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992A - Method and apparatus of the hair cell stimulation using acoustic sig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of the hair cell stimulation using acoustic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992A
KR20100021992A KR1020090135829A KR20090135829A KR20100021992A KR 20100021992 A KR20100021992 A KR 20100021992A KR 1020090135829 A KR1020090135829 A KR 1020090135829A KR 20090135829 A KR20090135829 A KR 20090135829A KR 20100021992 A KR20100021992 A KR 20100021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frequency band
user
stimulation
acoustic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8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곽상엽
Original Assignee
[주]이어로직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어로직코리아 filed Critical [주]이어로직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135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1992A/en
Publication of KR2010002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9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61B5/125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objective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4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e.g. through the touch sense
    • A61F11/045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e.g. through the touch sense using mechanical stimulation of nerves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stimulating auditory sense cells using sound signal is provided to easily and accurately diagnose hearing ability. CONSTITUTION: An apparatus for stimulating auditory sense cells comprises a hearing diagnosis unit(100), stimulation site determine unit(102), and stimulation treating unit(104). The hearing diagnosis unit provides signal sound corresponding to specific frequency band. The hearing diagnosis unit measures user's hearing at each frequency band through user's response to the signal sound; The stimulation site determine unit determines stimulation side by using hearing threshold value.

Description

음향 신호를 이용한 청각 세포 자극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the Hair Cell Stimulation using Acoustic Signal}Auditory cell stimul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acoustic signal {Method and Apparatus of the Hair Cell Stimulation using Acoustic Signal}

본 발명은 음향 신호를 이용한 청각 세포 자극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청력을 정확히 진단하고, 진단 결과에 통해 청력을 개선을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timulating auditory cells using an acoustic sig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ly diagnosing a user's hearing and improving hearing through a diagnosis result.

소리를 뇌로 전달하는 모든 기관을 총칭하여 청각 기관이라한다.  All organs that transmit sound to the brain are collectively called hearing organs.

청각 기관은 크게 외이, 중이 내이로 구분되며, 외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들어온 소리는 고막에서 진동한 후 중이를 거쳐 내이의 달팽이관(와우관)으로 전달된다. The auditory organ is largely divided into the outer ear and the middle ear, and the sound coming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uter ear vibrates in the tympanic membrane and then passes through the middle ear to the cochlea (cochlea) of the inner ear.

와우관의 기저막에는 청각 유모 세포(Auditory Hair Cell, 이하 ‘청각 세포’라 함)가 배열되며, 기저막 위에 가지런히 배열된 청각 세포의 전체 수효는 대략 1만 2천여개에 이른다. 기저막의 길이는 대략 2.5 ~ 3 cm 정도이며, 기저막 시작부분에 위치한 청각세포는 높은 주파수를 감지하며 기저막 끝부분에 위치한 청각세포는 낮은 주파수를 감지한다. The basement membrane of the cochlea is arranged with auditory hair cel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uditory cells), and the total number of auditory cells arranged neatly on the basement membrane is approximately 12,000. The basement membrane is about 2.5 to 3 cm in length. The auditory cells at the beginning of the basement membrane detect high frequencies and the auditory cells at the end of the basement membrane detect low frequencies.

이를 청각세포의 주파수 특이성(frequency specificity)이라 하며 가장 이상 적인 자극 강도 수준에서의 주파수특이성 해상도는 기저막 상에서 대략 0.2mm(0.5semitone) 범위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is is called the frequency specificity of the auditory cell, and the frequency specific resolution at the most ideal stimulus intensity level is known to reach approximately 0.2 mm (0.5 semitone) on the basement membrane.

한편 근래에는 휴대용 음향 기기의 사용 증가와 각종 소음에 노출되는 관계로 많은 사람들이 신경성 난청 질환을 지니고 있다. 신경성 난청은 청각 세포 손상에서 기인하는 청력 퇴화 현상으로 노화, 소음노출, 약물부작용, 유전적요인 등에 의해 발생한다.Recently, many people have neurological hearing loss due to increased use of portable audio equipment and exposure to various noises. Hearing loss is a hearing degeneration that results from hearing cell damage and is caused by aging, noise exposure, drug side effects, and genetic factors.

*신경성 난청은 청력 손상 정도에 따라 경도, 중도, 고도 및 심도 난청으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중도 난청 이상에서는 일상적인 대화가 어렵다. * Neural hearing loss is classified into mild, moderate, altitude, and deep hearing loss according to the degree of hearing impairment.

현재 전 세계 인구의 10% 정도가 자신의 청력 퇴화를 스스로 느낄 정도의 경도난청 증세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며, 중도 이상의 심각한 난청 질환자 규모가 개발도상국에서만 대략 2억 6천만명 이상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It is estimated that about 10% of the world's population has mild hearing loss, and that it is estimated that more than 260 million people with moderate to severe hearing loss develop in developing countries. have

종래에는 난청 질환의 치료 방법은 소개되고 있지 않으며 단지 난청 관련 청각보조장치로서 보청기만이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Conventionally, a method for treating hearing loss has not been introduced, and only a hearing aid is provided as a hearing aid related hearing aid.

보청기는 단순히 외부 소리를 증폭하여 크게 들려주는 기기로서, 청력 퇴화를 근본적으로 막지 못하며 오히려 증폭된 소리로 인하여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을 더욱 퇴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Hearing aids are devices that simply amplify the external sound, and do not fundamentally prevent hearing deterioration, but rather have a problem of lowering the hearing of the hearing aid user due to the amplified sound.

따라서 보청기의 사용이 아니라 난청 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method that can fundamentally cure hearing loss rather than the use of hearing aids.

한편, 종래의 난청을 진단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청각세포의 주파수특 이성을 이용한 순음청력검사방법이 국제적인 표준청력검사법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most common method for diagnosing hearing loss, the pure ear hearing test method using frequency specificity of auditory cells has been widely used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hearing test method.

