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9760A - 향상된 단부 지지 조건을 이용한 아이소파이프 새그 조절 - Google Patents

향상된 단부 지지 조건을 이용한 아이소파이프 새그 조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9760A
KR20100029760A KR20097025739A KR20097025739A KR20100029760A KR 20100029760 A KR20100029760 A KR 20100029760A KR 20097025739 A KR20097025739 A KR 20097025739A KR 20097025739 A KR20097025739 A KR 20097025739A KR 20100029760 A KR20100029760 A KR 20100029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pipe
sag
limiting means
vertical
vertical lim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25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9529B1 (ko
Inventor
은영 박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29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4Forming glass sheets by the overflow downdraw fusion process; Isopip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10T137/0402Cleaning, repairing, or assemb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탄한 유리시트를 만들기 위한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 퓨전 공정을 사용할 경우 아이소파이프 새그를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아이소파이프의 사용 동안 새그 및/또는 새그율을 감소시키도록 지지부 상에 놓여진 아이소파이프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 상에 수직 제한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제한수단 블록을 사용하면, 아이소파이프의 측면을 따라 압축력 또는 본 발명의 수직 제한수단을 사용하지 않는 아이소파이프에 비해 적어도 40%로 새그 및/또는 새그율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유리시트, 아이소파이프, 퓨전 공정, 모멘트, 클램프, 압축력

Description

향상된 단부 지지 조건을 이용한 아이소파이프 새그 조절{ISOPIPE SAG CONTROL USING IMPROVED END SUPPORT CONDITIONS}
본 출원은 2007년 5월 1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928726호의 이점을 청구한다.
본 발명은 퓨전 공정에 의해 유리시트의 제조에 사용된 아이소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 동안 그와 같은 파이프가 나타내는 새그(sag)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퓨전 공정(fusion process)은 유리시트를 생성하기 위해 유리 제조기술에서 사용된 기본적인 기술 중 하나이다(A.K. Varshneya, "Flat Glass", Fundamentals of Inorganic Glasses(Academic Press Inc., Boston 1994), Chapter 20, section 4.2, pages 534-540 참조). 상기 제조기술에 공지된 다른 공정들, 예컨대 플롯(float) 및 슬롯-드로우 공정들과 비교하여, 퓨전 공정은 표면이 우수한 평탄성 및 평평성을 갖는 유리시트를 생성한다. 결과적으로, 그 퓨전 공정은 우수한 평탄성 및 평평성을 필요로 하는 액정표시장치(LCD) 및 다른 기판들의 제조에 사용되 는 유리기판의 생성에 상당히 중요하다. 퓨전 공정, 특히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overflow downdraw) 퓨전 공정은 여기에 참조로 반영되는 Stuart Dockerty에 의한 통상 양도된 미국특허 제3,338,696호 및 제3,682,609호와, Overman에 의한 미국특허 제3,437,470호에 개시되어 있다.
퓨전 공정에 있어서, 원시 표면을 갖는 유리시트를 형성하기 위해 용융된 유리가 아이소파이프 내에 공급되어 양측에 걸쳐 균일하게 흐른다. 그 아이소파이프는 일정한 유량비율로 용융 유리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그 아이소파이프 및 일정한 유량비율의 사용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유리의 생성에 중요하다. 아이소파이프 자체 및 용융 유리에 의해 야기된 중력 부하 및 높은 동작온도로 인해, 아이소파이프는 시간 내내 크립(creep) 작용으로 새그(sag)된다. 이것은 아이소파이프를 따라 유량비율을 변하게 하여 최종 유리의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새그 조절(sag control)"의 방법은 통상 양도된 미국특허출원공개 제2003/0192349 A1 및 제2004/0055338 A1과, 일본특허출원공개 제2004-315286호 및 제2004-315287호에 기술되어 있다. 현재 시점에서 수직 압축력은 미국특허출원공개 제2003/0192349 A1의 도 1 및 도 2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새그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아이소파이프가 더 길어질 수록, 보다 높은 압축력이 요구되고 그와 같은 압축력의 실행은 좀더 도전적인 디자인 발전을 이끈다. 특히, 퓨전 공정 및 아이소파이프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유리기판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제품 품질을 유지하면서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아이소파이프 새그를 제로, 또는 가능한 한 거의 제로에 가깝도록 감소시킬 필요성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현재의 아이소파이프는 간단히 지지된 빔(beam)과 같이 구성된다(도 1 및 도 2 참조). 즉, 아이소파이프의 양 단부는 그들 수직 이동을 방지하는 교각 블록 상에 위치된다(도 1 참조). 이러한 타입의 경계 조건은 아이소파이프의 양단부가 회전할 수 있게 하여 양단부에서 비-제로 경사(non-zero slope)를 형성한다. 경사가 제로 또는 가능한 한 제로에 가깝게 유지하도록 경사를 정정하기 위해 사용된 현재의 방법 중 하나는 유리의 무게 및 아이소파이프에 의해 야기된 휨 모멘트(즉, 파이프 "새그(sag)")를 부분적으로 없앨 수 있는 카운터-휨 모멘트(counter-bending moment)를 생성하도록 아이소파이프의 양단부에 압축력을 인가하는 것이다(도 2 참조). 그러나, 이러한 압축력에 따른 구제책은 이하와 같은 2가지의 단점을 갖고 있다. 즉;
(1) 그 압축력은 모멘트 아암이 매우 짧기 때문에 큰 휨 모멘트 양을 생성하는데 상당히 비효율적이고,
(2) 이러한 비효율성 때문에, 상당한 양의 압축력이 필요하고 이는 잠재적인 버클링(buckling)을 야기할 수 있다.
