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191A -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9191A
KR20100019191A KR1020080078093A KR20080078093A KR20100019191A KR 20100019191 A KR20100019191 A KR 20100019191A KR 1020080078093 A KR1020080078093 A KR 1020080078093A KR 20080078093 A KR20080078093 A KR 20080078093A KR 20100019191 A KR20100019191 A KR 20100019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onitoring
site
extracting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1056B1 (ko
Inventor
배기혁
김현태
조인제
이근식
김병선
김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한국방송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한국방송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Priority to KR1020080078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056B1/ko
Publication of KR20100019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모니터링 사이트에서 콘텐츠와 관련된 URL 정보를 수집하고,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전처리하며, 콘텐츠로부터 워터마크(Watermark), 로고(Logo), 또는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한 결과와 기 저장된 콘텐츠 추출정보를 비교하여 분석하여 불법 유통 콘텐츠의 인터넷 모니터링을 자동화한다.
Figure P1020080078093
콘텐츠 모니터링, 워터마킹, 특징점, 로고

Description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ENTS MONITORING}
본 발명은 콘텐츠의 모니터링을 자동화하기 위한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일반인들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기존의 사용자가 UCC를 제공하는 등의 공급자 역할로 변화하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산 속도가 급속히 향상되었다.
한편, 온라인 유통 시장에서는 불법적인 콘텐츠의 유통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대안으로서 DRM(Digital Right Management)과 같은 암호화된 콘텐츠를 유통하는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DRM을 사용하는 시스템은 폐쇄적인 시스템으로서, 기기간의 호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복호화된 콘텐츠의 재생 시 불법적인 캡쳐에 대해서는 해결방안이 없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세대 기술로 디지털 워터마킹 및 내용기반 인식 기술이 가장 주목받고 있다.
현재 불법적인 캡쳐 및 방송용 콘텐츠의 기본적인 편집 후에 인터넷상에 유포하는 콘텐츠에 대하여, 사람이 직접 키워드 기반의 검색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혹은 청각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불법유통을 감시하는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키워드 기반의 검색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은, 웹상에서 검색 포탈을 이용하여 검색하는 방법과 매우 유사해서 시스템 적용이 용이하다.
그러나, 선택된 키워드 검색결과 내에 있지 않은 중요 데이터들은, 검색 대상에서 원천적으로 제외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반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필터링 범위를 넓게 잡을 경우에는, 동음이의어 또는 유사단어 등으로 인해 목적한 검색대상과 내용이 다른 불필요한 데이터들이 모두 데이터베이스화 된다. 따라서, DB가 대형화되어 시스템 도입의 효과가 반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일반 포털 검색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으며, 오히려 시스템 개발의도와는 달리, 관리자가 해당 검색결과에 대하여 항상 직접 검증해야 하므로, 실제 모니터링 시스템의 결과에는 관리자의 개입에 따른 개인적인 판단에 영향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워터마크가 삽입된 콘텐츠에 대해서는 워터마크 검출로 모니터링을 자동화하고, 워터마크가 검출되지 않은 콘텐츠에 대해서는 내용기반 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각 저작물의 소유자의 로고를 자동 매칭/검출하거나, 영상 특징점을 추출/매칭하여 모니터링 대상 콘텐츠의 불법 유통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링 대상 사이트에 대한 등록/갱신 설정 및 사용자들의 의도적인 콘텐츠의 변경에 대응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관리자의 개입 없이 자동적으로 저작물 콘텐츠를 모니터링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은,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모니터링 사이트에서 콘텐츠와 관련된 URL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로부터 워터마크(Watermark), 로고(Logo), 및 특징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한 결과와 기 저장된 콘텐츠 추출정보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모니터링 사이트에서 콘텐츠와 관련된 URL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 및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와 관 련된 콘텐츠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갖는 사이트를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모니터링 사이트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 및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와 관련된 콘텐츠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를 등록, 삭제, 또는 수정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에서 제외되는 사이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와 URL의 링크 횟수를 고려한 레벨에 따른 수집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URL 정보의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설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URL 정보의 검색을 위한 HTML 태그 또는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 및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와 관련된 콘텐츠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파일크기 및 멀티미디어 코덱 내의 태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 및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와 관련된 콘텐츠를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URL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텐츠로부터 