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7711A -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7711A
KR20100027711A KR1020080086731A KR20080086731A KR20100027711A KR 20100027711 A KR20100027711 A KR 20100027711A KR 1020080086731 A KR1020080086731 A KR 1020080086731A KR 20080086731 A KR20080086731 A KR 20080086731A KR 20100027711 A KR20100027711 A KR 20100027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nary
data
measuring
stereo vision
dev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6024B1 (ko
Inventor
박종국
김중구
Original Assignee
투아이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투아이시스(주) filed Critical 투아이시스(주)
Priority to KR1020080086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024B1/ko
Publication of KR20100027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8Manufacturing or repairing trolley l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8Railway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8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air- or spacecraft, railway rolling stock or sea-go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차선 편위 및 높이 데이터를 추출하는 전차선 측정 장치와,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의 상태 정보와 위치정보를 실시간 처리하는 궤도 측정 장치와,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와, 상기 전차선 편위 및 높이 데이터에 대한 상태 변화를 확인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와 궤도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는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접촉식 스테레오 비전 방식으로 전차선 높이 및 편위를 연속 자동으로 측정하므로 고정밀도의 전차선 높이 및 편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검측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각종 측정 데이터를 실시간 동기화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각종 측정 데이터의 이력 관리와 데이터 분석 기능, 검색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체계적인 전차선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전차선 측정 장치, 스테레오 카메라, 궤도 측정장치,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

Description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Contact wire measurement system in electric railway using stereo vision method}
본 발명은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차선 편위/높이 등의 유지보수 점검 항목을 비접촉식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하여 연속 자동으로 측정하도록 한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철도차량은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기 때문에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는 환경 친화적인 교통 수단으로서, 수송 능력의 증대, 에너지 절감, 서비스 개선 및 도시의 균형 발전 등의 이점이 있다.
이러한 전기철도차량(이하, "전기차"라고 함)은 선로에 설치된 전차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주행한다. 전차선은 전기철도 시설 규정에 따라 일정한 높이와 편위를 갖도록 설치되는데, 통상 전차선과 직접 접촉하는 전기차의 판토그라프(Pantograph)는 상부면이 균일하게 마모될 수 있도록 지그재그로 가선된다.
이와 같이 전차선이 전기차의 판토그라프와 직접 접촉하여 전력을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판토그라프와 비접촉되는 부분이 없도록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기존에 사용되던 전차선 측정 장치는 전주가 세워져 있는 곳의 궤도 위에 설치한 후 본체에 설치된 가로 눈금자와 세로 눈금자를 이용하여 각각 전차선의 편위와 높이를 측정하고 있어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전차선 측정 장치는 부피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차량을 이용하여 운반해야 하고, 궤도 위에 설치하는 것이 매우 힘들며, 한 지점에서 전차선의 높이와 편위를 측정한 후에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차선 측정 작업을 하는 도중에 전기차가 통과하게 되면, 해당 차량이 지나가는 동안 전차선 측정 장치를 선로 밖으로 옮기기 위하여 여러 명의 작업 인원이 필요하고, 대피 장소가 없는 다리나 터널에서는 전차선 측정 작업과 측정 장치의 이동에 위험성이 크게 존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0652838호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전차선의 높이나 편위, 전주와 레일 간의 거리, 양 레일의 높이차 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전차선 측정 장치의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워서 이동이 간편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전차선 측정 시스템은 레이저를 이용한 감지 방식으로 레이저 빔을 사 용하여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을 스폿으로서 포착하고, 대상물 또는 센서를 스캔하여 대상물의 반사율 분포를 화상화함으로써 반사율이 높은 대상물을 잘 다루고, 저속이면서 스폿 센싱이 가능하고, 미소한 결함을 잘 검출하는 특징이 있다.
그런데 카메라를 이용한 센싱 방식은 대상물로부터의 산란광을 화상으로 포착하여 농담, 색의 차이로 화상처리에서 결함을 판정하며, 반사율이 높은 대상물은 잘 다루지 못하는 반면에 고속이면서 광범위한 센싱이 가능하고, 비교적 큰 결함을 잘 검출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전차선 측정 시스템은 카메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것과 동일한 화상을 얻기 위해 센서 또는 대상물을 고속으로 움직여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컴퓨터로 처리하여 화상화해야 한다.