도 1은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 퓨전 공정에 사용하기 위한 퓨전 파이프(아이소파이프)의 구성을 설명하는 미국특허출원공개 제2003/0192349호로부터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은 "아이소파이프"로 공지된 내열성 몸체(13)에 형성된 수집 홈통(11)에 용융 유리를 제공하는 공급 파이프(9)를 포함한다. 일단 안정된 상태의 동작이 행해지면, 용융 유리가 공급 파이프에서 수집 홈통으로 통과한 후 수집 홈통 양측의 상부를 오버플로우함으로써, 퓨전 파이 프(fusion pipe)의 외면을 따라 아래로 향하여 안쪽으로 흐르는 2개의 유리시트를 형성한다. 그 2개의 유리시트는 파이프의 하부 또는 루트(15)에서 만나고, 여기서 그것들은 단일의 유리시트(도면참조번호로 표기하지 않음)로 함께 융합된다. 다음에, 그 단일의 유리시트는 이 유리시트가 루트로부터 분리되는 비율에 따라 유리시트의 두께를 조절하는 인발 장비(화살표 17로 개략적으로 나타낸)로 공급된다. 인발 장비는 단일의 유리시트가 그 인발 장비와 접촉하기 전에 냉각되어 단단해지도록 루트의 아래에 위치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최종 유리시트의 외면은 어떠한 공정 파트 동안 퓨전 파이프의 외면의 어떤 부분과도 접촉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들 외면은 주변의 대기만을 만난다. 최종 유리시트를 형성하는 2개의 하프 시트(half sheet)의 내면은 파이프와 접촉하지만 이들 내면은 파이프의 루트에서 함께 융합되어 최종 유리시트의 몸체 내에 묻혀 버린다. 이런 식으로, 최종 유리시트의 외면의 우수한 특성이 달성된다.
상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퓨전 파이프(13)는 퓨전 공정의 성공에 있어 중요하다. 특히, 퓨전 파이프의 치수적인 안정성은 파이프 형태의 변경이 퓨전 공정의 전체적인 성공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크게 중요하다. 불행하게, 퓨전 파이프가 사용되는 상황에서의 조건들은 치수적인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퓨전 파이프는 1000℃ 이상의 상승된 온도에서 동작해야 한다. 더욱이,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 퓨전 공정의 경우에, 파이프는 자신의 무게 뿐만 아니라 그 측면 및 홈통(11)에서 오버플로우하는 용융 유리의 무게와 인발됨에 따라 융합된 유리를 통해 파이프로 되돌아 전달되는 적어도 약간의 인장력을 지지하는 한편 그 상승된 온 도에서 동작해야 한다. 생성되는 유리시트의 폭에 따라, 파이프는 1.5m 이상의 지지되지 않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 공정의 높은 동작온도 때문에, 파이프의 재료가 크립(creep)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는 중력에 의해 꾸준히 새그된다. 결국, 그 새그는 완료된 유리의 품질 및/또는 치수가 더 이상 설계 명세서 내에 없어 그 파이프가 서비스를 받아야 하거나 교체되어야 하는 시점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파이프의 새그율을 감소시켜 유효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는 새그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 중심에서 벗어난 동축력을 설명하는 미국특허출원공개 제2003/0192349호로부터의 개략도이다. 도 2에 있어서, 파이프(13)는 그 단부가 지지부(21)에 의해 지지되고 중립축(19)을 갖는다. 파이프(13)와 같이 신장 또는 수축되지 않는 그 중립축은 그 질량 분포, 그 온도 분포, 및 온도 함수와 같은 그 재료 특성에 따라 휘어질 수 있다. 다른 방식에 있어서, 만약 파이프(13)가 도 2의 축력(F)은 없지만 모든 다른 조건이 동일하여 휘어지면 그 중립축은 신장 또는 수축되지 않는 축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그를 보상하기 위해, 퓨전 파이프(13)의 중립축(19) 아래의 거리(H)에 축력(F)이 인가된다. 따라서, 그 축력은 파이프의 단부에 크기 FH의 단부 모멘트를 형성한다. 이들 모멘트의 감지가 중력의 힘에 의해 파이프가 새그되는 경향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축력에 의해 생성된 그 모멘트는 파이프의 모든 변형을 없앨 수 있지만, 이하 제시된 비교예에 의해 기술한 바와 같이, F 및 H의 적절한 선택이 파이프의 유효 수명을 상당히 길게 연장할 수 있다. 