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5726A - Variable coil-probe for a magnetic curer - Google Patents

Variable coil-probe for a magnetic cur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5726A
KR20100025726A KR1020080084389A KR20080084389A KR20100025726A KR 20100025726 A KR20100025726 A KR 20100025726A KR 1020080084389 A KR1020080084389 A KR 1020080084389A KR 20080084389 A KR20080084389 A KR 20080084389A KR 20100025726 A KR20100025726 A KR 20100025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magnetic
probe
coils
coil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3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휘영
Original Assignee
동주대학 산학협력단
김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주대학 산학협력단, 김휘영 filed Critical 동주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84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5726A/en
Publication of KR20100025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72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variable form coil probe for a magnetic curer is provided, which can output magnetic pulse according to the various diseases or lesion. CONSTITUTION: A variable form coil probe for a magnetic curer is constituted as follows. Coils(131,133) of the hook shape consisting of the insulating cover are laminated and formed in a multi-stage. Each coil revolves at the constant angle about the center of rotation which locates in order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n one side of laminated each coil.

Description

자기치료기용 가변형 코일 프로브{Variable coil-probe for a magnetic curer}Variable coil probe for magnetic therapy

본 발명은 인체에 자기펄스를 투사하여 체내에 기전력을 유도하여 각종 질환이나 병변을 치료하기 위한 자기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의 코일 프로브 내의 각 코일을 다단으로 적층하고 각 단의 코일을 일정 각도로 회전이동시킴으로써 코일의 형상에 변화를 주고, 그로 인하여 출력되는 자기펄스의 파형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된 자기치료기용 가변형 코일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tic therapy device for treating various diseases or lesions by inducing electromotive force in the body by projecting magnetic pulses on the human body, and more specifically, stacking each coil in a single coil probe in multiple stages and coils in each st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coil probe for a magnetic therapy device, which is improved to change a shape of a coil by rotating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reby to variously adjust a waveform of an output magnetic pulse.

최근 인체 내에 전류를 흘려 관점열, 신경통, 요통 등 각종 신체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전기 또는 자기자극기가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수요는 더욱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통상 이러한 전자기 자극 요법으로는 전기적 자극법 또는 자기적 자극법이 있는데, 전자는 전극을 인체에 직접 부착한 후 인체 내에 전류를 흘려 전극 부위의 신경세포들을 자극하는 방법이고 후자는 전자석 또는 철심에 감긴 코일에 전류를 흘려 발생하는 자기력을 인체에 투사하여 인체 내에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켜 신경세포 등을 자극하는 방법이다. Recently, various applications of electric or magnetic stimulators for treating various body diseases such as viewpoint fever, neuralgia, and low back pain by flowing electric current in the human body are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Typically, such electromagnetic stimulation therapy is an electrical stimulation method or a magnetic stimulation method, the former is a method of stimulating nerve cells in the electrode area by applying an electric current in the body after attaching the electrode directly to the human body, the latter to the coil wound around the electromagnet or iron core It is a method of stimulating nerve cells by generating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 the human body by projecting a magnetic force generated by flowing an electric current to the human body.

최근에는 전기적 자극법에 비하여 침투효과가 좋고 전기적 자극에 의한 고통이나 불쾌감이 없다는 장점 등으로 인하여 자기 자극법이 크게 주목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자기 자극기는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자계를 이용하여 인체 내부에 전계를 유도하여 무접촉성, 무침습적으로 깊고 넓은 부위의 자극이 가능한 이점으로 말초신경, 뇌질환, 뇌신경, 근력이상, 요실금, 노인성 질환, 근질환, 재활치료 등에 이르기까지 그 응용범위가 대단히 넓다. Recently, the magnetic stimulation method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due to the advantages of better penetration effect and no pain or discomfort caused by the electrical stimulation method. As such, the magnetic stimulator induces an electric field inside the human body by using a magnetic field that changes in time to allow stimulation of contactless, non-invasive, deep and wide areas. The range of applications is wide, ranging from muscle disease to rehabilitation.

