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959A -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959A
KR20100026959A KR1020090031926A KR20090031926A KR20100026959A KR 20100026959 A KR20100026959 A KR 20100026959A KR 1020090031926 A KR1020090031926 A KR 1020090031926A KR 20090031926 A KR20090031926 A KR 20090031926A KR 20100026959 A KR20100026959 A KR 20100026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image
photographing
imaging device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9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61027B1 (en
Inventor
요이치로 타우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26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9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0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18Focusing aids
    • G03B13/20Rangefinders coupled with focusing arrangements, e.g. adjustment of rangefinder automatically focusing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 Viewfinders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Abstract

PURPOSE: A photographing device and a photographing method are provided to simply change multiple photographing units, thereby photographing an image in various modes suitable to the photographing units. CONSTITUTION: A photographing device(100) comprises a first photographing unit, a second photographing unit, a focusing screen(107), a supporting member, and a driving unit.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is fixed to an optical axis and converts an object image irradiated to a first photographing surface into an electric signal during a first photographing mode.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is arranged on the optical axis during a second photographing mode and toward an object during a first photographing mode.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converts an object image irradiated to a second photographing surface into an electric signal. The focusing screen irradiates an object image to the first photographing surface by penetrating the object image. The supporting member supports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and the focusing screen toward a direction which is vertical to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The driving unit drives the supporting member in order that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is arranged on the optical axis during the second photographing mode and drives the supporting member in order that the focusing screen is arranged on the optical axis during the first photographing mode.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ing device and an imaging method.

주로 정지영상 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에는, 예를 들면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 콤팩트 디지털 카메라 등이 있다. 사용자는 통상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에는 광학식 파인더를 끼워 피사체를 확인한다. 또 콤팩트 디지털 카메라는, 사용자는 본체에 마련된 액정 패널(LCD)에 라이브 뷰 표시된 피사체를 확인한다.Imaging apparatuses, such as a digital still camera which can capture a still image mainly, include a digital single-lens reflex camera, a compact digital camera, etc., for example. The user typically checks the subject by inserting an optical finder into the digital single-lens reflex camera. In addition, in the compact digital camera, the user confirms a subject displayed in live view on a liquid crystal panel (LCD) provided in the main body.

최근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에도 본체에 마련된 액정 패널에 라이브 뷰 표시된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7-49667호는 라이브 뷰 표시용으로, 미러 기구에서 반사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수광하는 촬상 소자와 본 촬영용 촬상 소자 2개의 촬상 소자를 가진 카메라가 개시되어 있다.Recently, the digital single-lens reflex camera also has a liquid crystal panel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check the subject displayed live view.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7-49667 discloses a camera having an image pickup device for receiving a light from a subject reflected by a mirror mechanism and two image pickup devices for the main image pickup device for live view display.

그러나 최근의 라이브 뷰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는 보 통 가동식 미러 기구를 가지고 있으며, 미러 다운 시에 촬상 소자에 직접 피사체를 결상시킬 수 없다. 또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는 종래의 광학식 파인더를 그대로 남겨두고 본체의 액정 패널에 촬영 화상을 표시시킨다. 따라서 라이브 뷰 표시가 가능한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는, 미러 기구나 펜타프리즘에서 종래 이상으로 복잡한 광학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 광학 정밀도나 설치 정밀도에 따라서는 표시 위치가 엇갈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카메라의 소형화, 카메라 내부의 먼지 대책이나 가격 인하를 꾀할 수 없었다.However, recent digital single-lens reflex cameras capable of displaying live views usually have movable mirror mechanisms, and cannot image an object directly on the image pickup device when the mirror is down. In addition, the digital single-lens reflex camera displays the photographed image on the liquid crystal panel of the main body while leaving the conventional optical finder as it is. Therefore, a single-lens reflex camera capable of live view display requires an optical system that is more complicated than conventional in a mirror mechanism or a pentaprism. Moreover, there existed a problem that display positions shifted depending on optical precision and installation precision. In addition, it was not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camera, to prevent dust in the camera, and to reduce the price.

그래서 렌즈를 본체에 대해 착탈시킬 수 있는 카메라로서, 콤팩트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광학식 파인더를 설치하지 않고 LCD로만 본 촬영 전에 촬영 화상을 확인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Therefore, as a camera which can attach and detach a lens from a main body, the method of confirming a photographing image before this photographing only by LCD without installing an optical finder like a compact digital camera can be considered.

그러나 라이브 뷰 표시를 할 경우, 정지 영상용 화소 수가 많은 촬상 소자로부터 라이브 뷰용 작은 화상을 픽업할 때 표시에 시간이 걸린다거나 화질이 열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콘트라스트 방식에 의한 포커스 제어를 할 경우, 화소수가 많은 촬상 소자로는 촬상 소자로부터의 독출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합초 위치를 검출할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정지영상용 촬상 소자를 동영상 촬영용으로 겸용하는 경우, 촬상 소자로부터의 독출 속도가 동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와 타이밍이 맞지 않아 필요로 하는 프레임 레이트를 얻을 수 없다거나 화질이 열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live view displa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play takes time or the image quality deteriorates when picking up a small image for live view from an image pickup device having a large number of still image pixels. In addition, in the case of focus control using a contrast method, an image pickup device having a large number of pixels has a problem that it takes time to detect a focusing position because the reading speed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is slow. In addition, when the still image capturing device is also used for motion picture photograph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ad rate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does not match the frame rate of the video and the required frame rate cannot be obtained or the image quality deteriorates.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개의 촬상 소자를 간단하게 전환하여 촬상 소자에 적합한 여러 가지 모드의 촬영이 가능한 신규 및 개량된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and improved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pickup method capable of simply switching a plurality of image pickup devices to capture various modes suitable for the image pickup device. .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관점에 의하면, 광축상에 고정 배치되어 제1 촬영 모드시에 제1 촬상면에 조사된 피사체 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촬상 소자와, 제2 촬영 모드시에 상기 광축 상 및 상기 제1 촬상 소자에서 피사체 쪽에 배치되어 제2 촬상면에 조사된 피사체 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2 촬상 소자와, 상기 제1 촬영 모드시에 상기 광축 상 및 상기 제1 촬상 소자에서 피사체 쪽에 배치되어 피사체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피사체에서 상기 제2 촬상면까지의 거리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설치된, 피사체 상이 결상되는 결상면을 가지고, 결상된 상기 피사체 상을 투과시켜 상기 제1 촬상면에 상기 피사체 상을 조사하는 포커싱 스크린과, 상기 제2 촬상 소자와 상기 포커싱 스크린을 상기 광축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제2 촬영 모드에서는 상기 제2 촬상 소자가 상기 광축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구동하고, 제1 촬영 모드에서는 상기 포커싱 스크린이 상기 광축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rst imaging device which is fixedly disposed on an optical axis and converts a subject image illuminated on the first imaging surface into an electrical signal in a first imaging mode, and second imaging. A second image pickup device for converting the optical image on the optical axis and the subject image on the subject in the first imaging device and converting the image of the subject irradiated onto the second imaging surface into an electrical signal; 1 having an image forming surface in which an image of an image is formed, disposed at a side of a subject in the image pickup device and positioned at a distance from the subject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subject to the second image pickup surface, and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image; A focusing screen for irradiating the subject image onto an imaging surface, and supporting the second imaging element and the focusing scree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support member for driving the support member so that the second member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are disposed on the optical axis in the second photographing mode, and the support member such that the focusing screen is disposed on the optical axis in the first photographing mode. There is provided an imaging device having a.

