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3078A -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3078A
KR20100023078A KR1020080081661A KR20080081661A KR20100023078A KR 20100023078 A KR20100023078 A KR 20100023078A KR 1020080081661 A KR1020080081661 A KR 1020080081661A KR 20080081661 A KR20080081661 A KR 20080081661A KR 20100023078 A KR20100023078 A KR 20100023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air
oxygen
pipe
b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0342B1 (ko
Inventor
원승호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81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342B1/ko
Publication of KR20100023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6Gas phase processes, e.g. by using aeros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10Oxidants
    • B01D2251/104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66Other waste gases from animal fa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축사로부터의 오염공기를 배출하는 회수관; 상기 회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축사의 오염공기가 회수관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와 축사 간을 연결하여 송풍기에 의한 공기의 흐름에 따라 상기 축사로 공기를 공급하는 반송관; 및 상기 반송관에 연결되어 산소를 통해 오존을 생성하여 생성된 오존과 반응하지 않은 산소를 상기 반송관으로 공급하는 오존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관에는, 상기 회수관으로 공급되는 오염공기와 오존을 반응시켜 오염공기를 정화하는 반응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사 내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지 않음으로써, 악취방지법에서 규정하는 지정 악취물질의 배출기준을 충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축의 서식 환경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축사, 암모니아, 황화수소, 오존, 산소

Description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A PURIFICATION DEVICE OF GAS ELIMINATED FROM A STABLE}
본 발명은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사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정화하고 축사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2005년 2월부터 시행된 악취방지법(환경부)에 의하면 2006년 1월 1일부터 돼지 사육시설 면적이 50㎡ 이상되는 축산시설에 대해서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 지정 악취물질의 배출에 대한 규제가 실시되고 있다. 돈사가 위치한 부지의 경계선에서 측정한 지정 악취물질의 농도가 각각의 배출허용기준을 만족해야 하는 법령으로 돈사에 인접한 지역에서 악취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이다. 현재 악취방지법은 시행 초기로서 폐수관리법과 같이 엄격하게 적용하고 있지 않지만 향후 1~2년 내에 돼지 축산농가에 해결해야 하는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악취방지법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돈사내의 공기에 존재하는 악취물질을 처리하는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고 적어도 배출되는 공기에서 악취물질을 제거하는 시스템을 적용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악취방지법뿐만 아니라 농축산 시장의 개방에 따른 축산농가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보다 양질의 돼지를 생산하기 위한 경쟁력 있는 돈사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돼지의 품질향상을 위해 돈사 내를 보다 청결하게 유지하고 관련 질병들을 없애는 돈사 환기시스템 개발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돈사 내의 공기를 외부 공기와 치환하는 방식이 아닌 돈사 내부에서 오염된 실내공기를 처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하고, 우선적으로 저비용 고효율로 배출되는 공기의 악취제거 시스템의 개발은 악취방지법의 적용을 위하여 더더욱 필요게 되었다.
더구나, 겨울철과 같이 외기의 온도가 낮을 때에는 돈사뿐만 아니라, 계사, 우사 등의 축사를 밀폐하여 외부의 낮은 온도로 인해 가축이 동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축사에는 가축의 분뇨 등의 배설물로 인해 암모니아 가스와 황화수소 가스 등의 오염물질이 발생하고 세균 등이 번식하게 된다. 또한 밀폐된 공간에 많은 가축이 서식됨에 따라 산소농도가 급격히 저하된다. 즉, 공기중의 산소농도가 대략 20%정도인데, 겨울철 축사 내부의 산소농도는 6~7%까지 떨어진다. 이렇게 산소의 농도가 현저히 저하되면 가축의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어, 예를 들면 AI 바이러스 등에 닭과 오리가 감염됨으로써 농가에 심대한 피해를 주게 된다. 따라서 가축의 생활환경을 쾌적하게 하고 면역력을 떨어뜨리지 않기 위해서 축사 내부의 공기정화와 산소공급은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까지 축사 내의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음이온수를 이용하는 방법과 바이오필터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이중 음이온수를 이용하는 방법은, 정제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음이온수(강산수)로 만들어 살포함으로써 탈취, 살균, 소독하는 방식이다. 음이온수는 대부분 지하수를 전기분해하여 생산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지하수에는 석회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물을 정제하는데 많은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이온수는 강산성을 갖기 때문에 살포를 위한 펌프와 노즐을 부식시킨다. 이러한 강한 부식성으로 인해 제품의 부품들이 부식되어 설치후 1~2년 내에 부품을 모두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세라믹 노즐, 특수 펌프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의 가격이 고가여서 전체 시스템 가격이 상승하게 되므로 현장 적용이 어려웠다.
