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4195A - 입체형 퍼즐 세트 - Google Patents
입체형 퍼즐 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34195A KR20100034195A KR1020080093205A KR20080093205A KR20100034195A KR 20100034195 A KR20100034195 A KR 20100034195A KR 1020080093205 A KR1020080093205 A KR 1020080093205A KR 20080093205 A KR20080093205 A KR 20080093205A KR 20100034195 A KR20100034195 A KR 201000341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picture
- pieces
- block body
- uni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08—Puzzles provided with elements movable in relation, i.e. movably connected, to each othe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좁은 공간에서도 조립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입체형 퍼즐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퍼즐 세트는 복수의 면을 가지는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면에 서로 다른 그림조각이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각각 l, m, n(l,m,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씩 배치되어 블록체를 형성하는 k(k=l×m×n)개의 단위체를 포함하며, k개의 단위체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체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그림조각들이 완성된 그림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단위체, 블록체, 퍼즐, 입체형
Description
본 발명은 입체형 퍼즐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상에서 그림조각이 형성되어 있는 단위체들을 조립하여 그림을 완성하는 입체형 퍼즐 세트에 관한 것이다.
아이들의 공간 지각능력 및 지능을 개발하기 위한 놀이기구로 퍼즐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 퍼즐의 경우, 그림의 일부가 각각 그려져 있는 복수의 퍼즐 조각들이 끼워 맞춰져 하나의 그림을 완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 퍼즐의 경우 각 퍼즐 조각들은 2차원 상, 즉 동일 평면상에서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완성된 퍼즐이 큰 면적을 가지게 된다. 특히, 높은 난이도의 퍼즐, 예를 들어 1000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지는 퍼즐의 경우, 완성시 매우 큰 면적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이러한 퍼즐은 방바닥과 같이 매우 넓은 공간에서만 조립 가능하다는 공간적인 제약이 있다. 게다가, 퍼즐을 조립하다가 잠시 중단하는 경우, 조립되고 있던 그 상태 그대로 퍼즐을 놔두어야 하기 때문에 주변이 어지럽혀 지는 문제점도 있으며, 부주의로 인해 조립되고 있던 퍼즐이 흐트러지게 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공간에서도 조립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입체형 퍼즐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퍼즐 세트는 복수의 면을 가지는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면에 서로 다른 그림조각이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각각 l, m, n(l,m,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씩 배치되어 블록체를 형성하는 k(k=l×m×n)개의 단위체를 포함하며, 상기 k개의 단위체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체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그림조각들이 완성된 그림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퍼즐 세트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정삼각뿔 형태의 블록체를 형성하도록 적층되는 복수의 단위체와, 상기 블록체의 최하층에 배치된 복수의 단위체의 모서리부가 각각 삽입되어 지지되며, 정삼각형 격자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삽입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체에는 그 일면에 그림조각이 형성되어 있는 단위체가 복수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그림조각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체는, 상기 블록체의 3개의 측면에 상기 그림조각들로 완성된 그림이 각각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좁은 공간에서 많은 수의 조각으로 이루어지는 퍼즐을 조립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며, 퍼즐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퍼즐 세트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퍼즐 세트(100)는 복수의 단위체(30)와, 받침대(10)를 구비한다.
복수의 단위체(30)는 서로 적층되어 하나의 블록체(20)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각 단위체(30)는 복수의 면을 가지는 입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단위체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축, 즉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각각 l,m,n개씩 배치되며, 이와 같이 배치된 k개의 단위체는 하나의 블록체(20)를 이룬다. 여기서, l,m,n은 2 이상의 자연수이며, k는 l과 m과 n의 곱으로 이루어진 자연수(k=l×m×n)이다.
이때, 복수의 단위체(30)를 용이하게 제작 및 적층하기 위해서, 각 단위체(3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단위체(30)를 3개의 축 방향으로 적층하면, 블록체(20) 역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각 단위체(30)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각각 5개씩 배치되며, 이와 같이 배치된 125개의 단위체는 정육면체 형상의 블록체(20)를 형성한다.
그리고 각 단위체(30)의 6개의 면에는 서로 다른 완성된 그림의 일부인 그림조각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그림조각들 중 서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는 그림 조각들은 하나의 완성된 그림을 형성한다.
