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894A -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에 대한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에 대한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21894A KR20100021894A KR1020080080553A KR20080080553A KR20100021894A KR 20100021894 A KR20100021894 A KR 20100021894A KR 1020080080553 A KR1020080080553 A KR 1020080080553A KR 20080080553 A KR20080080553 A KR 20080080553A KR 20100021894 A KR20100021894 A KR 201000218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sire
- user
- needs
- care
- ser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41000282414 Homo sapien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7418 data m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1867 re-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972 statistical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354 dai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066 decision tre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84 transportation and deli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223 couns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80 data coll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735 defic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54 physical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39 pla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2942 Apat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1290 Central nervous system le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356 Congenital anomal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571 Visual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42 behaviou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0 cross-valid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99 data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70 groo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6354 hearing los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9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38 pru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19 statis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62 ve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257 visi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3 visual impair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55 vo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2 week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들(노인, 장애인, 여성, 아동 등 사회복지적 개입이 필요한 대상자)의 욕구를 분석하여 작성된 각 욕구의 의사결정모형과 통계 요약을 바탕으로 지역사회내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들의 케어플랜 수요를 파악하고, 시설, 인적, 물적 자원에 바탕을 둔 프로그램에 따라 실시간 서비스 공급을 검색 및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들에 대한 케어플랜을 효율적으로 서비스하여 복지 계획을 정확하고 과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를 위한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은, 서비스 제공 기관의 시설자원 정보, 인적 자원 정보, 또는 물적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단계, 상기 자원 정보에 기초한 케어 관리 프로그램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단계, 및 케어플랜 가이드에 따라 사용자의 욕구에 대한 상기 케어 관리 프로그램을 케어플랜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정 항목, 사정 도구, 데이터마이닝, 의사결정모형, 통계요약, 자원, 프로그램, 케어플랜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노인, 장애인, 여성, 아동 등 사회복지적 개입이 필요한 대상자)에 대한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들의 욕구를 분석하여 작성한 각 욕구의 의사결정모형과 통계 요약을 바탕으로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들의 케어플랜 수요를 파악하고, 시설, 인적, 물적 자원에 바탕을 둔 프로그램에 따라 실시간 서비스 공급을 검색 및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들에 대한 케어플랜을 효율적으로 서비스하여 복지 계획을 정확하고 과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지역사회 중심의 재가 서비스는 증가하고, 시설 서비스는 감소하는 추세이다. 재가 서비스가 증대되는 이유는 시설 서비스에 비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성이 높기 때문이다.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하는 재가 서비스의 효과적인 전달 체계로는 사례관리가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경험적으로도 그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이렇게 사례관리가 주목받는 요인은 사례관리가 단순히 이용자의 욕구와 사회 자원을 연결하는 중재 또는 조정의 기능을 넘어서 이용자 스스로 생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임파워먼트를 지원하는 기능까지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사례관리는 일반적으로 사정, 계획, 실행, 모니터링과 재사정의 단계를 갖고 있는 순차적인 특징이 있다. 사정 단계를 통하여 계획을 작성할 수 있고, 케어플랜에 의하여 연계적인 서비스의 실시가 가능하다. 즉, 각각의 단계에서 정리된 상황은 다음 단계의 수행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례관리에서 연계성을 적합하게 활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특성을 살려서 사례관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실천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고, 그 역할을 잘 소화하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역량과 경험이 필요하며, 또한 실천가가 역량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자원이 필요하다.
사례관리에서 요구되는 자원을 내외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먼저 내적 자원은 체계적인 사정을 위한 사정도구와 사례관리 전산시스템, 유기적인 팀의 협력 등이 있으며, 외적자원으로는 욕구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자원과 각 기관과의 네트워크 체계 등이다. 이러한 자원체계가 확대되기 위해서는 학문적, 실천적, 정책적인 협력과 노력이 요구된다. 그 중에서도 학문적인 측면에서 요구되는 부분은 체계적인 사정체계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사례관리의 내적인 요구와 관련하여 재가 장애인 등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정이 체계적이지 못한 것이 현실이고, 체계적인 사정 도구 또한 개발되어 있지 못한 상황이다. 사정이 체계적이지 않기 때문에 욕구중심의 서비스가 제공되 지 못하고 이것은 사례관리의 효과성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사회복지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클라이언트의 특성과 욕구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사정의 체계화가 우선되어야 한다.
둘째, 외적자원의 측면에서는 지역사회단위의 충분한 복지서비스의 공급과 적절한 조절장치가 요구된다. 복지서비스 제공기관이 다양해지고, 그 영역 또한 증가하면서, 지역 내에 어떠한 서비스들이 어떻게 제공되고 있는지 검토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필요에 의한 서비스의 생산뿐만 아니라 생산된 서비스의 효율적인 소비 역시 필요 된다. 사회복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의 욕구사정과 함께 지역사회의 자원에 대한 정확한 사정 또한 욕구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처럼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들의 복지 증진을 위하여 지역사회자원관리와 사회복지업무를 지원하는 기존의 시스템으로는 국가복지정보시스템과 주민서비스포탈 등이 있다. 국가복지정보시스템은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업무와 회계, 시설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주민서비스포탈을 통해서는 지역사회에서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의 종류와 신청 방법 등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시스템은 격월 또는 분기별 서비스 자원현황을 업데이트하므로 현재의 자원의 현황을 파악할 수 없고, 서비스 제공기관의 적극적인 협조가 결여될 때에 기록된 DB의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서비스 연계를 위한 오프라인 활동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시스템의 강점인 신속성과 정확성이 부족하다. 즉, 복지 서비스 전달체계 내에서 지역 단위별 서비스 자원이 목록화되어 있지 못하며, 정부 또는 지역사회복지 협의체 차원의 복지자원DB는 이미 수개월 전의 정보를 담고 있을 뿐 이다. 자원의 소비형태나 잔존 현황을 관리하지 않음으로 인해서 서비스 공급의 초과나 부족에 대한 지역적 인지가 전무한 상태이다. 더욱이 정부차원의 지역사회복지계획이 의무화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3~5년의 일정한 기간이 경과된 이후에 실태조사를 통한 현황파악과 지역복지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지역 내 이용자의 변동추이나 서비스 이용추이에 대한 실제적 반영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서비스에 관련한 세부내용이 법령 또는 담당 공무원 정보만을 공개함으로 서비스의 직접 제공자나 기 참여자, 서비스의 장-단기 목표 등 실제적 정보를 접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들의 욕구를 분석하여 잠재적 수요량으로 정하고, 분석된 각 욕구의 의사결정모형과 통계 요약을 바탕으로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들의 케어플랜을 작성하도록 유도함으로, 작성된 케어플랜을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실제적 수요량으로 정한다. 또한, 사회복지기관의 시설, 인적, 물적 자원에 바탕을 둔 프로그램 관리툴에 따라 실시간 서비스 공급량을 검색 및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들의 케어플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지역단위의 복지서비스 효율성을 확보할 뿐 아니라 상기 자원량(공급량 및 수요량)을 바탕으로 지역단위 복지 계획수립을 위한 기초정보를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는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사회복지 클라이언트 를 위한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은, 서비스 제공 기관의 시설자원 정보, 인적 자원 정보, 또는 물적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단계; 상기 자원 정보에 기초한 케어 관리 프로그램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단계; 및 케어플랜 가이드에 따라 사용자의 욕구에 대한 상기 케어 관리 프로그램을 케어플랜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욕구(잠재적 수요량)과 이에 기초하여 작성된 이용자의 케어플랜(실제적 수요량)을 산출하고 상기 등록된 케어 관리 프로그램의 검색을 통하여 서비스 공급량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수요량과 상기 공급량의 비교 현황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케어플랜을 제공하는 단계 전에, 상기 사용자의 욕구를 추출하기 위한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는, 미리 결정된 욕구사정 항목 기준을 참조하여 욕구 사정 도구 항목을 추출하는 단계; 데이터마이닝 방식에 따라 상기 욕구 사정 도구 항목 중에서 결정된 복수의 욕구들에 대한 욕구 의사 결정 모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욕구 의사 결정 모형을 수집하여 각 욕구별 통계 요약을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욕구별 통계 요약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사용자의 상황을 반영한 사정 정보에 따라 욕구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추출하는 방법은, 미리 결정된 욕구사정 항목 기준을 참조하여 욕구 사정 도구 항목을 추출하는 단계; 데이터마이닝 방식에 따라 상기 욕구 사정 도구 항목 중에서 결정된 복수의 욕구들에 대한 욕구 의사 결정 모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욕구 의사 결정 모형을 수집하여 각 욕구별 통계 요약을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욕구별 통계 요약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사용자의 상황을 반영한 사정 정보에 따라 욕구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미리 결정된 욕구사정 항목 기준은, 사용자의 신체적, 심리적, 또는 사회 환경적 상황을 반영하고,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하며, 사용자의 강점을 반영한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욕구 사정 도구 항목은,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보호자나 수발자로부터 구성된 포커스 집단에 대한 질의 응답에 기초하여 추출되는 기본정보, 주관적 호소 내용, 수발 및 보장구, 장애원인, 생활만족도, 주거 형태, 재활상태, 일상 생활, 사회적 지지, 의료 건강, 생활 습관, 또는 강점을 포함하는 독립 변인과, 복수의 종속 변인들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포함한다.
상기 욕구 의사 결정 모형은, 복수의 장애인의 욕구들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척도들에 따라 상위 노드로부터 적어도 1이상의 하위 노드로 누적하여 분류 나무를 형성한 형태이고, 각 노드에 대한 응답수 및 욕구가 있다고 응답한 수를 기초로 신뢰 수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산출된 소정 인덱스를 포함한다.
