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7591A - 신발용 기능성 장신구 - Google Patents

신발용 기능성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7591A
KR20100027591A KR1020080086571A KR20080086571A KR20100027591A KR 20100027591 A KR20100027591 A KR 20100027591A KR 1020080086571 A KR1020080086571 A KR 1020080086571A KR 20080086571 A KR20080086571 A KR 20080086571A KR 20100027591 A KR20100027591 A KR 20100027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ornaments
shoes
jewelry
p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riority to KR1020080086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7591A/ko
Publication of KR20100027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4Ornamental buckles;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out fastening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용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신발용 장신구에 있어서, 신발용 장신구(103) 일측면에 형성된 신발부착용 돌기(104)로 신발끈이 통과하는 구멍(102)에 탈/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장신구; 신발용 장신구의 일측면에 형성된 신발부착용 돌기(104)의 내측일부(201)를 잘라내어 홈 또는 틈이 있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장신구의 신발부착용 돌기; 신발용 장신구를 신발의 일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신발고정부에 있어서, 'U'자 형태의 신발고정부(301)구조, 신발용 장신구의 신발부착용 돌기(104)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홈(306), 신발과 장신구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신발고정부의 내측 돌기(30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고정부; 신발용 장신구에 있어서, 신발의 후면부를 장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장신구; 장신구의 일측면에 자성물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장신구; 신발용 장신구의 보조 구성물에 있어서, 바지의 후면부 끝단 내측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장신구의 보조 구성물; 신발용 장신구의 보조 구성물 일측면에 자성물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장신구의 보조 구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발, 기능성, 장신구, 돌기, 신발끈, 신발고정부, 후면부, 바지