그러나, 축력의 인가 및 유지는 상술한 이유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새그를 방지하기 위해 압축력을 사용할 경우 마주치는 어려움들로 인해, 아이소파이프 새그를 방지하는 보다 양호한, 바람직하게는 간편한 방법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평탄한 유리시트를 만들기 위해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 퓨전 공정을 사용할 경우 아이소파이프 새그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지지부 상에 놓인 아이소파이프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 상에 수직 제한수단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길이축(100; 도 4 구조의 아래에 나타낸), 중간 영역, 제1 및 제2단부 영역(72, 74)을 갖춘 도 4에 나타낸 아이소파이프의 새그 또는 새그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지지부(80) 상에 제공될 경우 상기 제1단부 영역(72)은 입구측(또는, 단부나 입구측 단부라고 부름)이 되고, 제2단부 영역(74)은 아이소파이프 및 유리의 무게로 인한 압축측(또는, 단부나 압축측)이라고 부른다. 아이소파이프는 지지부(80) 상의 단부 영역의 배치에 의해 그 단부 영역에서 지지되고, 수직 제한수단은 중력으로 인한 새그에 대항하도록 아이소파이프의 단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위치한다. 도 4는 구성요소로 나타낸 2개의 수직 제한수단(92, 94)을 이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아이소파이프(70)의 단부 영역 72 및 74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힘을 인가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클램프[예컨대 제한은 없고, 단단히 죄기 위한 이동가능 요소(도시 생략)를 갖춘 C-형 클램프]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그와 같은 클램프는 빗금의 그물눈 형태의 요소로 192 및 194로 도 6에 나타나 있다. 클램프(192, 194)는 지지부 및 클램프 모두를 클램프하도록 클램프에 통합된 도 3의 지지블럭(80; 지지부)을 구비할 수 있고, 또 아이소파이프(70)는 도 3에 도시된 지지부(80) 상에, 그리고 아이소파이프와 지지블록 모두에 위치된 클램프(192, 194)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아이소파이프의 측부에 인가된 압축력 또는 여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수직 제한수단의 사용을 포함하지 않는 방법에 비해 적어도 40%의 양으로 아이소파이프의 새그 또는 새그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평탄한 유리시트를 만들기 위한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 퓨전 공정에 사용하기 위한 퓨전 파이프(아이소파이프)에 대한 대표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미국특허출원공개 제2003/0192349호로부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새그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 중심에서 벗어난 동축력을 설명하는 미국특허출원공개 제2003/0192349호로부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아이소파이프의 단부의 수직 이동을 방지하도록 아이소파이프가 지지부 상에 놓여지는 기존의 아이소파이프 및 그 경계 조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지지부 외에 새그를 조절하기 위해 아이소파이프의 입 구측 단부의 상면 상에 위치되는 본 발명의 수직 변위 제한수단(92), 및 선택적으로 아이소파이프의 압축측 단부 상에 위치되는 다른 제한수단(94)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추가의 수직 제한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소파이프 및 새그를 조절하도록 교각 블록 또는 지지부만을 사용하는 아이소파이프의 입구측 단부로부터 측정된 새그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지지부 외에 새그를 조절하기 위해 아이소파이프의 입구측 단부에 위치되는 본 발명의 조절가능 클램프 제한수단(192), 및 선택적으로 아이소파이프의 압축측 단부 상의 다른 조절가능 클램프 제한수단(194)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아이소파이프 새그를 방지하기 위한 간편하면서 효율적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지지부(80) 상에 놓인 아이소파이프(7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아이소파이프(70)는 도 4의 아래에 나타낸 이중 화살표 100으로 표시된 길이축을 갖는다. 도 2의 아이소파이프(13)의 경우에서 처럼, 아이소파이프(70)에 축력(F)을 인가하지 않는다.
