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8725A -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 및 시선일치 방법 - Google Patents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 및 시선일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8725A
KR20100028725A KR1020080087584A KR20080087584A KR20100028725A KR 20100028725 A KR20100028725 A KR 20100028725A KR 1020080087584 A KR1020080087584 A KR 1020080087584A KR 20080087584 A KR20080087584 A KR 20080087584A KR 20100028725 A KR20100028725 A KR 20100028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main body
light receiving
camera
counter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철
서창렬
정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87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8725A/ko
Publication of KR20100028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7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 및 시선일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선일치 카메라에서 수광부만 별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부피를 확대하지 않으면서 간단한 장치를 통해 시선일치를 얻어낼 수 있으며, 수광부의 수평 및 수직 이동을 수동/자동으로 가능하도록 하여 상대방이 모니터의 정중앙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더라도 적응적으로 시선일치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 및 시선일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이격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시선일치 카메라; 및 상기 본체부가 장착되며 상기 수광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준이 되는 모니터와, 상대방의 특정 신체부위를 검출하는 상대방 검출부를 포함하는 영상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한다.
시선일치, 수광부, 영상통화, 몰입감

Description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 및 시선일치 방법{Camera system for eye-contact, Method for eye-contact}
본 발명은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 및 시선일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선일치 카메라에서 수광부만 별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부피를 확대하지 않으면서 간단한 장치를 통해 시선일치를 얻어낼 수 있으며, 수광부의 수평 및 수직 이동을 수동/자동으로 가능하도록 하여 상대방이 모니터의 정중앙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더라도 적응적으로 시선일치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 및 시선일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선일치(eye-contact, eye-gaze)는 상대방이 대화에 어떤 자세로 임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느 정도 자신의 이야기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게 해 주는 것으로 영상통화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시선일치는 대화를 시작하거나 자신이 말을 하기 시작한다는 단서를 제공함으로써 대화의 흐름을 조절하며, 통화자들 간에 상대방과의 대화에 흥미가 있다거나 주의를 기울이고 있음을 나타내는 무언의 언어(non-verbal language)가 된다. 또한, 감정을 전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눈, 이마, 입, 얼굴 근육의 움직임을 통해 서로의 감정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영상통화에서 카메라와 모니터 및 사용자 간의 물리적인 거리에 따라 수직각(시선일치 각도)이 발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영상통화에서 상대방의 모습이 보이는 모니터 스크린(12)과, 자신의 모습을 캡쳐하는 카메라(20) 사이에는 서로 다른 물리적인 위치로 인해 편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서로의 시선이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에서 θ는 수직각을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모니터 윗부분에 카메라가 존재하게 되는데 통화자는 상대방의 모습이 재생되는 스크린을 바라볼 뿐 카메라를 보는 것이 아니므로, 도 2a와 같이 상대방에게는 자신이 눈을 내리깔고 있는 모습으로 비치게 된다. 또한, 그 자세에서 카메라를 응시한다고 하더라도 도 2b와 같이 얼굴은 모니터를 향하고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부자연스러운 영상이 제공된다. 도 2c와 같이 눈과 얼굴 모두 카메라를 향하는 경우 시선일치된 자연스러운 영상이 제공된다.
시선일치를 위한 방법으로는 하드웨어적 접근방법과 소프트웨어적 접근방법 등이 있으며, 하드웨어적 접근방법으로는 반투명 거울(HM, Half-transparent Mirror) 방식, BHM(Blazed Half-Mirror) 방식과 같은 광분할 방식, 공간분할 방식 및 시분할 방식 등이 있다.