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30)의 각 면을 향하는 6개의 방향(A,B,C,D,E,F) 중, 제1방향(A)이 가리키는 5개의 동일 평면에 각각 서로 다른 완성된 그림을 프린팅 한다. 여기서, 프린팅이란 단위체의 면에 그림을 형성하는 방법의 하나로, 단위체의 면에 직접 그림을 그리거나 또는 그림이 인쇄되어 있는 종이를 단위체의 면에 붙이는 등의 작업을 뜻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그림을 프린팅 하면 하나의 완성된 그림은 25개의 그림조각으로 나누어지게 되며, 각 그림조각은 동일 평면에 배치되는 25개의 단위체(30)의 일면에 하나씩 형성되게 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2방향(B), 제3방향(C), 제4방향(D), 제5방향(E) 및 제6방향(F)이 각각 가리키는 5개씩의 동일 평면에 그림을 각각 프린팅 하면, 블록체(20)에는 총 5×6 = 30개의 서로 다른 완성된 그림이 프린팅 되며, 각 단위체(30)의 6개의 면에는 각각 서로 다른 그림조각이 프린팅 되게 된다.
이때, 프린팅 되는 30개의 그림의 테마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A)이 가리키는 5개의 면에는 슈렉 등과 같은 애니메이션의 캐릭터를 프린팅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제2방향 내지 제6방향으로는 각각 서로 다른 테마를 가지는 그림들을 프린팅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각 방향별로 테마를 달리하여 그림을 프린팅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위체(30)의 조립시 각 그림의 테마를 기준으로 하여 단위체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30개의 그림이 각각 서로 다른 테마를 가지거나, 각 방향이 가리키는 5개의 면에 프린팅 되는 그림의 테마가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위체의 조립시 그림의 테마를 기준으로 할 수 없으므로 퍼즐의 난이도가 앞선 경우보다 높아지게 된다. 상기한 그림의 테마와 퍼즐의 난이도와의 관계에 관해서는, 단위체의 조립과정을 설명할 때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받침대(10)는 복수의 단위체로 이루어지는 블록체(20)가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체(2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받침대는 바닥부(11)와, 제1측면부(12)와, 제2측면부(13)를 포함한다. 바닥부(11)는 정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닥부의 상면, 즉 바닥면(111)은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때 바닥면의 한쪽 꼭지점(G)이 최저점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제1측면부(12)에는 바닥면과 직교하는 제1측면(121)이 형성되어 있다. 제2측면부(13)에는 바닥면(111) 및 제1측면(121)과 각각 직교하는 제2측면(1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부(11), 제1측면부(12) 및 제2측면부(13)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받침대(10)에 블록체(20)를 올려놓으면, 블록체(20)를 구성하는 단위체(30)의 자중에 의해 각 단위체들이 바닥부의 꼭지점(G)쪽으로 쏠리게 되며, 이에 따라 블록체(30)의 바닥면 및 2개의 측면이 각각 받침대의 바닥면(111), 제1측면(121) 및 제2측면(131)에 밀착 지지되어 블록체(20)가 안정적으로 그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입체형 퍼즐 세트(100)을 조립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6개의 테마 중 어떤 테마를 기준으로 퍼즐을 조립할 지 결정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애니메이션 테마를 기준으로 조립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기준이 되는 그림의 테마가 애니메이션으로 정해지면, 애니메이션 그림조각들이 정면으로 보이도록 125개의 단위체를 배치한다. 이후, 단위체에 프린팅 된 그림조각들을 잘 끼워 맞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애니메이션 그림이 완성되도록 단위체 조합을 만든다. 이와 같이, 5개의 단위체 조합이 완성되면, 각 단위체 조합의 측면에 그려져 있는 4가지 테마의 그림들이 서로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도록 단위체 조합을 회전시키고, 각 측면에 그려져 있는 그림조각들이 하나의 완성된 그림을 이루도록 단위체 조합의 순서를 바꾼다. 이후, 받침대(10)에 단위체 조합들을 하나씩 쌓으면 퍼즐의 조립이 완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나의 테마를 기준으로 하여 퍼즐을 완성한 후에는, 완성된 퍼즐을 분리한 후 애니메이션이 아닌 다른 테마를 기준으로 하여서도 퍼즐을 맞출수 있다. 즉, 총 6개의 테마를 기준으로 하여 퍼즐을 조립할 수 있으며, 따라서 125개의 단위체로 5×5의 형태로 이루어진 30개의 퍼즐을 맞출 수 있다.
