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8841A -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8841A
KR20100018841A KR1020080077536A KR20080077536A KR20100018841A KR 20100018841 A KR20100018841 A KR 20100018841A KR 1020080077536 A KR1020080077536 A KR 1020080077536A KR 20080077536 A KR20080077536 A KR 20080077536A KR 20100018841 A KR20100018841 A KR 20100018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laylist
keyword
content
w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6403B1 (ko
Inventor
한승오
장혁진
최형진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80077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4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18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플레이리스트를 수집하는 플레이리스트 수집부; 수집한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하여 컨텐츠 식별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 설명정보를 분리하는 정보분석부; 컨텐츠 설명정보를 단어별 구분하되, 검색부로부터 전달받은 검색결과를 단어별 구분하는 단어분석부; 상기 단어분석부에 의하여 단어별 구분된 키워드와 관련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검색하되, 검색결과 가운데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정보와 관련성이 인정되는 검색결과를 추려 상기 단어분석부로 전달하는 검색부; 및 상기 단어분석부에서 단어별 구분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레이리스트, 컨텐츠, 키워드

Description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KEY-WORD USING PLAYLIST}
본 발명은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수집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키워드를 생성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악이나 영상과 같은 멀티디미어 컨텐츠는 ID3 Tag나 별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메타 정보를 통하여 조직화되어, 특정 컨텐츠와 관련 적절한 키워드를 생성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기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론들은 한결같이 컨텐츠나 사용자를 특정하여 문맥(Context)에 기반한 적절한 키워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태그를 이용하거나 구매기록을 분석하는 정도로는 문맥(Context)에 비춰 적절한 키워드를 추출한다는 것이 용이하지 아니한 것이 현실이며, 특히 문맥(Context) 기반의 키워드라는 것이 대단히 광범위하여 자칫 정보로서의 가치가 상실되기 쉬울뿐 아니라, 컨텐츠와 관련한 문맥(Context)이라는 것이 끝없이 변화하는 동적인 것이기 때문에 추적이 용이하지 않다는 한계점이 있다.
한편, 플레이리스트란 다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순차 또는 임의(random) 의 순서로 재생하도록 리스트 형태로 묶어 표현한 것을 의미한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미디어플레이어나 윈앰프, 아이튠즈와 같은 널리 사용되는 컨텐츠 재생 소프트웨어들은 각기 사용자로 하여금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거나, 작성된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들을 순차 또는 임의의 순서로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1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미디어플레이어에서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들을 재생하는 모양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플레이리스트는 작성의 경위에 따라서 1)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플레이리스트, 2) 서비스 제공자(ISP)가 제공하는 플레이리스트, 3) 사용기록이나 구매행태 등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생성한 플레이리스트로 크게 3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플레이리스트는 1)의 경우처럼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경우 개인적으로만 활용할 수도 있으나,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끼리 서로 주고받을 수도 있으며, 2)나 3)과 같은 경우 플레이리스트 기능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쉽게 배포되거나 또는 수집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플레이리스트들은 포함하고 있는 제목이나 장르, 가수, 앨범명과 같은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컨텐츠 식별정보 이외에도 해당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나 서비스 제공자(ISP)가 추가한 컨텐츠에 관한 부연설명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활용하여 컨텐츠를 설명하는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플레이리스트를 이용하여 컨텐츠와 관련성이 높은 키워드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는 플레이리스트를 수집하는 플레이리스트 수집부;
수집한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하여 컨텐츠 식별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 설명정보를 분리하는 정보분석부;
컨텐츠 설명정보를 단어별 구분하되, 검색부로부터 전달받은 검색결과를 단어별 구분하는 단어분석부;
상기 단어분석부에 의하여 단어별 구분된 키워드와 관련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검색하되, 검색결과 가운데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정보와 관련성이 인정되는 검색결과를 추려 상기 단어분석부로 전달하는 검색부; 및
상기 단어분석부에서 단어별 구분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방법은 플레이리스트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한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하여 컨텐츠 식별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 설명정보를 분리하는 단계;
컨텐츠 설명정보를 단어별 구분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단어별 구분된 키워드와 관련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검색하는 단계;
검색결과 가운데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정보와 관련성이 인정되는 검색결과를 단어별 구분하는 단계; 및
단어별 구분된 컨텐츠 설명정보와 단어별 구분된 검색결과를 이용하여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방법은 플레이리스트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한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하여 컨텐츠 식별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 설명정보를 분리하는 단계;
컨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컨텐츠 설명정보를 단어별 구분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단어별 구분된 키워드와 관련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검색하는 단계;
검색결과 가운데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정보와 관련성이 인정되는 검색결과를 단어별 구분하는 단계;
단어별 구분된 컨텐츠 설명정보와 단어별 구분된 검색결과를 이용하여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컨텐츠 식별 요청시 컨텐츠 리스트에 식별요청된 컨텐츠가 존재하면 이에 대응하는 키워드 리스트를 결과값으로 리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함으로써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이외에도 컨텐츠를 설명하는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져, 이를 이용한 키워드 리스트의 생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컨텐츠를 식별하고자 하는 경우 문맥(Context)에 적합한 키워드를 관련도에 따라서 정열하여 사용자에게 리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플레이리스트 파일 구성을 예로 든 참고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블록도이다.
