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5845A -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5845A
KR20100035845A KR1020080095206A KR20080095206A KR20100035845A KR 20100035845 A KR20100035845 A KR 20100035845A KR 1020080095206 A KR1020080095206 A KR 1020080095206A KR 20080095206 A KR20080095206 A KR 20080095206A KR 20100035845 A KR20100035845 A KR 20100035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connector
light emitt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비용
Original Assignee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5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5845A/ko
Publication of KR20100035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Landscapes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이 개시된다. 그러한 인쇄회로기판 모듈은,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탑재하는 제1 인쇄회로기판과, 제1 인쇄회로기판과는 분리 제작되고, 발광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제1 인쇄회로기판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불량으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표시장치의 다양한 크기에 상응하는 확장성도 개선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 인쇄회로기판, 커넥터, 모듈, 어셈블리, 블록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PRINTED CIRCUIT BOARD MODULE OF BACKLIGHT UNIT}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BLU)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모듈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에서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반도체 기술을 중심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되면서 성능이 더욱 향상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가 대표적인 표시장치로 자리잡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및 저소비 전력화 등의 이점을 갖고 있으므로, 기존의 CRT(Cathode-Ray Tube)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현재에는 각종 모바일 기기의 표시장치에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특정 분자 배열에 전압을 인가하여 다른 분자 배열로 변환시키고, 이러한 분자 배열에 의해 발광하는 액정 셀의 복굴절성, 선광성, 이색성 및 광산란 특성 등의 광학적 성질의 변화를 시각 변화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 액정 셀에 의한 광의 변조를 이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수광형 표시장치이 다.
이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스스로 발광하지 못하는 수광형 표시패널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표시패널의 배면으로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백라이트 유닛에서의 광원으로는, 냉음극관(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열음극관(Hot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 외부전극(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면광원(Flange Focal Length, FFL),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고휘도의 장점을 가진 발광소자인 발광다이오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에서,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는 인쇄회로기판에 탑재된 상태로 사용되는 데, 가정용 TV와 같이 크기가 큰 표시장치의 경우에는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PCB assembly)를 사용하여 TV의 크기에 상응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구현하고 있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라 함은 발광소자를 탑재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블록들과 커넥터가 연결된 소정의 단위이고, 인쇄회로기판 모듈은 이러한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가 복수 개로 조합된 것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집합적으로는 작은 단위에서 큰 단위로 살펴보면, 인쇄회로기판 블록,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및 인쇄회로기판 모듈의 순으로 정의될 수 있고, 이러한 정의는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들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는 발광다이오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의 문제점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인쇄회로기판 모듈(10)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인쇄회로기판 모듈(10)은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11~18, 20a~20h)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11~18, 20a~20h) 각각은, 발광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에 상기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의 인쇄회로기판(11~18)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20a~20h)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인쇄회로기판 모듈(10) 중 어느 하나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는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BL1~BL16)과 커넥터(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BL1~BL16)은 커넥터(20)에 의해 연결된 발광다이오드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기본 단위를 임의로 구획한 것으로서, 이러한 인쇄회로기판 블록들(BL1~BL16) 각각은 인쇄회로기판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인쇄회로기판 블록들(BL1~BL16) 각각에 포함되는 이러한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 또는 발광다이오드를 발광소자 어레이 또는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종래의 인쇄회로기판 모듈(10)은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11~18, 20a~20h)를 포함하고, 이들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11~18, 20a~20h) 각각은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BL1~BL16)과 커넥터(20a~20h)를 포함하며, 인쇄회로기판 블록들(BL1~BL16) 각각은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내에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 즉 인쇄회로기판 블록들이 커넥터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테스트시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내의 임의의 소자 하나라도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불량이 발생한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전체를 불량 처리해야 하므로, 그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이 막대하다. 더욱이, 표시장치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그에 상응하게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제작해야 하므로 크기가 커짐에 따라서 불량이 날 가능성은 더욱 증가하고, 그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 또한 더욱 증가하게 된다.
또한, 표시장치의 크기는 다양하므로, 인쇄회로기판 모듈의 크기도 다양한 데, 이러한 다양한 크기에 상응하게 별도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를 통해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위의 불량 문제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에 인쇄회로기판 모듈에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의 구조가 인쇄회로기판 블록들이 커넥터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로 인해, 인쇄회로기판 모듈 내의 일부 소자에 불량이 있는 경우에도 그러한 소자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전체를 불량 처리해야 하므로, 그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표시장치의 크기가 다양하고, 그에 따라 인쇄회로기판 모듈의 크기도 다양한 데, 이러한 다양한 크기에 상응하게 별도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를 통해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그로 인한 불량 문제 및 제작 비용 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탑재하는 제1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과는 분리 제작되며, 상기 발광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인 쇄회로기판 모듈은,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탑재하는 제1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과는 분리 제작되며, 상기 발광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커넥터와는 분리 제작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탑재하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 또는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 간, 또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커넥터 간은 가요성 평면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탑재하는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로 분리 제작되어 상기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 간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탑재하는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로 분리 제작되어 상기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 간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 간은 가요성 평면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에 인쇄회로기판 모듈에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의 구조가 인쇄회로기판 블록들이 커넥터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이므로, 인쇄회로기판 모듈 내의 일부 소자에 불량이 있는 경우에 그러한 소자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전체를 불량 처리해야 함으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표시장치의 크기가 다양하고, 그에 따라 인쇄회로기판 모듈의 크기도 다양한 데, 이러한 다양한 크기에 상응하게 별도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를 통해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제작하여야 함으로 인한 불량 문제 및 제작 비용 증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 모듈(100)은 제1 인쇄회로기판(110) 및 커넥터(120)를 포함한다.