Description

신발용 기능성 장신구 {footwear functional accessory}
신발의 제조에 있어 그 제조과정의 편의를 위해 일정단위(통상 5mm)로 그 크기를 구분하여 제조한다. 그러나 사람의 발의 크기가 제조되는 신발의 크기에 맞도록 성장하지 않음은 물론이며, 발의 길이에 비해 폭이 넓거나 좁을 수 있고, 걸음걸이나 착용하는 신발에 따라 그 모양이 다양하게 변한다.
다행히 운동화와 같은 신발에는 신발끈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조되었으며, 이 결과 사용자의 착용시 적절한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신발끈이 포함된 신발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신발의 전면 상단 일부를 절개하고 절개된 양측면에 끈이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을 생성한다. 통상 신발끈은, 신발 본체의 앞쪽부터 발목방향으로 끼워지며, 절개된 양측면의 생성된 구멍의 좌우를 교차하여 끼워진다. 사용자는 일정범위 내에서 자신의 발 형태에 따라 그 조임정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바지의 길이가 길게 제작되어, 이를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수선하여 착용하지 않는 경우, 바지의 후면부 끝단이 바닥에 끌리게 된다.
이러한 경우 길거리의 먼지나 오물 등이 바지 끝단에 묻게 되는데, 이 는 미관상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유해한 세균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늘어져 바닥에 끌리는 바지의 후면부 끝단은 보행시나 에스컬레이터 등의 운송장치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신발의 일부에 부착하는 미관의 화려함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기능성 장신구에 있어서, 착탈이 용이하고 장신구의 착탈로 인한 신발 외관의 손상이 없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신발용 장신구는,
1. 현재 신발에 구성되어 있는 신발끈이 통과하는 구멍을 이용하므로, 장신구의 착탈로 인해 신발외관이 손상되지 않는다. 나아가 장신구의 신발고정용 돌기의 크기로 인한 손상을 막고자, 돌기의 내측일부를 잘라낸 형태로 구조하였다.
2. 신발고정부를 이용하여 신발의 다른 부분에 장신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신발고정부 제조과정에 있어서, 신발과 결속하기 위한 부분만을 제조하므로 가공단계의 단순화가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제조단가가 감소한다.
3. 신발용 장신구는 다양한 연결 형태에 따라 신발의 후면부를 포함하는 신발 외관의 장식이 가능하다.
4. 신발의 후면부에 적용되는 신발용 장신구에 있어서, 장신구의 일측면 등에 자석을 부착하고, 바지의 후면부 끝단 내측에 금속성 재질을 부착하여, 바지가 긴 경우 바닥에 끌림을 방지하였다.
본 발명은 신발용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장신구를 신발의 일부에 고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장신구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신발용 장신구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발(101)과 신발용 장신구(103)에 대한 도면으로, 장신구(103)의 부착용 돌기(104)는 신발의 조임정도를 조절하기위해 사용되는 신발끈(106)이 통과되는 구멍(102)에 끼울 수 있도록 제조하였다. 사용자는 신발용 장신구(103)를 신발끈이 통과되는 구멍(102)에 끼워 장신구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신발용 장신구의 세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장신구의 신발 부착용 돌기(104)는 신발과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그 돌기의 종단부분 크기가 신발끈이 통과되는 구멍(10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제조하여야 한다.
그러나 신발의 제조사나 모델에 따라 신발끈이 통과되는 구멍(102)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아, 이를 모두 적용하기 위해 큰 크기의 돌기를 적용하는 경우, 사용의 기간이나 빈도에 따라 신발의 외관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장신구의 신발 부착용 돌기(104)의 내측 일부(201)를 잘라내어 홈(틈)이 있도록 제조하였다.
본 가공으로 인해 잘라낸 홈 좌우에 위치한 돌기(202)가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어, 신발끈이 통과되는 구멍(102)에 탈부착시 신발의 외관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의 신발용 장신구를 신발끈(106)을 포함하는 신발일부에 고정하기 위한 도면으로, 신발용 장식부(103)와 신발고정부(301)로 구성되었다.
신발고정부(301)는 신발끈에 고정하기 위한 내측 돌기(305)부분과, 장식부(103)와의 연결을 위한 구멍(306)부분을 포함하여 구조되었다.
사용자는 신발고정부(301)를 신발끈(106)에 끼워 가결속하고, 신발고정부(301)의 구멍(306)에 신발용 장신구를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신발용 장신구를 신발끈(106)이 통과되는 구멍(102)에만 끼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였던 부분을 개선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신발고정부(301)를 이용하여 신발끈을 포함하는 신발의 다른 부분에 장신구를 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에서는 도 3에서 설명한 신발고정부를 적용하여 신발용 장신구를 신발끈 부위에 부착하는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신발용 장신구(103)를 사용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신발용 장신구를 도면과 같이 신발끈 홀(102)에 끼워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신발의 후면부를 장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서는 바지의 길이가 길게 제작된 경우 바닥에 끌리는 현상(601)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신발의 크기로 인해 전면부와 측면부의 일 부는 바닥에 끌리지 않으나, 후면부의 경우 바지의 길이에 따라 끌림이 발생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경우 길거리의 먼지나 오물 등이 묻게 되는데, 이는 미관상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유해한 세균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늘어져 바닥에 끌리는 바지의 후면 끝단부는 보행시나 에스컬레이터 등의 운송장치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도 6에서 설명하였던 바지의 길이에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에서 설명한 신발의 후면부에 부착할 수 있는 장신구만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과 같이 신발용 장신구의 일측면에, 자석과 같은 자성물체(701, 702)를 부착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701과 같은 동일크기의 자성물체를 부착하는 것을 고려하여 홈의 크기를 제작하므로써, 자성물체의 부착시 제조과정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다른 형태의 자성물체가 포함된 신발용 장신구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에서는 원반형태의 자성물체(701, 702)를 사용하였으나, 도 8과 같은 장신구의 형태에는 판 형태의 자성물체(801)를 후면부에 부착한다.
나아가, 도 7과 도 8의 설명에 있어서 장신구의 형태에 따른 자성물체의 형태가 제한적으로 구분되지 않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계변경이 가능함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바지의 후면부 끝단 내측에 금속성 물체(901)를 부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금속성 물체가 부착되는 위치는, 도 5와 도 7과 도 8에서 설명한 신발용 장신구와 맞닿는 부분이다.
사용자가 본 장신구와 바지를 착용하면, 신발용 장신구의 내부에 부착된 자성물체의 인력(자석의 끄는 힘)으로 바지의 후면부 끝단 내측에 부착된 금속성 물체가 신발용 장신구와 밀착, 고정되어 바닥에 끌리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게(902) 된다. 물론 세부구성에 있어, 신발용 장신구를 금속성소재로 구성하고, 바지의 하단에 자성물체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설명 중, 도 9에서 바지의 후면부 끝단 내측에 금속성소재의 부착방법은 클립, 핀, 뱃지, 접착제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으로 다양한 종류의 부착이 가능함은 물론 본 발명의 특징적 사항에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어,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명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발(101)과 신발용 장신구(103)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신발용 장신구의 세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상기의 신발용 장신구를 신발끈(106)을 포함하는 신발일부에 고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도 3에서 설명한 신발고정부를 적용하여 신발용 장신구를 신발끈 부위에 부착하는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신발용 장신구(103)를 사용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는 바지의 길이가 길게 제작된 경우 바닥에 끌리는 현상(601)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는 도 6에서 설명하였던 바지의 길이에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형태의 자성물체가 포함된 신발용 장신구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바지의 후면부 끝단 내측에 금속성 물체(901)를 부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7)

