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2876A - 카드(또는 계좌)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카드(또는 계좌)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2876A
KR20100032876A KR1020100018741A KR20100018741A KR20100032876A KR 20100032876 A KR20100032876 A KR 20100032876A KR 1020100018741 A KR1020100018741 A KR 1020100018741A KR 20100018741 A KR20100018741 A KR 20100018741A KR 20100032876 A KR20100032876 A KR 20100032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account
terminal
custom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00018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2876A/ko
Publication of KR20100032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8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따른 카드(또는 계좌)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카드(또는 계좌) 관리방법은 이용 제한(또는 정지)이 설정된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임시 해제 또는 일회성 해제)시키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임시 해제 또는 일회성 해제)시키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를 고객 또는 고객 단말로부터 입력받거나 또는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또는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임시 해제 또는 일회성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드(또는 계좌) 관리방법{Method for Managing Card(or Account)}
본 발명은 이용 제한(또는 정지)이 설정된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임시 해제 또는 일회성 해제)시키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임시 해제 또는 일회성 해제)시키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를 고객 또는 고객 단말로부터 입력받거나 또는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또는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임시 해제 또는 일회성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또는 계좌)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MS(Magnetic Stripe)카드 및/또는 IC(Integrated Circuit)카드를 포함하는 소정의 매체와 정보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 서비스가 널리 보급되었으나, 상키 카드를 통해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에 있어서 정보통신 기술의 허점을 역으로 이용하는 부정 사용 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MS카드의 경우 MS 트랙에 금융 및/또는 결제 관련 정보를 직접 기록함으로써 복제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대면방식의 카드 결제시, 비밀번호를 요구하지 않음으로 상기 MS카드의 발행 및 배송과정에서 이것을 불법적으로 복제하거나, 또는 도난 또는 분실된 경우, 상기 카드를 이용한 부정 사용에 대한 피해가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IC카드의 경우 IC칩 자체의 우수한 보안성으로 인해 복제는 용이하지 않지만, 도난 또는 분실된 IC카드(물론 MS카드도 포함)를 점유한 자가 피싱을 통해 상기 카드의 비밀번호를 불법적으로 획득하는 경우, 카드를 이용한 부정 사용에 대한 피해가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카드를 도난 또는 분실한 경우 분실신고 접수시점으로부터 25일전이후(현금서비스는 신고시점 이후)에 발생한 제3자의 카드 부정사용금액에 대해서는 카드회사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으나, (1) 회원의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인한 부정사용의 경우, (2) 카드의 대여, 양도, 담보제공, 불법대출 등으로 인한 부정사용의 경우, (3) 회원의 가족, 동거인(사실상의 동거인 포함)에 의한 부정사용 또는 이들이 관련하여 생긴 부정사용의 경우, (4) 천재지변, 전쟁, 내란, 풍수해, 기타 이와 비슷한 변란으로 인한 질서문란 중에 카드를 분실, 도난당하여 생긴 부정사용의 경우, (5) 부정사용의 피해조사를 위하여 카드사가 정한 조사에 협조하지 아니한 경우, 및 (6) 카드에 서명하지 않은 상태에서 카드를 분실, 도난당하여 생긴 부정사용의 경우 등에는 보상 받을 수 없으며, 설령 보상 받는다고 할지라도 그 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부정 사용에 의한 현금 서비스의 경우 전혀 보상받을 수 없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 제한(또는 정지)이 설정된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임시 해제 또는 일회성 해제)시키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임시 해제 또는 일회성 해제)시키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를 고객 또는 고객 단말로부터 입력받거나 또는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또는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임시 해제 또는 일회성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또는 계좌)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또는 계좌) 관리방법은, 이용 제한(또는 정지)이 설정된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임시 해제 또는 일회성 해제)시키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임시 해제 또는 일회성 해제)시키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를 고객 또는 고객 단말로부터 입력받거나 또는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또는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임시 해제 또는 일회성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또는 계좌) 관리방법은, 이용 제한(또는 정지)이 설정된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일시적으로 또는 일정시간동안 해제시키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를 고객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 고객 단말 또는 고객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된 고객 카드(또는 계좌)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고객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확인된 고객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일시적으로 또는 일정시간동안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드의 불법복제에 의한 부정 사용, 및/또는 도난 또는 분실된 카드에 대한 부정 사용, 및/도는 피싱(Phishing)을 통해 획득된 카드정보 또는 금융정보를 이용한 부정 사용을 포함하는 카드 이용 또는 금융 거래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이용 또는 금융 거래가 개시되는 단계에서 부정 사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 기반의 카드(또는 계좌)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 기반의 카드(또는 계좌)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단말 기반의 카드(또는 계좌)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단말 기반의 카드(또는 계좌)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 기반의 카드(또는 계좌) 관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 기반의 카드(또는 계좌) 관리 방법에서 단말(또는 고객 단말) 측 동작 실시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 기반의 카드(또는 계좌) 관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단말 기반의 카드(또는 계좌) 관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무인 금융단말을 통한 금융거래 과정에서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 내역이 출력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무인 금융단말을 통한 금융거래 과정에서 카드(또는 계좌) 이용을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상기 저장매체를 상기 서버에서 접근 가능한 네트워크 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저장매체가 상기 서버 내에 구비되어도 무방함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 기반의 카드(또는 계좌)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카드(또는 계좌) 관리를 위한 기능구성을 포함하는 서버(100)가 금융시스템(예컨대, 카드사 서버 또는 은행서버) 상에 구비되고, 오프라인 상에 구비된 소정의 단말(150)을 통해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를 위한 카드(계좌) 이용시, 상기 카드(또는 계좌)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도면1에서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상기 서버(100)에 구비되는 기능구성을 모두 상기 서버(100)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서버(100) 내에 구비된 기능구성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당업자의 의도 및 상기 카드(또는 계좌) 관리 시스템이 구비되는 금융시스템의 특징에 따라 소정의 네트워크 및/또는 통신수단을 통해 연동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서버(100)(예컨대, 계정계 서버, 대외계 서버, 정보계 서버, ...)