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223A - 수신 시스템 및 긴급 경고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 시스템 및 긴급 경고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223A
KR20100021223A KR1020080080016A KR20080080016A KR20100021223A KR 20100021223 A KR20100021223 A KR 20100021223A KR 1020080080016 A KR1020080080016 A KR 1020080080016A KR 20080080016 A KR20080080016 A KR 20080080016A KR 20100021223 A KR20100021223 A KR 20100021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alert
application
alert message
received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966B1 (ko
Inventor
윤창식
김봉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0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966B1/ko
Publication of KR20100021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긴급 경고를 처리하기 위한 IPTV 수신 시스템 및 긴급 경고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IPTV 수신 시스템의 긴급 경고 처리 방법은, 긴급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의 중요도와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중요도를 비교하여,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실행이 결정되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한 후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lert, emergency, 우선순위, IPTV

Description

수신 시스템 및 긴급 경고 처리 방법{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Emergency Alert}
본 발명은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긴급 경고를 처리하기 위한 수신 시스템 및 긴급 경고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텔레비전(TV)은 방송국에서 제작하는 컨텐츠(contents)를 지상파, 케이블, 또는 위성 등의 전파 전달 매체를 통해서 송출하고, 사용자는 상기 각 전파 전달 매체를 수신할 수 있는 TV 수상기를 통해 시청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 TV 기술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서, 기존의 전파 전달 매체 외에도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인터넷 망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제공의 예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V)를 들 수 있다. 상기 IPTV는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 컨텐츠 등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하는 텔레비전을 말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IPTV 수신 시스템에서 긴급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 시스템 및 긴급 경고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수신 시스템은, 수신부와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긴급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로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의 중요도와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중요도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를 실행시키거나 실행시키지 않는다.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는 지상파 채널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는 인터넷 망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의 중요도에 따라 각 어플리케이션에 레벨 값을 할당하고,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 내 우선 순위 필드(alert_priority) 값과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레벨 값을 비교하여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실행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를 실행하기로 결정하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한 후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를 실행시킨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를 읽어 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재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수신 시스템의 긴급 경고 처리 방법은, 긴급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의 중요도와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중요도를 비교하여,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실행이 결정되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한 후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시스템 및 긴급 경고 처리 방법에 의하면, IPTV 수신 시스템에서도 긴급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IPTV에서도 사용자에게 비상 사태를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어플리케이션에 레벨을 할당함으로써, 긴급 경고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중요도에 따라 수신되는 긴급 경고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 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은 IPTV에서도 긴급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각종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예인 IPTV(Internet Protocol TV) 시스템은 크게 서버(Server), 네트워크 시스템, 그리고 수신 시스템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IPTV 시스템의 서버는 서비스 discovery 및 선택(Selection)에 관한 정보 서버, 스트리밍(Streaming) 서버, 컨텐츠 가이드(Contents Guide) 정보 서버, 고객정보 서버, 지불 정보 서버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는 서버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버 가운데 스트리밍 서버는 저장되어 있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또는 MPEG4 인코딩 동영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상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protocol)로 RTP(RFC 1889: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CP(RFC3605: RTP Control Protocol), RTSP(RFC2326: Real-Time Streaming Protocol)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RTSP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일시정지(Pause), 리플레이(Replay), 정지(Stop) 등 네트워크 트릭 플레이(Trick Play)라 불리는 기능을 통해 동영상 스트림 재생을 어느 정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컨텐츠 가이드 정보 서버는 다양한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상기 컨텐츠 가이드 정보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로 컨텐츠에 대한 각종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가이드 정보 서버는 컨텐츠 가이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수신 시스템에 제공한다.