상기 통계 요약은, 각 욕구에 대하여 예측 위험을 나타내는 표본의 비율인 위험 추정 통계량이나 해당 표본의 표준 오차인 위험 추정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명에 따른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를 위한 케어 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기관의 시설자원 정보, 인적 자원 정보, 또는 물적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자원 관리부; 상기 자원 정보에 기초한 케어 관리 프로그램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 등록 관리부; 및 케어플랜 가이드에 따라 사용자의 욕구에 대하여 상기 케어 관리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는 케어플랜을 제공하는 케어플랜부를 포함한다.
상기 케어 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욕구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케어플랜 수요량을 산출하고 상기 등록된 케어 관리 프로그램의 검색을 통하여 프로그램 공급량을 판단하여, 상기 수요량과 상기 공급량의 비교 현황을 제공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케어 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욕구를 추출하기 위한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욕구도출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케어 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케어플랜에 대한 서비스 평가를 수집하고 통계한 평가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욕구의 재사정이나 상기 자원 정보의 재사정을 결정하는 서비스 평가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추출하는 시스템은, 미리 결정된 욕구사정 항목 기준을 참조하여 욕구 사정 도구 항목을 추출하는 추출 수단; 데이터마이닝 방식에 따라 상기 욕구 사정 도구 항목 중에서 결정된 복수의 욕구들에 대한 욕구 의사 결정 모형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 상기 욕구 의사 결정 모형을 수집하여 각 욕구별 통계 요약을 작성하는 요약 수단; 및 상기 각 욕구별 통계 요약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사용자의 상황을 반영한 사정 정보에 따라 욕구를 판단하는 사정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들의 욕구를 분석하여 작성한 각 욕구의 의사결정모형과 통계 요약을 바탕으로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들의 케어플랜 수요를 파악할 수 있고, 시설, 인적, 물적 자원에 바탕을 둔 프로그램에 따라 실시간 서비스 공급을 검색 및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들에 대한 케어플랜을 효율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들과 관련한 복지 계획을 적확하고 과학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먼저, 체계적인 사정을 위하여 도구 개발과 개발된 도구를 활용하여 재가 장애인 등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의 욕구 추출의 과정을 소개한다. 이러한 두 가지의 수행에 있어 ICF(Intelligent Community Forum)의 관점을 적용하였으며, 이러한 관점은 사정과 서비스를 수행하는 실천가에게 환경 속의 인간이라는 사회복지 실천의 초점을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재가 장애인 등 사 회복지 클라이언트의 체계적인 사정을 할 수 있는 도구 개발과 개발된 도구를 통하여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의 실제 욕구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욕구를 확인하는 방법은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의 의사결정 나무분석 기법을 활용하고, 욕구사정에서 욕구추출의 경로를 알고리즘으로 구성하여 사례관리 실천 과정에서 욕구 사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에 대한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ICF 관점의 욕구 사정 항목 기준을 결정한다(S110). 이러한 욕구 사정 항목 기준은 소정 시스템(예를 들어, 욕구 추출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이루어지는 소정 수단에 의하여 미리 결정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사정항목>
욕구를 소개하는 대표적인 학자인 Maslow(1954)에 의하면 인간의 욕구를 생리적, 안전, 애정, 존중, 자아실현의 5가지 수준으로 구분하였으며, 다섯 가지 욕구 중 첫 번째부터 네 번째 욕구까지는 결핍동기에 의해서 발생되는 욕구로 규정하였고 자아실현의 욕구는 유일하게 인간이 성장하고자 하는 성장욕구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이러한 개념은 사회복지에서 구분하는 충족된 욕구와 미충족된 욕구를 구분하는 좋은 준거 틀이 되고 있는데, 클라이언트에 접근할 때에는 채워진 욕구보다는 채워지지 않은 욕구 즉 부족한 부분에 초점을 맞춰 욕구를 사정하여 왔다. 이러한 사정에서의 관점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면에서도 개인의 정상적이지 못한 측면을 부각시켜 부정적이고 개인적인 부분에 대한 일방적인 대응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서비스에 대한 인식의 틀이 점점 변화 되어가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한 준거인 패러다임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지역사회서비스 모델, 생애주기, 장애인의 선택, 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대한 개념들의 등장이다. 즉, 개인적인 불리의 측면에서 개인의 강점과 자원, 사회환경적인 변화를 강조하는 측면으로 변화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는 장애를 분류하는 기준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 ICIDH(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riment, Disabilities) 차원에서 ICF 차원으로의 변화이다.
ICF에 의한 장애의 설명은 1980년 제안된 ICIDH와 기능과 장애의 상호작용에 대한 설명에서 근본적으로 차이가 난다. ICIDH에서는 손상, 능력 장애, 사회적 장애의 일 방향적인 관계를 전제로 손상의 전제 위에 능력 장애가 논의되고 능력 장애의 전제 위에 사회적 장애의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ICF에서는 개인적인 장애나 질병과 상황적 맥락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기능과 장애를 설명한다. 즉, 특정 영역에서 개인들의 기능 수준은 건강상태와 상황적 맥락에서 상호작용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애인에 대한 분류, 서비스에 대한 시각, 장애인의 개념, 판단 등이 종합적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초점을 적용하여 두 가지 부분으로 구성하였는데 첫 번째는 장애인의 욕구중심 사정을 위한 사정도구개발이고 두 번째는 개발된 사정도구를 활용하여 욕구추출 경로를 찾아내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측면을 반영해 줄 수 있는 ICF의 관점을 사정 도구개발과 욕구추출의 이론적 배경으로 차용하였다.
<
ICF
관점에서 사정항목 기준>
ICF의 개념은 국제적으로 기능, 장애, 건강 상태를 분류해 놓은 체계이며, '2004 세계보건기구, 국제기능, 장애, 건강분류'를 참조하면 이 체계의 구조는 도 2와 같이 기능과 장애라는 부분과 배경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ICF의 개념은 개인적인 장애나 질병이 분리되어 존재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인 요인과 환경 적인 요인의 결합에서 전개되는 상황적 맥락으로 이해하고 있다. 즉, 장애인의 장애는 그 자체로서보다는 그 장애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 영향이 장애 상태의 경중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ICF의 관점과 최근 사정항목 구성에 중요 요소로 생각하는 개념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신체, 심리, 사회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한다. 이 개념은 사회복지 실천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뤄졌지만 실상에서는 그 적용이 미흡하며, 특히 장애인의 욕구를 사정하는 경우에는 장애에 집중하여 다른 측면들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은데, ICF 규정처럼 각 부분의 영향을 고루 살피고, 그 상호작용을 통합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둘째, 이용자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 이것은 전문가의 지식이나 경험에만 의존하는 사정이 아니라 이용자가 호소하거나 요구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셋째, 강점 중심의 사정을 한다. 강점 중심에서 사정의 초점은 강점이 다른 문제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에 역점을 두어 구성하여야 한다. 즉, 강점은 '잔존능력'만이 아니라 '잠재능력'을 끌어낼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 사정도구의 개발은 장애인들의 최상의 사회통합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그들의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하는데 있다.
또한, Kersten et al.(1999)이 주장한 대로 체계적인 사정도구를 활용한다면 더 효율적으로 서비스 개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욕구중심의 사정은 행정위주가 아니라 실천현장의 창의적인 서비스의 제공 노력을 이끌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이와 같은 사정을 하기 위하여 전문가로서의 도전과 자기 규제를 높이는 노력이 요구된다.
<사정에서의 욕구 조합에 관한 관점>
사정은 개인의 상태를 종합적,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사례계획을 구성한 후 서비스로 연계하는 중요한 과정이며, 사례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된다. 즉, 하나의 문제를 범주 안으로 묶는 결정이 아니라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로부터 주의 깊은 추론을 구상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하여 개입 계획으로 발전시키는 과정이다.
사정의 중요성과 함께 사정의 관점 또는 모델도 다양해지고 있는데, 자아를 강조한 정신분석이론에 초점을 두고 있는 심리사회적 사정모델(Psychosocial Assesment model), 자아심리학, 상징적 상호주의와 역할이론을 절충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문제 해결적 사정모델(Problem-Solving Assessment Model), 행동주의 심리학을 기반으로 하는 행동주의적 사정모델이나, 최근에는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중심 으로 하는 욕구중심의 사정 관점이 있다. 그 중에서도 욕구중심의 사정관점(Needs Assessment Perspective)은 개인의 다각적인 측면을 살펴본 후, 각각의 상태를 조합하여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찾는 것을 의미한다.