에 분리되어 구비되어도 무방함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서버(100)가 상기 금융시스템과 연동하는 이동통신사 서버와, VAN사 서버와, 네트워크 상의 서버이어도 무방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카드(또는 계좌) 관리 시스템은 본 발명을 따르는 카드(또는 계좌) 관리 기능구성을 구비한 서버(100)와 본 발명을 따르는 카드(또는 계좌) 관리를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145)를 포함하는 서버측과, 상기 서버(100)와 연동하여 소정의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150)과, 상기 단말(150)을 통해 상기 서버측으로부터 소정의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이 소유한 소정의 고객 단말(155)과 상기 고객 소유 카드(예컨대, MS카드, IC카드, 고객 단말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말(150)은 상기 서버(100)와 연동하여 상기 고객에게 소정의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로서, 현금 자동 입출금기(Automatic Teller Machine; ATM) 또는 현금 자동 지급기(Cash Dispenser; CD)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인 금융단말, 및/또는 전자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용조회단말(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또는 접촉식(또는 비접촉식) IC카드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결제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150)은 상기 서버측과 연동하여 소정의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네트워크 및/또는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서버(100)로 소정의 전자금융(또는 결제) 정보(예컨대, 고객 소유 카드로부터 독출되는 정보, 및/또는 단말(150)에 구비된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 및/또는 단말(150)에 구비된 소정의 통신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상기 서버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100)로부터 상기 전자금융(또는 결제)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단말(150)이 ATM/CD를 포함하는 무인 금융단말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단말(150)은 상기 고객 소유 카드로부터 독출된 카드정보(또는 계좌정보)와 상기 단말(150)에 구비된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금융거래 종류(예컨대, 입금, 출금, 계좌이체, ...)와 금융거래 금액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전자금융 정보를 상기 서버(100)로 전송하여 전자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말(150)이 신용조회단말 또는 IC카드 단말을 포함하는 결제 단말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단말(150)은 상기 고객 소유 카드로부터 독출되는 카드정보(또는 결제수단 정보)와 상기 단말(150)에 구비된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결제종류(예컨대, 신용결제, 직불결제, ...)와 결제금액(결제금액은 POS(Point Of Sales) 단말로부터 수신 가능)을 포함하는 전자결제 정보를 상기 서버(100)로 전송하여 전자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고객 단말(155)은 상기 고객이 소유하며 소정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 입력(또는 생성)하여 상기 서버(100)로 소정의 전송하는 단말장치로서, 상기 고객 소유의 개인 통신 단말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단말기 또는 개인 디지털 셀룰러 단말기(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또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단말기 또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기 또는 휴대 인터넷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단말, 및/또는 상기 고객이 이용하는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또는 노트북(Notebook)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소정의 유선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고객 단말(155)을 통해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매체(145)는 금융시스템 상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및/또는 D/B서버 및/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에 구비되는 정보 저장수단으로서, 상기 고객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과 상기 고객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을 해제하는 소정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 및/또는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는 소정의 고객 정보 및/또는 고객 단말 정보 및/또는 고객 카드(또는 계좌)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매체(145)에 저장되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 및/또는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는 상기 고객이 상기 고객 단말(155)(예컨대,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 및/또는 유무선 음성통화 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통화 단말, 및/또는 홈 뱅킹 및/또는 홈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텔레비전(DTV)을 포함하는 가전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클라이언트측 단말을 통해 등록하거나, 또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 발급 기관(금융기관)에서 설정하여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이 모든 고객에게 동일하게 적용되거나, 또는 특정 조건으로 고정된 경우(예컨대,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무조건 임시 정지 상태로 고정된 경우),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은 소정의 고객 정보 및/또는 고객 단말 정보 및/또는 고객 카드(또는 계좌) 정보와 연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은 상기 카드(계좌)를 이용하는 특정 금융거래(또는 결제)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을 제한(또는 정지)시키는 조건과, 특정 시간대에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시키는 조건과, 특정 금액 이상 이용시,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시키는 조건과, 특정 금액 이상 출금 또는 결제처리시,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시키는 조건과, 특정 가맹점에서 이용시,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시키는 조건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객이 직접 설정하여 등록하거나, 및/또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 발급 기관에서 설정하여 등록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145)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와, 고객 IC카드에 구비되는 IC칩과, 고객 무선단말기내 구비되는 메모리(또는 IC칩)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 서비스가 섀도우 어카운트(Shadow Account)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145)는 상기 고객 IC카드에 구비된 IC칩 상의 메모리부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또는 상기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150)과 고객 단말(155)이 고객 소유 무선 단말로 동일한 경우, 상기 저장매체(145)는 상기 무선 단말기 내 구비되는 메모리(또는 IC칩)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버(100)는 고객 카드(또는 계좌) 이용시, 상기 저장매체(145)에 저장된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을 확인하는 확인부(125)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에 부합되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을 제한(또는 정지)시키는 처리부(130)와, 상기 고객 또는 고객 소유 단말(155)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110)와, 상기 입력 또는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저장매체(145)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부(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입력 또는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임시 해제 또는 일회성 해제)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100)는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150)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10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105)는 종래 금융시스템 상의 대외계로 대체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서버(10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 또는 통화 단말 또는 결제 단말 또는 유인 금융단말 또는 무인 금융단말 또는 가전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설정된 소정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 및/또는 소정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145)에 저장하는 저장부(11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고객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된 경우,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 내역을 상기 단말(150) 및/또는 고객 단말(155)로 전송하는 전송부(1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버(100)는 상기 고객의 카드(또는 계좌)를 이용하는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부(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금융부는 종래 금융시스템 상의 계정계로 대체하여도 무방하다.