한편, 30개의 그림이 테마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한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퍼즐을 조립하여야 한다. 즉, 이 경우에는 먼저 하나의 면에 그림이 완성되도록 하나의 단위체 조합을 완성한 후, 단위체 조합의 모서리에 배치된 단위체의 양 측면에 그려져 있는 그림조각을 기준으로 하여, 완성된 단위체 조합의 모서리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단위체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결정된 단위체의 상면에 그려져 있는 그림이 완성되도록 새로운 단위체 조합을 완성한다. 이후, 앞선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새롭게 완성된 단위체 조합의 모서리에 배치된 단위체의 양 측면에 그려져 있는 그림조각을 기준으로 하여, 새롭게 완성된 단위체 조합의 모서리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단위체를 결정한 다음, 결정된 단위체의 상면에 그려져 있는 그림이 완성되도록 또 다른 단위체 조합을 완성한다. 이후, 이러한 과정을 2회 더 반복하면, 퍼즐의 조립이 완성된다. 이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단위체 조합을 형성할 때 동일 테마를 가지는 면으로 단위체들이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위체의 6개의 면에 그려진 그림조각들을 일일이 확인해가면서 조립하여야 한다. 따라서, 앞선 실시예 보다 퍼즐의 난이도가 훨씬 더 높아지게 된다.
또한, 각 완성된 그림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는 단위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표시(31)를 표시할 수 있다. 식별표시(31)는 완성된 그림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단위체의 면을 다른 것과 식별가능하게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퍼즐을 조립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식별표시(31)는 완성된 그림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각 단위체의 면에 특정 색상 또는 특정 문양으로 표시된다. 본 실시예 경우, 식별표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그림의 둘레를 따라 테두리 형태로 표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단위체에 식별표시가 형성되어 있으면, 각 단위체 조합을 완성시킬 때 식별표시를 기준으로 하여 그림의 가장자리 부분을 먼저 완성해가면서 보다 용이하게 단위체 조합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퍼즐의 난이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때, 각 완성된 그림에 표시된 식별표시의 형태를 다양하게 하면, 퍼즐의 난이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개의 그림에 모두 동일한 식별표시를 한 경우와, 각 테마별로는 식별표시가 서로 상이하지만 동일 테마에 포함된 5장의 그림은 서로 식별표시가 동일한 경우와, 30개의 그림에 모두 상이한 식별표시를 한 경우는 순차적으로 퍼즐의 난이도가 낮아지게 되며, 이와 같이 식별표시의 형태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퍼즐의 난이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면에 서로 다른 그림조각들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체들을 3차원 상에 입체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많은 수의 퍼즐 조각을 조립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책상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퍼즐을 조립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단위체를 맞추는 과정에 있어서, 종래 퍼즐과 같이 한 면에 형성되어 있는 그림만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다른 면의 그림을 고려하면서 맞추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보다 사용자의 지능 및 공간 지각력을 더 많이 발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몇 가지의 테마를 가지도록 그림을 구성하거나, 완성된 그림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단위체에 식별표시를 함으로써, 사용자의 지적 수준에 맞게 퍼즐의 난이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단위체에 가족이나 연인의 사진 등을 프린팅 한 경우, 완성된 퍼즐을 책상이나 장식장 등에 올려놓고 입체형 액자로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받침대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바 여러 방향에서 다양한 사진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받침대와 블록체가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 다. 예를 들어, 받침대의 바닥부는 자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각 단위체를 철과 같이 자석에 결합되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블록체를 받침대 위에 올리면, 받침대와 단위체 및 단위체와 단위체 사이에 자기력이 형성되며, 이 자기력에 의해 블록체가 그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받침대 상에 놓여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퍼즐 세트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입체형 퍼즐 세트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퍼즐 세트는 받침대(210)와, 단위체(230)를 포함한다.
