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774A - Heat collector, and upward type sprinkler equipped therewith - Google Patents
Heat collector, and upward type sprinkler equipped therewit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20774A KR20100020774A KR1020080079523A KR20080079523A KR20100020774A KR 20100020774 A KR20100020774 A KR 20100020774A KR 1020080079523 A KR1020080079523 A KR 1020080079523A KR 20080079523 A KR20080079523 A KR 20080079523A KR 20100020774 A KR20100020774 A KR 201000207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kler
- shape
- collecting plate
- pipe
- heat collec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캡(cap) 형상, 솥뚜껑 형상 및 삿갓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에 따른 집열판 및 이를 구비하는 상향식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한 형상의 집열판을 통하여 화재발생시 상승하는 열기에 대한 집열효과를 향상시켜 초기 화재진압에 유리하고, 우산효과로써 스프링클러 조립체를 외부로부터의 충격에서 보호하거나 이물질의 누적을 방지하여 장기간 정상 가동을 가능하게 하는 특징이 있는 집열판 및 이를 구비하는 상향식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collect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a cap shape, a pot lid shape and a hat shape, and a bottom up sprinkler hav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rough the heat collecting plate of the above-described shape to improve the heat collection effect on the rising heat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advantageous for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by the umbrella effect to protect the sprinkler assembly from the impact from the outside or to prevent the accumulation of foreign mat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collecting plate and a bottom up sprinkler having the same, which enable a long-term normal operation.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sprinkler)는 화재발생시 소방수를 이용하여 화재를 초기 진압하는 자동소화 장치이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실내온도가 70℃ 이상이 되면 자동소화 및 경보장치를 발동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때문에 오늘날 백화점, 호텔, 병원 등 많은 사람들이 밀집하는 건물 뿐만 아니라 아파트, 주택 등에도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In general, sprinkler (sprinkler) is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to extinguish the fire by using the fireman in the event of a fire. Since sprinkler prevents accidents by triggering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nd alarm when the room temperature is over 70 ℃, it is mandatory to install in apartments, houses as well as buildings crowded with many people such as department stores, hotels and hospitals. It is prescribed.
스프링클러는 보통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데, 소방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소방법규나 천장 제트흐름(ceiling jet flow) 현상을 반영할 때 스프링클러 헤드가 천 장면으로부터 30㎝~45㎝의 위치에 설치됨이 적정하다. 이러한 스프링클러 헤드의 위치를 참작할 경우 스프링클러의 집열판은 '∩' 형상도 가능하나 종래에는 컨실드(concealed) 구조가 가능하다는 잇점 때문에 '∪' 형상(예컨대,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522,146호 "조기반응형 컨실드 스프링클러")이 통용되었다.Sprinklers are usually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room, and it is appropriate that the sprinkler head is positioned 30cm to 45cm from the cloth scene when reflecting the rules / fire regulations or ceiling jet flow phenomenon. .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sprinkler head, the heat collecting plate of the sprinkler may have a '∩' shape, but a '종래' shape (fo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522,146 "early reaction is possible because of the conventional concealed structure). Type concealed sprinkler ").
그런데, 집열판이 '∪' 형상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노출하였다. 첫째, 실내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수직범위의 화재플럼(fire plume)은 천장에 막혀 더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천정면 아래에 잠시동안 일정한 두께층을 형성하게 된다(ceiling jet flow). 그런데, 종래의 집열판은 '∪' 형상인 관계로 그 끝단과 천장면 사이에는 좁은 간격이 형성되었다. 이로 인하여 화재플럼은 집열판 내부로 제대로 침입하지 못했으며, 집열판은 스프링클러가 작동하기에 충분한 열을 수집하지 못하였다. 더욱이, 천장이 높은 곳에 위치하거나 실내공간이 매우 넓은 경우에는 열대류 현상에 따른 열 분산으로 상기한 현상은 보다 심화된다. 이는 스프링클러의 작동시간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낳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클러의 주요 이용목적인 초기 화재진압에도 실패하는 결과를 낳는다.However, when the heat collecting plate has a '∪' shape, the following problems were exposed. First, when a fire occurs in the indoor space, the fire plume of the vertical range is blocked by the ceiling and cannot rise any more, and forms a constant thickness layer for a while under the ceiling surface (ceiling jet flow). However, the conventional heat collecting plate has a 'gap' shape, and thus a narrow gap is formed between the end and the ceiling surface. As a result, the fire plume did not penetrate properly into the heat collecting plate and the heat collecting plate did not collect enough heat for the sprinkler to operate. In addition, when the ceiling is located in a high place or the indoor space is very large, the above phenomenon is further intensified by heat dissipation due to the tropical flow phenomenon. This not only results in delaying the sprinkler's operating time, but also results in failure of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for sprinkler use.
