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743A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743A
KR20100021743A KR1020080080325A KR20080080325A KR20100021743A KR 20100021743 A KR20100021743 A KR 20100021743A KR 1020080080325 A KR1020080080325 A KR 1020080080325A KR 20080080325 A KR20080080325 A KR 20080080325A KR 20100021743 A KR20100021743 A KR 20100021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fferentiator
input
power saving
clo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3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0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1743A/en
Publication of KR20100021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74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Abstract

PURPOSE: A display device is provided to reduce the electric energy consumed in a power saving action state by checking the existence of the input signal. CONSTITUTION: A signal receiving part(100) receives the input signal from outside. The input signal comprises the clock signal. The differentiator(120) differentiates the clock signal. The clock signal is branched in the clock signal input line of the signal receiving part. The controller(130) senses the output signal of differentiator. The differentiator is connected to the set port. It is based on in the sensing signal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differentiator. The controller decides the cancel release of the power saving mode.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신호의 존재 여부에 따라 절전 동작 상태를 해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apparatus for canceling a power saving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n input signal.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로부터 정상적인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즉 무신호 상태인 경우에는 절전 동작 상태로 진입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하고, 또한 상기 절전 동작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여 절전 동작 상태를 해제하고 정상 동작 상태로 진입한다.In general, when a normal signal is not input from the outside, that is, in a no-signal state, the display apparatus enters a power saving operation stat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also determines a state of a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in the power saving operation state. Cancel the power save operation state and enter the normal operation sta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인터페이스부(10), 스위칭부(20), 비디오 디코더(30), 영상신호 처리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n interface unit 10, a switching unit 20, a video decoder 30, an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40, and a controller 50.

인터페이스부(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The interface unit 10 receives a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which is composed of at least one.

스위칭부(2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수신된 입력 신호를 스위칭한다.The switching unit 20 switches the inpu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t least one interface unit 10.

비디오 디코더(30)는 상기 스위칭부(20)를 통해 선택된 입력신호를 디코딩하여 원 신호로 복원한다.The video decoder 30 decodes the input signal selected by the switching unit 20 and restores the original signal.

영상신호 처리부(40)는 상기 비디오 디코더(30)를 통해 디코딩된 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며, 제어부(50)는 상기 각 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image signal processor 40 processes the signal decoded by the video decoder 30 so as to be displayed, and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s of the units.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스위칭부(20)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부(10)로부터 수신된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정상적인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절전 동작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alyzes an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interface unit 10 through the switching unit 20, determines whether a normal signal is currently input, and accordingly, enters a power saving operation state. Will enter.

그리고, 상기 절전 동작 상태로 진입한 이후에도 상기 스위칭부(2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순차적으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스위칭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정상적인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In addition, even after entering the power saving operation state, the switching unit 20 sequentially switches signals input through the at least one interface unit 10, and the control unit 50 analyzes the switched signals. Determines whether a normal signal is input.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절전 동작 상태로 진입한 이후에도 정상적인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스위칭부(20)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소모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절전 동작 상태의 기준조건을 만족하는데 제약사항이 되었다.However,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consumes power required to drive the switching unit 20 to determine whether a normal signal is input even after entering the power saving operation state. Constraints in meeting the criteria.