도 1은 종래의 자기치료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코일 프로브의 개략도인데, 크게 자기펄스 발생기(1)와 코일 프로브(2)로 구성되며 상기 코일 프로브(2) 내부에는 수회 권회된 코일(3)이 내장된다. 이러한 코일 프로브(2)를 원하는 신체 부위에 근접시키고 전류를 흘려 보내면 인체 내에 자기력이 침투하여 전계를 유도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기치료기는 코일 프로브(2)의 형상이 도시한 것처럼 원형 또는 "8"자형에 국한된 것이 대부분이어서 다양한 병변에 요구되는 다양한 형태의 자기펄스를 출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코일 프로브(2)에 내장된 코일의 감긴 회전수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펄스의 출력을 치료대상 병변에 따라 수시로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magnetic therapy device, and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coil probe. The coil is composed of a magnetic pulse generator 1 and a coil probe 2, and a coil wound several times inside the coil probe 2. (3) is built-in. When the coil probe 2 is brought close to a desired body part and a current is flown, a magnetic force penetrates into the human body to induce an electric field. However, such a conventional magnetic therapy device is limited to a circular or " 8 " shape as shown in the shape of the coil probe 2,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output various types of magnetic pulses required for various lesions.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embedded in the coil probe 2 is fix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adjust the output of the magnetic pulse at any time according to the lesion to be treated.

또한, 자기치료기용 코일 프로브(2) 자체가 현재 매우 고가이므로 각 증상이나 병변에 맞도록 설계된 형상을 가지는 코일 프로브를 모두 구비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우며,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agnetic probe coil probe 2 itself is currently very expensive, it is practically very difficult and economical to have all the coil probes having a shape designed for each symptom or lesion.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자기치료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코일 프로프만 가지고도 코일의 형상이나 각 코일 간의 배치 및 코일의 권선수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의 질환이나 병변에 따라서 그에 맞는 형태의 자기펄스를 자유롭게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가변형 코일 프로브를 제시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agnetic therapy devic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reely adjust the shape of coils or the arrangement between coils and the number of windings of coils even with a single coil prop. By presenting a variable coil probe that can freely output the magnetic pulse of the shape according to various diseases or lesions.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인체에 자기펄스를 투사하여 체내 기전력을 유도하여 각종 병변을 치료하기 위한 자기치료기에 사용되는 코일 프로브에 있어서, 내부의 도전성 코어와 상기 도전성 코어의 외부를 감싸는 절연커버로 이루어지는 고리 형상의 코일이 적층하여 다단으로 구성되며, 적층된 각 코일의 일 측에 서로 대응하도록 위치하는 회전중심에 대하여 각 코일이 일정 각도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출력되는 자기 펄스의 파형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코일 프로브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il probe used in the magnetic therapy device for treating various lesions by projecting a magnetic pulse to the human body to induce electromotive force in the body, the inner conductive core and the outer of the conductive core Ring-shaped coils composed of an insulating cover surrounding the stack are stacked in multiple stages, and the waveform of the magnetic pulse output by rotating each coil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position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stacked coils It provides a variable coil probe, characterized in that to change the.

여기서, 상기 각 단의 코일은 일 측에 마련되는 회전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적층될 수 있다. Here, the coils of the respective stages may be stacked to be rotatable about a rotating pin provided on one side.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출력조절 장치 없이 하나의 코일 프로브만 가지고 도 각종의 질환이나 병변에 맞는 형태의 자기펄스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며, 해당 병변에 가장 적합한 치료 펄스를 가함으로써 치료효과가 매우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very economical because only one coil probe can output magnetic pulses in a form suitable for various diseases or lesions without a separate output control device. Has the advantage of being very improved.