종래의 순음청력검사법에서는 기저막을 1 옥타브 간격의 해상도로 총 6 균등분할하여 6개의 주파수(cf, 250, 500, 1000, 2000, 4000, 8000 Hz) 신호를 가지고 6 분할 지점 각각에 위치한 청각세포의 주파수특이성을 관찰한다. 청각세포가 손상되지 않아 그것의 주파수특이성에 아무 문제가 없는 경우 음압이 아주 작은 자극 강도에서도 청각세포의 주파수특이성 반응이 유도될 수 있다. 이를테면 1000 Hz를 처리하는 청각세포의 주파수특이성이 정상이라면 1000 Hz, -1.4 dBSPL(sound pressure level) 조건의 순음 자극에 대해서도 청각세포 내 전기 반응이 유도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pure acoustic hearing test, the basement membrane is divided into six equal parts at a resolution of one octave, and the sixth frequency (cf, 250, 500, 1000, 2000, 4000, and 8000 Hz) signals are divided into six division points. Observe the frequency specificity. If the auditory cell is not damaged and there is no problem in its frequency specificity, the frequency specific response of the auditory cell can be induced even at a stimulus intensity with a small sound pressure. For example, if the frequency specificity of the hearing cell processing 1000 Hz is normal, the electrical response in the auditory cell may be induced even for pure tone stimulation under the condition of 1000 Hz, -1.4 dBSPL (sound pressure level).

종래기술에 따르면 복잡한 검사 장비를 이용하여 숙련된 검사자가 단지 1옥타브 해상도 단위로 6개의 분할된 지점에 대한 신호음을 피검자에게 제공하고, 피검자는 각 지점에서의 신호음을 듣고 응답 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 청력 진단을 하기 때문에 해상도가 낮아 정확한 청력 진단이 어렵고 또한 청력 진단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using a complex inspection equipment, a skilled inspector provides the subject with a beep for six divided points in only one octave resolution unit, and the subject hears the beep at each point and presses the answer button. Because of the low resolution, accurate hearing diagnosis is difficult, and hearing diagnosis is troublesom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난청 질환을 개선할 수 있는 음향 신호를 이용한 청각 세포 자극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propos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tory cell stimulation using acoustic signals that can improve the hearing loss disea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청력을 보다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음향 신호를 이용한 청각 세포 자극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tory cell stimulation using acoustic signals that can more accurately diagnose the hearing of a us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지에서도 사용자의 청력을 정확히 진단하고 또한 난청 질환 개선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음향 신호를 이용한 청각 세포 자극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timulating cell hearing using acoustic signals, which can accurately diagnose a user's hearing and provide a service for improving hearing loss.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손상된 청각 세포 영역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판별하는 단계; (b) 상기 손상된 청각 세포 영역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타겟 주파수 대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손상된 청각 세포 영역을 자극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타겟 주파수 대역으로 소정 강도를 갖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향 자극을 이용한 청각 세포 자극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object, (a) determining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damaged auditory cell region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b) determining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damaged auditory cell region as a target frequency band; And (c)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intensity to the determined target frequency band to stimulate the damaged auditory cell region.

본 발명에 따르면 와우 모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손쉽고 정확하게 청력을 진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accurately diagnose the hearing through the wow model interf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음향 신호 자극 및 청력의 개선 정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the acoustic signal stimulation and hearing.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청력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fundamentally improve hearin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mean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도 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세포 자극 장치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uditory cell stimula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세포 자극 장치는 청력 진단부(100), 자극 부위 판별부(102) 및 자극 치료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auditory cell stim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earing diagnosis unit 100, a stimulation site determination unit 102, and a stimulation treatment unit 104.

청력 진단부(100)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신호음을 제공하고 신호음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여부를 통해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한다. The hearing diagnosis unit 100 provides a user with a beep sound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nd measures the hearing of the user in each frequency band based on whether the user responds to the beep.

여기서 청력 측정은 PTA(Pure Tone Audiometry, 순음청력검사), OAE(Otoacoustic Emission, 이음향방사검사), ERA(Evoked Response Audiometry)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ring measurement may be performed through PTA (Pure Tone Audiometry), OAE (Otoacoustic Emission), ERA (Evoked Response Audiometry), and the lik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력 진단부(100)는 종래와 같이 1 옥타브 해상도가 아닌 1 옥타브를 보다 세분화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을 제공함으로써 손상된 청각 세포의 위치 및 손상 정도를 판별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ing diagnosis unit 100 determines the location and the damage degree of damaged auditory cells by providing a beep tone of a frequency band which is further divided into 1 octave instead of 1 octave resolution.

바람직하게, 청력 진단부(100)는 1/k 옥타브 해상도(여기서, k는 2이상의 자연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옥타브에서 1/24 옥타브의 고해상도의 각 주파수 대역별 신호음을 피검자인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청력을 검사한다. Preferably, the hearing diagnosis unit 100 is a user who is a test subject for each frequency band having a high resolution of 1 / k octave resolution (where k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more preferably 1/3 octave to 1/24 octave Have your hearing checked.

이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신호음은 중주파인 250 내지 12000Hz 범위 내에서 제공될 수 있으며, 중주파 범위를 최대 1/24 옥타브 해상도로 분할하는 경우 사용자의 청각 세포 영역이 134개의 주파수 대역(청각 세포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ones provided to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in a range of 250 to 12000 Hz, which is a medium frequency. When the mid frequency range is divided into resolutions up to 1/24 octave, the user's auditory cell region is divided into 134 frequency bands (acoustic cell region). Can be defined.

청력 검사 시, 134개의 주파수 대역 중 선택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신호음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사용자는 볼륨이 조정된 신호음에 대한 응답 정보를 입력한다. During the hearing test, a beep for the selected frequency band among the 134 frequency bands is provided to the user, and the user inputs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volume-adjusted beep.