즉, 상기 스위칭부(20)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0)별로 입력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블록을 각각 설계하는데, 이때에는 상기 처리 블록이 늘어남에 따라 IC 가격이 올라가는 문제가 발생하며, 상기 스위칭부(20)를 사용하 기 되면 알고리즘이 복잡해져 많은 양의 전력이 소모되며, 또한 상기 스위칭부(20) 자체에서 소모되는 전력량도 많아져 절전동작 상태의 기준 조건을 만족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That is, when the switching unit 20 is not used, processing blocks for processing input signals are designed for each of the interface units 10. In this case, the IC price increases as the processing blocks increase. When the switching unit 20 is used, an algorithm is complicated, and a large amount of power is consumed, and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switching unit 20 is also increas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atisfy a reference condition of a power saving operation state. hav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미분기의 출력신호를 기준으로 절전 모드의 해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절전 모드 상태에서 소모되는 전략 량을 감소시켜 절전 모드의 기준 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aving mode release process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differentiator, thereby reducing the strategic amount consumed in the power saving mode state so as to satisfy the reference condition of the power saving mo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클록 신호의 주파수 이상 및 정상 여부를 감지하여 절전 모드의 해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cancel the power saving mode by detecting a frequency abnormality and normality of the clock signa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로부터 클록 신호를 포함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의 클록 신호 입력 라인에 분기되어 상기 입력되는 클록 신호를 미분하는 미분기; 및, 기설정된 포트에 연결된 상기 미분기의 출력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미분기의 출력신호에 따른 감지신호를 기준으로 절전 모드의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signal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input signal including a clock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A differentiator branched to a clock signal input line of the signal receiver to differentiate the input clock signal;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an output signal of the differentiator connected to a preset port and determine whether to cancel the power saving mode based on a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differentiato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액티브형 미분기를 적용하여 절전동작 상태에서의 입력 신호 유무를 확인함으로써, 절전 동작상태에서 소모되는 전략 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절전 동작 상태에서 요구되는 기준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n active differentiator to check the presence of an input signal in a power saving operation state,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strategy consumed in the power saving operation state and at the same time a criterion required in the power saving operation stat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atisfy the condi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other inventive inventions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ade by adding, changing, or deleting other elements. I can suggest.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as a general term widely used as possible at present, but in certain cases there is also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name of a simple term It should be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nderstood as a meaning of term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분기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ifferenti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클록 신호를 포함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100)와, 상기 신호 수신부(100)를 통해 수신된 입력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10)와,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신호 수신부(100)로 연결되는 클록 신호 입력 라인에 분기되어 상기 입력되는 클록 신호를 미분하는 미분기(120)와, 기설정된 포트에 연결된 상기 미분기(120)의 출력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미분기(120)의 출력신호에 따른 감지신호를 기준으로 절전 모드의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절전 모드 해제 및 정상 모드 진입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ignal receiver 100 receiving an input signal including a clock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and an inpu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ignal receiver 100. A differentiation unit 120 branched to a switching unit 110 for switching, a clock signal input line connected to the signal receiving unit 100 from the outside, and differentiating the input clock signal, and the differentiation unit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ort ( A control unit 130 for detecting an output signal of the controller 120 and determining whether to cancel the power saving mode based on a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differentiator 120 and a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3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ower supply 140 for supplying power for the release and normal mode entry.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절전 모드 진입시에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전 모드로 진입한 이후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First, since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operate when entering the power saving mode, the operation after entering the power saving mode will be described.

즉, 제어부(140)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입력신호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판단하고, 상기 입력신호의 상태가 비정상적(무신호 등)일 경우에는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한다.That is, the controller 140 periodically determines the state of the input signal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and controls to enter the power saving mode when the state of the input signal is abnormal (no signal or the like).

그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140)는 대기 전원만을 해당 IC에 공급해주고, 그 이외의 전원 공급은 차단한다.Accordingly, the power supply unit 140 supplies only standby power to the corresponding IC, and cuts off other power supply.

여기에서 상기 입력 신호는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포맷의 신호임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input signal is preferably a signal of a 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TMDS) format.

상기 TMDS 신호는 디지털 영상신호의 포맷의 하나로서, DVI(Digital Video Interface)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 등의 신호 소스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된다. The TMDS signal is a format of a digital video signal, and is input to a display device from a signal source such as a computer through a DVI (Digital Video Interface) or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interface.

그에 따라 신호 수신부(100)는 신호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TMDS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장치가 처리할 수 있는 형식의 포맷으로 디코딩하게 된다.Accordingly, the signal receiver 100 receives the TMDS signal received from the signal source and decodes it into a format that the display apparatus can process.

또한, 상기 스위칭부(110)는 상기 신호 수신부(100)를 통해 수신된 입력 신 호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입력 신호를 스위칭한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nput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signal receiver 100, the switching unit 110 switches specific input signal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30.

미분기(120)는 절전 모드 진입시 활성화되어 동작하게 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클록 신호를 미분한다.The differentiator 120 is activated and operated when entering the power saving mode, and differentiates a clock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이하, 상기 미분기(120)의 세부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operation of the differentiator 120 will be described.

상기 미분기(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HPF(High Pass Filter)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The differentiator 12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igh pass filter (HPF) as shown in FIG.

여기에서, R5 및 C5는 상기 미분기(120)의 오프셋을 컨트롤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Here, R5 and C5 are components for controlling the offset of the differentiator 120.

상기 TMDS 신호는 4채널 신호로 분리되어 입력되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절전 모드의 해제를 위한 분석 대상인 클록 신호가 별도로 분리되어 입력되므로, 상기 클록 신호를 분주하여 상기 미분기(120)에 연결시킨다.The TMDS signal is divided into four channel signals, and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lock signal for analysis for releasing the power saving mode is separately inputted, the clock signal is divided into the differentiator 120. Connect

이때, 상기 미분기(130)는 OP-AMP를 사용하며, 상기 OP-AMP의 특성상 입력과 출력이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분리 장치 없이 연결만으로도 상기 입력신호의 손실 없이 출력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differentiator 130 uses the OP-AMP, and because the input and the output are not connect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AMP, the output can be output without the loss of the input signal only by the connection without a separate device.