둘째, 종래의 '∪' 형상 집열판은 장기간 방치시 그 위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축적된다(컨실드 구조로 형성되어 집열판의 끝단과 천장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이 좁다고는 하나 이물질의 침입을 원천 방지할 수는 없으므로 이물질의 축적은 당연하다). 그런데, 이러한 이물질의 축적은 스프링클러의 방사패턴에 변화를 줄 수 있으며, 자칫 기기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도 있다.Second, in the conventional '종래' shaped heat collecting plat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accumulates on it when it is left for a long time. It is impossible to accumulate foreign matter, so it is natural). However, the accumulation of these foreign matters may change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sprinkler, and may cause a malfunction of the devic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 형상 집열판 및 상기 '∩' 형상 집열판을 스프링클러 조립체에 고정하는 가드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식 스프링클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pward sprinkl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shaped heat collecting plate and a guard frame for fixing the '∩' shaped heat collecting plate to the sprinkler assembly.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소화수를 공급하는 배관연결 파이프; 상기 배관연결 파이프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소화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스프링클러 조립체; 상기 스프링클러 조립체를 둘러싸는 가드프레임; 및 상기 가드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며, 캡 형상, 솥뚜껑 형상 및 삿갓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집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ipe connecting pipe for supplying digestion water; A sprinkler assem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pipe connection pipe and discharging the digestion water to the outside; A guard frame surrounding the sprinkler assembly; And fixed to the top of the guard frame, provides a sprinkler comprising a heat collecting plate formed in any one of a cap shape, a pot lid shape and a hat shape.
구체적으로, 상기 배관연결 파이프는 T분기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클러 조립체는 설치방향이 상향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pipe connecting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T-branch structure. In addition, the sprinkler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upward structure.
구체적으로, 상기 가드프레임은, 양단부는 평탄하게 형성되며 중앙부는 반원 형상인 수평지지대; 일단부는 상기 수평지지대의 외주면에 고착되며 타단부는 바깥쪽 방향으로 꺾어져 상기 집열판의 일면에 용접되는 수직지지대; 및 상기 수직지지대의 외부면에 밀착 형성되는 테두리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드프레임의 상기 수평지지대는, 한쌍이 구비되되 볼트에 의해 그 양단부들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guard frame, the both ends are formed flat and the center portion is a horizontal support having a semi-circular shape; One end is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and the other end is bent in an outward direction to be welded to one surface of the heat collecting plate; And an edge support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support. More specifically, the horizontal support of the guard frame is provided with a pair,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are fastened by a bolt.
또한, 본 발명은, 캡 형상, 솥뚜껑 형상 및 삿갓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며, 상향식 스프링클러용으로 집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열판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of any one of a cap shape, a pot lid shape and a hat shape, and provides a heat collect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llecting the bottom-up sprinkler.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생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produces the following effects as described above.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집열판이 집열효과를 향상시켜 스프링클러의 작동시간이 이전보다 빨라지게 되며, 나아가 초기 화재진압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이는 결국 화재로 인한 물질적·금전적 피해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는다.First, the heat collect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heat collecting effect is faster than the operating time of the sprinkler, and further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This, in turn, results in less material and monetary damage from fire.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집열판이 우산효과를 발생시켜 그 위에 이물질이 축적됨을 방지하며, 나아가 장기간 방치에도 양호한 보존상태를 유지하여 기기의 정상 작동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Second, the heat collect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umbrella effect to prevent foreign matters from accumulating thereon,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normal operation of the device by maintaining a good storage state even after long-term storage.