상기 서버 가운데 service discovery 및 선택에 관한 정보 서버는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등의 각종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들에 대한 접속 정보, 재생 정보 등을 수신 시스템에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인터넷 기반 망과 게이트웨이(Gateway)들로 이루어진다. 게이트웨이에서는 일반적인 데이터 전달뿐만 아니라,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캐스트(Multicast) 그룹 관리, QoS(Quality of Service)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 시스템은 인터넷 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텔레비전을 말한다. 상기 수신 시스템에는 IPTV 셋톱(IPTV Settop), 홈넷 게이트웨이(Homenet Gateway), IPTV 임베디드 TV(IPTV embedded TV) 등이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hybrid) 형태의 IPTV 시스템의 경우에는, 기존의 각종 방송 컨텐츠들 뿐만 아니라 인터넷의 각종 컨텐츠들을 서비스할 수 있다. 즉,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개인 방송 등과 같은 각종 방송 컨텐츠나, 다양한 인터넷 영상 컨텐츠, 영상 이외의 데이터 컨텐츠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들은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요청에 따라 주문형(on demand)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비상 사태(Emergency)이 발생한 경우, 수신 시스템은 긴급 경고 메시지(Emergency Alert Message ; 이하 EA 메시지 또는 EAM이라 하기도 함)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는 지상파나 케이블 방송국에서 전송될 수도 있고, 상기 IPTV 시스템의 서버들 중 하나의 서버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신 시스템에서 수신하는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신택스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는 테이블 형태로 수신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며, 테이블 형태의 긴급 경고 메시지를 EAT(Emergency Alert Table)이라 하기로 한다.
상기 EAT는 섹션이라는 기본 단위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섹션들이 조합되어 하나의 EAT를 구성하게 된다. 도 1은 긴급 경고 테이블 섹션의 신택스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table_ID 필드는 해당 테이블이 EAT임을 표시하기 필드로서, 예를 들면 0xD8로 할당될 수 있다.
section_syntax_indicator 필드는 1의 값으로 셋팅될 수 있고, section_length 필드 다음에는 일반적인 MPEG-2 섹션 신택스를 따름을 의미할 수도 있다.
section_length 필드는 남아있는 바이트(byte)수를 정의하며, 4093보다 작게 설정시킬 수도 있다.
sequence_number 필드는 EAT(또는 EAM 또는 EAS)의 순서(sequence)를 표시(indicate)할 수 있으며, 메시지의 의미(semantic)가 변경되면, 0에서 31까지의 값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필드는 EAT의 버전을 표시할 수 있다.
current_next_indicator 필드는 보내진 테이블이 항상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명시하며, 1로 셋팅시킬 수 있다.
section number 필드는 전송되는 테이블은 적어도 한 섹션(section)의 길이를 차지해야 함을 명시하며, 0x00으로 셋팅시킬 수 있다.
last_section_number 필드는 완전한 EAT의 마지막 섹션의 번호를 나타낸다.
protocol_version 필드는 EAT의 버전값을 표시할 수 있다.
EAS_originator_code 필드는 EAS(Emergency Alert System)를 활성화시킨 주체(entity)를 표시할 수 있다.
EAS_event_code_length 필드는 EAS_event_code 필드의 길이를 표시할 수 있다.
EAS_event_code 필드는 EAS의 종류를 나타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홍수, 지진, 테러 등의 긴급 경고의 종류와, 대(大)지진, 중(中)지진, 소(小)지진 등 특정 비상 사태의 중요도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nature_of_activation_text_length 필드는 이 필드의 다음에 위치한 nature_of_activation_text() 필드의 길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nature_of_activation_text_length 필드 값이 '0'이면, nature_of_activation_text() 필드는 현재 EAT에 포함되지 않았음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nature_of_activation_text() 필드는 화면에 표시되는 이벤트 코드(event code)의 텍스트상 묘사(textual representation)를 표현하고 있는 특정 신택스를 포함할 수 있다.
alert_message_time_remaining 필드는 EAT의 남은 출력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120초 단위로 설정시킬 수 있고, 제로 값(zero value)은 무한한 기간(infinite duration)을 나타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alert_message_time_remaining 필드는 EAT가 인터럽트 서비스(interrupt service)로 만들어져서, 리턴(return)되기 전까지 계속되어져야 하는 기간(duration time)을 초 단위로 표시할 수도 있다.
event_start_time 필드는 EAM 이벤트의 시작 시간을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GPS 시간 기준으로 해당 채널의 STT 시간과 비교하여, 과거시간일 경우 수신 시스템 측에서 EAT를 무시할 수 있다. 반면 미래 시간일 경우에는 event_duration 필드 값과 비교하여 상기 수신 시스템의 메모리에 로딩(loading)할 지 여부를 결정 할 수 있다.
