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0797A - 연판정 정보의 전송을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연판정 정보의 전송을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0797A
KR20100030797A KR1020080089691A KR20080089691A KR20100030797A KR 20100030797 A KR20100030797 A KR 20100030797A KR 1020080089691 A KR1020080089691 A KR 1020080089691A KR 20080089691 A KR20080089691 A KR 20080089691A KR 20100030797 A KR20100030797 A KR 20100030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decision
information
decision information
information bits
access p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6907B1 (ko
Inventor
황찬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9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907B1/ko
Priority to US12/428,911 priority patent/US8909234B2/en
Priority to PCT/KR2009/002283 priority patent/WO2010030065A2/en
Priority to JP2011526798A priority patent/JP5449364B2/ja
Priority to EP09813187.3A priority patent/EP2324576B1/en
Publication of KR20100030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6Dc level restoring means; Bias distortion correction ; Decision circuits providing symbol by symbol detection
    • H04L25/067Dc level restoring means; Bias distortion correction ; Decision circuits providing symbol by symbol detection providing soft decisions, i.e. decisions together with an estimate of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Abstract

연판정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가 개시된다.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속하는 대상 억세스 포인트는 송신 심볼의 정보 비트들에 대한 연판정 정보를 계산하고, 계산된 연판정 정보를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로 전달한다. 이 때,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는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의 연판정 정보를 결합하고, 결합된 연판정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비트들을 검출할 수 있다.
연판정 정보, 결합, combine, 네트워크, 억세스 포인트, 검출

Description

연판정 정보의 전송을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및 통신 방법{DATA COMMNUNICATION NETWORK USING TRANSMISSION OF SOFT DECISION INFORMATION AND DATA COMMN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들이 연판정 정보를 계산하거나, 연판정 정보를 다른 통신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기지국과 이동 단말 사이에는 복수의 독립적인 채널들이 형성된다. 이동 단말로부터 전송된 신호는 복수의 독립적인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되고, 기지국은 복수의 독립적인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된 신호들을 효과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좋은 수신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다이버시티 효과라고 한다.
특히, 매크로 다이버시티(macro diversity)는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잘 활용될 수 있다. 왜냐 하면,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이동 단말에서 전송된 신호는 유사한 경로 감쇄를 가진 채로 두 개의 기지국들에서 수신되므로, 일반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다이버시티 이득이 크기 때문이다. 다만,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하여 수신 신호들을 결합하는 데에 큰 오버헤드가 가해 진다.
일반적인 매크로 다이버시티를 적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두 개 이상의 기지국들은 이동 단말의 전송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기지국들 각각은 수신 신호를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로 전달하며, RNC는 전달된 신호들을 결합하여 전송 신호를 검출한다. 이 때, 검출된 전송 신호는 스위치(Switch) 등을 거쳐 최종 목적지로 도착한다. 그러나, 상술한 과정들은 RNC에 많은 오버헤드를 부담시킬 수 있으며, 기지국들이 하나의 RNC로 관리될 수 없는 경우에는 적용되기 힘들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상 억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목적 디바이스로 전송된 송신 심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 심볼에 대응하는 정보 비트들(information bits)에 대하여 연판정(soft decision)을 수행하기 위한 연판정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연판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정보 비트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 디바이스 또는 상기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로 상기 연판정 정보 또는 상기 검출된 정보 비트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목적 디바이스 또는 상기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는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 각각에 의해 전송된 상기 연판정 정보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연판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비트들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 디바이스 또는 상기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송신 심볼- 상기 송신 심볼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목적 디바이스로 전송된 것임 -에 대응하는 정보 비트들에 대한 연판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의 상기 연판정 정보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된 연판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비트들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우터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라우터로부터 송신 심볼- 상기 송신 심볼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목적 디바이스로 전송된 것임 -에 대응하는 정보 비트들에 대한 연판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웃 라우터의 연판정 정보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 디바이스 또는 상기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로 상기 결합된 연판정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는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송신 심볼- 상기 송신 심볼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목적 디바이스로 전송된 것임 -에 대응하는 정보 비트들에 대한 연판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의 상기 연판정 정보를 결합하는 결합기, 상기 결합된 연판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비트들을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검출된 정보 비트들에 존재하는 오류를 체크하는 오류 체크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억세스 포인트는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가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연판정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는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의 연판정 정보를 결합하고, 결합된 연판정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비트들을 검출함으로써 용량(capac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억세스 포인트들 또는 라우터는 결합된 또는 결합되지 않은 연판정 정보를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로 전달함으로써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해 발생하는 오버헤드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매크로 다이버시티를 활용하는 다양한 네트워크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은 하나의 RNC에 의해 관리되는 두 개의 기지국(Base Station, BS)들(120, 130)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BS 1(120) 및 BS 2(130)는 하나의 RNC(140)에 의해 관리된다.