세째, 집열판의 우산효과는 스프링클러 조립체의 노즐에 먼지나 노폐물이 축적되는 것도 방지한다. 이는 살수 패턴을 일정하게 조정하는 노즐의 사용기간을 연장하는 효과를 거둘 뿐만 아니라, 지하주차장과 같이 타이어 분진이 많이 발생되며 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곳에도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Third, the umbrella effect of the heat collecting plate also prevents dust or waste from accumulating in the nozzle of the sprinkler assembly. This not only has an effect of extending the service life of the nozzle to adjust the watering pattern uniformly, but also makes it possible to apply to places where tire dust is generated and maintenance is difficult, such as underground parking lot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following will describ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향식 스프링클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향식 스프링클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향식 스프링클러(100)는 배관연결 파이프(110), 스프링클러 조립체(112), 집열판(114) 및 가드프레임(116)을 포함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upward sprink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pward sprink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the
배관연결 파이프(110)는 물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부재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꺾임 구성을 가지는 T분기형 구조로 형성된다. 배관연결 파이프(110)가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이유는 상향식 집열판의 설치를 실현시키기 위해서이다. 배관연결 파이프(110)는 거치대(H)를 통해 천장에 고정되며 소화용 급수배관라인에 연결된다. 이러한 배관연결 파이프(110) 일측에는 스프링클러 조립체(112)가 나사 결합된다. 배관연결 파이프(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탄성을 가지는 단열재로 구성된다. 예컨대, 배관연결 파이프(110)는 스테인레스, 합성수지, 금속재 등에 단열재를 코팅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클러 조립체(112)는 단부(구체적으로 스프링클러 헤드(134)의 단부)에 히트 콜렉터(heat collector), 감열체 등을 포함하는 감열부(130)를 구비하며, 이를 통해 화재발생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소화수가 노즐부(132)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스프링클러 조립체(112)는 설정온도 초과시 감열부(130)가 파열되거나 용융되어 스프링클러 헤드(134)에서 분해이탈하면 동시에 노즐부(132)의 일단에 형성된 구멍을 폐쇄하던 노즐폐쇄부(미도시)가 제거되어 소화수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노즐부(132)는 스프링클러 헤드(134)를 관통하여 배관연결 파이프(110)에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다.The
이러한 스프링클러 조립체(112)는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7-26567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프링쿨러 조립체"에 제안된 바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감열체는 열을 감응하는 기능을 하며, 글래스 벌브나 저융점 합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융점 합금을 포함하는 감열체는 일본 특허공개공보(특개평) 제7-284545호 "Sprinkler head"에 기재된 바를 참조하면 된다.
스프링클러 조립체(112)는 설치방향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향형(upright type)으로 구현된다. 상향형은 다른 형태인 하향형(pendent type), 상하양용형(conventional type), 측벽형(side wall type) 등보다 분사패턴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The
스프링클러 조립체(112)는 구조형식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열부(130)를 구비하는 폐쇄형(closed type)으로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스프링클러 조립체(112)는 프레임형(frame type)으로 설치되는 경우 배관연결 파이프(110)를 통해 소화용 급수배관라인에 연결되어 내부로 소화수 분출구(미도시)가 천공되고 하방으로 프레임이 연장 형성된다. 이 프레임의 하단 헤드본체에는 확산판이 형성되며, 이외 소화수 분출구를 폐쇄하는 폐쇄부재와, 프레임 및 폐쇄부재 사이에 개폐부재를 록킹(locking)시키거나 일정온도 이상 열감지시 록킹을 해제하는 감열부(130)가 구비된다. 반면, 스프링클러 조립체(112)가 플러시형(flush type)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소화수 분출구가 형성된 노즐을 가지는 헤드본체, 헤드본체의 하단에 연결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 가장자리에 확산판이 형성되는 승강대, 승강대의 하단 중앙에 결합되어 노즐을 개폐하는 개폐부재, 감열부(130) 등으로 구성된다. 이 타입은 헤드본체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凸)를 통하여 내주면에 암나사부(凹)가 형성된 배관연결 파이프(110) 하단부와 체결한다. 그러나, 스프링클러 조립체(112)는 감열부(130)가 구비되지 않아 방수구가 항상 개방되어 있는 개방형(opened type)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프링클러 조립체(112)가 개방형인 경우에는 열 감지기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The