욕구중심의 사정을 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신체, 심리, 사회 환경적인 상호작용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가 있어야 하는데, ICF의 관점에서 그 배경을 찾아볼 수 있다. ICF의 분류는 장애에 대한 관점을 개인적인 모델에서 사회적인 모델로 이끄는 주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개인과 환경의 상호 영향력을 인식할 수 있는 명료한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적인 모델에서 파생되는 재활의 영역은 주로 의료적인 측면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물리치료와 같은 개인치료적인 접근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사회적 모델에서는 장애라는 현상을 사회적인 문제를 인식하는 모델이다. 즉, 장애는 개인에게 귀속된 것이 아니라 사회적 환경에 의해 창출된 복합적인 집합체로 보는 관점이다. 이 모델에서의 장애는 사회적 구조의 변화에 따라 장애인 각 대상에게 장애로 존재할 수도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즉, 장애유무의 측면이 아니라 개인이 환경 속에서 인식하는 장애와 비장애의 구분은 개인과 환경간의 특별한 상호작용을 암시한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정에서는 각 항목의 상호작용에서 표출되는 욕구를 지각하는 활동이 필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정은 하나의 분류체계 또는 개입을 위한 독특한 조건의 군으로 묶는 역할을 하고 있을 뿐 때때로 그것들의 상호작용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즉, 사정의 블랙박스에서 실천가의 전문적 판단이나 경험에만 의존하여 욕구를 찾는 과정이 일상화되면서, 신체, 심리, 사회ㆍ환경의 상호 영향력을 검증하는 실증적, 논리적, 체계적으로 인식하는 방식이 과학으로 구성되지 못한 것도 하나의 이유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사정은 실천가를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으로 현상을 왜곡하여 이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클라이언트 귀인에 대한 전반적인 범주에 초점을 두는 대신에 어떤 관찰이나 사정되지 않은 실체를 인식하는 오류를 범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욕구추출의 체계적인 상호작용의 영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데이터 마이닝의 통계를 활용하여 욕구 추출 경로를 구체화시킬 것이며, 이것은 재가 장애인 등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신체, 심리, 사회 환경이 상호작용 한다는 인식을 실천가에게 심어줌으로써, 사정이나 개입의 다양한 차원을 신중하게 제고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ICF 분류의 관점을 배경으로 개인의 신체, 심리, 및 사회 환경적인 상호작용과 함께 이용자의 의견을 반영한 강점 중심의 통합적인 욕구 중심의 사정을 위한 항목 기준이 결정된 후,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보호자와 수발자 등의 포커스 집단에 대하여 진행자의 질문에 대한 대답에 기초하여 취합된 내용에 따라 욕구 사정 도구를 추출한다(S120). 이러한 욕구 사정 도구는, 예를 들어, 욕구 추출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이루어지는 소정 수단(예를 들어, 추출 수단)을 통하여 분석되고 처리되어 추출될 수 있다.
<조사도구의 개발>
욕구 사정 도구 개발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는, 장애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 환경적인 측면을 모두 사정할수 있는 통합적인 도구로 구성하며, 개인의 주관적인 호소(이용자의 의견)를 간과하지 않는 도구 구성에 초점을 둔다. 그리고, 개인의 잠재력을 찾아 문제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강점 관점이 포함된 문항으로 구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 여기에는, 도 3과 같은 욕구 사정 도구의 문항 구성을 위하여 국내 장애인복지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는 사정 도구를 수집 및 분석한 결과를 반영하였으며, 그 외에도 장애인의 사정 척도로 활용되는 CAN(The Camberwell Assessment of Need), BCC(Birmingham City Council), QLMI(Quality of Life Measurement Instrument for Korean with Disabilities), 한국재가노인사정도구 등을 포함하여 도구 구성에 활용하였다.
특히, 이러한 사정 도구에서 새롭게 삽입된 주관적 호소 및 강점문항과 알고리즘 구조를 구성하기 위한 욕구목록은 포커스 집단을 활용하여 추출되었고, 포커스 집단에 참여한 대상은 재가 장애인 등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를 자주 접할 수 있는 보호자와 수발자를 포함하고 있다. 포커스 집단에 대한 주관적 호소와 욕구 항목을 개발하기 위하여 진행자의 질문에 대한 대답을 기반으로 한다. 이와 같이 취합된 내용들은 참여자들의 동의를 얻어 녹취될 수 있으며, 녹취된 내용을 중심으로 재가 장애인 등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의 주관적 호소, 강점, 욕구 등으로 구분하여 정리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구성된 사정도구는 타당성을 인정받기 위해 현장실무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검증 과정을 거쳤으며, 주관적 호소, 강점, 욕구 항목에 대해서는 ADL(Activity of Daily Living: 일상 생활 활동 능력) 및 IADL(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도구적 일상 생활 활동 능력) 척도 를 활용하여 통계적으로 기준관련타당도를 도 3과 같이 검증하였다.
도 3에는 위의 과정을 통하여 구성된 총 13개의 하위영역, 예를 들어, 기본정보, 주관적호소, 수발 및 보장구, 장애원인, 생활만족도, 주거환경, 재활상태, 일상생활(ADL 및 IADL), 사회적 지지(사회적 지지 및 조력), 의료건강(간호처치 및 조력), 생활습관(상태 및 조력), 강점 및 장애인의 욕구를 포함하고 있고, ADL과IADL, 사회적지지, 간호처치, 생활습관 상태의 각 항목에는 조력여부를 체크하는 사정문항을 구성하였으며, 각 항목별로 내적 신뢰도(Cronbach's Alpha)의 값도 나타냈다. 각 항목의 구성타당도의 일부를 도 4에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도 3과 같은 욕구 사정 도구를 추출한 후에는, 다음과 같이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통하여 욕구 사정 도구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각 욕구의 의사결정 모형을 생성할 수 있다(S130). 이러한 각 욕구의 의사결정 모형은 예를 들어, 욕구 추출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이루어지는 소정 수단(예를 들어, 생성 수단)을 통하여 분석되고 처리되어 추출될 수 있다.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욕구추출 알고리즘>
<데이터 수집>
도 3과 같은 재가 장애인사정도구를 활용하여 재가 장애인 케어매니지먼트 시범 대상으로서 재가 장애인 200명의 상태와 욕구를 조사하여 욕구 알고리즘에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독립변인들은 도 3의 항목에서 욕구항목을 제외한 12개 하위영역이며, 종속변인은 「가사지원 필요」, 「활동보조서비스」, 「의사소통 지원」, 「운동처방 필요」 등과 같은 적절한 수의 장애인의 욕구를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 「아니다.」 등의 4점 척도로 활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재가 장애인 등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의 사례관리 과정에서 이용자의 욕구가 형성되는 과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모시의 각 구에 소재한 복지관들의 대상자 200명 정도의 대상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조사 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이 75명(37.5%), 여성이 125명 (62.5%)이었으며, 연령은 40세 미만이 33명(16.5%), 40대가 26명(13.0%), 50대가 17명(8.5%), 60대가 39명(19.5%), 70대가 47명(23.5%), 80세 이상이 38명(19%)일 수 있다. 이들의 장애유형은 지체장애인이 115명(57.5%), 뇌병변 장애인이 26명으로(13.0%) 전체 조사대상자 가운데 70.5%를 차지하고 있으며, 시각장애인이 17명(8.5%), 청각장애인이 7명(3.5%)이었고, 나머지는 정신지체장애인, 발달장애인, 정신장애인, 신장장애인, 심장 장애인 등일 수 있다. 학력상황은 초졸이 63명(31.5%), 중졸이 21명(10.5%), 고졸이 38명(19.0%) 전문대학 이상은 12명(6.0%)일 수 있다. 장애등급은 1등급이 74명(37.0%)이며, 2등급은 42명(21.0%), 3등급은 13명(6.5%), 4등급이상이 44명(22.0%)일 수 있다. 이들의 가족구성은 독거가 65명(32.5%), 부만 동거하는 장애인은 30명(15.0%), 2세대 가구는 60명(30.0%), 3세대 가구 및 기타 가족 구성이 38명(19.0%)일 수 있다. 경제적 수준에서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가 152명(76.0%)이며 일반이 41명(20.5%)일 수 있다.
장애인가구의 실질소득을 살펴보면, 월 50만원 미만이 117명으로 전체의 58.5%였으며, 50만원 이상 100만원 미만이 55명(27.5%), 100만원 이상이 24명(12.0%)일 수 있다. 또한, 조사대상 가운데 수발자가 있다고 응답한 장애인은 120명(60.0%), 수발자가 없는 장애인이77명(38.5%)일 수 있으며, 가족이 수발하는 경우가 83명(41.5%), 유료 및 무료 봉사자가 수발하는 경우가 36명(18.0%)일 수 있다. 주요 수발자는 남성이 27명(13.5%), 여성이 83명(41.5%)이었으며, 동거가 82명(41.0%) 비동거가 39명(19.5%)일 수 있다. 일일 평균 수발시간은 3시간 미만이 35명(17.5%)이며 12시간 이상이 19명(9.5%)일 수 있다.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분석>
본 발명에서는 성별과 연령, 가족구성 등의 기본정보를 제외한 명명 척도와 서열 척도 등이 혼합된160여개의 독립변인들을 동시에 투입하여, 명목형 종속변인인 욕구를 가장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독립변인들의 조합을 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자료 분석과정에서 방대한 양의 정보 속에서 의미 있는 정보의 패턴과 규칙을 분석해 내는 데이터 마이닝 분석기법을 활용하고, 이는 질문에 대한 반응특성이 다소 이질적이고 결측치들이 많은 특성을 감안한 비모수 통계를 기초로 하는 분석기법이다. 데이터마이닝 기법에서는 대용량의 데이터에 숨겨져 있는 데이터간의 상관 관계와 패턴을 탐색하고 이를 모형화하여 업무 및 일련의 프로세스에 적용할 수 있는 의미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의사결정에 적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데이터마이닝 기법에서는 수집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과거에는 알지 못했지만 데이터 속에서 유도된 새로운 데이터 모델을 발견하여 미래에 실행 가능한 정보를 추출해 내고 의사결정에 이용한다. 즉, 데이터에 숨겨진 패턴과 관계를 찾아내어 광맥을 찾아내듯이 정보를 발견해 내는 것이다. 여기에서 정보 발견이란 데이터에 고급 통계 분석과 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유용한 패턴과 관계를 찾아내는 과 정이다. 본 발명에서도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질문에 대한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들의 반응특성이나 결측치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하고 분석하여 상관 패턴을 도출하여 각 욕구의 의사 결정 모형을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분석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소정 프로그램을 통하여 데이터 마이닝의 의사결정나무분석(decision tree analysis)을 활용한다. 데이터 마이닝 분석기법을 통해 독립변인들의 구간별 조합으로 명목형 종속변인의 확률(%)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제 빈도와 기대 빈도가 다를 확률을 χ²값으로 다지 분리(multiway-split)하는CHAID(Chi-Squared Automatic Interaction Detection) 알고리즘을 채택하였다. 독립변인들의 분리(splitting)와 병합(merging)의 기준은 .05 수준이었으며 자동적으로 집단내의 구간(또는 범주 수)을 변경한 것을 감안해 p값에 대한 Bonferroni 조정을 거쳤다. 결측치는 특정마디에서 예측이 일치하는 순서에 따라서 대체규칙(surrogate rule)을 설정하였다. 정지규칙으로 최대한의 나무깊이(maximum tree depth)는 5수준이었으며, 부모마디(parent node)와 자식마디(child node)의 사례 수는 각각 20과10으로 지정하였다.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분석 결과>
도 5는 재가 장애인 등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의 욕구 1번(도 3에서 장애인의 욕구 참조)인 「가사도움이 필요하다.」를 데이터 마이닝의 의사결정 나무분석 중 CHAID기법으로 구성한 의사 결정 모형의 일례이다. 각 노드는 유의수준 .05에서 두 변수 사이에 χ²의 가설이 기각되면 상위노드와 하위노드의 실제빈도와 기대빈도 사이의 차이가 없다는 영가설을 수용한다. 따라서, 상위노드의 전체 응답자간 응답 비율과 하위노드의 전체 응답자간 응답비율이 모집단을 대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상위노드의 응답 구분에 대한 하위노드의 특성들을 누적하면서 분류나무가 형성되고, 상위마디의 변인일수록 욕구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의미한다.