한편,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제거 방법은,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를 액비저장조에 설치함으로써 악취 탈취는 물론, 분뇨 저장의 기능에서 분뇨의 액비화를 촉진하고 액비저장조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폭기(曝氣)장치 가동시 악취가스가 거의 없이 처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분뇨 저장시에 처리할 수 있으나 돈사 등에서 직접 배출되는 악취가스 제거에 적용하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현재 국내에는 축사 밖으로 배출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시스템으로 개발된 것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축사 내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정화하여 현저히 감소시키는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축사 내에서 배설물 등에 의해 생성된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축사 내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축사로부터의 오염공기를 배출하는 회수관; 상기 회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축사의 오염공기가 회수관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와 축사 간을 연결하여 송풍기에 의한 공기의 흐름에 따라 상기 축사로 공기를 공급하는 반송관; 및 상기 반송관에 연결되어 산소를 통해 오존을 생성하여 생성된 오존과 반응하지 않은 산소를 상기 반송관으로 공급하는 오존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관에는, 상기 회수관으로 공급되는 오염공기와 오존을 반응시켜 오염공기를 정화하는 반응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오존발생기에서는 오존을 생성하기 위하여 외기에 포함된 일정 농도의 산소를 활용할 수도 있고, 발생되는 오존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조절할 수 있도록 오존발생기에 연결되는 산소발생기에서 공급되는 산소를 활용할 수도 있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반응기는, 반송관 내부에서 상기 오염공기와 오존의 반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크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반응기는, 상기 반송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소켓과, 상기 소켓의 내부에 장착되는 혼합베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3발명에서, 상기 소켓과 혼합베인은 오존에 강한 폴리프로필렌(PP)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오존발생기에는, 상기 오존발생기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발생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산소발생기를 사용하면 오존의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생되는 오존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6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회수관과 반송관에서, 외부 온도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송풍기에 연결되기 위한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축사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에 의하면, 축사 내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정화하여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악취방지법에서 규정하는 지정 악취물질의 배출기준을 충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축의 서식 환 경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축사 내에서 배설물 등에 의해 생성된 세균을 제거할 수 있어 세균에 의한 가축의 질병발생율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축사 내로 산소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겨울철 축사가 밀폐됨에 따른 축사 내의 산소부족을 해소하여 가축의 면역력 약화를 방지할 수 있어 면역력 약화에 따른 질병발생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기의 핵심 구성을 예시한 도면(도 2의 (a)는 길이방향 단면도, 도 2의 (b)는 도 2의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송관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송관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는, 회수관(10), 송풍기(20), 반송관(30), 오존발생기(40) 및 산소발생기(50)를 포함한다.
상기 회수관(10)은 협소한 장소에 많은 가축을 사육함에 따라 이들이 배출하는 분뇨 등의 배설물에 의해 실내공기가 오염되고 악취가 발생하는 축사(60)에 연결되어 상기 축사(60)로부터 암모니아 가스나 황화수소 가스 등의 오염물질을 포함 한 오염공기가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회수관(10)의 일단에는 송풍기(20)가 장착된다. 상기 송풍기(20)는 회수관(10)을 통하여 축사(6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송풍기(20)에는 반송관(30)이 연결된다. 즉, 회수관(10)을 통하여 배출된 오염공기는 반송관(30)을 통하여 축사(60)로 재공급되고, 상기 회수관(10)과 반송관(30)의 연결지점에서 상기 송풍기(20)가 이러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반송관(30)을 통해 축사(60)로 재공급되는 공기는 반송관(30) 내에서 정화되는데, 반송관(30) 내에서 오염공기의 정화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오존발생기(40)와 반응기(31)가 마련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오존발생기(40)는 반송관(30)의 일측에 연결되어 반송관(30)에 오존을 공급한다. 이때 오존발생기(40)는 외부의 공기에 포함된 산소를 반응시켜 오존을 생성하고 생성된 오존과 함께 외부의 공기를 반송관(30)에 공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외부의 공기에는 산소가 대략 20%정도만 함유되어 있고, 오존발생기(40)에 공급된 총 산소에 대한 오존의 발생량은 현재 1/5정도이므로, 외부의 공기에서 오존을 생성하여 오염공기를 충분하게 정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오존발생기(40)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오존발생기(40)에 산소발생기(50)가 연결된다. 상기 산소발생기(50)에서는 지속적으로 산소가 공급되고 그 양도 조절가능하다. 그러므로 오존발생기(40)에서 생성되는 오존의 양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도 공급되는 산소가 오존발생 기(40)에서 모두 반응하여 오존으로 변환되는 것이 아니라, 이 역시 1/5정도만 오존으로 생성되고 나머지는 산소로 남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오존발생기(40)는, 교류 고전압(40kV, 38kHz)의 코로나 방전부(41)로 산소를 통과시키는 형태로 되어 있는데, 스프링 형태의 스테인레스 와이어 전극과 알루미늄 접지(45)를 다공성 유리관(47)을 사이에 두고 방전시킨다. 이와 같이 방전이 일어나는 방전부(41)가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이때, 도 2의 방전부(41)에서, 유리관(47)의 외부직경은 6.25㎜이고, 내부직경은 5.0㎜이다. 그리고 와이어(43)는 0.5㎜ 직경의 스테인레스강이 사용되고 유리관(47) 내부와 잘 밀착되도록 와이어(43)를 유리관(47) 내부보다 약간 크게 제작하여 삽입한다(약 0.3㎜ 정도 크게 제작).
