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0281A - Fixing device for auxiliary mat of vehicle - Google Patents

Fixing device for auxiliary mat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0281A
KR20100030281A KR1020080089161A KR20080089161A KR20100030281A KR 20100030281 A KR20100030281 A KR 20100030281A KR 1020080089161 A KR1020080089161 A KR 1020080089161A KR 20080089161 A KR20080089161 A KR 20080089161A KR 20100030281 A KR20100030281 A KR 20100030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uxiliary mat
hook
fixing devic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봉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9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0281A/en
Publication of KR20100030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2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32B2471/04M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PURPOSE: A fixing device for an auxiliary mat of a vehicle is provided to improve ride comfort by preventing an auxiliary mat from lifting from the floor of a vehicle. CONSTITUTION: A fixing device for an auxiliary mat of a vehicle comprises a ring part(100), a hook(220), and a hook part(200). An inserting hole is formed on the center part of the ring part. The ring part is located on an auxiliary mat of a vehicle. The hook protrudes from the upper side of a body and corresponds with the insertion hole and the body. The hook part protrudes from the lower side of the body and is composed of a fixed arm which is fixed on a vehicle body.

Description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auxiliary mat of vehicle}Fixing device for auxiliary ma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를 개선하여 장기간 사용 시 헐거워져 쉽게 분리되는 현상을 것을 막고 바닥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내구성 및 정비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한편, 상품성 및 운전자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mat fixing device of a vehicle, and in particular, to improve the vehicle's auxiliary mat fixing device to prevent loosening due to loosening during long-term use, and to prevent lifting from the floor surface. On the other hand, and relates to a device that can maximize the merchandise and driver safety.

일반적으로 차량의 플로워패널 상면에는 메인매트(main mat)가 고정형으로 깔려 있으며, 이러한 메인매트 위에 분리형 보조매트를 추가로 적용함으로써, 메인매트가 국부적으로 마모되는 것을 막고 바닥면에 대한 청소를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the main mat is fixed on the floor of the floor panel of the vehicle, and by applying a separate auxiliary mat on the main mat, the main mat is prevented from being worn locally and the floor surface is easily cleaned. It is supposed to be possible.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uxiliary mat fixing device of a conventional vehicle.

종래의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삽입홀(11)이 형성되어 차량의 보조매트(2)에 마련된 링부(ring部)(10)와; 상기 삽입 홀(11)에 대응하여 중앙에 후크(21)가 돌출 형성되어 메인매트(3)에 마련된 후크부(hook部)(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mat fixing device for a vehicle includes a ring portion 10 formed at an insertion hole 11 at a center thereof and provided at an auxiliary mat 2 of a vehicle; The hook 21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center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11, and includes a hook portion 20 provided on the main mat 3.

이때, 상기 링부(10)는 이분 형성(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 10a와 10b)되어 그 사이에 보조매트(2)를 사이에 두고 상호 탄력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후크부(20) 또한 동일한 형태로 이분 형성(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 20a와 20b)되어 메인매트(3)를 사이에 두고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ring portion 10 is formed in two parts (reference numeral 10a and 10b in Figure 1) are mutually elastically coupled with the auxiliary mat (2) therebetween, the hook portion 20 also in the same form The two-part formation (reference numeral 20a and 20b in FIG. 1) is elastically coupled with the main mat 3 interposed therebetween.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보조매트(2)에 마련된 링부(10)를 메인매트(3)에 마련된 후크부(20)에 탄력적으로 결합시켜, 보조매트(2)가 메인매트(3) 상에서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ring portion 10 provided on the auxiliary mat 2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hook portion 20 provided on the main mat 3, so that the auxiliary mat 2 is lifted up on the main mat 3. It can be prevented.