고객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시, 상기 단말(150)로부터 소정의 전자금융(또는 결제) 정보가 상기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상기 서버(100)로 수신되는데, 상기 확인부(125)는 상기 전자금융(또는 결제)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 서비스에 대응하는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 조건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145)에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이 소정의 고객 카드(또는 계좌) 정보(또는 고객 정보, 또는 고객 단말 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된 경우, 상기 확인부(125)는 상기 전자금융(도는 결제) 정보로부터 상기 고객 카드(또는 계좌) 정보(또는 고객 정보, 또는 고객 단말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저장매체(145)로부터 상기 고객 카드(또는 계좌) 정보(또는 고객 정보, 또는 고객 단말 정보)와 연계 처리된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을 판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145)에 모든 고객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이 저장된 경우, 상기 확인부(125)는 상기 단말(150)로부터 상기 전자금융(도는 결제) 정보가 수신되며, 상기 저장매체(145)로부터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 추출 및 판독한다.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의 확인결과 상기 카드(또는 계좌)를 이용하는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 서비스를 제한(또는 정지)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전자금융(또는 결제)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도록 상기 카드(또는 계좌)에 대응하는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 모드를 비활성(Disable)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송부(120)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 내역을 상기 단말(150) 및/또는 고객 단말(155)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 내역 전송과정에서 상기 단말(150) 및/또는 고객 단말(155)로부터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시키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이 무조건 이용 제한(또는 정지)으로 고정된 경우, 상기 전송부(120)는 상기 단말(150)로부터 상기 전자금융(또는 결제) 정보가 수신된 후, 상기 단말(150) 및/또는 고객 단말(155)로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 내역을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시키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송부(120)에 의해 전송된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 내역 및/또는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체 요청은, 상기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150)로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150)로 전송된 후 소정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고객 단말(155)로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155)로 전송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신부(110)는 상기 단말(150) 및/또는 고객 단말(155)로부터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하는 소정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는 숫자 및/또는 문자로 이루어진 데이터와, 특정 이미지 및/또는 사운드 및/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데이터와, 고객 정보 및/또는 고객 생체정보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는 상기 단말(150)에서 입력(또는 생성)되어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고객 단말(155)에서 입력(또는 생성)되어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고객 단말(155)에서 입력(또는 생성)되어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150)로 제공된 후 상기 단말(150)에서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일시적으로 또는 일정 시간동안 해제 시키는 소정의 시간정보 데이터와, 상기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이 일시적으로 또는 일정 시간동안 해제된 경우, 상기 카드(또는 계좌)를 통해 이용 가능한 금액 정보 데이터와, 상기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이 일시적으로 또는 일정 시간동안 해제된 경우, 상기 카드(또는 계좌)를 통해 이용 가능한 가맹점 정보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증부(135)는 상기 단말(150) 및/또는 고객 단말(155)로부터 수신된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와 상기 저장매체(145)에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수신된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에 의해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비활성화된 상기 고객의 카드(또는 계좌)를 활성화시키는 인증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일시적으로 또는 일정 시간동안 해제시키는 소정의 시간정보 데이터, 또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이 일시적으로 또는 일정 시간동안 해제된 경우, 상기 카드(또는 계좌)를 통해 이용 가능한 금액 정보 데이터, 또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이 일시적으로 또는 일정 시간동안 해제된 경우, 상기 카드(또는 계좌)를 통해 이용 가능한 가맹점 정보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부(130)는 상기 인증부(135)에 의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는 경우, 소정의 단말(150)과 서버(100)가 연동하여 카드(또는 계좌)에 대한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카드(또는 계좌)에 대한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130)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일정 기간(또는 일시적, 또는 일정 시간) 동안 해제하거나, 및/또는 일회용(또는 N회용, N>1)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이 일정 기간 동안 해제되는 경우, 상기 처리부(130)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에 무관하게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카드(또는 계좌)를 이용할 수 없도록 제한(또는 정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이 일회용(또는 N회용)으로 해제되는 경우, 상기 처리부(130)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에 대한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 서비스가 일회(또는 N회) 제공된 후 상기 카드(또는 계좌)를 이용할 수 없도록 제한(또는 정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이 일정 기관 동안 일회(또는 N회) 사용하는 것으로 해제되는 경우, 상기 처리부(130)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에 대한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 서비스가 일정 기간 내에 일회(또는 N회) 사용되는 경우 상기 기간과 무관하게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을 제한(또는 정지)하거나 사용횟수에 상관없이 상기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을 제한(또는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융부(140)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가능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상기 단말(150)과 연동하여 상기 단말(150)로부터 요청되는 소정의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상기 단말(150)로부터 요청되는 소정의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무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100)는 금융시스템에 기 구비된 구성요소(예컨대, 금융시스템의 계정계, 정보계, 고객계, ...) 