이동 단말(Mobile Station, MS, 110)의 전송 신호는 BS 1(120) 및 BS 2(130)에서 수신된다. 그리고, BS 1(120) 및 BS 2(130)은 수신 신호들을 RNC(140)로 전달한다. 이 때, BS 1(120) 및 BS 2(130)는 수신 신호들을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수신 신호들을 RNC(14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RNC(140)는 일반적으로 BS 1(120) 및 BS 2(13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RNC(140)는 BS 1(120) 및 BS 2(130)의 수신 신호들을 결합(combining)하고, 전송 신호를 검출한다. 여기서, 검출된 신호를 binary data라 고 한다면, 그 binary data는 스위치(switch) 등을 통해 최종 목적지에 도달한다.
이 때, RNC(140)는 독립적인 서로 다른 채널들을 통해 전송된 BS 1(120) 및 BS 2(130)의 수신 신호들을 결합(combining)함으로써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RNC(140)은 수신 신호들을 결합하므로, RNC(140)의 연산 능력은 BS 1(120) 및 BS 2(130)의 수신 신호들을 결합하는 데에 요구되는 많은 계산량을 충분히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BS 1(120) 및 BS 2(130)가 양자화된 수신 신호들을 전송함에 따라 네트워크의 트래픽이 증가할 수도 있다. 또한, RNC(140)는 통신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관리되는 장치이므로, BS 1(120) 및 BS 2(130)가 서로 다른 RNC들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RNC가 BS 1(120) 및 BS 2(130)의 수신 신호들을 결합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펨토셀(femto Cell) 기지국과 같은 장치들은 RNC에 의해 정밀하게 제어되지 않으므로, 펨토셀 기지국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하여 여러 기지국들의 수신 신호들을 결합하는 것은 쉽지 않다.
도 2는 두 개의 서로 다른 RNC들에 의해 관리되는 두 개의 기지국들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MS(210)는 전송 신호를 BS 1(220) 및 BS 2(230)으로 전송하고, BS 1(220) 및 BS 2(230)는 수신 신호들을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수신 신호들을 RNC 1(240) 및 RNC 2(250)로 전달한다.
이 때, BS 1(220)은 RNC 1(240)에 의해 관리되고, BS 2(230)는 RNC 2(250) 에 의해 관리된다. RNC 1(240) 및 RNC 2(250)는 다른 통신 서비스 사업자들에 의해 운영되는 장치들일 수 있으며, RNC 1(240) 및 RNC 2(250)가 서로 다른 통신 사업자들에 운영되는 기지국들(220, 230)의 수신 신호들을 결합하는 것은 쉽지 않다.
결국, RNC 1(240) 및 RNC 2(250)가 동일한 통신 사업자에 의해 관리되지 않거나, BS 1(220) 및 BS 2(230)이 동일한 통신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관리되지 않는 경우, RNC 1(240) 및 RNC 2(250)가 Switch(26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하여 BS 1(220) 및 BS 2(230)의 수신 신호들을 결합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도 3은 펨토셀 기지국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MS(310)는 전송 신호를 서로 독립적인 무선 채널들을 통하여 BS 1(320) 및 펨토셀 기지국(33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BS 1(320)은 RNC 1(340)에 의해 관리되고, RNC 1(340)는 스위치(360) 및 인터넷(350)을 통하여 펨토셀 기지국(330)과 연결된다.
이 때, BS 1(320)는 수신 신호를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수신 신호를 RNC 1(340)으로 전달한다. 다만, 펨토셀 기지국(330)은 어떠한 RNC에 의해서도 정밀하게 제어되지 않는다. 따라서, BS 1(320) 및 펨토셀 기지국(330)은 동일한 RNC에 의해 관리되지 않으므로, BS 1(320) 및 펨토셀 기지국(330)의 수신 신호들을 결합하는 것은 쉽지 않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판정 정보를 전달하는 억세스 포인트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소스 디바이스(410)는 송신 심볼을 서로 독립적인 무선 채널들을 통하여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Access Point, AP, 421, 422, 423)로 전송한다. 이 때,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421, 422, 423) 중 일부는 소스 디바이스(410)의 송신 심볼을 논리적인 연결(logical connection)들을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421, 422, 423) 중 나머지는 논리적인 연결 없이 소스 디바이스(410)의 송신 심볼을 엿들을(overhear)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421, 422, 423) 각각은 수신 신호를 기초로 연판정(soft decision)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연판정 정보(soft decision information)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연판정 정보는 LLR(Log Likelihood Ratio)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421, 422, 423) 각각에 의해 계산된 연판정 정보는 인터넷(430)을 통하여 목적 디바이스(44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목적 디바이스(440)는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421, 422, 423)의 연판정 정보를 결합하여, 송신 심볼 또는 송신 심볼에 대응하는 정보 비트들을 검출할 수 있다.