따라서, 향후 전차선 측정 시스템은 카메라를 이용한 센싱 방식의 특징을 활용하여 한번에 넓은 영역을 화상화하여 전차선의 높이, 편위를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차선의 유지 보수 점검 항목을 비접촉식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자동 측정하고, 그로 인해 검측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차선에 대한 각종 측정 데이터의 이력 관리와 데이터 분석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체계적인 전차선로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피가 작고 무게가 적게 나가는 소형, 경량의 장치를 이용하여 선로로 운반하거나 선로에서 다른 측정 지점으로 이동을 간편하게 한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차선에 대한 편위 및 높이의 입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전차선 편위 및 높이 데이터를 추출하는 전차선 측정 장치와,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의 상태 정보와 위치정보를 실시간 처리하는 궤도 측정 장치와,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 및 상기 전차선 편위 및 높이의 이상 여부를 검색한 후 상기 검색 데이터를 누적하여 상기 전차선 편위 및 높이 데이터에 대한 상태 변화를 확인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와 궤도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는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은 궤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송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는 2대로 구성된 스테레오 카메라(Stereo camera)이고, 상기 스 테레오 카메라는 패시브(passive)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상기 전차선로에 대한 이미지를 전기적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로 전송하는 CCD 센서부; 및 상기 CCD 센서부에서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상기 전차선 편위 및 높이 데이터를 추출하는 영상처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CD 센서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측정간격마다 상기 전차선로의 단선구간, 중첩구간, FRP 구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궤도 측정 장치는,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의 이동 거리 정보를 실시간 획득하고, 검측시작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며, 전주 정보와 연관하여 전주별 검측 데이터를 추출하는 이동거리측정 센서부와, 궤도의 캔트를 측정하는 캔트측정 센서부와, 궤간을 측정하고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편위 데이터를 상기 측정된 궤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보정하는 궤간측정 센서부와, 상기 전차선 측정장치의 전원상태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하는 전원 센서부,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센서 인터페이스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거리측정 센서부는 엔코더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캔트측정 센서부는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궤간측정 센서부는 2개의 거리측정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재충전하는 충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는 전차선 측정 장치 및 궤도 측정 장치와의 통신 인터페이스 환경을 설정하고, 통신 인터페이스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전차선 편위 및 높이 데이터, 전차선 측정 장치의 상태 정보와 위치정보를 실시간 동기화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하는 데이터 동기부와, 전차선 편위 및 높이의 이상 개소를 검색하도록 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전차선 측정 장치와 궤도 측정 장치의 검측 데이터를 누적하여 전차선 편위 및 높이 데이터에 대한 상태 변화를 확인하도록 하는 이력 관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검측 시작 시점에서 사용자로부터 검측시작위치를 입력받고, 검측시작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의 위치 정보와 전주 정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차선 편위 및 높이 데이터, 캔트, 궤간 데이터를 단위 측정간격마다 일정 값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 상기 궤도 측정 장치, 및 전원 장치가 안착되는 기본 프레임과, 상기 전차선로에서 상기 기본 프레임 위의 장치들을 이동시키는 바퀴, 및 상기 궤도에서 이동할 수 있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 장치는 전차선 측정 장치의 야간 검측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명등 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두 대의 스테레오 카메라 사이에 레이저 조명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기본 프레임의 전후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은 상기 전차선의 측정 구간, 트랙 정보, 측정 구간 지사, 사업소 정보, 측정 구간 전주번호, 킬로정 정보를 포함하는 전주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에 따르면, 비접촉식 스테레오 비전 방식으로 전차선 높이 및 편위를 연속적으로 자동 측정함으로써 고정밀도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검측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에 따르면, 전차선에 대한 각종 측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동기화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전차선 높이 및 편위 데이터, 이동거리, 캔트, 궤간 데이터 등의 각종 측정 데이터의 이력 관리와 데이터 분석 기능, 검색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체계적인 전차선로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에 