상기 구성에 의해, 제1 촬상 소자는 광축상에 고정 배치되어 제1 촬영 모드시에 제1 촬상면에 조사된 피사체 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제2 촬상 소자는 제2 촬영 모드시에 광축 상 및 제1 촬상 소자에서 피사체 쪽에 배치되어 제2 촬상면에 조사된 피사체 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포커싱 스크린은 제1 촬영 모드시에 광축 상 및 제1 촬상 소자에서 피사체 쪽에 배치되어 피사체로부터의 거리가 피사체에서 제2 촬상면까지의 거리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설치된, 피사체 상이 결상되는 결상면을 가지고, 결상된 피사체 상을 투과시켜 제1 촬상면에 피사체 상을 조사한다. 또 지지부재는 제2 촬상 소자와 포커싱 스크린을 광축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고, 구동부는 제2 촬영 모드에서는 제2 촬상 소자가 광축상에 배치되도록 지지부재를 구동하고, 제1 촬영 모드에서는 포커싱 스크린이 광축상에 배치되도록 지지부재를 구동한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rst imaging device is fixedly disposed on the optical axis to convert the subject image irradiated to the first imaging surface in the first imaging mod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is in the optical imaging mode in the second imaging mode. And converting the subject image disposed on the subject side of the first imaging element and irradiated onto the second imaging surfa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focusing screen is disposed on the optical axis in the first photographing mode and on the subject side in the first imaging element, at a distance from the subject. Has an imaging surface on which the subject image is formed at a position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subject to the second imaging surface, and passes through the image object to be imaged to irradiate the subject image on the first imaging surface.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supports the second imaging device and the focusing scree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driving unit drives the support member so that the second imaging device is disposed on the optical axis in the second imaging mode, and in the first imaging mode The support member is driven such that the focusing screen is disposed on the optical axis.

상기 제1 촬상 소자의 제1 촬상면은, 상기 제2 촬상 소자의 제2 촬상면에 비해 좁다. 상기 구성에 의해, 촬영 모드에 따라 다른 종류의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제2 촬상 소자는, 예를 들면 정지영상 촬영용 화소 수를 가지고, 제1 촬상 소자는 제2 촬상 소자보다 화소 수가 적은, 예를 들면 동영상 촬영용 화소 수를 가진다.The first imaging surface of the first imaging device is narrower than the second imaging surface of the second imag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cquire different kinds of signals in accordance with the shooting mode. The second image pickup device has, for example, a number of pixels for still image shooting, and the first image pickup device has a smaller number of pixels than the second image pickup device, for example, the number of pixels for video shooting.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제2 촬상 소자와 상기 포커싱 스크린이 서로 인접하여 상기 제2 촬상면과 상기 결상면이 동일 기준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촬영 모드의 전환이 원활해져 제2 촬상면과 결상면에서 동일 크기의 피사체 상을 취득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is arranged such that the second imaging device and the focusing screen are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imaging surface and the imaging surface are located on the same reference surface. This configuration makes it possible to switch the shooting mode smoothly, so that a subject image having the same size can be obtained from the second imaging surface and the imaging surface.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정지영상 촬영을 하는 모드이고, 제1 촬영 모드는 동영상 촬영을 하는 모드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2 촬상 소자와 제1 촬상 소자를 전환함으로써 정지영상 촬영과 동영상 촬영을 전환할 수 있다.The second capturing mode is a mode for capturing still images, and the first capturing mode is a mode for capturing video.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witch between still image shooting and moving picture shooting by switching between the second imaging element and the first imaging element.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제2 촬상 소자와 포커싱 스크린을 광축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여 제1 촬상 소자에서 피사체 쪽에 배치된 지지부재를, 제2 촬영 모드에서 상기 제2 촬상 소자가 상기 광축상에 배치되도록 구동하는 단계와, 제2 촬영 모드에서 상기 제2 촬상 소자가 제2 촬상면에 조사된 피사체 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부재를, 제1 촬영 모드에서 상기 포커싱 스크린이 상기 광축상에 배치되도록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촬영 모드에서 피사체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피사체에서 상기 제2 촬상면까지로 동일해지는 거리에 위치하는 결상면을 가진 포커싱 스크린이, 상기 결상면에 결상된 피사체 상을 투과시켜 상기 제1 촬상 소자의 제1 촬상면에 상기 피사체 상을 조사하는 단계와, 제1 촬영 모드에서 상기 제1 촬상 소자가, 상기 제1 촬상면에 조사된 상기 피사체 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가진 촬상 방법이 제공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ember and the focusing screen is sup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support the support member disposed on the subject side in the first imaging device in the second imaging mode. Driving the second imaging device to be disposed on the optical axis, converting the subject image irradiated on the second imaging surface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the second imaging device in a second imaging mode, and supporting the support member, Driving the focusing screen to be disposed on the optical axis in a first photographing mode, and an imaging plane positioned at a distance at which the distance from the subject is equal to the second imaging plane from the subject in the first photographing mode; Illuminating the subject image on a first imaging surface of the first imaging device by transmitting a subject image formed on the imaging surface by a focusing screen; , In the first recording mode is the first image pickup device, the image pick-up method has a step of converting an image of the subject is irradiated to the first imaging surface 1 into electrical signals.

상기 구성에 의해, 제2 촬상 소자와 포커싱 스크린을 광축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고 제1 촬상 소자에서 피사체 쪽에 배치된 지지부재가 제2 촬영 모드에서 제2 촬상 소자가 광축상에 배치되도록 구동되고, 제2 촬영 모드에서 제2 촬상 소자에 의해 제2 촬상면에 조사된 피사체 상이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지지부재가 제1 촬영 모드에서 포커싱 스크린이 광축상에 배치되도록 구동되고, 제 1 촬영 모드에서 피사체로부터의 거리가 피사체부터 제2 촬상면까지로 동일해지는 거리에 위치하는 결상면을 가진 포커싱 스크린에 의해 결상면에 결상된 피사체 상이 투과되어 제1 촬상 소자의 제1 촬상면에 피사체 상이 조사된다. 또 제1 촬영 모드에서 제1 촬상 소자에 의해 제1 촬상면에 조사된 피사체 상이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With this arrangement, the second imaging device and the focusing screen are suppor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support member disposed on the subject side in the first imaging device is driven so that the second imaging device is arranged on the optical axis in the second imaging mode. The subject image irradiated on the second imaging surface by the second imaging device in the second imaging mode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support member is driven such that the focusing screen is arranged on the optical axis in the first photographing mode, and in the focusing screen having an imaging surface positioned at a distance at which the distance from the subject is equal to the second imaging plane in the first photographing mode. As a result, the subject image formed on the imaging surface is transmitted, and the subject image is irradiated onto the first imaging surface of the first imaging device. Moreover, the subject image irradiated to the 1st imaging surface by the 1st imaging element in a 1st imaging mode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개의 촬상 소자를 간단하게 전환하여 촬상 소자에 적합한 여러 가지 모드의 촬영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y switch several imaging elements and to take various modes of imaging suitable for the imaging elements.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의 구성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an accompanying drawing.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nd drawing, duplication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by attaching | subjecting the same code | symbol about the component which has a structure of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structure of the imaging device 100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100)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의 센서 유닛(116)의 위치는 제2 촬영 모드에서의 위치를 가리키고 있으며, 도 2의 센서 유닛(116)의 위치는 제1 촬영 모드에서의 위치를 가리키고 있 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촬상 장치(100)의 센서 유닛(116)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절단면을 본 단면도이다.1 and 2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imag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sensor unit 116 of FIG. 1 indicates the position in the second photographing mode, and the position of the sensor unit 116 of FIG. 2 indicates the position in the first photographing mod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ensor unit 116 of the imag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A-A in FIG.

촬상 장치(100)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로서, 정지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110)와 동영상 촬영 또는 라이브 뷰 표시 촬영용 촬상 소자(118)를 가지고, 정지영상 촬영 모드와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촬상 소자(110,118)를 전환하여 촬영한다.The imaging device 100 is, for example, a digital camera, and has an image pickup device 110 for still image shooting and an image pickup device 118 for video shooting or live view display shooting. 110, 118) to switch to shoot.

촬상 장치(100)는, 예를 들면 렌즈 본체(102)와, 카메라 본체(103)로 이루어진다.The imaging device 100 includes, for example, a lens body 102 and a camera body 103.

렌즈 본체(102)는, 내부에 광학계로서의 렌즈 블록(104)을 내장한다. 렌즈 블록(104)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를 들면 줌 렌즈, 포커스 렌즈, 조리개 등으로 구성된다. 피사체로부터의 광속은 렌즈 블록(104)을 통과하여 카메라 본체(103) 내부에 도달한다. 렌즈 본체(102)는, 카메라 본체(103)에 대해 착탈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카메라 본체(103)에 적합한 렌즈 본체(102)라면, 화각, 초점 거리 등 특성이 다른 여러 가지 렌즈 본체(102)를 카메라 본체(103)에 교환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The lens body 102 incorporates a lens block 104 as an optical system therein. Although not shown, the lens block 104 includes, for example, a zoom lens, a focus lens, an aperture, and the like. The light beam from the subject passes through the lens block 104 and reaches the inside of the camera body 103. The lens body 102 has a structure tha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amera body 103. If the lens main body 102 is suitable for the camera main body 103, various lens main bodies 102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such as an angle of view and a focal length, can be installed in the camera main body 103 so that replacement is possible.

