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8350A -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8350A
KR20100028350A KR1020080087348A KR20080087348A KR20100028350A KR 20100028350 A KR20100028350 A KR 20100028350A KR 1020080087348 A KR1020080087348 A KR 1020080087348A KR 20080087348 A KR20080087348 A KR 20080087348A KR 20100028350 A KR20100028350 A KR 20100028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witch
contact portion
sleeve
flow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승순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7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8350A/ko
Publication of KR20100028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78Testing material properties on manufactured objects
    • G01N33/0083Vehicl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계적인 가공부품에 대한 안착 확인 기능을 전기적으로 변환하여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므로 장치의 설치 구성에 대한 비용이 줄어들고, 그 가공부품의 소재 상태 및 가공 조도에 관계없이 가공부품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과전류 방지를 위해 기 설치된 접지선 및 접지플로우 스위치를 활용하되, 기 설치된 상기 접지선이 연결된 상태에서, 그 접지선을 제어장치의 접지플로우 스위치에 연결하고, 지그 베이스의 안착면에 안착되는 가공부품에 전기를 인가시켜 가공부품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접지플로우 스위치에서 발생되는 온/오프 신호에 의해 가공부품의 안착상태에 대한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센싱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동차, 가공부품, 품질확인, 센싱부

Description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Apparatus for monitoring quality of work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부품의 가공 전에 안착 상태에 대한 정밀도에 따라 가공 품질 및 불량율을 판단할 수 있는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립라인 상에서 가공부품의 안착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든 양산 장비에 품질확인 장치를 적용하고 있다.
상기 가공부품의 안착상태를 확인하는 품질확인 장치는 그 지그 상에 형성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홀이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가공부품이 정상적으로 안착되어 있을 경우, 분사되는 에어압과 동일한 에어압이 출력되는 반면, 비정상적으로 안착되어 있을 경우, 분사되는 에어압보다 작은 에어압으로 출력되어 가공부품의 가공품질 저하 및 불량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베이스(200)의 안착 포인트에 다수개의 에어분사홀(210)을 가공하는 동시에, 분사되는 에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특수 실링 작업이 필요하므로 가공 비용 및 가공 공수의 증가가 발생하고, 사용 중에 칩의 끼임 발생으로 인해 수시로 설비의 중단이 발생하며, 또한 사용 중에 지그 고정 포인트의 마모로 에어가 누출되거나 접촉 기준면에 대한 접촉 포인트의 가공 조도가 불안정 시 가공부품(300)의 안착상태를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기계적인 가공부품에 대한 안착 확인 기능을 전기적으로 변환하여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므로 장치의 설치 구성에 대한 비용이 줄어들고, 그 가공부품의 소재 상태 및 가공 조도에 관계없이 가공부품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과전류 방지를 위해 기 설치된 접지선(100) 및 접지플로우 스위치(110)를 활용하되, 기 설치된 상기 접지선(100)이 연결된 상태에서, 그 접지선(100)을 제어장치의 접지플로우 스위치(110)에 연결하고, 지그 베이스(120)의 안착면에 안착되는 가공부품(200)에 전기를 인가시켜 가공부품(200)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접지플로우 스위치(110)에서 발생되는 온/오프 신호에 의해 가공부품(200)의 안착상태에 대한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센싱부(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센싱부(10)는 맨 상부에 가공부품(200)이 접촉하는 접촉부(11)와, 상기 접촉부(11)의 내측에 위치한 접점부(11a)가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그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접지플로우 스위치(110)가 온/오프 작동하는 스위치부(12)와, 상기 접촉부(11) 및 스위치부(12)의 둘레면에 각각 일체 형성 되어 상기 접촉부(11)와 함께 상측 슬리브(13a)면이 지그 베이스(120) 내측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하측 슬리브(13b)면의 외측으로 안내되는 슬리브부(13)와, 상기 슬리브부(13)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그 슬리브부(13)의 플랜지면(13c,13d)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부(11)와 스위치부(12)에는 그 접촉부(11)의 하단부 및 스위치부(12)의 상단부에 접점부(11a,12a)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센싱부(10)은 상기 지그 베이스(120)에 직경이 5 ~ 8mm인 리머 가공 후, 삽입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종래의 에어분사홀의 가공 비용 대비, 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다.
2. 과전류 방지를 위해 기 설치되는 접지 기능의 구성을 활용하므로 센서의 제조비용이 줄어든다.
3. 가공부품의 소재 상태 및 가공 조도에 관계없이 검출 기능이 우수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센서부에 가공부품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를 조립 라인 상에 설치 시, 과전류 방지를 위해 기 설치된 접지선(110) 및 접지플로우 스위치(120)를 활용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기 설치된 상기 접지선(110)을 이용하되, 본 발명에 따른 센싱부(10)에 접지선(110)을 연결하는 동시에, 그 접지선(110)을 제어장치(100)의 접지플로우 스위치(120)에 연결하고, 지그 베이스(200)의 안착면에 안착되는 가공부품(300)에 전기를 인가시켜 상기 센싱부(10)에 대한 가공부품(300)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접지플로우 스위치(120)에서 발생되는 온/오프 신호에 의해 가공부품(300)의 안착상태에 대한 정상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센싱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베이스(200) 양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지그 베이스(200) 상측, 즉 센싱부(10) 상측에는 가공부품(300)이 안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그 베이스(200)에는 직경이 5 ~ 8mm인 리머 가공 후에 상기 센싱부(10)가 삽입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센싱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 상부에 가공부품(300)이 접촉하는 접촉부(11)와, 상기 접촉부(11)의 내측에 위치한 접점부(11a)가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그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접지플로우 스위치(120)가 온/오프 작동하는 스위치부(12)와, 상기 접촉부(11) 및 스위치부(12)의 둘레면에 각각 일체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11)와 함께 상측 슬리브(13a)면이 지그 베이스(200) 내측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하측 슬리브(13b)면의 외측으로 안내되는 슬리브부(13)와, 상기 슬리브부(13)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그 슬리브부(13)의 플랜지면(13c,13d)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부(14)가 개재되는 접촉부(11)와 스위치부(12) 사이에는 그 접촉 상태가 원활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그 접촉부(11)의 하단부 및 스위치부(12)의 상단부에 접점부(11a,12a)가 돌출 형성되어 그 접점부(11a,12a)의 접촉 신호에 의해 입력 신호가 접지플로우 스위치(120)로 인가된다.
이와 같은 센싱부(10)는 지그 베이스(200)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접촉부(11)만이 그 상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바, 상기 슬리브부(13)의 상측 슬리브(13a)가 하측 슬리브(13b)의 외측면을 따라 탄성 안내되므로 접촉부(11)의 상하 슬라이딩시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절삭유를 사용하는 가공 설비에 적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공부품(300)이 지그 베이스(200) 상에 안착할 경우, 그 지그 베이스(200) 내에 삽입되어 있는 접촉부(11)를 눌러주게 되면, 상기 접촉부(11)와 스위치부(12) 에 일체 형성된 접점부(11a,12a)가 서로 접촉하면서 접촉 신호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접촉 신호가 제어장치(100)로 전송되면, 상기 제어장치(100)는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접촉 신호가 정상적인 신호인지를 판단한 후, 정상적인 신호로 판명될 경우, 상기 가공부품(300)의 가공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는 기계적인 가공부품(300)에 대한 안착 확인 기능을 전기적으로 변환하여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므로 장치의 설치 구성에 대한 비용이 줄어들고, 가공부품(300)의 소재 상태 및 가공 조도에 관계없이 가공부품(300)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센서부에 가공부품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센싱부 11 : 접촉부
11a : 접점부 12 : 스위치부
12a : 접점부 13 : 슬리브부
13a : 상측 슬리브 13b : 하측 슬리브
13c,13d : 플랜지면 14 : 스프링부