반투명 거울 방식은 사용자가 스크린을 바라보고 있는 모습이 반투명거울에 반사되어 카메라로 입력되도록 한 것으로, 모니터 앞에 반투명 거울이 45도 기울어져 있어야 하므로 모니터 크기에 비례하여 사용자와 모니터 간의 거리가 증가하게 되어 전체 시스템 크기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투명 거울 방식은 반투명 거울이 빛의 양을 반만 통과시키고 나머지는 반사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는 화면이 흐려지고, 카메라 설치를 위한 별도의 기구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BHM 방식은 작은 크기의 반투명 거울을 여러 개 배치하여 반투명 거울이 모니터와 평행하게 되도록 하고 카메라를 BHM의 반사각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한 것으로, 상기 반투명 거울 방식에서 반투명 거울과 모니터 사이의 거리가 커지는 문제점을 보완하였다. 그러나, BHM 방식은 특수하게 제작된 반투명 거울이 필요하며 카메라 설치를 위한 공간 제약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공간분할 방식은 상대방의 눈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의 스크린에 작은 구멍을 뚫고 거기에 작은 카메라를 설치하며, 비디오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상대방의 모습을 스크린에 투영한 방식이다. 이 방식은 스크린에 구멍을 내야하는 번거로움과, 카메라 구멍이 상대방의 모습에 합쳐져서 보이는 단점이 있다. 또한, 비디오 프로젝터의 강한 빛이 카메라에 그대로 입력되므로, 편광필터 등을 사용하여 프로젝터에서 입사되는 광선과 사용자에게 반사되어 들어오는 광선을 구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시분할 방식은 스위칭 가능한 LCD 패널 뒤에 카메라와 비디오 프로젝터를 두고 LCD를 ON 시킬 때는 상대방 모습을 디스플레이하고, OFF 시킬 때는 투명한 LCD를 통해 사용자의 모습이 카메라에 캡쳐되도록 한 방식이다. 이 방식은 카메라나 디스플레이가 전체 시간의 반씩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에 입사되는 광선의 강도와 디스플레이되는 빛의 양이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전체 시스템의 부피를 확대하지 않으면서 간단한 장치를 통해 시선일치를 얻어낼 수 있으며, 상대방이 모니터의 정중앙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더라도 적응적으로 시선일치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 및 시선일치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시선일치 카메라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이격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광부는 렌즈와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은 상기 시선일치 카메라; 및 상기 본체부가 장착되며 상기 수광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준이 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영상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모니터의 상단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의 상단에는 상기 본체부가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guide)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단말기는 비디오 디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단말기는 상기 비디오 디코더의 재생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 의 상대방의 특정 신체부위를 검출하는 상대방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단말기는 상기 상대방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상기 특정 신체부위의 위치좌표값을 계산하는 좌표값 계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광부를 수평 또는 수직이동시키는 전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좌표값 계산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동장치를 구동하는 전동장치 구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선일치 방법은 (a) 상대방이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b) 카메라 본체와 분리된 수광부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니터의 특정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광부가 원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시선일치 방법은 (a) 상대방이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b) 상기 상대방의 영상으로부터 특정 신체부위를 검출하고, 해당 프레임에서의 위치좌표를 계산하는 단계; (c) 제어신호에 의해, 카메라 본체와 분리된 수광부를 상기 위치좌표값에 해당하는 상기 모니터상의 위치로 구동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수광부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선일치 카메라에서 수광부만 별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부피를 확대하지 않으면서 간단한 장치를 통해 시선일치를 얻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광부의 수평 및 수직 이동을 수동/자동으로 가능하도록 하여 상대방이 모니터의 정중앙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더라도 적응적으로 시선일치를 이룰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기존의 하드웨어적 방법들은 카메라는 그대로 둔 채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가장치를 부착하여 시선일치를 얻어내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들은 시스템의 부피가 커지고 설치하기도 번거롭기 때문에 일반 대중들을 상대로 한 영상통화 환경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들은 통화 상대방의 모습이 항상 화면의 중앙에 위치한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현실세계에서는 가정하기 어렵다. 상대방은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임의의 위치에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대로 둔 채 카메라를 변형시켜 시선일치를 얻는 방법들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술하는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은 기존 카메라의 형상과 동작을 시선일치를 이루기 용이한 형태로 변형한 것이다. 제안하는 카메라 시스템은 카메라 본체와 카메라의 수광부를 물리적으로 분리하되, 본체와 수광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몇 가닥의 전선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선을 통해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소자에서 생성된 비디오 신호가 카메라 본체로 전달된다. 카메라 본체에 전선으로 연결된 수광부는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수광부를 위 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시선일치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은,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모니터(112)와 시선일치 카메라(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니터(112)는 상대방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으로, 본체부(121)가 장착된다. 도면에서는 편의상 본체부(121)가 모니터(112)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체부(121)가 모니터(112)의 다른 부분에 장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시선일치 카메라(120)는 본체부(121)와 수광부(130)를 포함한다.