따르 면, LED 또는 레이저빔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사용하여 주야간 검측이 가능하도록 하고, 특히 레이저빔을 이용한 조명장치는 두 대의 카메라가 전차선 높이 및 편위를 측정할 때 레이저 지시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에 따르면, 소형 및 경량의 장치를 이용하여 선로로 운반하거나 선로에서 다른 측정 지점으로 이동을 간편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측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 어느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스테레오 매칭 시스템의 기하학적 구조가 도시된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의 외관이 도시된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 차선 측정 시스템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1)은 전차선 측정 장치(100), 궤도 측정 장치(200), 전원 장치(300),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400), 이송장치(500), 전주 DB(450)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100)는 스테레오 카메라(Stereo camera)(10, 11)를 이용하여 전차선에 대한 편위 및 높이의 입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전차선 편위 및 높이 데이터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1)의 측정 대상인 전차선 높이는 레일 면상에서 전기차가 직접 접촉하여 전기를 공급받는 전차선 하부까지의 거리이고, 전차선 편위는 궤도 중심면에서 전차선의 수평거리를 의미한다.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10, 11)는 외부 충격에 잘 견딜 수 있도록 카메라 외관이 방수, 방진 설계되고, 카메라 렌즈도 강화 유리로 보호 커버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10, 11)는 도 3에 도시된 스테레오 매칭 시스템의 기하학적 구조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10, 11)는 패시브 방식을 적용한 것으로서, 임의의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베이스 라인(base line)(b)에 배치된 두 대의 스테레오 카메라(10, 11)를 통해 촬영된 2개의 영상에서의 피사체간 거리차(변위, disparity)를 구하고, 렌즈의 초점거리(f)를 알면 카메라로부터 피사체 사이의 거리는 아래 수학식1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10, 11)는 2대로 구성되어 있어 기본 프레임(5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Figure 112008062705226-PAT00001
여기서, r은 피사체와 카메라와의 거리, b는 두 대의 카메라 사이의 베이스 라인 거리, f는 카메라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d는 두 개의 영상에 맺힌 동일 피사체 사이의 거리차로서
Figure 112008062705226-PAT00002
이다.
상기한 패시브 방식은 카메라의 거리측정 메커니즘으로서, 삼각거리 측정법에 준하여 광학적인 거리측정을 기초로 한 방식이다.
이러한 전차선 측정 장치(100)는 입체 영상 촬영을 위한 CCD(Charged Coupled Device) 센서부(110) 및 영상처리부(120)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CCD 센서부(110)는 센서에 노출된 이미지를 전기적인 형태로 바꾸어 전송(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반도체 기억소자로서, 비접촉식 다중 CCD 센서 방식이 적용되는 것으로서, 전차선로의 단선 구간, 중첩구간(최대 3선), FRP 구간을 측정한다.
아래 표 1은 CCD 센서부(110)의 측정 범위와 측정 정밀도를 나타낸 것이다.
높이 편위
측정 범위 4600mm ~ 5800mm +400mm ~ -400mm
측정 정밀도 ±5mm 이하 ±5mm 이하
상기 CCD 센서부(110)는 최대 4㎞/h 속도에서 측정간격 10mm마다 전차선 편위 및 높이 데이터를 취득하고, 사용자 설정에 따라 측정 간격을 조정(10mm, 50mm, 100mm, 200mm, 500mm)한다. 또한, 상기 CCD 센서부(110)는 각종 센서와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400)로 동기화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20)는 CCD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전차선의 입체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 고속 처리하고, 이미지 프로세싱 과정을 통해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에서 전차선 편위 및 높이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4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영상처리부(120)는 대용량 입체 영상 데이터를 고속 처리하기 위하여디지털 신호 처리기, 메모리, FPGA,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해야 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20)는 상기 CCD 센서부(110)에서 측정한 각 구간에 대한 전차선의 편위 및 높이 측정 데이터를 모두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궤도 측정 장치(200)는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100)의 상태 정보와 위치정보를 실시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거리측정 센서부(210), 캔트측정 센서부(220), 궤간측정 센서부(230), 전원센서부(240), 센서 인터페이스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동거리측정 센서부(210)는 엔코더를 이용하여 전차선 측정 장치(100)의 이동거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검측시작 위치를 기준으로 전차선 측정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고, 전주 DB(450)에서 제공하는 전주 정보와 연관하여 전주별 검측데이터를 추출한다.
또한, 상기 이동거리 측정 센서부(210)는 전차선 측정 장치(100)의 전진/후진 상태에 따라 이동거리를 보정한다.
그리고 상기 캔트측정 센서부(220)는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궤도의 캔트를 실시간 측정하고, 상기 궤간측정 센서부(230)는 2개의 거리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궤간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상기 영상처리부(120)에서 처리한 편위 데이터를 측정된 궤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보정한다.