즉, 본 발명의 가변형 코일 프로브의 경우 각 단의 코일의 위치를 변형시킴으로써 코일의 회전수, 코일의 형상 및 배치 등을 수시로 조절할 수 있어 한 개의 장치로 다양한 치료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며 효율적이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variable coil prob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oil,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coil can be adjusted at any tim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oil of each stage. Efficient

아울러, 한 개의 코일 프로브만으로 여러 대의 코일 프로브를 구비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므로 자기치료기의 보급 및 대중화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it has the same effect as having a plurality of coil probes with only one coil prob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advantageous to spread and popularize the magnetic therapy devic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기치료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자기치료기(100)는 크게 구동회로부(110), 케이블(162) 및 코일 프로브(130)로 구성된다. 구동회로부(110)는 상기 코일 프로브(130)에서 자기펄스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회로가 내장되는 것이며, 상기 코일 프로브(130)에 케이블(162)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162)과 상기 구동회로부(110)는 암·수로 이루어지는 커넥터(160a,160b)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magnetic therap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therapy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driving circuit unit 110, a cable 162, and a coil probe 130. The driving circuit unit 110 includes a circuit for outputting magnetic pulses from the coil probe 130 and is connected to the coil probe 130 by a cable 162. The cable 162 and the driving circuit unit 110 may be connected by connectors 160a and 160b made of male and female.

도 4는 도 3의 절단선 IV-IV에 따른 코일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코일 프로브의 정면도이며, 도 6는 도 4의 가변형 코일 프로브를 좌우로 펼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가변형 코일 프로브를 4방향으로 펼친 상태의 평면도이다.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il according to the cutting line IV-IV of Figure 3, Figure 5 is a front view of a variable coil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coil probe of Figure 4 unfolded left and right 7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coil probe of FIG. 4 is unfolded in four directions.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일 프로브(130)는 폐루프를 이루는 고리 형상의 코일(131,132,133)이 다단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즉, 최상단 코일(131), 중간단 코일(132) 및 최하단 코일(133)로 구성되며, 중간단 코일(132)은 다수의 단으로 구성된다. 각 단의 코일은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폐루프 형상을 이루며 내부에 위치하는 도전성 코어(130b)와 상기 도전성 코어(130b)를 감싸는 절연커버(130a)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전성 코어(130b)는 구리와 같이 전류가 잘 흐르는 금속 등의 재질로 된 것으로서 동관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그 내부의 중공부(130c)에 냉각수가 주입될 수 있다. 절연커버(130a)는 각종의 합성수지 등으로 된 절연물질로서 각 단의 코일이 서로 도통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코일 프로브(130)의 최상단 코일(131)과 최하단 코일(133)에는 구동회로부(110)에 연결되는 케이블(162)이 연결된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coil probe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stacking annular coils 131, 132, and 133 which form a closed loop in multiple stages. That is, the uppermost coil 131, the middle end coil 132 and the lower end coil 133, and the middle end coil 13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ages. Each stage coil has a closed loop shape such as a circular shape or a polygonal shape, and includes a conductive core 130b disposed therein and an insulating cover 130a surrounding the conductive core 130b. The conductive core 130b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metal through which current flows well, such as copper, and when the copper core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copper tube, cooling water may be injected into the hollow portion 130c therein. The insulating cover 130a is an insulating material made of various synthetic resins and the like to prevent the coils at each stage from conducting to each other. A cable 162 connected to the driving circuit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uppermost coil 131 and the lowermost coil 133 of the coil probe 130.

각 단의 코일(131,132,133)의 일 측에는 도시한 것과 같이 핀지지부(130d)가 형성되고 여기에 회전핀(140)이 삽입된다. 즉, 각 코일의 핀지지부(130d)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핀지지부(130a)에 회전핀(140)을 삽입함으로써 각 단의 코일(131,132,133)이 회전중심인 상기 회전핀(14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On one side of the coil (131, 132, 133) of each stage, the pin support portion 130d is formed as shown, and the rotary pin 140 is inserted therein. That is, the pin support part 130d of each coil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rotary pin 140 at which the coils 131, 132, 133 of each stage are rotated by inserting the rotation pin 140 into the pin support part 130a. It will be able to rotate around.

도 6은 각 단의 코일을 회전이동시킴으로서 180°방향으로 펼친 상태, 즉 코일이 '8' 자형을 이루도록 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각 단의 코일을 상대 적으로 회전이동함으로써 코일이 네 방향으로 펼쳐지게 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처럼, 코일(131,132,133)을 여러 방향에 위치하도록 각기 회전시키는 이유는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코일의 형상이나 배치에 따라서 코일 프로브(130)에서 출력되는 자기펄스의 파형과 세기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FIG. 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coils of each stage are extended in a 180 ° direction, that is, a state in which the coils form an '8' shape, and FIG. 7 shows that the coils are four by rotating the coils of each stage relatively. It shows the state unfolded in th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why the coils 131, 132, and 133 are rotated so as to be positioned in various directions is that the waveform and intensity of the magnetic pulse output from the coil probe 130 vary according to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coil, as shown in FIG. 8.