제1 인쇄회로 기판(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미도시)를 탑재하며, 커넥터(120)는 상기 발광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미도시)와 제1 인쇄회로 기판(11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1 인쇄회로기판(110)과 커넥터(120)는 분리 제작된다.
여기서, 발광소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표적으로 발광다이오드일 수 있고, 이하에서는 발광다이오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특별히 이러한 소자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인쇄회로기판(110)과 커넥터(120)의 분리 제작은, 제1 인쇄회로기판(110)과 커넥터(120)가 일체로 제작되지 않고 별도로 제작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1 인쇄회로기판(110)과 커넥터(120) 사이는 이하의 설명에서와 같이 가요성 평면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FPC) 등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모듈(100)은, 제1 인쇄회로기판(110)과 커넥터(120) 서로 간에 다른 인쇄회로기판 또는 다른 커넥터로 교체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제1 인쇄회로기판(110)은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BL101~BL116)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BL101~BL116)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가 탑재되어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미도시)를 이룬다.
제1 인쇄회로기판(110)과 커넥터(120)는 가요성 평면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참조부호 130은 그러한 가요성 평면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모듈은, 복수 개의 인 쇄회로기판 블록들(BL101~BL116)을 포함하는 제1 인쇄회로기판(110)과 커넥터(120)가 가요성 평면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분리 제작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1 인쇄회로기판(110) 중의 일부 소자의 불량으로 인해 인쇄회로기판 모듈(100)의 불량이 발생되거나, 커넥터(120)의 불량으로 인해 인쇄회로기판 모듈(100)의 불량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전자의 경우에는 커넥터(120), 후자의 경우에는 제1 인쇄회로기판(110)이 재사용가능하므로,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은,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탑재하는 제1 인쇄회로기판과, 제1 인쇄회로기판과는 분리 제작되며, 발광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제1 인쇄회로기판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한다.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 모듈은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각각은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과 커넥터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은 제1 인쇄회로기판에 상응하거나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은 별도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종래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 1과 유사하므로 이를 참조하고,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100)를 도시한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에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는, 제1 인쇄회로기판(110)과 커넥터(120)를 포함한다.
제1 인쇄회로기판(110)은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BL101~BL116)로 구획지어 볼 수 있고, 이러한 인쇄회로기판 블록들(BL101~BL116)의 구획은 동작적으로(operationally) 분류된 하나의 예에 지나지 않으므로, 특별히 도 3과 같은 블록 구획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120)는 제1 인쇄회로기판(110)에 탑재된 발광소자(미도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미도시)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제1 인쇄회로기판(110)과는 분리 제작되고, 제1 인쇄회로기판(110)과 커넥터(120) 간의 연결은 가요성 평면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통해서 이뤄진다.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이루는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100) 각각이, 제1 인쇄회로기판(110)과 커넥터(120)가 일체로 제작되지 않고 별도로 제작되고, 제1 인쇄회로기판(110)과 커넥터(120)이 가요성 평면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 등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제1 인쇄회로기판(110)과 커넥터(120) 사이는 서로 간에 다른 인쇄회로기판 또는 다른 커넥터로 교체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은, 제1 인쇄회로기판(110)과 커넥터(120)가 분리 제작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설령 제1 인쇄회로기판(110) 중 일부 소자의 불량으로 인해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의 불량이 발생하거나, 커넥터(120)의 불량으로 인해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의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전자의 경우에는 커넥터(120), 후자의 경우에는 제1 인쇄회로기판(110)이 재사용가능하므로,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미도시)를 탑재하는 제1 인쇄회로기판(210)을 포함하며, 제1 인쇄회로기판(210)과는 분리 제작되며, 상기 발광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미도시)와 제1 인쇄회로기판(21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220)를 포함하며, 제1 인쇄회로기판(210)과 커넥터(220)와는 분리 제작되는 제2 인쇄회로기판(240a, 240b, 240c; 240)을 포함한다.
제1 인쇄회로기판(210)은 도 3의 제1 인쇄회로기판(1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인쇄회로기판(240)이 더 연결된다는 점에서는 도 3의 실시예에서와는 상이하다.
