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8723A -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송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송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8723A
KR20100028723A KR1020080087580A KR20080087580A KR20100028723A KR 20100028723 A KR20100028723 A KR 20100028723A KR 1020080087580 A KR1020080087580 A KR 1020080087580A KR 20080087580 A KR20080087580 A KR 20080087580A KR 20100028723 A KR20100028723 A KR 20100028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help signal
sch
he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찬호
이상민
김영수
권일원
한정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7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8723A/ko
Publication of KR20100028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7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6Co-operative diversity, e.g. using fixed or mobile stations as 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92Adapting at the relay station communication parameters for supporting cooperative relaying, i.e. transmission of the same data via direct - and relay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셀 커버리지 밖에 존재하는 단말의 긴급 호 송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동기 채널을 수신하여 동기 채널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동기 채널 수신 감도를 임계값과 비교하여 동기 획득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동기 획득이 가능할 시, 상기 동기 채널 구간을 포함하는 헬프 신호 전송 구간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헬프 신호 전송 구간 동안 긴급 호를 위한 헬프 신호를 셀 커버리지 내 단말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헬프 신호의 전송 성능을 높임과 동시에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중계 단말이 상기 헬프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일 수 있다.
긴급 호(emergency call), 헬프 신호(help signal), 중계 단말, SCH(Synchronization Channel)

Description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송신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EMERGENCY CALL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송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셀 커버리지 밖에 있으면서 동기 획득이 가능한 단말들의 긴급 호 송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불가능한 셀 커버리지 밖(out-of-coverage)의 단말 혹은 커버리지 홀(coverage hole) 안의 단말에서 긴급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중계(relaying) 방식을 통해 셀 커버리지 내 단말의 도움으로 무선 긴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커버리지 밖의 단말 A(110)와 커버리지 홀 내의 단말 B(112)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될 시, 기지국(100) 커버리지 내의 단말 C(114)와 D(116)의 도움을 받아 무선 긴급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무선 긴급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긴급 호 설정 절차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기지국과 통신이 불가능한 위치(예: 셀 커버리지 밖 혹은 커버리지 홀)에 존재하는 단말 A(200)는 220단계에서 주위 임의의 셀 커버리지 내 단말들에게 헬프 신호(help signal)를 전송하여 긴급 호(emergency call) 서비스를 요청한다. 이후, 상기 헬프 신호를 수신한 셀 커버리지 내의 단말 B,C,D(202, 204, 206)는 222단계를 통해 각각 자신의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헬프 신호를 발생시킨 단말 A(200)의 존재를 알리고, 기지국으로부터 중계용 앰블(amble)을 할당받은 후, 22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할당받은 앰블을 방송한다.
그러면, 상기 앰블을 수신한 단말 A(200)는 226단계에서 상기 앰블을 전송한 단말들(202, 204, 206) 중 하나의 단말(204)을 선택하여 접속 요청(Access_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때 상기 단말 A(200)로부터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단말들(202, 206)은 상기 할당받은 중계용 앰블을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반납한다.
상기 긴급 호 설정 절차에서 상기 단말 A(200)는 셀 커버리지 밖에 존재하여 동기 채널 정보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기지국은 물론이고 상기 임의의 셀 커버리지 내 단말들과 시간 동기 및 주파수 동기가 맞추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단말 A(200)는 주변에 존재하는 셀 커버리지 내 단말들의 헬프 신호 검출 타이밍을 알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헬프 신호를 임의의 주기마다 송신할 수 밖에 없다. 다시 말해서, 상기 단말 A(200)는 임의의 구간 T1 동안 헬프 신호를 송신하고, 임 의의 구간 T2 동안 응답 신호인 중계용 앰블을 검색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헬프 신호의 송신 전력을 기 설정된 레벨까지 서서히 증가시키면서 상기 중계용 앰블을 검출할 때까지 계속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헬프 신호 발생 단말이 주변 단말의 헬프 신호 검출 타이밍을 알 수 없으므로, 임의의 주기마다 상기 헬프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력 소모가 크고, 전송 성능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헬프 신호 발생 단말과 주ㅈ변 단말의 주파수 동기가 맞추어져 있지 않으므로 헬프 신호의 수신 성능이 저하되고, 주변 단말이 주파수 오차를 보상하는 수신 방법을 적용하게 되면 복잡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제공된 기법에서는 기지국과 통신이 불가능한 셀 커버리지 밖 단말에 대한 무선 긴급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긴급 호 설정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이때 상기 단말이 기지국과 동기를 맞출 수 없다는 가정을 하고 있다. 