그러나, 종래의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는 링부(10)와 후크부(20)가 통상 모두 합성수지 사출물로 이루어져 상호 탄력적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에 따라 링부(10)와 후크부(20)의 상호 결합부위에 마모가 발생함으로써 보조매트(2)가 메인매트(3)로부터 스스로 분리되어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여 운전자의 안전성을 저해하고 있다.However, since the ring mat 10 and the hook portion 20 of the conventional vehicle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by the synthetic resin injection molding of the ring portion 10 and the hook portion 20, the ring portion 10 and the hook portion 20 are mutually long-term use. As the wear occurs on the engaging portion, the auxiliary mat 2 detaches itself from the main mat 3 and lifts up, thereby impairing the driver's safety.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링부(10)와 후크부(20)에 대한 결합부위의 치수를 타이트하게 설계할 경우에는 링부(10)를 후크부(20)에 조립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링부(10)를 후크부(20)로부터 분리시킬 때 이분 형성되어 있는 링부(10) 또는 후크부(20)가 자체적으로 분리(도 1에 있어서 10a와 10b, 그리고 20a와 20b)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내구성 및 정비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prevent this, when tightly designing the dimensions of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ring portion 10 and the hook portion 20, it is difficult to assemble the ring portion 10 to the hook portion 20, as well as the ring portion 10. When separated from the hook portion 20, the ring portion 10 or the hook portion 20, which is formed in two, is separated from itself (10a and 10b, and 20a and 20b in FIG. 1), resulting in durability and serviceability. There was a problem of falling.

이뿐 아니라, 도 2는 종래의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에서 발생하는 들뜸을 예시하는 도로서, 종래의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부(20)가 차체(1)에 별도로 고정되어 있지 않아 보조매트(2)와 메인매트(3)가 바닥면으로부터 함께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the lifting occurring in the auxiliary mat fixing device of the conventional vehicle, and the auxiliary mat fixing device of the conventional vehicle has a hook portion 20 as shown in FIG. 2. There is a technical problem that the auxiliary mat 2 and the main mat 3 are lifted together from the bottom surface because they are not fixed separately.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를 개선하여 장기간 사용에 따라 헐거워져 쉽게 분리되는 현상을 예방하는 동시에 보조매트의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여 내구성 및 정비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한편, 보조매트가 바닥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품성 및 운전자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improving the auxiliary mat fixing device of the vehic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being easily separated by loosening with long-term use, and easy to install and remove the auxiliary mat to increase the durability and convenience of maintenance On the other hand, it is to provide an auxiliary mat fixing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prevent the auxiliary mat is lifted from the floor surface to maximize the merchandise and driver's safety.

이러한 본 발명은 중앙에 삽입홀이 형성되어 차량의 보조매트에 마련된 링부와; 패널형의 몸체와, 상기 삽입홀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의 일측 상면에 돌출 형성된 후크와, 상기 몸체의 타측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암으로 이루어진 후크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ring portion provided on the auxiliary mat of the vehicle; It is achieved by a panel-shaped body, a hook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upper surface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and a hook portion formed of a fixed arm protruding from the other bottom surface of the body and fixed to the vehicle body.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암은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암을 중심으로 상기 후크부가 원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차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arm is formed in a circular cross section so that the hook portion is pivotally rotat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fixed arm.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그 양측보다 얇은 두께의 박부가 형성된 것이 양호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thin portion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both sides thereof is preferab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과 상기 후크의 상단 및 하부는 동일한 크기의 장방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의 중단에는 요부가 형성되어 그 상부는 고리 형상을 이루고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sertion hole and the hook is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 of the same size, the recess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hook, the upper portion is formed in a ring shape toward the lower It is preferred to be molded obliquely.

이뿐 아니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암에는 그 외주에 다단의 톱니형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In addition to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arm is formed with a multi-stage toothed projection projecting on the outer circumference.

게다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링부는 상부링과 하부링으로 이분 형성되어, 상기 보조매트를 관통하여 상호 탄력적으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ring portion is formed into two parts of the upper ring and the lower ring, and is elastically assembl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auxiliary mat.

특히,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암은 차량의 시트 마운팅 크로스 멤버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fixed arm is fixed through the seat mounting cross member of the vehicl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를 개선하여 장기간 사용에 따라 헐거워져 쉽게 분리되는 현상을 예방하는 동시에 보조매트의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여 내구성 및 정비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한편, 보조매트가 바닥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품성 및 운전자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vehicle's auxiliary mat fixing devic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being easily detached due to long term use, and at the same time, it is easy to install and remove the auxiliary mat, thereby increasing durability and convenience of maintenance. Since the mat can be prevented from lifting off the floor is the invention that can maximize the merchandise and driver safety.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uxiliary mat fixing devic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uxiliary mat fixing devic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매트(2)에 마련된 링부(100)와 상기 링부(100)와 결합하되 차체(1)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후크부(200)로 이루어져, 장기간 반복적인 사용에도 링부(100)가 후크부(200)로부터 스스로 분리되는 현상을 막고, 보조매트(2)가 차체(1) 바닥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3 and 4, the auxiliary mat fixing devic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ring portion 100 and the ring portion 100 provided on the auxiliary mat 2, but fixed to the vehicle body (1) rotatably It consists of a hook portion 200, to prevent the ring portion 100 from detaching itself from the hook portion 200 even in long-term repeated use, and effectively prevent the auxiliary mat (2) from lifting from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1) What is possible is the technical basic characteristic.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발명의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링부(ring部)(100)와 후크부(hook部)(200)로 구성된다.First, the auxiliary mat fixing devic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ring part 100 and a hook part 200 as shown in FIGS. 3 and 4.

