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4529A - 영상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4529A
KR20100034529A KR1020080093722A KR20080093722A KR20100034529A KR 20100034529 A KR20100034529 A KR 20100034529A KR 1020080093722 A KR1020080093722 A KR 1020080093722A KR 20080093722 A KR20080093722 A KR 20080093722A KR 20100034529 A KR20100034529 A KR 20100034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tap
phase
reactor
curr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3549B1 (ko
Inventor
신동열
이학주
정원욱
조성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80093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549B1/ko
Publication of KR20100034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5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istribution gear, e.g. bus-bar systems; for switch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3/081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and depending on the dir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2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polyphase induction motor
    • H02P1/32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polyphase induction motor by star/delta swi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3/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13/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tap-changing; by rearranging interconnections of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배전 계통에서 지락 고장 또는 불평형 부하 발생시에 중성선의 전류가 과다하게 흘러 역 조류 현상이 발생 되므로 이를 방지하도록 하는 영상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산 전원이 연계된 중성선에서 발생되는 영상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중성선에 연결되어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권선비를 조절하는 탭 조절부, 및 저항과 리액터로 이루어져 상기 권선 측과 연결되는 저항/리액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항과 리액터를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권수비로 조절하여 상기 중성선에 가해지는 임피던스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이에, 본 발명은, 중성선의 임피던스를 조절하여 영상 전류의 크기가 조절됨으로써 역 조류 현상이 방지되어 발전 효율이 향상되고, 변전소의 CB, 배전 선로의 RC, 고객측 발전의 지락과 전류 계전기(OCGR)가 오동작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달성된다.
배전 계통, 영상 전류, 불평형 부하, 지락 고장, 역 조류 현상, 중성선

Description

영상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NG NEUTRAL LINE OF ZERO SEQUENCE CURRENT}
본 발명은 영상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전 계통에서 지락 고장 또는 불평형 부하 발생시에 중성선의 전류가 과다하게 흘러 역 조류 현상이 발생 되므로 이를 방지하도록 하는 영상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배전계통에 태양광발전, 풍력발전 등 분산전원 설비가 한전계통에 연계되고 있다. 기존의 단방향 공급 형태와는 달리 부하와 전원이 혼재되어 운용되며, 양방향 전력공급의 형태로 공급되고 있다. 22.9kV 배전계통에 연계된 수전용 변압기와 발전용 변압기는 변압기 1차측 접지 방식에 따라 결선을 달리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수전용 고객은 1차 △결선 형태를 사용하고 고객측 발전은 한전 계통 연계 기준에 따라서 반드시 변압기 1차 Y결선 후 중성점을 계통 접지와 공용하여 운전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배전 계통은 송전 계통과 달리 단상 부하로 공급하기 때문에 불평형 부하가 항상 존재하고 있고, 고객 측 발전에서 변압기 1차 측 중성점을 직접 접지 할 경우에 a,b,c 상중 전압 강하가 가장 심한 상으로 역 조류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중성선 전류는 상 전류의 300%가 발생되어 변전소 CB, 배전선로 R/C, 발전 고객측 CB의 지락 보호 계전기를 오동작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거나, 발전 효율이 저하되는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주 변압기와 고객측 연계용 변압기에 발생되는 일반적인 역조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주 변압기(100)와 고객측 연계용 변압기(110)는 1선 지락 전류가 3상 단락 전류보다 크게 발생하고 있어 영상 전류를 제한할 목적으로 NGR(200)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NGR(200)은 0.6Ω으로 단일 탭 형태로 고정되어 있어 배전계통 변경시에 NGR(200)의 설정 값을 재조정할 수 없어 운전시 역 조류 현상이 발생 된다. 이러한 역 조류 현상으로 상 전류의 300% 전류가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지락 고장 또는 불평형 부하 발생시의 역 조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전 선로( 분산 전원이 연계된 배전 선로(320) 및 고장이 발생한 배전 선로(350)을 포함)는 한전 변전(20)의 주 변압기(100, Y-Y-△)와 고객 측 발전 설비(10)의 연계용 변압기(110,Y-△)로 구성될 경우에 정상 시에 부하 전류 증가시 또는 변전소에서 거리가 멀어지면 선로 임피던스에 의해서 전압 강하(230)가 떨어지게 되는데, 평행 3상 부하인 경우에는 a,b,c 상에 전압 강하가 일정하게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배전 선로는 비정 상시에 지락 고장(360) 또는 a 상에 부하가 집중되어 불평형 부하(260) 및 역 조류 현상(250)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정상보다 떨어진 전압 차(220) 만큼 a 상에 전압 강하(240)가 발생한다. 따라서, n 상의 영상 전류(210)는 상 전류의 300% 전류가 n상으로 흘러 변전소 CB(300), 배전 선로 R/C(330), 고객 측 발전 CB의 지락 보호 계전기(340, 380)를 오동작시키게 된다. 참고로 설명되지 않은 부호 370은 주 변압기의 2 차측 보호 계전기를 나타낸다.