자기치료기의 자기펄스 출력 파형은 코일의 형상, 즉 코일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별형 등인지에 따라 달라지며, 그 출력의 세기는 코일의 감은수(회전수)에 따라 달라진다. 그리고, 자기치료기의 치료를 요하는 질환이나 병변의 종류 및 그 증상에 따라서 최적의 치료효과를 보이는 자기펄스의 세기와 파형은 서로 달라지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자기치료기용 코일 프로브는 코일의 권선수나 그 형상이 한가지로 고정되어 제품화되므로 그 출력 자기펄스의 파형은 정해져 있으며, 다만 일부 기기에서 회로장치내에 펄스 출력 가변장치를 구성하여 자기펄스의 출력의 세기만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각종의 질환이나 병변에 맞는 최적의 자기펄스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해당 증상에 따라 설계된 형태의 코일 프로브를 모두 구비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The magnetic pulse output waveform of the magnetic therapy device depends on the shape of the coil, that is, whether the coil is circular, triangular, square, star, etc., and the intensity of the output depends on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In addition, the intensity and waveform of magnetic pulses showing the optimal therapeutic effect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disease or lesion and the symptoms that require treatment of the magnetic therapy device. By the way, the coil probe for the conventional magnetic therapy device is commercialized because the number of coils or the shape of the coil is fixed and commercialized, and the waveform of the output magnetic pulse is determined. Only the intensity of the output can be changed. Therefore, in order to output the optimum magnetic pulse for various diseases or lesions,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all coil probes of the type designed according to the symptom should be provided.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각 단의 코일(131,132,133)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각 방향의 상하로 배치되는 코일의 회전수, 형상 및 배치를 손쉽게 변경시킬 수 있어 별도의 코일 프로프나 부가장치 없이 다양한 증상을 치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원형, 8자형, 바람개비 형 등으로 다양하게 코일의 형상을 변화시켜 각종의 질환이나 병변에 적합한 자기펄스를 출력하도록 하여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mply rotating the coils (131, 132, 133) of each stage can easily change the rotation speed, shape and arrangement of coils arranged up and down in each direction to treat various symptoms without a separate coil prop or additional device. It will be possible. That i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therapeutic effect by varying the shape of the coil in a circular, eight-shape, pinwheel type to output magnetic pulses suitable for various diseases or lesions.

본 발명에서는 각 단의 코일(131,132,133)을 회전핀(140)을 중심으로 회전하 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대체 가능한 수단을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but described as rotating the coil 131, 132, 133 around the rotary pin 140, it will be possible to adopt a variety of alternative means within the scope to achieve the same object.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프로브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코일(131,132,133)이 모두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처럼 각 단의 코일(151,152,153)의 직경을 서로 다르게 하여 적층함으로써 코일 프로브(15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실시예에서와는 또 다른 세기와 파형의 자기펄스가 출력된다. 9A and 9B are front and top views of a coil pro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ach of the coils 131, 132, and 133 has the same diameter. However, the coil probes 150 may be configured by stacking the coils 151, 152, and 153 in different stage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is case, magnetic pulses of different intensities and waveforms are output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1은 종래의 자기치료기의 개략도.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magnetic therapy device.

도 2는 종래의 코일 프로브의 개략도. 2 is a schematic view of a conventional coil probe.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기치료기의 구성도. 3 is a block diagram of a magnetic therap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절단선 IV-IV에 따른 코일의 횡단면도.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il according to cut line IV-IV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코일 프로브의 정면도. 5 is a front view of a variable coil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도 4의 가변형 코일 프로브를 좌우로 펼친 상태의 정면도. 6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coil probe of FIG. 4 is unfolded from side to side.