먼저, 링부(100)는 대략 그 중앙에 삽입홀(110)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대략 원판형의 요소로서, 이 링부(100)는 차량의 보조매트(2)에 마련된다.First, the ring portion 100 is a substantially disc-shaped element in which an insertion hole 110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thereof, and the ring portion 100 is provided on the auxiliary mat 2 of the vehicle.

이때, 상기 링부(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링(111)과 하부링(112)으로 이분 형성되어, 상기 보조매트(2)를 관통하여 상호 탄력적으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링부(100)를 보조매트(2) 상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ring portion 100 is bi-divided into the upper ring 111 and the lower ring 112, as shown in Figure 4, it is preferable to be assembled to each other elastically through the auxiliary mat (2), Through the ring portion 100 can be easily fixed on the auxiliary mat (2).

그리고, 후크부(200)는 몸체(210), 후크(220), 그리고 고정암(230)이 일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우선, 몸체(210)는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양측에 각각 상기 후크(220)와 고정암(230)이 형성되어 있다.And, the hook portion 200 is a body 210, the hook 220, and the fixing arm 230 is made of a single body, first, the body 210 is formed in a panel shape of the hook 220 on both sides of each ) And a fixed arm 230 is formed.

이때, 상기 몸체(210)의 중앙에는 그 양측보다 얇은 두께의 박부(薄部)(211) 가 형성되어 있어, 탑승객의 발에 의한 후크(220)의 파손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후크부(200)의 성형 시 발생하는 품질산포를 완화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a thin portion 211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both sides thereof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210, thereby preventing the hook 220 from being damaged by the passenger's foot and at the same time the hook portion 200. It is also possible to mitigate the quality spread that occurs during the molding.

또한, 상기 후크(220)는 상기 링부(100)의 삽입홀(110)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210)의 일측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특히, 상기 링부(100)의 삽입홀(110)과 상기 후크(220)의 상단 및 하부는 동일한 크기의 장방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220)의 중단에는 요부(221)가 형성되어 그 상부는 고리 형상을 이루고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ok 220 is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surface of the body 210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110 of the ring portion 100, in particular, the insertion hole 110 and the ring portion 100 The top and bottom of the hook 2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 of the same size, the recess 221 is formed on the interruption of the hook 220, the upper portion of the hook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lower portion. Do.

이를 통해, 상기 링부(100)를 상기 후크(220)에 끼울 때에는, 상기 링부(100)의 삽입홀(110)이 상기 후크(220)의 상단을 통해 부드럽게 들어가며, 상기 링부(100)를 하부로 누름에 따라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단면을 갖는 상기 후크(220)의 하부에 타이트하게 끼워져 고정된다.Through this, when the ring portion 100 is inserted into the hook 220, the insertion hole 110 of the ring portion 100 smoothly enters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hook 220, and the ring portion 100 moves downward. It is tightly fitted a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ok 220 having a cross-section that gradually expands as it is pressed.

이와 더불어, 상기 후크(220)의 중단에 형성된 요부(221)에 의해 상기 후크(220)의 상부는 대략 고리형상을 이루게 됨으로써, 상기 후크(220)에 끼워진 링부(100)가 후크(220)로부터 쉽게 빠져 나오지 않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ok 220 by the recess 221 formed at the interruption of the hook 220 to form a substantially ring shape, so that the ring portion 100 fitted to the hook 220 from the hook 220 It will not come out easily.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암(230)은 상기 몸체(210)의 타측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200)를 차체(1)에 고정시키는 요소로서, 기본적으로는 상기 고정암(230)이 차체(1)를 관통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 좋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암(230)은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암(230)을 중심으로 상기 후크부(200)가 원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차체(1)에 고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Finally, the fixing arm 230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bottom of the other side of the body 210 to fix the hook portion 200 to the vehicle body 1, basically the fixed arm 230 is a vehicle body Although it is preferable to be fixed so as not to move through (1), more preferably, the fixed arm 230 is formed in a circular cross section so that the hook portion 200 is circumferentially around the fixed arm 230. Most preferably, it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1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이를 통해, 탑승객의 발에 의해 상기 후크(220)에 외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 후크(220)의 손상이 발생치 않고 상기 후크부(200) 전체가 상기 고정암(23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후크(22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Through this,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hook 220 by the passenger's foot, the hook 220 is not damaged and the entire hook portion 200 rotates circumferentially about the fixed arm 230.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to the hook 220 in advance.

