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779A - 영상의 역양자화 방법 및 장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의 역양자화 방법 및 장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779A
KR20100026779A KR1020080085915A KR20080085915A KR20100026779A KR 20100026779 A KR20100026779 A KR 20100026779A KR 1020080085915 A KR1020080085915 A KR 1020080085915A KR 20080085915 A KR20080085915 A KR 20080085915A KR 20100026779 A KR20100026779 A KR 20100026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ization
value
coefficient
inverse
quantization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8237B1 (ko
Inventor
엘레나 알쉬나
알렉산더 알쉰
예카테리나 네스테로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5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237B1/ko
Priority to MX2011001627A priority patent/MX2011001627A/es
Priority to PCT/KR2009/004834 priority patent/WO2010024622A2/en
Priority to JP2011524907A priority patent/JP2012501569A/ja
Priority to EP09810227A priority patent/EP2319242A4/en
Priority to CN2009801342554A priority patent/CN102138326B/zh
Priority to US12/551,750 priority patent/US8396314B2/en
Publication of KR20100026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04N19/126Details of normalisation or weighting functions, e.g. normalisation matrices or variable uniform quan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4Measured or subjectively estimated visual quality after decoding, e.g. measurement of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양자화 계수를 역양자화한 역양자화 계수의 값과 변환 계수의 오리지널 값의 차이인 양자화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한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이용하여 양자화 스텝을 보정한 다음, 보정된 양자화 스텝을 이용하여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역양자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영상의 역양자화 방법 및 장치, 복호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verse quantiza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of image}
본 발명은 영상의 역양자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상의 복호화시에 양자화 에러를 감소시키는 영상의 역양자화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영상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H.26X 등의 비디오 압축 표준 규격은 공통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예측 단계, 변환 단계, 양자화 단계 및 부호화 단계를 거쳐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
예측 단계에서는 영상의 공간적 상관 관계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또는 시간적 상관 관계를 이용한 인터 예측을 통해 부호화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의 예측 영상을 형성한다.
변환 단계에서는 예측 단계에서 형성된 예측 영상과 원 영상의 차이값인 오차 데이터를 다양한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 변환 영역(transform domain)으로 변환한다. 대표적인 변환 기법의 예로 이산 코사인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웨이블렛 변환(Wavelet Transform) 등이 있다.
양자화 단계에서는 변환 단계를 거쳐서 생성된 변환 계수들을 타겟 비트스트림의 크기에 따라서 적절히 손실 압축시킨다. 손실 압축에 기반한 대다수의 표준 이미지 및 비디오 코덱들은 양자화 스텝(quantization step)에 따른 양자화 과정 및 역양자화 과정을 수행한다. 양자화 과정은 입력값을 양자화 스텝으로 나눈 후 정수화함으로써 양자화된 값을 얻는다. 양자화된 값은 입력값이 갖는 원래 범위에서 (1/양자화 스텝) 만큼의 범위 내의 정수값이 되므로, 양자화 과정을 통해 정보량이 손실압축된다. 모든 손실 압축 기술은 양자화 단계를 포함하므로 원래 데이터의 완벽한 복원이 불가능하지만 압축률을 높일 수 있다.