event_duration 필드는 긴급 경고 사태가 지속되기를 원하는 시간을 표시하며, 분(minute) 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 제로 값(zero value)은 상기 긴급 경고가 지속되기를 원하는 시간이 확정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신 시스템 측에서는 event_start_time 필드와, event_duration 필드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시스템 측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만, 더 이상 필요없는 과거의 EAM 이벤트를 삭제시킬 수 있다.
alert_priority 필드는 긴급 경고 사태의 우선 순위 내지는 중요도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alert_priority 필드 값에 따라 수신된 EA 메시지의 처리가 결정된다. 다시 말해 상기 EA 메시지를 무조건 무시할 것인지, 아니면 특정 조건에서만 무시할 것인지, 아니면 상기 EAT에 포함된 EA 방송 채널(details channel)로 강제 튜닝을 할 것인지 등이 결정된다. 상기 alert_priority 필드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lert_text_length 필드는 alert_text() 필드의 총 바이트(total byte)수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alert_text_length 필드 값이 0인 경우에는, EAT에 alert_text() 필드를 포함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alert_text() 필드는 텍스트 즉, OSD(On Screen Display에) 형태로 표시할 긴급 경고 내용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alert_text() 필드를 파싱하여 얻은 텍스트 형태의 긴급 경고 내용은 화면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스크롤(scroll) 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location_code_count 필드는 'for loop' 구문을 따라 나오는 지역별 정의(region definition)를 카운트(count)하는데, 예를 들어 1부터 31까지의 정수(integer number)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지역별 정의에 있어서, 미국 국가의 행정 구역 구분에 따른 지역 명칭을 사용하였지만, 구체적인 지역 명칭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state_code 필드는 긴급 경고와 관련되는 스테이트(state) 또는 영역(territory)을 표시하며, 0부터 99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state_code 필드는 스테이트와 영역의 FIPS 넘버 코드(number codes)에 따라, 코딩될 수 있으며, 상기 필드 값이 0인 경우, 모든 스테이트가 비상사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state_subdivision_code 필드는 주 구분(state subdivision)을 정의하는 0부터 99사이의 8비트 숫자를 가질 수 있다.
county_code 필드는 상기 스테이트 중 긴급 경고와 관련되는 특정 카운티(county)를 표현하며, 0부터 99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county_code 필드는 스테이트와 영역의 FIPS 넘버 코드(number codes)에 따라, 코딩될 수 있으며, 상기 필드값이 0인 경우, 모든 카운티가 비상 사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exception_count 필드는 현재 시청 중인 채널에 따라 긴급 방송 채널로 전환하기 않기 위하여, 긴급 방송 채널로의 전환을 제한하는 예외 채널의 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exception_count 필드 값만큼 exception_major_channel_number 필드와 exception_minor_channel_number 필드가 반복되어 예외 채널의 주 채널 번호와 부 채널 번호를 표시한다.
또한 도 1의 EAT 섹션은 해당 EAT 섹션에 포함되는 디스크립터의 수를 표시하는 description_length 필드와 상기 description_length 필드 값만큼 반복되는 descriptor()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 채널 튜닝에 필요한 필드들을 디스크립터 형태로 수신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2는 이러한 채널 튜닝에 필요한 필드들을 포함하는 EA 채널 디스크립터EA_channel_descriptor()에 대한 신택스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도 2에서, descriptor_tag 필드는 EA 채널 디스크립터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식별자를 표시하며, 예를 들어 '0xEA' 값이 할당될 수 있다.
descriptor_length 필드는 상기 descriptor_length 필드 이후의 EA 채널 디스크립터의 바이트 길이를 표시한다.
details_major_channel_number 필드는 EA 방송 채널(details channel)과 관련된 주 채널 번호(major channel number)를 표시할 수 있다.
details_minor_channel_number 필드는 EA 방송 채널(details channel)과 관련된 부 채널 번호(minor channel number)를 표시할 수 있다.
details_frequency 필드는 긴급 경고가 발생할 경우, 강제 튜닝시킬 EA 방송 채널의 물리적 주파수를 표시할 수 있다.