아이소파이프가 일정하게 분포된 로드에 노출된 일정한 횡단면을 갖는 빔(beam)과 유사한 것을 사용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단히 지지된 케이스에 있어서, 입구측 단부로부터의 거리의 함수로서 편향 프로파일이 이하와 같이 나 타날 수 있다:
Figure 112009076098047-PCT00001
여기서, ωo(N/m)은 일정하게 분포된 로드이고, E는 영률(Young's modulus)이고, I는 2차 관성 모멘트이며, L은 아이소파이프의 길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사의 변경을 방지하기 위해 입구측(72)과 같이 아이소파이프의 일단부에 추가의 제한수단(92)이 부가되면, 편향 프로파일이 이하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Figure 112009076098047-PCT00002
도 5는 상기 u1, u2를 도표화한 그래프이고, 여기서 모든 상수, ωo, E, I 및 L 단위 숫자를 설정한 후의 0≤x≤1이다. 모든 다른 조건들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아이소파이프의 단부(72)에 대한 추가의 제한수단(92)에 의해 단일의 빔 케이스(커브 A)에 대한 약 0.013의 값에서 0.0054의 값으로 그 아이소파이프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이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아이소파이프 입구측(72)에 단일의 수직 제한수단(92)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새그가 약 59%로 감소된다. 간단히 지지된 조건(커브 B)을 갖는 것에서는 새그가 41.5%만이 감소된다. 입구측(72)에 대향하는 단부(74; 압축측) 상의 제2수직 배치 제한수단(94)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경우 아이소파이프의 단부 모두가 제한되거나 클램프되기 때문에 새그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된 제한수단을 사용하는 대신, 만약 아이소파이프의 입구측(72) 및 압축측(74)의 상면과 그들의 수직 제한수단간 갭 또는 힘을 적절히 조절하면, 새그의 불균형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변경되는 횡단면에 상관없이 입구측 단부에서 압축측 단부까지 균형의 새그 프로파일을 얻을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수직 제한수단은 접촉하고 있는 그 면의 어떠한 수직 이동도 허용하지 않는 고정 제한수단이다. 그러나,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그 제한수단의 강성을 조절하면, 아이소파이프의 새그를 감소시키는 것 외에, 입구측 단부에서 압축측 단부까지의 새그 프로파일이 조절될 수 있어 완성된 유리 제품의 품질 및 특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 제한수단은 선택된 수직방향의 이동량을 허용하거나 수직방향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제한수단에 의해 인가된 힘의 조절을 허용하는 조절가능 제한수단(예컨대 제한은 없고, C-형 클램프) 또는 고정된 단단한 제한수단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특징은 퓨전 인발 공정에 사용하기 위한 아이소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아이소파이프는 내열성 요소의 대향측을 따라 용융 유리의 흐름을 방해받지 않고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길이로 확장하는 개구를 갖춘 길이로 확장하는 내열성 요소이고, 상기 아이소파이프는 단부 아래의 지지부에 의해 그 제1 및 제2단부에서 지지되고, 그 향상은 중력으로 인한 새그에 대항하도록 상기 아이소파이프의 제1 및 제2단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그 제1 및 제2단부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는 수직 제한수단(제한부재)의 추가에 있다. 상기 아이소파이프와 접촉하는 상기 아이소파이프 상의 상기 수직 제한수단은 상기 아이소파이프의 수직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아이소파이프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아이소파이프의 새그 및/또는 새그율을 감소시킨다. 상기 수직 제한부재는 고정된 단단한 수직 제한부재이거나 조절가능 수직 제한부재일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의해 기술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아이소파이프(70)의 단부 영역 72 및 74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힘을 인가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클램프[예컨대 제한은 없고, 단단히 죄기 위한 이동가능 요소(도시 생략)를 갖춘 C-형 클램프]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그와 같은 클램프는 빗금의 그물눈 형태의 요소로 192 및 194로 도 6에 나타나 있다. 