제2 인쇄회로기판(2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미도시)를 탑재하며, 제1 인쇄회로기판(210) 또는 커넥터(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인쇄회로기판(210)과 제2 인쇄회로기판(240)은 가요성 평면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커넥터(220)와 제2 인쇄회로기판(240)도 가요성 평면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한 가요성 평면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는 참조부호 230a, 230b, 230c, 230d, 230e, 230f, 230g, 및 230h로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제1 인쇄회로기판(210), 커넥터(220), 및 제2 인쇄회로기판(240) 을 분리 제작하여, 가요성 인쇄회로 또는 가요성 평면 케이블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표시장치의 크기에 상응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구성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를 제작하여야 하는 종래 인쇄회로기판 모듈 제작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를 갖는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은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도 4는 그러한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의 일 예이다.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이루는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각각은 도 4에서와 같이 제1 인쇄회로기판(210)에 추가로 별도의 제2 인쇄회로기판(240)이 가요성 평면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 등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의 전체 크기, 또는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이루는 개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의 크기를 고려하여 기본적인 인쇄회로기판(210)에 선택적으로 추가 인쇄회로기판(240)을 부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하여,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이루는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200) 각각이, 제1 인쇄회로기판(210)과 커넥터(220)가 일체로 제작되지 않고 별도로 제작되고, 제2 인쇄회로기판(240)은 제1 인쇄회로기판(210) 및 커넥터(220)와 별도로 제작되어, 서로 간에 가요성 평면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은, 불량관리 측면 또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제작 비용 절감 측면에서 이점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미도시)를 탑재하는 제1 인쇄회로기판(310)과, 제1 인쇄회로기판(310)과는 분리 제작되며 상기 발광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미도시)와 제1 인쇄회로기판(310)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320)를 포함하며, 제1 인쇄회로기판(3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탑재하는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BL301~BL316)로 분리 제작되어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BL301~BL316) 간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BL301~BL316) 간은 가요성 평면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참조부호 330 및 332는 그러한 가요성 평면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의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은,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BL301~BL316)이 분리 제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테스트시, 어느 하나의 인쇄회로기판 블록(예를 들어 BL301) 내의 발광소자가 불량인 경우, 그러한 인쇄회로기판 블록(BL301)만 교체하면 된다.
나아가,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BL301~BL316)을 포함하는 제1 인쇄회로기판(310)에는 제2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가요성 인쇄회로 또는 가요성 평면 케이블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인쇄회로기판은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로 분리 제작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탑재할 수 있으며, 서로 간에는 가요성 인쇄회로 또는 가요성 평면 케이블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은, 불량관리 측면, 또는 표시장치의 크기에 상응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의 확장성도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이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그러한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각각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BL301~BL316)로 분리 제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도, 불량관리 측면이나 인쇄회로기판 모듈 제작 비용 절감 측면에서 이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 이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되고 개조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인쇄회로기판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탑재하는 제1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과는 분리 제작되며, 상기 발광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커넥터는 가요성 평면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
  2.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탑재하는 제1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과는 분리 제작되며, 상기 발광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
  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커넥터와는 분리 제작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탑재하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 또는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 간, 또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커넥터 간은 가요성 평면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탑재하는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로 분리 제작되어, 상기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 간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탑재하는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로 분리 제작되어, 상기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 간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블록들 간은 가요성 평면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KR1020080095206A 2008-09-29 2008-09-29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 KR201000358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206A KR20100035845A (ko) 2008-09-29 2008-09-29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206A KR20100035845A (ko) 2008-09-29 2008-09-29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845A true KR20100035845A (ko) 2010-04-07

Family

ID=42213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206A KR20100035845A (ko) 2008-09-29 2008-09-29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58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401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7909480B2 (en) Light source module,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light source module
US7854541B2 (en) Backlight unit with socket connector,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using the same
CN1920625B (zh) 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CN100582885C (zh) 显示设备
US8360591B2 (en)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2367049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60113861A (ko) 디스플레이를 직접 백라이팅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US7980717B2 (en) Light source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US10431169B2 (en) Display device
US8692265B2 (en) Lighting device
US7599019B2 (en) Backlight module with elastic connector clips fixing light sour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same
KR20090115626A (ko) 백라이트 유닛
CN103629597A (zh) 背光组件
WO2012086452A1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CN110609416B (zh) 液晶显示屏
US2006016434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having rigid-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EP2195706B1 (en) Lighting device
KR20100035845A (ko) 백라이트 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모듈
US7973876B2 (en) Backlight module having frame accommodating light source driv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same
US20070188115A1 (en) Backlight module having a chambered circuit board
US7413332B2 (en) Light module
KR101350972B1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414749Y1 (ko) 백라이트 유닛의 램프 연결구조
KR100703185B1 (ko) 전원공급용 기판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224

Effective date: 2016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