「가사도움이 필요하다.」라는 욕구를 예측하기 위해 27문항의 주관적 호소, 수발 및 보장구 현황 12문항, 생활만족도 10문항, 주거환경 11문항, 신체 및 재활상태 12문항, 일상생활기술 29문항, 사회적 지지 10문항, 의료 및 간호처치 22문항, 생활습관 18문항, 강점 9문항 등 총 10개영역의 160문항을 동시에 투입하였다. 이를 통해, 욕구 1번인 「가사도움이 필요하다.」는 욕구를 예측할 수 있는 주요 변인으로 「가사지원을 받고 싶다.」, 「소속감을 갖고 싶다.」와 같은 이용자의 주관적 호소와 수발 및 보장구 영역에서 주 수발자의 주 중 「수발시간」, 주거환경의 「침실접근」, 일상생활기술에서 「세탁하기」, 신체 및 재활상태의 「무릎구축」 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도움이 필요하다.」를 선택한 57.5%의 비율은 이용자가 「가사지원을 받고 싶다.」에 「매우 그렇다」 또는 「그렇다」라고 호소하는 경우 90.5%로 증가하는 데 비해서 「보통」과 「아니다」라고 응답하는 경우에는 각각 28.6%와 17.9%로 감소하였다. 이용자가 「가사지원을 받고 싶다.」고 응답하고(and), 일상생활기술 중 「세탁하기」에 「완전도움」 또는 「부분도움」이 필요하다고 응답하면 욕구는 95.2%로 증가하지만(if), ADL의 「세탁하기」가 「완전자립」인 경우에는 71.4%로 감소한다. 또한, 「가사지원을 받고 싶다.」에 대한 이용자의 명확한 호소 가 없어, 「보통」이라고 응답하였을 때, 28.6%였던 욕구 1은 「소속감을 갖고 싶다.」는 이용자의 호소문항에서 「매우 그렇다」 또는 「그렇다」에 추가하여 응답했을 때 욕구는 57.1%로 증가하고, 「보통」 또는 「아니다」로 응답한 경우에는 0.0%로 감소한다. 반면에, 이용자가 「가사지원을 받고 싶다.」라는 호소를 표출하지 않으면(17.9%), 주 수발자의 주중 「수발시간」이 20시간 이하일 때 「가사도움이 필요하다.」의 욕구는 66.7%로 증가하며(and), 20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if) 7.3%로 감소한다. 이와 같이 이용자의 「가사도움이 필요하다.」라는 욕구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항목간의 조건은 아래의 도 6과 같은 이익도표로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익도표는 알고리즘 모델의 효율성을 판별할 뿐만 아니라, 의미 없는 데이터 조합을 삭제하기 위한 가지치기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Node는 도 5와 같은 나무구조의 의사 결정 모형에서 보여주는 마디번호이고, Node:n은 해당 마디번호에서 응답한 모든 자료의 합(예를 들어, 도 5의 Node 11에서 70), Node:%은 해당 마디번호에서 응답한 자료의 백분율(예를 들어, 도 5의 Node 11에서 70/115=60.87), Resp:n은 해당 마디의 응답자 중 욕구가 있다고 응답한 자료의 수(예를 들어, 도 5의 Node 11에서 69), Resp:%은 해당 마디의 응답자 중 욕구가 있다고 응답한 자료의 백분율(예를 들어, 도 5의 Node 11에서 69/115), Gain(%)은 Node(n)에 대한 Resp(n)의 비율, Index(%)는 해당마디에서 전체자료의 Gain의 평균에 대한 Gain(%)의 비율, 및 Cum Index(%)는 Cumulative Index(%)로서 노드(Node:n) 및 응답수(Resp:n)의 누계에 대한 Index(%)를 의미한다.
마디번호는 도 5의 예와 같이 윗줄 왼쪽부터 노드 1번으로 판정되는데, 마디번호가 11번인 것은 이용자가「가사지원을 받고 싶다.」고 호소하고, 일상생활기술의 「세탁하기」에 「완전도움」또는 「부분도움」을 필요로 하며, 주거환경의 침실접근이 「양호」하거나 「보통」인 집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11번 마디의 자료수는 70으로 전체 응답자의 35.0%이며, 이 중 가사도움이 필요한 이용자는 69명으로 11번 노드 응답자 가운데 98.57%를 차지한다. 이는 이용자의 욕구를 사정함에 있어서 어떤 정보도 없이 이용자에게는「가사도움이 필요하다.」라고 판단하는 뿌리마디의 결정보다 이용자의 호소(노드 1)와 일상생활기술(노드 4), 주거환경(노드 11)의 세 가지 조건을 종합하여 살펴볼 때 171.43%의 효율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노드별 전체응답자 수와 문항별 응답자를 누적으로 계산했을 때 나타나는 누적 Index(Cumulative Index(%))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의 수준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누적 Index(%)가 100%가 되는 마디까지 효율적인 수준이라고 본다. 다만, 알고리즘을 보다 간략하게 만들거나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하고자 할 때에는 누적 Index(%)를 상향조정함으로서 항목 간 조건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재가 장애인 표집을 단순임의추출법으로 분할하여, 70%의 훈련 집단과 30%의 타당화 집단으로 모형을 구축한 뒤 교차타당성 평가를 시행함으로 위험추정 통계량(Estimate)과 위험추정치(Standard Error)를 산출하였으며, 17개의 욕구들의 추정 위험치는 .05이하로 나타나 과잉일반화의 위험성이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도 5와 같은 나무구조의 의사 결정 모형과 이에 대한 도 6과 같은 검증 과정을 거친 후에, 도 7과 같이 각 욕구별 통계 요약 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S130). 즉, 위와 같은 재가 장애인의 17가지 욕구에 대한 각각의 의사결정모형에 대하여, 해당 모형에 대한 이익도표와 누계 Index(%)에 따라 알고리즘 요약 및 각 욕구별 위험추정통계량과 위험 추정치에 대한 요약이 도 7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욕구별 통계 요약 정보는 예를 들어, 욕구 추출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이루어지는 소정 수단(예를 들어, dydir 수단)을 통하여 분석되고 처리되어 추출될 수 있다.
<
욕구별
통계 요약 정보>
재가 장애인 등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의 욕구추출을 위한 알고리즘에 따라 최대 나무깊이를 3으로 하여, 각 욕구별로 욕구의 선택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사정문항의 응답여부에 따라 Gain(%)과 Index(%), 누적 Index(%)를 기록할 수 있다.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의 욕구 17개에 대한 Gain(%)평균은 149.2%(표준 편차SD 13.7%)였으며, Index(%)평균은 178.4%(표준 편차 SD 78.8%)였다. 도 7에서, Rs는 문항에 대한 응답의 종류로서 'V'는 '매우 그렇다', 'Y'는 '예' 또는 '그렇다.', 'C'는 '보통', 'N'은 '아니오', 'I'는 '완전자립', 'A'는 '완전도움', 장애원인의 경우는 선천(선), 출생시(출), 후천적 요인으로 구분한다. 또한, GM은 해당욕구의 이득율, 즉, 노드별 Gain(%)의 평균이고, IM은 해당욕구의 예측율, 즉, 노드별 Index(%)의 평균이다. 또한, Es는 Risk Estimate(위험추정 통계량)로서 의사결정나무분석에 의해 잘못 분류되거나 예측될 위험을 나타내는 표본의 비율을 나타내고, SE는 Standard Error(표준오차)로서 위험추정통계량과 관련한 위험추정치를 나타낸다.