상기 전원 센서부(240)는 전차선 측정 장치(100)의 현재 전원 상태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부(250)는 상기 궤도측정장치(200)와 데이터 수집/분석장치(400) 간에 RS232C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전원 장치(300)는 전차선 측정 장치(100)가 일정 시간(일례로, 5시간) 연속 측정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데 재충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전원 장치(300)는 배터리 전원이 DC 24V이고, 배터리 충전기를 포함해야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400)는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100)와 궤도 측정 장치(20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고, 상기 전차선 편위 및 높이의 이상 여부를 검색한 후 상기 검색 데이터를 누적하여 상기 전차선 편위 및 높이 데이터에 대한 상태 변화를 확인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0), 데이터 동기부(420), 데이터 분석부(430), 및 이력관리부(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0)는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100)를 사용자가 손쉽게 운용할 수 있도록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사용자 요구에 따라 업그레이드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0)는 각종 센서들과의 통신 인터페이스 환경을 설정하고,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100)와 궤도 측정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이상 유무를 체크한 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0)는 검측 시작시 사용자로부터 검측시작위치를 입력받고, 검측시작위치를 기준으로 전차선 측정 장치(100)의 위치 정보와 전주 DB(450)에서 제공하는 전주 정보와 연결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0)는 전차선의 편위 및 높이 데이터와, 캔트, 궤간 데이터를 단위 측정간격(10mm)마다 값으로 표시하고, 그래프 형태로도 표시하는데, 상기 단위 측정간격은 50mm, 100mm, 200mm, 500mm 간격으로 설정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0)는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100)의 위치정보를 킬로정으로 표시하고, 측정 위치에서의 전주정보를 자동으로 검색 및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0)는 아래 표 2와 같이 측정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 경고 값에 대한 평가 기준을 정의하고, 설정 경고 값을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측정 데이터가 설정 경고 값(AV)을 초과할 경우에 경고음을 발생하고, 경고 값을 색상(적색)으로 구분 표시한다.
[표 2] 지상구간 일반개소
IV AV NI TV NI AV IV
높이 5500 이상 5500 5400 5200~5300 5000 4850 4850 이하
편위 +250초과 +250 +230 ±200 -230 -250 -250
상기 표 2에서, TV(Target Value)는 목표값, NI(No Intervention)는 허용값, AV(Alert Value)는 경고값, IV(Intervention Value)는 즉시 보수값이다.
상기 데이터 동기부(420)는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100)에서 획득한 전차선 편위 및 높이 데이터와 궤도 측정 장치(200)에서 획득한 이동거리, 캔트, 궤간 데이터를 실시간 동기화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0)에 제공한다.
이는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100)에서 획득한 편위 및 높이 데이터의 샘플링 시점과 궤도 측정 장치(200)에서 획득한 이동거리, 캔트, 궤간 데이터는 데이터의 샘플링 시점이 동일한 시간 코드를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한 동기화시점은 전차선 측정 장치(100)에서 입체 영상을 획득한 시점으로 설정한다.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100)에서 취득한 편위 데이터는 궤간측정 센서부(230)에서 취득한 궤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편위 데이터를 보정하여야 한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430)는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100)와 궤도 측정 장치(200)에서 검측된 데이터를 일정 형태의 파일로 제공하는데, 아래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도록 한다.