렌즈 블록(104)은, 외부의 광정보를 촬상 소자(110), 포커싱 스크린(107)에 결상시키는 광학계 시스템으로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촬상 소자(110), 포커싱 스크린(107)까지 투과시킨다. 줌 렌즈는, 초점 거리를 변화시켜 화각을 바꾸는 렌즈이며, 조리개는 투과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포커스 렌즈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촬상 소자(110)의 촬상면(110A), 포커싱 스크린(107)의 결상 면(107A)에 피사체 상을 합초시킨다. 포커스 렌즈는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모터는 AF 드라이버(144)로부터 구동 신호를 받아 구동한다.The lens block 104 is an optical system that forms external optical information onto the imaging element 110 and the focusing screen 107, and transmits light from a subject to the imaging element 110 and the focusing screen 107. The zoom lens is a lens for changing the angle of view by changing the focal length, and the aperture is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The focus lens is focus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focus the subject image onto the imaging surface 110A of the imaging device 110 and the imaging surface 107A of the focusing screen 107. The focus lens is driven by a motor. The motor receives the drive signal from the AF driver 144 and drives the motor.

카메라 본체(103)는, 내부에 예를 들면 포컬 플레인 셔터(109)와, 포커싱 스크린(107) 및 촬상 소자(110)가 설치된 센서 유닛(116)과, 렌즈(117)와, 촬상 소자(118) 등을 가진다.The camera main body 103 includes, for example, a focal plane shutter 109, a sensor unit 116 provided with a focusing screen 107, and an imaging device 110, a lens 117, and an imaging device 118. ), Etc.

포컬 플레인 셔터(109)는, 렌즈 블록(104)을 통과하는 광속의 광축상에 설치된다. 또 포컬 플레인 셔터(109)는, 제2 촬영 모드에서 촬상 소자(110)가 피사체로부터의 광속의 광축 상으로 이동했을 때 촬상 소자(110)의 촬상면(110A)의 근방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포컬 플레인 셔터(109)는, 도 1에 도시한 정지영상 촬영(제2 촬영 모드)시, 소정의 셔터 속도로 개폐하여 촬상 소자(110)를 노광시킨다. 한편, 포컬 플레인 셔터(109)는, 도 2에 도시한 동영상 촬영(제1 촬영 모드)시 개방된 상태를 지속한다.The focal plane shutter 109 is provided on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beam passing through the lens block 104. In addition, the focal plane shutter 109 is provided at a position near the imaging plane 110A of the imaging device 110 when the imaging device 110 moves on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beam from the subject in the second imaging mode. The focal plane shutter 109 opens and closes at a predetermined shutter speed to expose the imaging device 110 at the time of still image shooting (second shooting mode) shown in FIG. 1. On the other hand, the focal plane shutter 109 continues to be opened during the video shooting (first shooting mode) shown in FIG. 2.

아울러 촬상 소자(110)의 노광 시간을 제어하기 위하여 비촬영시에 광을 차단하고 촬영시에만 광이 닿도록 포컬 플레인 셔터(109)를 적용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셔터(미도시)를 적용해도 좋다. 포컬 플레인 셔터(109) 또는 전자 셔터의 동작은, 전체 신호 처리부·제어부(140)에 접속된 셔터 버튼, 예를 들면 조작부(180)의 스위치에 의해 실행된다.In addition, an example in which the focal plane shutter 109 is applied to block the light at the time of non-photographing and to reach the light only at the time of shooting in order to control the exposure time of the imaging device 110 has been described. Not shown) may be applied. The operation of the focal plane shutter 109 or the electronic shutter is performed by a shutter button connected to the entire signal processing unit / control unit 140, for example, a switch of the operation unit 180.

센서 유닛(116)은 지지부재의 일례로서, 촬상 소자(110)과 포커싱 스크린(107)을 지지한다. 센서 유닛(116)은, 촬상 소자(110)의 촬상면(110A)과 포커싱 스크린(107)의 결상면(107A)이 광축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의 면 안에 수용되도록 촬상 소자(110)와 포커싱 스크린(107)을 지지한다.The sensor unit 116 supports the imaging element 110 and the focusing screen 107 as an example of the support member. The sensor unit 116 includes the imaging element 110 and the focusing screen so that the imaging surface 110A of the imaging element 110 and the imaging surface 107A of the focusing screen 107 are accommodate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107).

센서 유닛(116)은, 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 부재이다. 포커싱 스크린(107)이 설치되는 부분에는 개구부(116A)가 마련된다. 이로써, 제1 촬영 모드시에 포커싱 스크린(107)에 결상된 피사체 상을 촬상 소자(118)에 결상시킬 수 있다.The sensor unit 116 is a plate-shaped member, for example as shown to FIG. 3 and FIG. The opening 116A is provided in the portion where the focusing screen 107 is installed. Thereby, the imaging element 118 can image the subject image formed on the focusing screen 107 in the first photographing mode.

센서 유닛(116)은, 예를 들면 센서 유닛 구동부(146)(도 5 참조)에 의해 구동된다. 센서 유닛(116)은, 포커싱 스크린(107)의 중심과 촬상 소자(110)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구동된다. 센서 유닛(116)은 제2 촬영 모드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소자(110)에 피사체 상이 조사되도록 구동되고, 제1 촬영 모드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커싱 스크린(107)에 피사체 상이 조사되도록 구동된다. 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센서 유닛(116)의 가동 방향은 베어링(122)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아울러 센서 유닛(116)의 구동 수단이나 구동 방향의 규정 수단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수단을 적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16 is driven by, for example, the sensor unit driver 146 (see FIG. 5). The sensor unit 116 is drive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ocusing screen 107 and the center of the imaging element 110. The sensor unit 116 is driven to irradiate the image of the subject onto the imaging device 110 in the second photographing mode, as shown in FIG. 1, and in the first photographing mode, the focusing screen 107 as shown in FIG. 2. It is driven to irradiate the subject imag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nsor unit 116 is defined by the bearing 122. In addition, the driving means of the sensor unit 116 and the defining means of the driving direc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but may be implemented by applying other means.

포커싱 스크린(107)은 센서 유닛(116)에 마련된다. 포커싱 스크린(107)은 피사체 상이 조사되는 결상면(107A)을 갖는다. 결상면(107A)은 포커싱 스크린(107)의 일면으로서, 예를 들면 매트 가공되어 있다. 결상면(107A)에는, 제1 촬영 모드시에 피사체 상이 결상된다. 포커싱 스크린(107)은 투명부재로서, 결상면(107A)에 결상된 피사체 상은 촬상 소자(118)쪽으로 투과된다.The focusing screen 107 is provided in the sensor unit 116. The focusing screen 107 has an imaging surface 107A on which the subject image is irradiated. The imaging surface 107A is one surface of the focusing screen 107, for example, which has been mat-processed. On the imaging surface 107A, the subject image is imaged in the first photographing mode. The focusing screen 107 is a transparent member, and the subject image formed on the imaging surface 107A is transmitted toward the imaging element 118.

촬상 소자(110)는 제2 촬상 소자의 일례로서, 렌즈 블록(104)을 투과하여 입 사된 광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이 가능한 여러 개의 소자로 구성된다. 각 소자는 수광한 광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생성한다. 촬상 소자(110)는 CCD(charge coupledd device)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다.The imaging device 110 is an example of a second imaging device. The imaging device 110 includes a plurality of devices capable of photoelectric conversion for converting light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lens block 104 into an electrical signal. Each device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light. The imaging device 110 may be a charge coupled device (CCD) sensor,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sensor, or the like.