볼륨 조정에 따른 사용자의 응답 정보는 각각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에 대한 청력 역치로 저장된다. 여기서, 주파수 대역이 청력 역치는 이에 대한 주파수특이성을 갖는 청각 세포 영역의 청력 역치를 의미한다. The user's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volume adjustment is stored as a hearing threshold for each of the tones of the selected frequency band. Here, the hearing threshold of the frequency band refers to the hearing threshold of the auditory cell region having frequency specificity thereto.

자극 부위 판별부(102)는 각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에 대한 청력 역치를 이용 하여 자극 부위를 판별한다. The stimulation part discrimination unit 102 determines the stimulation part by using a hearing threshold for the signal sound of each frequency band.

여기서 자극 부위의 판별은 음향 신호 자극이 제공될 청각 세포 영역을 판별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상된 청각 세포 영역이 특이성을 갖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것이다.Here, the discrimination of the stimulus site is to determine the auditory cell region to which the acoustic signal stimulus is to be provided, and more particularly, to determine a frequency band in which the damaged auditory cell region has specificity.

자극 치료부(104)는 자극 부위 판별부(102)에 의해 손상된 것으로 결정된 청각 세포 영역의 주파수 대역으로 미리 설정된 강도의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The stimulation treatment unit 104 outputs an acoustic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intensity in the frequency band of the auditory cell region determined to be damaged by the stimulation site determination unit 102.

여기서 음향 신호는 기 저장된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의 청력 역치보다 미리 설정된 수치만큼 높은 데시벨의 강도로 제공될 수 있다. Herein, the acoustic signal may be provided at an intensity of decibels which is higher by a predetermined value than the hearing threshold in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신호는 진폭변조음, 주파수변조음, 펄스음, 진폭변조협대역잡음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나아가 음향 신호는 손상된 청각 세포 영역이 복수 개인 경우, 손상이 심한 순으로 순차적으로 또는 랜덤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손상된 복수의 청각 세포 영역에 대해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coustic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amplitude modulation sound, frequency modulation sound, pulse sound, amplitude modulation narrowband noise. Furthermor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amaged auditory cell regions, the acoustic signals may be provided sequentially or randomly in the order of severe damage, and may be provided simultaneously for a plurality of damaged auditory cell regions.

이처럼 사용자의 손상된 청각 세포 영역에 다양한 강도, 유형 및 순서로 음향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의 청력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As such, when the acoustic signal is provided to the damaged auditory cell area of the user in various intensities, types, and orders, the user's hearing may be improved.

하기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세포 자극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2 looks at the auditory cell stimu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세포 자극 장치의 상세 블록도이다. Figure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auditory cell stim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력 진단부(100)는 UI 출력부(200) 및 응답 정보 저장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hearing diagnosis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UI output unit 200 and a response information storage unit 202.

본 발명에 따른 UI 출력부(200)는 청력 측정에 있어 숙련된 전문가가 아닌 피검자인 사용자 스스로 청력을 진단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와우 모형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232)에 출력한다. The UI output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cochlear model interface as shown in FIG. 3 to the display unit 232 so that a user who is not an expert in hearing measurement can diagnose the hearing on his ow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우 모형 인터페이스는 고해상도로 분할된 복수의 청각 세포 영역에 상응하는 이미지(300)를 포함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cochlear implant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300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auditory cell regions segmented at high resolution.

여기서 청력 진단의 대상이 되는 전체 주파수 범위가 중주파에 해당하는 250 내지 12000Hz이고, 이를 1/24 옥타브 해상도로 분할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와우 모형 인터페이스는 총 134개의 청각 세포 영역 이미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청각 세포 영역 이미지는 소정 옥타브 해상도로 분할된 주파수 범위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검사자의 주파수 선택을 위한 이미지로 이용되며, 이러한 주파수 선택 이미지가 포함된 인터페이스는 와우 모형 인터페이스 외에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case, when the total frequency range of the hearing diagnosis is 250 to 12000 Hz, which corresponds to the medium frequency, and splits it into 1/24 octave resolution, the cochlear model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tal of 134 auditory cell region images 300. can do. Here, the auditory cell region image is used to identify a frequency range divided by a predetermined octave resolution. The auditory cell region image is used as an image for selecting a frequency of an examiner. I can have it.

청력 측정을 위해 사용자가 복수의 청각 세포 영역 이미지(300)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청각 세포 영역 이미지에 매칭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이 출력된다.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auditory cell region images 300 for hearing measurement, a tone of a frequency band matched to the selected auditory cell region image is output.

여기서 청각 세포 영역 이미지에 매칭된 주파수 대역은 해당 청각 세포 영역이 특이성을 갖는 주파수 대역을 의미한다. Here, the frequency band matched to the auditory cell region image means a frequency band in which the auditory cell region has specificity.

여기서, 청각 세포 영역 이미지(300)의 선택은 키버튼, 마우스 또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selection of the auditory cell region image 300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using a key button, a mouse, or a touch screen.

신호음 출력 시 사용자는 볼륨 컨트롤(302)을 조정을 통해 신호음의 강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신호음이 들리지 않은 지점에 대한 응답 정보를 입력한다. When the beep is output, the user may adjust the intensity of the beep by adjusting the volume control 302 and input response information about a point at which the beep is not heard.

응답 정보 저장부(202)는 사용자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각 신호음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220)는 키패드, 마우스 또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응답 정보는 해당 신호음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청력 역치로 저장될 수 있다. The response information storage unit 202 receives and stores the response information of the user for each of the tone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220. The user input unit 220 may be a keypad, a mouse, or a touch screen. As described above, the user's response information may be stored as a hearing threshold in the frequency band of the corresponding signal tone.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청각 세포 영역에 대한 청력 측정이 수행될 수 있다. In this manner, hearing measurements for a plurality of auditory cell regions can be perform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극 부위 판별부(102)는 청력 역치 비교부(204) 및 타겟 주파수 대역 결정부(206)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stimulus site determiner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earing threshold comparator 204 and a target frequency band determiner 206.