― 측정정보(측정자, 측정날짜/시간, 검측운행정보)
― 이동거리 정보 (측정위치 KPR)
― 전주정보(전주번호, 지사, 사업소)
― 전차선 측정정보(높이/편위, 궤간, 캔트)
상기 데이터 분석부(430)는 전차선 측정 장치(100)의 측정 방향과 무관하게 편위 데이터를 상하선 구분없이 각 노선별로 기점을 등지고 좌측을 좌편위, 우측을 우편위로 하여 관리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분석부(430)는 전주와 전주간에 중간 편위, 중간 높이를 계산하여 표시하고, 엑셀 등의 일정한 형태의 파일로 제공한다. 그리고 데이터 분석부(430)는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차선 편위/높이 이상개소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즉, 상기 데이터 분석부(430)의 검색 기능은 이상개소 편위/높이에 대한 검색 데이터를 리스트 형태로 출력하고, 검색된 리스트 항목을 선택하여 이상개소를 검측 그래프 상에서 확인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력 관리부(440)는 상기 데이터 분석부(430)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100)와 궤도 측정 장치(200)의 검측 데이터를 누적하여 전차선 높이 및 편위 데이터에 대한 상태 변화를 확인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400)는 측정시간 및 종료 기능, 센서 및 스테레오 카메라(10, 11) 설정 기능, 측정 데이터 보정 기능 설정, 검측 데이터 다시 보기 기능, 측정 데이터 리포트 기능, 이상 구간 측정시 실시간 알람 표시 기능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400)는 휴대가 간편하고 외부 환경(방수, 충격)에 강한 산업용 노트북(Note-book)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4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키패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데이터 통신을 위해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데이터 변환기, 현재 동작 상황이나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장치, 전차선 측정에 필요한 입출력 제어, 통신 제어, 장치의 구동 제어 등을 수행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노트북, 데이터 처리 장치,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장치(500)는 기본 프레임(510)과, 손잡이(520), 궤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530), 조명등(6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본 프레임(510)은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511, 512)과, 카메라(10, 11)와 조명등(600)이 설치되는 설치바(513)와, 상기 가로 프레임(511, 512)을 연결하는 2개의 세로 프레임(514)과, 상기 설치바(513)를 지지하는 2개의 지지봉(5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바(513)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홈(51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홈(513a)을 따라 상기 카메라(10, 11) 또는 조명등(600)이 이동하여 피사체와의 거리, 각도, 선명도 등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로 프레임(511)의 중앙에는 손잡이(520)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520)는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된다.
이때, 본 발명의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1)은 상기 가로 프레임(511, 512)과 세로 프레임(514), 지지봉(515)이 2개로 형성되어 있지만, 각각의 프레임은 두께나 재질을 다르게 하여 1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로 프레임(511, 512)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100), 궤도 측정 장치(200),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400)들이 탑재되어 있고, 상기 가로 프레임(511, 512)의 끝단에는 4개의 바퀴(53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퀴(530)는 전차선의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존에는 전차선 측정 장치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까지 차량 등을 이용하여 운반한 후 궤도 위에 설치하였지만, 본 발명의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1)은 손잡이(520)를 측정하고자 하는 전/후 방향에 맞게 장착하고, 사용자가 손잡이(520)를 잡고 움직이면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1)이 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1)은 특정 지점에서 전차선의 편위 및 높이를 측정한 후에 다른 지점으로 이동할 경우에 손잡이(520)와 바퀴(530)를 이용해 손쉽게 전차선의 레일을 따라 해당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송장치(500)는 사용자가 검측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견고성과 이동 편이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하는데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1) 상기 이송장치(500)의 기본틀은 견고하게 제작되어야 함.
2) 상기 이송장치(500)의 무게는 이동 편이성을 고려하여 26Kg 이하의 중량으로 제작되어야 함.
3) 상기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1)이 야간에도 측정 가능하도록 충분한 밝기의 LED 조명등(600)이 설치되어야 함.
4) 상기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1)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보관 및 차량 이동이 용이하도록 가볍고 견고한 장치 외함을 제공하여야 함.
5) 장기간 사용 및 보관시에도 장치의 변형이 없어야 함.
한편, 상기 전주 DB(450)에는 측정 구간 노선, 트랙 정보, 측정 구간 지사, 사업소 정보, 측정구간 전주번호, 킬로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다음,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의 저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은, 상기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지만 상기 조명등(600) 대신에 레이저 조명장치(600a)를 두 대의 카메라(10, 11)의 사이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달라진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특히, 상기 레이저 조명장치(600a)는 설치바(513)의 중앙에 오도록 배치하고, 상기 설치바(513)의 양측에 두 대의 카메라(10, 11)를 각각 설치한다. 상기 설치바(513)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홈(51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홈(513a)을 따라 상기 카메라(10, 11) 또는 레이저 조명장치(600a)가 이동하여 피사체와의 거리, 각도, 선명도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바(513)의 전면 방향에 위치한 2개의 바퀴(530) 축에는 이동 방향 전환시 사용할 수 있는 이동용 손잡이(520a)가 설치된다.
상기 레이저 조명장치(600a)에서 방사되는 레이저빔은 연속한 간섭성이 좋은 코히런트한 전자파로서, 주파수의 변동 범위가 작고, 지향성, 에너지 밀도, 집중도에서 현저하게 우수하다.
