소리신호가 보강 간섭이 일어나게 되어 약 2배의 음량을 발생시킨다.
이때, 전원 구동부(107)는 상부 진동판(103a)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 신호와 상기 하부 진동판(103b)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 신호의 위상차를 조절한다. 즉, 상부 진동판(103a) 및 하부 진동판(103b)의 두 개의 음원에서 발생한 소리 신호가 두 음원 사이의 간격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차(시간 지연)를 조절하기 위하여, 전원 구동부(107)는 전자석(104a, 104b)에 공급하는 전기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소리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여 상부 진동판(103a) 및 하부 진동판(103b)의 거리에 따른 소리 신호의 위상차를 구하고, 전자석(104a, 104b)에 전기 신호를 이러한 위상차만큼 시간 지연을 시켜 공급함으로써, 소리 신호의 위상차를 조절한다. 이렇게, 전원 구동부(107)에 의하여 소리 신호의 위상차를 조절함으로써 최적화된 음원 재생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프레임(101)의 내부에 고정 장치(105)를 이용하여 영구자석(102)을 설치한다(S0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1)은 반으로 갈라져 있는 상태이고, 프레임(101)의 내부에 복수의 돌기부(105a)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01)의 반원부의 내부에 형성된 돌기부(105a)를 먼저 영구자석(102)의 둘레에 형성된 복수의 홈(105b) 중 일부에 끼워 맞춘후, 프레임(101)의 나머지 반원부의 내부에 형성된 돌기부(105a)를 나머지 홈(105b)에 끼워 맞춘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구자석(102)의 S극이 상부에, N극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원 구동부(107)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 한 쌍의 전자석(104a, 104b)을 상부 진동판(103a) 및 하부 진동판(103b)에 각각 형성한다(S02). 상부 진동판(103a)의 하면에 수직방향의 원통형으로 권선된 전자석(104a)을 부착하고, 하부 진동판(103b)의 상면에 수직방향의 원통형으로 권선된 전자석(104b)을 부착한다.
이때, 전자석(104a, 104b)의 권선 방향을 살펴보면, 영구자석(102)의 N극측에 위치한 전자석(104b)은 전류가 흐를 경우 영구자석(102)에 가까운 쪽이 N극, 먼쪽이 S극을 형성하도록 권선 방향이 되어 있고, 영구자석(102)의 S극측에 위치한 전자석(104a)은 전류가 흐를 경우 영구자석(102)에 가까운 쪽이 N극, 먼쪽이 S극을 형성하도록 권선 방향이 되어 있다. 따라서 영구자석(102)의 N극측은 밀어내는 힘(push, 푸쉬)이 작용하고 영구자석(103)의 S극측은 당기는 힘(pull, 풀)이 작용하여 상부 및 하부의 진동판(103a, 103b)이 구동할 때 상/하 한 방향으로만 공기를 밀어내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자석(104a, 104b)은 전원 구동부(107)에서 동일한 위상의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되며, 차동 쌍(differential pair) 방식, 즉 위상을 반대로 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 권선 방향이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전자석(104a, 104b) 각각이 형성된 상부 진동판(103a) 및 하부 진동판(103b)을 영구자석(102)의 상하면에서 소정 간격 떨어뜨려 프레임(101)의 상부 및 하부에 부착한다(S03). 전자석(104a, 104b)의 입출력 단자를 전원 구동부(107)에 연결하고, 덮개판(106)을 설치하여 프레임(101)의 상부 및 하부 개구를 닫는 다(S04).