하지만,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살펴보면, 셀 커버리지 밖에 존재하더라도 기지국으로부터 동기 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 단말들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셀 커버리지 밖에 존재하면서 동기 채널을 수신하는 단말들을 위한 긴급 호 설정 방안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송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셀 커버리지 밖에 있으면서 동기 획득이 가능한 단말들의 긴급 호 송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셀 커버리지 밖에 존재하는 단말의 긴급 호 송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동기 채널을 수신하여 동기 채널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동기 채널 수신 감도를 임계값과 비교하여 동기 획득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동기 획득이 가능할 시, 상기 동기 채널 구간을 포함하는 헬프 신호 전송 구간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헬프 신호 전송 구간 동안 긴급 호를 위한 헬프 신호를 셀 커버리지 내 단말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서비스를 위한 기지국의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사용하는 소정 수의 프리앰블을 긴급 호를 위한 헬프 신호로 예약하는 과정과, 상기 예약된 프리앰블을 제외한 나머지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셀 커버리지 밖에 존재하는 단말의 긴급 호 송신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동기 채널을 수신하여 동기 채널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동기채널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동기 채널 수신 감도를 임계값과 비교하여 동기 획득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동기 획득이 가능할 시, 동기 채널 구간을 포함하는 헬프 신호 전송 구간을 설정하는 전송 구간 설정부와, 상기 헬프 신호 전송 구간 동안 긴급 호를 위한 헬프 신호를 셀 커버리지 내 단말들로 전송하는 헬프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서비스를 위한 기지국의 장치는, 상기 기지국이 사용하는 소정 수의 프리앰블을 긴급 호를 위한 헬프 신호로 예약하는 스케줄러와, 상기 예약된 프리앰블을 제외한 나머지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셀 커버리지 밖에 있어 기지국과 직접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없으나 동기 채널을 수신하여 동기 획득이 가능한 단말들의 효율적인 긴급 호 송신 기법을 제공함으로써, 헬프 신호의 전송 성능을 높임과 동시에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중계 단말이 상기 헬프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헬프 신호의 송신 구간은 슈퍼프레임 전체 시간 길이인 20ms의 정수 배인데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헬프 신호의 송신 구간은 슈퍼프레임 길이당 1 OFDM 심볼(symbol)인 103us로 매우 짧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비해 상기 헬프 신호를 송신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헬프 신호 전송은 주변 셀룰러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에 간섭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헬프 신호는 프리앰블 구간에만 존재하여 주변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에 영향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추가적으로, 종래 기술에서는 동기가 맞추어져 있지 않은 상황에서 헬프 신호를 검출해야 하므로 정해진 몇 개의 서브캐리어(subcarrier)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검출하는데 비해, 본 발명에서는 동기가 맞추어져 있는 상태에서 알려져 있는 부호(code)를 감지하는 것이므로 헬프 신호를 감지할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셀 커버리지 밖에 있으면 서 동기 획득이 가능한 단말들의 긴급 호 송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살펴보면,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범위를 셀 커버리지라고 정의할 경우, 상기 셀 커버리지 보다 동기 채널(SCH)의 수신 범위가 더 넓게 설계된다. 따라서, 셀 커버리지, 즉, 기지국의 커버리지 밖에 존재하더라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동기 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 단말들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의 위치 영역을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도 3은 일반적인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에 따른 영역 분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영역은 기지국(300)과의 상/하향링크 통신이 가능한 A 영역과, 상기 기지국(300)과 상/하향링크(Uplink/Downlink) 통신은 불가능하지만, 동기 채널(SCH: Synchronization Channel)을 수신할 수 있는 B 영역과, 상기 기지국(300)과 상/하향링크 통신이 불가능하면서 동기 채널도 수신할 수 없는 C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상기 A 영역에 위치한 단말 MS_1(310)은 상기 기지국(300)과 UL/DL(Uplink/Downlink) 통신이 가능하고, SCH(Synchronization Channel) 정보, BCH(Broadcasting Channel) 정보 및 DL/UL Control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B 영역에 위치한 단말 MS_2(312)은 상기 기지국(300)과 UL/DL 통신은 불가능 하지만, 상기 동기 채널을 수신할 수 있어 상기 기지국(300)과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영 역에 위치한 단말 MS_3(314)는 상기 기지국(300)과 UL/DL 통신은 불가능함은 물론이고 상기 기지국(300)과의 동기화도 수행할 수 없다. 