상기 워터마크(Watermark), 로고, 및 특징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한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전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가 압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압축된 콘텐츠를 압축 해제하는 단계, 또는 상기 콘텐츠를 코덱을 이용하여 파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텐츠와 기 저장된 모니터링 콘텐츠를 비교한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또는 상기 콘텐츠와 기 저장된 모니터링 콘텐츠를 비교한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텐츠로부터 워터마크(Watermark), 로고, 및 특징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를 선정된 컬러 영역으로 변환 및 양자화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를 주파수 변환 또는 프로젝션(projection)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의 특징점을 정규화 및 양자화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한 결과와 기 저장된 콘텐츠 추출정보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콘텐츠 추출정보를 읽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콘텐츠로부터 추출한 결과와, 상기 기 저장된 콘텐츠 추출정보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텐츠로부터 워터마크, 로고, 및 특징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가 실시간 방송인 경우,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로부터 워터마크, 로고, 및 특징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은,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모니터링 사이트에서 콘텐츠와 관련된 URL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전처리하는 콘텐츠 전처리부, 상기 콘텐츠로부터 워터마크(Watermark), 로고, 및 특징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추출한 결과와 기 저장된 콘텐츠 추출정보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콘텐츠 분석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 및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와 관련된 콘텐츠를 설정하고, 상기 콘텐츠를 갖는 사이트를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모니터링 사이트로 결정하는 모니터링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 설정부는,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를 등록, 삭제, 또는 수정하거나,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에서 제외되는 사이트를 설정하거나,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와 URL의 링크 횟수를 고려한 레벨에 따른 수집 여부를 설정하거나, 상기 URL 정보의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URL 정보의 검색을 위한 HTML 태그 또는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 설정부는 상기 콘텐츠의 파일크기 및 멀티미디어 코덱 내의 태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 및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와 관련된 콘텐츠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URL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는 상기 콘텐츠로부터 상기 워터마크(Watermark), 로고, 및 특징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텐츠 전처리부는 상기 콘텐츠가 압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압축된 콘텐츠를 압축 해제하는 압축 해제부, 및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파싱하는 코덱파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는 상기 콘텐츠와 기 저장된 모니터링 콘텐츠를 비교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부는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워터마크 감지부, 및 특징점을 추 출하는 특징점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부는 상기 콘텐츠를 선정된 컬러 영역으로 변환 및 양자화하고, 상기 콘텐츠를 주파수 변환 또는 프로젝션(projection)하고, 상기 콘텐츠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콘텐츠의 특징점을 정규화 및 양자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기 저장된 모니터링 콘텐츠를 읽고, 상기 모니터링 콘텐츠로부터 추출한 결과와 기 저장된 콘텐츠 추출정보를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는 상기 콘텐츠가 실시간 방송인 경우,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추출부가 상기 실시간 방송으로부터 추출된 워터마크, 로고, 및 특징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워드 기반의 검색에 대한 관리자의 업무 실수를 최소화하고, 관리자가 직접 시각적으로나 혹은 청각적으로 확인하여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에 비하여 사람의 개입으로 인한 오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불법 유통 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비의도적인 편집이나 의도적인 편집, 기하학적인 변형, D/A-A/D 변형, 또는 멀티미디어 확장자가 아닌 다른 종류의 확장자로의 변경 등을 파악하여, 정밀한 콘텐츠 검색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에 대한 보호 및 서비스를 활성화하여 저작권자에게 정당한 수익 배분을 보장하여, 신규 수익 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 시스템 의 근간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 및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은 모니터링 설정부(110), 정보 수집부(120), 저장부(130), 중앙 제어부(140), 추출부(150), 콘텐츠 분석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추출부(150)는 워터마크 감지부(151), 특징점 분석부(152), 및 로고 검출부(15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중앙 제어부(140)는 콘텐츠 전처리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설정부(110)는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모니터링 사이트(121) 및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와 관련된 콘텐츠를 설정하고, 상기 콘텐츠를 갖는 사이트를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모니터링 사이트로 결정한다.