촬상 소자(110)는 정지영상 촬영용으로서, 동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118)보다도 사이즈가 크고 고해상도 고화질에 대응한 것이 적용된다. 촬상 소자(110)는 센서 유닛(116)에 마련된다. 촬상 소자(110)는 피사체 상이 조사되는 촬상면(110A)을 가진다. 촬상면(110A)에는, 제2 촬영 모드시에 피사체 상이 결상된다. 이로써 제2 촬영 모드에서는 고화질의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The image pickup device 110 is for still image shooting, and is larger in size than the image pickup device 118 for moving picture pick-up and corresponds to high resolution and high quality. The imaging element 110 is provided in the sensor unit 116. The imaging device 110 has an imaging surface 110A to which the subject image is irradiated. The subject image is imaged on the imaging surface 110A in the second photographing mode. As a result, a high quality still image can be captured in the second photographing mode.

포커싱 스크린(107)의 결상면(107A)의 화각 사이즈는, 촬상 소자(110)의 촬상면(110A)의 화각 사이즈와 동일하다.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결상면(107A)의 화각 사이즈는 세로(L1)×가로(W1)이고, 촬상면(110A)의 화각 사이즈는 세로(L2)×가로(W2)이다. 그리고 L1=L2, W1=W2를 충족한다.The field of view size of the imaging surface 107A of the focusing screen 107 is the same as the field of view size of the imaging surface 110A of the imaging device 110.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the angle of view size of the imaging surface 107A is vertical (L 1 ) x horizontal (W 1 ), and the angle of view size of the imaging surface 110A is vertical (L 2 ) x horizontal (W 2 ). . And L 1 = L 2 , W 1 = W 2 .

또 촬상 소자(110)의 촬상면(110A)과 포커싱 스크린(107)의 결상면(107A)은 동일 기준면 내에 위치한다. 이로써 초점 거리, 화각을 바꾸어 렌즈 본체(102)를 사용한 경우라 해도, 결상면(107A)에 결상되는 피사체 상과 촬상 소자(110)의 촬상면(110A)에 결상되는 피사체 상이 일치한다. 또 포커싱 스크린(107)에 결상된, 정지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110)에서의 피사체 상과 일치하는 피사체 상이 동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118)에 조사된다. 그 결과, 제1 촬영 모드의 라이브 뷰 표시에서 정지영상 촬영시 피사체의 프레이밍이나 주밍을 확인할 수 있다.The imaging plane 110A of the imaging device 110 and the imaging plane 107A of the focusing screen 107 are located within the same reference plane. Thereby, even when the lens main body 102 is used by changing the focal length and angle of view, the subject image formed on the imaging surface 107A and the subject image formed on the imaging surface 110A of the imaging device 110 coincide. In addition, the subject image that matches the subject image in the still image photographing image pickup device 110, which is formed on the focusing screen 107, is irradiated to the image pickup image pickup device 118. As a result, the framing or zooming of the subject can be confirmed at the time of still image shooting in the live view display of the first shooting mode.

렌즈(117)는, 포커싱 스크린(107)에 결상된 피사체 상을 촬상 소자(118)로 인도하는 광학 부재이다. 렌즈(117)는, 포커싱 스크린(107)에 결상된 피사체 상을 촬상 소자(118)의 촬상면의 크기에 맞춰 촬상 소자(118)의 촬상면에 결상시킨다.The lens 117 is an optical member for guiding the subject image formed on the focusing screen 107 to the imaging element 118. The lens 117 forms an image of the subject formed on the focusing screen 107 on the imaging surface of the imaging device 118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maging surface of the imaging device 118.

촬상 소자(118)는 제1 촬상 소자의 일례로서, 렌즈 블록(104)을 투과하여 포커싱 스크린(107)을 사이에 두고 입사된 광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이 가능한 여러 개의 소자로 구성된다. 각 소자는 수광한 광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생성한다. 촬상 소자(110),(118)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다.The imaging device 118 is an example of a first imaging device. The imaging device 118 includes a plurality of devices capable of photoelectric conversion, which transmits light information incident to a lens block 104 and interposes a focusing screen 107 into an electrical signal. do. Each device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light. The imaging devices 110 and 118 may use a charge coupled device (CCD) sensor,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sensor, or the like.

촬상 소자(118)는 동영상 촬영용 또는 라이브 뷰 표시 촬영용으로서, 정지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110)보다도 사이즈가 작고 화소 수가 적지만, 촬상 소자(118)는 정지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110)보다도 고속 독출이 가능하다. 촬상 소자(118)는 센서 유닛(116)을 끼워 렌즈 본체(102)와 반대쪽에 설치된다. 촬상 소자(118)의 촬상면에는, 제1 촬영 모드시에 포커싱 스크린(107)에 결상된 피사체 상이 결상된다. 이로써, 제1 촬영 모드에서는 동영상용 또는 라이브 뷰 표시용 촬영을 할 수 있다.The imaging device 118 is for video shooting or live view display shooting, which is smaller in size and has fewer pixels than the still image shooting imaging device 110, but the imaging device 118 has a higher reading speed than the still image shooting imaging device 110. It is possible. The imaging element 118 is mount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lens body 102 with the sensor unit 116 inserted. The subject image formed on the focusing screen 107 is imaged on the imaging surface of the imaging element 118 in the first imaging mode. Thus, in the first shooting mode, shooting for moving image or live view display can be performed.

또 촬상 소자(118)를 사용하여 고속 독출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콘트라스트 방식의 포커스 제어(콘트라스트 AF)를 할 수 있다. 또 촬상 소자(118)로부터 동영상의 기록에 최적인 프레임 레이트, 화소 수로 영상 신호를 독출함으로써 정지영상용 촬상 소자(110)에서는 독출하기 힘든 고화질, 고품질의 동영상을 얻을 수 있 다.In addition, the focus control (contrast AF) of the contrast method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video signal read out at high speed using the imaging element 118. In addition, by reading the video signal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118 at the frame rate and the number of pixels that are optimal for recording the video, a high quality and high quality video that is difficult to read in the still image pickup device 110 can be obtained.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100)를 도시한 블록 도이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5, the structure of the imaging device 10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mag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촬상 장치(100)는,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렌즈 블록(104), 센서 유닛(116), 촬상 소자(110), 렌즈(117), 촬상 소자(118) 등에 추가하여 전처리부(130), 화상 메모리(132), 영상 신호 처리부(134), 전체 신호 처리부·제어부(140), AF 제어부(142), AF 드라이버(144), 센서 유닛 구동부(146), JPEG 처리부(152), MPEG 처리부(154), LCD(160), 메모리 카드(170), 조작부(180)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imaging device 100 is,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lens block 104, the sensor unit 116, the imaging device 110, the lens 117, the imaging device 118, and the lik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Preprocessor 130, image memory 132, video signal processor 134, all signal processor / controller 140, AF controller 142, AF driver 144, sensor unit driver 146, JPEG processor ( 152, the MPEG processing unit 154, the LCD 160, the memory card 170, the operation unit 180, and the like.

촬상 소자(110,118)는 CDS/AMP부, A/D 변환부를 더 가진다. CDS/AMP부(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증폭기(amplifier))는, 촬상 소자(110,118)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에 포함되는 저주파 노이즈를 제거함과 동시에, 전기 신호를 임의의 레벨까지 증폭시킨다. A/D 변환부는, CDS/AMP부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A/D 변환부는, 생성한 디지털 신호를 전처리부(130)로 출력한다.The imaging elements 110 and 118 further have a CDS / AMP unit and an A / D conversion unit. The CDS / AMP unit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 amplifier) removes low frequency noise included in the electrical signals output from the imaging elements 110 and 118 and amplifies the electrical signals to an arbitrary level. Let's do it. The A / D converter generates a digital signal by digitally converting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CDS / AMP unit. The A / D converter outputs the generated digital signal to the preprocessor 130.

스위치(124)는, 제1 촬영 모드 및 제2 촬영 모드에 맞춰 촬상 소자(110)와 촬상 소자(118)를 전환한다. 제2 촬영 모드에서는, 스위치(124)는 촬상 소자(11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전처리부(130)로 보내지도록 접속된다. 제1 촬영 모드에서는, 스위치(124)는 촬상 소자(118)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전처리부(130)로 보내지도 록 접속된다.The switch 124 switches the imaging element 110 and the imaging element 118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imaging mode and the second imaging mode. In the second photographing mode, the switch 124 is connected so that a signal output from the imaging element 110 is sent to the preprocessor 130. In the first photographing mode, the switch 124 is connected so that a signal output from the imaging element 118 is sent to the preprocessor 130.