받침대(210)는 복수의 단위체(230)가 놓여져 지지되는 곳으로, 복수의 삽입홈부를 가진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홈부(211), 돌출부(212) 및 삽입홈부(213)를 가진다. 홈부(211)는 정삼각형 형태로 받침대의 상면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돌출부(212)는 복수 구비되며, 홈부(211)의 내부에 정삼각형 격자형태, 즉 도 5에 도시된 형태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21개의 돌출부가 정삼각형 격자형태로 배치된다. 각 돌출부(212)의 하단부는 정삼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부는 정삼각뿔 형태, 즉 도 5의 가상원 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육면체의 1/6 조각 형태로 형성되다. 각 삽입홈부(213)는 서로 이웃한 3개의 돌출부(212)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돌출부의 사이사이에 정삼각형 격자형태로 복수개 형성된다.
단위체(230)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일 아래층 즉 최하층에 15개의 단위체(230)가 정삼각형 격자형태로 배치되며, 그 위에 10개의 단위체(230)가 정삼각형 격자형태로 배치되며, 다시 그 위에 6개, 3개 및 1개의 단위체(230)가 차례로 배치되며, 이와 같이 배치된 35개의 단위체(230)에 의해 정삼각뿔 형태의 블록체(220)가 형성된다. 이 블록체(220)는 받침대(210)의 상측에 놓여져 지지된다. 최하층에 배치된 15개의 단위체(230)는 각각 받침대의 삽입홈부(213)에 삽입되며, 각 단위체(230)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3개의 면은 삽입홈부(213)의 내측면, 즉 삽입홈부를 형성하고 있는 3개의 돌출부(212)의 상단부의 면에 각각 밀착되어 지지된다.
복수의 단위체에는 완성된 그림의 일부인 그림조각이 프린팅 되어 있는 단위체가 포함되어 있다.(도 5에서 그림조각은 빗금으로 표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완성된 형태의 그림은 복수 개의 조각으로 분할되어 단위체(230)에 프린팅 된다. 이때, 블록체(220)의 각 측면은 15개의 단위체의 면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하나의 완성된 그림은 15개의 그림조각으로 분할된다. 그리고, 블록체(220)는 35개의 단위체(230)로 구성되는 바, 블록체는 210개(35×6)의 프린팅 가능한 면을 가지며, 따라서 블록체(220)에는 최대 14개의 그림이 분할된 형태로 프린팅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3개의 완성된 그림이 분할되어 복수의 단위체의 면에 프린팅 된다. 단위체의 조립시, 그림조각이 프린팅 되어 있지 않은 단위체들은 블록체(220)의 내부에 배치되며, 그림조각이 프린팅 되어 있는 단위체들은 프린팅 되어 있는 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블록체의 외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배치되는 그림조각에 의해 블록체의 3개의 측면에는 각각 서로 다른 그림이 완성되게 된다.
또한, 각 완성된 그림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는 단위체에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식별표시를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식별표시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다 용이하게 단위체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블록체에 프린팅 되는 그림의 수를 증가시키면 그림조각이 형성되어 있는 단위체의 면의 수가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블록체의 조립시 더 많은 그림조각들을 확인해가면서 블록체를 조립하여야 하므로 퍼즐의 난이도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완성할 수 있는 그림의 수가 증가하게 되므로, 다양한 퍼즐을 조립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며, 완성된 블록체의 3개의 측면에 다양한 그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퍼즐 세트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식별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퍼즐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입체형 퍼즐 세트의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입체형 퍼즐 세트 10...받침대
11...바닥부 12...제1측면부
13...제2측면부 20...블록체
30...단위체 200...입체형 퍼즐 세트
210...받침대 213...삽입홈부
Claims (10)
- 복수의 면을 가지는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면에 서로 다른 그림조각이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각각 l, m, n(l,m,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씩 배치되어 블록체를 형성하는 k(k=l×m×n)개의 단위체를 포함하며,상기 k개의 단위체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체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그림조각들이 완성된 그림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퍼즐 세트.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블록체가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블록체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퍼즐 세트.