전원 구동부(107)는 전자석(104a, 104b)에 전류를 공급하고, 이때 전자석(104a, 104b)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소리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여 상부 진동판(103a)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 신호와 하부 진동판(103b)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 신호의 위상차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원 구동부(107)는 전자석(104a, 104b)에 공급하는 전기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소리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여 상부 진동판(103a) 및 하부 진동판(103b)의 거리에 따른 소리 신호의 위상차를 구하고, 전자석(104a, 104b)에 전기 신호를 이러한 위상차만큼 시간 지연을 시켜 공급함으로써, 소리 신호의 위상차를 조절한다. 이렇게 하여 상부측 소리 신호와 하부측 소리 신호간에 시간 지연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최적화된 음원을 재생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대응하는 구성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와 기본적인 구성에서는 동일하며, 다만 전자석의 형태에 있어서 상이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의 전자석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석(104)은 진동판(103)의 일면에 맴돌이 형상으로 인쇄되어 진동판(103)과 일체로 형성된다. 진동판(103)은 고분자 수지계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고분자 수지계 필름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동박을 부착하고, 동박의 표면을 에칭하여 코일 패턴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전자석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고분자 수지계 필름을 덮는다.
진동판(103)에 인쇄되는 전자석(104)의 권선 방향(맴돌이 방향)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부 진동판(103a)에 인쇄되는 전자석(104a)의 권선 방향과 하부 진동판(103a)에 인쇄되는 전자석(104b)의 권선 방향이 전자석에 전류가 흐를 경우 자속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처럼 전자석(104)를 진동판(103)에 일체로 형성할 경우, 원통형으로 권선한 전자석을 진동판(103)에 부착하는 제1 실시예에서의 스피커 장치보다 두께를 작게 하여 스피커 장치가 장착되는 전자 기기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진동판(103)에 코일 패턴의 인쇄는 진동판(103)의 외측에 구비된 터미널에서부터 시작하여 원형 또는 사각형 맴돌이 형상으로 감겨 들어오다가 중심에서 다시 역방향으로 감겨 나가는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진동판(103)은 고분자 수지계 필름의 상면 및 하면에 이중으로 코일 패턴을 맴돌이 형상으로 인쇄하고 도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분자 수지계 필름의 상면 및 하면에 인쇄된 코일 패턴은 맴돌이 방향이 서로 반대로 인쇄되어야 한다. 이렇게, 전자석(104)을 진동판(103)에 이중으로 맴돌이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 도록 인쇄하는 경우, 코일 패턴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동일하게 되어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발명의 스피커 장치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는 모든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소형화, 박형화 및 고성능화가 요구되는 정보통신 기기용 스피커 장치로 사용될 수 있음은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이동 단말, 이동 전화기, 유/무선 전화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 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의 작동 관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의 전자석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의 전자석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3)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장치를 통하여 설치되는 영구 자석;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제1 진동판 및 제2 진동판;
    상기 영구 자석의 표면에서 각각 소정 간격 떨어져서 설치되고, 상기 제1 진동판 및 제2 진동판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전자석; 및
    상기 한 쌍의 전자석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전자석은 전류가 흐를 경우 자속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권선 방향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구동부가 상기 한 쌍의 전자석에 동일한 위상의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전자석은 반대 방향으로 권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구동부가 차동 쌍(differential pair) 방식으로 상기 한 쌍의 전자석에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전자석은 동일한 방향으로 권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구동부는 상기 제1 진동판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 신호와 상기 제2 진동판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 신호의 위상차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자석 각각은, 원통형으로 권선되어 상기 진동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자석 각각은, 상기 진동판에 맴돌이 형상으로 인쇄되어 상기 진동판과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영구 자석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 및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홈에 끼워 맞춰지는 복수의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8.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영구 자석을 설치하는 단계;