전처리부(130)는 A/D 변환부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처리를 하여 영상 처리가 가능해지는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전처리부(130)는, 예를 들면 촬상 소자(110),(118)의 화소 결함 보정, 블랙 레벨 보정, AF(auto focus: 자동 초점) 평가값의 산출, 쉐이딩 보정 등의 처리를 한다. 전처리부(130)는 생성한 화상 신호를, 예를 들면 영상 신호 처리부(134)에 출력한다. 또 전처리부(130)는 화상 메모리(132)로의 화상 데이터의 읽고 쓰기를 제어한다.The preprocessor 130 processes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A / D converter to generate an image signal that enables image processing. The preprocessor 130 performs processing such as pixel defect correction, black level correction, calculation of an AF (auto focus) evaluation value, shading correction, and the like of the imaging elements 110 and 118, for example. The preprocessor 130 outputs the generated image signal, for example, to the video signal processor 134. The preprocessing unit 130 also controls reading and writing of image data to the image memory 132.

화상 메모리(132)는, 예를 들면 SDRAM(synchronous DRAM)으로서, 촬영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화상 메모리(132)는 여러 개의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기억용량을 가지고 있다. 화상 메모리(132)로의 화상의 읽고 쓰기는 전처리부(130)에 의해 제어된다.The image memory 132 is, for example, SDRAM (synchronous DRAM), which temporarily stores image data of a captured image. The image memory 132 has a storage capacity capable of storing image data of several images. Reading and writing of the image into the image memory 132 are controlled by the preprocessor 130.

영상 신호 처리부(134)는 전처리부(130)에서 영상 신호를 받아 휘도 신호와 색신호로 변환 처리한다. 또 영상 신호 처리부(134)는 WB 제어값, γ값, 윤곽 강조 제어값 등에 기초하여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134)는 생성한 영상 신호를 전체 신호 처리부·제어부(140)로 보낸다.The image signal processor 134 receives the image signal from the preprocessor 130 and converts the image signal into a luminance signal and a color signal. The video signal processor 134 generates an image processed video signal based on the WB control value, the γ value, the contour enhancement control value, and the like. The video signal processor 134 sends the generated video signal to all the signal processor / controller 140.

전체 신호 처리부·제어부(140)는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장치로서 기능하여 촬상 장치(100) 중 설치된 각 구성 요소의 처리를 제어한다. 전체 신호 처리부·제어부(140)는, 예를 들면 AF 제어부(142)를 끼워 AF 드라이버(144)로 신호를 출력하여 렌즈 블록(104)의 포커스 렌즈를 구동시킨다. 또 전체 신호 처리부·제어부(140)는, 조작부(18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촬상 장 치(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체 신호 처리부·제어부(140)가 하나로만 이루어진 구성이지만, 신호계의 명령과 조작계의 명령을 각각의 CPU에서 수행하는 등 여러 개의 CPU로 구성되어도 좋다.The entire signal processing unit / control unit 140 functions as an arithmetic processing unit and a control unit by a program to control the processing of each component installed in the imaging apparatus 100. The entire signal processing unit / control unit 140 inserts the AF control unit 142 and outputs a signal to the AF driver 144, for example, to drive the focus lens of the lens block 104. Moreover, all the signal processing parts and control parts 140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imaging device 100 based on the signal from the operation part 180. FIG.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whole signal processing part and control part 140 consist of only one, it may be comprised by several CPU, such as performing the command of a signal system and the command of an operation system in each CPU.

AF 제어부(142)는, 포커스 제어 개시 조작 신호를 받으면, 포커스 렌즈를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AF 드라이버(144)에 출력한다. AF 제어부(142)는, 전처리부(130)에서 산출된 AF 평가값에 기초하여 포커스 렌즈의 합초 위치를 산출한다. AF 평가값은, 화상 신호의 휘도 값에 기초하여 전처리부(130)에서 산출된 것이다. AF 평가값은, 예를 들면 화상의 콘트라스트값으로서, 콘트라스트값이 최대가 되었을 때 피사체 상이 촬상 소자(110)의 촬상면(110A)에 합초되어 있다고 판단한다(콘트라스트 검출 방식). 포커스 제어에서는, 촬상 소자(118)로부터의 신호를 사용하여 AF 평가 값을 산출함으로써, 화소 수가 많은 정지영상용 촬상 소자(110)를 사용하여 산출하는 경우에 비해 고속으로 합초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When receiving the focus control start operation signal, the AF control unit 142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moving the focus lens in one direction, and outpu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AF driver 144. The AF control unit 142 calculates the focusing position of the focus lens based on the AF evaluation value calculated by the preprocessor 130. The AF evaluation value is calculated by the preprocessor 130 based on the luminance value of the image signal. The AF evaluation value is, for example, a contrast value of the image, and when the contrast value reaches a maximum,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image is converging on the imaging surface 110A of the imaging device 110 (contrast detection method). In the focus control, by calculating the AF evaluation value using the signal from the imaging element 118, the focusing position can be detected at a higher speed than when calculating using the imaging element 110 for still images having a large number of pixels.

AF 제어부(142)는 산출 결과 얻어진 합초 위치를 제어 신호로서 AF 드라이버(144)에 출력한다. AF 드라이버(144)는, AF 제어부(142)에서 받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AF 드라이버(144)는 생성한 구동 신호를 포커스 렌즈의 구동부에 보낸다.The AF control unit 142 outputs the focusing position obtained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to the AF driver 144 as a control signal. The AF driver 144 generates a drive signal based o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AF control unit 142. The AF driver 144 sends the generated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unit of the focus lens.

센서 유닛 구동부(146)는 구동부의 일례로서, 센서 유닛(116)을 촬상 소자(110)와 포커싱 스크린(107)을 연결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구동한다. 또 센서 유닛 구동부(146)는, 제2 촬영 모드에서는 촬상 소자(110)에 피사체 상이 조사되도록 센서 유닛(116)을 구동하고, 제1 촬영 모드에서는 포커싱 스크린(107)에 피사체 상이 조사되도록 센서 유닛(116)을 구동한다.The sensor unit driver 146 is an example of a driver, and drives the sensor unit 116 i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aging device 110 and the focusing screen 107 are connected. The sensor unit driver 146 drives the sensor unit 116 so that the subject image is irradiated onto the imaging device 110 in the second photographing mode, and the sensor unit so that the subject image is irradiated onto the focusing screen 107 in the first photographing mode. Drive 116.

JPEG 처리부(152)는, 전체 신호 처리부·제어부(14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 예를 들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규격 등의 정지 화상의 부호화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 처리를 한다. 또 메모리 카드(170)에서 공급된 정지 화상의 부호화 데이터에 대해 신장 복호화 처리를 한다.The JPEG processing unit 152 performs compression encoding processing on the video data from the entire signal processing unit / control unit 140 by, for example, a still image coding method such as a JPEG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standard. The decoded decod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coded data of the still picture supplied from the memory card 170.

MPEG 처리부(154)는, 전체 신호 처리부·제어부(140)에서 받은 영상 데이터에 대해, 예를 들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등 동영상의 부호화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 처리를 한다. 또 메모리 카드(170)에서 공급된 동영상의 부호화 데이터에 대해 신장 복호화 처리를 한다. 또 신장 복호화 처리한 영상 신호를 LCD(liquid crystal display)(160)로 출력한다.The MPEG processing unit 154 performs compression encoding processing on the video data received from the entire signal processing unit / control unit 140 by, for example, a moving picture coding method such as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The decoded decod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encoded data of the moving picture supplied from the memory card 170. In addition, the decoded video signal is outpu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LCD) 160.

LCD(160)는, 예를 들면 화상 메모리(132)에서 받은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면에 화상을 표시한다. LCD(160)는,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103)에 마련된다. LCD(160)가 표시하는 화상은, 예를 들면 화상 메모리(132)에서 독출된 촬영 전의 화상(라이브 뷰 표시), 촬상 장치(100)의 각종 설정 화면이나, 촬상하여 기록된 화상 등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부를 LCD(160)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이어도 좋다.The LCD 160 displays an image on the screen, for example, based on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image memory 132. The LCD 160 is provided in the camera main body 103, for example. The images displayed by the LCD 160 are, for example, images before shooting (live view display) read out from the image memory 132, various setting screens of the imaging device 100, images captured and recorded, and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unit is the LCD 16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nd may be, for example, an organic EL display.