도 7은 도 4의 가변형 코일 프로브를 네 방향으로 펼친 상태의 평면도. 7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coil probe of FIG. 4 is unfolded in four directions.

도 8은 코일의 형상에 따른 자기펄스 출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8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magnetic pulse output according to the shape of a coil.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프로브의 정면도 및 평면도. 9A and 9B are front and top views of a coil pro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자기치료기 110: 구동회로부100: magnetic therapy device 110: drive circuit

130: 코일 프로브 131,132,133: 코일130: coil probe 131,132,133: coil

140: 회전핀140: rolling pin

Claims (2)

인체에 자기펄스를 투사하여 체내 기전력을 유도하여 각종 병변을 치료하기 위한 자기치료기에 사용되는 코일 프로브에 있어서, In the coil probe used in the magnetic therapy device for treating various lesions by inducing the electromotive force in the body by projecting a magnetic pulse on the human body, 내부의 도전성 코어와 상기 도전성 코어의 외부를 감싸는 절연커버로 이루어지는 고리 형상의 코일이 적층하여 다단으로 구성되며, 적층된 각 코일의 일 측에 서로 대응하도록 위치하는 회전중심에 대하여 각 코일이 일정 각도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출력되는 자기 펄스의 파형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코일 프로브. Ring-shaped coils composed of an inner conductive core and an insulating cover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conductive core are stacked to form a plurality of stages, and each coil has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rotation center position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stacked coils. A variable coil probe,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waveform of the output magnetic pulse by rotating to.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단의 코일은 일 측에 마련되는 회전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코일 프로브. The coil of each stage is a variable coil probe, characterized in that is laminated rotatably around a rotation pin provided on one side.
KR1020080084389A 2008-08-28 2008-08-28 Variable coil-probe for a magnetic curer KR201000257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389A KR20100025726A (en) 2008-08-28 2008-08-28 Variable coil-probe for a magnetic cur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389A KR20100025726A (en) 2008-08-28 2008-08-28 Variable coil-probe for a magnetic cur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726A true KR20100025726A (en) 2010-03-10

Family

ID=42177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389A KR20100025726A (en) 2008-08-28 2008-08-28 Variable coil-probe for a magnetic cur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572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22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dependently operating multiple neural stimulation channels
US10293175B2 (en) Device including moving magnet configurations
WO2004082759A2 (en) Magnetic stimulator
US7335156B2 (en) Digital electromagnetic pulse generator
US20090099405A1 (en) Monophasic multi-coil arrays for trancranial magnetic stimulation
US20180353767A1 (en) Auxiliary magnetic stimulation (ms) coil arrangement and system
KR20010033769A (en) Magnetic nerve stimulator for exciting peripheral nerves
JP3739283B2 (en) Magnetic resonance therapy device
JP2011529378A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relative strength between the cathode and anode of a neural stimulation system
WO2011003224A1 (en) Apparatus for ultra-low frequency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ng and its preparing method
EP2355891A1 (en) Spiraled wires in a deep-brain stimulator probe
SI24921A (en) A device for magnetic nerve muscle stimulation with a large number of independent coils installed in the applicator
JP2008518677A5 (en)
JP2016527055A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a lead anchor for a lead of an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JP62083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field induction heating by an implantable pulse generator
WO2014197435A1 (en) Magnetic neural stimulator and method of activatioin of neural tissue with same
WO2014164412A2 (en) Electromagnetic cortical stimulation device
KR20120034356A (en) A complex stimulus apparatus by magnetization needle/moxibustion using alternating magnetic fields of coil
JP2021514247A (en) Magnetic stimulation coils and ferromagnetic components for therapeutic and diagnostic procedures
JP202351376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eviating pain through neuromodulation with closed-loop micro-magnetic hybrid waveforms
US11712569B2 (en) System and methods of decreasing the directional sensitivity of axially aligned rechargeable implant
KR101196232B1 (en) Magnetic stimulation and acupressure apparatus using electro-magnetic fields
KR20100025726A (en) Variable coil-probe for a magnetic curer
CN202569208U (en) Magnetic stimulation device
CN202909299U (en) Acupuncture-like treatment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