청력 역치 비교부(204)는 응답 정보 저장부(202)에 저장된 사용자의 청력 역치와 기준 청력 역치를 비교한다. The hearing threshold comparison unit 204 compares the user's hearing threshold and the reference hearing threshold stored in the response information storage unit 202.

청력 역치 비교부(204)는 측정의 대상이 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청력 역치가 기준 청력 역치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단하며, 타겟 주파수 대역 결정부(206)는 청력 역치의 비교를 통해 치료가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타겟 주파수 대역으로 결정한다. The hearing threshold comparison unit 204 determines whether the hearing threshold in the frequency band to be measured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hearing threshold, and the target frequency band determination unit 206 compares the hearing threshold to the frequency band in need of treatment. Is determined as the target frequency band.

여기서 타겟 주파수 대역의 결정은 손상된 청각 세포 영역을 판단하는 것으로서, 청력 진단부(100)에서와 같이 1/k 옥타브 해상도 단위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높은 청력 역치를 갖는 인접한 청각 세포 영역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 범위가 타겟 주파수 대역으로 결정될 수 있다. Here, the determination of the target frequency band is to determine the damaged auditory cell region, and may be determined in units of 1 / k octave resolution as in the hearing diagnosis unit 1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frequency band range corresponding to an adjacent auditory cell region having a high hearing threshold may be determined as the target frequency band.

상기와 같이 결정된 하나 이상의 타겟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손상이 심한 순서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칭되어 메모리부(208)에 저장된다. The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target frequency band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and severe order information that are damaged are matched with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208.

본 발명에 따른 자극 치료부(104)는 음향 신호 강도 결정부(210), 음향 신호 유형 결정부(212), 자극 순서 결정부(214), 음향 신호 출력부(216) 및 타이머부(218)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부(208)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음향 신호를 제공한다. The stimulation treatment unit 10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oustic signal intensity determiner 210, an acoustic signal type determiner 212, a stimulation order determiner 214, an acoustic signal output unit 216, and a timer 218. It may include, and provides a sound signal to the user by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208.

음향 신호 강도 결정부(210)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음향 신호의 강도를 결정한다. The sound signal strength determiner 210 determines the strength of the sound signal to be provided to the user.

바람직하게, 음향 신호 강도 결정부(210)는 각 타겟 주파수 대역에서의 청력 역치보다 3 내지 20 데시벨만큼 큰 강도를 해당 타겟 주파수 대역에서의 음향 신호 강도로 결정한다. Preferably, the sound signal strength determiner 210 determines an intensity greater by 3 to 20 decibels than the hearing threshold in each target frequency band as the sound signal strength in the target frequency band.

*만일, 타겟 주파수 대역이 인접한 개별 청각 세포 영역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 범위로 결정된 경우, 음향 신호 강도 결정부(210)는 각 청각 세포 영역의 청력 역치 평균값에서 3 내지 20 데시벨만큼 큰 만큼을 음향 신호의 강도로 결정할 수 있다.* If the target frequency band is determined to be the frequency band range corresponding to the adjacent individual auditory cell region, the acoustic signal intensity determiner 210 is a sound signal as much as 3 to 20 decibels from the average hearing threshold value of each auditory cell region. It can be determined by the intensity of.

보다 바람직하게, 음향 신호의 강도는 3 내지 10 데시벨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strength of the acoustic signal can be determined within the range of 3 to 10 decibels.

음향 신호 유형 결정부(212)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치료가 요구되는 사용자의 난청 정도 또는 타겟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음향 신호의 유형을 결정한다. The acoustic signal type determiner 212 determines the type of the acoustic signal to be provided to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hearing loss or the target frequency band of the user requiring the user's selection or treatment.

본 발명에 따르면, 음향 신호의 소스음은 진폭변조음, 주파수변조음, 지속음, 펄스음 및 진폭변조협대역잡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음향 신호 유형 결정부(212)는 상기한 소스음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음향 신호로 결정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rce sound of the sound signal may include an amplitude modulation sound, a frequency modulation sound, a continuous sound, a pulse sound, and an amplitude modulation narrowband noise, and the like. Determine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thereof as an acoustic signal to provide to the user.

자극 순서 결정부(214)는 역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치료가 요구되는 사용자의 난청 정도 또는 타겟 주파수 대역의 인접 정도를 고려하여 복수의 타겟 주파수 대역에 대한 음향 신호 출력 순서를 결정한다. The stimulation order determiner 214 also determines the sound signal output order for the plurality of target frequency bands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hearing loss of the user or the proximity of the target frequency bands, which is required for the user's selection or treatment.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자극 순서 결정부(214)는 손상이 가장 심한 청각 세포 영역의 주파수 대역부터 시작하여 손상이 심한 순으로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timulation order determiner 2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that the acoustic signals are output in the order of the severe damage starting from the frequency band of the auditory cell region in which the damage is most severe.

그러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자극 순서 결정부(214)는 랜덤하게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것으로 또는 복수의 타겟 주파수 대역에 대한 음향 신호가 동시에 출력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imulation order determiner 214 may randomly output a sound signal or simultaneously output sound signals for a plurality of target frequency bands.

음향 신호 출력부(216)는 상기와 같이 결정된 강도, 유형 및 순서를 갖는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The acoustic signal output unit 216 outputs an acoustic signal having the strength, type, and order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이때, 복수의 타겟 주파수 대역이 존재하고 각 타겟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개별적으로 출력되는 경우, 각 음향 신호의 출력 시간이 설정될 수 있으며, 타이머부(218)는 각 음향 신호의 출력 시간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음향 신호 출력부(216)가 다음 타겟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거나 또는 음향 신호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case, when a plurality of target frequency bands exist and sound signals of each target frequency band are individually output, the output time of each sound signal may be set, and the timer unit 218 ends the output time of each sound signal. The sound signal output unit 216 outputs the sound signal of the next target frequency band or terminates the output of the sound signal.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UI 출력부(200)는 사용자의 청력 치료를 위한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음향 신호의 출력 여부, 강도 및 유형 등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와우 모형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한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I signal 200 outputs an acoustic signal for hearing treatment of the user, the UI output unit 200 may visually identify whether the acoustic signal is output, intensity, and type. Output the information on the cochlear model interface.