양자화가 적용되어 부호화된 영상을 복호화할 때 역양자화 단계에서 양자화된 값에 양자화 스텝을 곱하여 역양자화를 수행하는데, 양자화된 값은 원래 값이 갖는 범위에서 (1/양자화 스텝) 만큼의 범위 내의 정수값이 되므로 역양자화된 값과 원래 값 사이에는 양자화 에러라고 불리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영상의 역양자화 과정을 개선함으로써 역양자화를 통해 복원된 값과 원래 값과의 차이, 즉 양자화 에러를 감소시키는 영상의 역양자화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영상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역양자화 방법은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변환 계수를 양자화한 양자화 계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양자화 계수를 역양자화한 역양자화 계수의 값과 상기 변환 계수의 오리지널 값의 차이인 양자화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한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 계수의 역양자화를 위한 제 1 양자화 스텝값을 보정한 제 2 양자화 스텝값을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 계수에 대한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역양자화 장치는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양자화 계수를 역양자화한 역양자화 계수의 값과 상기 변환 계수의 오리지널 값의 차이인 양자화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한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결정하는 양자화 스텝 보정값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 계수의 역양자화를 위한 제 1 양자화 스텝값을 보정한 제 2 양자화 스텝값을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 계수에 대한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역양자화 수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복호화 방법은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에 대한 엔트로피 복호화를 수행하여 텍스쳐 데이터의 예측 모드 정보 및 양자화 계수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양자화 계수를 역양자화한 역양자화 계수의 값과 변환 계수의 오리지널 값의 차이인 양자화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한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 계수의 역양자화를 위한 제 1 양자화 스텝값을 보정한 제 2 양자화 스텝값을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 계수에 대한 역양자화를 수행하여 변환 계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변환 계수에 대한 역변환을 수행하여 레지듀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예측 모드 정보에 따른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데이터와 상기 레지듀얼을 가산하여 상기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복호화 장치는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에 대한 엔트로피 복호화를 수행하여 텍스쳐 데이터의 예측 모드 정보 및 양자화 계수값을 추출하는 엔트로피 복호화부; 상기 양자화 계수를 역양자화한 역양자화 계수의 값과 변환 계수의 오리지널 값의 차이인 양자화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한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결정하는 양자화 스텝 보정값 결정부; 상기 결정된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 계수의 역양자화를 위한 제 1 양자화 스텝값을 보정한 제 2 양자화 스텝값을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 계수에 대한 역양자화를 수행하여 변환 계수를 생성하는 역양자화 수행부; 상기 변환 계수에 대한 역변환을 수행하여 레지듀얼을 생성하는 역변환부; 상기 예측 모드 정보에 따른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데이터를 생성하는 예측부; 및 상기 예측 데이터와 상기 레지듀얼을 가산하여 상기 영상을 복원하는 가산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움직임 추정부(102), 움직임 보상부(104), 인트라 예측부(130), 감산부(107), 변환부(108), 양자화부(110), 재정렬부(112), 엔트로피 코딩부(114), 역양자화부(116), 역변환부(118), 가산부(119), 필터(120) 및 프레임 메모리(122)를 포함한다.
움직임 추정부(102) 및 움직임 보상부(104)는 프레임 메모리(122)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을 이용하여 움직임 추정 및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인터 예측된 블록을 생성한다. 인트라 예측부(130)는 현재 입력 블록의 예측 블록을 현재 프레임 내에서 찾는 인트라 예측을 수행한다.
인터 예측 또는 인트라 예측이 수행되어 현재 블록이 참조할 예측 블록이 생성되면, 감산부(107)는 현재 블록으로부터 예측 블록을 빼서 레지듀얼을 생성한다.
변환부(108)는 공간적 상관성을 제거하기 위해 레지듀얼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여 변환 계수를 출력한다. 양자화부(110)는 변환 계수에 대해 양자화를 수행하여 압축을 수행한다(이하 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양자화 계수"라고 함) 일 예로, H.264/AVC(Advanced Video Coding)에 따른 양자화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다.
Q_Coeff=sgn(Coeff)*round[(Coeff)/Q_Step + Offset]
여기서, Coeff는 원 변환 계수, Offset은 오프셋, Q_Step은 양자화 스텝(quantization step), Q_Coeff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나타내며, 라운드(round)는 괄호([])안의 실수값을 실수값보다 크기 않으면서 실수값과 가장 가까운 정수로 매칭시키는 연산을 의미한다. 또한, sgn(Coeff) 함수는 괄호 안의 Coeff 값이 0보다 큰 경우 1의 값을 갖고, Coeff 값이 0보다 작은 경우 -1의 값을 갖는 함수이다. 오프셋(Offset)은 0~1 사이의 실수값으로 부호화기와 복호화기에서 동일한 값을 갖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양자화부(110)는 변환 계수를 소정의 양자화 스텝(Q_Step)로 나누어 줌으로써 양자화를 수행하여 양자화 계수를 출력한다. 양자화 스텝(Q_Step)은 영상 압축 표준안에 따라서 양자화 파라미터(Quantization Parameter:QP)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을 갖을 수 있다. 예를 들어, H.264/AVC에서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양자화 파라미터(QP)에 의해 미리 정해진 양자화 스텝(Q_Step)을 갖는다.