메모리 카드(170)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기입, 또는 기록된 화상 데이터나 설정 정보 등의 독출이 이루어진다. 메모리 카드(170)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 반도체 기억 매체 등의 기록매체로서,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기록매체는 메모리 카드(170)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디스크(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등), 광자기 디스크 등이어도 좋다. 메모리 카드(170)는 촬상 장치(100)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The memory card 170 writes image data or reads recorded image data and setting information. The memory card 170 records photographed image data, for example, as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magnetic disk or a semiconductor storage medium. The recording medium is not limited to the memory card 170, and may be an optical disc (CD, DVD, Blu-ray Disc, etc.), a magneto-optical disc, or the like. The memory card 170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imaging device 100.

조작부(180)는, 예를 들면 촬상 장치(100)에 설치된 상하좌우 키, 전원 스위치, 모드 다이얼, 셔터 버튼 등이다. 조작부(180)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조작 신호를 전체 신호 처리부·제어부(140) 등에 보낸다. 예를 들면, 셔터 버튼은 사용자에 의한 반누름(S1 조작), 완전누름(S2 조작), 해제가 가능하다. 셔터 버튼은 반누름 되었을 때 포커스 제어 개시 조작 신호를 출력하고, 반누름 해제로 포커스 제어가 종료된다. 또 셔터 버튼은, 완전누름 되었을 때 촬영 개시 조작 신호를 출력한다.The operation unit 180 is, for example, an up, down, left, right key, power switch, mode dial, shutter button, or the like provided in the imaging device 100. The operation unit 180 sends an operation signal to all the signal processing units,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like based on the operation by the user. For example, the shutter button can be pressed halfway (S1 operation), fully pressed (S2 operation), and released by the user. The shutter button outputs a focus control start operation signal when the shutter button is pressed halfway, and the focus control ends when the shutter button is released halfway. The shutter button also outputs a shooting start operation signal when the shutter button is pressed completely.

나아가 촬상 장치(100)에서의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로 처리해도 좋고 컴퓨터상의 프로그램에 의한 소프트웨어 처리로 실현해도 좋다.Furthermore, a series of processes in the imaging device 100 may be processed by hardware or may be implemented by software processing by a program on a computer.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촬영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imag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정지영상 촬영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촬상 장치(100)는 전원이 ON이 됨과 동시에 제1 촬영 모드가 개시된다. 그리고 센서 유닛(116)에 마련된 포커싱 스크린(107)이 광축상에 위치하도록 센서 유닛 구동부(146)가 센서 유닛(116)을 구동한다. 그 결과, 포커싱 스크린(107) 위에 피사체 상이 결상되어 동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118)는 포커싱 스크린(107) 위의 피사체 상을 촬상한다.First, still image shooting will be described. The power supply is turned ON and the imaging device 100 starts the first photographing mode. The sensor unit driver 146 drives the sensor unit 116 such that the focusing screen 107 provided on the sensor unit 116 is positioned on the optical axis. As a result, the subject image is imaged on the focusing screen 107 so that the image capturing element 118 for moving picture captures the subject image on the focusing screen 107.

다음으로 동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118)를 제어하여 일정 간격으로 노광시켜 화상 데이터를 독출한다. 이 일정 간격은, 예를 들면 1/60초 단위로서 일정 간격으로 독출된 화상을 1프레임이라고 부른다. 1프레임마다의 화상은, 예를 들면 촬상 장치(100)의 배면에 설치된 LCD(160)에 실시간으로 표시된다(라이브 뷰 표시).Next, the image capturing element 118 for moving image shooting is controlled to expose the image data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constant interval is, for example, 1/60 second unit and the image read out at a constant interval is called one frame. An image for each frame is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LCD 16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maging device 100, for example (live view display).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셔터 버튼이 반누름 조작(S1 조작)됨으로써 포커스 제어 동작이 개시된다. 포커스 제어에서는 포커스 렌즈가, 예를 들면 무한원 촬영 거리시의 위치에서 최단 촬영 거리시의 위치까지(또는 반대 방향에서) 구동하면서 전처리부(130)가 AF 평가값을 산출한다.Next, the focus control operation is started by the user pressing the shutter button halfway (S1 operation) by the user. In the focus control, the preprocessing unit 130 calculates the AF evaluation value while the focus lens is driven from the position at the infinite shooting distance to the position at the shortest shooting distance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포커스 제어가 개시되면, 동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118)의 제어와 연동하여 포커스 렌즈가 일정 속도로 구동된다. 그리고 촬상 소자(118)에 피사체 상이 노광되면서 촬상 소자(118)에서 독출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트라스트값(AF 평가값)이 산출되어 샘플링된다. 샘플링 후, AF 평가값의 피크가 검출되었는지 판단된다. 피크가 여러 개 검출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촬상 장치(100)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피사체를 주피사체로 판정한다. 한편, AF 평가값의 피크가 검출되지 않는 피사체의 경우(예를 들면, 피사체에 콘트라스트 변화가 적은 경우 등), 포커스 제어를 종료한다.When the focus control is started, the focus lens is driven at a constant speed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f the image capturing device 118. The contrast value (AF evaluation value) is calculated and sampled based on the image data read out from the imaging element 118 while the subject image is exposed to the imaging element 118. After sampling,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eak of the AF evaluation value is detected. When several peaks are detected, for example, the subject at the position closest to the imaging device 100 is determined as the main subjec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ubject in which the peak of the AF evaluation value is not detected (for example, when there is little contrast change in the subject), the focus control ends.

AF 평가값의 피크가 검출된 경우, 최대의 AF 평가값(피크값)에 대응하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최종적인 합초 위치로서 산출한다. 예를 들면, 샘플링에 의해 얻어지는 AF 평가값은 이산적으로 취득되기 때문에 대응하는 포커스 렌즈 위치를 합초 위치로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합초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해 피크 및 피크 전후의 AF 평가값을 추출하고, 이들 AF 평가값을 사용하여 보간 계산을 할 수도 있다. 보간 계산에 의해 최종적인 합초 위치가 산출된다. 그 후, AF 제어부(142)는 산출된 합초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구동한다. 이상에 의해 포커스 제어 일련의 동작이 완료된다.When the peak of the AF evaluation value is detected,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AF evaluation value (peak value) is calculated as the final focusing position. For example, since the AF evaluation value obtained by sampling is acquired discretely, the corresponding focus lens position can be determined as the focusing position. Optionally, in order to more accurately calculate the focal position, the peaks and AF evaluation values before and after the peaks may be extracted, and the AF evaluation values may be used for interpolation calculation. Final interpolation position is calculated by interpolation calculation. After that, the AF control unit 142 drives the focus lens to the calculated focusing position. This completes the focus control series of operations.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셔터 버튼이 완전누름(S2 조작)됨으로써 본 촬영이 수행된다. 우선, 포컬 플레인 셔터(109)가 완전 닫힘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2 촬영 모드가 개시되어 센서 유닛(116)에 마련된 정지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110)가 광축상에 위치하도록 센서 유닛 구동부(146)가 센서 유닛(116)을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포커스 제어에 의해 얻어진 합초 위치나 노광 제어에 의해 얻어진 노광값 등에 기초하여 촬상 소자(110)가 노광된다. 그리고 촬상 소자(110)에서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화상 처리가 이루어지고,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가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170)에 기록된다. 이상에 의해 정지영상의 본 촬영이 완료된다.Next, this shooting is performed by the user pressing the shutter button completely (S2 operation). First, the focal plane shutter 109 is in a completely closed state. Then, the second photographing mode is started, and the sensor unit driver 146 drives the sensor unit 116 so that the still image photographing element 110 provided in the sensor unit 116 is positioned on the optical axis. The imaging element 110 is exposed based on the focusing position obtained by the focus control, the exposure value obtained by the exposure control, and the like. Each image process is performed based on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ing element 110, and the image data after the process is recorded in the memory card 170, for example. This completes the main shooting of the still image.

다음으로 동영상 촬영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촬상 장치(100)는 전원이 ON이 됨과 동시에 제1 촬영 모드가 개시된다. 그리고 센서 유닛(116)에 마련된 포커싱 스크린(107)이 광축 상에 위치하도록 센서 유닛 구동부(146)가 센서 유닛(116)을 구동한다. 그 결과, 포커싱 스크린(107) 위에 피사체 상이 결상되고, 동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118)는 포커싱 스크린(107) 위의 피사체 상을 촬상한다.Next, video recording will be described. The power supply is turned ON and the imaging device 100 starts the first photographing mode. The sensor unit driver 146 drives the sensor unit 116 such that the focusing screen 107 provided on the sensor unit 116 is positioned on the optical axis. As a result, the subject image is imaged on the focusing screen 107, and the image capturing element 118 captures an image of the subject on the focusing screen 107.