수광부(130)는 빛이 입사되는 렌즈와, 입사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소자를 구비한다. 본체부(121)는 카메라 전체에서 수광부(130)를 제외한 나 머지 부분이다. 본체부(121)와 수광부(130)는 가는 비디오 신호 연결선(126)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시선일치 카메라(110)는 기계장치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계장치부(125)는 수광부(130)와 본체부(121)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기계장치부(125)는 사용자가 손으로 수광부(130)를 잡아당겨 모니터(112) 상의 원하는 위치로 수광부(13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통화가 완료되면 수광부(130)가 원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기계장치부(125)는 원터치 태엽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수광부(125)를 잡아당길 때는 태엽이 감겨 탄성에너지 형태로 저장하고, 수광부(125)를 원위치시킬 때는 원터치 버튼을 누름으로써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기계장치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기계장치부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사용자가 직접 수광부를 잡아당기는 대신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기계장치부에는 제어신호의 수신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원격에서 수광부의 이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기계장치부가 기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a와 같이 영상통화를 하지 않을 때는 수광부(130)가 본체부(121)에 근접하도록 한다. 영상통화를 송신하거나 착신하게 되면 도 3b 또는 도 3c와 같이 수광부(130)를 이동시켜 상대방의 시선을 좇아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수광부(130)는 가급적 모니터(112) 상에서 상대방의 특정 신체부위 부근에 위치시키게 되는데, 특 히 상대방의 머리, 얼굴 또는 눈 근방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시선일치를 얻는 데 효과적이다. 수광부(130)는 본체부(121)에 비해 매우 작은 크기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통화 상대방의 근처에 위치시키더라도 통화에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5의 실시예는 본체부가 수평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점 이외에는 도 3a 내지 도 3c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대방의 얼굴은 모니터의 중앙뿐만 아니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편향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가 모니터 상단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구비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모니터(112)의 상단에는 본체부(12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140)가 설치된다. 가이드(140)는 슬라이드 방식, 레일(rail) 방식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방식의 경우 본체부에는 돌기를 형성하고 가이드에는 홈을 형성하여 서로 조합한 후 슬라이드가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레일 방식의 경우 기어를 조합하거나 도르래 등을 이용하여 레일상으로 본체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가이드의 구체적인 구현 형태는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직접 본체부(121)를 가이드(140) 상에서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모터와 같은 동력장치를 장착하고 이를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함으로서 원격에서 본체부(121)의 수평이동을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체부(121)의 수평방향 이동이 가능해지면 수광부(130)의 위치선정도 보다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대방의 모습이 모니터의 가운데에 있어야 한다는 가정이 필요없기 때문에 수광부를 상대방의 머리 위뿐만 아니라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에 위치시킬 수도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의 실시예는 통화 상대방의 위치를 파악하고 전동장치를 구동함으로써 자동으로 수광부를 모니터상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는 점 이외에는 도 5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자동 동작 기능은 수광부가 수직방향으로만 이동하는 도 3a 내지 도 3c의 실시예와, 수광부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도 5의 실시예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은, 도 6을 참조하면, 영상단말기(110)와 시선일치 카메라(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영상단말기(110)는 모니터, 비디오 디코더(113), 상대방 검출부(114), 좌표값 계산부(115)를 포함한다.
비디오 디코더(113)는 비디오 인코더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재생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모니터로 전송한다.