QP 0 1 2 3 4 5 6 7 8 9 10 ...
Q_Step 0.625 0.6875 0.8125 0.875 1 1.125 1.25 1.375 1.625 1.75 2 ...
QP ... 18 ... 24 ... 30 ... 36 ... 42 ... 48
Q_Step 5 10 20 40 80 160
도 2는 양자화 파라미터(QP)와 양자화 스텝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양자화 파라미터(QP)는 양자화 스텝(Q_Step)과 비례 관계를 갖는다. 예를 들어, H.264/AVC에서는 전술한 표 1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자화 파라미터(QP)가 6 증가할 때마다 양자화 스텝(Q_Step)이 2배씩 증가한다. 이와 같이 양자화부(110)는 양자화 파라미터(QP)에 의해서 정해지는 양자화 스텝을 이용하여 양자화를 수행한다.
양자화 계수는 재정렬부(112)에서 소정의 순서로 재배열된 다음 엔트로피 코딩부(114)에 의하여 엔트로피 부호화되어 비트스트림이 생성된다.
B 픽처 또는 P 픽처의 예측에 이용되는 참조 픽처를 얻기 위하여 양자화된 픽처는 역양자화부(116)와 역변환부(118)를 통해 복원된다. 여기서 역양자화부(116)는 후술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역양자화 장치가 적용될 수도 있고 일반적인 종래 기술의 역양자화 장치가 적용될 수도 있다. 복원된 픽처는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필터(120)를 거친 후, 프레임 메모리(122)에 저장되었다가 다음 픽처의 참조 픽처로 이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300)은 엔트로피 디코더(310), 재정렬부(320), 역양자화부(330), 역변환부(340), 움직임 보상부(350), 인트라 예측부(360) 및 필터(370)를 구비한다.
엔트로피 디코더(310) 및 재정렬부(320)는 압축된 비트스트림을 수신하고 엔트로피 복호화를 수행하여 텍스쳐 데이터의 예측 모드 정보 및 양자화 계수를 추출한다.
역양자화부(330)는 양자화 계수에 대한 역양자화를 수행하여 변환 계수를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역양자화부(33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양자화 계수를 역양자화한 계수(이하 "역양자화 계수"라고 함)의 값과 변환 계수의 오리지널 값의 차이인 양자화 에러를 감소시키도록 양자화 스텝값을 보정하고 보정된 양자화 스텝을 이용한 역양자화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Coeff를 원 변환 계수, Q_Step은 양자화 스텝, Q_Coeff는 양자화 계수, InverseQ_Coeff는 역양자화 계수, Offset은 오프셋, 라운드(round)는 괄호([])안의 실수값을 그 실수값보다 크지않은 가장 가까운 정수로 매칭시키는 연산이라고 가정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양자화 계수(Q_Coeff)에 양자화 스텝(Q_Step)을 곱한 후 소정의 오프셋을 더한 값을 이용하여 역양자화가 수행된다.
InverseQ_Coeff=sgn(Q_coeff)*round[Q_Coeff*Q_Step + Offset]
역양자화 계수(InverseQ_Coeff)는 양자화 과정 시에 라운드 연산 등으로 인해 원래의 값(Coeff)과 차이가 발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역양자화 계수(InverseQ_Coeff)와 원 변환계수(Coeff) 사이의 차이를 양자화 에러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원 변환 계수(Coeff)가 26, 양자화 스텝(Q_Step)을 4, 오프셋(Offset)을 1/3이라고 하면, 전술한 수학식 1을 통해 원 변환 계수(Coeff)의 값인 26은 round[26/4+1/3]≒round[6.83]=6로 양자화된다. 즉, 이 경우 양자화 계수(Q_Coeff)는 6의 값을 갖는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술한 수학식 2를 적용하여 양자화 계수 6에 대한 역양자화를 수행해보면 round[6*4+1/3]≒round[24.33]=24로서 역양자화 계수(InverseQ_Coeff)는 24의 값을 갖는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26의 값을 양자화한 후 복원한 값이 24로서 2의 양자화 에러값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역양자화부(330)는 이러한 원래 값과 양자화 및 역양자화를 통해 복원된 값 사이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 양자화 스텝값을 보정하고 보정된 양자화 스텝을 이용한 역양자화를 수행한다.