즉, 모니터링 설정부(110)는 콘텐츠의 검색이 실행되기 위한 대상 사이트(121) 및 대상 사이트(121)에 포함되어 있거나 연관되는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범위 등의 설정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모니터링 설정부(110)는 모니터링 사이트(121)를 등록, 삭제, 또는 수정하거나, 모니터링 사이트(121)에서 포함되지 않도록 제외되는 사이트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설정부(110)는 모니터링 사이트(110)와 URL의 링크 횟수를 고려한 레벨에 따른 수집 여부를 설정하거나, URL 정보의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URL 정보의 검색을 위한 HTML 태그 또는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 설정부(110)는 콘텐츠의 파일크기 및 멀티미디어 코덱 내의 태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사이트(121) 및 모니터링 사이트와 관련된 콘텐츠를 설정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20)는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모니터링 사이트(121)에서 콘텐츠와 관련된 URL 정보를 수집한다.
저장부(130)는 URL 정보를 저장한다.
중앙 제어부(140)는 저장부(130), 후술하는 추출부(150), 콘텐츠 분석부(160), 및 콘텐츠 전처리부(145)를 제어하여 관리자의 개입 없이 자동적으로 콘텐츠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콘텐츠 전처리부(145)는 중앙 제어부(140)에 포함되어 구성되거나, 중앙 제어부(140)와는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콘텐츠 전처리부(145)는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전처리하는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콘텐츠가 압축되어 있는 경우 압축을 해제하거나, 코덱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파싱할 수 있다.
추출부(150)는 콘텐츠로부터 워터마크(Watermark), 로고(Logo), 및 특징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워터마크 감지부(151),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 분석부(152), 및 로고를 추출하는 로고 검출부(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추출부(150)는 콘텐츠를 선정된 컬러 영역으로 변환 및 양자화하고, 상기 콘텐츠를 주파수 변환 또는 프로젝션(projection)하며, 상기 콘텐츠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콘텐츠의 특징점을 정규화 및 양자화하여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워터마크 추출 방법은, 영상 콘텐츠의 일반적인 편집 및 포맷변환과 기하학적인 변형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상기 워터마크는 동영상의 경우 저작권자의 정보로 삽입할 수 있는 데이터량(Payload)이 매우 크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텐츠의 특징점은 피쳐(Feature), DNA, 로우버스트 해쉬(Robust Hash), 또는 지문(Fingerprint)등을 말한다.
저장부(130)는 콘텐츠로부터 워터마크, 로고, 및 특징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은 오디오, 비디오 및 이미지에 대한 것을 구분하여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콘텐츠 분석부(160)는 기 저장된 콘텐츠 추출정보를 읽고, 상기 모니터링 콘텐츠로부터 추출한 결과와, 상기 기 저장된 콘텐츠 추출정보를 비교하여 분석한다. 또한, 콘텐츠 분석부(160)는 콘텐츠의 특징점과 기 저장된 모니터링 콘텐츠의 특징점의 상관도를 계산하고, 모니터링 콘텐츠에 대한 검색을 실행할 수 있으며, 콘텐 츠의 특징점과 상기 모니터링 콘텐츠의 유사성에 따른 일치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분석부(160)는 콘텐츠와 기 저장된 모니터링 콘텐츠를 비교한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관리자의 다양한 요구에 적합하게 데이터를 구조화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콘텐츠와 기 저장된 모니터링 콘텐츠를 비교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장부(130)는 모니터링 DB로 구성되거나, 임시 저장소(Temporal Cache)와 임시 저장 관리부(Temporal Cache Manag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콘텐츠의 내용기반의 특징점은 특정 로고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검색 대상 콘텐츠에서 검색 대상 로고를 추출하고 비교/분석하는 방법이 콘텐츠 내용기반 분석 기술의 일부로 포함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텐츠 전처리부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텐츠 전처리부를 설명하기로 한다.