여기서, 상기 SCH 정보는 프리앰블(preamble)과 같은 시스템 획득을 위한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와 셀 식별자(Cell ID) 등을 의미하며, 상기 BCH 정보는 시스템 혹은 셀에 대한 특정 정보, 예를 들어, IEEE 802.16e 시스템에서의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와 UCD(Uplink Channel Descriptor) 같은 채널 구성(channel configuration)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DL 제어 정보는 맵(MAP) 정보 등을 의미하고, 상기 UL 제어 정보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ACKCH, CQICH 정보 등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 3에서 B 영역에 존재하는 단말의 긴급 호 서비스를 위한 초기 접속 방안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B 영역의 단말은 UL 제어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없으므로, 긴급 호 서비스를 위한 헬프 신호(Help Signal)를 임의의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에게 전송하여, 자신의 존재를 기지국으로 알리게 된다. 즉, 이하 설명에서 단말이 셀 커버리지 내 단말을 통해 긴급 호 서비스를 제공받는 기본적인 절차는 종래와 동일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셀 커버리지 내 단말로 헬프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지국과 직접 통신은 불가능하지만 동기 채널 수신이 가능한 영역에서 긴급 호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말을 긴급 단말이라 칭하고,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있어 상기 긴급 단말의 긴급 호 서비 스를 중계하여 기지국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을 중계 단말이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긴급 단말이 상기 동기 채널을 수신할 수 있으므로, 상기 동기 채널을 통해 기지국 및 기지국 내 단말과 시간 동기 및 주파수 동기를 맞추고, 전체 프레임 구조에서 상기 동기 채널의 시간 구간을 획득하여 상기 동기 채널 구간을 포함하는 헬프 신호 전송 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구간에 따라 상기 헬프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하기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긴급 단말이 헬프 신호를 전송하는 기법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하기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긴급 단말의 헬프 신호를 위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를 위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401단계에서 소정 수의 프리앰블을 커버리지 밖에 존재하는 단말들의 헬프 신호를 위해 예약(reserve)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세 개의 섹터를 위해 상기 기지국이 사용하는 프리앰블 중 세 개의 프리앰블을 헬프 신호용으로 예약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예약된 프리앰블을 제외한 나머지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다른 노드들과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405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특정 단말(중계 단말)로부터 헬프 신호 발생 단말이 존재함을 보고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특정 단말(중계 단말)로 긴급 호 서비스 중계를 위한 앰블을 할당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를 중계하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중계 단말은 501단계에서 동기 채널 수신 구간에서 헬프 신호가 검출되는지 검사하고, 상기 헬프 신호가 검사되면 503단계로 진행하여 자신의 서빙 기지국으로 헬프 신호 발생 단말이 존재함을 보고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중계 단말은 505단계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긴급 호 서비스 중계를 위한 앰블을 할당받고, 507단계에서 상기 할당받은 앰블을 방송한다.
이후, 상기 중계 단말은 509단계에서 상기 헬프 신호를 발생시킨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중계 단말은 511단계에서 중계 단말로 동작하여 상기 헬프 신호 발생 단말과 기지국 간의 통신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중계 단말은 5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할당받은 앰블을 기지국으로 반환한 후 중계 단말로의 동작을 중지한다.
이후, 상기 중계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를 전송하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긴급 단말은 601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동기 채널(SCH) 신호를 수신한 후, 6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CH 수신 감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ThSCH) 이상인지 검사한다. 상기 SCH 수신 감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일 시, 상기 긴급 단말은 615단계에서 동기를 획득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종래 기술과 같이 동작한다.
반면, 상기 SCH 수신 감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시, 상기 긴급 단말은 605단계로 진행하여 전체 프레임에서 상기 SCH의 시간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SCH 구간을 포함하는 헬프 신호 전송 시간 구간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현재 논의 중인 IEEE 802.16m 시스템이나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의 경우, 상기 SCH 구간으로 OFDM 1 심볼(symobol)을 고려하고 있으므로, 상기 단말의 헬프 신호 전송 시간은 상기 SCH 구간과 동일하게 1 심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이보다 1 심볼 정도 늘려서 2 심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IEEE 802.16m 시스템에서는 20ms의 슈퍼프레임(super-frame)마다 맨 앞에 SCH 구간인 OFDM 1 symbol이 존재한다.