내에 구비되거나, 상기와 같이 기 구비된 구성요소와 연동하는 소정의 카드(또는 계좌) 관리계를 신규로 구성하여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소정의 서버(100) 내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소정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카드(또는 계좌) 관리를 위한 별도의 호스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 기반의 카드(또는 계좌)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카드(또는 계좌) 관리를 위한 기능구성을 포함하는 서버(100)가 금융시스템 상에 구비되고, 온라인 상에 구비된 소정의 단말(150)을 통해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를 위한 카드(계좌) 이용시, 상기 카드(또는 계좌)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카드(또는 계좌) 관리 시스템 참조하여 본 도면2의 기술적 구성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도면2에서 금융시스템 상에 구비되는 서버측의 기능구성은 상기 도면1과 같으며, 상기 단말(150)이 인터넷 뱅킹 및/또는 온라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또는 노트북(Notebook)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소정의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뱅킹 및/또는 무선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통신 단말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단말기 또는 개인 디지털 셀룰러 단말기(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또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단말기 또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기 또는 휴대 인터넷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단말, 및/또는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또는 콜센터(Call Center)를 기반으로 폰 뱅킹 및/또는 폰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무선 음성통화 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통화 단말, 및/또는 홈 뱅킹 및/또는 홈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텔레비전(DTV)을 포함하는 가전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유선 단말은 인터넷을 포함하는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측과 연결되며, 상기 무선 단말은 이동 통신망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측과 연결되며, 상기 통화단말은 공중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을 포함하는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측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무선 단말은 소정의 음성채널을 통해 상기 통화 단말의 기능을 겸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 또는 통화 단말 또는 가전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은 상기 고객 소유의 고객 단말(155)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단말 기반의 카드(또는 계좌)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1의 서버측 구비되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 관리를 위한 기능구성이 무인 금융단말(ATM/CD)을 포함하는 단말측에 구비되고, 상기 단말(150)을 통해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를 위한 카드(계좌) 이용시, 상기 카드(또는 계좌)를 통한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상기 카드(또는 계좌)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서버측 기능구성을 참조하여 무인 금융단말(ATM/CD)을 포함하는 본 도면3의 단말(150)에 구비되는 기능구성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본 도면3에 도시된 기능구성을 참조하여 상기 카드(또는 계좌) 관리 기능구성이 무인 금융단말(ATM/CD) 외에 다른 단말(예컨대, 결제 단말)에 구비되는 경우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3을 참조하면, 무인 금융단말는 제어부(300)와 메모리부(365)와 카드 리더수단(335)과 화면 출력수단(340)과 키 입력수단(345)과 통신수단(350)과 생체정보 입력수단(355)과 현금 지급수단(360)과 본 무인 금융단말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300)는 기능 구성 상 무인 금융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각 구성요소 간 정보 또는 데이터의 흐름을 관리하며, 카드(또는 계좌) 관리를 위해 무인 금융단말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드웨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MPU(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버스(BUS)와 이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회로(또는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 특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무인 금융단말에 구비되어 있는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Loading)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따라서, 카드(또는 계좌) 관리를 위해 무인 금융단말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루틴이 본 제어부(300)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300)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무인 금융단말이 부팅된 후 상기 무인 금융단말을 관리하는 소정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및/또는 단말 제어 프로그램 루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모리부(365)는 상기 제어부(300)가 소정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으로서, 하드웨어적으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M(Flash Memory), HDD(Hard Disk Drive)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제어부(300)가 소정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과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 루틴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365)는 상기 고객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과 상기 고객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을 해제하는 소정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 및/또는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는 소정의 고객 정보 및/또는 고객 단말 정보 및/또는 고객 카드(또는 계좌)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은 상기 카드(계좌)를 이용하는 특정 금융거래(또는 결제)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을 제한(또는 정지)시키는 조건과, 특정 시간대에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시키는 조건과, 특정 금액 이상 이용시,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시키는 조건과, 특정 금액 이상 출금 또는 결제처리시,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시키는 조건과, 특정 가맹점에서 이용시,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시키는 조건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저장 정보는 상기 도면1과 같다.
상기 카드 리더수단(335)은 카드(또는 계좌) 관리를 위해 카드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읽어오기 위해 상기 카드와 무인 금융단말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ISO/IEC 7810 규격에 기반하는 MS(Magnetic Stripe)카드를 무인 금융단말와 인터페이싱하는 MS 리더수단 및/또는 ISO/IEC 7816 규격에 기반하는 접촉식 IC(Integrated Circuit)카드를 무인 금융단말와 인터페이싱하는 접촉식 IC 리더수단 및/또는 ISO/IEC 14443 규격에 기반하는 비접촉식 IC카드를 무인 금융단말와 인터페이싱 하는 비접촉식 IC 리더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MS 리더수단은 ISO/IEC 7810에 근거하는 카드 리더수단(335)으로서, 소정의 코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기 헤드(Magnetic Hea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소정의 정보(예컨대, 자성화된 이진정보)가 기록된 MS카드가 상기 자기 헤드와 밀착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또는 자기 헤드가 소정의 정보가 기록된 MS카드와 밀착하여 이동)하면, 상기 자기 헤드에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로딩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MS카드의 MS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랙(Track)으로부터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무인 금융단말로 인터페이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촉식 IC 리더수단은 ISO/IEC 7816에 근거하는 카드 리더수단(335)으로서, 접촉식 IC카드에 구비된 COB(Chip On Board; COB)와 접촉식으로 전기적 접점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접촉점을 통해 상기 IC카드의 IC칩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이용하는 상기 반이중(Half Duplex) 방식의 트랜잭션을 통해 상기 IC칩으로부터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무인 금융단말로 인터페이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접촉식 IC 리더수단은 ISO/IEC 14443에 근거하는 카드 리더수단(335)으로서, 정전결합(Capacitive Coupling) 및/또는 전자유도(Inductive Coupling) 등을 이용하여 비접촉식 IC카드와 비접촉식으로 전기적 접점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IC카드의 IC칩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APDU를 이용하는 상기 반이중(Half Duplex) 방식의 트랜잭션을 통해 상기 IC칩으로부터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무인 금융단말로 인터페이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드 리더수단(335)은 MS방식 및/또는 접촉식 IC방식 및/또는 비접촉식 IC방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을 통해 소정의 고객 고유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카드(예컨대, 고객이 재직중인 회사에서 임직원에게 발급한 사원카드, 소정의 카드발급사에서 상기 고객에게 발급한 카드(예컨대, 공인 인증서가 구비된 IC카드))로부터 상기 고유 식별정보를 읽어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카드 리더수단(335)은 상기 고객의 고유 식별정보가 상기 고객이 소유하고 있는 사원카드 또는 IC카드에 저장된 정보인 경우,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상기 사원카드 또는 IC카드로부터 상기 고객의 고유 식별정보를 읽어오는 정보 입력 기능을 수행한다.