한편, 스프링클러 조립체(112)가 폐쇄형인 경우에는 감열부(130)의 재질 및 형태에 따라 퓨즈블 링크형(link lever type or fuse type), 글래스 벌브형(glass bulb type), 케미칼 숄더형(chemical solder type), 메탈 피스형(metal piece type) 등으로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퓨즈블 링크형은 화재 등을 이유로 주위 온도가 설정온도(예컨대, 68℃)에 이르면 퓨즈가 용융되면서 개폐부재의 록킹을 해제시켜 소화수 분출구를 통해 소화수가 분출되도록 한다. 반면, 글래스 벌브형은 설정온도 초과시 글래스 벌브 내에 주입된 약액이 팽창하면서 압력을 창출하고, 이 압력이 글래스 벌브를 폭발시키면서 개폐부재의 록킹을 해제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기한 스프링클러 조립체(112)의 구성은 일실시예를 따른 것으로서,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개량이 가능하다. 예컨대, 스프링클러 헤드(134)의 경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408,321호 "스프링클러 헤드"에 게재된 바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figuration of the
집열판(11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캡 형상, 솥뚜껑 형상 및 삿갓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집열판(114)은 종래와는 달리 상승하는 화재플럼을 수집하여 종래보다 스프링클러(100)의 작동시간을 단축시킨다. 이는 곧 화재발생시 스프링클러(100)의 보다 빠른 대응을 실현시키는 바탕이 된다.The
집열판(114)은 감열부(130)에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열을 전달하기 위해 열을 잘 흡수하는 재료(즉, 열흡수율이 우수한 재료) 또는 열전도율(thermal conductivity)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집열판(114)은 구리나 동 합금, 알루미늄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가드프레임(116)은 양단부는 평탄하게 형성되며 중앙부는 반원 형상인 한쌍의 수평지지대(150), 일단부가 상기 수평지지대(150)의 외주면에 고착되며 타단부는 바깥쪽 방향으로 꺾어져(┗ or ┛) 집열판(114)의 일면에 용접 고착되는 복수개의 수직지지대(152), 및 상기 수직지지대(152)들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밀착형성되어 이들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테두리지지대(154)로 구성된다. 테두리지지대(154)는 고정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수평지지대(150)는 양단부에 구멍을 구비한다. 이를 통해 한쌍의 수평지지대(150)는 상호 볼트로써 결합 고정된다. 볼트를 통한 원활한 결합을 위해 구멍이 형성되는 수평지지대(150)의 양측부는 서로 접촉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쌍의 수평지지대(150)는 일체형으로 구현됨도 가능하다. 그러나, 스프링클러(100)의 설치시 편의성 등을 고려한다면 전자가 보다 바람직하겠다.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드프레임(116)은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으로부터 스프링클러 조립체(112)를 보호하는 기능도 한다. 상기에서는 가드프레임(116)이 새장 구조로 형성되어 스프링클러 조립체(112)가 용이하게 보이지 않을 정도로만 밀폐시킨다. 그러나, 상기 보호기능을 참작한다면 가드프레임(116)은 스프링클러 조립체(112) 전부를 밀폐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호기능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도 가능하다. 즉,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집열판(114)이 스프링클러 조립체(112) 및 가드프레임(116)을 전부 덮는 구성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rotective function is also possibl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That is,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 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향식 스프링클러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upward sprink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향식 스프링클러의 분해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upward sprink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상향식 스프링클러 110 : 배관연결 파이프100: upward sprinkler 110: pipe connection pipe
112 : 스프링클러 조립체 114 : 집열판112: sprinkler assembly 114: heat collecting plate
116 : 가드프레임 130 : 감열부116: guard frame 130: thermal portion
132 : 노즐부 134 : 스프링클러 헤드132: nozzle portion 134: sprinkler head
136 : 노즐폐쇄부 150 : 수평지지대136: nozzle closing portion 150: horizontal support
152 : 수직지지대 154 : 테두리지지대152: vertical support 154: frame support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9523A KR101063857B1 (en) | 2008-08-13 | 2008-08-13 | Bottom-up sprinkler with collector pla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9523A KR101063857B1 (en) | 2008-08-13 | 2008-08-13 | Bottom-up sprinkler with collector plat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0774A true KR20100020774A (en) | 2010-02-23 |
KR101063857B1 KR101063857B1 (en) | 2011-09-08 |
Family