콘텐츠 전처리부(140)는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전처리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콘텐츠 전처리부(200)는 압축 해제부(210) 및 코덱파서(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압축 해제부(210)는 압축 검사의 결과에 따라 콘텐츠의 압축을 해제하고, 코덱파서(220)는 멀티미디어 코덱에 따른 콘텐츠 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파싱한다.
즉,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콘텐츠 파일의 압축 여부를 판단하여 압축된 파일인 경우에는 압축을 풀고,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코덱파서를 이용하여 해당 코덱을 찾아내고, 상기 코덱을 이용하여 추출부(150)에서 처리가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은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 및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와 관련된 콘텐츠를 설정하고, 상기 콘텐츠를 갖는 사이트를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모니터링 사이트로 결정한다(S310). 이때, 상기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은 콘텐츠의 파일크기 및 멀티미디어 코덱 내의 태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사이트 및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와 관련된 콘텐츠를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를 등록, 삭제, 또는 수정하고,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에서 제외되는 사이트를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와 URL의 링크 횟수를 고려한 레벨에 따른 수집 여부를 설정하거나, URL 정보의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URL 정보의 검색을 위한 HTML 태그 또는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은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모니터링 사이트에 서 콘텐츠와 관련된 URL 정보를 수집하고(S320), 상기 수집한 URL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330).
이후,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전처리한다. 즉,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가 압축 파일인지(S340)를 판단하여, 콘텐츠가 압축되어 있는 파일인 경우에는 압축 해제(S350)한 후, 콘텐츠 코덱을 이용하여 파싱한다(S360).
이후,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은 콘텐츠로부터 워터마크, 로고, 및 특징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하고(S370), 상기 추출한 결과를 저장한다(S380). 이때,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은 실시간 방송인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의 방송 송출 신호를 저장하여, 실시간으로 고유 특징점을 추출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추출한 결과와 기 저장된 콘텐츠 추출정보를 비교하고(S385), 상기 모니터링 콘텐츠로부터 추출한 결과와 상기 기 저장된 콘텐츠 추출정보를 비교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S390).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와 같이 비교한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S395), 관리자의 다양한 요구에 적합하게 데이터를 구조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텐츠로부터 워터마크, 로고, 또는 특징점을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텐츠로부터 워터마크, 로고, 또는 특징점을 추출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은 콘텐츠를 선정된 컬러 영역으로 변환 및 양자화한 다(S371). 이와 같은 컬러 영역으로의 변환 및 양자화는 고유 특징점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은 공간적 특성 또는 주파수적 특성을 콘텐츠의 특징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특징점 추출을 위하여,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은 콘텐츠를 주파수 변환하거나, 또는 프로젝션(projection)한다(S372). 이때, DCT, DFT(FFT), 웨이블릿(Wavelet)등의 다양한 주파수 변환 및 프로젝션을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와 같이 변환 또는 프로젝션 된 콘텐츠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한다(S373). 이때, 색감, 질감, 운동성 등에 대한 다양한 고유한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 동영상 콘텐츠의 경우 고유 특징점이 매우 다양하고, 특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량이 이미지에 비하여 매우 크기 때문에, 적절한 크기의 특징 정보를 사용하는 해야 한다.
이후,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의 특징점을 정규화 및 양자화한다(S374).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양한 고유 특징점을 선형적인 방법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다수의 특징점 중 하나의 특징점에 대하여 매칭 오류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다수의 특징점에 대한 정규화 및 양자화 과정을 거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추출된 콘텐츠와 기 저장된 모니터링 콘텐츠를 비교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은 기 저장된 모니터링 콘텐츠의 추출 결과를 읽는 다(S381). 즉,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은 저장부에 기 저장되어 있는 모니터링 콘텐츠의 추출 결과를 읽는다.