여기서, 상기 긴급 단말은 상기 SCH 수신 감도와 배터리 잔여 용량을 고려하여 상기 헬프 신호 전송 시간 구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하기에서 도 7을 참 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후, 상기 긴급 단말은 607단계에서 상기 헬프 신호 전송 전력을 설정하고, 6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설정된 헬프 신호 전송 시간 구간에서 헬프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긴급 단말은 611단계에서 셀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특정 단말로부터 중계용 앰블이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앰블이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긴급 단말은 617단계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검사하여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을 시, 상기 609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하며,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시, 상기 607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헬프 신호 전송 전력을 재설정하고,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즉, 상기 단말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이 사용하는 프리앰블 셋(1000) 중 헬프 신호를 위해 예약된 프리앰블(1002)을 이용하여 상기 SCH 구간에서 헬프 신호를 전송(1002)한 후 해당 슈퍼프레임의 남은 길이(1050) 동안 중계용 앰블이 수신되는 것을 대기하며, 만약 중계용 앰블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그 다음 SCH 구간에서 상기 헬프 신호를 재전송(1024)한다. 따라서, 상기 긴급 단말은 중계용 앰블이 검출(1040)될 때까지 기지국의 SCH 구간에 한 번씩 헬프 신호를 전송(1024, 1026, 1028, 1030)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슈퍼프레임 마다 한 번씩 상기 헬프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만일, 다중 FA 통신일 경우, 상기 긴급 단말은 FA를 변경하면서 상기 과정을 반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긴급 단말은 상기 과정을 반복할 때마다 헬프 신호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다. 즉, 상기 긴급 단말은 초기 헬프 송신 전력을 낮 게 설정(Pmin)하고,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중계용 앰블이 수신되지 않아 통신 요청이 실패될 경우에 상기 헬프 송신 전력을 기 설정된 소정 값(Δ)만큼 증가(Pmin+Δ)시켜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Pmax)까지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상기 앰블이 수신될 시, 상기 긴급 단말은 613단계에서 상기 특정 단말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여러 단말로부터 상기 앰블이 수신될 시, 상기 긴급 단말은 상기 앰블을 수신 감도를 측정하여 채널 상황이 좋은 단말로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긴급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전송 시간 구간을 설정하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긴급 단말은 701단계에서 SCH 수신 감도와 SCH 임계값을 비교한다. 여기서, 상기 SCH 임계값은 1개 일 수도 있으며, N개 일 수도 있다. 상기 SCH 임계값이 1개일 경우, 단순히 동기 획득 가능 여부만을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SCH 임계값이 N개일 경우, 상기 동기 획득 가능 여부뿐만 아니라 동기 획득 오차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CH 수신 감도와 비교하는 SCH 임계값이 N개인 경우는, 상기 SCH의 수신 감도가 낮을수록 동기 획득 오차가 클 수 있으므로, 상기 SCH 수신 감도가 클 때보다 낮을 때에 상기 헬프 신호 전송 시간 구간을 점점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이후, 상기 긴급 단말은 703단계에서 배터리 잔여 용량을 기 설정된 배터리 임계값(ThRBC)과 비교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임계값은 1개일 수도 있으며, M개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긴급 단말의 배터리 잔여 용량과 임계값을 비교하는 것은 긴급 상황에 처해 있으므로, 상기 배터리 잔여 용량이 임계값보다 클 때 보다 헬프 신호 전송 시간 구간을 작게 설정하여 상기 배터리 용량을 절약하기 위함이다.
이후, 상기 긴급 단말은 7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CH 수신 감도를 비교한 결과와 상기 배터리 잔여 용량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헬프 신호 전송 시간 구간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긴급 단말은 상기 두 비교 결과 모두를 고려하여 헬프 신호 전송 시간 구간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둘 중 하나만을 고려하여 헬프 신호 전송 시간 구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SCH 수신 감도를 SCH 임계값과 비교한 경우만을 고려하여 헬프 신호 전송 시간 구간을 설정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첫 번째로, 상기 SCH 임계값이 1개(ThSCH)일 경우, 상기 긴급 단말은 상기 SCH 수신 감도가 상기 SCH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동기 획득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헬프 신호 전송 시간 구간을 상기 SCH 수신 구간을 포함하는 소정 구간(TS < t < TE)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SCH 수신 감도가 상기 SCH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동기 획득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종래와 같이 동작할 것이다.