    전원 구동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 한 쌍의 전자석을 제1 진동판 및 제2 진동판에 각각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전자석 각각이 형성된 상기 제1 진동판 및 상기 제2 진동판을 상기 영구 자석의 표면에서 소정 간격 떨어뜨려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전자석을 상기 진동판에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전자석에 전류가 흐를 경우 자속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권선 방향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자석을 상기 진동판에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 구동부가 동일한 위상의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전자석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자석을 상기 진동판에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 구동부가 차동 쌍(differential pair) 방식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전자석의 권선 방향이 동일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구동부가 상기 제1 진동판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 신호와 상기 제2 진동판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 신호의 위상차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자석을 상기 진동판에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전자석 각각이 원통형으로 권선되어 상기 진동판에 부착되는 단계 또는 상기 한 쌍의 전자석 각각이 상기 진동판에 맴돌이 형상으로 인쇄되어 상기 진동판과 일체화되는 단계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영구 자석의 둘레에 형성된 복수의 홈에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를 끼워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80095355A 2008-09-29 2008-09-29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07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355A KR101607957B1 (ko) 2008-09-29 2008-09-29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2/558,997 US8472649B2 (en) 2008-09-29 2009-09-14 Push-pull type speake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355A KR101607957B1 (ko) 2008-09-29 2008-09-29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954A true KR20100035954A (ko) 2010-04-07
KR101607957B1 KR101607957B1 (ko) 2016-04-01

Family

ID=42057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355A KR101607957B1 (ko) 2008-09-29 2008-09-29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72649B2 (ko)
KR (1) KR1016079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4606B2 (en) 2017-03-15 2023-03-28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Camera modul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1464A (zh) * 2012-06-10 2014-01-01 芜湖市艾德森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音箱
CN102724610B (zh) * 2012-06-27 2015-11-18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电声换能器及其制造方法
GB2515098B (en) 2013-06-14 2016-02-03 Jaguar Land Rover Ltd Speaker device
DK3133829T3 (da) * 2015-08-19 2020-06-22 Sonion Nederland Bv Lydgiverenhed med forbedret frekvensrespons
CN113099361B (zh) * 2020-01-09 2023-01-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扬声器、音频模组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0495A (en) * 1994-01-18 1995-09-12 Bsg Laboratories. Inc. Loudspeaker system
US20050244016A1 (en) * 1997-03-17 2005-11-03 American Technology Corporation Parametric loudspeaker with electro-acoustical diaphragm transducer
US5901235A (en) * 1997-09-24 1999-05-04 Eminent Technology, Inc. Enhanced efficiency planar transducers
US6940992B2 (en) * 2002-11-05 2005-09-06 Step Technologies Inc. Push-push multiple magnetic air gap transducer
US20050185808A1 (en) * 2004-02-19 2005-08-25 Jazz Hipster Corporation Composite structure with push-pull unit speakers
WO2005122636A1 (en) * 2004-06-03 2005-12-22 Tymphany Corporation Magnetic suspension transduc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4606B2 (en) 2017-03-15 2023-03-28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Camera modul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957B1 (ko) 2016-04-01
US20100080406A1 (en) 2010-04-01
US8472649B2 (en) 201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357B1 (ko) 휴대단말기용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CN106658309B (zh) 振动发声装置
US7480392B2 (en) Plate type speaker using horizontal vibration voice coil
KR100358866B1 (ko) 신호 변환장치
KR20100035954A (ko) 푸쉬풀 방식의 스피커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90631A (ko) 선형진동모터
CN219305016U (zh) 多功能发声器件
CN115119115B (zh) 发声装置以及电子设备
JP4361580B2 (ja) スピーカ用振動板およびスピーカ
US8649549B2 (en) Speaker
JP4034696B2 (ja) スピーカ用振動板
TW564656B (en) Speaker with built-in direct current motor
US20120308070A1 (en) Slim type speaker and magnetic circuit therefor
KR100804023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125241B1 (ko) 다이내믹 스피커
KR100842092B1 (ko)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 메커니즘
US10869135B2 (en) Speaker
CN109587609B (zh) 发声装置
CN106792402B (zh) 动磁式扬声器
US20050123166A1 (en) Structure of speaker
WO2008004729A1 (en) Vibrator
KR100396794B1 (ko) 진동모터 일체형 스피커
KR101014190B1 (ko) 전자음향변환기
KR20050091444A (ko) 마이크로 스피커
CN220733007U (zh) 扬声器模组的内核、扬声器模组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326

Effective date: 201512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