이와 같은 오존발생기(40)에 투입되는 산소의 양에 따라 생성되는 오존의 양은 다음 표와 같다.
산소투입량(ℓ/ min ) 주파수 비율 발생오존량(g/㎥)
2 30% 6.3
60% 8.7
100% 11.2
3 30% 3.9
60% 5.4
100% 7.1
상기 표에서 보면,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오존발생기(40)를 통해 발생되는 오존량은 주파수 비율이 높음에 따라 증가하고, 투입된 산소량에 따라서는 발생된 오존이 산소에 희석되어 줄어드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같은 측정 결과치를 통하여 필요한 오존을 거의 정확하게 반송관(30)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반송관(30)에는 상기와 같이 오존발생기(40)에서 발생된 오존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오존발생기(40)에서는 공급된 산소를 모두 오존으로 변환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반송관(30)으로는 오존뿐만 아니라 산소도 공급된다.
반송관(30)으로 공급된 오존은 오염물질과 반응하여 오염공기를 정화한다. 즉, 오존은 암모니아 가스나 황화수소 가스 등과 반응하여 상기 가스의 농도를 떨어뜨리고, 상기 오염공기에 포함된 세균 등을 살균한다. 통상 오존은 염소에 비해 7배 정도 높은 살균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상기 세균의 살균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반송관(30)으로 공급된 오염공기와 오존 및 산소는 서로 섞이지 않으면 골고루 반응하지 않아 오염공기가 그대로 축사(60)로 재공급될 뿐만 아니라, 잔류하는 오존에 의해 가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반송관(30)에 반응기(31)를 설치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도록 하였다.
즉, 반응기(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형태로 이루어져, 공급되는 오염공기와 오존이 스크류(33)를 따라 유동하면서 반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반응기(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관(30)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소켓(35)과, 상기 소켓(35)의 내부에 장착되는 혼합베인(37)(도 5 참조)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반송관(30)으로 공급되는 오염공기와 오존이 혼합베인(37)을 통과하면서 뒤섞여서 서로 반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베인(37)을 반송관(30)을 따라 다수개소에 설치되므로 오염공기와 오존의 혼합에 의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33)나, 소켓(35) 및 혼합베인(37)은 오존에 강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오존에 강한 것으로 알려진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으로 제작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축사(6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축사(60)와 같은 공간에서는 외기로부터 가축을 보호하기 위하여 밀폐한 상태로 난방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외부에 설치되면 회수관(10)과 반송관(30)을 통과하면서 공기의 온도가 떨어지게 되어, 이를 위한 난방비용이 추가적으로 소요되므로, 가급적 축사(60) 내에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축사(60) 내부의 공간활용과 축사(60) 내에서 발생하는 먼지 등으로부터 산소발생기(50) 및 오존발생기(40)와 같은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수관(10)과 송풍기(20), 오존발생기(40) 및 산소발생기(50)는 외부에 배치하고, 송풍관에 연결되는 일부분을 제외한 반송관(30)의 나머지 부분은 축사(60) 내부에 배치하여 재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최소화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송풍기(20)를 가동하면, 오염물질을 포함한 축사(60) 내부의 오염공기는 회수관(10)으로 유입되어 송풍기(20)를 지나 반송관(30)으로 들어간다. 이때 상기 반송관(30)에는 오존과 산소가 공급되고, 반송관(30)에 구비되는 반응기(31)는 오염공기와 오존의 혼합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오염공기와 오존과 반응하여 오염공기에 포함된 암모니아 가스와 황화수소 가스가 소멸됨과 아울러, 오염공기에 포함된 세균이 살균된다. 또한 오염공기와 오존이 충분히 반응하게 되므로 잔류하는 오존의 양은 상당히 적게 되어 잔류 오존에 따른 피해를 없앨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산소발생기(50)에서 공급되는 산소가 반송관(30)을 통하여 축사(60)로 유입된다. 따라서 겨울철 축사(60)를 밀폐함에 따라 공기중 산소량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산소에 의해 축사(60) 내의 산소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산소량 부족에 따른 가축의 면역력 약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오존과 암모니아 가스가 반응함에 따른 암모니아 가스의 농도변화를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다. 산소투입량과 주파수비율에 따른 발생오존량은 상기 [표 1]에서와 동일하다.