이후,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은 모니터링 콘텐츠부터 추출한 결과와, 상기 기 저장된 모니터링 콘텐츠의 추출정보를 비교하여 분석한다(S382).
따라서, 이와 같이 비교한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관리자의 다양한 요구에 적합하게 데이터를 구조화하여, 멀티미디어 등의 디지털 콘텐츠가 편집되거나 의도적으로 다른 종류의 확장자로 변경된 경우에도, 콘텐츠 분석기를 통한 정밀한 콘텐츠 검색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텐츠 전처리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텐츠로부터 워터마크, 로고, 또는 특징점을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추출된 콘텐츠와 기 저장된 모니터링 콘텐츠를 비교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모니터링 설정부 120: 정보 수집부
130: 저장부 140: 중앙 제어부
145: 콘텐츠 전처리부 150: 추출부
151: 워터마크 감지부 152: 특징점 분석부
153: 로고 검출부 160: 콘텐츠 분석부
210: 압축 해제부 220: 코덱파서

Claims (23)

  1.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모니터링 사이트에서 콘텐츠와 관련된 URL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로부터 워터마크(Watermark), 로고(Logo), 및 특징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결과와 기 저장된 콘텐츠 추출정보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모니터링 사이트에서 콘텐츠와 관련된 URL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 및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와 관련된 콘텐츠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갖는 사이트를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모니터링 사이트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 및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와 관련된 콘텐츠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를 등록, 삭제, 또는 수정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에서 제외되는 사이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와 URL의 링크 횟수를 고려한 레벨에 따른 수집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URL 정보의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설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URL 정보의 검색을 위한 HTML 태그 또는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 및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와 관련된 콘텐츠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파일크기 및 멀티미디어 코덱 내의 태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 및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와 관련된 콘텐츠를 설정하는 단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RL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로부터 상기 워터마크(Watermark), 로고, 및 특징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한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전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가 압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압축된 콘텐츠를 압축 해제하는 단계; 또는
    상기 콘텐츠를 코덱을 이용하여 파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와 기 저장된 모니터링 콘텐츠를 비교한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또는
    상기 콘텐츠와 기 저장된 모니터링 콘텐츠를 비교한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로부터 워터마크(Watermark), 로고, 및 특징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를 선정된 컬러 영역으로 변환 및 양자화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를 주파수 변환 또는 프로젝션(projection)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의 특징점을 정규화 및 양자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결과와 기 저장된 콘텐츠 추출정보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콘텐츠 추출정보를 읽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콘텐츠로부터 추출한 결과와, 상기 기 저장된 콘텐츠 추출정보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로부터 워터마크, 로고, 및 특징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가 실시간 방송인 경우,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로부터 워터마크, 로고, 및 특징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12.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모니터링 사이트에서 콘텐츠와 관련된 URL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전처리하는 콘텐츠 전처리부;
    상기 콘텐츠로부터 워터마크(Watermark), 로고, 및 특징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한 결과와 기 저장된 콘텐츠 추출정보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콘텐츠 분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 및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와 관련된 콘텐츠를 설정하고, 상기 콘텐츠를 갖는 사이트를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모니터링 사이트로 결정하는 모니터링 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설정부는,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를 등록, 삭제, 또는 수정하거나,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에서 제외되는 사이트를 설정하거나,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와 URL의 링크 횟수를 고려한 레벨에 따른 수집 여부를 설정하거나,
    상기 URL 정보의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URL 정보의 검색을 위한 HTML 태그 또는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설정부는,