도 4는 도 3의 역양자화부(330)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역양자화부(330)는 양자화 스텝 보정값 결정부(332) 및 역양자화 수행부(334)를 포함한다.
양자화 스텝 보정값 결정부(332)는 역양자화 계수의 값과 변환 계수의 오리지널 값의 차이인 양자화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한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양자화 스텝 보정값 결정부(332)는 복원된 변환 계수, 즉 역양자화 계수와 양자화 에러 사이의 선형성을 추정하여, 양자화 파라미터(QP)에 따라 정해진 제 1 양자화 스텝값에 곱하여지는 가중치인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결정한다.
도 5는 복원된 변환 계수와 양자화 에러 사이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참조도이다. 도 5에서, x축은 양자화 에러, 즉 복원된 변환 계수와 원래의 변환 계수 사이의 차이값을 나타내며, y축은 복원된 변환 계수값을 나타낸다. 도면 부호 520은 영상에 대한 부호화시에 복원된 변환 계수와 원래의 변환 계수 사이의 실제 차이값, 즉 실제 양자화 에러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원된 변환 계수와 양자화 에러 사이에는 전체적으로 비례 관계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즉, 복원된 변환 계수의 값이 클수록 양자화 에러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원된 변환 계수와 양자화 에러 사이의 관계를 도면 부호 510으로 도시된 직선과 같이 선형적으로 추정하고, 이러한 선형성을 나타내는 소정의 가중치, 즉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양자화 스텝에 적용함으로써 양자화 에러를 감소시킨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양자화 파라미터(QP)에 따라 양자화 계수의 역양자화를 위해 미리 설정된 제 1 양자화 스텝을 Q_Step,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Wt라고 할 때, 양자화 스텝 보정값 결정부(332)는 다음의 수학식 3를 통해 계산된 제 2 양자화 스텝(Q_Step')을 양자화 계수의 역양자화를 위한 최종 양자화 스텝으로 결정한다.
Q_Step'=Q_Step*Wt
여기서 양자화 스텝 보정값(Wt)은 1.03~1.04의 범위의 실수값 중 하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양자화 수행부(334)는 결정된 제 2 양자화 스텝(Q_Step')을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양자화 계수(Q_Coeff)에 대한 역양자화를 수행하여 역양자화 계수(InverseQ_Coeff)를 출력한다.
InverseQ_Coeff=sgn(Q_coeff)*round[Q_Coeff*Q_Step' + Offset]
전술한 예에서 원 변환 계수(Coeff)가 26, 양자화 스텝(Q_Step)을 4, 오프셋(Offset)을 1/3이라고 할 때, 양자화 계수(Q_Coeff)는 6의 값을 갖으며, 종래 기술에 따른 수학식 2를 적용하여 양자화 계수 6에 대한 역양자화를 수행해보면 역양자화 계수(InverseQ_Coeff)는 24의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경우, 적용될 양자 화 스텝 보정값(Wt)을 1.04라고 하면, 수학식 3을 통해 원래의 제 1 양자화 스텝(Q_Step)의 값 4는 4*1.04=4.16의 값을 갖는 제 2 양자화 스텝(Q_Step')으로 보정된다. 역양자화 수행부(334)는 보정된 제 2 양자화 스텝(Q_Step')의 값인 4.16을 수학식 4에 적용하여 역양자화를 수행하여 round[6*4.16+1/3]=25의 값을 역양자화 계수(InverseQ_Coeff)를 출력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해보면, 종래 기술에 따른 역양자화시에는 양자화 에러가 2의 값을 갖지만, 본 발명에 따라서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경우 양자화 에러가 1의 값으로 줄어든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양자화 에러를 감소시킴으로써 영상의 전체 압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역변환부(340)는 역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에 대한 역변환을 수행하여 레지듀얼을 생성한다. 움직임 보상부(350) 및 인트라 예측부(360)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예측 모드 정보에 따라서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 가산부(365)는 레지듀얼과 예측 블록을 더하여 현재 블록을 복호화한다. 복원된 블록은 필터(370)를 거쳐 미도시된 저장부에 저장되고, 다음 픽처의 복호화시에 참조 데이터로서 이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역양자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10에서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변환 계수를 양자화한 양자화 계수를 추출한다.