산소투입량 (ℓ/ min ) 주파수비율 (%) 발생오존량 (g/㎥) 처리전 암모니아 농도( ppm ) 처리후 암모니아 농도( ppm )
2 30 6.3 15 6
60 8.7 16 5
100 11.2 15 0
3 30 3.9 16 11
60 5.4 16 10
100 7.1 15 8
상기 표에서, 처리전 암모니아 농도는 15~16ppm이었는데, 처리된 후의 농도는 최저 0ppm까지 낮출 수 있었다. 주파수비율에 따라서는 고주파 비율이 높은 것이 발생오존량을 크게 하고, 주파수비율이 높은 것이 오존발생량이 많으므로 암모니아를 처리하는 양도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산소 공급량이 많아짐에 따라서는 오히려 오존 발생량이 떨어졌고, 따라서 암모니아를 처리하는 양도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오존과 황화수소 가스가 반응함에 따른 황화수소 가스의 농도변화를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다.
산소투입량 (ℓ/ min ) 주파수비율 (%) 발생오존량 (g/㎥) 처리전 황화수소 농도( ppm ) 처리후 황화수소 농도( ppm )
2 30 6.3 0.6 0.0
60 8.7 0.6 0.0
100 11.2 0.6 0.0
3 30 3.9 0.6 0.0
60 5.4 0.6 0.0
100 7.1 0.6 0.0
상기 표에서, 황화수소는 암모니아 가스보다 처리전의 농도가 상당히 낮기 때문에 약간의 오존 투입으로도 완전히 제거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2]와 [표 3]을 종합하여 보면,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투입해야 하는 오존량을 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황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한 최소한의 오존 투입 농도는 황화수소의 농도를 변화시켜 가면서 투입 오존 농도를 결정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축사(60)에 발생되는 오염량의 비율은 거의 일정하므로, 암모니아 가스와 황화수소 가스를 따로 적용할 것이 아니라, 상기 암모니아 가스와 황화수소 가스가 함께 처리되는 것이므로, 황화수소만을 위한 정밀한 오존투입량의 설정은 필요치 않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오존이 반응한 후 잔류하는 양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산소투입량 (ℓ/ min ) 주파수비율 (%) 발생오존량 (g/㎥) 처리후 오존 농도( ppm )
2 30 6.3 0.98
60 8.7 1,35
100 11.2 1.7
3 30 3.9 1.07
60 5.4 1.47
100 7.1 1.99
상기 표에서, 오존발생량은 최대 11.2g/㎥(5600ppm)에서 최소 3.9g/㎥(1950ppm)이고, 처리후의 오존 잔류 농도는 2ppm이하이다. 그리고 이러한 오존의 농도는 반송관(30)에서 배출되면 공기와 섞이면서 급격히 떨어지므로, 오존의 농도로 인해 가축에 피해가 발생되는 일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축사 내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되었지만, 특정 공간에서 오염물질이 발생되고 그 내부의 공기를 정화할 필요가 있다면, 본 발명이 그 공간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의 정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반응기는, 오염공기와 오존이 서로 섞이면서 반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그러한 역할을 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기의 핵심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송관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송관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회수관 20 : 송풍기
30 : 반송관 31 : 반응기
40 : 오존발생기 50 : 산소발생기
60 : 축사

Claims (6)

  1. 축사로부터의 오염공기를 배출하는 회수관;
    상기 회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축사의 오염공기가 회수관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와 축사 간을 연결하여 송풍기에 의한 공기의 흐름에 따라 상기 축사로 공기를 공급하는 반송관; 및
    상기 반송관에 연결되어 산소를 통해 오존을 생성하여 생성된 오존과 반응하지 않은 산소를 상기 반송관으로 공급하는 오존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관에는, 상기 회수관으로 공급되는 오염공기와 오존을 반응시켜 오염공기를 정화하는 반응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반송관 내부에서 상기 오염공기와 오존의 반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크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상기 반송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소켓과, 상기 소켓의 내부에 장착되는 혼합베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과 혼합베인은 오존에 강한 폴리프로필렌(PP)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발생기에는, 상기 오존발생기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발생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관과 반송관에서, 외부 온도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송풍기에 연결되기 위한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축사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