details_channel_programNumber 필드는 긴급 경고가 발생할 경우, 강제 튜닝시킬 EA 방송 채널의 프로그램 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details_channel_tsID 필드는 긴급 경고가 발생할 경우, 강제 튜닝시킬 EA 방송 채널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의 ID(IDentifier)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널 튜닝에 필요한 필드들을 디스크립터 형태로 추가하게 되면, 한 주파수 내의 프로그램 번호는 서로 같지 않으므로, 서로 중복되지 않게 긴급 경고 방송이 전달되는 채널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신 시스템은 EAT가 수신되면, EAT 내 alert_priority 필드 값에 따라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의 처리를 결정한다. 즉,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를 무조건 무시할 것인지, 아니면 특정 조건에서만 무시할 것인지, 아니면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에 포함된 긴급 방송 채널(details channel)로 강제 튜닝을 할 것인지 등을 결정한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수개의 레벨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분하는 기준은 다양하며, 본 발명은 중요도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중요할수록, 그 어플리케이션의 레벨 값이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레벨을 alert_priority 필드 값에 추가로 정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레벨 값에 따라 긴급 경고 메시지의 처리를 결정하게 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예를 들어, 배너(Banner), 위젯(Widget) 형태로 사용자에게 단순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시청 중인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정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은 레벨 0을 할당한다.
인터넷을 통해 스트리밍(streaming)되는 음악을 청취하는 등의 오디오 정보에 영향을 미치는 어플리케이션은 레벨 1을 할당한다.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download) 받은 사진을 재생하는 등의 비디오 정보에 영향을 미치는 어플리케이션은 레벨 2로 할당한다.
인터넷을 통해 UCC를 시청하거나,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이용하는 방식과 같이 일반 방송의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정보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어플리케이션은 레벨 3을 할당한다.
일정 요금을 내고 최신 영화를 시청 중이거나 특정 사이트의 쇼핑을 이용하는 등의 그 중요도가 큰 어플리케이션은 레벨 4를 할당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및 그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되는 레벨 값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들이며,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들도 그 어플리케이션의 중요도에 따라 특정 레벨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각 어플리케이션의 레벨 값으로 예시한 수치는 일예에 불과하며, 상기 수치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경고 메시지의 처리를 결정하는 alert_priority 필드 값에 정의된 내용들을 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 alert_priority 필드 값이 0인 경우에는 긴급 경고 메시지가 테스트 메시지(Test Message)임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고 버린다.
상기 alert_priority 필드 값이 1이면서, 현재 레벨 0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처리 중이라면,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고 버린다(the alert may be disregarded if processing the alert would interrupt processing of the application level 0). 즉, 현재 처리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레벨이 0이 아닐 경우에만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를 처리하여 긴급 경고에 대한 정보를 시청자에게 알린다.
상기 alert_priority 필드 값이 2이면서, 현재 레벨 1 또는 레벨 2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처리 중이라면,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고 버린다(the alert may be disregarded if processing the alert would interrupt processing of the application level 1~2).
상기 alert_priority 필드 값이 3인 경우에는, 현재 시청중인 채널이 억세스 제한(access-controlled) 채널이 아닐 경우에만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를 처리하여 긴급 경고에 대한 정보를 시청자에게 알린다. 예를 들어, 시청자가 현재 시청중인 채널이 억세스 제한 채널이고, 이때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의 alert_priority 필드 값이 3이면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는 처리되지 않고 무시된다(disregarded).
상기 alert_priority 필드 값이 4이면서, 현재 레벨 3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처리 중이라면,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는 처리되지 않고 무시된다(the alert may be disregarded if processing the alert would interrupt processing of the application level 3).
상기 alert_priority 필드 값이 7인 경우에는, 현재 시청중인 채널이 유료 방송(pay-per-view) 채널이 아닐 경우에만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를 처리하여 긴급 경고에 대한 정보를 시청자에게 알린다. 즉, 현재 시청 중인 채널이 유료 방송 채널이라면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는 처리되지 않고 무시된다.
상기 alert_priority 필드 값이 8이면서, 현재 레벨 4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처리 중이라면,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고 버린다(the alert may be disregarded if processing the alert would interrupt processing of the application level 4).
상기 alert_priority 필드 값이 11인 경우에는, 무조건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를 처리하여 긴급 경고에 대한 정보를 시청자에게 알린다. 이때 긴급 경고에 대한 오디오가 없다면 텍스트만으로 시청자에게 알린다.