    상기 콘텐츠의 파일크기 및 멀티미디어 코덱 내의 태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 및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와 관련된 콘텐츠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URL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콘텐츠로부터 상기 워터마크(Watermark), 로고, 및 특징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한 결과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전처리부는,
    상기 콘텐츠가 압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압축된 콘텐츠를 압축 해제하는 압축 해제부; 및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파싱하는 코덱파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콘텐츠와 기 저장된 모니터링 콘텐츠를 비교한 결과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워터마크 감지부; 및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 분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콘텐츠를 선정된 컬러 영역으로 변환 및 양자화하고, 상기 콘텐츠를 주파수 변환 또는 프로젝션(projection) 하고, 상기 콘텐츠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콘텐츠의 특징점을 정규화 및 양자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기 저장된 콘텐츠 추출정보를 읽고, 상기 모니터링 콘텐츠로부터 추출한 결과와, 상기 기 저장된 콘텐츠 추출정보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콘텐츠가 실시간 방송인 경우,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추출부가 상기 실시간 방송으로부터 추출된 워터마크, 로고, 및 특징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080078093A 2008-08-08 2008-08-08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1101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093A KR101101056B1 (ko) 2008-08-08 2008-08-08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093A KR101101056B1 (ko) 2008-08-08 2008-08-08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191A true KR20100019191A (ko) 2010-02-18
KR101101056B1 KR101101056B1 (ko) 2011-12-29

Family

ID=42089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093A KR101101056B1 (ko) 2008-08-08 2008-08-08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0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833B1 (ko) * 2011-12-02 2013-10-23 한국저작권위원회 특징기반 필터링 기술의 성능을 평가하는 평가서버 및 방법
KR102009029B1 (ko) * 2019-06-21 2019-08-09 주식회사 코드라인 특징정보 비교분석을 통한 콘텐츠 필터링 시스템
WO2023278251A1 (en) * 2021-06-30 2023-01-05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credit unidentified medi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3236B2 (en) 2018-12-26 2020-12-08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optimize reference signature matching using watermark match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833B1 (ko) * 2011-12-02 2013-10-23 한국저작권위원회 특징기반 필터링 기술의 성능을 평가하는 평가서버 및 방법
KR102009029B1 (ko) * 2019-06-21 2019-08-09 주식회사 코드라인 특징정보 비교분석을 통한 콘텐츠 필터링 시스템
WO2023278251A1 (en) * 2021-06-30 2023-01-05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credit unidentified med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1056B1 (ko)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2555B2 (en) Video detection method, server and storage medium
US202001673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cepts caching using a deep-content-classification (dcc) system
JP5404644B2 (ja) 時間イベント・ベースの画紋法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画像の著作権侵害を自動的に検出するための装置
US8510795B1 (en) Video-based CAPTCHA
US9256668B2 (e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common patterns within unstructured data elements retrieved from big data sources
US201400443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near-duplicate videos using perceptual video signatures
KR101627398B1 (ko) 내용기반의 검색엔진을 이용한 개인 콘텐츠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9639532B2 (en) Context-based analysis of multimedia content items using signatures of multimedia elements and matching concepts
US1071973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video surveillance system
EP3149652A1 (en) Fingerprinting and matching of content of a multi-media file
KR100986223B1 (ko) 불법 동영상 데이터 검색 장치 및 방법
US107692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information posted in the media
KR101101056B1 (ko)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N112733057A (zh) 网络内容安全检测方法、电子装置和存储介质
CN108733843B (zh) 基于哈希算法的文件检测方法和样本哈希库生成方法
JPH11110556A (ja) 画像類似度判定方法、類似画像判定装置及び記録媒体
KR20080107143A (ko) 오디오 신호처리 기반의 음악 및 동영상 추천 시스템 및방법
JP2013092941A (ja) 画像検索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569719B (zh) 视频侵权判定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060101421A (ko) 요약 동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동영상 검색 방법
KR20220081698A (ko) 얼굴이 포함된 영상 검색 시스템 및 방법
CN116881915B (zh) 文件检测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527537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639645B1 (ko) Nft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0930869B1 (ko) 오디오 식별을 통한 성인물 동영상 검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