따라서, 상기 레이저 조명장치(600a)는 주야간 구분없이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고, 2 대의 카메라(10, 11)가 높이 및 편위 측정시 지시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레이저 조명장치(600a)에 의해 중앙으로 레이저빔이 방사되고, 상기 설치바(513)의 양측에 2대의 카메라(100)는 각각 일정 범위의 제1 및 제2 촬영 영역을 가진다. 이때, 상기 레이저빔은 상기 제1 및 제2 촬영 영역이 겹쳐지는 부분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레이저빔을 지시 포인트로 하여 빛의 무게중심을 계산하면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전차선 계측 제어 측정화면이 도시된 화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1)은 선로에 가선된 레일 위의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에 손쉽게 이동 설치하여 전차선의 높이 및 편위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소형, 경량의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1)을 운반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전차선의 수직 하방 레일 위에 위치되게 한다.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100)와 궤도 측정 장치(200)에서 측정되는 측정데이터 항목에는 전차선 편위/높이 데이터, 전주별 전차선 편위/높이 데이터, 캔트 데이터, 궤간 데이터, 이동거리 데이터가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4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측정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전차선 측정 장치(100)에 전달하고,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100)는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지점의 전차선을 탐색하여 전차선의 높이 및 편위를 측정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100)는 두 대의 스테레오 카메라(10, 11)를 잇는 일직선상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는 조명등(600)을 이용하여, 비접촉식 다중 CCD 센서 방식의 CCD 센서부(110)에서 주간을 비롯한 야간에도 전차선로의 단선구간, 최대 3선 정도의 중첩구간, FRP 구간을 촬영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설치바(513)의 중심에 레이저 조명장치(600a)를 설치하고, 두 대의 스테레오 카메라(10, 11)는 상기 레이저 조명 장치(600a)의 양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주야간 상관없이 레이저 조명장치(600a)에서 레이저빔이 방사되면, 2 대의 카메라(10, 11)는 레이저빔을 지시 포인트로 하여 높이 및 편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두 대의 스테레오 카메라(10, 11)에서 촬영된 대용량의 입체 영상 데이터는 영상처리부(120)에서 고속으로 실시간 처리되고, 이미지 프로세싱 과정을 통해 전차선 편위 및 높이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4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10, 11)는 궤도 측정 장치(200)에 설치된 각종 센서와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400)로 동기화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궤도 측정 장치(200)는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100)의 상태 정보와 위치 정보를 실시간 처리하기 위해, 이동거리측정 센서부(210), 캔트측정 센서부(220), 궤간측정 센서부(230), 전원센서부(240), 센서 인터페이스부(250)로 구성되어 있고, 각 센서부(210~240)는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400)로 측정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400)는 상기 각 센서(210~240)들과의 통신 인터페이스 환경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동기부(420)는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100)와 궤도 측정 장치(200)에서 측정된 전차선 높이 및 편위 데이터, 이동거리, 캔트, 및 궤간 데이터를 실시간 동기화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0)로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차선 높이 및 편위 데이터, 이동거리, 이동방향, 캔트, 궤간 데이터를 단위 측정 간격마다 값으로 표시하고, 그래프 형태로도 표시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400)는 검측 시작시 사용자에게 검측시작위치를 입력받아 측정하도록 하고, 상기 검측시작위치를 기준으로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1)의 위치 정보와 전주 DB(450)에서 제공하는 전주 정보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400)는 상기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1)의 위치 정보는 킬로정으로 표시하고, 측정 위치에서의 전주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표시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400)는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100)에서 취득한 편위 데이터를 궤간 측정 센서부(220)에서 취득한 궤간 데이터를 중심으로 기준으로 보정한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430)는 상기 전차선 높이 및 편위 데이터, 이동거리, 캔트, 궤간 데이터를 엑셀 형태의 파일로 제공하는데, 측정 정보, 이동거리 정보, 전주정보, 전차선 측정 정보를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이력 관리부(440)는 전차선 편위 및 높이의 이상 개소에 대한 검색 데이터를 리스트 형태로 출력하고, 각종 측정 데이터를 누적하여 전차선 높이 및 편위 데이터에 대한 상태 변화를 확인하도록 한다.
이 외에도, 상기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400)는 측정시간 및 종료 기능, 센서 및 스테레오 카메라(10, 11) 설정 기능, 측정 데이터 보정 기능 설정, 검측 데이터 다시 보기 기능, 측정 데이터 리포트 기능, 이상 구간 측정시 실시간 알람 표시 기능 등을 제공한다.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100)와 궤도 측정 장치(200)는 이송장치(500)에 고정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400)는 이송장치(500)에 탈착 및 장착이 용이한 구조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장치(500)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원활히 운행될 수 있도록 소형 및 경량으로 제작되고, 측정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안정되고 가벼운 구조로, 측정 지점까지 이동 및 보관을 위하여 분리 및 조립되는 구조이다.