상기 alert_priority 필드 값이 15인 경우에도 무조건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를 처리하여 긴급 경고에 대한 정보를 시청자에게 알리는데, 이때는 필요시 긴급 방송 채널로 강제 튜닝을 한다. 즉 긴급 경고 오디오의 출력이 긴급 방송 채널(details channel)로 튜닝하지 않고도 가능하다면, 긴급 방송 채널로의 전환없이 현재 시청중인 채널의 오디오를 상기 긴급 경고 오디오로 대체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긴급 경고 오디오의 출력이 긴급 방송 채널(details channel)로 튜닝해야만 가능한 경우에는 무조건 현재 시청중인 채널을 상기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에 포함된 긴급 방송 채널로 강제 전환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중요도에 따라 긴급 경고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즉, 테이블 형태의 긴급 경고 메시지가 수신되면(S401),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402). 만일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한다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레벨과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의 중요도를 비교하여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실행 여부를 확인한다(S403).
예를 들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하나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레벨 값과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 내 alert_priority 필드 값을 비교한다. 만일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복수개라면, 그 중 가장 높은 레벨 값과 alert_priority 필드 값을 비교한다. 즉, 긴급 경고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 최대 중요도를 가지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레벨 값과 긴급 경고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alert_priority 필드 값을 비교한다.
상기 S403에서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실행이 가능하다고 판별되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저장한 후 종료한다(S404). 이는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실행이 종료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재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S404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면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를 실행한다(S406).
예를 들어, 비교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의 레벨 값이 3이고, alert_priority 필드 값이 4라면,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는 처리되지 않고 버려진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계속 실행시킨다. 한편 비교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의 레벨 값이 2이고, alert_priority 필드 값이 4라면,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를 실행시켜 시청자에게 비상 상태를 알린다.
한편 상기 S402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없다고 판별되면, 시청 중인 채널과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 내 alert_priority 필드 값을 비교하여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실행 여부를 확인한다(S405).
상기 S405에서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실행이 가능하다고 판별되면,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를 실행한다(S406).
예를 들어, 상기 alert_priority 필드 값이 15이고, 현재 시청 중인 채널이 긴급 방송 채널로의 전환을 제한하는 예외 채널이라면, 긴급 경고 메시지 내 긴급 방송 채널로 전환하지 않는다. 그러나, 현재 시청 중인 채널이 예외 채널이 아니라면 긴급 경고 메시지 내 긴급 방송 채널로 자동 전환하여 시청자에게 비상 상태를 알린다.
상기 S406에서 실행 중인 긴급 경고 메시지가 종료되면, 이전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였는지를 확인한다(S407).
상기 S407에서 이전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였다고 판별되면, 상기 S404에서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읽어 와 재실행한다(S408).
상기 S406에서 실행 중인 긴급 경고 메시지의 종료 시간은 alert_message_time_remaining 필드, event_start_time 필드, event_duration 필드 등을 파싱하면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 방송 채널로의 전환없이 시청자가 시청 중이었던 방송 화면상에 긴급 경고 내용(alert_text)을 스크롤하는 상태인 경우, 종료 시간이 되면 스크롤을 중지시키고, 오디오가 뮤트되어 있다면 오디오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긴급 방송 채널로 전환된 상태인 경우, 종료 시간 이 되면 이전에 시청 중이었던 채널로 복귀시킨다. 또한 이전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있었다면 그 어플리케이션을 재실행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 경고 메시지의 수신이 가능한 수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5의 수신 시스템은 튜너(500), 복조부(50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02), IP 매니저(504), 어플리케이션 제어부(506), 서비스 정보 디코더(510),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514), 서비스 제어 매니저(516), CAS/DRM부(518), 서비스전달 매니저(520), 디멀티플렉서(522), 오디오/비디오 디코더(524), 디스플레이부(526), 저장부(528), 시스템 매니저(530), 저장매체 제어부(532) 및 저장매체(5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506)는 채널 매니저(Channel Manager ; CM)(5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 디코더(510)는 서비스정보 데이터베이스부(5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너(500)는 안테나, 케이블, 위성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특정 채널의 주파수를 튜닝하여 중간 주파수(IF) 신호로 다운 컨버전한 후 복조부(501)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튜너(500)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506)의 채널 매니저(508)의 제어를 받을 수 있으며, 또한 튜닝되는 채널의 방송 신호의 결과(result)와 강도(strength)를 상기 채널 매니저(508)에 보고할 수도 있다. 