즉,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신호 수신부(100)로 연결되는 클록 신호 입력 라인에 분기하여 상기 미분기(120)를 배치하며, 그에 따라 상기 미분기(120)는 상기 입력되는 클록 신호를 미분하여 출력한다. That is, the differentiator 120 is arranged by branching to a clock signal input line connected to the signal receiver 100 from the outside, and accordingly, the differentiator 120 differentially outputs the input clock signal.

이때, DVI 스펙상에 따르면 상기 TMDS 신호 중 클록 신호가 22.5Mhz 이상이면 이를 액티브(Active)로 정의하고 있으며, 상기 클록 신호가 22.5Mhz보다 느린 신호에 대해서는 이를 인액티브(Inactive)로 정의하고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DVI specification, when the clock signal of the TMDS signal is 22.5Mhz or more, it is defined as Active, and the signal which is slower than 22.5Mhz is defined as Inactive.

따라서, 상기 입력되는 클록 신호가 22.5Mhz이하이면 포화되지 않도록 상기 미분기(120)를 구성하고, 상기 클록 신호가 22.5Mhz이상이면 상기 미분기(120)를 발산하도록 구성한다.Therefore, the differentiator 120 is configured not to saturate when the input clock signal is 22.5 MHz or less, and emits the differentiator 120 when the clock signal is 22.5 MHz or more.

즉, 입력되는 클록 신호가 22.5Mhz 이상일 경우 발산하도록 상기 미분기(120)를 구성하면 상기 미분기(120)의 출력은 상기 미분기의 B+와 같게 되어 상기 제어부(130)에는 하이 레벨의 감지신호가 출력되게 된다.That is, when the differentiator 120 is configured to diverge when the input clock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22.5 MHz, the output of the differentiator 120 becomes the same as B + of the differentiator so that a high level detection signal is output to the control unit 130. do.

다시 말해서, 22.5Mhz 이상의 클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미분기(120)의 출력이 무한대로 발산하게 하고, 22.5Mhz 이하의 클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미분기(120)의 출력이 발산하지 않도록 상기 R5와 C5의 값을 설정한다.In other words, when a clock signal of 22.5Mhz or more is input, the output of the differentiator 120 is radiated to infinity, and when the clock signal of 22.5Mhz or less is input, the output of the differentiator 120 does not diverge. Set the values of R5 and C5.

이때, 상기 미분기(120)의 출력이 무한대로 발산하는 경우에는 OP-AMP 자체의 B+전원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때에는 상기 제어부(130)로 하이 레벨의 감지신호가 출력되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output of the differentiator 120 radiates to infinity, since the B + power limit of the OP-AMP itself exists, a high level detection signal is output to the controller 130.

다시 말해서, 상기 미분기(120)의 게인(Gain)은 R4/R1+1이며, 여기에서 상기 C5, R5 값을 조절하여 클록 신호가 정상치보다 느린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신호가 R5로 빠지도록 설정하고, 상기 클록 신호가 정상치보다 빠른 경우에 대해서는 이를 증폭하여 발산하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gain of the differentiator 120 is R4 / R1 + 1, and the C5 and R5 values are adjusted to set the signal to fall to R5 when the clock signal is slower than the normal value. If the clock signal is faster than the normal value, it is amplified and diverged.

또한 여기에서 상기 미분기(120)의 R5와 C5 값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보다 정확한 입력신호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5 and C5 values of the differentiator 120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to determine a more accurate state of the input signal.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포트에 연결된 상기 미분기(120)의 출력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미분기(120)가 발산함에 따라 하이 레벨의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진입한 절전 모드를 해제하여 정상 동작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한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30 detects an output signal of the differentiator 120 connected to a preset port and releases the entered power saving mode when a high level detection signal is output as the differentiator 120 diverges. To control the entry to the normal operation mode.