다음으로 동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118)를 제어하여 일정 간격으로 노광시켜 화상 데이터를 독출한다. 1프레임마다의 화상은, 예를 들면 촬상 장치(100)의 배면에 설치된 LCD(160)에 실시간으로 표시된다(라이브 뷰 표시).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버튼이 눌러짐으로써 동영상의 본 촬영이 수행된다.Next, the image capturing element 118 for moving image shooting is controlled to expose the image data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 image for each frame is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LCD 16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maging device 100, for example (live view display). Next, the main shooting of the moving picture is performed by pressing the button by the user.

우선, 계속해서 센서 유닛(116)에 마련된 포커싱 스크린(107)이 광축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촬상 소자(118)가 노광된다. 그리고 촬상 소자(118)에서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화상 처리가 수행되고,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가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170)에 기록된다. 그 후, 다시 사용자에 의해 버튼이 압압됨으로써 동영상의 본 촬영이 완료된다.First, the imaging element 118 is exposed while the focusing screen 107 provided on the sensor unit 116 is located on the optical axis. Then, each image process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ing element 118, and the image data after the processing is recorded in the memory card 170, for example. After that, the button is pressed again by the user to complete the main shooting of the video.

이상에 의하면, 본 실시형태의 촬상 장치(100)는 구동 가능한 센서 유닛(116)에 마련된 정지영상용 촬상 소자(110)와 동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118)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2 촬영 모드에서는, 광축상에 촬상 소자(110)가 위치하도록 센서 유닛(116)을 이동시킴으로써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 제1 촬영 모드에서는, 광축상으로 포커싱 스크린(107)이 이동하도록 센서 유닛(116)을 이동시켜 촬상 소자(118)를 노광시킴으로써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he imaging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still image pick-up element 110 and the video image pick-up element 118 provided in the sensor unit 116 which can be driven. In the second photographing mode, the still image can be captured by moving the sensor unit 116 such that the imaging device 110 is positioned on the optical axis. In the first imaging mode, the moving image can be captured by moving the sensor unit 116 to expose the imaging element 118 so that the focusing screen 107 moves on the optical axis.

본 실시형태의 촬상 장치(100)는 광학식 파인더를 구비하지 않고 LCD(160)에 라이브 뷰 표시가 가능하므로 미러나 빔 스프리터 등의 광경로를 전환하는 부재가 불필요하다. 또 정지영상 촬영과 동영상 촬영 각각에 적합한 촬상 소자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정지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로 화상 처리를 하지 않고, 예를 들면 라이브 뷰 표시, 고속 AF, 동영상 촬영에 적합한 데이터를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Since the imag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display live view on the LCD 160 without providing an optical finder, a member for switching optical paths such as a mirror and a beam splitter is unnecessary. In addition, since an image pickup device suitable for each of still image shooting and moving picture shooting is provided, data suitable for live view display, high-speed AF, and moving picture shooting can be easily obtained without performing image processing with the still image shooting image pickup device.

예를 들면, 화소수가 많은 정지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로부터 라이브 뷰용 작은 화상을 픽업할 경우, 이전 화소의 데이터를 픽업하는 것이라면 표시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일부 데이터를 픽업하는 것이라면, 화소 데이터를 건너뛰고 읽는 등의 처리가 필요하여 화질이 열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 본 실 시형태에 의하면, 동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로 라이브 뷰 표시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a small image for live view is picked up from a still image photographing image pickup device having a large number of pixels, there is a problem that display takes time when picking up data of a previous pixel. In addition, in the case of picking up some data,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age quality is deteriorated due to the processing such as skipping and reading the pixel data.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live view display can be perform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for moving picture, the conventional problem does not occur.

또 콘트라스트 방식의 포커스 제어를 할 경우, 화소수가 많은 정지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를 사용하면, 촬상 소자로부터의 독출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합초 위치 검출까지의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동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로 포커스 제어를 실행할 수 있어 고속 독출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trast type focus control, when the image pickup device for still image shooting having a large number of pixels is used, the reading speed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is slow, so that it takes time to detect the focusing position.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focus control can be executed by the moving image photographing element and the high speed reading is possible, the conventional problem does not occur.

또 정지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를 사용하여 동영상 촬영을 할 경우, 정지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는 동영상의 화소수, 해상도와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동영상 데이터를 얻기 위한 화상 처리를 할 필요가 있었다. 또 정지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로부터의 독출 속도가, 동영상용 프레임 레이트(예를 들면 60fps)와 타이밍이 맞지 않아 필요한 프레임 레이트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정지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얻기 위한 화상 처리를 하면, 화질이 열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동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상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hooting a moving picture using an image pickup device for still image shooting, the image pickup device for still image shooting is not suitable for the number of pixels and the resolution of the moving pictur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ad speed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for still image shooting does not match the timing of a video frame rate (for example, 60 fps), so that a required frame rate cannot be obtain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mage quality deteriorates when image processing for obtaining moving image data is performed based on data from an image pickup device for still image shooting.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imaging element for moving picture photography was provided, the said problem does not arise.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생각해낼 수 있는 것은 명백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n accompanying drawing,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and of course thos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o belong.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센서 유닛(116)이 판형 부재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촬상 소자(110)와 포커싱 스크린(107)을 지지할 수 있다면 다른 형상 또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sensor unit 116 is a plate member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For example, as long as it can support the imaging element 110 and the focusing screen 107, it may have a different shape or structure.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서 센서 유닛(116)이 카메라 본체(103)의 상하 방향으로 가동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 유닛(216) 위에 포커싱 스크린(107)과 촬상 소자(110)를 카메라 본체(103)의 좌우 방향에 배치해도 좋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촬상 장치(100)의 센서 유닛(216)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 때, 센서 유닛(216)은 카메라 본체(103)의 좌우 방향으로 가동한다. 이 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의 센서 유닛(116)의 경우에 비해 센서 유닛(216)의 이동 거리가 길어지지만, 카메라 본체(103)의 상하 방향(높이 방향)의 치수를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sensor unit 116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amera body 103 in Figs. 1 and 2 i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focusing screen 107 and the imaging device 110 may be disposed on the sensor unit 216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amera body 103. 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sensor unit 216 of the imag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t this time, the sensor unit 216 moves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camera main body 103. In this example, although the moving distance of the sensor unit 216 becomes longer than the case of the sensor unit 116 of the said embodiment, the dimension of the up-down direction (height direction) of the camera main body 103 can be suppressed.

또한 센서 유닛(116),(216)에서의 촬상 소자(110), 포커싱 스크린(107)의 위치 관계는, 도 3이나 도 6에서 도시한 예와 상하 반대, 또는 좌우 반대여도 좋다.In additi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ing element 110 and the focusing screen 107 in the sensor units 116 and 216 may be upside down or opposite to the example shown in FIG. 3 or FIG. 6.

그 밖에 카메라 본체(103)의 형상에 맞추어 센서 유닛상의 촬상 소자와 포커싱 스크린은 카메라 본체(103)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진 위치 관계(경사 방향)로 배치되어도 좋다.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camera main body 103, the imaging element on the sensor unit and the focusing screen may be arranged in a positional relationship (tilt dir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amera main body 103.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센서 유닛(116),(216)을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소자(110)나 포커싱 스크린(107)에 붙은 먼지를 제 거하는 수단을 가진 촬상 장치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먼지를 흔들어 떨어뜨리는 진동을 센서 유닛(116,216)에 주어도 좋고, 센서 유닛(116,216) 표면의 먼지를 털어내는 브러시 부재를 설치해도 좋다.Moreo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ensor units 116 and 216 can be moved to an up-down or left-right direction. Therefore, the imaging device having a means for removing the dust adhering to the imaging element 110 or the focusing screen 107 can be easily configured. For example, vibration to shake off the dust may be applied to the sensor units 116 and 216, or a brush member may be provided to shake off the dust on the surface of the sensor units 116 and 216.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센서 유닛(116,216)은 한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단을 더 가져도 좋다. 이로써 촬영시의 손떨림 보정과 겸용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Moreover, although the case where the sensor units 116 and 216 of this embodiment moved only in one direction was demonstrated, you may further have a means which can move in two directions. Thereby, the imaging device which can combine with the camera shake correction at the time of imaging | photography can be comprised easily.