- 제2항에 있어서,상기 받침대는,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 바닥면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면과 교차하는 제1측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측면부와, 상기 바닥면 및 제1측면과 교차하는 제2측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측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퍼즐 세트.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각 단위체 및 상기 블록체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상기 받침대의 바닥면과, 제1측면과, 제2측면은 서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퍼즐 세트.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완성된 그림을 이루는 그림조각이 형성되어 있는 단위체의 면들 중 상기 완성된 그림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단위체의 면에는 식별가능하도록 특정 색상 또는 특정 문양의 식별표시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퍼즐 세트.
- 제5항에 있어서,상기 각 완성된 그림에 표시되는 식별표시는 상기 각 완성된 그림별로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퍼즐 세트.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블록체를 형성하는 복수의 단위체와 상기 받침대는 자기력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퍼즐 세트.
-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정삼각뿔 형태의 블록체를 형성하도록 적층되는 복수의 단위체; 및상기 블록체의 최하층에 배치된 복수의 단위체의 모서리부가 각각 삽입되어 지지되며, 정삼각형 격자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삽입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를 포함하며,상기 복수의 단위체에는 그 일면에 그림조각이 형성되어 있는 단위체가 복수 포함되어 있으며,상기 그림조각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체는, 상기 블록체의 3개의 측면에 상기 그림조각들로 완성된 그림이 각각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퍼즐 세트.
- 제8항에 있어서,상기 각 삽입홈부는 상기 각 단위체의 모리리부를 형성하며 서로 직교하는 3개의 면이 함께 접촉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퍼즐 세트.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완성된 그림을 이루는 그림조각이 형성되어 있는 단위체의 면들 중 상기 완성된 그림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단위체의 면에는 식별가능하도록 특정 색상 또는 특정 문양의 식별표시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퍼즐 세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3205A KR20100034195A (ko) | 2008-09-23 | 2008-09-23 | 입체형 퍼즐 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3205A KR20100034195A (ko) | 2008-09-23 | 2008-09-23 | 입체형 퍼즐 세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4195A true KR20100034195A (ko) | 2010-04-01 |
Family
ID=4221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3205A KR20100034195A (ko) | 2008-09-23 | 2008-09-23 | 입체형 퍼즐 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3419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4204B1 (ko) * | 2010-12-07 | 2011-03-23 | 에스디상사 (주) | 황금분할을 이용한 조립블록 |
-
2008
- 2008-09-23 KR KR1020080093205A patent/KR20100034195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4204B1 (ko) * | 2010-12-07 | 2011-03-23 | 에스디상사 (주) | 황금분할을 이용한 조립블록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33077B1 (en) | Pixel blocks | |
US5823533A (en) | Puzzles in two and three dimensions | |
US20100237561A1 (en) | Toy block assembly puzzle | |
US10232279B2 (en) | Modular cube building system | |
CA2371339A1 (en) | Three dimensional puzzle | |
EA021219B1 (ru) | Игровая принадлежность, в частности игральная кость | |
US9216344B1 (en) | Tile alignment and matching game | |
US20190275417A1 (en) | Multifaced 3-D Puzzle Building Blocks | |
KR20100034195A (ko) | 입체형 퍼즐 세트 | |
KR20220020253A (ko) | 3차원 퍼즐 | |
KR101054297B1 (ko) | 액자형 입체퍼즐 | |
US4430824A (en) | Composite-picture forming play kit | |
US20030209854A1 (en) | 3D jigsaw puzzle | |
GB2510588A (en) | A jigsaw puzzle with interchangeable regions | |
KR200427056Y1 (ko) | 데코 패널 | |
US7523938B2 (en) | 3D jigsaw puzzle | |
KR200453218Y1 (ko) | Cd 케이스를 이용한 퍼즐 놀이판 | |
CN217220149U (zh) | 一种拼插卡牌和棋盘 | |
JP7052115B1 (ja) | 遊具 | |
KR20050005077A (ko) | 자체 형상 변경이 가능한 큐브 블록 조립체 | |
KR100911686B1 (ko) | 제품디자인용 보조도구 | |
JP6938020B2 (ja) | 錯視立体群 | |
KR200427055Y1 (ko) | 데코 패널 | |
US10322337B2 (en) | Hexagonal prismatic packing puzzle | |
KR20180002774U (ko) | 블록퍼즐세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