이와 더불어, 상기 고정암(230)에는 그 외주에 다단의 톱니형 걸림돌기(231)가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고정암(230)을 차체(1)에 형성된 조립홀에 손쉽게 끼워서 조립할 수도 있으며, 상기 후크부(200)의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xed arm 230 is preferably a multi-stage serrated engaging projection 231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through which the fixed arm 230 can be easily fitted into the assembly hole formed in the vehicle body 1 to be assembl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hook portion 200 to be freely rotated.

이때, 상술한 차체(1)는 차량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 중 하나를 택하면 좋으나, 특히, 상기 고정암(230)은 차량의 시트 마운팅 크로스 멤버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vehicle body 1 may take one of various elements constituting the floor of the vehicle, but in particular, the fixing arm 230 is most preferably fixed through the seat mounting cross member of the vehicle.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는 시트 마운팅 크로스 멤버 등의 차체(1)에 고정암(230)에 형성된 걸림돌기(231)를 이용하여 손쉽게 끼워 넣어 조립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 고정암(230)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어 탑승객이 발로 후크(220)에 외력을 가하더라도 상기 후크(220)가 파손되지 않고 후크부(200) 전체가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Auxiliary mat fixing devic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assembled by using the engaging projection 231 formed on the fixing arm 230 in the vehicle body 1, such as the seat mounting cross member, in particular the The fixed arm 230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so that the hook 220 does not break even when the passenger exerts an external force on the hook 220 by the foot, so that the entire hook portion 200 rotates.

이에 따라, 상기 보조매트(2)가 메인매트(3)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메인매트(3) 또한 함께 차체(1)에 고정되기 때문에, 메인매트(3)의 들뜸 또한 함께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Accordingly, the auxiliary mat 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ifted from the main mat 3, and the main mat 3 is also fixed to the vehicle body 1 together, so that the lifting of the main mat 3 is also performed.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prevented.

그리고, 차체(1)에 고정된 후크부(200)에 보조매트(2)에 마련된 링부(100)를 끼울 때에는 상기 후크(220)의 중단에 요부(22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리형상의 상기 후크(220)에 한 번 끼워진 링부(100)는 쉽게 빠지지 않게 될 뿐 아니라, 상기 링부(100)를 밑으로 눌러 줌에 따라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단면을 가진 상기 후크(220)의 하부 외면에 타이트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When the ring portion 100 provided on the auxiliary mat 2 is fitted to the hook portion 200 fixed to the vehicle body 1, the recess 221 is formed at the stop of the hook 220, so that the hook portion 200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The ring portion 100 once fitted to the hook 220 is not only easy to fall out, but also tight to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hook 220 having a cross-section that gradually expands as the ring portion 100 is pushed down. It is fitted to be fixed.

또한, 상기 후크부(200)의 몸체(210) 중앙에 다른 부위보다 대략 절반 정도의 두께를 갖는 박부(211)를 형성함으로써, 후크부(200)의 파손 방지 및 제작 시 발생하는 품질산포를 흡수시키는 기능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forming a thin portion 211 having a thickness of about half of the other portion in the center of the body 210 of the hook portion 200,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hook portion 200 and absorbs the quality distribution generated during manufacturing It can also be given to.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는 장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보조매트(2)를 탈부착 함에 따라 조립부위가 헐거워져 쉽게 분리되는 현상을 예방하는 동시에, 보조매트(2)의 장착 및 탈거가 매우 용이하여 내구성 및 작업자의 정비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한편, 보조매트(2)는 물론 메인매트(3)가 차체(1) 바닥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상품성 및 운전자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Therefore, the auxiliary mat fixing devic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assembly part from loosening and detaching easily by repeatedl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auxiliary mat 2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very easy to increase durability and serviceability of the operator, while effectively preventing the auxiliary mat (2) and the main mat (3) from being lifted from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1) to maximize the merchandise and driver's safety. It is an invention with an excellent advantage that can be made.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above embodiment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rawings and embodiments.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uxiliary mat fixing device of a conventional vehicle;