상기 복조부(501)는 상기 튜너(5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해 반송파 복구, 타이밍 복구, 채널 등화 등을 수행한 후 디멀티플렉서(522)로 출력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02)는 인터넷 망을 통해 패킷(packet)들을 수 신하여 IP 매니저(504)로 출력하거나, 상기 IP 매니저(504)로부터 출력되는 패킷들을 인터넷 망으로 전송한다. 상기 IP 매니저(504)는 수신 시스템으로 수신되는 패킷과 수신 시스템에서 전송하는 패킷에 대하여 소스로부터 목적지까지의 패킷 전달에 관여한다. 그리고 수신된 패킷을 적절한 프로토콜에 대응되도록 분류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506)는 사용자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OSD(On Screen Display) 등을 이용하여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 신호에 따라 수신 시스템 내 각 블록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채널 선택에 관한 키 입력을 받으면 상기 키 입력신호를 채널 매니저(508)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506)는 채널 매니저(508)를 제어하여 채널 관련 운영 즉, 채널 맵의 생성, 관리 및 서비스 정보 디코더(5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506)는 수신 시스템 전체의 GUI 제어, 사용자 요구 및 상기 수신 시스템의 상태를 저장부(528)에 저장 및 복원한다.
상기 채널 매니저(508)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506)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에 따라 채널을 선택하고,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514)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채널 매니저(508)는 서비스 정보 디코더(510)로부터 채널의 서비스 정보를 전송받아 디멀티플렉서(522)에 선택된 채널의 오디오/비디오 PID(Packet Identifier) 설정 등을 수행한다.
상기 채널 매니저(508)는 채널 맵(Channel Map)을 참조하여, 시스템 관련 정보 테이블 수신 요청을 상기 서비스 정보 디코더(510)에 할 수 있고, 그 결과를 전 송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채널 매니저(508)는 상기 튜너(500)의 채널 튜닝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506)는 튜닝(tuning)할 채널에 관련된 테이블을 파싱(parsing)하도록 서비스 정보 디코더(510)에 요구하고, 상기 서비스 정보 디코더(510)로부터 상기 테이블을 파싱한 결과를 보고 받는다. 그리고 상기 보고된 파싱 결과에 따라 상기 채널 맵을 업데이트(update)하도록 채널 매니저(508)를 제어한다.
상기 서비스정보 디코더(510)는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와 같은 서비스 정보를 디코딩한다. 즉, 상기 디멀티플렉서(522)에서 역다중화된 PSI 테이블 섹션, PSIP(Program and Service Information Protocol) 테이블 섹션 또는 DVB-SI(Service Information) 테이블 섹션 등을 수신하여 디코딩한다.
상기 서비스정보 디코더(510)는 상기 수신된 테이블 섹션들을 디코딩하여 서비스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상기 서비스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는 서비스정보 데이터베이스부(512)에 저장한다.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514)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514)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506)로부터 채널선택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채널 선택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를 찾는다.
상기 서비스 제어 매니저(516)는 서비스의 선택과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Live Broadcasting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IGMP 또는 RTSP를 사 용하고, VOD(Vidoe On Demand)와 같은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RTSP를 사용하여 서비스의 선택,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RTSP 프로토콜은 실시간 스트리밍에 대해 트릭 모드(trick mode)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02)와 IP 매니저(504)를 통해 수신된 서비스에 관한 패킷은 CAS/DRM부(518)로 전송된다. 상기 CAS/DRM부(518)는 서비스의 수신제한(Conditional Access System : CAS)과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ment: DRM)를 담당한다.
상기 서비스전달 매니저(520)는 수신되는 서비스 데이터의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실시간 스트리밍(real-time streaming) 데이터를 제어하는 경우 RTP/RTCP(Rela-Time Transport Protocol/ RTP Control Protocol)를 사용한다. 상기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는 RTP를 사용하여 전송되므로, 상기 서비스전달 매니저(520)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RTP에 따라 파싱(parsing)하여 디멀티플렉서(522)에 전송한다. 그리고 RTCP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신 정보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측에 피드백(feedback)한다.