또한,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130)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상기 미분기(120)가 연결된 포트를 활성화시키면,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TMDS 신호의 손실 우려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미분기(120)가 연결된 포트를 절전 모드에서만 활성화시키고, 정상 동작 모드에서는 하이 임피던스(High impedance)로 설정하여 상기 입력되는 TMDS 신호의 손실 저하를 방지한다.In addition, in this case, when the controller 130 activates the port to which the differentiator 120 is connected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there is a risk of loss of the TMDS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It is activated only in the power saving mode and set to high impedance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to prevent the loss of the input TMDS signal from being lowered.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130)는 정상 동작시에는 상기 미분기가 연결된 포트를 비활성화시키고,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미분기가 연결된 포트를 활성화시킨다.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130 deactivates the port to which the differentiator is connected during normal operation, and activates the port to which the differentiator is connected when entering the power saving mode.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미분기가 발산함에 따라 상기 포트의 상태가 하이 상태로 변경하게 되면, 상기 입력되는 클록 신호를 정상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절전 모드 해제 및 정상 동작 모드 진입을 제어한다.Accordingly, when the state of the port changes to a high state as the differentiator diverges,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e input clock signal as normal, and accordingly controls the power saving mode release and the normal operation mode entry.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액티브형 미분기를 적용하여 절전동작 상태에서의 입력 신호 유무를 확인함으로써, 절전 동작상태에서 소모되는 전략 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절전 동작 상태에서 요구되는 기준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n active differentiator to check whether there is an input signal in the power saving operation state,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strategy consumed in the power saving operation state and at the same time requesting it in the power saving operation state.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standard condi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분기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ifferenti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

100: 신호 수신부 110: 스위칭부100: signal receiving unit 110: switching unit

120: 미분기 130: 제어부120: differentiation 130: control unit

140: 전원 공급부140: power supply

Claims (6)

외부로부터 클록 신호를 포함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A signal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n input signal including a clock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상기 신호 수신부의 클록 신호 입력 라인에 분기되어 상기 입력되는 클록 신호를 미분하는 미분기; 및,A differentiator branched to a clock signal input line of the signal receiver to differentiate the input clock signal; And, 기설정된 포트에 연결된 상기 미분기의 출력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미분기의 출력신호에 따른 감지신호를 기준으로 절전 모드의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장치.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an output signal of the differentiator connected to a preset port and determine whether to cancel the power saving mode based on a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differentiato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절전 모드 진입시 상기 미분기가 연결된 포트를 활성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The control unit activates a port to which the differentiator is connected when entering a power saving mo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미분기는 상기 클록 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는 경우에 발산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And the differentiator is configured to diverge when the clock signal is normally input.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미분기는 22.5Mhz 이상의 클록 신호 입력시 무한대로 발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The differentiator diverges indefinitely upon input of a clock signal of 22.5 MHz or higher.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분기의 출력이 발산함에 따라 상기 포트의 상태가 하이로 변경되면 절전 모드 해제 및 정상 동작 모드 진입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cancel the power saving mode and to enter the normal operation mode when the state of the port changes to high as the output of the differentiator is diverged.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동작 모드 진입시 상기 미분기가 연결된 포트를 비활성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The control unit deactivates the port to which the differentiator is connected when entering the normal operation mode.
KR1020080080325A 2008-08-18 2008-08-18 Display device KR2010002174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325A KR20100021743A (en) 2008-08-18 2008-08-18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325A KR20100021743A (en) 2008-08-18 2008-08-18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743A true KR20100021743A (en) 2010-02-26

Family

ID=4209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325A KR20100021743A (en) 2008-08-18 2008-08-18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174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0561A (en) * 2012-01-05 2013-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Dia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power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0561A (en) * 2012-01-05 2013-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Dia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power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2836B2 (en) Display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US8375234B2 (en) Wakeup of a non-powered universal serial bus
KR100418703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175674B1 (en) Standby power cut-off device for computer peripherals
KR100366309B1 (en) A power-saving circuit in a digital video signal display system
KR100643387B1 (en) Portable compu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200620857A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IrDA enabled handsets by turning ON/OFF an IrDA port dynamically
KR100807284B1 (en) Portable Compu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17638B1 (en) Power-saving method in display device
US20110109608A1 (en) Multi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8139772A (en) Display system and device
US20100259424A1 (en) Power saving method in sleep mode and keyboard controller using the same
US201000039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saving and wake-up
KR20100021743A (en) Display device
CN108427481A (en) A kind of medical display and its automatic fault detection method of automatic fault detection
KR101182148B1 (en) Power sensing system of display device
JP2007317073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control method
KR101646778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tethod for the controlling
US20120206649A1 (en) Energy-saving control device for remote image receiver
KR102171937B1 (en) Computing device control method with power saving function
KR20060083620A (en) Apparatus for saving power of monitor
KR101723194B1 (en) Powe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with a built-in power management features of the monitor
CN101930277A (en) Power-saving and awakening device and method
TW202001496A (en) Display controller and power saving method thereof
KR20190048977A (en) PC system with power saving and power control function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