또는, 상기 고객에 대한 소정의 공인 인증서를 구비한 IC카드(공인 인증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로부터 상기 공인 인증서 정보를 추출하는 경우, 상기 카드 리더수단(335)은 소정의 정보 추출수단으로부터 상기 고객의 고유 식별정보를 읽어오는 정보 입력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화면 출력수단(340)은 무인 금융단말에서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또는 CRT(Cathode Ray Tube)를 포함하는 소정의 화면 출력장치로 출력되도록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실시간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무인 금융단말에서 상기 화면에 출력되도록 미리 정의된 정보 또는 데이터에는 상기 키 입력수단(345)을 통해 입력되는 키 데이터, 무인 금융단말에 구비되어 있는 구성요소에 의해 저장 또는 생성되는 정보, 통신수단(350)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무인 금융단말에서 수행하는 소정의 연산결과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라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면 출력수단(340)은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시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며, 본 발명에 따른 카드(또는 계좌) 관리 과정에서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내역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 입력수단(345)은 다수의 숫자키(Number Key)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키(Character Key), 그리고 기능키(Function Key)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정의 키 입력장치로부터 운영자 및/또는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클릭하여 발생하는 해당 키 데이터(Key Data)를 상기 제어부(300)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300)는 키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키 데이터를 판독 및 상기 무인 금융단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와 연계하여 상기 키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능 및/또는 미리 정의된 작업을 제어한다.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수단(345)은 상기 화면 출력수단(340)에 포함되는 소정의 화면 출력장치 위에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수단(345)은 상기 카드(또는 계좌)를 통해 금융거래시 요구되는 소정의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 중에서 숫자 및/또는 문자로 이루어진 데이터, 또는 소정의 고객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수단(350)은 무인 금융단말에 구비되어 있는 트랜잭션 기능(예컨대, 무인 금융단말과 금융사 간 금융거래를 위한 트랜잭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드웨어적으로 VAN(Value Added Network), 금융공동망 또는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네트워크와 이동 통신망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유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100)와 트랜잭션 통신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통신수단 및/또는 소정의 케이블 통신포트(예컨대, RS-232c, USB(Universal Serial Bus) 등)를 통해 외부 통신장치와 트랜잭션 통신을 제공하는 케이블 통신수단 및/또는 적외선(Infrared Ray)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 Band system)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근거리 통신장치와 트랜잭션 통신을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 트랜잭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생체정보 입력수단(355)은 상기 고객의 지문, 손형상, 홍채, 음성, 안면, 서명, 망막, 정맥모양, DNA(Deoxyribo Nucleic Acid)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생체정보 인식 모듈로서, 현재 무선 단말기에 탑재되는 가장 대표적인 생체정보 인식 모듈은 고객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 모듈이며, 향후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안면, 망막 인식 모듈, 또는 레이저(또는 적외선) 포인터를 이용한 손형상, 정맥모양 인식 모듈, 또는 상기 LCD 화면을 터치 스크린으로 이용하는 서명인식 모듈, 또는 마이크를 이용한 음성 인식 모듈이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생체정보 입력수단(355)은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 중에서 고객 생체정보(예컨대, 고객의 지문, 손형상, 홍채, 음성, 안면, 서명, 망막, 정맥모양, DNA(Deoxyribo Nucleic Acid))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금 지급수단(360)은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에 대응하는 현금 출금 거래시, 상기 현금 출금이 승인되는 경우 소정의 출금액을 상기 무인 금융단말에 구비된 현금 적재함으로부터 독출하여 소정의 현금 방출장치를 통해 상기 고객에게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인 금융단말에는 당업자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 중에서 특정 이미지 및/또는 사운드 및/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예컨대, 카메라 내지 마이크),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구성(예컨대, 보안응용모듈(Secure Application Module; SAM), 영수증 인쇄기)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으며 설명의 효율성을 위해 다른 구성요소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인 금융단말은 고객 카드(또는 계좌) 이용시, 상기 저장매체(145)에 저장된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을 확인하는 확인부(330)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에 부합되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을 제한(또는 정지)시키는 처리부(315)와, 상기 고객 또는 고객 소유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또는 수신하는 수신부(320)와, 상기 입력 또는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저장매체(145)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부(3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처리부(315)는 상기 입력 또는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임시 해제 또는 일회성 해제)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인 금융단말은 상기 고객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된 경우,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 내역을 상기 화면 출력수단(340)을 통해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버(100)는 상기 고객의 카드(또는 계좌)를 이용하는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금융부는 종래 무인 금융단말에 구비되는 단말측 계정계 수단(또는 계정계 프로그램)으로 대체하여도 무방하다.