상기 디멀티플렉서(522)는 수신된 패킷을 오디오, 비디오,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데이터 등으로 역다중화하여 각각 비디오/오디오 디코더(524), 서비스정보 디코더(510)에 전송한다.
상기 비디오/오디오 디코더(524)는 상기 디멀티플렉서(522)에서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상기 비디오/오디오 디코더(524)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526)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디코딩 된 오디오 데이터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상기 저장매체 제어부(532)는 저장매체(534)에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저장매체(534)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저장매체(534)는 저장매체 제어부(532)의 제어에 따라 상기 비디오/오디오 디코더(524)로부터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받아 저장한다.
상기 시스템 매니저(530)는 전원 온 및 오프에 의해 수신 시스템의 부팅을 제어하고, 롬 이미지(다운로드된 소프트웨어 이미지를 포함)를 저장부(528)에 저장한다. 즉, 상기 저장부(528)는 시스템에 대한 셋업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528)로 비휘발성 메모리(Non Volatile RAM : NVRAM) 또는 플래쉬 메모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528)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저장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는 배너(Banner), 위젯(Widget) 형태로 사용자에게 단순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시청 중인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정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있을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해 스트리밍(streaming)되는 음악을 청취하는 등의 오디오 정보에 영향을 미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download) 받은 사진을 재생하는 등의 비디오 정보에 영향을 미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있을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해 UCC를 시청하거나,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이용하는 방식과 같이 일반 방송의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정보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일정 요금을 내고 최신 영화를 시청 중이거나 특정 사이트의 쇼핑을 이용하는 등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수신 시스템의 출하시에 저장부(528)에 내장될 수도 있고, 이후 다운로드를 통해 저장부(528)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528)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삭제, 갱신, 수정이 가능하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506)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부(528)에 저장된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506)는 상기 저장부(528)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플랫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은 일 예로, 자바(Java)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자바 버츄얼 머신(Java Virtual Machine)이 될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은 EAT 섹션은 튜너(500), 복조부(501), 디멀티플렉서(522)를 거쳐 서비스 정보 디코더(510)로 출력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02), IP 매니저(504), CAS/DRM부(518), 서비스 전달 매니저(520), 디멀티플렉서(522)를 거쳐 서비스 정보 디코더(510)로 출력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 디코더(510)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506)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EAT 섹션을 모아 EAT를 완성하고, 완성된 EAT를 파싱한 후 그 결과를 어플리케이션 제어부(506)로 출력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506)는 EAT 파싱 결과인 긴급 경고 메시지가 입력 되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일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있다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레벨과 입력된 긴급 경고 메시지의 중요도를 비교하여, 입력된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실행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하나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레벨 값과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 내 alert_priority 필드 값을 비교한다. 만일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복수개라면, 그 중 가장 높은 레벨 값과 alert_priority 필드 값을 비교한다. 즉, 긴급 경고 메시지가 입력되었을 때,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 최대 중요도를 가지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레벨 값과 긴급 경고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alert_priority 필드 값을 비교한다.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실행이 가능하다고 판별되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저장한 후 종료하고, 입력된 긴급 경고 메시지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비교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의 레벨 값이 3이고, alert_priority 필드 값이 4라면,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는 처리되지 않고 버려진다. 한편 비교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의 레벨 값이 2이고, alert_priority 필드 값이 4라면,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를 실행시켜 시청자에게 비상 상태를 알린다. 이 후 실행 중인 긴급 경고 메시지가 종료되면,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읽어 와 재실행시킨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506)는 긴급 경고 메시지가 입력되었을 때,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없으면, 입력된 긴급 경고 메시지 내 alert_priority 필드 값에 따라 긴급 경고 메시지를 실행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경고 테이블의 신택스 구조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긴급 경고 테이블에 포함되는 채널 디스크립터에 대한 신택스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경고 테이블의 alert_priority 필드 값의 정의를 표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경고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IPTV 수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 튜너 501 : 복조부
502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504 : IP 매니저
505 :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510 : 서비스 정보 디코더
514 :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 516 : 서비스 제어 매니저
518 : CAS/DRM부 520 : 서비스 전달 매니저
522 : 디멀티플렉서 524 : 오디오/비디오 디코더
526 : 디스플레이부 528 : 저장부
530 : 시스템 매니저 532 : 저장매체 제어부
534 : 저장매체

Claims (15)

  1. 긴급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로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의 중요도와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중요도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를 실행시키거나 실행시키지 않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수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는 지상파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수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는 인터넷 망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수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의 중요도에 따라 각 어플리케이션에 레벨 값을 할당하고,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 내 우선 순위 필드(alert_priority) 값과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레벨 값을 비교하여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수신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복수개이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은 레벨 값과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 내 우선 순위 필드(alert_priority) 값을 비교하여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수신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를 실행하기로 결정하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한 후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수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를 읽어 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재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수신 시스템.