단계 620에서 양자화 계수를 역양자화한 역양자화 계수의 값과 변환 계수의 오리지널 값의 차이인 양자화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한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양자화 스텝 보정값(Wt)은 양자화 파라미터(QP)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제 1 양자화 스텝(Q_Step)에 곱하여지는 가중치로서 복원된 변환 계수와 양자화 에러 사이의 관계를 선형화하여 적절한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양자화 스텝 보정값은 1.03~1.04의 범위의 실수값을 갖는 것이 다양한 영상 특성에 따른 양자화 에러를 감소시키기에 바람직하다.
단계 630에서, 결정된 양자화 스텝 보정값(Wt)을 이용하여 제 1 양자화 스텝(Q_Step)을 보정하여 제 2 양자화 스텝값(Q_step')을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양자화 스텝값(Q_Step')은 제 1 양자화 스텝(Q_step)에 결정된 양자화 스텝 보정값(Wt)을 곱하여 계산될 수 있다.
단계 640에서는 전술한 수학식 4와 같이 양자화 계수에 제 2 양자화 스텝값을 곱하고 오프셋을 더한 값보다 크지 않은 정수값을 결정함으로써 역양자화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의 역양자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양자화 파라미터(QP)와 양자화 스텝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역양자화부(330)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복원된 변환 계수와 양자화 에러 사이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참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역양자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Claims (14)

  1. 영상의 역양자화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변환 계수를 양자화한 양자화 계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양자화 계수를 역양자화한 역양자화 계수의 값과 상기 변환 계수의 오리지널 값의 차이인 양자화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한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 계수의 역양자화를 위한 제 1 양자화 스텝값을 보정한 제 2 양자화 스텝값을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 계수에 대한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역양자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역양자화 계수와 상기 양자화 에러 사이의 선형성을 추정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역양자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스텝 보정값은 상기 제 1 양자화 스텝값에 곱하여지는 가중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역양자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스텝 보정값은 1.03~1.04의 범위의 실수값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역양자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계수에 대한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양자화 계수에 상기 제 2 양자화 스텝값을 곱하고 소정의 오프셋을 더한 값보다 크지 않은 정수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역양자화 방법.
  6. 영상의 역양자화 장치에 있어서,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양자화 계수를 역양자화한 역양자화 계수의 값과 상기 변환 계수의 오리지널 값의 차이인 양자화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한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결정하는 양자화 스텝 보정값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 계수의 역양자화를 위한 제 1 양자화 스텝값을 보정한 제 2 양자화 스텝값을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 계수에 대한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역양자화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역양자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스텝 보정값 결정부는
    상기 역양자화 계수와 상기 양자화 에러 사이의 선형성을 추정하여 상기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역양자화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스텝 보정값은 상기 제 1 양자화 스텝값에 곱하여지는 가중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역양자화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스텝 보정값은 1.03~1.04의 범위의 실수값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역양자화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역양자화 수행부는
    상기 양자화 계수에 상기 제 2 양자화 스텝값을 곱하고 소정의 오프셋을 더한 값보다 크지 않은 정수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역양자화 장치.
  11. 영상의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에 대한 엔트로피 복호화를 수행하여 텍스쳐 데이터의 예측 모드 정보 및 양자화 계수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양자화 계수를 역양자화한 역양자화 계수의 값과 변환 계수의 오리지널 값의 차이인 양자화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한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 계수의 역양자화를 위한 제 1 양자화 스텝값을 보정한 제 2 양자화 스텝값을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 계수에 대한 역양자화를 수행하여 변환 계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변환 계수에 대한 역변환을 수행하여 레지듀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예측 모드 정보에 따른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데이터와 상기 레지듀얼을 가산하여 상기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복호화 방법.