도면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단말 기반의 카드(또는 계좌)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3과 같은 무인 금융단말(ATM/CD)의 기능구성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저장 정보가 상기 단말(150)에서 접근 가능한 네트워크 상에 구비되고, 상기 단말(150)을 통해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를 위한 카드(계좌) 이용시, 상기 카드(또는 계좌)를 통한 전자금융 및/또는 전자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상기 카드(또는 계좌)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 기반의 카드(또는 계좌) 관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소정의 무인 금융단말을 통해 카드(또는 계좌)를 이용하여 전자금융 거래시, 상기 전자금융 거래 과정에서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된 카드(또는 계좌)를 실시간 이용 해제하는 바람직한 서버 기반의 카드(또는 계좌) 관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무인 금융단말을 통해 카드(또는 계좌) 이용시, 상기 무인 금융단말로부터 상기 서버(100)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요소를 포함하는 전자금융 정보가 수신된다(500).
상기와 같이 전자금융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145)로부터 상기 전자금융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예컨대, 전자금융 정보에 포함된 카드(또는 계좌) 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된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을 추출하고(505),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을 판독하여 상기 고객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을 제한(또는 정지)할지 여부를 판단한다(510).
만약 상기 판단결과 상기 고객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을 제한(또는 정지)하지 않는다면(515), 상기 서버(100)는 상기 수신된 전자금융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고객에게 소정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560).
반면 상기 고객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을 제한(또는 정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515), 상기 서버(100)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한 제한(또는 정지)하도록 상기 카드(또는 계좌)를 비활성화 시킨다(52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고객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은 상기 카드(계좌)를 이용하는 특정 금융거래(또는 결제)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을 제한(또는 정지)하는 것과, 특정 시간대에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하는 것과, 특정 금액 이상 이용시,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하는 것과, 특정 금액 이상 출금 또는 결제처리시,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하는 것과, 특정 가맹점에서 이용시,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하는 것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객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은 상기 고객 단말(155)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여 일시적으로 또는 일정 시간 동안 해제되었다가, 다시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 되는 것과, 특정 금액 이상 이용시,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되는 것과, 특정 금액 이상 출금 또는 결제처리시,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되는 것과, 특정 가맹점에서 이용시,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되는 것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의 카드(또는 계좌)가 무조건 이용 제한(또는 정지)으로 고정된 경우, 상기 과정(505~520)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인 고객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된 경우(520), 상기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또는 고객 단말)로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내역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전자금융 정보에 대응하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을 해제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요청하고(525), 상기 단말(또는 고객단말)로부터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는데(530),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 요청에 대응하는 단말(또는 고객 단말)의 동작 실시과정은 도면6a에서 도면6d를 통해 설명한다.
만약 상기 단말(150)(또는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가 수신된다면 (535), 상기 서버(100)는 상기 수신된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와 상기 저장매체(145)에 저장된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며(540), 상기 유효성 인증 방법은 상기 도면1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만약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는다면(545), 상기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150)(또는 고객 단말)로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해제 오류를 전송하여 출력한다(550).
반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면(545), 상기 서버(100)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과 상기 수신된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고객의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임시 해제, 또는 일회용 해제) 시킨 후(555), 상기 전자금융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56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는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여 일시적으로 또는 일정 시간 동안 해제되었다가,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에 따라 다시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서버(100)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을 근거로 상기 고객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을 다시 제한(또는 정지)할지 판단하는데, 만약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을 다시 제한(또는 정지)한다면(565). 상기 서버(100)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한 제한(또는 정지)하도록 상기 카드(또는 계좌)를 비활성화 시킨다(570).
도면6a, 6b, 6c,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 기반의 카드(또는 계좌) 관리 방법에서 단말(150)(또는 고객 단말) 측 동작 실시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a, 6b, 6c, 6d는 상기 도면5에서 상기 서버(100)에서 단말(150)(또는 고객 단말)로 소정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단말(150)(또는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100)로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가 수신되는 동안의 동작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도면6a는 상기 서버(100)에서 상기 단말(150)로 소정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요청하면, 상기 단말(150)에서 소정의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입력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100)로 전송하는 경우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단말(150)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100)로부터 상기 고객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 전송 요청을 확인하면(600a), 상기 단말(150)은 소정의 데이터 입력수단(예컨대, 키 입력수단, 생체정보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을 해제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독출하고(605a),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100)로 전송한다(610a).
본 도면6a는 상기 서버(100)에서 상기 단말(150)로 소정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요청하면, 상기 단말(150)에서 소정의 고객 단말(155)로부터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수신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100)로 전송하는 경우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단말(150)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100)로부터 상기 고객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 전송 요청을 확인하면(600b), 상기 단말(150)은 소정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정의 고객 단말(155)(예컨대, 근거리 통신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로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을 해제하는 데이터 제공을 요청하고(605b), 상기 고객 단말은 소정의 데이터 입력수단(예컨대, 무선 단말에 구비되어 있는 키 입력수단(키패드), 생체정보 입력수단(지문인식모듈), 음성 입력수단(마이크), 화상 입력수단(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독출하고(610b), 상기 독출된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제공하면(615b), 상기 단말(150)에서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100)로 전송한다(620b).
본 도면6c는 상기 서버(100)에서 소정의 고객 단말(155)(예컨대, 무선 단말)로 콜백유알엘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통해 소정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요청하면, 상기 고객 단말(155)에서 소정의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콜백유알엘을 통해 상기 서버(100)로 전송하는 경우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고객 단말이 콜백유알엘을 포함하는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 요청 메시지 수신을 확인하면(600c), 상기 고객 단말은 소정의 데이터 입력수단(예컨대, 무선 단말에 구비되어 있는 키 입력수단(키패드), 생체정보 입력수단(지문인식모듈), 음성 입력수단(마이크), 화상 입력수단(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독출하고(605c), 상기 콜백유알엘을 통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상기 서버(100)로 전송한다(610c).