두 번째로, 상기 SCH 임계값이 N개(Th1 SCH>Th2 SCH>Th3 SCH>...>ThN SCH)일 경우, 상기 긴급 단말은 상기 SCH 수신 감도가 상기 N개의 SCH 임계값 중 어떤 임계값보다 크고 어떤 임계값보다 작은지 비교하여 동기 오차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헬프 신호 전송 시간 구간을 조정한다. 즉, 상기 동기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긴급 단말(1104)이 중계 단말(1102)의 SCH 수신 구간, 즉, 헬프 신호 수신 구간(1114)에 시간을 정확히 맞추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중계 단말(1102)의 S헬프 신호 수신 구간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헬프 신호 전송 구간(1112)을 넓게 조정 및 설정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예를 들면, 상기 긴급 단말은 상기 SCH 수신 감도가 제 1 SCH 임계값(Th1 SCH) 이상인 경우, SCH 정보를 정확히 판독하여 정확한 시간 동기 및 주파수 동기를 설정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신호 송신 구간을 'TS < t < TE'로 설정하며, 상기 SCH 수신 감도가 제 1 SCH 임계값(Th1 SCH) 미만이고 제 2 SCH 임계값(Th2 SCH) 이상인 경우, 동기 획득에 오차가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신호 송신 구간을 'TS - α1 < t < TE + α1'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SCH 수신 감도가 제 i SCH 임계값(Thi SCH) 미만이고 제 i+1 SCH 임계값(Th(i+1) SCH) 이상인 경우, 상기 신호 송신 구간을 'TS - αi < t < TE + αi'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αi 는 αN-1>...>αii-1>...>α1>0이다.
다음으로, 상기 SCH 수신 감도를 SCH 임계값과 비교한 경우와 상기 배터리 잔여 용량을 배터리 임계값과 비교한 경우 모두를 고려하여 헬프 신호 전송 시간 구간을 설정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첫 번째로, 상기 배터리 임계값이 1개(ThRBC)이면서, SCH 임계값이 1개(ThSCH)인 경우, 상기 SCH 수신 감도가 상기 SCH 임계값(ThSCH)이상이면서 상기 배터리 잔여 용량이 상기 배터리 임계값(ThRBC) 이하이면, 상기 긴급 단말은 상기 헬프 신호 전송 시간 구간을 'TS < t < TE'로 설정한 후, 소정 시간 구간(2β)만큼 감소시켜 'TS + β < t < TE - β'로 설정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상기 배터리 임계값이 1개(ThRBC)이면서, SCH 임계값이 N개(Th1 SCH>Th2 SCH>Th3 SCH>...>ThN SCH)인 경우, 상기 SCH 수신 감도가 제 i SCH 임계값(Thi SCH) 미만이고 제 i+1 SCH 임계값(Thi +1 SCH) 이상이면서 상기 배터리 잔여 용량이 상기 배터리 임계값(ThRBC) 이하이면, 상기 긴급 단말은 상기 헬프 신호 전송 시간 구간을 'TS - αi < t < TE + αi'로 설정한 후, 소정 시간 구간(2β)만큼 감소시켜 'TS - αi + β < t < TE + αi - β'로 설정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상기 배터리 임계값이 M개(Th1 RBC>Th2 RBC>Th3 RBC>...>ThM RBC)이면서, SCH 임계값이 1개(ThSCH)인 경우, 상기 SCH 수신 감도가 상기 SCH 임계값(ThSCH)이상이면서 상기 배터리 잔여 용량이 제 j 배터리 임계값(Thj RBC) 이하이고 제 j+1 배터리 임계값(Thj +1 RBC)보다 크면, 상기 긴급 단말은 상기 헬프 신호 전송 시간 구간을 'TS < t < TE'로 설정한 후, 소정 시간 구간(2βi)만큼 감소시켜 'TS + βj < t < TE - βj'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βi는 βM-1 >...>βjj-1>...>β1>0이다.