상대방 검출부(114)는 디코딩된 재생영상으로부터 통화 상대방의 특정 신체부위를 검출한다. 예컨대, 상대방 검출부(114)는 재생영상에서 통화 상대방의 머리, 얼굴 또는 눈 부분을 검출해낼 수 있다. 머리를 검출하는 경우 상대방 검출부(114)는 재생영상에서 배경부분과 전경부분을 분리하는 방식으로 검출할 수 있 다. 배경과 전경을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공지된 기존의 여러 가지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좌표값 계산부(115)는 상대방 검출부(114)를 통해 검출된 특정 신체부위의 위치좌표값을 계산한다. 이때, 위치좌표값은 해당 프레임에서의 2차원 좌표값을 의미한다. 좌표값 계산부(115)를 통해 산출된 위치좌표값은 본체부(121)로 전송되어 전동장치 구동기(122)를 구동하는 제어신호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대방 검출부(114)와 좌표값 계산부(115)는 카메라 이동의 자동화를 위해 영상단말기에 소프트웨어 형태로 추가될 수 있다.
시선일치 카메라(120)는 본체부(121)와 수광부(130) 및 비디오 신호 연결선(126)을 구비하며, 본체부(121)는 전동장치 구동기(122), 전동장치(123), 카메라 고유기능부(124)를 포함한다.
전동장치 구동기(122)는 좌표값 계산부(115)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동장치(123)를 구동한다. 예컨대, 전동장치 구동기(122)로는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동장치 구동기(122)는 수평, 수직 방향으로 전동장치(123)를 구동시켜 수평, 수직 방향으로 수광부(130)를 이동시킴으로써, 수광부(130)가 통화 상대방의 머리 부근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전동장치(123)는 전동장치 구동기(12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수광부(130)를 수평 또는 수직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전동장치(123)로는 기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동장치(123)의 동작에 따라 본체부(121)가 가이드(140) 상에서 수평이동하거나, 수광부(130)가 수직이동하게 된다.
카메라 고유기능부(124)는 카메라에서 렌즈와 수광소자를 제외한 부분으로, 기존 카메라와 동일하게 카메라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수광부를 설계하고,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상대방의 모습을 가리지 않는 배경영역이나 경계영역에 수광부가 위치하도록 수동 또는 자동으로 수광부를 이동시킴으로써, 가능한 한 상대방의 눈과 가까운 위치에 수광부가 존재하도록 하여 시선일치 각도를 최소화하게 된다. 수광부는 본체에 비해 매우 작은 크기로 구현가능하므로 모니터 화면 중에 위치하여도 통화에 크게 방해되지 않으며, 영상통화 중에는 상대방의 눈을 주로 보기 때문에 배경이나 경계 부분에 위치하는 수광부의 존재가 크게 인식되지 않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일치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일치 방법은 상술한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영상통화 또는 영상회의가 시작되면 통화 상대방이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된다(S10).
사용자는 카메라 본체와 분리된 수광부를 모니터의 특정 위치로 이동시킨다(S20). 이때, 사용자는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대방의 위치에 따라 수광부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수동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영상통화 또는 영상회의가 완료되면 수광부를 원위치로 이동시킨다(S30).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선일치 방법의 흐름도이다. 마찬가 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선일치 방법 또한 상술한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영상통화 또는 영상회의가 시작되면 통화 상대방이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된다(S110).
상대방 영상으로부터 특정 신체부위를 검출하고(S120), 해당 프레임에서의 위치좌표를 계산한다(S130).
계산된 위치좌표값을 전동장치 구동기로 전송하고(S140), 전동장치 구동기가 위치좌표값에 부합하도록 전동장치를 구동한다(S150). 즉, 제어신호에 의해, 카메라 본체와 분리된 수광부를 수평 또는 수직이동시켜 상기 위치좌표값에 해당하는 모니터상의 위치로 구동시킨다.