ID=42090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79523A KR101063857B1 (en) | 2008-08-13 | 2008-08-13 | Bottom-up sprinkler with collector pla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63857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7507Y1 (en) * | 2012-10-23 | 2013-06-18 | 이운섭 | Heat Collecting Device for Sprinkler |
KR200472191Y1 (en) * | 2013-04-23 | 2014-04-09 | 이종훈 | Upsided type sprinkler fastening device and upsided type sprinkler having it |
WO2020092215A1 (en) * | 2018-10-29 | 2020-05-07 | Minimax Viking Research & Development Gmbh | Sprinkler guard for fire protection sprinkler assembli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4315B1 (en) | 2010-05-01 | 2012-09-19 | 아이팜 주식회사 | Sprinkler head protector and sprinkler module having the same |
KR101246057B1 (en) | 2011-11-08 | 2013-03-2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Apparatus for bidirectional fire-fighting |
KR101344081B1 (en) | 2013-07-08 | 2013-12-24 | 주식회사 오로라 | Sprinkler head plate |
KR200486958Y1 (en) | 2017-11-16 | 2018-07-17 | 송병철 | the cover plate of the sprinkler |
KR101973326B1 (en) | 2018-07-16 | 2019-08-16 | 송병철 | A cover plate for the springlkl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2146B1 (en) * | 2003-03-10 | 2005-10-18 |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 Concealed Sprinkler for Early Reacted Type |
KR200343773Y1 (en) * | 2003-12-15 | 2004-03-12 | 정균택 | a branch Tee for a sprinkler piping |
KR100821215B1 (en) * | 2007-02-14 | 2008-04-11 | 주식회사 동양플렉스 | Protection device for head of roof sprinkler |
-
2008
- 2008-08-13 KR KR1020080079523A patent/KR10106385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7507Y1 (en) * | 2012-10-23 | 2013-06-18 | 이운섭 | Heat Collecting Device for Sprinkler |
KR200472191Y1 (en) * | 2013-04-23 | 2014-04-09 | 이종훈 | Upsided type sprinkler fastening device and upsided type sprinkler having it |
WO2020092215A1 (en) * | 2018-10-29 | 2020-05-07 | Minimax Viking Research & Development Gmbh | Sprinkler guard for fire protection sprinkler assemblies |
US11260415B2 (en) | 2018-10-29 | 2022-03-01 | Minimax Viking Research & Development Gmbh | Sprinkler guard for fire protection sprinkler assemblies |
US11980904B2 (en) | 2018-10-29 | 2024-05-14 | Minimax Viking Research & Development Gmbh | Sprinkler guard for fire protection sprinkler assembli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63857B1 (en) | 2011-09-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63857B1 (en) | Bottom-up sprinkler with collector plate | |
US8474545B2 (en) | Sprinkler head | |
KR101287348B1 (en) | The head protector of sprinklers | |
CA2663780C (en) | Extended coverage horizontal sidewall sprinkler | |
ES2348952T3 (en) | CLOSURE FOR SPRAYERS AND NOZZLES WITH HEAT ACTIVATION. | |
US8783373B2 (en) | Extended coverge horizontal sidewall sprinkler | |
KR20220003026A (en) | Concealable Window Sprinklers | |
JP5074809B2 (en) | Closed fire extinguishing head | |
JP2005027929A (en) | Sprinkler head | |
CN214181554U (en) | Protection type safety fire control shower nozzle | |
KR200403464Y1 (en) | Quick response sprinkler head with impact-resistance and earthquake-proof | |
JP5320480B2 (en) | Closed fire extinguishing head | |
JP2010193986A (en) | Sprinkler head | |
KR101055820B1 (en) | sprinkler head | |
KR200495771Y1 (en) | Fire extinguisher | |
CN209967486U (en) | Fire control sprinkler head with alarm function | |
KR20110075749A (en) | Heat collector for head of sprinkler | |
KR101047028B1 (en) | sprinkler head | |
KR200420213Y1 (en) | Airflow Expandable Sprinkler Heads | |
KR100716471B1 (en) | Sprinklerhead | |
KR102725443B1 (en) | Improved upward sprinkler head | |
CN219481400U (en) | High-pressure water mist fire-extinguishing closed spray head | |
KR101537108B1 (en) | sprinkler of plunger integral | |
JP2012061026A (en) | Sprinkler head | |
JP4095496B2 (en) |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