  12. 영상의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에 대한 엔트로피 복호화를 수행하여 텍스쳐 데이터의 예측 모드 정보 및 양자화 계수값을 추출하는 엔트로피 복호화부;
    상기 양자화 계수를 역양자화한 역양자화 계수의 값과 변환 계수의 오리지널 값의 차이인 양자화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한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결정하는 양자화 스텝 보정값 결정부;
    상기 결정된 양자화 스텝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 계수의 역양자화를 위한 제 1 양자화 스텝값을 보정한 제 2 양자화 스텝값을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 계수에 대한 역양자화를 수행하여 변환 계수를 생성하는 역양자화 수행부;
    상기 변환 계수에 대한 역변환을 수행하여 레지듀얼을 생성하는 역변환부;
    상기 예측 모드 정보에 따른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데이터를 생성하는 예측부; 및
    상기 예측 데이터와 상기 레지듀얼을 가산하여 상기 영상을 복원하는 가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복호화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기록 매체.
  14. 제 11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080085915A 2008-09-01 2008-09-01 영상의 역양자화 방법 및 장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518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915A KR101518237B1 (ko) 2008-09-01 2008-09-01 영상의 역양자화 방법 및 장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MX2011001627A MX2011001627A (es) 2008-09-01 2009-08-28 Metodo y aparato de cuantificacion inversa de imagen y metodo y aparato de decodificacion de imagen.
PCT/KR2009/004834 WO2010024622A2 (en) 2008-09-01 2009-08-28 Method and apparatus for inverse quantizing imag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image
JP2011524907A JP2012501569A (ja) 2008-09-01 2009-08-28 映像の逆量子化方法及び装置、並びに復号化方法及び装置
EP09810227A EP2319242A4 (en) 2008-09-01 2009-08-28 METHOD AND DEVICE FOR INVERSE IMAGE QUANTIFICATION AND METHOD AND DEVICE FOR IMAGE DECODING
CN2009801342554A CN102138326B (zh) 2008-09-01 2009-08-28 反量化图像的方法和设备以及解码图像的方法和设备
US12/551,750 US8396314B2 (en) 2008-09-01 2009-09-01 Method and apparatus for inverse quantizing imag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915A KR101518237B1 (ko) 2008-09-01 2008-09-01 영상의 역양자화 방법 및 장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779A true KR20100026779A (ko) 2010-03-10
KR101518237B1 KR101518237B1 (ko) 2015-05-15

Family

ID=41722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915A KR101518237B1 (ko) 2008-09-01 2008-09-01 영상의 역양자화 방법 및 장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96314B2 (ko)
EP (1) EP2319242A4 (ko)
JP (1) JP2012501569A (ko)
KR (1) KR101518237B1 (ko)
CN (1) CN102138326B (ko)
MX (1) MX2011001627A (ko)
WO (1) WO2010024622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232A (ko) * 2014-02-25 2015-09-02 주식회사 핀그램 인코딩 방법 및 그 시스템
US9560364B2 (en) 2014-02-25 2017-01-31 Fingram Co., Ltd. Encoding image data with quantizing and inverse-quantizing pixel valu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28013C (en) 2011-02-25 2016-07-26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devices for data compression using offset-based adaptive reconstruction levels
KR20140046055A (ko) * 2011-09-08 2014-04-17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계수들의 직사각형 블록의 양자화 및 역양자화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
US20130083845A1 (en) 2011-09-30 2013-04-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devices for data compression using a non-uniform reconstruction space
EP2575364B1 (en) * 2011-09-30 2020-03-18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devices for data compression using a non-uniform reconstruction space
MX2014004776A (es) * 2011-10-17 2014-07-09 Kt Corp Metodo de transformacion adaptable con base en la prediccion en pantalla y aparato que usa el metodo.