예를 들어, UI 출력부(200)는 제어부(2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현재 출력되고 있는 음향 신호의 주파수 대역(타겟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는 청각 세포 영역 이미지(300)의 색상 또는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UI output unit 200 changes the color or size of the auditory cell region image 300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band (target frequency band) of the currently output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230. You can.

음향 신호가 진폭변조음인 경우, UI 출력부(200)는 진폭변조음의 진폭 변화에 동기화하여 해당 청각 세포 영역 이미지(300)의 색상 또는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When the acoustic signal is an amplitude modulation sound, the UI output unit 200 may change the color or size of the auditory cell region image 300 in synchronization with the amplitude change of the amplitude modulation sound.

또한, 음향 신호가 주파수변조음인 경우, UI 출력부(200)는 주파수변조음의 주파수 변화에 동기화하여 변화된 주파수에 해당하는 청각 세포 영역 이미지(300)의 색상 또는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ound signal is a frequency modulation sound, the UI output unit 200 may change the color or size of the auditory cell region image 300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frequency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requency change of the frequency modulation sound.

음향 신호가 지속음 또는 펄스음인 경우, UI 출력부(200)는 해당 청각 세포 영역 이미지(300)의 색상 또는 크기 변화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향 신호가 지속음 또는 펄스음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sound signal is a continuous sound or a pulse sound, the UI output unit 200 may recognize that the sound signal currently being reproduced is a sustain sound or a pulse sound by changing the color or size of the auditory cell region image 300. do.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와우 모형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각 청각 세포 영역의 청력이 개선되고 있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Furthermore, the cochlear model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check whether the hearing of each auditory cell region is improving.

본 발명에 따른 UI 출력부(200)는 청력 진단에 따라 결정된 타겟 주파수 대 역의 청각 세포 영역 이미지(300)를 다른 청각 세포 영역 이미지와 구별되도록 표시하며, 손상된 청각 세포 영역의 이미지(300)를 손상 정도에 따라 다른 색상 또는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The UI output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auditory cell region image 300 of the target frequency band determined according to the hearing diagnosis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auditory cell region images, and displays the damaged auditory cell region image 300. Depending on the degree of damage, it can b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or sizes.

이후 UI 출력부(200)는 음향 신호 자극 후 각 청각 세포 영역의 개선 정도에 따라 해당 청각 세포 영역 이미지(300)의 색상 또는 크기를 변화시켜 사용자가 청력의 개선 정도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Thereafter, the UI output unit 200 changes the color or size of the auditory cell region image 300 according to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each auditory cell region after the acoustic signal stimulation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check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hearing.

청력의 개선 정도는 타겟 주파수 대역에 대한 청력 역치를 다시 측정함으로써 판단될 수 있다.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hearing can be determined by re-measuring the hearing threshold for the target frequency band.

하기에서는 도 4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력 진단 및 청력 개선 방법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looks at the hearing diagnosis and hearing improv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력 진단 과정의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of a hearing diagnosis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청각 세포 자극 장치의 디스플레이부(232)가 터치스크린인 경우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4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display unit 232 of the auditory cell stimulation device is a touch screen.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청력 진단 요청이 있는 경우, 청각 세포 자극 장치는 터치스크린(232) 상에 도 3의 와우 모형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단계 400).Referring to FIG. 4,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for hearing diagnosis, the auditory cell stimulation device outputs the wow model interface of FIG. 3 on the touch screen 232 (step 400).

와우 모형 인터페이스는 중주파가 최대 1/24 옥타브의 고해상도로 분할된 주파수 대역을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복수의 청각 세포 영역 이미지를 포함한다. The cochlear model inte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auditory cell region images capable of visually identifying frequency bands in which the mid-frequency is split at high resolution of up to 1/24 octaves.

사용자가 와우 모형 인터페이스 상의 청각 세포 영역 이미지(300)를 선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단계 402),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 해당 청각 세포 영역 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을 출력한다(단계 40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selects the auditory cell region image 300 on the cochlear model interface (step 402), and if there is a user's selection, a tone of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auditory cell region is output (step 404).

이후 청각 세포 자극 장치는 사용자의 응답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406).The auditory cell stimulation apparatus then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response information is received (step 406).

사용자는 신호음이 들리는지 여부에 따라 볼륨을 조정할 수 있으며, 볼륨 조정을 통해 신호음이 들리지 않는 지점에 대한 응답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The user may adjust the volum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beep is heard, and input the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point at which the beep is not heard through the volume adjustment.

사용자의 응답 정보는 각 신호음에 대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청력 역치로 저장되며(단계 408), 사용자의 응답 정보 입력이 완료된 후 청각 세포 자극 장치는 각 신호음에 대한 주파수 대역에 대한 사용자의 청력 역치를 기준 청력 역치와 비교한다(단계 410).The user's response information is stored as a hearing threshold in the frequency band for each beep (step 408), and after the user's input of the response information is completed, the auditory cell stimulation device references the user's hearing threshold for the frequency band for each beep. Compare to hearing threshold (step 410).

청력 역치 비교를 통해 음향 신호 자극이 필요한 타겟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며(단계 412), 타겟 주파수 대역에 관련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단계 414).The hearing threshold comparison determines a target frequency band for which acoustic signal stimulation is required (step 412), and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target frequency band in a memory (step 414).