영상통화 또는 영상회의가 끝나면 자동으로 수광부를 원위치로 이동시킨다(S16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영상통화, 영상회의와 같이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영상통화에서 카메라와 모니터 및 사용자 간의 물리적인 거리에 따라 수직각(시선일치 각도)이 발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a 내지 도 2c는 시선일치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의 개념도,
도 4는 시선일치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일치 방법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선일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영상단말기 112 - 모니터
113 - 비디오 디코더 114 - 상대방 검출부
115 - 좌표값 계산부 120 - 시선일치 카메라
121 - 본체부 122 - 전동장치 구동기
123 - 전동장치 124 - 카메라 고유기능부
126 - 비디오 신호 연결선 130 - 수광부
140 - 가이드

Claims (8)

  1.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이격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시선일치 카메라; 및
    상기 본체부가 장착되며 상기 수광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준이 되는 모니터와, 상대방의 특정 신체부위를 검출하는 상대방 검출부를 포함하는 영상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모니터의 상단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의 상단에는 상기 본체부가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guide)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단말기는 비디오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단말기는 상기 상대방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상기 특정 신체부위의 위치좌표값을 계산하는 좌표값 계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광부를 수평 또는 수직이동시키는 전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좌표값 계산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동장치를 구동하는 전동장치 구동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
  8. (a) 상대방이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b) 상기 상대방의 영상으로부터 특정 신체부위를 검출하고, 해당 프레임에서의 위치좌표를 계산하는 단계;
    (c) 제어신호에 의해, 카메라 본체와 분리된 수광부를 상기 위치좌표값에 해당하는 상기 모니터상의 위치로 구동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수광부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일치 방법.
KR1020080087584A 2008-09-05 2008-09-05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 및 시선일치 방법 KR201000287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584A KR20100028725A (ko) 2008-09-05 2008-09-05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 및 시선일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584A KR20100028725A (ko) 2008-09-05 2008-09-05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 및 시선일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725A true KR20100028725A (ko) 2010-03-15

Family

ID=4217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584A KR20100028725A (ko) 2008-09-05 2008-09-05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 및 시선일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87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390B1 (ko) * 2010-09-20 2013-04-05 옥물결 상대편 카메라를 이용한 초인종 알림시스템 및 알림방법
KR101252762B1 (ko) * 2012-01-26 2013-04-12 (주) 피디케이리미티드 화상 회의 단말장치의 화상 합성 장치 및 방법
WO2013187551A1 (ko) 2012-06-11 2013-12-19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아이콘텍이 가능한 3차원 원격회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390B1 (ko) * 2010-09-20 2013-04-05 옥물결 상대편 카메라를 이용한 초인종 알림시스템 및 알림방법
KR101252762B1 (ko) * 2012-01-26 2013-04-12 (주) 피디케이리미티드 화상 회의 단말장치의 화상 합성 장치 및 방법
WO2013187551A1 (ko) 2012-06-11 2013-12-19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아이콘텍이 가능한 3차원 원격회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9077974B2 (en) 2012-06-11 2015-07-07 Center Of Human-Centered Interaction For Coexistence 3D video-teleconferencing apparatus capable of eye contact and metho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89199B (zh) 显示装置、显示装置的控制方法以及程序
US10114610B2 (en)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program
US9959591B2 (en)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nd program
US20160313973A1 (en)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and computer program
KR102044054B1 (ko) 화상 제어 장치 및 화상 제어 방법
US10802290B2 (en) Display device assembly
JP6155622B2 (ja) 表示装置、頭部装着型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6089705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CN110471249B (zh) 现场全息显示系统
US9972319B2 (en)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program having display of voice and other data
JP6432197B2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64545A (ko) 시선일치 기능을 구비한 영상통화 장치 및 그 방법
TWI744558B (zh) 基於視頻通信的實景窗系統
JP2017102516A (ja) 表示装置、通信システム、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274921A (zh) 视频会议系统
US20160035137A1 (en)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program
JP2019023767A (ja) 情報処理装置
JP2016024208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0156849A (ja) 携帯情報端末装置
KR20100028725A (ko) 시선일치 카메라 시스템 및 시선일치 방법
JP2015072415A (ja) 表示装置、頭部装着型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17079389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95246A (ko) 화상통화장치 및 화상통화 보조장치
JP2016033763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050156A (ja) 双方向コミュニケ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