클램프(192, 194)는 지지부 및 클램프 모두를 클램프하도록 클램프에 통합된 도 3의 지지블럭(80)을 구비할 수 있고, 또 아이소파이프(70)는 도 3에 도시된 지지부(80) 상에, 그리고 아이소파이프와 지지블록 모두에 위치된 클램프(192, 194)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퓨전 유리-제조 공정에 사용된 아이소파이프의 새그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방법은 적어도 길이축, 중간 영역과 제1 및 제2단부 영역을 갖춘 아이소파이프를 제공하는 단계; 단부의 하향 수직 이동을 방지하도록 지지부의 상부에 상기 단부 영역을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단부 영역을 지지하는 단계; 및 중력으로 인한 새그에 대항하도록 상기 아이소파이프의 제1 및 제2단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그 제1 및 제2단부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는 수직 제한수단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소파이프와 접촉하는 상기 아이소파이프 상의 상기 수직 제한수단은 상기 아이소파이프의 수직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아이소파이프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아이소파이프의 새그 및/또는 새그율을 감소시킨다.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아이소파이프의 측부에 인가된 압축력 또는 아이소파이프의 적어도 일 단부 상에 수직 제한수단이 사용되지 않는 방법에 비해 적어도 40%로 아이소파이프의 새그 및/또는 새그율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이 제한된 수의 실시예로 기술하고 있지만, 당업자라면, 여기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부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Claims (8)

  1. 퓨전 유리-제조 공정에 사용된 아이소파이프의 새그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길이축, 중간 영역과 제1 및 제2단부 영역을 갖춘 아이소파이프를 제공하는 단계;
    단부의 하향 수직 이동을 방지하도록 지지부의 상부에 상기 단부 영역을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단부 영역을 지지하는 단계; 및
    중력으로 인한 새그에 대항하도록 상기 아이소파이프의 제1 및 제2단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그 제1 및 제2단부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는 수직 제한수단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소파이프와 접촉하는 상기 아이소파이프 상의 상기 수직 제한수단은 상기 아이소파이프의 수직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아이소파이프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아이소파이프의 새그 및/또는 새그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힘 인가 수직 제한수단은 고정된 단단한 제한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힘 인가 수직 제한수단은 제한수단에 의해 아이소파이프에 인가된 힘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가능 제한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제한수단은 상기 아이소파이프의 제1단부 상에 그 제1단부와 접촉하여 위치되고, 상기 아이소파이프의 제1단부에 하향 힘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제한수단은 상기 아이소파이프의 제1 및 제2단부 상에 그 제1 및 제2단부와 접촉하여 위치되고, 상기 아이소파이프의 제1 및 제2단부 모두에 하향 힘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아이소파이프의 측면을 따라 인가된 압축력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제한수단의 사용을 포함하지 않는 방법에 비해 적어도 40%의 아이소파이프의 새그 또는 새그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퓨전 인발 공정에 사용하기 위한 아이소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아이소파이프는 내열성 요소의 대향측을 따라 용융 유리의 흐름을 방해받지 않고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길이로 확장하는 개구를 갖춘 길이로 확장하는 내열성 요소이고, 상기 아이소파이프는 단부 아래의 지지부에 의해 그 제1 및 제2단부에서 지지되고,
    중력으로 인한 새그에 대항하도록 상기 아이소파이프의 제1 및 제2단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그리고 그 제1 및 제2단부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는 추가의 수직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소파이프와 접촉하는 상기 아이소파이프 상의 수직 제한수단은 상기 아이소파이프의 수직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아이소파이프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아이소파이프의 새그 및/또는 새그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파이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수직 제한부재는 고정된 단단한 수직 제한부재 및 조절가능 수직 제한부재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파이프.