KR20130050404A (ko) * 2011-11-07 2013-05-16 오수미 인터 모드에서의 복원 블록 생성 방법
EP2595382B1 (en) 2011-11-21 2019-01-09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devices for encoding and decoding transform domain filters
CN104104958B (zh) * 2013-04-08 2017-08-25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图像解码方法及其图像解码装置
CN109660813B (zh) * 2017-10-12 2021-04-16 上海富瀚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量化噪声线性拟合方法、编码装置及编码方法
CN109561305B (zh) * 2018-10-26 2021-11-12 西安科锐盛创新科技有限公司 视频压缩量化与反量化补偿方法
CN109274968B (zh) * 2018-10-26 2021-11-09 西安科锐盛创新科技有限公司 视频压缩自适应量化与反量化方法
CN112085181B (zh) * 2019-06-12 2024-03-29 上海寒武纪信息科技有限公司 神经网络量化方法及装置以及相关产品
WO2023098814A1 (zh) * 2021-12-03 2023-06-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属性量化、反量化方法、装置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7399A (en) * 1991-05-17 1997-08-12 Canon Kabushiki Kaisha Encoding/decoding apparatus using quantizing steps information
JP3518717B2 (ja) * 1996-09-20 2004-04-12 ソニー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動画像復号化装置および方法
JP4099682B2 (ja) * 1998-09-18 2008-06-1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6950463B2 (en) 2001-06-13 2005-09-27 Microsoft Corporation Non-compensated transcoding of a video stream
JP2003037843A (ja) * 2001-07-23 2003-02-07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170933B2 (en) 2002-12-13 2007-0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objective quality assessment of image and video streams
WO2006070787A1 (ja) 2004-12-28 2006-07-06 Nec Corporation 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装置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662069A (zh) * 2005-01-12 2005-08-31 华中科技大学 图像、视频信号的编码/解码方法
JP2006270737A (ja) * 2005-03-25 2006-10-05 Fuji Xerox Co Ltd 復号化装置、分布推定方法、復号化方法及びこれらのプログラム
JP4784281B2 (ja) * 2005-11-18 2011-10-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復号化装置、逆量子化方法及びこれらの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232A (ko) * 2014-02-25 2015-09-02 주식회사 핀그램 인코딩 방법 및 그 시스템
US9560364B2 (en) 2014-02-25 2017-01-31 Fingram Co., Ltd. Encoding image data with quantizing and inverse-quantizing pixel val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4622A2 (en) 2010-03-04
JP2012501569A (ja) 2012-01-19
CN102138326B (zh) 2013-10-30
MX2011001627A (es) 2011-03-28
CN102138326A (zh) 2011-07-27
US20100054619A1 (en) 2010-03-04
EP2319242A2 (en) 2011-05-11
EP2319242A4 (en) 2011-11-02
US8396314B2 (en) 2013-03-12
KR101518237B1 (ko) 2015-05-15
WO2010024622A3 (en) 201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237B1 (ko) 영상의 역양자화 방법 및 장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716998B1 (ko) 블록화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618083B2 (ja) イメージ回復方法及び装置
KR101138393B1 (ko) 부호화 모드에 따른 컬러 성분간 예측을 이용한 컬러 영상및 비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127221B1 (ko) 주파수 공간에서 컬러 성분간 예측을 이용한 컬러영상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20080008246A1 (en) Optimizing video coding
WO2010001614A1 (ja) 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復号方法、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復号装置、プログラム、及び集積回路
JP4417919B2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化装置
JP2004343774A (ja) 映像のレジデュー予測を利用した映像符号化/復号化方法および装置
WO2006070787A1 (ja) 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装置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694137B1 (ko) 동영상 부호화 장치, 동영상 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과,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H02308671A (ja) 変換符号化装置
US87810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coding video using variable loop filter
KR100718121B1 (ko) 영상의 레지듀 예측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장치
KR101375667B1 (ko) 영상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365445B1 (ko) 전역 및 국부 움직임 보상을 순차적으로 이용하는 움직임보상 방법, 복호화 방법, 장치, 인코더 및 디코더
KR20080064008A (ko) 잔차 블록의 계수들에 대한 부호화 결정 방법, 장치,인코더 및 디코더
KR20090090152A (ko) 영상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090095011A (ko) 영상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19689B1 (ko) H.264/avc 복호기에서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수행하는 복호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호화 방법
US8532179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timizing the compression of a video stream
JP2009272792A (ja)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復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及び動画像復号化プログラム
US20060181650A1 (en) Encoding method and device
KR20140040605A (ko) 디블록킹 필터링을 이용한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 및 그 방법
KR101005725B1 (ko) 차영상 에이씨 신호의 조건적 누락을 이용한 동영상 부호량조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