여기서 타겟 주파수 대역에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 청력 진단을 수행한 주파수 대역의 청력 역치 정보, 타겟 주파수 대역 정보, 손상이 심한 순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arget frequency band may includ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aring threshold information of a frequency band in which a hearing diagnosis is performed, target frequency band information, severe damage order information, and the like.

개별 신호음이 1/24 옥타브 해상도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되는 경우 타겟 주파수 대역은 개별 신호음의 주파수 대역별로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평균 청력 역치가 기준치보다 높은 소정 주ㅁ파수 대역 범위로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individual tones are divided into frequency bands of 1/24 octave resolution, the target frequency band may be determined for each frequency band of the individual tones. However, the target frequency band is not limited thereto, but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in which the average hearing threshold of the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determined by the range.

예를 들어, 중주파를 1/24 옥타브 해상도로 분할하여 각각 5920 내지 6093Hz, 6093 내지 6272Hz, 6272 내지 6456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개별 신호음으 로 청력을 측정한 경우, 타겟 주파수 대역은 각 구간 별로 또는 세 개의 구간을 포함하는 5920 내지 6456Hz 단위로 결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hearing is measured with individual tones having frequency bands of 5920 to 6093 Hz, 6093 to 6272 Hz, and 6272 to 6456 Hz by dividing the mid frequency into 1/24 octave resolution, the target frequency band is divided into three or three sections. It may be determined in units of 5920 to 6456 Hz including two section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세포 자극 과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5 illustrates a flow chart of the auditory cell stimul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타겟 주파수 대역이 결정된 후에 청각 세포 자극 장치는 타겟 주파수 대역의 강도, 유형 및 순서 등을 결정하여 사용자의 청력 개선을 위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After the target frequency band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auditory cell stimulation apparatus determines the intensity, type, and order of the target frequency band, and outputs an acoustic signal for improving the hearing of the user.

도 5를 참조하면, 청각 세포 자극 장치는 사용자의 음향 신호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단계 500), 메모리부(208)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타겟 주파수 대역에 관련된 정보를 독출한 후 타겟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에 대한 강도를 결정한다(단계 502). Referring to FIG. 5, when the acoustic cell stimulation apparatus requests a user to provide an acoustic signal (step 500), the acoustic cell stimulation apparatus reads information related to the target frequency band of the user from the memory unit 208, and then the acoustic signal of the target frequency band. Determine the intensity for (step 502).

음향 신호의 강도 결정과 함께 타겟 주파수 대역의 유형 결정(단계 504) 및 음향 신호의 출력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506).Along with determining the strength of the acoustic signal,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type of the target frequency band (step 504) and the output order of the acoustic signal (step 506).

전술한 바와 같이, 음향 신호의 출력 순서는 손상이 심한 타겟 주파수 대역 순으로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랜덤하게 또는 동시에 제공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utput order of the acoustic signals may be determined in order of target frequency bands in which damage occurs, bu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termined to be provided randomly or simultaneously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이후 결정된 강도, 유형 및 순서에 따라 음향 신호가 출력된다(단계 508). A sound signal is then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ed intensity, type and order (step 508).

청각 세포 자극 장치는 손상된 순서대로 또는 랜덤하게 음향 신호가 제공되고 있는 경우, 하나의 음향 신호 출력 시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단계 510), 출력 시간이 종료되는 경우 다음 타겟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512).The auditory cell stimulation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one sound signal output time has expired (step 510) when the sound signal is being provided in the damaged order or randomly, and if the output time has expired, the acoustic signal of the next target frequency band. (Step 512).

한편,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청각 세포 자극 장치는 음향 신호의 출력 여부, 진폭 변화, 주파수 변화 또는 펄스 주기에 동기화하여 와우 모형 인터페이스의 청각 세포 영역 이미지(300) 색상 또는 크기를 변화시킨다.Meanwhile, when an acoustic signal is output, the auditory cell stimulation apparatus changes the color or size of the auditory cell region image 300 of the cochlear model interface in synchronization with whether the acoustic signal is output, amplitude change, frequency change, or pulse period.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세포 자극 방법은 사용자 또는 병원 등에 구비된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나 원격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The auditory cell stim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computer or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in a user or a hospital, or may be provided through a network at a remote loca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력 개선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aring improveme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력 개선 서비스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클라이언트(402)와 연결된 청력 개선 서버(60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hearing improveme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earing improvement server 600 connected to one or more user clients 402 through a network.

여기서 네트워크는 인터넷, 전용선을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인터넷, 이동 통신망 및 위성 통신망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may include both the Internet, a wired network including a dedicated line, and a wireless network including a wireless Internet,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에 따른 청력 개선 서버(600)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클라이언트(602)로 도 3과 같은 와우 모형 인터페이스의 출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할 수 있다. The hearing improvement server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an application capable of outputting the wow model interface as shown in FIG. 3 to the user client 602 when a user request is received.

여기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다운로드 방식 또는 웹페이지에 삽입된 방식과 같이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Here, the application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a download method or a method inserted into a web page.

와우 모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소정 청각 세포 영역 이미지(300)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선택한 청각 세포 영역에 상응하 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auditory cell region image 300 through the cochlear model interface, the application may output a beep in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auditory cell region selected by the user.

이후 사용자가 신호음의 볼륨 조정을 통해 신호음이 들리지 않은 지점에 대한 응답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 클라이언트(602)는 사용자의 응답 정보를 청력 개선 서버(600)로 전송한다. Then, when the user inputs the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point where the tone is not heard by adjusting the volume of the tone, the user client 602 transmits the response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hearing improvement server 600.

청력 개선 서버(600)는 도 1 및 도 2와 도시된 바와 같은 자극 부위 판별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응답 정보를 이용하여 치료가 필요한 타겟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The hearing improvement server 600 includes a stimulation site determination unit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determines target frequency bands that require treatment using response information of the user.