결국, 목적 디바이스(440)는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421, 422, 423) 각각의 연판정 정보를 정보 비트들을 검출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421, 422, 423) 각각은 반드시 수신 신호를 양자화하여 목적 디바이스(440) 또는 별도의 RNC로 전달할 필요가 없으며,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하여 양자화된 수신 신호를 전달할 필요가 없으므로 네트워크 전체에 걸쳐 발생하는 오버헤드가 감소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410)의 송신 심볼이 x, AP1(421)과 소스 디바이스(410) 사이에 형성된 채널이 h1인 경우, AP1(421)의 수신 신호 y1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64451316-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n은 부가 백색 가우시안 잡음(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이고, 송신 심볼 x는 다양한 모듈레이션 방식들에 따라 변조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심볼 x가 16 QAM(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에 따라 변조된 경우, 하나의 송신 심볼 x에 대응하는 4 비트의 정보 비트들은 b1, b2, b3, b4이다.
AP1(421)은 수신 신호에 대해 one-tap 등화를 수행하여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Figure 112008064451316-PAT00002
을 생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8064451316-PAT00003
여기서, n은 송신 심볼의 인덱스이고, z1 ,n은 AP1(421)에 의해 사용되는 one-tap equalizer의 등화 계수이다.
이 때, AP1(421)은 수신 신호를 기초로 하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정보 비트들에 대한 LLR(Lk 1 ,n)을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64451316-PAT00004
참고로, AP2(422), AP3(423)은 하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LLR(Lk 2 ,n), LLR(Lk 3 ,n)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3에서,
Figure 112008064451316-PAT00005
(
Figure 112008064451316-PAT00006
은 AWGN의 분산(variance)임)이고,
Figure 112008064451316-PAT00007
는 QAM 심볼들 중 k 번째 bit를 b로 가지는 심볼들의 집합이다. 예를 들어, 16 QAM 에서,
Figure 112008064451316-PAT00008
은 16 QAM 심볼들 중 2 사분면 및 3 사분면에 존재하는 8 개의 constellation point들의 집합이며,
Figure 112008064451316-PAT00009
는 1 사분면 및 4 사분면에 존재하는 8 개의 constellation point들의 집합이 집합이다. 또한, 여기서, CSI1 ,n은 채널의 크기와 관련된 값으로서 이후에 LLR 들을 결합하는 데에 가중치 팩터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Figure 112008064451316-PAT00010
은 채널의 크기와 관계없는 값으로서, 노말라이즈된 constellation에서 수신된 복소수(complex number)가 1인지 또는 0인지를 나타내는 확률과 관련된 값이다.
결국,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421, 422, 423) 각각은 수신 신호를 기초로 LLRn k를 계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421, 422, 423) 각각의 LLRn k는 목적 디바이스(440)로 전달된다. 목적 디바이스(444)는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421, 422, 423)의 LLRn k를 결합하고, 결합된 LLRn k를 이용하여 송신 심볼 또는 정보 비트들을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목적 디바이스(440)는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421, 422, 423)의 LLRn k를 결합함으로써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421, 422, 423) 각각은 LLRn k을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LLRn k을 목적 디바이스(440)로 전달한다. 이 때,
Figure 112008064451316-PAT00011
은 하나의 송신 심불 주기(duration) 동안 일정하지만,
Figure 112008064451316-PAT00012
는 하나의 송신 심볼 주기 동안 변하는 값들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421, 422, 423) 각각은 LLRn k 전체를 양자화하지 않고,
Figure 112008064451316-PAT00013
Figure 112008064451316-PAT00014
를 개별적으로 양자화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421, 422, 423) 각각은 N비트의 정보 비트들에 대하여 양자화된
Figure 112008064451316-PAT00015
을 한 번 전달하고, 양자화된
Figure 112008064451316-PAT00016
을 N 번 전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LLRn k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421, 422, 423) 각각은 수신 신호를 기초로 정보 비트들을 검출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421, 422, 423) 각각은 계산된 연판정 정보를 기초로 송신 심볼 또는 정보 비트들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421, 422, 423) 각각은 검출된 정보 비트들에 오류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421, 422, 423) 각각은 CRC(Cyclic Redundancy Check)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421, 422, 423) 각각은 검출된 정보 비트들에 오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검출된 정보 비트들을 인터넷(430)을 통하여 목적 디바이스(440)로 전달할 수 있다. 반대로,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421, 422, 423) 각각은 검출된 정보 비트들에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 목적 디바이스(440)가 정보 비트들을 잘 검출할 수 있도록 연판정 정보를 목적 디바이스(44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기재된 점선 박스는 정보 비트들을 나타내며, 실선 박스는 연판정 정보를 나타낸다. 소스 디바이스(410)는 정보 비트들 '0100'에 대응하는 송신 심볼을 무선 채널들을 통하여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421, 422, 423)로 전송한다.