상기에서는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에서 전차선 측정을 위해 스테레오 카메라와 조명등을 구현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은 LED 조명등뿐만 아니라 레이저 조명을 이용하여 레이저 조명의 특성과 카메라 해상도의 차이로 전차선 영역을 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스테레오 매칭 시스템의 기하학적 구조가 도시된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의 외관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전차선 계측 제어 측정화면이 도시된 화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 : 스테레오 카메라 100 : 전차선 측정 장치
200 : 궤도 측정 장치 300 : 전원 장치
400 :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 500 : 이송장치
600 : 조명등 600a : 레이저 조명장치

Claims (19)

  1.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차선 편위 및 높이 데이터를 추출하는 전차선 측정 장치;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의 상태 정보와 위치정보를 실시간 처리하는 궤도 측정 장치;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 및
    상기 전차선 편위 및 높이의 이상 여부를 검색한 후 상기 검색 데이터를 누적하여 상기 전차선 편위 및 높이 데이터에 대한 상태 변화를 확인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와 궤도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는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은 궤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송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2대로 구성된 스테레오 카메라(Stereo camera)인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패시브(passive)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전차선로에 대한 이미지를 전기적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로 전송하는 CCD 센서부와,
    상기 CCD 센서부에서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상기 전차선 편위 및 높이 데이터를 추출하는 영상처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CD 센서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측정간격마다 상기 전차선로의 단선구간, 중첩구간, FRP 구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 측정 장치는 ,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의 이동 거리 정보를 실시간 획득하고, 검측시작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며, 전주 정보와 연관하여 전주별 검측 데이터를 추출하는 이동거리측정 센서부와;
    궤도의 캔트를 측정하는 캔트측정 센서부와;
    궤간을 측정하고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편위 데이터를 상기 측정된 궤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보정하는 궤간측정 센서부와;
    상기 전차선 측정장치의 전원상태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하는 전원 센서부;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센서 인터페이스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리측정 센서부는 엔코더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캔트측정 센서부는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궤간측정 센서부는 2개의 거리측정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재충전하는 충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분석 장치는,
    전차선 측정 장치 및 궤도 측정 장치와의 통신 인터페이스 환경을 설정하고, 통신 인터페이스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전차선 편위 및 높이 데이터, 전차선 측정 장치의 상태 정보와 위치정보를 실시간 동기화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하는 데이터 동기부;
    전차선 편위 및 높이의 이상 개소를 검색하도록 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전차선 측정 장치와 궤도 측정 장치의 검측 데이터를 누적하여 전차선 편위 및 높이 데이터에 대한 상태 변화를 확 인하도록 하는 이력 관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검측 시작 시점에서 사용자로부터 검측시작위치를 입력받고, 검측시작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의 위치 정보와 전주 정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14. 제6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차선 편위 및 높이 데이터, 캔트, 궤간 데이터를 단위 측정간격마다 일정 값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 상기 궤도 측정 장치, 및 전원 장치가 안착되는 기본 프레임과;
    상기 전차선로에서 상기 기본 프레임 위의 장치들을 이동시키는 바퀴; 및