본 도면6d는 상기 서버(100)에서 상기 단말(150)로 콜백유알엘을 포함하여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요청하면, 상기 단말(150)에서 소정의 고객 단말(155)로 상기 콜백유알엘을 통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하도록 하는 경우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단말이 콜백유알엘을 포함하는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 요청이 수신된 것을 확인하면(600d), 상기 단말은 소정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정의 고객 단말(155)(예컨대, 근거리 통신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로 상기 콜백유알엘을 전송 및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을 해제하도록 요청하고 (605d), 상기 고객 단말은 소정의 데이터 입력수단(예컨대, 무선 단말에 구비되어 있는 키 입력수단(키패드), 생체정보 입력수단(지문인식모듈), 음성 입력수단(마이크), 화상 입력수단(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독출하고(610d), 상기 콜백유알엘을 통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상기 서버(100)로 전송한다(615d).
도면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 기반의 카드(또는 계좌) 관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소정의 무인 금융단말을 통해 카드(또는 계좌)를 이용하여 전자금융 거래시, 소정의 고객 단말(155)에서 상기 금융시스템 상의 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된 카드(또는 계좌)를 소정의 우선 해제한 후, 상기 카드(또는 계좌)를 통해 전자금융 서비스를 제공받는 바람직한 서버 기반의 카드(또는 계좌) 관리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서버(100)가 관리하는 상기 저장매체(145)에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이 상기 고객 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7을 참조하면, 고객 단말(155)(예컨대, 유선 단말, 무선 단말)은 소정의 네트워크(예컨대, 유선 단말의 경우 유선 네트워크, 무선 단말의 경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100)에 접속하여 소정의 고객 정보(예컨대, ID/PW)를 통해 고객 인증을 수행하면(700), 상기 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145)로부터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을 추출하여 상기 고객 단말(155)로 전송하고(705), 상기 고객 단말(155)은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에 대응하는 소정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입력한다(710).
예컨대,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이 상기 카드(계좌)를 이용하는 특정 금융거래(또는 결제)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을 제한(또는 정지)하는 경우,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는 상기 특정 금융거래(또는 결제)에 대한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일회용 해제)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또는 특정 시간대에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하는 경우,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는 상기 특정 시간대에 대한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일회용 해제)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특정 금액 이상 이용시,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하는 경우,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는 상기 특정 금액 이상에 대한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일회용 해제)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또는 특정 금액 이상 출금 또는 결제처리시,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하는 경우,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는 상기 특정 금액 이상 출금 또는 결제처리에 대한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일회용 해제)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또는 특정 가맹점에서 이용시,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하는 경우,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는 상기 특정 가맹점에 대한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일회용 해제)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일시적으로 또는 일정 시간동안 해제시키는 소정의 시간정보 데이터와, 상기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이 일시적으로 또는 일정 시간동안 해제된 경우, 상기 카드(또는 계좌)를 통해 이용 가능한 금액 정보 데이터와, 상기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이 일시적으로 또는 일정 시간동안 해제된 경우, 상기 카드(또는 계좌)를 통해 이용 가능한 가맹점 정보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에 대응하는 소정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가 입력되면(710), 상기 고객 단말(155)은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100)로 전송하고(715), 상기 서버(100)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과 연계하여 상기 저장매체(145)에 저장한다(720). 이후 상기 도면5와 같이 상기 카드(또는 계좌)를 이용하는 금융거래시, 본 도면7의 과정을 통해 상기 고객 단말에 의해 저장된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에 대응하는 소정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과정이 수행된다.
도면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단말 기반의 카드(또는 계좌) 관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소정의 무인 금융단말을 통해 카드(또는 계좌)를 이용하여 전자금융 거래시, 상기 전자금융 거래 과정에서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된 카드(또는 계좌)를 실시간 이용 해제하는 바람직한 단말 기반의 카드(또는 계좌) 관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무인 금융단말을 통해 카드(또는 계좌) 이용시, 상기 무인 금융단말은 금융거래를 위한 소정의 전자금융 정보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데(800), 상기 확인결과 소정의 전자금융 정보가 입력되는 것이 확인되면(805), 상기 단말(150)은 상기 전자금융 정보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365)(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45))로부터 상기 전자금융 정보(예컨대, 고객의 카드(또는 계좌) 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된 소정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을 추출하고(810),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을 판독하여 상기 고객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을 제한(또는 정지)할지 여부를 판단한다(815).
만약 상기 판단결과 상기 고객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을 제한(또는 정지)하지 않는다면(820), 상기 단말(150)은 상기 전자금융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버(100)와 연동하여 고객에게 소정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865).
반면 상기 고객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을 제한(또는 정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820), 상기 단말(150)은 상기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한 제한(또는 정지)하도록 상기 카드(또는 계좌)를 비활성화 시키고, 상기 단말(150)에 구비된 소정의 화면 출력수단으로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 내역을 출력한 후(825), 상기 고객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을 해제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 입력(또는 수신)을 요청하고, 상기 단말(150)에 구비된 소정의 데이터 입력수단을 통해 소정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또는 소정의 고객 단말(155)로부터 소정의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835).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도면6a에서 도면6d를 통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가 상기 단말(150)로 입력(또는 수신)되는 과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 입력(또는 수신)되면(840), 상기 단말(150)은 상기 입력(또는 수신)된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45))에 저장되어 있는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입력(또는 수신)된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며(845), 상기 유효성 인증 방법은 상기 도면1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만약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는다면(850), 상기 단말(150)은 상기 화면 출력수단으로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해제 오류를 출력한다(855).