네 번째로, 상기 배터리 임계값이 M개(Th1 RBC>Th2 RBC>Th3 RBC>...>ThM RBC)이면서, SCH 임계값이 N개(Th1 SCH>Th2 SCH>Th3 SCH>...>ThN SCH)인 경우, 상기 SCH 수신 감도가 제 i SCH 임계값(Thi SCH) 미만이고 제 i+1 SCH 임계값(Thi +1 SCH) 이상이면서 상기 배터리 잔여 용량이 제 j 배터리 임계값(Thj RBC) 이하이고 제 j+1 배터리 임계값(Thj+1 RBC)보다 크면, 상기 긴급 단말은 상기 헬프 신호 전송 시간 구간을 'TS - αi < t < TE + αi '로 설정한 후, 소정 시간 구간(2βi)만큼 감소시켜 'TS - αi + βj < t < TE + αi - βj'로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송수신부(800), 스케줄러(8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송수신부(800)는 메시지 처리부(800)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러(810)는 HP(help signal)용 프리앰블 할당부(812)와 중계용 앰블 할당부(8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수신부(800)는 단말과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메시지 처리부(80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스케줄러(810)로 제공하고, 상기 스케줄러(810)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해당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스케줄러(810)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들의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본 발명에 따라 상기 HP용 프리앰블 할당부(812)를 통해 소정 수의 프리앰블을 커버리지 밖에 존재하는 단말들의 헬프 신호를 위해 예약(reserve)한 후, 상기 예약된 프리앰블을 제외한 나머지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스케줄러(810)는 상기 송수신부(800)를 통해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특정 단말로부터 헬프 신호 발생 단말이 존재함을 보고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중계용 앰블 할당부(814)를 통해 상기 특정 단말로 긴급 호 서비스 중계를 위한 앰블을 할당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송수신부(900), 배터리 용량 측정부(910), HP 전송 구간 설정부(920), HP 전송 전력 설정부(930), 접속 중계 단말 판단부(940), HP 발생부(9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송수신부(900)는 SCH 수신 신호 측정부(902), 헬프 신호 처리부(904), 중계용 앰블 처리부(906), 접속 요청 메시지 처리부(9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수신부(900)는 기지국 및 다른 단말과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HP 전송 구간 설정부(920)의 요청에 따라 상기 SCH 수신 신호 측정부(902)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동기 채널(SCH)의 수신 감도를 측정한 후, 상기 HP 전송 구간 설정부(92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송수신부(900)는 상기 HP 전송 구간 설정부(920)와 상기 HP 전송 전력 설정부(9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헬프 신호 처리부(904)를 통해 상기 HP 전송 구간 설정부(920)에서 설정된 헬프 신호 전송 시간 구간 동안에 상기 HP 전송 전력 설정부(930)에서 설정된 전송 전력으로 헬프 신호를 전송한다. 이는 상기 중계용 앰블 처리부(906)에서 중계용 앰블이 검출될 때까지 반복된다.
상기 중계용 앰블 처리부(906)는 셀 커버리지 내의 다른 단말로부터 중계용 앰블이 수신되는지 검사하고, 상기 중계용 앰블이 수신될 시, 이를 상기 HP 전송 전력 설정부(930)와 상기 접속 중계 단말 판단부(940)로 알린다.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 처리부(908)는 상기 접속 중계 단말 판단부(940)의 제어에 따라 해당 단말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처리한다.
상기 배터리 용량 측정부(910)는 상기 단말의 배터리 잔여 용량을 측정하여 상기 HP 전송 구간 설정부(920)로 제공한다.
상기 HP 전송 구간 설정부(920)는 HP 발생부(950)로부터 헬프 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송수신부(900)로 SCH 수신 감도를 측정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송수신부(900)를 통해 수신된 SCH로부터 시간 동기 및 주파수 동기를 획득하고, 헬프 신호 전송 구간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현재 논의 중인 IEEE 802.16m 시스템이나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의 경우, 상기 SCH 구간으로 OFDM 1 심볼(symobol)을 고려하고 있으므로, 상기 단말의 헬프 신호 전송 시간은 1 심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이보다 1 심볼 정도 늘려서 2 심볼로 설정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HP 전송 구간 설정부(920)는 상기 SCH 수신신호 측정부(902)로부터 제공되는 SCH 수신 감도와 SCH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배터리 용량 측정부(910)로부터 제공되는 배터리 잔여 용량을 기 설정된 배터리 임계값(ThRBC)과 비교한 후, 두 비교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SCH의 수신 구간을 포함하는 상기 헬프 신호 전송 시간 구간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SCH 임계값과 배터리 임계값은 각각 1개 일 수도 있으며, 다수 개 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HP 전송 구간 설정부(920)는 상기 두 비교 결과 모두를 고려하여 헬프 신호 전송 시간 구간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둘 중 하나만을 고려하여 헬프 신호 전송 시간 구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HP 전송 전력 설정부(930)는 상기 헬프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전 력을 설정하고, 상기 헬프 신호를 전송한 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송수신부(900)로부터 중계용 앰블이 수신됨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헬프 신호 전송 전력을 재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즉, 상기 HP 전송 전력 설정부(930)는 초기 헬프 송신 전력을 낮게 설정(Pmin)하고,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중계용 앰블이 수신되지 않아 통신 요청이 실패될 경우에 상기 헬프 송신 전력을 기 설정된 소정 값(Δ)만큼 증가(Pmin+Δ)시켜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Pmax)까지 증가시킨다.