도 4는 종래의 변압기 결선에 의한 영상분 전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n상 영상전류(210)가 상 전류의 300% 전류가 발생되는 이유는 고객 측 발전의 연계용 변압기(110)의 결선이 Y-△형태로 결선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상에 지락 고장이 발생하면 a상 계통 전압은 떨어지고, b,c상은 정상적으로 계통 전압을 공급한다. 따라서 연계용 변압기(110)에는 b,c,n 상의 2상 3선 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b,c상 권선 부분(440)은 1차 V 결선, 2차 역 V 결선 형태로 3상 전압이 만들어지고, a상 권선 부분(430)을 통해 변압기에서 만들어진 가상의 전압이 역으로 한전 계통 측에 공급하게 된다. 다시 말해, a 상 역 조류에 의한 전류(400)가 한전 계통 측에 공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b,c 상 권선 부분(440)을 통해 b 상 역 조류에 의한 전류(410) 및 c 상 역 조류에 의한 전류(420)가 각각 한전 계통 측에 공급될 수 있다. 설명되지 않은 부호 460은 △ 결선에 의한 영상 전류를 나타낸다.
도 5는 계전기 위치별로 대칭 좌표법으로 전류 발생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상별 전류 벡터도 이다.
도 5는 a상 지락 고장 시 변전소 주변압기 2차 측 보호계전기(370), 고객 측 발전 1차 측 보호계전기(380), 지락 고장 발생 후비 측 보호계전기(340)에서 검출된 상별 전류를 3상 대칭 좌표법으로 벡터 해석을 보여준다.
먼저, 도 5의 주변압기 2차측 상별 전류 벡터도(5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상 지락 전류(504)는 a상 정상분(503), a상 역상분(502), a상 영상분(501), a상 역조류에 의한 영상 전류(400) 합한 값이 측정되고, b상 전류는 b상 정상분(509), b상 역상분(511), b상 영상분(512)의 합이 제로이고, b상 역조류에 의한 전류(410)가 바로 b상 전류로 측정되고, c상 전류는 b상과 동일하게 c상에 역 조류에 의한 전류(420)만 측정된다. 또한, a상 지락 고장 발생시 a상에 전압이 떨어지기 때문에 고객 측 발전에서 고장 점 방향으로 a상 역 조류(250) 현상이 발생 된다.
다음으로, 고객 발전 1차 측 상별 전류 벡터도(5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상 전압 위상과 반대 방향으로 a상 역 조류에 의한 전류(400)가 흐르고, 이때 b 상과 c 상도 동일한 크기와 방향으로 흐르게 되며, n상 역 조류에 의한 영상 전류(210)는 a,b,c상 전류가 합산된 300%의 전류가 발생 된다.