도 7에서, 재가 장애인 등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의 욕구2「활동보조인 서비스가 필요하다.」의 알고리즘은 이용자가 「몸단장을 희망」하고(80.0%), 거주 공간 가운데 「주방 안전」이 확보되어 있으며(86.4%), 「의료적 처치를받고 싶다.」고 호소하는 경우에 90.8%의 욕구가 있다고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몸단장을 희망」하지 않고(23.6%), 장애원인이 출생 시 사고 또는 후천적인 요인일 때 욕구는 44.2%로 나타났고, 수발자가 있는 경우에는 71.4%였으며, 반면에 수발자가 없는 경우에는 18.2%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공식 및 비공식적인 수발자의 존재여부가 장애인의 사회참여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활동보조인 서비스」의 욕구추출 알고리즘을 통하여 165.8%의 효율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며, 이 때 위험추정통계량이 .231로 발생 가능한 전체사건의 76.9%를 설명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위험추정치는 .03으로 .05수준보다 낮아 과잉일반화의 위험성이 높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욕구3「의사소통에 도움이 필요하다.」는 케어매니저 또는 사회복지사의 「의료적 진단이 필요하다.」라는 판단에 의해 49.5%의 욕구가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여기에 더하여(and) 「언어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서 욕구 3은 65.0%로 증가한다. 또한, 이용자에게 「정보제공」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고(18.8%), 장애인이 「의사소통에 도움을 원한다.」고 호소하는 경우에는 37.1%, 「의사소통에 도움이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할 경우에는 14.3%의 욕구가 있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and) 상담자가 「언어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의사소통에 도움이 필요하다.」의 욕구는 81.3%로 증가하게 된다. 다만, 의 사소통과 관련된 응답 표본의 크기가 작아, 다양한 변인을 포함하지는 못하지만, 위험추정 통계량과 위험추정치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어 과잉일반화의 위험은 없는 것으로 보여 진다.
욕구4 「운동처방이 필요하다.」는 재가 장애인 등 사회복지 클라이언트가 「체력단련을 호소」할 때 80.9%의 욕구로 나타나며, 여기에 더하여 「정보제공을 받고 싶다.」라는 문항에 「매우 그렇다」고 호소하면 92.6%의 욕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체력단련을 호소」하고, 「정보제공을 받고 싶다.」 라는 문항에「그렇다」 또는 「보통」이라고 응답 할 때의 욕구는 75.8%로 감소하게 된다. 여기에 더하여「생활목표를 수립할 수 있다.」라는 강점 문항에 「보통」 또는 「아니다」 라고 응답하는 경우에는 46.7%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체력단련을 받고 싶다.」고 호소하지 않고(32.4%), 「물리치료를 희망」하는 장애인은 58.5%의 욕구가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또한, 「직업교육을 받고 싶다.」고 호소하는 경우에는 운동처방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욕구의 욕구추출 알고리즘은 위험추정통계량이 .290으로 나타났고 위험추정치도 .032로 나타나 과잉일반화의 위험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욕구11 「여가지원이 필요하다.」는 「사회활동 참여」를 희망하는 장애인은 83.8%의 욕구가 있으며, 여기에 추가하여 「취미활동을 하고 싶다.」고 호소하는 경우에는 61.9%로 욕구가 감소하였다. 반면에「사회활동 참여」를 희망하지 않는 장애인도 사례관리자에 의하여「정보제공」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89.2%의 욕구가 나타났다. 장애인의 생활습관 가운데 1일「수면량」이 6~8시간으로 「일 반적(보통)」인 경우에는 96.4%의 욕구가 나타나며, 반면에 4~6시간으로 「수면량」이「부족」할 경우에는 68.4%로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관련된 변인들을 설명할 만큼 충분한 응답 표본이 확보되지 못함으로 인해 위험추정 통계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Es .317) 68.3% 정도의 정보를 해석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위험추정치는 .05보다 낮게 나타나 과잉일반화의 위험은 낮은 것으로 보여진다.
욕구12 「건강관리가 필요하다.」는 「의료적 진단」을 희망하고(88.4%), 「행정적 지원을 받고 싶다.」라고 호소하는 경우에는 93.2%의 욕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기에 더하여「외롭다.」고 호소하는 장애인은 이 욕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100.0%). 다만, 「외롭다.」라는 문항에 「보통」, 또는 「아니다」라고 응답한 장애인은 86.4%의 욕구가 나타났다. 또한, 「의료적 진단을 희망」하지 않고(48.1%), 거주환경 가운데 「화장실」의 「안전」이 확보된 경우에는 63.6%, 「화장실」의 「안전」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에는 37.5%의 욕구가 있다고 설명된다.
욕구17 「일자리 제공이 필요하다.」는 욕구는 「취업지원을 받고 싶다.」는 주관적 호소 문항에 대해 「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장애인은 90.3%의 욕구가 있다. 여기에 더하여 도구적 일상생활기술(IADL)의 「청소하기」가 「완전자립」이면, 욕구 17은 100.0%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청소하기」에 「완전도움」을 필요로 하는 장애인의 경우에는 「일자리 제공」에 대한 욕구는 72.7%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지원을 받고 싶다.」에 「그렇다」 또는 「보통」이라고 응답한 장애인이(44.7%) 「이성문제에 도움을 받고 싶다.」에 「매우 그렇다」 혹은 「그 렇다」로 응답하였을 때에는 욕구가 90.0%로 설명된다. 만일 「이성문제에 도움」이라는 문항에「보통」 또는 「아니다」라고 응답하면, 해당 욕구는 28.6%로 감소된다. 「일자리 제공이 필요하다.」는 욕구의 경우에도 위험추정 통계량은 .212로 나타났으며, 위험추정치도 .05보다 낮게 나타나 과잉일반화의 위험은 낮은 것으로 보여진다.
예를 들어, 욕구 추출 시스템에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수정 수단(예를 들어, 사정 수단)을 통하여 위와 같은 각 욕구별 통계 요약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사용자의 상황을 반영한 사정 정보에 따라 욕구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위험 통계량이나 위험 추정치 등이 낮은 항목을 중심으로 해당 욕구가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의 사정도구의 개발과 이를 활용한 욕구추출 알고리즘은 이용자의 욕구를 사정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중개 지원함에 있어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해당욕구의 발생 원인을 찾아 제시함으로써 이용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케어플랜을 작성할수 있게 하고, 보다 명확한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들의 사례관리 과정에서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사정하기 위한 항목을 추출하였고, 사정항목을 활용하여 객관적인 욕구추출 과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장점을 이용하여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사정하고 필요한 케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1)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의 재가보호를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의 변화가 요구 되는 가운데 재가 장애인의 상태즉 욕구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욕구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한 선행 조건으로서 신체, 심리, 사회 환경의 다차원적인 상태를 살펴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2)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의 강점 접근을 위하여 사정 항목에 구체적으로 강점항목을 삽입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사례관리자들의 시각을 강점관점으로 이끄는 기반으로 작용할 것이며, 잠재된 강점의 발견은 클라이언트의 문제점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3) 사정 문항이 많은 것이 단점일 수도 있지만,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다차원적인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통합적인 사정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 외에도, 사례관리 접근에서 다학제적인 접근을 구성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과거에는 심리적, 사회ㆍ환경적 접근에 치우쳤던 사정이, 의료적인 측면을 통합함으로써 의료 전문가와 함께 사정하고 개입할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함으로, 앞으로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의 다학제적 접근을 활성화하는데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4) 복지서비스 대상자의 욕구를 결정하고 선택함에 있어서 표준화된 욕구추출 패턴을 연구함으로서 객관적인 욕구결정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욕구추출 알고리즘은 이용자의 호소가 곧 욕구라는 비과학적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여지를 주고 있다. 이용자의 욕구는 호소 또는 기타 상황에 일대일의 직접적 대응관계에 의한 것이 아니라 이용자의 여러 호소와 다양한 상황이 If, and, or 또는 nor의 조건들에 의해 결정되어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이용자의 욕구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자의 다양한 사정정보 가운데에 숨겨져 있는 패턴을 찾아 정의하는 형태로 알고리즘을 구성하고 있다.
5) 서비스 이용자의 욕구를 호소와 일반적인 사정정보를 통해 명확하게 찾아내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사회복지 서비스를 위한 장애인의 욕구는 기능적, 심리 사회적, 환경적 조건들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알려져 왔으나, 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하위 요소들에 대한 과학적 구조나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의 알고리즘을 통하여 장애인의 욕구를 정의하는 의사결정 패턴을 통해서 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하위 요소로서의 사정정보와 호소사항을 찾아냄으로 서비스 제공계획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할 수 있게 되었고 실제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적 방안을 제시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6) 이러한 욕구추출 구조는 사례관리를 위한 전산화 과정으로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전산화를 통하여 행정적 지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서 실시간으로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교환하고 확인하게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사회 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도출하는 의사 결정과정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7) 장애인의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ICF의 관점을 활용하여 도구 개발과 욕구의 알고리즘을 구성하였는데, 이것은 이론과 실천 현장의 접촉점을 찾아내는 역할을 하였다는 측면에서 학문적 의의도 갖고 있다.