이 때, AP1(421)은 수신 신호를 기초로 연판정 정보를 '0734'로 계산한다. 여기서, 연판정 정보에 속하는 비트들 각각이 '0'에 가까울수록 연판정 정보에 속 하는 비트들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 비트가 '0'일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7'에 가까울수록 연판정 정보에 속하는 비트들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 비트가 '1'일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AP2(422) 및 AP3(423)은 연판정 정보를 '3224', '2230'으로 계산한다.
이 때,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421, 422, 423) 각각은 연판정 정보를 기초로 정보 비트들을 검출할 수 있다. 즉, AP1(421), AP2(422) 및 AP3(423)는 '0101', '0001', '0000'으로 정보 비트들을 검출할 수 있다. 만약, AP1(421), AP2(422) 및 AP3(423)에 의해 검출된 정보 비트들에 오류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검출된 정보 비트들이 그대로 목적 디바이스(440)로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AP1(421), AP2(422) 및 AP3(423)에 의해 검출된 정보 비트들에는 오류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AP1(421), AP2(422) 및 AP3(423)에 의해 검출된 정보 비트들에는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 AP1(421), AP2(422) 및 AP3(423)는 인터넷(430)을 통하여 계산된 연판정 정보를 목적 디바이스(440)로 전달한다. 이 때, 목적 디바이스(440)는 AP1(421), AP2(422) 및 AP3(423)의 연판정 정보를 결합함으로써, 정확하게 정보 비트들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 디바이스(440)는 AP1(421), AP2(422) 및 AP3(423)의 연판정 정보를 더하여 결합된 연판정 정보를 생성하고, 결합된 연판정 정보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정보 비트들을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예를 들어, AP1(421)의 LLR과 AP2(422)의 LLR들의 결합은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덧셈 연산으로 수행될 수 있다.
Figure 112008064451316-PAT00017
여기서, 목적 디바이스(440)가 상기 수학식 4와 같이 AP1(421)의 LLR과 AP2(422)의 LLR을 결합하여 Ln k를 생성하는 경우, 목적 디바이스(440)는 Ln k와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정보 비트들을 검출할 수 있다. 다만, 복잡도를 줄이기 위하여, LLR들의 평균 계산, LLR들 중 최대값 선택 등을 통하여 LLR들의 결합이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LLR을 8개의 값(0~7)들로 양자화되는 경우, AP1(421), AP2(422) 및 AP3(423) 각각의 연판정 정보는 3비트이다. 이 때, AP1(421), AP2(422) 및 AP3(423)에 의해 계산된 연판정 정보를 목적 디바이스(440)까지 전송하기 위해서는 9(3 x3)비트가 필요하므로, 연판정 정보를 전달하는 것도 네트워크에 오버헤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오버헤드도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적 디바이스 및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521, 522, 523)은 라우터들(530, 540)과 연결되어 있다. 이 때, 라우터들(530, 540)은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521, 522, 523)의 연판정 정보를 결합하고, 결합된 연판정 정보를 목적 디바이스(560) 또는 목적 디바이스(560)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AP4, 55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라우터들(530, 540)도 도 4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연판정 정보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라우터들(530, 540)이 연판정 정보를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521, 522, 523) 및 목적 디바이스(560) 사이에서 결합함으로써,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521, 522, 523)가 연판정 정보를 직접적으로 목적 디바이스(560) 또는 AP4(550)로 전달함으로써 발생하는 오버헤드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AP4(550)는 목적 디바이스(560)를 대신하여 최종적으로 연판정 정보를 결합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네트워크에서 목적 디바이스(440)는 최종적으로 연판정 정보를 결합하는 반면에, AP4(550)는 연판정 정보를 최종적으로 결합하고, 결합된 연판정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비트들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AP4(550)는 검출된 정보 비트들을 목적 디바이스(56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점선 박스에는 정보 비트들을 기재되어 있으며, 실선 박스에는 정보 비트들에 대응하는 연판정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소스 디바이스(510)는 송신 심볼에 대응하는 정보 비트들 '0100'을 전송한다.