또한 청력 개선 서버(600)는 타겟 주파수 대역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며,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타겟 주파수 대역의 강도, 유형, 순서 등을 결정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타겟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hearing improvement server 600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target frequency band, and provides a sound signal of the target frequency band through the network by determining the strength, type, order, etc. of the target frequency band at the user's request.

사용자 클라이언트(602)는 상기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스피커가 구비된 단말이면 가능하며 데스크탑, 노트북 및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client 602 may execute the above application, and may be a terminal equipped with a speaker, and may include all of a desktop, a notebook,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like.

이러한 사용자 클라이언트(602)는 청력 개선 서버(600)에서 제공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청각 세포에 자극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user client 602 outputs an acoustic signal provided from the hearing improvement server 600 so that the user's auditory cells can be stimulated.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세포 자극 장치에 의한 청력 개선 정도는 실험으로 확인된다. The degree of hearing improvement by the auditory cell stimu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rmed by experiment.

도 7은 한 피험자의 순음청력검사 결과 그래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청력 진단부를 이용하여 2000 내지 8000Hz 영역의 청력을 1/24 옥타브 해상도로 검사한 결과이다. FIG. 7 is a graph of a net hearing test result of one subject, and the hearing test in the range of 2000 to 8000 Hz using the hearing diagnosis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at 1/24 octave resolu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피험자는 약 3000 내지 7000Hz 영역에서 우측 귀에 경중도 난청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it can be seen that the subject has moderate hearing loss in the right ear in the region of about 3000 to 7000 Hz.

도 8은 도 7의 피험자에 대해 결정된 타겟 주파수 대역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7에 결과를 갖는 피험자에 대해 먼저 50dBHL에 가까운 청력 역치를 보이는 5920 내지 6840 Hz 주파수 대역 범위를 타겟 주파수 대역으로 결정하였다.FIG. 8 illustrates the target frequency band determined for the subject of FIG. 7, with a range of 5920 to 6840 Hz frequency bands showing a hearing threshold close to 50 dBHL for the subject having the results in FIG. 7 as the target frequency band.

도 8과 같이 결정된 타겟 주파수 대역에 대해 주파수변조음 또는 진폭변조협대역잡음 신호를 우측 귀에만 15일 동안 아침 30분 저녁 30분 단위로 음향 신호를 제공하였다. For the target frequency band determined as shown in FIG. 8, a frequency modulated sound or an amplitude modulated narrowband noise signal was provided to the right ear only for 15 days in the morning 30 minutes and evening 30 minute units.

이때, 음향 신호의 강도는 5 내지 10 dBSL(sensational level) 정도로 조절하였다. At this time, the intensity of the acoustic signal was adjusted to about 5 to 10 dBSL (sensational level).

도 9는 음향 신호 자극의 스케줄을 도시한 것으로서, 음향 신호 자극을 주기 전, 10일간 음향 신호 자극을 준 후 그리고 5일 더, 즉 15일간 음향 신호 자극을 준 후에 각각 청력 검사를 시행하여 청력 역치를 비교하였다. 9 illustrates a schedule of acoustic signal stimulation, and the hearing threshold is performed before each acoustic signal stimulus, after the acoustic signal stimulus for 10 days, and for 5 more days, that is, after the acoustic signal stimulation for 15 days, respectively. Was compared.

청력 검사는 검사 간에 오차로 인한 실험 해석의 오류가 생기지 않도록 1/24 옥타브 해상도의 청력 검사를 각각 10회 시행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Hearing test was performed by 10 hearing tests with 1/24 octave resolution to obtain the average value so that the error of experimental interpretation due to the error between tests was not obtained.

도 10은 우측 귀의 음향 자극 제공 전과 음향 자극 제공 10일 후의 청력 검사 결과를 비교한 표이며, 도 11은 우측 귀의 음향 자극 제공 10일 후와 15일 후의 청력 검사 결과를 비교한 표이다. FIG. 10 is a table comparing the hearing test results before the acoustic stimulus is provided to the right ear and 10 days after the acoustic stimulus is provided, and FIG. 11 is a table comparing the hearing test results after the 15 days after the acoustic stimulus is provided to the right ear.

도 10 내지 도 11을 살펴보면, 음향 신호 자극 제공 후에 타겟 주파수 대역 에서의 청력 역치가 낮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청력이 개선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10 to 11, it can be seen that hearing is improved in that a hearing threshold in a target frequency band is lowered after providing an acoustic signal stimulus.

또한, 도 12는 음향 신호 자극 제공 전 후의 피험자 우측 귀의 청력 역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12 is a graph showing the hearing threshold of the subject's right ear before and after providing the acoustic signal stimulus.

도 12를 살펴보면, 음향 신호 자극 전에 5920 내지 6840 Hz 주파수 대역의 우측 귀 청력 역치는 평균 45.4 dBHL이었으나, 10일간의 음향 신호 자극 후 청력 역치가 38.2dBHL로 낮아졌으며, 15일 후에는 34.2dBHL로 낮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average ear hearing threshold in the 5920 to 6840 Hz frequency range was 45.4 dBHL on average before the acoustic signal stimulation, but the hearing threshold was lowered to 38.2 dBHL after 10 days of acoustic signal stimulation, and to 34.2 dBHL after 15 days. You can see that you lost.

이와 같은 결과의 각각은 유의 수준에서 의미가 있는 결과라 할 수 있다. Each of these results can be said to be meaningful at the significance level.

도 13은 우측 귀에 대해 음향 신호 자극이 중단된 후에 청력 개선 효과가 지속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스케줄을 도시한 것이다. FIG. 13 shows a schedule for confirming that the hearing improvement effect continues after the acoustic signal stimulation is stopped for the right ear.

음향 신호 자극 중단 후 5일부터 18일 후까지 청력 검사를 시행하였다. Hearing tests were performed from 5 to 18 days after the acoustic signal stimulation was stopped.