반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면(850), 상기 단말(150)은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과 상기 입력(또는 수신)된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고객의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임시 해제, 또는 일회용 해제) 시킨 후(860), 상기 전자금융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86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는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여 일시적으로 또는 일정 시간 동안 해제되었다가,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조건에 따라 다시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무인 금융단말을 통한 금융거래 과정에서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 내역이 출력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9를 참조하면, 고객은 상기 무인 금융단말을 통해 소정의 금융거래 종류(예컨대, 금융거래 코드)를 선택하고, 상기 고객 소유의 카드를 무인 금융단말에 삽입한 후 금융거래 금액과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상기 입력된 전자금융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소정의 금융거래를 요청하는데, 상기 금융거래 과정에서 상기 도면5 내지 도면8과 같은 카드(또는 계좌) 관리 방법에 의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된 경우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 내역이 출력된다.
도면10a, 10b,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무인 금융단말을 통한 금융거래 과정에서 카드(또는 계좌) 이용을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10a를 참조하면,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로서 상기 무인 금융단말에 구비된 소정의 키 입력수단을 통해 카드(또는 계좌) 복구용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하는 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고, 도면10b는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해제 데이터로서 상기 무인 금융단말에 구비된 생체정보 입력수단으로 통해 카드(또는 계좌) 복구용 지문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하는 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고, 도면10c는 소정의 고객 단말(예컨대, 무선 단말)에 구비된 소정의 키 입력수단을 통해 카드(또는 계좌) 복구용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제공하거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하는 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100 : 서버 105 : 인터페이스부
110 : 수신부 115 : 저장부
120 : 전송부 125 : 확인부
130 : 처리부 135 : 인증부
140 : 금융부 145 : 저장매체
150 : 단말 155 : 고객

Claims (2)

  1. 카드(또는 계좌) 관리방법에 있어서,
    이용 제한(또는 정지)이 설정된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임시 해제 또는 일회성 해제)시키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임시 해제 또는 일회성 해제)시키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를 고객 또는 고객 단말로부터 입력받거나 또는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또는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카드(또는 계좌)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해제(또는 임시 해제 또는 일회성 해제)시키는 단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또는 계좌) 관리방법.
  2. 카드(또는 계좌) 관리방법에 있어서,
    이용 제한(또는 정지)이 설정된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일시적으로 또는 일정시간동안 해제시키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를 고객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 고객 단말 또는 고객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이용이 제한(또는 정지)된 고객 카드(또는 계좌)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확인된 고객 카드(또는 계좌)의 이용 제한(또는 정지)을 일시적으로 또는 일정시간동안 해제시키는 단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또는 계좌) 관리방법.
KR1020100018741A 2010-03-02 2010-03-02 카드(또는 계좌) 관리방법 KR201000328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741A KR20100032876A (ko) 2010-03-02 2010-03-02 카드(또는 계좌)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741A KR20100032876A (ko) 2010-03-02 2010-03-02 카드(또는 계좌) 관리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243A Division KR20060096593A (ko) 2005-03-02 2005-03-02 카드(또는 계좌) 관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876A true KR20100032876A (ko) 2010-03-26

Family

ID=4218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741A KR20100032876A (ko) 2010-03-02 2010-03-02 카드(또는 계좌)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287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6815A1 (en) * 2012-02-22 2013-08-29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Data security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1485930B1 (ko) * 2012-11-28 2015-01-26 주식회사 하나은행 사고신고 등록 시스템 및 그 방법
US9317672B2 (en) 2011-12-14 2016-04-19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Online account access control by mobile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7672B2 (en) 2011-12-14 2016-04-19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Online account access control by mobile device
US10275582B2 (en) 2011-12-14 2019-04-30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Online account access control by mobile device
US10614199B2 (en) 2011-12-14 2020-04-07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Online account access control by mobile device
WO2013126815A1 (en) * 2012-02-22 2013-08-29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Data security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10496990B2 (en) 2012-02-22 2019-12-03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Data security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11443314B2 (en) 2012-02-22 2022-09-13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Data security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1485930B1 (ko) * 2012-11-28 2015-01-26 주식회사 하나은행 사고신고 등록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2771B2 (en) Induction based transactions at a moble device with authentication
US10115099B2 (en) Over the air management of payment application installed in mobile device
EP23320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unauthorized access to payment application installed in contactless payment device
US201301106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mobile payments
CN102257540A (zh) 增强智能卡使用
KR20160015375A (ko)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의 규칙들을 이용한 거래 승인
US20090319428A1 (en) Authorizing An Electronic Payment Request
CN107274185A (zh) 安全智能pos机及安全交易方法
CN103942691A (zh) 一种利用声波实现电子交易的方法及系统
KR20060096593A (ko) 카드(또는 계좌) 관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JP7223753B2 (ja) 支払処理
KR20100032876A (ko) 카드(또는 계좌) 관리방법
US20150007300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using ic card as authentication medium
KR20110029031A (ko) 전자서명을 이용한 금융거래 인증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40011975A (ko) 태깅을 통한 카드결제용 디지털 시스템, 결제측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103189B1 (ko)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 정보를 이용한 공인 인증서 발급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20102563A (ko) 전자결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1286A (ko) 결제수단 관리 방법
KR20130016421A (ko) 전자결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14195A (ko) 전자금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083207B1 (ko) 활성화/비활성화 조건이 설정된 공인 인증서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US20230376954A1 (en) A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structing Performance of a Transaction which has been Requested at an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1049555B1 (ko) 무매체 금융거래 방법, 자동화기기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083210B1 (ko) 불법사용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공인 인증서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10029038A (ko) 공인 인증서 유효기간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