AP1(521), AP2(523), AP3(523) 각각은 수신 신호를 기초로 LLR을 '0734', '3224', '2230'으로 계산한다. 이 때, AP1(521), AP2(523), AP3(523) 각각은 LLR을 이용하여 정보 비트들을 '0101', '0001', '0000'으로 검출할 수 있다. 다만, AP1(521), AP2(523), AP3(523) 각각에 의해 검출된 정보 비트들에는 오류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AP1(521), AP2(523)의 LLR들('0734', '3224')은 라우터(530)로 전달된다. 이 때, 라우터(530)는 AP1(521), AP2(523)의 LLR들('0734', '3224')을 결합한다. 따라서, 라우터(530)는 AP1(521), AP2(523)의 LLR들('0734', '3224')의 평균값으로서, 결합된 LLR을 '2524'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라우터(530)는 결합된 LLR '2524'를 라우터(540)으로 전달한다.
라우터(540)는 라우터(530) 및 AP3(523)의 LLR들('2524', '2230')을 수신한다. 이 때, 라우터(540)는 라우터(530) 및 AP3(523)의 LLR들('2524', '2230')을 결합하고, 결합된 LLR을 AP4(550)로 제공한다.
또한, AP4(550)는 라우터(540)에 의해 제공된 LLR을 이용하여 정보 비트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 비트들을 목적 디바이스(560)로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상 억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들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 중 어느 하나인 대상 억세스 포인트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들을 수신한다(S610). 여기서, 상기 데이터들은 소스 디바이스의 송신 심볼에 대응하는 N 비트의 정보 비트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상 억세스 포인트는 정보 비트들에 대한 연판정 정보를 계산한다(S620). 즉, 대상 억세스 포인트는 N 비트의 정보 비트들에 대한 LLR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N 비트의 정보 비트들에 대한 LLR을 {L1, L2, . . . , LN}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상 억세스 포인트는 연판정 정보를 기초로 N 비트의 정보 비트들을 검출한다(S630). 여기서, 검출된 N 비트의 정보 비트들을 {b1, b2, . . . , bN}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상 억세스 포인트는 CRC 기법에 따라 검출된 정보 비트들에 대하여 오류 체크를 수행한다(S640).
만약 검출된 정보 비트들에 오류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상 억세스 포인트는 Mode 1의 프레임 구조에 따라 검출된 정보 비트들을 이웃하는 라우터, 억세스 포인트 또는 목적 디바이스 등으로 전달한다(S650).
여기서, 도 7의 도면 부호 710을 참조하면, Mode 1의 프레임 구조에 따른 패킷은 헤더, 식별 정보(C=1), 검출된 정보 비트들 {b1, b2, . . . , bN}을 포함한다. 특히, 식별 정보(C=1)는 패킷이 연판정 정보 또는 검출된 정보 비트들 {b1, b2, . . . , bN} 중 검출된 정보 비트들을 포함하고 있음을 지시한다. 나아가, 식별 정보(C=1)는 검출된 정보 비트들 {b1, b2, . . . , bN}에는 오류가 존재하지 아 니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이웃하는 라우터, 억세스 포인트 또는 목적 디바이스는 식별 정보(C=1)를 이용하여 대상 억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전송된 패킷이 검출된 정보 비트들 {b1, b2, . . . , bN}을 포함하고 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반대로 검출된 정보 비트들 {b1, b2, . . . , bN}에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상 억세스 포인트는 계산된 연판정 정보인 LLR {L1, L2, . . . , LN}을 양자화한다(S660). 이 때, 양자화된 연판정 정보는 {Q1, Q2, . . . , QN}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상 억세스 포인트는 양자화된 연판정 정보 {Q1, Q2, . . . , QN}를 Mode 2의 프레임 구조에 따라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로 전달한다(S670).
여기서, 도 7의 도면 부호 720을 참조하면, Mode 2의 패킷은 헤더, 식별 정보(C=2), 서빙되고 있는 서비스의 딜레이 제한(Delay_t)과 관련된 정보 및 양자화된 연판정 정보 {Q1, Q2, . . . , QN}를 포함한다. 즉, 양자화된 연판정 정보 {Q1, Q2, . . . , QN}가 패킷에 포함되었음은 식별 정보(C=2)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는 식별 정보(C=2)를 기초로 양자화된 연판정 정보 {Q1, Q2, . . . , QN}를 파악하고, 추출할 수 있다. 게다가,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는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신된 연판정 정보를 결합하고, 결합된 연판정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비트들을 검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우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우터는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로부터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우터는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라우터로부터 송신 심볼에 대응하는 정보 비트들에 대한 연판정 정보 또는 정보 비트들을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한다(S81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우터는 연판정 정보 또는 정보 비트들을 포함하는 패킷으로부터 식별 정보(C)를 추출하고, 식별 정보의 C가 1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20). 여기서, 식별 정보의 C가 1인 경우, 패킷은 정보 비트들을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식별 정보의 C가 1이 아닌 경우, 패킷은 연판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우터는 패킷이 정보 비트들 {b1, b2, . . . , bN}을 포함하는 경우, 다른 억세스 포인트 또는 다른 이웃 라우터로부터 이미 수신된 다른 연판정 정보(다만, 동일한 송신 심볼에 관한 것임)를 대기열에서 삭제한다(S83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우터는 정보 비트들 {b1, b2, . . . , bN}을 다른 라우터, 억세스 포인트 또는 목적 디바이스로 전달한다(S840).