또 센서 유닛(116,216)은 카메라 본체(103)에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카메라 본체(103)에서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하기가 용이하다. 따라서, 앞으로 정지영상 촬영용 촬상 소자(110)가 보다 고성능, 고 화소화 된 경우에도 촬상 소자(110)를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본체(103)를 새로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로서 큰 장점이 있다.Moreover, since the sensor units 116 and 216 are not fixed to the camera main body 103, it is easy to set it as the structure which can be attached or detached from the camera main body 103. FIG. Therefore, the imaging device 110 can be replaced even when the imaging device 110 for capturing still images is higher in performance and higher in pixel in the future. Therefore, since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camera body 103 newly, there is a great advantage as a user.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which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clud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not in the above description but in the claims,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동 실시예의 촬상 장치의 센서 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showing a sensor unit of the imaging device of the embodiment.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절단면을 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A-A of FIG.

도 5는 동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를 도시한 블록 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mage pickup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6은 동 실시예의 촬상 장치의 센서 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showing a sensor unit of the imaging device of the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촬상 장치100 imaging device

102 렌즈 본체102 Lens Body

103 카메라 본체103 Camera Body

104 렌즈 블록104 lens block

107 포커싱 스크린107 focusing screen

107A 결상면107A imaging plane

109 포컬 플레인 셔터109 focal plane shutter

110,118 촬상 소자110,118 imaging device

110A 촬상면110A imaging plane

116,216 센서 유닛116,216 sensor unit

116A 개구부116A opening

117 렌즈117 lenses

130 전처리부130 pretreatment unit

132 화상 메모리132 picture memory

134 영상 신호 처리부134 Video signal processor

140 전체 신호 처리부·제어부140 whole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unit

142 AF 제어부142 AF Control

144 AF 드라이버144 AF driver

146 센서 유닛 구동부146 Sensor Unit Driver

152 JPEG 처리부152 JPEG processing unit

154 MPEG 처리부154 MPEG processing unit

160 LCD160 LCD

170 메모리 카드170 memory cards

180 조작부180 control panel

Claims (5)

광축 상에 고정 배치되어 제1 촬영 모드시에 제1 촬상면에 조사된 피사체 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촬상 소자;A first imaging device fixedly disposed on an optical axis and converting a subject image irradiated on the first imaging surface into an electrical signal in a first imaging mode; 제2 촬영 모드시에 상기 광축 상 및 상기 제1 촬상 소자에서 피사체 쪽에 배치되어 제2 촬상면에 조사된 피사체 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2 촬상 소자;A second imaging device which is arranged on the optical axis and the first imaging device toward the subject in the second photographing mode, and converts the subject image illuminated on the second imaging surface into an electrical signal; 상기 제1 촬영 모드시에 상기 광축 상 및 상기 제1 촬상 소자에서 피사체 쪽에 배치되어 피사체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피사체에서 상기 제2 촬상면까지의 거리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설치된, 피사체 상이 결상되는 결상면을 가지고, 결상된 상기 피사체 상을 투과시켜 상기 제1 촬상면에 상기 피사체 상을 조사하는 포커싱 스크린;An imaging plane in which the subject image is imaged, disposed in the optical axis image and in the first imaging device on the subject side, and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from the subject is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subject to the second imaging surface in the first photographing mode. A focusing screen that transmits the formed image of the subject and irradiates the subject image onto the first imaging surface; 상기 제2 촬상 소자와 상기 포커싱 스크린을 상기 광축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second imaging device and the focusing scree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제2 촬영 모드에서는 상기 제2 촬상 소자가 상기 광축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구동하고, 제1 촬영 모드에서는 상기 포커싱 스크린이 상기 광축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In the second imaging mode, the image pickup device includes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support member such that the second imaging device is disposed on the optical axis, and in the first imaging mode, the driving unit drives the support member such that the focusing screen is disposed on the optical axis.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촬상 소자의 제1 촬상면은, The first imaging surface of the first imaging device, 상기 제2 촬상 소자의 제2 촬상면에 비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 치.An ima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narrower than the second imaging surface of the second imaging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지지부재에는, The support member, 상기 제2 촬상 소자와 상기 포커싱 스크린이 서로 인접하여 상기 제2 촬상면과 상기 결상면이 동일 기준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and the focusing screen are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imaging plane and the imaging plane are located on the same reference plan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정지영상 촬영을 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동영상 촬영을 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The second photographing mode is a mode for photographing still images, and the first photographing mode is a mode for photographing a video. 제2 촬상 소자와 포커싱 스크린을 광축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고, 제1 촬상 소자에서 피사체 쪽에 배치된 지지부재를, 제2 촬영 모드에서 상기 제2 촬상 소자가 상기 광축 상에 배치되도록 구동하는 단계;Supporting the second imaging device and the focusing scree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driving the support member disposed on the subject side in the first imaging device such that the second imaging device is arranged on the optical axis in a second imaging mode; step; 제2 촬영 모드에서 상기 제2 촬상 소자가, 제2 촬상면에 조사된 피사체 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Converting, by the second imaging device, a subject image irradiated on a second imaging surface into an electrical signal in a second imaging mode; 상기 지지부재를, 제1 촬영 모드에서 상기 포커싱 스크린이 상기 광축 상에 배치되도록 구동하는 단계;Driving the support member such that the focusing screen is disposed on the optical axis in a first imaging mode; 상기 제1 촬영 모드에서 피사체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피사체에서 상기 제2 촬상면까지로 동일해지는 거리에 위치하는 결상면을 가진 포커싱 스크린이, 상기 결상면에 결상된 피사체 상을 투과시켜 상기 제1 촬상 소자의 제1 촬상면에 상기 피사체 상을 조사하는 단계; 및A focusing screen having an imaging surface positioned at a distance at which the distance from the subject is equal to the second imaging surface from the subject in the first photographing mode is transmitted through the subject image formed on the imaging surface to pass the first imaging device. Irradiating the subject image on a first imaging surface of the camera; And 제1 촬영 모드에서 상기 제1 촬상 소자가, 상기 제1 촬상면에 조사된 상기 피사체 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가진 촬상 방법.And the first imaging device converts the subject image irradiated to the first imaging surface into an electrical signal in a first imaging mode.
KR1020090031926A 2008-08-29 2009-04-13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56102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22614 2008-08-29
JP2008222614A JP5047907B2 (en) 2008-08-29 2008-08-29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959A true KR20100026959A (en) 2010-03-10
KR101561027B1 KR101561027B1 (en) 2015-10-16

Family

ID=42072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926A KR101561027B1 (en) 2008-08-29 2009-04-13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047907B2 (en)
KR (1) KR101561027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3707A (en) 2005-01-21 2006-08-03 Olympus Imaging Corp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apparatus
JP2006287532A (en) 2005-03-31 2006-10-19 Sharp Corp Imaging apparatus
JP2007074395A (en) 2005-09-07 2007-03-22 Olympus Imaging Corp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027B1 (en) 2015-10-16
JP2010057125A (en) 2010-03-11
JP5047907B2 (en)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8830B2 (en) Imaging device
JP2004264832A (en) Imaging apparatus and lens arrangement
JP2008276017A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CN1838732A (en) Imaging apparatus
JP4764712B2 (en) Digital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6162991A (en)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JP2005092081A (en) Automatic focusing method and automatic focusing camera
JP2009124313A (en) Electronic camera
JP4040638B2 (en) Imaging device
JP2007316401A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control method
KR20110055241A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7110636A (en) Camera apparatus
JP2000224458A (en) Electronic camera
JP2006246224A (en) Imaging apparatus
JP4285860B2 (en) Electronic camera
JP4464006B2 (en) Imaging apparatus and exposure method
JP2010068241A (en) Image sensor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KR101561027B1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00065788A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method
JP2009094741A (e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program
JP4143622B2 (en) Imaging device
JP4047687B2 (en) Digital camera
JP4591063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JP2003348434A (en) Image pickup unit
JP4159557B2 (en) Electronic still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