8) 본 발명에서 장애인의 욕구추출 구조를 살펴보았고 데이터 표집에 있어서 일부 지역에 한정하거나 비확률 표집이 적용되어 외적 타당도를 저해하는 면이 있 으나, 이는 일실시예로서 기술한 것뿐이고, 이러한 한계는 지속적으로 사례관리와 관련된 정보의 수집과 전산화과정을 통하여 욕구추출 알고리즘의 위험추정치를 낮추고, 욕구추출의 외적타당도를 높임으로써 전체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에게 일반화하여 확장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활용하고 자원 검색을 통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어 관리 서비스를 요약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어 관리 서비스는,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욕구 사정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표준화된 욕구로서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기반으로 재가 장애인 등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결정하고, 서비스 제공자 또는 제공 기관이 제공하는 인력(인적 자원:W'er(사회 복지사 등), 강사, 후원자, 봉사자 등), 시설(시설 자원:수발 시설, 간호 시설 등), 물품이나 서비스(물적 자원:수발, 지지, 간호 등) 등의 자원을 활용하여 소정 가이드에 따라 구축된 케어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기반으로 서비스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욕구 수요와 자원 공급의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근거에 따라 사용자의 욕구에 따른 적합한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케어플랜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케어플랜에 대한 평가를 수집하여 욕구이나 자원의 재사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들에 대한 케어플랜을 효율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들과 관련한 복지 계획을 적확하고 과학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어 관리 서비스에서는, 다양한 복지서 비스 대상자들(사회복지 클라이언트들)의 서비스 이용을 위한 신청과 관리, 상담의 기록, 서비스의 평가 등을 통하여 지역 사회 내에 운영되고 있는 서비스와 복지서비스 자원을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욕구에 맞는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지역단위의 복지서비스의 실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기관 또는 지역별 서비스의 초과 및 부족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용자의 욕구 및 문제 해결에 적합한 서비스를 바로 연결함으로써 중개 서비스의 신속한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고, 노인시설, 복지서비스 이용기관, 복지관련 민간서비스 기관 등 서비스 제공 기관과, 중개 기관, 및 지역 내 서비스를 모니터링 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공공기관(복지서비스 운영기관)를 연계하여 실시간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어 관리 서비스 시스템(10)은, 네트워크(11), 사용자 단말(12), 제공 기관 단말(13), 공공기관 단말(14), 관리자 단말(15), 및 케어 관리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고, 케어 관리 서버(100)는 서비스 중개에 필요한 데이터의 등록 및 관리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11)는 LAN(Local Area Network) 뿐만 아니라, IP(Internet Protocol) 망, 공중 유선망, CDMA/WCDMA 망 등일 수 있으며, 최근의 휴대 인터넷 망 등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상용 또는 전용의 통신망을 의미한다. 네트워 크(11)는 개인정보 보안을 위한 방화벽과 보안툴을 탑재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사용자 단말(12), 제공 기관 단말(13), 공공기관 단말(14), 관리자 단말(15), 및 케어 관리 서버(100) 간의 통신 연계를 담당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2), 제공 기관 단말(13), 공공기관 단말(14), 관리자 단말(15), 및 케어 관리 서버(100)은 데스크탑 PC나 노트북 PC 등이거나 수퍼 컴퓨터에 연결된 단말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CDMA/WCDMA 망에서 통신하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등 일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등의 모든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제공 기관 단말(13)은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단말로서, 인터넷 등이 가능한 전산장비를 활용하여 케어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시설자원, 인적자원, 케어 관리 프로그램의 개설과 관리자 등록 및 관리, 프로그램의 목적, 목표, 분류 카테고리의 등록, 프로그램별 이용자 및 대기자 등의 등록, 서비스에 대한 자체평가 등과 사용자의 욕구분석을 통한 케어플랜 작성, 서비스의 연계 등을 실시할 수 있다 . 또한, 참가자별, 프로그램별 일지를 작성하고 관리하여 복지 서비스의 과정이 기록되어 보존되도록 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5)은 복지서비스 제공기관으로부터 프로그램 관리를 지시받은 개인이나 민간기관으로서, 서비스 참가자의 상황과 서비스 제공현황 등을 서비스 제공과 함께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제공 기관 단말(13)에 의해서 등록된 자원이나 프로그램 및 관리자 단말(15)에 의하여 관리되는 서비스 참가자의 상황과 서비스 제공현황 등이 케어 관리 서버(100)와 연계하여 운영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케어 관리 서버(100)는 제공 기관 단말(13)로부터 제공한 서비스 제공 총량 대비 관리자 단말(15)이 운영하는 실제 서비스량도 판단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어 관리 서버(100)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는 취합되어 지역 단위별, 예를 들어, 도별, 시별, 구별, 동별 등으로 관리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15)을 통하여 입력되는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관리기록이나 사용자의 욕구에 대한 과정 기록 등에 대한 정보도 지역 단위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고, 또한, 관리자 단말(15)을 통하여 지역 단위로 입력되어 기록된 해당 지역 보유의 전문인력에 관련된 정보 등도 케어 관리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될 수 있다. 케어 관리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전반적인 케어 관리 서비스를 중개하며, 예를 들어, 케어 관리 서버(100)를 운영하는 중재 기관은 어떠한 기관이라도 사용자의 욕구사정을 통하여 산출된 욕구를 기반으로 사용자와의 협의를 통하여 케어플랜(복지서비스계획)을 수립하고, 사용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지역 내 프로그램을 검색, 이용신청을 대행하고, 이용 자가 원활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기관의 프로그램 관리자와 협의하여 서비스 내용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공공기관 단말(14)은 지역단위 공공기관의 단말로서, 케어 관리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지역 내 복지 공급량과 수요량을 파악하거나 서비스 제공기관의 서비스 제공 실태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서비스의 조정과 공급량을 조절하고, 장기 또는 단기 복지계획을 수립하여 제공 기관 단말(13)로부터 관리되는 프로그램 개설과 운영을 조정 및 중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공공기관 단말(14)을 통하여 공공기관은 사용자의 신상정보와 복지관련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별 서비스 제공현황에 대한 파악과 욕구사정 알고리즘에 따른 욕구의 기초선 등에 대하여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재가 장애인 등 본 발명에 따른 케어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단말(12)을 통하여 직접 서비스를 신청하거나 서비스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어 관리 서버(100)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어 관리 서버(100)는, 제어부(110), 데이터베이스(111), 사용자 인터페이스(120), 모니터링부(130), 욕구 도출 처리부(140), 자원 관리부(150), 프로그램 등록 관리부(160), 케어플랜부(170), 및 서비스 평가부(18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를 통한 정보의 입출력을 제어하고 케어 관리 서버(100)의 위와 같은 각 구성 요소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 하는 프로세서에 해당한다. 특히, 제어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욕구 도출, 자원 검색, 케어플랜, 및 모티너링 등의 전반적인 수행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각 기능의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 디스플레이 수단이나 키보드 등 자료 입력 수단 등을 포함하고, 또한 이들을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까지도 모두 포함하며, 네트워크(11)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2), 제공 기관 단말(13), 공공기관 단말(14), 관리자 단말(15) 등과 필요한 정보의 입출력 시 사용자 환경에 적합하도록 처리하는데 필요한 신호 변환 수단, 통신 수단 등 모든 수단들을 포함한다.
자원 관리부(150)는 제공기관 단말(13)로부터 입력되는 서비스 제공 기관의 시설자원 정보, 인적 자원 정보, 또는 물적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1)에 등록하고 관리한다. 도 12와 같이, 인적 자원 정보는 프로그램의 진행에 필요한 자원 봉사자, 후원자, 협력 작업자(Co-worker), 수발자(carer)등의 구분 정보를 포함하고, 시설자원 정보는 서비스 제공기관이 시설 자원으로 등록하는 장소, 공간, 시설품 등의 구분 정보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시설자원이나 인적 자원과 별도로 관리되는 물적 자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등록 관리부(160)는 위와 같은 제공기관 단말(13)로부터 제공되는 자원 정보에 기초한 케어 관리 프로그램을 데이터베이스(111)에 등록하고 관리한다. 위와 같은 시설 자원이나 물적 자원을 바탕으로 위와 같은 인적 자원을 활용하여 케어 관리 프로그램을 개설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관리를 위한 해당 프로그램 관리자를 등록하거나 담당자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등록 관리부(160)는 프로그램 관리자에 의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용자의 상황과 서비스 현황 등을 기록하고, 이용자의 추가, 정지, 삭제 등을 데이터베이스(111)에 관리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 단말(12)로부터 입력되는 복지서비스 이용 희망자의 개인정보를 기초로 프로그램 등록 관리부(160)는 해당 희망자의 케어 관리 프로그램에의 참여 여부와 대응시켜 관리할 수도 있다. 복지 서비스 제공 기관의 프로그램 관리자가 사용자의 욕구 사정, 상담 등의 업무를 수행하면서, 프로그램 등록 관리부(160)에 의하여 관리되는 프로그램의 개설과 관리를 통하여 실제적 자원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케어플랜부(170)는 아래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은 소정의 케어플랜 가이드에 따라 사용자의 욕구와 케어 관리 프로그램의 검색을 기반으로 케어플랜을 제공할 수 있다. 욕구 도출 처리부(140)는 사용자의 욕구를 추출하기 위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12)로부터 입력되는 복지서비스 이용 희망자의 사정정보가 욕구 추출 알고리즘에 적용되어 해당 사용자의 욕구를 추출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30)는 위와 같이 추출되는 사용자의 욕구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케어플랜 수요량을 산출하고 위와 같이 등록된 케어 관리 프로그램의 검색을 통하여 프로그램 공급량을 판단하여, 해당 수요량과 공급량의 비교 현황을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평가부(180)는 사용자에게 서비스된 케어플랜(care plan)에 대한 서비스 평가를 수집하고 통계한 평가 정보를 제공하며, 이러한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욕구의 재사정이나 위와 같은 자원 정보의 재사정을 하여야 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어 관리 서버(100)의 동작을 통한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어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개인이나 기관 등은 사용자 단말(12), 제공 기관 단말(13), 공공기관 단말(14), 관리자 단말(15) 등을 통하여 네트워크(11)로 연결된 케어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필요한 욕구 추출, 자원 검색, 케어플랜, 모니터링, 평가 등의 케어 관리와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케어 관리 서버(100)는 웹 사이트 형태로 동작하거나 LAN 상의 소정 서버에서 전용 프로그램을 동작시켜 소규모 지역에서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이와 같은 케어 관리 서버(100)에 접속한 이용자는, 화면에 제시된 욕구 추출 또는 자원 관리를 선택할 수 있다(S200). 욕구 추출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다시 욕구추출, 평가, 모니터링 등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S210). 자원 관리를 선택한 경우에는 다시 등록이나 평가를 위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S220, S221).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여러가지 서비스를 순서에 따라 설명하지만, 위와 같은 욕구추출, 평가, 모니터링 서비스나, 자원 관리의 등록이나 평가 서비스 등이 순서적으로 선택되어 동작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순서는 변경 될 수 있고, 또는 화면 상에서 소정 버튼을 클릭하는 형태로 어떤 것이라도 순서없이 선택되어 수행될 수 있다.