반대로, 식별 정보의 C가 1이 아닌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우터는 대기열에 이미 수신된 다른 연판정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다(S850). 왜냐 하면, 이미 수신되어 대기열에 존재하는 다른 연판정 정보는 현재 수신된 연판정 정보와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때, 대기열에 다른 연판정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우터는 현재 수신된 연판정 정보와 대기열에 존재하는 다른 연판정 정보를 결합한다(S860). 따라서, 결합된 연판정 정보 {L1, L2, . . . , LN}가 생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우터는 결합된 연판정 정보 {L1, L2, . . . , LN}를 양자화하여 {Q1, Q2, . . . , QN}를 생성하고, {Q1, Q2, . . . , QN}를 다른 라우터, 억세스 포인트 또는 목적 디바이스로 전달한다(S87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우터는 다른 연판정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서빙되고 있는 서비스의 딜레이 제한과 실제의 딜레이를 비교한다(S880).
다시 도 7의 도면 부호 720을 참조하면, Mode 2의 프레임 구조에 따른 패킷은 서빙되고 있는 서비스의 딜레이 제한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즉, 서비스들은 다양한 딜레이 제한들을 가지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우터는 서비스들의 다양한 딜레이 제한들을 고려하여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의 연판정 정보를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실제의 딜레이가 서빙되고 있는 서비스의 딜레이 제한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우터는 하나 이상의 억세스 포인트들의 연판정 정보를 결합하고, 결합된 연판정 정보를 양자화하여 {Q1, Q2, . . . , QN} 를 다른 라우터, 억세스 포인트 또는 목적 디바이스로 전달한다(S870).
반면에, 실제의 딜레이가 서빙되고 있는 서비스의 딜레이 제한보다 작은 경우, 대기열에 현재 수신된 연판정 정보를 잡아둔다(S890).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는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연판정 정보 또는 정보 비트들을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한다(S91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는 패킷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패킷이 연판정 정보 또는 정보 비트들 중 어떤 것을 포함하는지 판단한다(S920).
이 때, 식별 정보의 C가 1인 경우, 패킷은 정보 비트들을 포함하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는 대기열에 존재하는 다른 연판정 정보를 삭제한다(S930).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는 정보 비트들이 잘 전송되었음을 확인한다(S940). 예를 들어,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는 ACK 메시지를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식별 정보의 C가 1이 아닌 경우, 패킷은 연판정 정보를 포함하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 인트는 대기열에 다른 연판정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950).
대기열에 다른 연판정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는 현재 수신된 연판정 정보와 대기열에 존재하는 다른 연판정 정보를 결합한다(S961). 그리고,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는 결합된 연판정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비트들을 검출한다(S962).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는 검출된 정보 비트들에 대하여 CRC 기법에 따라 오류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963). 만약, 검출된 정보 비트들에 오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정보 비트들의 전송은 성공한 것이므로, ACK 메시지 등이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된다(S940).
대기열에 다른 연판정 정보가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는 실제의 딜레이가 서빙되고 있는 서비스의 딜레이 제한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970).
이 때, 실제의 딜레이가 서빙되고 있는 서비스의 딜레이 제한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정보 비트들의 전송은 실패한 것이므로,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는 소스 디바이스로 정보 비트들의 재전송을 요청한다(S930).
반대로, 실제의 딜레이가 서빙되고 있는 서비스의 딜레이 제한보다 작은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 스 포인트는 대기열에 현재 수신된 연판정 정보를 잡아둔다(S980).