상기 접속 중계 단말 판단부(940)는 상기 중계용 앰블 처리부(906)로부터 중계용 앰블 수신 결과를 제공받은 결과, 여러 단말로부터 중계용 앰블이 수신되었을 시, 중계용 앰블 각각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여 채널 상황이 좋은 단말을 판단하고, 상기 채널 상황이 좋은 단말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 처리부(908)를 제어한다.
상기 HP 발생부(950)는 긴급 호 서비스를 필요로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을 감지하여 헬프 신호를 상기 HP 전송 구간 설정부(920)로 제공한다.
도 12a 내지 12c는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의 성능 비교를 위한 실험 환경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동기 채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긴급 단말이 상기 기지국과 동기를 맞춰 상기 동기 채널 구간에 전송하는 헬프 신호를 동기식 헬프 신호(Synchronous Help Signal) 라고 칭 하고, 종래 기술과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동기 채널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긴급 단말이 전송하는 헬프 신호를 비동기식 헬프 신호(Asynchronous Help Signal)라 칭한다.
도 12a 내지 12c는 긴급 단말이 헬프 신호를 송신하였을 때, 커버리지 내의 단말이 상기 헬프 신호를 성공적으로 검출할 확률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 환경을 도시하고 있다. 채널 모델은 802.16m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쇼트 텀 페이딩(short-term fading)은 ITU PedB의 프로파일을 사용하였고, 단말 속도는 3km/h, 기지국의 송신 전력은 43dBm, 단말의 송신 전력은 27dBm, 대역폭은 10 MHz, 1024 FFT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험을 위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셀이 3개의 섹터(sector)로 구성된 2 계층(tier) 19 셀(cell)의 셀 구조(cell layout)에서 중심 셀(Center cell) 아래쪽에 존재하는 셀 하나의 전원을 오프(turn-off)시켜 상기 오프(turn-off)시킨 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던 단말들이 헬프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한 헬프 신호를 인접한 홈 섹터(home sector)에 존재하는 단말들이 측정한다. 이때, 상기 긴급 단말에 가장 가까운(혹은 채널이 가장 좋은) 홈 섹터 내의 단말이 상기 헬프 신호를 측정한다.
여기서, 기지국이 송신하는 프리앰블로 802.16e의 프리앰블을 사용하였다. 상기 802.16e의 프리앰블의 경우, 하나의 셀을 구성하는 3 개의 섹터들 중 섹터 0에서는 3의 배수에 해당하는 서브캐리어(subcarrier)에만 신호가 존재하고, 섹터 1에서는 3의 배수에 1을 더한 서브캐리어에만 신호가 존재하며, 섹터 2에서는 3의 배수에 2를 더한 서브캐리어에만 신호가 존재한다.
상기 긴급 단말은 자신이 송신한 헬프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이 상기 섹터 0/1/2 중 어디에 속해 있는지 알 수 없으므로, 상기 긴급 단말이 만약 3의 배수 서브캐리어에만 상기 헬프 신호를 송신하게 되면, 상기 섹터 0에 속한 단말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빙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의 프리앰블로 인한 간섭으로 인해 상기 헬프 신호를 검출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긴급 단말이 송신하는 헬프 신호의 주파수 위치는 3의 배수, 3의 배수+1, 3의 배수+2에 고르게 존재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2, 403, 404, 600, 601, 602 번째 서브캐리어로 헬프 신호를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긴급 단말은 상기 헬프 신호를 위해 기지국이 사용하는 프리앰블 중 헬프 신호용으로 예약된 3 개의 프리앰블, 즉, 각 섹터별로 하나씩 예약된 동기식 헬프 신호용 프리앰블을 사용하며, 상기 기지국에서는 상기 예약된 동기식 헬프 신호용 프리앰블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면, 하기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도 12a 내지 12c에 나타내 바와 같은 실험 환경에서 전송된 헬프 신호를 수신 단말에서 성공적으로 검출할 확률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과 종래 기술에 따른 헬프 신호 검출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커버리지 내의 중계 단말이 슈퍼프레임 헤더의 프리앰블 구간에서 헬프 신호의 검출을 실시하였으며, 총 6개 슈퍼프레임의 시간 구간 동안 검출된 헬프 신호를 누적한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비동기식 헬프 신호의 경우, 긴급 단말이 슈퍼 프레임 시간 구간 단위로 헬프 신호를 송신하고 응답 신호를 검색하는 과정을 번갈아 수행함으로써, 6개 슈퍼프레임 구간 동안 헬프 신호를 3번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1e-1의 false alarm을 기준으로 70% 정도의 헬프 신호 검출 확률을 가진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동기식 헬프 신호의 경우, 긴급 단말이 슈퍼프레임 헤더의 프리앰블 구간에서만 헬프 신호를 송신하고, 나머지 구간에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검색하므로, 6개 슈퍼프레임 구간 동안 헬프 신호를 6번 수신할 수 있어, 1e-4의 false alarm을 기준으로 90% 이상의 높은 헬프 신호 검출 확률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 단말을 이용하여 긴급 호출 서비스 제공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긴급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긴급 호 설정 절차를 간략하게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에 따른 영역 분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를 위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를 중계하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를 전송하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전송 시간 구간을 설정하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헬프 신호 송수신을 나타내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오차를 고려한 헬프 신호 전송 시간 구간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a 내지 12c는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의 성능 비교를 위한 실험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과 종래 기술에 따른 헬프 신호 검출 성능을 나타내는 도면.