다음으로, 고장 발생측 상별 전류 벡터도(5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상 정상분(503), a상 역상분(502), a상 영상분(501)을 합산한 값이 3배로 a상 지락 전류(504)로 나타나고, b상 전류는 b상 정상분(509), b상 역상분(511), a상 영상분(512)을 벡터 합산하면 크기는 0이 되고 c상의 전류도 b상과 동일하게 0이 된다. 따라서, n상의 지락 전류(508)은 a상의 지락 전류 크기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 로 발생 된다.
다음으로, 정상 발전시 상별 전류 벡터도(5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 전원이 발전시 계통에 전력을 공급함으로 a,b,c상 전압의 반대방향으로 a상 발전전류(533), b상 발전 전류(531), c상 발전 전류(532)가 발생 되고, 계통에서 역 조류 현상이 없으면 전압의 180° 반대방향으로 효율 100%로 운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배전 계통은 송전 계통과 달리 단상 부하로 구성되어 있어 언제든지 불평형 부하가 발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역 조류 영향(a,b,c 역조류 영향(543,542,541))에 의한 발전 전류 벡터도(5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 조류에 의한 상별 불평형 전류가 발생 되고, 각 상별 전압과 전류의 방향이 180°±30°미만으로 하여 전류가 발생 되어 발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모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분산 전원의 연계지점이 장소에 따라 다른 것을 감안하여 중성선의 임피던스를 조절하여 불평형 부하 발생시의 역 조류 현상 및 보호 계전기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영상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카테고리, 양태, 형태)에 따르면, 분산 전원이 연계된 중성선에서 발생되는 영상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중성선에 연결되어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권선비를 조절하는 탭 조절부, 및 저항과 리액터로 이루어져 상기 권선 측과 연결되는 저항/리액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항과 리액터를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권수비로 조절하여 상기 중성선에 가해지는 임피던스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권선은 A 권선 부분과 B 권선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A 권선은 2차 권수비의 1배로 3탭을 인출하고, 상기 B 권선은 2차 권수비의 4배로 3탭을 인출할 수 있다.
상기 2차 권선은 2차 A 권선 부분과 B 권선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2차 A 권 선 부분과 2차 B 권선 부분은 반반씩 나우어 반대방향으로 분할해서 각각 상기 저항과 리액터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탭 조절부는, A 권선 부스바와 B 권선 부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A 권선 부스바와 B 권선 부스바는 다수 개로 각각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A 권선 부스바와 B 권선 부스바의 사이에는 절연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A 권선 부스바와 B 권선 부스바가 교차되는 지점은 16개의 탭 교차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탭 교차점은 상기 절연판과 더불어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에는, 탭 조절용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A 권선 부스바와 B 권선 부스바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탭 조절용 볼트는, 접촉 저항을 줄이고,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해 와샤와 볼트 끝단에 상기 B 권선 부스바를 연결하도록 나사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B 권선 부스바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여 암나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영상 전류 제한 장치는, 상기 저항 및 리액터에서 발생되는 임피던스 값을 상기 탭 조절부의 탭 정정치 환산표에 의해 중성선의 임피던스로 환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에 따르면, 분산 전원이 연계된 중성선에서 발생되는 영상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중성선에 설치된 영상전류 제한 장치의 2차 저항과 리액터의 저항을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권수비로 조절하여 상기 중성선에 가해지는 임피던스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성선의 임피던스는, 상기 2차 저항과 리액터의 임피던스를 탭 조절부의 탭 정정치 환산표에 의해 환산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탭 정정치는, 0에서 15의 가중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성선의 임피던스를 조절하여 영상 전류의 크기가 조절됨으로 인하여 역 조류 현상이 방지되어 발전 효율이 향상되고, 변전소의 CB, 배전 선로의 RC, 고객측 발전의 지락과 전류 계전기(OCGR)가 오동작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달성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영상 전류 제한 장치(600)의 구성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류 제한 장치(6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류 제한 장치(600)는 중성선에 연결되어 1차 권선(620)과 2차 권선(640)의 권선비를 조절하는 탭 조절부(660), 및 저항과 리액터(650)로 이루어져 권선(640) 측과 연결되는 저항/리액터부(6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탭 조절부(660)를 설명하기 앞서 변압기 1차 권선(620)과 변압기 2차 권선(640)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변압기 1차 권선(620)은 은 A 권선 부분(622)과 B 권선 부분(621) 등을 포함한다. A 권선 부분(622)은 2차 권수비의 1배(622a)로 3 탭을 