본 발명에 따른 대상 억세스 포인트, 라우터,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 디바이스 또는 상기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는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송신 심볼- 상기 송신 심볼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목적 디바이스로 전송된 것임 -에 대응하는 정보 비트들에 대한 연판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의 상기 연판정 정보를 결합하는 결합기, 상기 결합된 연판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비트들을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검출된 정보 비트들에 존재하는 오류를 체크하는 오류 체크기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수신부는 상기 연판정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검출된 정보 비트들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검출된 정보 비트들 및 상기 연판정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된 내용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하나의 RNC에 의해 관리되는 두 개의 기지국들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두 개의 서로 다른 RNC들에 의해 관리되는 두 개의 기지국들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펨토셀 기지국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판정 정보를 전달하는 억세스 포인트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적 디바이스 및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상 억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들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우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 디바이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Claims (20)

  1.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목적 디바이스로 전송된 송신 심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 심볼에 대응하는 정보 비트들(information bits)에 대하여 연판정(soft decision)을 수행하기 위한 연판정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연판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정보 비트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 디바이스 또는 상기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로 상기 연판정 정보 또는 상기 검출된 정보 비트들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목적 디바이스 또는 상기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는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 각각에 의해 전송된 상기 연판정 정보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정보 비트들에 존재하는 오류를 체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판정 정보 또는 상기 검출된 정보 비트들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연판정 정보 또는 상기 검출된 정보 비트들을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억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디바이스 또는 상기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는 상기 결합된 연판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비트들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억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심볼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심볼을 직접적으로 수신하거나 엿듣는(overhearing)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억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판정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비트들(information bits)에 대한 대수 우도 비(Log Likelihood Ratio, LLR)를 계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억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판정 정보 또는 상기 검출된 정보 비트들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연판정 정보를 양자화하고, 상기 양자화된 연판정 정보 또는 상기 검출된 정보 비트들을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억세스 포인트의 동 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판정 정보 또는 상기 검출된 정보 비트들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연판정 정보 및 상기 검출된 정보 비트들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송신 심볼에 대응하는 딜레이 제한과 관련된 정보를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억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8.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송신 심볼- 상기 송신 심볼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목적 디바이스로 전송된 것임 -에 대응하는 정보 비트들에 대한 연판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의 상기 연판정 정보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된 연판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비트들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목적 디바이스 또는 상기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정보 비트들에 존재하는 오류를 체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 디바이스 또는 상기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대기열에 존재하는 상기 수신된 연판정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의 상기 연판정 정보를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연판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의 상기 연판정 정보를 결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 디바이스 또는 상기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심볼에 대응하는 딜레이 제한에 따라 대기열에 상기 연판정 정보를 잡아두는(put in)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 디바이스 또는 상기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판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연판정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검출된 정보 비트들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더 수신하는 단계이고,
    상기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검출된 정보 비트들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검출된 정보 비트들을 식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 디바이스 또는 상기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13.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라우터로부터 송신 심볼- 상기 송신 심볼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목적 디바이스로 전송된 것임 -에 대응하는 정보 비트들에 대한 연판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웃 라우터의 연판정 정보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 디바이스 또는 상기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로 상기 결합된 연판정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터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판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검출된 정보 비트들을 더 수신하는 단계이고,
    상기 결합된 연판정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검출된 정보 비트들이 수신된 경우, 상기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검출된 정보 비트들을 전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터의 동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판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연판정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검출된 정보 비트들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더 수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터의 동작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디바이스 또는 상기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는 상기 결합된 연판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비트들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터의 동작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심볼에 대응하는 딜레이 제한에 따라 대기열에 상기 연판정 정보를 잡아두는(put in)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터의 동작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 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9. 목적 디바이스 또는 상기 목적 디바이스와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송신 심볼- 상기 송신 심볼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목적 디바이스로 전송된 것임 -에 대응하는 정보 비트들에 대한 연판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의 상기 연판정 정보를 결합하는 결합기;
    상기 결합된 연판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비트들을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검출된 정보 비트들에 존재하는 오류를 체크하는 오류 체크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연판정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검출된 정보 비트들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검출된 정보 비트들 및 상기 연판정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KR1020080089691A 2008-09-11 2008-09-11 연판정 정보의 전송을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및 통신 방법 KR101466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691A KR101466907B1 (ko) 2008-09-11 2008-09-11 연판정 정보의 전송을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및 통신 방법