도 14는 음향 신호 자극 중단 후 우측 귀에 대한 청력 검사 표이며, 도 15는 도 14의 표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14 is a hearing test table for the right ear after stopping the acoustic signal stimulation, and FIG. 15 graphically shows the table of FIG. 14.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음향 신호 자극 중단 후에도 청력 개선 효과가 지속되고 있으며, 음향 신호 자극 중단 후 18일 후에도 약 7.9 dB의 청력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4 to 15, it can be seen that the hearing improvement effect continues after the acoustic signal stimulation is stopped, and the hearing improvement effect is about 7.9 dB even after 18 days after the acoustic signal stimulation is stopped.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도 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세포 자극 장치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auditory cell stimula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세포 자극 장치의 상세 블록도.Figure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auditory cell stim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우 모형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3 illustrates a cochlear model interfa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력 진단 과정의 순서도.4 is a flow chart of a hearing diagnostic proces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세포 자극 과정의 순서도.5 is a flow chart of an auditory cell stimul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력 개선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aring improveme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한 피험자의 순음청력검사 결과 그래프.7 is a graph of the net hearing test results of one subject.

도 8은 도 7의 피험자에 대해 결정된 타겟 주파수 대역을 도시한 도면.8 illustrates a target frequency band determined for the subject of FIG. 7. FIG.

도 9는 음향 신호 자극의 스케줄을 도시한 도면. 9 illustrates a schedule of acoustic signal stimulation.

도 10은 우측 귀의 음향 자극 제공 전과 음향 자극 제공 10일 후의 청력 검사 결과를 비교한 표를 도시한 도면.FIG. 10 is a table comparing hearing test results before and after 10 days of acoustic stimulation.

도 11은 우측 귀의 음향 자극 제공 10일 후와 15일 후의 청력 검사 결과를 비교한 표를 도시한 도면.FIG. 11 is a table comparing hearing test results 10 days after and 15 days after the acoustic stimulation of the right ear.

도 12는 음향 신호 자극 제공 전 후의 피험자 우측 귀의 청력 역치를 도시한 그래프.12 is a graph depicting the hearing threshold of the subject's right ear before and after providing acoustic signal stimulation.

도 13은 우측 귀에 대해 음향 신호 자극이 중단된 후에 청력 개선 효과가 지속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스케줄을 도시한 도면. FIG. 13 shows a schedule for confirming whether a hearing improvement effect persists after the acoustic signal stimulus is stopped for the right ear.

도 14는 음향 신호 자극 중단 후 우측 귀에 대한 청력 검사 표를 도시한 도면.14 shows a hearing test table for the right ear after stopping acoustic signal stimulation.

도 15는 도 14의 표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 FIG. 15 graphically illustrates the table of FIG. 14;

Claims (1)

(a)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손상된 청각 세포 영역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판별하는 단계;(a) determining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damaged auditory cell region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b) 상기 손상된 청각 세포 영역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타겟 주파수 대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b) determining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damaged auditory cell region as a target frequency band; And (c) 상기 손상된 청각 세포 영역을 자극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타겟 주파수 대역으로 소정 강도를 갖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향 자극을 이용한 청각 세포 자극 방법.and (c)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intensity to the determined target frequency band to stimulate the damaged auditory cell region.
KR1020090135829A 2009-12-31 2009-12-31 Method and apparatus of the hair cell stimulation using acoustic signal KR201000219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829A KR20100021992A (en) 2009-12-31 2009-12-31 Method and apparatus of the hair cell stimulation using acoustic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829A KR20100021992A (en) 2009-12-31 2009-12-31 Method and apparatus of the hair cell stimulation using acoustic signa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477A Division KR100963888B1 (en) 2007-12-10 2007-12-10 Method and Apparatus of the Hair Cell Stimulation using Acoustic Sig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992A true KR20100021992A (en) 2010-02-26

Family

ID=42091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829A KR20100021992A (en) 2009-12-31 2009-12-31 Method and apparatus of the hair cell stimulation using acoustic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199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888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the Hair Cell Stimulation using Acoustic Signal
KR101600080B1 (en) Hearing test method and apparatus
Nelson et al. Spatial tuning curves from apical, middle, and basal electrodes in cochlear implant users
Ricketts et al. The effect of test signal type and bandwidth on the categorical scaling of loudness
KR101003379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treating tinnitus
CN107049333A (en) Auditory identification susceptibility test method
Kluk et al. Detecting dead regions using psychophysical tuning curves: A comparison of simultaneous and forward masking: La detección de regiones muertas utilizando curvas psicofísicas de afinamiento: Una comparación del enmascaramiento simultáneo y el anterógrado
US20120072213A1 (en) Speech sound intelligibility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therefor
CN107320109B (en) Frequency identification test method
JP2023171663A (en) System and method for validation of hearing aids for infants using speech signal
US20140371623A1 (en) Electrophysiology-based cochlea dead region detec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for detecting cochlea dead region using the same
Simpson et al. Benefits of audibility for listeners with severe high-frequency hearing loss
Veugen et al. Effect of extreme adaptive frequency compression in bimodal listeners on sound localization and speech perception
Rhebergen et al. Characterizing the speech reception threshold in hearing-impaired listeners in relation to masker type and masker level
CN101919698B (en) Use the method and apparatus of acoustical signal stimulating hair cells
CN108742641A (en) The method of independent binary channels sound test Auditory identification susceptibility
Montazeri et al. Predicting speech reception thresholds of cochlear implant users using a modified envelope based measure
KR20100021992A (en) Method and apparatus of the hair cell stimulation using acoustic signal
RU2525223C2 (en) Method of stimulating area of hair sensor cells
van Esch et al. Measuring spectral and temporal resolution simultaneously: a comparison between two tests
Xing et al. Evaluation of Apple iOS-based automated audiometry
Handzel et al. Smartphone based hearing evaluation
CA2666155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imulating a hair cell using an acoustic signal
US110709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ring improvement based on cochlear model
AU20092020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imulating a hair cell using an acoustic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