KR1020080081661A 2008-08-21 2008-08-21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 KR101050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661A KR101050342B1 (ko) 2008-08-21 2008-08-21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661A KR101050342B1 (ko) 2008-08-21 2008-08-21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078A true KR20100023078A (ko) 2010-03-04
KR101050342B1 KR101050342B1 (ko) 2011-07-19

Family

ID=4217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661A KR101050342B1 (ko) 2008-08-21 2008-08-21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3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665B1 (ko) 2019-08-22 2020-03-03 (주)제이엔텍 유해공기 살균 및 탈취장치
KR20210047548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삼도환경 오존 및 oh 라디칼을 이용한 축사용 공기정화 시스템
US20230321587A1 (en) * 2022-04-07 2023-10-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System for removing ammonia, dust and pathogens from air within an animal rearing/sheltering facilit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491B1 (ko) * 2006-05-24 2006-08-08 주식회사한국사이버닉스 공기정화장치
KR100809022B1 (ko) * 2006-07-04 2008-03-05 플라즈마에너지자원 주식회사 축사용 공기정화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오존발생기의암모니움 염 제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665B1 (ko) 2019-08-22 2020-03-03 (주)제이엔텍 유해공기 살균 및 탈취장치
KR20210047548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삼도환경 오존 및 oh 라디칼을 이용한 축사용 공기정화 시스템
US20230321587A1 (en) * 2022-04-07 2023-10-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System for removing ammonia, dust and pathogens from air within an animal rearing/sheltering facility
US11986768B2 (en) * 2022-04-07 2024-05-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System for removing ammonia, dust and pathogens from air within an animal rearing/sheltering fac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0342B1 (ko) 201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6304B1 (en) Ozone injection system
US8845782B2 (en) Modular ductwork decontamination assembly
KR101133116B1 (ko) 콤팩트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KR20090044150A (ko) 축산시설 악취처리 시스템
JP2011520610A (ja) 生物の生産に関連する構造物内を起源として発生する悪臭や臭気ガス物質の浄化および脱臭方法
KR102042928B1 (ko) 축산분뇨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31211A (ko) 악취물질을 먹이로 한 호기성 유용 미생물군을 이용한 악취제거 돈사와 그 시스템
KR102083665B1 (ko) 유해공기 살균 및 탈취장치
JP2006341249A (ja) 除塵・脱臭システム、除塵・脱臭方法、並びに畜舎
KR101050342B1 (ko) 축사 배출가스 정화장치
CA2676654C (en) Air decontamination system
JPH0568987A (ja) 雨水浄化装置
KR101695946B1 (ko) 공기 살균 소독 및 탈취를 위한 이산화염소 가스의 순환 장치
CN213314274U (zh) 一种垃圾中转站废气收集除臭协同处理系统
KR101303335B1 (ko) 오존과 오존수를 이용한 살균 및 악취 탈취 시설
KR101839844B1 (ko) 이산화염소의 농도 유지와 순환 기능을 가진 공기 살균 소독 및 탈취 장치 및 방법
KR20060122123A (ko) 축사내 악취 및 황사 제거용 공기 정화 장치
JP3696218B2 (ja) 糞尿分解処理剤及び微生物の活性化による糞尿の分解処理方法
KR20220016545A (ko) 축사의 공기 관리 시스템
KR102653588B1 (ko) 사육시설 악취제거를 위한 제취제 관리시스템
KR101889395B1 (ko) 산성, 알칼리성, 중성화합물 악취와 향 물질이 동시에 발생하는 냄새 및 악취제거 복합시스템
US5738713A (en) Apparatus for biological control of noxious gas from swine waste
KR20110080287A (ko) 전기화학적 산화반응을 이용한 축산폐수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N212740851U (zh) 一种可嵌入式排口灭毒及净化装置
KR20090020033A (ko) 광촉매를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