인출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일단이 1차 접지측 붓싱 단자(630)와 연결되고, 타단은 탭 조절부(660)와 병렬로 연결된다. B 권선 부분(621)은 2차 권수비의 4배(621a)로 3 탭을 인출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일단이 1차 전원 측 붓싱 단자(610)와 연결되고, 타단은 탭 조절부(660)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변압기 2차 권선(640)은 2차 A 권선 부분(641)과 B 권선 부분(642) 등을 포함한다. 2차 A 권선 부분(641)과 B 권선 부분(642)은 일단이 서로 연결되고, 타단이 각각 저항/리액터부(65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2차 A 권선 부분(641)과 2차 B 권선 부분(642)은 반반씩 나뉘어 반대 방향으로 분할해서 각각 저항/리액터부(650)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탭 조절부(660)는 중성선과 접지선의 사이에서 중성선에 연결되어 1차 권선(620)과 2차 권선(640)의 권선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탭 조절부(660)는 권선비를 조절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탭 조절부(660)는 A 권선 부스바(663)와 B 권선 부스바(662) 및 이후에 설명될 절연판(66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A 권선 부스바(663)와 B 권선 부스바(662)는 다수 개로 각각 교차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데, 교차 되는 지점은 16개의 탭 교차점(67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 권선 부스바(663)의 일단은 변압기 1차 권선(620)의 B 권선 부분(621)과 다수 개가 병렬로 연결되고, B 권선 부스바(662)의 일단은 변압기 1차 권선(620)의 A 권선 부분(622)과 다수 개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연판(664)은 이후의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저항/리액터부(650)는 일단이 2차 권선(640)과 연결되는 저항과 리액터로 이루어진 2차 저항 또는 리액터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저항 또는 리액터(650)은 저항(651)과 리액터(652)가 타단이 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저항/리액터부(650)는 저항(651)과 리액터(652)의 구성으로 인하여 변압기와 배전 계통의 저항분과 유로리액턴스 분을 감안하여 X/R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조절부 (660) 및 탭 조절용 볼트(671)의 구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류 제한 장치(600)의 탭 조절부(660)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고, 이와 연관된 탭 조절용 볼트(67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탭 조절부(660)의 A 권선 부스바(663)와 B 권선 부스바(662)의 사이에는 절연판(66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연판(664)이 A 권선 부스바(663)와 B 권선 부스바(662)의 사이에 형성될 때, A 권선 부스바(663)와 B 권선 부스바(662)가 교차된 교차 지점(670)에는 절연판(664)과 더불어 홀(66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665)에는 탭 조절 단자(666)가 형성되어 탭 조절용 볼트(671)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본 발명의 탭 조절용 볼트(671)는 접촉 저항을 줄이고,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해 와사(672)와 볼트 끝단에 B 권선 부스바(662)를 연결하도록 나사산(67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나사산(673)에 대응하여 B 권선 부스바는 암나사(674)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전류 제한 장치(600)는 탭 조절용 볼트(671)을 이용하여 A 권선 부스바(663)와 B 권선 부스바(662)를 고정함으로써, A권선 부스바(663)가 B권선 부스바(662)보다 전압이 낮음에도 불구 하고 안전하게 탭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설명되지 않은 부호 667은 운전중인 탭으로서, 운전중인 탭(667)은 새로운 탭을 설정하고자 할 때에 예비의 탭 조절용 볼트(671)를 사용해서 설정하므로 변압기를 운전중에도 탭을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의 도 6과 7을 구성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전류 제한 장치(600)는 탭 조절부(660)가 저항(651)과 리액터(652)와 연결된 1차 권선(620)과 2차 권선(640)의 권수비를 조절함으로써, 중성선에 가해지는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어 영상 전류를 제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임피던스 조절의 결과는 탭 조절부(660)의 탭 정정치의 환산표에 의한 결과인데, 이에 대하여 도 8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탭 조절부(660)에 의한 탭 정정치의 환산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탭 정정치(810)는 탭 조절부(660)가 1차 권선(620)과 2차 권선(640)의 권수비를 조절함으로써, 0에서 15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환산표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결국, 탭 정정치(810)는 환산표에 따라 2차 저항과 리액터의 임피던스 값(820)이 중성선에 가해지는 임피던스의 값(800)으로 조절됨으로써 영상 전류의 크기를 제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 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주 변압기와 고객측 연계용 변압기에 발생되는 일반적인 역조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지락 고장 또는 불평형 부하 발생시의 역 조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변압기 결선에 의한 영상분 전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계전기 위치별로 대칭 좌표법으로 전류 발생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상별 전류 벡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류 제한 장치(6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류 제한 장치(600)의 탭 조절부(660)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고, 이와 연관된 탭 조절용 볼트(67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탭 조절부(660)에 의한 탭 정정치의 환산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0 : 영상 전류 제한 장치 620 : 1차 권선