  1. 신발용 장신구에 있어서,
    신발용 장신구(103) 일측면에 형성된 신발부착용 돌기(104)로 신발끈이 통과하는 구멍(102)에 탈/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장신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신발용 장신구의 일측면에 형성된 신발부착용 돌기(104)의 내측일부(201)를 잘라내어 홈 또는 틈이 있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장신구의 신발부착용 돌기
  3. 신발용 장신구를 신발의 일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신발고정부에 있어서,
    'U'자 형태의 신발고정부(301)구조,
    신발용 장신구의 신발부착용 돌기(104)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홈(306),
    신발과 장신구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신발고정부의 내측 돌기(30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고정부
  4. 신발용 장신구에 있어서,
    신발의 후면부를 장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장신구
  5. 신발용 장신구에 있어서,
    장신구의 일측면에 자성물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장신구
  6. 신발용 장신구의 보조 구성물에 있어서,
    바지의 후면부 끝단 내측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장신구의 보조 구성물
  7.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신발용 장신구의 보조 구성물 일측면에 자성물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장신구의 보조 구성물
KR1020080086571A 2008-09-03 2008-09-03 신발용 기능성 장신구 KR20100027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571A KR20100027591A (ko) 2008-09-03 2008-09-03 신발용 기능성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571A KR20100027591A (ko) 2008-09-03 2008-09-03 신발용 기능성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591A true KR20100027591A (ko) 2010-03-11

Family

ID=4217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571A KR20100027591A (ko) 2008-09-03 2008-09-03 신발용 기능성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75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886Y1 (ko) * 2011-08-30 2013-09-05 대영정공주식회사 아웃솔에 부착되는 금속 장신구
USD1023549S1 (en) 2021-05-28 2024-04-23 Lap Creations Llc Article of jewelry for footwea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886Y1 (ko) * 2011-08-30 2013-09-05 대영정공주식회사 아웃솔에 부착되는 금속 장신구
USD1023549S1 (en) 2021-05-28 2024-04-23 Lap Creations Llc Article of jewelry for footwe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25165A1 (en) Attaching objects to footwear
USD796178S1 (en) Shoe upper
US20020194750A1 (en) Footwear with interchangeable uppers
USD527890S1 (en) Portion of a shoe upper
USD552834S1 (en) Shoe sleeve
US20110126430A1 (en) Elastic snap accessory system
US20150272276A1 (en) Shoe with magnetically attachable decorative accessory
US20130312294A1 (en) Strap-on shoe anti-slip device
US9603410B2 (en) Modular shoe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and method of attachment
US20090151202A1 (en) Footwear with magnetically adhered components
KR20100027591A (ko) 신발용 기능성 장신구
US20110107619A1 (en) Removable Eyelet Outer Rings for Footwear
USD855961S1 (en) Ornament for footwar
KR101037290B1 (ko) 신발용 장식구
US20150296925A1 (en) Shoe fastener
CN205624709U (zh) 一种装饰物可拆卸的凉鞋
US1489735A (en) Support for foot covering
US20180084839A1 (en) Non-slip, Reinforced Heel Sock, Device and Element for the Same
WO2018131548A1 (ja) 靴のヒールカバー
KR20110011726A (ko) 신발용 장식구
KR101002588B1 (ko) 전후길이가 신축되는 신발
CN202588467U (zh) 一种可改变鞋面款式的鞋
KR200384085Y1 (ko) 미끄럼방지를 위한 스타킹 재료의 덧신
KR101442162B1 (ko) 다중경도를 가지는 신발창이 구비된 신발
KR20150004529A (ko) 장식물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