    상기 궤도에서 이동할 수 있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 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차선 측정 장치의 야간 검측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명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두 대의 스테레오 카메라 사이에 레이저 조명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기본 프레임의 전후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은 상기 전차선의 측정 구간, 트랙 정보, 측정 구간 지사, 사업소 정보, 측정 구간 전주번호, 킬로정 정보를 포함하는 전주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비전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KR1020080086731A 2008-09-03 2008-09-03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KR101016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731A KR101016024B1 (ko) 2008-09-03 2008-09-03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731A KR101016024B1 (ko) 2008-09-03 2008-09-03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711A true KR20100027711A (ko) 2010-03-11
KR101016024B1 KR101016024B1 (ko) 2011-02-23

Family

ID=42178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731A KR101016024B1 (ko) 2008-09-03 2008-09-03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02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569B1 (ko) * 2010-07-08 2012-02-13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궤도차량을 이용한 철도시설물 감시시스템 및 방법
WO2012057592A2 (ko) * 2010-10-29 2012-05-03 (주) 아인스에스엔씨 궤도차량을 이용한 철도시설물 감시시스템 및 방법
CN106394316A (zh) * 2016-10-20 2017-02-15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受电弓动态试验测试系统
CN108507807A (zh) * 2018-05-22 2018-09-07 中国铁道科学研究院铁道建筑研究所 轨迹的检测方法、装置和系统
CN109305179A (zh) * 2017-07-26 2019-02-05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 铁路线路设备外观巡检系统
CN109682386A (zh) * 2017-10-18 2019-04-26 株洲中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接触网公里标的定位方法、装置、系统及可读存储介质
CN111702809A (zh) * 2020-06-27 2020-09-25 上海工程技术大学 一种机器人轨道自检装置及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9567A (zh) * 2017-02-14 2017-05-17 成都国铁电气设备有限公司 基于双目立体视觉的接触网及支柱几何参数检测测量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2503A (ja) * 1995-03-03 1996-09-17 Toshiba Corp 移動距離測定装置
KR100652838B1 (ko) * 2005-04-26 2006-12-01 박종국 전차선 측정 시스템
KR100811823B1 (ko) * 2006-06-13 2008-03-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차선의 높이 및 편위 측정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기록매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569B1 (ko) * 2010-07-08 2012-02-13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궤도차량을 이용한 철도시설물 감시시스템 및 방법
WO2012057592A2 (ko) * 2010-10-29 2012-05-03 (주) 아인스에스엔씨 궤도차량을 이용한 철도시설물 감시시스템 및 방법
WO2012057592A3 (ko) * 2010-10-29 2012-07-05 (주) 아인스에스엔씨 궤도차량을 이용한 철도시설물 감시시스템 및 방법
CN106394316A (zh) * 2016-10-20 2017-02-15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受电弓动态试验测试系统
CN109305179A (zh) * 2017-07-26 2019-02-05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 铁路线路设备外观巡检系统
CN109682386A (zh) * 2017-10-18 2019-04-26 株洲中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接触网公里标的定位方法、装置、系统及可读存储介质
CN108507807A (zh) * 2018-05-22 2018-09-07 中国铁道科学研究院铁道建筑研究所 轨迹的检测方法、装置和系统
CN111702809A (zh) * 2020-06-27 2020-09-25 上海工程技术大学 一种机器人轨道自检装置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6024B1 (ko) 201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024B1 (ko) 스테레오 비전 방식을 이용한 전차선 측정 시스템
CN107187464B (zh) 轨道板检测车、系统以及方法
CN102507601B (zh) 电力机车受电弓在线磨损检测方法与系统
CN101982609B (zh) 捣固车光电测量系统及方法
CN107635823B (zh) 用于沿架空接触线对集电弓进行视频检查的系统和方法
CN101487224B (zh) 高速路况检测车
CN111366082A (zh) 移动式接触轨检测装置及其应用方法
EP2966400B1 (en) Overhead line position measuring device and method
CN204007533U (zh) 隧道缺陷的全方位检测设备
CN104748685A (zh) 一种接触网几何参数动态测量方法
CN103411530A (zh) 大型自由锻件尺寸在线测量装置及方法
CN106400628B (zh) 模型解算方法、控制单元、控制系统及铁路道岔检测方法
CN206756149U (zh) 一种用于铁路隧道全断面综合检测的轨道车
CN110824497A (zh) 一种用于接触网智能检测装置和检测方法
CN110360947A (zh) 一种基于矢量图像测量的车辆轮廓测量方法
CN109387156A (zh) 一种基于三维激光扫描设备的轨道侵限智能检测仪
CN101487222A (zh) 多功能激光道路检测车
CN106183895B (zh) 一种单轨接触线磨耗检测装置及方法
EP3663163A1 (en) Automated system for commercial inspection of trains and cars with modular architecture
CN207737300U (zh) 一种针对轨道外观的多视角图像采集装置
KR102004909B1 (ko) 텅레일 밀착상태 검지를 위한 검측시스템
JP5952759B2 (ja) 架線位置計測装置及び方法
CN201794010U (zh) 捣固车光电测量系统
CN211042086U (zh) 一种基于双目3d视觉的接触网几何参数动态检测仪
CN116989881A (zh) 一种基于线激光目标识别的接触线振动测量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