640 : 2차 권선 650 : 저항/리액터부
660 : 탭 조절부 662 : B 권선 부스바
663 : A 권선 부스바 664 : 절연판
665 : 홀 666 : 탭 조절 단자
671 : 탭 조절용 볼트 673 : 나사산

Claims (13)

  1. 분산 전원이 연계된 중성선에서 발생되는 영상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중성선에 연결되어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권선비를 조절하는 탭 조절부, 및
    저항과 리액터로 이루어져 상기 권선 측과 연결되는 저항/리액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항과 리액터를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권수비로 조절하여 상기 중성선에 가해지는 임피던스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권선은 A 권선 부분과 B 권선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A 권선은 2차 권수비의 1배로 3탭을 인출하고, 상기 B 권선은 2차 권수비의 4배로 3탭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권선은 2차 A 권선 부분과 B 권선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2차 A 권선 부분과 2차 B 권선 부분은 반반씩 나우어 반대방향으로 분할해서 각각 상기 저항과 리액터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 조절부는, A 권선 부스바와 B 권선 부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A 권선 부스바와 B 권선 부스바는 다수 개로 각각 교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권선 부스바와 B 권선 부스바의 사이에는 절연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권선 부스바와 B 권선 부스바가 교차되는 지점은 16개의 탭 교차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탭 교차점은 상기 절연판과 더불어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에는,
    탭 조절용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A 권선 부스바와 B 권선 부스바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탭 조절용 볼트는,
    접촉 저항을 줄이고,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해 와샤와 볼트 끝단에 상기 B 권선 부스바를 연결하도록 나사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권선 부스바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여 암나사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전류 제한 장치는,
    상기 저항 및 리액터에서 발생되는 임피던스 값을 상기 탭 조절부의 탭 정정치 환산표에 의해 중성선의 임피던스로 환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분산 전원이 연계된 중성선에서 발생되는 영상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중성선에 설치된 영상전류 제한 장치의 2차 저항과 리액터의 저항을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권수비로 조절하여 상기 중성선에 가해지는 임피던스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선의 임피던스는,
    상기 2차 저항과 리액터의 임피던스를 탭 조절부의 탭 정정치 환산표에 의해 환산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탭 정정치는, 0에서 15의 가중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0093722A 2008-09-24 2008-09-24 영상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0973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722A KR100973549B1 (ko) 2008-09-24 2008-09-24 영상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722A KR100973549B1 (ko) 2008-09-24 2008-09-24 영상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529A true KR20100034529A (ko) 2010-04-01
KR100973549B1 KR100973549B1 (ko) 2010-08-02

Family

ID=42212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722A Active KR100973549B1 (ko) 2008-09-24 2008-09-24 영상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5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6746A (zh) * 2020-10-22 2021-02-12 四川水利职业技术学院 一种防止已建成低压水轮发电机组中性线电流过大的方法
KR102335620B1 (ko) * 2021-08-11 2021-12-06 한국에너지솔루션 주식회사 운전 중 발전용 변압기 중성점 접지 리액터 절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596B1 (ko) 2020-06-23 2020-11-26 (주)한양케이앤이 태양광발전시스템 전로 통합형 중성점접지변성기용 직류전로 지락검출 장치 및 그 운용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0540A (en) * 1974-10-03 1976-04-05 Tadayasu Kobayashi Sansodokikino denkishinaibukoshonitaisuru reisohogohoshiki
NL1000914C2 (nl) * 1995-08-01 1997-02-04 Geb Zuid Holland West N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continue instelling en regeling van een transformatoroverzetverhouding, alsmede transformator voorzien van een dergelijke inrichting.