Claims (4)

  1. 과전류 방지를 위해 기 설치된 접지선(110) 및 접지플로우 스위치(120)를 활용하되, 기 설치된 상기 접지선(110)이 연결된 상태에서, 그 접지선(110)을 제어장치(100)의 접지플로우 스위치(120)에 연결하고, 지그 베이스(200)의 안착면에 안착되는 가공부품(300)에 전기를 인가시켜 가공부품(300)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접지플로우 스위치(120)에서 발생되는 온/오프 신호에 의해 가공부품(300)의 안착상태에 대한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센싱부(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10)는 맨 상부에 가공부품(300)이 접촉하는 접촉부(11)와, 상기 접촉부(11)의 내측에 위치한 접점부(11a)가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그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접지플로우 스위치(120)가 온/오프 작동하는 스위치부(12)와, 상기 접촉부(11) 및 스위치부(12)의 둘레면에 각각 일체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11)와 함께 상측 슬리브(13a)면이 지그 베이스(200) 내측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하측 슬리브(13b)면의 외측으로 안내되는 슬리브부(13)와, 상기 슬리브부(13)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그 슬리브부(13)의 플랜지면(13c,13d)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11)와 스위치부(12)에는 그 접촉부(11)의 하단부 및 스위치부(12)의 상단부에 접점부(11a,12a)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10)은 상기 지그 베이스(200)에 직경이 5 ~ 8mm인 리머 가공 후, 삽입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
KR1020080087348A 2008-09-04 2008-09-04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 KR20100028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348A KR20100028350A (ko) 2008-09-04 2008-09-04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348A KR20100028350A (ko) 2008-09-04 2008-09-04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350A true KR20100028350A (ko) 2010-03-12

Family

ID=4217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348A KR20100028350A (ko) 2008-09-04 2008-09-04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83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0878B2 (en) Circuit for preventing corrosion of contact
EP2219949B1 (en) Protection device against electrical discharges in fixing elements with high charges
US9778146B2 (en) Module for detecting a vibrational behavior of a mechanical component
US11346691B2 (en) Sensor mounting structure and sensor adaptor
US7964812B1 (en) Switch boot
TW200732678A (en) Insulation inspecting device and insulation inspecting method
CA24977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operational condition of a torch
US20200370876A1 (en)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a Deformation of a Housing of a High-Voltage Accumulator of a Motor Vehicle
US5798453A (en) Pressure sleeve
US5483406A (en)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US20150282335A1 (en) Module
US20030175090A1 (en) Device for detecting wear of a nut in a screw-and-nut assembly
KR20100028350A (ko) 자동차용 가공부품의 품질확인 장치
JP2007216373A (ja) 工具折損検出装置
US10024433B2 (en) Crankshaft seal flange
KR102641573B1 (ko) 센서용 접속 장치
US6211689B1 (en) Method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with transistor circuit for marking
JP2009270618A (ja) 軸受装置
US9961805B2 (en) Electric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9647449B2 (en) Integrated circuit arrangement, method and system for use in a safety-critical application
KR102119770B1 (ko) 다중 스위치 센서의 고장 판단 장치 및 방법
US6522127B1 (en) Device for measuring a physical quantity associated with the rotation of a member
WO2020100668A1 (ja) 被嵌合部材、嵌合部材、検出装置、検出方法及び検出プログラム
JP6681357B2 (ja) 半導体装置
CN215984367U (zh) 一种防漏加工的电阻防呆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