  8. 긴급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의 중요도와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중요도를 비교하여,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실행이 결정되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한 후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수신 시스템의 긴급 경고 처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는 지상파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수신 시스템의 긴급 경고 처리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는 인터넷 망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수신 시스템의 긴급 경고 처리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의 중요도에 따라 각 어플리케이션에 레벨 값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수신 시스템의 긴급 경고 처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단계는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 내 우선 순위 필드(alert_priority) 값과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레벨 값을 비교하여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수신 시스템의 긴급 경고 처리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단계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복수개이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은 레벨 값과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 내 우선 순위 필드(alert_priority) 값을 비교하여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수신 시스템의 긴급 경고 처리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를 읽어 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재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수신 시스템의 긴급 경고 처리 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단계는
    상기 긴급 경고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없으면, 수신된 긴급 경고 메시지의 중요도에 따라 해당 긴급 경고 메시지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수신 시스템의 긴급 경고 처리 방법.
KR1020080080016A 2008-08-14 2008-08-14 수신 시스템 및 긴급 경고 처리 방법 KR101461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016A KR101461966B1 (ko) 2008-08-14 2008-08-14 수신 시스템 및 긴급 경고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016A KR101461966B1 (ko) 2008-08-14 2008-08-14 수신 시스템 및 긴급 경고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223A true KR20100021223A (ko) 2010-02-24
KR101461966B1 KR101461966B1 (ko) 2014-11-14

Family

ID=42091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016A KR101461966B1 (ko) 2008-08-14 2008-08-14 수신 시스템 및 긴급 경고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96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112B1 (ko) * 2006-09-08 201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긴급 경고 메시지 처리 방법
KR101285663B1 (ko) * 2006-09-08 201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긴급 경고 메시지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966B1 (ko) 2014-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825B1 (ko) 프리뷰 컨텐츠 수신방법 및 iptv 수신기
US8613016B2 (en) Apparatus for receiving adaptive broadcast signal and method thereof
KR101295571B1 (ko)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과 디지털 방송수신방법 및 수신기
KR101635569B1 (ko)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US8291462B2 (en) Broadcast receiver, broadcast data transmitting method and broadcast data receiving method
US20140204271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broadcast service, method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KR20090056848A (ko) 방송 수신기 및 맞춤형 방송 신호 수신 방법
US20100088721A1 (en) IPTV receiver and method for changing channel of IPTV receiver
KR101285884B1 (ko)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과 디지털 방송수신방법 및 수신기
KR101265635B1 (ko)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
KR20120091089A (ko) 방송 네트워크와 ip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351040B1 (ko) 컨텐츠 데이터 전송 방법, 방송 수신기 및 방송 수신 방법
KR101314615B1 (ko) 디지털 방송 전송 방법과 전송 시스템, 디지털 방송 수신방법과 수신기 및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과 서비스시스템
KR101461966B1 (ko) 수신 시스템 및 긴급 경고 처리 방법
KR101513039B1 (ko) 컨텐츠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10120507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특징 정보 설정 방법
KR101243476B1 (ko) 프리뷰 컨텐츠의 전송 시스템 및 방법과, 그의 수신장치 및방법
KR20110037670A (ko)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iptv 수신기
KR20110026117A (ko) 웹페이지를 출력하는 iptv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iptv
KR10166073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iptv
KR101662076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결제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1527012B1 (ko) 방송 데이터 처리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00043854A (ko) Iptv 송신기와 수신기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iptv수신기
KR20110087813A (ko) Iptv 방송 수신기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수신 방법
KR20090130609A (ko)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 수신기 및 채널 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