Claims (4)

  1.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셀 커버리지 밖에 존재하는 단말의 긴급 호 송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동기 채널을 수신하여 동기 채널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동기 채널 수신 감도를 임계값과 비교하여 동기 획득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동기 획득이 가능할 시, 상기 동기 채널 구간을 포함하는 헬프 신호 전송 구간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헬프 신호 전송 구간 동안 긴급 호를 위한 헬프 신호를 셀 커버리지 내 단말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서비스를 위한 기지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사용하는 소정 수의 프리앰블을 긴급 호를 위한 헬프 신호로 예약하는 과정과,
    상기 예약된 프리앰블을 제외한 나머지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셀 커버리지 밖에 존재하는 단말의 긴급 호 송신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동기 채널을 수신하여 동기 채널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동기채널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동기 채널 수신 감도를 임계값과 비교하여 동기 획득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동기 획득이 가능할 시, 동기 채널 구간을 포함하는 헬프 신호 전송 구간을 설정하는 전송 구간 설정부와,
    상기 헬프 신호 전송 구간 동안 긴급 호를 위한 헬프 신호를 셀 커버리지 내 단말들로 전송하는 헬프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서비스를 위한 기지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사용하는 소정 수의 프리앰블을 긴급 호를 위한 헬프 신호로 예약하는 스케줄러와,
    상기 예약된 프리앰블을 제외한 나머지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80087580A 2008-09-05 2008-09-05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송신 방법 및 장치 KR20100028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580A KR20100028723A (ko) 2008-09-05 2008-09-05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송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580A KR20100028723A (ko) 2008-09-05 2008-09-05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송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723A true KR20100028723A (ko) 2010-03-15

Family

ID=42179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580A KR20100028723A (ko) 2008-09-05 2008-09-05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송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87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9622B2 (ja) ビーム走査時間インジケータ
EP3409070B1 (en) Indicating additional pbch symbols in unlicensed small cell environment
US11979880B2 (en) Uplink procedures on a wireless communication medium
US11219061B2 (en) Listen-before-talk (LBT) modes for random access procedures
KR101481021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182457B2 (en)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20140301228A1 (e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580872B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communication network
TWI747161B (zh) 尋呼指示和無線電資源管理測量之增強方法
US8638777B2 (en) Method for performing rang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wo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s
KR20150135268A (ko) 통신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50135272A (ko) 인프라 장비,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EP297449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llocation of resources for the transmission of pilot signals by small base stations or ue devices
US913707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on bandwidth request channel at mobile station, mobile st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method for performing bandwidth request procedure at base station, and base st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80352550A1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resource allocation in 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s
CN108293234B (zh) 用于测量信号的系统和方法
CN102724688A (zh) 测量载波的方法和装置
WO2019184574A1 (zh) 信号传输方法、相关设备及系统
KR10148487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레인징 방법 및 장치
CN109565310B (zh) 参考信号的分配
KR102449736B1 (ko)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통해 발견 레퍼런스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214472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레인징 방법 및 장치
CN115884073A (zh) 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以及用户设备
KR20100028723A (ko)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송신 방법 및 장치
CN115884442A (zh) 由用户设备执行的确定pei机会的方法以及用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