S211 단계에서, 재가 장애인 또는 그 보호자나 수발자 등 본 발명에 따른 케어 관리 또는 복지 서비스를 희망하는 사람은 사용자 단말(12)을 통하여 사용자의 기본 정보, 예를 들어, 개인 정보(도 11의 Ct.(컴퓨터전화통합관리) 정보, 생태도, 가계도, PAS 등급, 요양 판정 등의 정보 참조) 및 사정 정보(도 11의 Ct. 사정 정보 참조)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는 케어 매니저 또는 프로그램 관리자가 사용자와 상담을 통하여 관리자 단말(15)을 통하여서도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본 정보 중에서 사용자의 사정 정보는 도 1과 같은 욕구 추출 알고리즘에 대한 기초 정보가 된다(S212). 즉, 욕구 도출 처리부(140)는 위와 같은 복지서비스 이용 희망자의 사정정보에 따라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수행하여(S213) 사용자의 욕구를 추출할 수 있다(S214). 예를 들어, 욕구 도출 처리부(140)는 도 2와 같은 미리 결정된 욕구사정 항목 기준을 참조하여 욕구 사정 도구 항목(도 3 참조)을 추출하고, 데이터마이닝 방식에 따라 위의 욕구 사정 도구 항목 중에서 결정된 복수의 욕구들에 대한 욕구 의사 결정 모형(도 4참조)을 생성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의사 결정 모형을 수집하여 각 욕구별 통계 요약(도 7참조)을 작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욕구 도출 처리부(140)는 각 욕구별 통계 요약을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고, 사용자의 상황을 반영한 해당 사정 정보에 대한 욕구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그램 관리자가 각 욕구별 통계 요약를 참조하여 위험 추정치 등이 낮은 항목을 참조하여 욕구를 판단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출된 욕구는 사용자별로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 관리되어 S250 단계에서 케어플랜의 기초 정보로 활용된다.
여기서, 도 1의 설명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욕구사정 항목 기준(도 2 참조)은, 사용자의 신체적, 심리적, 또는 사회 환경적 상황을 반영하고,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하며, 사용자의 강점을 반영한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의 욕구 사정 도구 항목(도 3 참조)은, 사회복지 클라이언트과 관련된 보호자나 수발자로부터 구성된 포커스 집단에 대한 질의 응답에 기초하여 추출되는 기본정보, 주관적 호소 내용, 수발 및 보장구, 장애원인, 생활만족도, 주거 형태, 재활상태, 일상 생활, 사회적 지지, 의료 건강, 생활 습관, 또는 강점을 포함하는 독립 변인과, 복수의 종속 변인들을 포함하는 장애인의 욕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욕구 의사 결정 모형(도 5 참조)은, 복수의 장애인의 욕구들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척도들에 따라 상위 노드로부터 적어도 1이상의 하위 노드로 누적하여 분류 나무를 형성한 형태이고, 각 노드에 대한 응답수 및 욕구가 있다고 응답한 수를 기초로 신뢰 수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산출된 소정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계 요약(도 7 참조)은, 각 욕구에 대하여 예측 위험을 나타내는 표본의 비율인 위험 추정 통계량이나 해당 표본의 표준 오차인 위험 추정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S222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기관은 제공 기관 단말(13)을 통하여 도 12와 같이 자원 봉사자, 후원자, 전문 인력, 케어러 등의 인적자원 정보나 프로그램 활용공간 및 비품, 소모품 등과 관련된 시설 자원 정보, 또는 시설자원이나 인적 자원과 별도로 관리되는 물적 자원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자원 관리부(150)는 이와 같은 자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1)에 등록하고 관리한다.
이에 따라 프로그램 등록 관리부(160)는 위와 같은 제공기관 단말(13)로부터 제공되는 자원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케어플랜 가이드(사용자의 욕구별 서비스 목표, 목표별 서비스 항목, 서비스 항목별 구분자, 비용 등을 포함하고 있는 가이드)에 따라 케어 관리 프로그램을 데이터베이스(111)에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시설 자원이나 물적 자원을 바탕으로 위와 같은 인적 자원을 활용하여 케어 관리 프로그램을 개설할 수 있으며, 이에는 프로그램의 운영일시, 장소, 관리자, 인적자원, 비용 등 서비스 총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개설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기관은 프로그램 관리를 위한 해당 프로그램 관리자를 등록하거나 담당자를 지정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로그램 등록 관리부(160)는 프로그램 관리자에 의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용자별 상담을 통하여 이용자의 상황, 등록, 참여 현황, 서비스 현황, 이용실태 등을 기록하고, 이용자의 추가, 정지, 삭제 등을 데이터베이스(111)에 관리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 단말(12)로부터 입력되는 복지서비스 이용 희망자의 개인정보를 기초로 프로그램 등록 관리부(160)는 해당 희망자의 케어 관리 프로그램에의 참여 여부와 대응시켜 관리할 수도 있다. 복지 서비스 제공 기관의 프로그램 관리자가 사용자의 욕구 사정, 상담 등의 업무를 수행하면서, 프로그램 등록 관 리부(160)에 의하여 관리되는 프로그램의 개설과 관리를 통하여 실제적 자원 데이터베이스(111)를 유지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1)에는 지역단위로 프로그램 개설현황을 총량을 관리할 수 있고, 케어플랜 가이드에 따라 서비스 또는 해당 프로그램이나 케어플랜 등을 분류하여 저장 관리할 수 있으며(S233), 이와 같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111)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12), 제공 기관 단말(13), 공공기관 단말(14), 관리자 단말(15) 등 케어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는 단말에 필요한 자원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S224).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11)에 사용자의 욕구 추출 과정과 서비스 제공 기관의 프로그램이 등록되면, 도 13과 같은 케어플랜 가이드에 기초하여, 케어플랜부(170)는 해당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에 적합한 케어플랜을 작성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이 '재활 훈련을 원한다'는 사용자의 욕구에 대한 가이드가 제시되면, 프로그램 관리자 등은 해당 사용자와 상담을 통하여 해당 가이드에 따라 사용자에 적합한 케어플랜을 도 14와 같이 작성하여 등록할 수 있다. 케어플랜부(170)는 각 수발목표, 서비스 프로그램명 등에 대한 서비스 제공 기관의 자원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하여 사용자에 맞는 인적, 시설, 및 물적 자원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프로그램과 해당 서비스의 서비스 시간, 비용 등을 자동 산출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경우에, 도 15와 같이 프로그램 관리자 등은 케어 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 예를 들어, 프로그램명, 서비스 종류, 일정, 서비스 기관명, 강사, 정원수, 현원수 등을 미리 살펴보고 사용자 에 대한 케어플랜 작성시 이를 참고하거나 보다 우수한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 관리자 등은 케어플랜의 작성 중에 사용자의 욕구 변경이 있거나, 실시간 욕구 사정 항목 등의 변경을 반영하기 위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욕구를 재도출하여 그에 맞는 적확하고 과학적인 케어플랜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공공 기관에서는 공공 기관 단말(14)을 통하여, 수시로 서비스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S240). 공공 기관은 데이터베이스(111)에 관리되는 사용자의 이용 실태, 프로그램, 케어플랜 가이드, 자원 정보 등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 열람이 가능하며(S241), 도 15와 같은 서비스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이나 프러그램 관리자가 사용자와 실시한 상담이나 회의록 등에 대하여도 데이터베이스(111)에 기록 관리된 내용을 기초로한 해당 정보의 요청도 가능하다(S242).
특히, 공공 기관에서는 이와 같은 복지 서비스 또는 케어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정보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부(130)는 위와 같이 추출되는 사용자의 욕구에 기초하여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케어플랜 수요량(사용자 욕구 수요총량 포함)을 산출하고, 위와 같이 등록된 케어 관리 프로그램의 검색을 통하여 프로그램 공급량(해당 지역 단위의 자원총량 포함)을 판단하여, 공공 기관의 요청이 있을 때 해당 수요량과 공급량의 비교 현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공 기관에서는 위와 같이 사용자의 욕구에 대하여 작성되어 실시된 케어플랜에 해당 실시된 복지 서비스가 사용자의 욕구대로 잘 시행이 되었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S250). 이를 위하여 서비스 평가부(180)는 사용자에게 서비스된 케어플랜(care plan)에 대한 서비스 평가를 수집하고 통계한 평가 정보를 제공하며, 이러한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욕구의 재사정이나 위와 같은 자원 정보의 재사정을 하여야 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251). 서비스 평가는 재가 장애인 등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나 보호자 또는 수발자 등과 상담을 통하여 이루어져 수집되고, 공공 기관 등으로부터 해당 수집 정보가 입력될 때, 케어 관리 서버(100)의 서비스 평가부(180)를 통하여 관리될 수 있다. 서비스 평가에 대한 정보는 각종 사례에 따라 일정 점수화하여 수집될 수 있고, 이러한 값들의 평균, 표준 오차 등을 계산하여 통계 처리됨으로써, 통계 처리된 값이 일정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사용자의 욕구의 재사정이나 위와 같은 자원 정보의 재사정을 하도록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하여 욕구 추출 알고리즘의 사정 항목의 추가, 삭제, 변경이나 자원 정보의 추가, 삭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방법 및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능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하드 디스크, 이동형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에 대한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구 사정 항목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구 사정 도구의 문항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구 사정 도구의 각 항목의 구성 타당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구조의 의사 결정 모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사 결정 모형의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 욕구별 통계 요약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활용하고 자원 검색을 통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어 관리 서비스를 요약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어 관리 서버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어 관리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제공기관, 공공기관, 관리자 등의 연관 관계와 각각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가이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캡쳐 화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어플랜 작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캡쳐 화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현황 모니터링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캡쳐 화면이다.