JPH09260167A (ja) * 1996-03-22 1997-10-03 Nissin Electric Co Ltd コンデンサ形計器用変圧器
DE10130882A1 (de) * 2001-06-27 2003-01-16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iphatischen Oligocarbonatdiolen
KR200430711Y1 (ko) 2006-08-29 2006-11-13 한일월드(주) 리액터식 변압기의 서지전압 방지회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6746A (zh) * 2020-10-22 2021-02-12 四川水利职业技术学院 一种防止已建成低压水轮发电机组中性线电流过大的方法
CN112366746B (zh) * 2020-10-22 2023-07-21 四川水利职业技术学院 一种防止已建成低压水轮发电机组中性线电流过大的方法
KR102335620B1 (ko) * 2021-08-11 2021-12-06 한국에너지솔루션 주식회사 운전 중 발전용 변압기 중성점 접지 리액터 절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549B1 (ko) 2010-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ipia et al. Field test environment for LVDC distribution—Implementation experiences
Abdel-Salam et al. Improvement of protection coordination for a distribution system connected to a microgrid using unidirectional fault current limiter
Sato et al. Study on the effect of fault current limiter in power system with dispersed generators
KR100973549B1 (ko) 영상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rk et al. Parameter optimization of SFCL with wind-turbine generation system based on its protective coordination
EP3480913B1 (en) Series compensation device applicable to double-circuit line
JP5118397B2 (ja) 限流装置
Comfort et al. Power quality impact of distributed generation: effect on steady state voltage regulation
Sherbilla et al. Modified setting of overcurrent protection for distribution feeders with distributed generation
WO2014162949A1 (ja) 限流・潮流制御装置
Yang et al. Installation, system-level control strategy and commissioning of the Nanjing UPFC project
Bhardwaj et al. Installation of Automatically Controlled Compensation Banks
JP2008104262A (ja) 分散電源装置の単独運転防止装置
Kim et al. Allowable Capacity Estimation of DGs for New 70 kV Transmission System in Korea
KR102096992B1 (ko) 송변전용 3상용 단상 전력 변압기 보호회로 시스템
CN203747402U (zh) 双回线用的故障电流限制器
Mäki et al. Blinding of feeder protection caused by distributed generation in distribution network
JP3485568B2 (ja) 2つの同期多相交流回路網の接続方法及びその接続装置
Grumm et al. Investigation of technologies and parameters influencing the short-circuit current level of low-voltage distribution networks
Alibert et al. Protection Systems for Microgrids with High Rate of Inverter-Based-Generators
Mahender et al. Optimal positioning of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in smart grid applications
CN205029332U (zh) 一种多侧电源供电的110kV中性点经电阻接地系统
TWI813191B (zh) 電力管理設備與電力管理方法
Chiradeja et al. Study on installation of neutral ground resistance in very small power plant transformer
RU195895U1 (ru) Орган отстройки устройств релейной защиты от неселективных действий в переходных режимах при насыщении трансформаторов тока в неповреждённых фаза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7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