KR1020097025739A 2007-05-11 2008-04-29 향상된 단부 지지 조건을 이용한 아이소파이프 새그 조절 KR101379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2872607P 2007-05-11 2007-05-11
US60/928,726 2007-05-11
PCT/US2008/005505 WO2008140682A1 (en) 2007-05-11 2008-04-29 Isopipe sag control using improved end support cond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760A true KR20100029760A (ko) 2010-03-17
KR101379529B1 KR101379529B1 (ko) 2014-03-31

Family

ID=3953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739A KR101379529B1 (ko) 2007-05-11 2008-04-29 향상된 단부 지지 조건을 이용한 아이소파이프 새그 조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80276649A1 (ko)
JP (1) JP5291704B2 (ko)
KR (1) KR101379529B1 (ko)
CN (1) CN101679095B (ko)
TW (1) TWI393680B (ko)
WO (1) WO20081406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157B1 (ko) * 2009-10-14 2018-03-06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시트 두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0703664B2 (en) 2014-09-30 2020-07-07 Corning Incorporated Isopipe with curb at the compression end and method for forming a glass ribbon
EP3233742A1 (en) 2014-12-19 2017-10-25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sopipe support and sag mitigation
US9840431B2 (en) * 2016-01-11 2017-12-12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upporting forming bodies of glass forming apparatuses
DE102019120065A1 (de) * 2019-07-24 2021-01-28 Schott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lasbändern
CN115190869A (zh) * 2020-02-03 2022-10-14 康宁公司 用于制造玻璃带的方法和设备
WO2022131177A1 (ja) * 2020-12-16 2022-06-2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成形装置
KR20230115289A (ko) * 2020-12-16 2023-08-02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성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18107A (en) * 1923-12-31 1927-02-15 Libbey Owens Sheet Glass Co Drawing sheet glass
US2291289A (en) * 1939-09-28 1942-07-28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Apparatus for making siliceous fibers
US3338696A (en) * 1964-05-06 1967-08-29 Corning Glass Works Sheet forming apparatus
US3437470A (en) * 1966-06-17 1969-04-08 Corning Glass Works Constant force internal support for glass overflow wedge
BE757057A (fr) * 1969-10-06 1971-04-05 Corning Glass Works Procede et appareil de controle d'epaisseur d'une feuille de verre nouvellement etiree
US5603193A (en) * 1995-10-11 1997-02-18 Koertge; Richard J. Sealing system for multi-panel ceiling
AU2001236886A1 (en) * 2000-02-09 2001-08-20 Connetics Corporation Use of relaxin to treat diseases related to vasoconstriction
US6748765B2 (en) * 2000-05-09 2004-06-15 Richard B. Pitbladdo Overflow downdraw glass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WO2002044102A1 (en) * 2000-12-01 2002-06-06 Corning Incorporated Sag control of isopipes used in making sheet glass by the fusion process
KR100573054B1 (ko) * 2002-04-12 2006-04-25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용융파이프의 처짐 제어 방법
US20050178159A1 (en) * 2002-07-08 2005-08-18 Asahi Glass Company, Limite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heet glass
US7690221B2 (en) * 2004-02-23 2010-04-06 Corning Incorporated Sheet width control for overflow downdraw sheet glass forming apparatus
US8042361B2 (en) * 2004-07-20 2011-10-25 Corning Incorporated Overflow downdraw glass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6248855A (ja) * 2005-03-11 2006-09-21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板ガラスの成形装置及び板ガラスの成形方法
JP2006298736A (ja) * 2005-04-25 2006-11-0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板ガラスの成形装置、板ガラス装置用支持部材及び板ガラスの成形方法
US20060236722A1 (en) * 2005-04-26 2006-10-26 Robert Delia Forming apparatus with extensions attached thereto used in a glass manufactu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26761A (ja) 2010-08-05
JP5291704B2 (ja) 2013-09-18
WO2008140682A1 (en) 2008-11-20
CN101679095A (zh) 2010-03-24
TWI393680B (zh) 2013-04-21
US20080276649A1 (en) 2008-11-13
TW200906742A (en) 2009-02-16
KR101379529B1 (ko) 2014-03-31
CN101679095B (zh) 2012-09-05
US9120691B2 (en) 2015-09-01
US20110253226A1 (en)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529B1 (ko) 향상된 단부 지지 조건을 이용한 아이소파이프 새그 조절
US8001805B2 (en) Overflow downdraw glass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EP1756017B1 (en) Isopipe mass distribution for forming glass substrates
KR100573054B1 (ko) 용융파이프의 처짐 제어 방법
JP5568051B2 (ja) 連続したガラスリボンからガラスシートを分割する方法
US20080047300A1 (en) Defect reduction in manufacture glass sheets by fusion process
US882669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sheet
KR20180102149A (ko) 유리 포밍 장치들의 포밍 바디들을 지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
US20150128648A1 (en) Composite isopipe
EP370404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hin glass ribbons
KR102408891B1 (ko) 연속적인 유리 리본들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체들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들
US11053153B2 (en) Forming bodies for forming continuous glass ribbons and glass forming apparatuses comprising the same
WO2018232092A2 (en) Glass forming apparatuses with moveable end block assemblies
KR101206122B1 (ko) 유리 기판을 형성하기 위한 아이소파이프 질량 분포 방법
CN117383801A (zh) 玻璃基板成形用的复合溢流槽、玻璃基板成形装置
JP2020045262A (ja) 成形装置及び板ガラ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