Claims (15)
-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를 위한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서비스 제공 기관의 시설자원 정보, 인적 자원 정보, 또는 물적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단계;상기 자원 정보에 기초한 케어 관리 프로그램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단계; 및케어플랜 가이드에 따라 사용자의 욕구에 대한 상기 케어 관리 프로그램을 케어플랜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알고리즘에 의해 산출된 욕구를 잠재적 욕구량으로 하고, 욕구에 기초하여 작성된 이용자의 케어플랜을 실제적 수요량으로 산출하며, 상기 등록된 케어 관리 프로그램의 검색을 통하여 서비스 공급량을 판단하여, 상기 수요량과 상기 공급량의 비교 현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플랜을 제공하는 단계 전에,상기 사용자의 욕구를 추출하기 위한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는,미리 결정된 욕구사정 항목 기준을 참조하여 욕구 사정 도구 항목을 추출하는 단계;데이터마이닝 방식에 따라 상기 욕구 사정 도구 항목 중에서 결정된 복수의 욕구들에 대한 욕구 의사 결정 모형을 생성하는 단계;상기 욕구 의사 결정 모형을 수집하여 각 욕구별 통계 요약을 작성하는 단계; 및상기 각 욕구별 통계 요약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사용자의 상황을 반영한 사정 정보에 따라 욕구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
-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미리 결정된 욕구사정 항목 기준을 참조하여 욕구 사정 도구 항목을 추출하는 단계;데이터마이닝 방식에 따라 상기 욕구 사정 도구 항목 중에서 결정된 복수의 욕구들에 대한 욕구 의사 결정 모형을 생성하는 단계;상기 욕구 의사 결정 모형을 수집하여 각 욕구별 통계 요약을 작성하는 단계; 및상기 각 욕구별 통계 요약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사용자의 상황을 반영한 사정 정보에 따라 욕구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구 추출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욕구사정 항목 기준은,사용자의 신체적, 심리적, 또는 사회 환경적 상황을 반영하고,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하며, 사용자의 강점을 반영한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구 추출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욕구 사정 도구 항목은,사회복지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보호자나 수발자로부터 구성된 포커스 집단에 대한 질의 응답에 기초하여 추출되는 기본정보, 주관적 호소 내용, 수발 및 보장구, 장애원인, 생활만족도, 주거 형태, 재활상태, 일상 생활, 사회적 지지, 의료 건강, 생활 습관, 또는 강점을 포함하는 독립 변인과, 복수의 종속 변인들을 포함하는 장애인의 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구 추출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욕구 의사 결정 모형은,복수의 장애인의 욕구들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척도들에 따라 상위 노드로부터 적어도 1이상의 하위 노드로 누적하여 분류 나무를 형성한 형태이고, 각 노드에 대한 응답수 및 욕구가 있다고 응답한 수를 기초로 신뢰 수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산출된 소정 인덱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구 추출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요약은,각 욕구에 대하여 예측 위험을 나타내는 표본의 비율인 위험 추정 통계량이나 해당 표본의 표준 오차인 위험 추정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구 추출 방법.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사회복지 클라이언트를 위한 케어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서비스 제공 기관의 시설자원 정보, 인적 자원 정보, 또는 물적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자원 관리부;상기 자원 정보에 기초한 케어 관리 프로그램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 등록 관리부; 및케어플랜 가이드에 따라 사용자의 욕구에 대하여 상기 케어 관리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는 케어플랜을 제공하는 케어플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어 관리 서비스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사용자의 통계적 욕구와 이에 기초하여 작성된 이용자의 케어플랜을 각각 잠재적 수요량과 실제적 수요량으로 산출하고, 상기 등록된 케어 관리 프로그램의 검색을 통하여 서비스 공급량을 판단함으로, 상기 수요량과 상기 공급량의 비교 현황을 제공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어 관리 서비스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사용자의 욕구를 추출하기 위한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욕구도출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어 관리 서비스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케어플랜에 대한 서비스 평가를 수집하고 통계한 평가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욕구의 재사정이나 상기 자원 정보의 재사정을 결정하는 서비스 평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어 관리 서비스 시스템.
-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추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미리 결정된 욕구사정 항목 기준을 참조하여 욕구 사정 도구 항목을 추출하는 추출 수단;데이터마이닝 방식에 따라 상기 욕구 사정 도구 항목 중에서 결정된 복수의 욕구들에 대한 욕구 의사 결정 모형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상기 욕구 의사 결정 모형을 수집하여 각 욕구별 통계 요약을 작성하는 요약 수단; 및상기 각 욕구별 통계 요약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사용자의 상황을 반영한 사정 정 보에 따라 욕구를 판단하는 사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구 추출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0553A KR20100021894A (ko) | 2008-08-18 | 2008-08-18 |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에 대한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0553A KR20100021894A (ko) | 2008-08-18 | 2008-08-18 |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에 대한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1894A true KR20100021894A (ko) | 2010-02-26 |
Family
ID=4209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0553A KR20100021894A (ko) | 2008-08-18 | 2008-08-18 |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에 대한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21894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7662B1 (ko) * | 2011-11-18 | 2012-08-27 | 오동식 | 요양자 통합 관리시스템 및 방법 |
KR102112695B1 (ko) * | 2019-08-06 | 2020-05-19 |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 의료복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US10878957B2 (en) * | 2015-06-30 | 2020-12-29 | Koninklijke Philips N.V. | Need determination system |
KR20210116094A (ko) * | 2020-03-17 | 2021-09-27 | (주)봄소프트 | 생활중심형 고령자 통합 케어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
WO2023239116A1 (ko) * | 2022-06-07 | 2023-12-14 | 크리온 주식회사 | 콘텐츠 추천 방법 |
-
2008
- 2008-08-18 KR KR1020080080553A patent/KR2010002189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7662B1 (ko) * | 2011-11-18 | 2012-08-27 | 오동식 | 요양자 통합 관리시스템 및 방법 |
US10878957B2 (en) * | 2015-06-30 | 2020-12-29 | Koninklijke Philips N.V. | Need determination system |
KR102112695B1 (ko) * | 2019-08-06 | 2020-05-19 |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 의료복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KR20210116094A (ko) * | 2020-03-17 | 2021-09-27 | (주)봄소프트 | 생활중심형 고령자 통합 케어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
WO2023239116A1 (ko) * | 2022-06-07 | 2023-12-14 | 크리온 주식회사 | 콘텐츠 추천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arman-Adhikari et al. | Social networks as the context for understanding employment services utilization among homeless youth | |
Li et al. | Linking objective and subjective job demands and resources in the JD-R model: A multilevel design | |
Haber et al. | Predicting improvement of transitioning young people in the partnerships for youth transition initiative: Findings from a multisite demonstration | |
West et al. | Factors affecting the accuracy of interviewer observations: Evidence from the National Survey of Family Growth | |
DeMichele et al. | Taking officer time seriously: A study of the daily activities of probation officers | |
Evans et al. | Collaborative evaluation with service users | |
Reid | Community-oriented primary care | |
Wang et al. | Bureaucratic contacts and their impact on citizen satisfaction with local government agencies: The influence of expectation | |
KR20100021894A (ko) |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에 대한 케어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
Christian et al. | Exploring homeless people's use of outreach services: Applying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 |
Mason et al. | Young urban adolescents' activity spaces, close peers, and the risk of cannabis use: A social–spatial longitudinal analysis | |
Khan et al. | Integrated Care for Older People with Different Frailty Levels: A Qualitative Study of Local Implementation of A National Policy in Luton, England | |
Ali et al. | Social Survey Method | |
Chernesky et al. | Examining the HIV/AIDS case management process | |
KR100799665B1 (ko) | 노인 복지 서비스를 위한 욕구 사정 예측 방법 및 상기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 |
Lutz et al. | Years of Good Life (YoGL): A new indicator for assessing sustainable progress | |
Zayed et al. | Operational management in emergency healthcare | |
Kasparova et al. | The take-up rate of Disability Living Allowance and Attendance Allowance: feasibility study | |
Richards et al. | Expertise recommendation: A two-way knowledge communication channel | |
Rezai et al. | Workplace inclusion: A scoping review of the qualitative literature | |
Bigby | Evidence about Best Practice in Supported Accommodation Services: What Needs to be in Place? | |
Maracine et al. | Knowledge use and Sharing into a medical community of practice; the role of virtual agents (knowbots) | |
Carter et al. | Legal involvement and substance use treatment engagement and outcomes | |
Rush et al. | Monitoring alcohol and other drug treatment: What would an optimal system look like? | |
Scott et al. | Tempest in a therapeutic community: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issues for faith-based programm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