US12/428,911 US8909234B2 (en) 2008-09-11 2009-04-23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using transmission of soft-decision information
PCT/KR2009/002283 WO2010030065A2 (en) 2008-09-11 2009-04-30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using transmission of soft-decision information
JP2011526798A JP5449364B2 (ja) 2008-09-11 2009-04-30 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ルータの動作方法と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ルータを含む通信デバイス
EP09813187.3A EP2324576B1 (en) 2008-09-11 2009-04-30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using transmission of soft-decision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691A KR101466907B1 (ko) 2008-09-11 2008-09-11 연판정 정보의 전송을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및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797A true KR20100030797A (ko) 2010-03-19
KR101466907B1 KR101466907B1 (ko) 2014-12-01

Family

ID=41799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691A KR101466907B1 (ko) 2008-09-11 2008-09-11 연판정 정보의 전송을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09234B2 (ko)
EP (1) EP2324576B1 (ko)
JP (1) JP5449364B2 (ko)
KR (1) KR101466907B1 (ko)
WO (1) WO201003006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8138B2 (en) * 2011-03-23 2015-02-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ignal compression for backhaul communications using linear transformations
JP5611896B2 (ja) * 2011-05-26 2014-10-2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
US9491664B2 (en) 2012-08-03 2016-11-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ase stations and nodes for use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JP6212574B2 (ja) * 2014-02-06 2017-10-1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101792774B1 (ko) 2015-03-06 2017-11-02 (주)선텍 연속식 회전 태양광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9749A (en) * 1993-09-13 1996-07-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merging data streams
JP3712812B2 (ja) 1997-03-05 2005-11-02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イトダイバシティ受信方法、サイトダイバシティ受信方式を採用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上位装置
EP1018816A1 (en) 1998-10-19 2000-07-12 Lucent Technologies Inc. Accumulative ARQ method and system
US6343210B1 (en) 1999-03-22 2002-01-29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soft decision propagation
JP3645140B2 (ja) * 1999-12-28 2005-05-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
US6571212B1 (en) * 2000-08-15 2003-05-27 Ericsson Inc. Mobile internet protocol voice system
FR2821517B1 (fr) 2001-02-23 2004-03-19 Nortel Networks Ltd Procede de communication, controleur de reseau radio et noeud de base pour mettre en oeuvre ce procede
US6931257B2 (en) * 2001-03-02 2005-08-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ast forward power control during soft handoff
DE10296698B4 (de) * 2001-04-24 2007-07-12 Intel Corporation, Santa Clar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dieren und Dekodieren von Daten mit unterschiedlichen Modulationsschemata und Kodierungen und einem ARQ-Protokoll
JP2004260620A (ja) 2003-02-26 2004-09-16 Ntt Docomo Inc 無線データ通信方法、サーバ装置及び無線制御装置
US7058407B2 (en) 2003-05-12 2006-06-06 Motorola, Inc. Adapting a diversity transmission m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501209A1 (en) * 2003-07-25 2005-01-26 Evolium S.A.S. Uplink macro diversity method
US6986096B2 (en) * 2003-07-29 2006-01-10 Qualcomm, Incorporated Scaling and quantizing soft-decision metrics for decoding
AU2003295299A1 (en) 2003-12-23 2005-07-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formation transfer method and system
EP1564908A1 (en) * 2003-12-23 2005-08-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vanced multi-sensor processing
US8014781B2 (en) * 2004-06-08 2011-09-06 Qualcomm Incorporated Intra-cell common reus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437164B2 (en) * 2004-06-08 2008-10-14 Qualcomm Incorporated Soft handoff for reverse 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frequency reuse
US7672383B2 (en) 2004-09-17 2010-03-02 Qualcomm Incorporated Noise variance esti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for diversity combining and log-likelihood scaling
US20060146745A1 (en) * 2005-01-05 2006-07-06 Zhijun Cai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and synchronizing a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CN101133568A (zh) * 2005-03-03 2008-02-2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无线通信装置
US7512198B2 (en) * 2005-06-24 2009-03-31 The Boeing Company Efficient diversity combining for wideband downlink
US8488662B2 (en) * 2007-12-21 2013-07-16 Mediatek Inc. Receiver bit rate proc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30065A3 (en) 2011-08-25
JP5449364B2 (ja) 2014-03-19
EP2324576B1 (en) 2018-12-12
WO2010030065A2 (en) 2010-03-18
JP2012502577A (ja) 2012-01-26
KR101466907B1 (ko) 2014-12-01
US8909234B2 (en) 2014-12-09
EP2324576A4 (en) 2016-08-10
EP2324576A2 (en) 2011-05-25
US20100062775A1 (en)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9288B2 (ja) 無線基地局装置と移動体通信システム
EP2533431B1 (en) Method for receiving uplink radio frequency signal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master unit and slave unit thereof
KR101281407B1 (ko) 이동도 관리를 위한 의사 회선
US9641373B2 (en) Peak-to-average power ratio (PAPR) reduction in fronthauls
US10154508B2 (en) Radio station and method of processing user data with radio station
US200903254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d processing signals from a source station and relay stations
KR101466907B1 (ko) 연판정 정보의 전송을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및 통신 방법
WO2013004420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first network node and second network node thereof
JP2011526437A (ja) 既知情報を使用してフレームを復号化するパフォーマンスを向上するための方法とシステム
US85205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uplink channel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10313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mimo 모드 변경 장치 및 방법
US943285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US10666337B2 (en) Radio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11546101B2 (en) Cloud-based Wi-Fi network system using immediate ACK in uplink data transmission
US11082160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2018009799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들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9077396B2 (en) Distributed buffer store based uplink coordinated multipoint communications
US107909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transmitting error-tolerant traffic in low power and lossy networks
Ding et al. Harq delay minimization of 5g wireless network with imperfect feedback
KR102061035B1 (ko) 업링크 데이터 전송에서 즉각적인 ack를 사용하는 클라우드 기반 와이파이 네트워크 시스템
WO20161272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rocessing delay
Bartelt et al. An improved decoder for cloud-based mobile networks under imperfect fronthau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