도 2는 종래의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에서 발생하는 들뜸을 예시하는 도,Figure 2 is a view illustrating the lifting occurring in the auxiliary mat fixing device of a conventional vehicle,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xiliary mat fixing device of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uxiliary mat fixing devic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차체 2 : 보조매트1: body 2: auxiliary mat

3 : 메인매트 100 : 링부3: main mat 100: ring portion

110 : 삽입홀 111 : 상부링110: insertion hole 111: upper ring

112 : 하부링 200 : 후크부112: lower ring 200: hook portion

210 : 몸체 211 : 박부210: body 211: thin

220 : 후크 221 : 요부220: hook 221: main part

230 : 고정암 231 : 걸림돌기230: fixed arm 231: locking projection

Claims (7)

중앙에 삽입홀이 형성되어 차량의 보조매트에 마련된 링부(ring部)와;A ring portion formed at an center thereof and provided at an auxiliary mat of the vehicle; 패널형의 몸체와, 상기 삽입홀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의 일측 상면에 돌출 형성된 후크와, 상기 몸체의 타측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암으로 이루어진 후크부(hook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It is composed of a hook portion consisting of a panel-shaped body, a hook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and a fixed arm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other side of the body fixed to the vehicle body Auxiliary mat fixing device for a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암은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암을 중심으로 상기 후크부가 원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차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The auxiliary mat fix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arm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by the hook unit around the fixing arm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그 양측보다 얇은 두께의 박부(薄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The auxiliary mat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hin portion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both sides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과 상기 후크의 상단 및 하부는 동일한 크기의 장방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의 중단에는 요부(凹部)가 형성되어 그 상 부는 고리 형상을 이루고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sertion hole and the hook is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 of the same size, the recess of the hook is formed with a recessed portion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the upper portion is inclined toward the lower portion Auxiliary mat fixing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l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암에는 그 외주에 다단의 톱니형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The auxiliary mat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ed arm has a multi-stage serrated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its outer circumferen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는 상부링과 하부링으로 이분 형성되어, 상기 보조매트를 관통하여 상호 탄력적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The auxiliary mat fix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ring part is divided into two parts of an upper ring and a lower ring, and is resilient to each other through the auxiliary m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암은 차량의 시트 마운팅 크로스 멤버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The auxiliary mat fix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arm is fixed through the seat mounting cross member of the vehicle.
KR1020080089161A 2008-09-10 2008-09-10 Fixing device for auxiliary mat of vehicle KR201000302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161A KR20100030281A (en) 2008-09-10 2008-09-10 Fixing device for auxiliary mat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161A KR20100030281A (en) 2008-09-10 2008-09-10 Fixing device for auxiliary mat of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281A true KR20100030281A (en) 2010-03-18

Family

ID=42180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161A KR20100030281A (en) 2008-09-10 2008-09-10 Fixing device for auxiliary mat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028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5072B1 (en) Nose pad for eyeglasses
KR20180006980A (en) Drum washing machine door and drum washing machine
JP4975748B2 (en) Locking device between wiper blade and windscreen wiper blade holder
KR101459230B1 (en) Improved rotating bezel system
KR20110035205A (en) Vacuum absorber
US20050263525A1 (en) Fuel filler cap
KR20100030281A (en) Fixing device for auxiliary mat of vehicle
EP2713381B1 (en) Push-button switch, selector switch, and fixing component therefor
JP5146646B2 (en) Dust cover fixing structure
KR20150065315A (en) Roller cover of chain having insert type cap
KR100953512B1 (en) The buckle of waist belt
KR100794225B1 (en) A combination structure of the seat cushion and the seat frame in a mesh chair
JP2010264147A (en) Snap button
KR200446297Y1 (en) The buckle of waist belt
KR101886508B1 (en) Mounting device and method of assistant mat for vehicle
JP2008232249A (en) Dust cover fixing structure
JP2015078491A (en) Hook connection structure
JP2007139047A (en) Boot retainer for vehicular disc brake
ITTO20100018U1 (en) STRIP OF THE TYPE FORMED BY A PLURALITY OF THREADS SET TO A DISC AND EQUIPPED WITH HANDLE
CN211815044U (en) Door body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with same
CN213354742U (en) Rotating handle and electric vehicle
KR200314407Y1 (en) A lock device of manhole
KR20140059024A (en) Head lamp washer for vehicle
KR200468121Y1 (en) Moving caster
KR101846570B1 (en) Shift knob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