플레이리스트는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순차 또는 임의(random)의 순서로 재생하도록 리스트 형태로 묶어 표현한 것을 의미하는데, 통상적으로 텍스트 포맷으로 저장되며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와, 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2는 일부 컨텐츠를 재생하는 소프트웨어에서 지원하는 플레이리스트 파일 의 내용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플레이리스트 파일의 명칭은 "30대 직장인이 좋아하는 노래.pls"이며, 내용은 3곡의 노래 mp3 파일에 대한 정보들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우선, 첫번째 노래를 살펴보면 파일명칭은 사용자 PC의 "C:\음악" 폴더에 있는 "여행을 떠나요.mp3"임을 알 수 있으며, 컨텐츠의 제목은 "여행을 떠나요"이고, 이 컨텐츠에 부가적으로 부여된 설명에는 "조용필의 초기 명곡이다"와 같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아래쪽에는 "Title=30대 직장인이 좋아하는 노래"라고 표시되어 해당 플레이리스트의 제목이 "30대 직장인이 좋아하는 노래"이며, NumberOfEntries=3 이라고 표시되어 컨텐츠의 수가 모두 3개임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하여 알 수 있는 정보 가운데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컨텐츠 식별정보)로는 컨텐츠의 파일명, 저장위치, URL, 재생시간이 있을 수 있으며, 이외에도 ID3 TAG에 포함되는 정보들 즉, 제목, 앨범, 아티스트, 장르를 들 수 있다.
한편, 플레이리스트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itle=30대 직장인이 좋아하는 노래" 또는 "Comment1=조용필의 초기 명곡이다"와 같이 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정보(컨텐츠 설명정보)들이 포함되기도 한다.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되는 정보들 가운데 컨텐츠 식별정보를 제외한 나머지를 컨텐츠 설명정보라고 하며, 이러한 컨텐츠 설명정보는 플레이리스트를 만든 사용자가 임의로 추가, 삽입할 수도 있고,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가 플레이리스트를 유포할 때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는 플레이리스트 수집부(110), 정보분석부(120), 단어분석부(130), 검색부(140), 및 리스트 생성부(150)을 구비한다.
이때, 플레이리스트 수집부(110)는 플레이리스트를 수집하는데, 로컬 PC에 저장된 플레이리스트를 검색함으로써 수집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플레이리스트를 수집할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한 플레이리스트 수집의 경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P2P 방식으로 타 사용자 PC들로부터 플레이리스트를 수집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플레이리스트 수집부(110)에 의하여 수집된 플레이리스트는 정보분석부(120)에 의하여 분석되는데, 정보분석부(120)는 수집한 플레이리스트를 컨텐츠 식별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 설명정보를 분리한다.
도 2의 예를 살펴보면 3개의 컨텐츠가 존재하는데, 첫번째 컨텐츠는
File1=C:\음악\여행을 떠나요.mp3
Title1=여행을 떠나요
Length1=158
와 같은 컨텐츠 식별정보와
Title=30대 직장인이 좋아하는 노래
Comment1=조용필의 초기 명곡이다
와 같은 첫번째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설명정보로 분리될 수 있을 것이며,
두번째 컨텐츠는
File2=C:/음악/기억의 습작.mp3
Title2=기억의 습작
Length2=285
와 같은 컨텐츠 식별정보와
Title=30대 직장인이 좋아하는 노래
Comment2=전람회의 데뷔앨범 수록곡
와 같은 두번째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설명정보로 분리될 수 있고, 세번째 컨텐츠도 마찬가지로 컨텐츠 식별정보와 컨텐츠 설명정보로 분리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컨텐츠 설명정보는 단어분석부(130)에 의하여 분석되는데, 단어분석부(130)는 컨텐츠 설명정보를 단어별로 나누되, 특히 형용사, 부사, 동사와 같은 용언인지 고유명사나 보통명사와 같은 체언인지에 따라서 나눈다.
도 2의 예로 다시 돌아가면, 첫번째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설명정보는
명사 : 30대 직장인 노래 조용필 초기 명곡
동사 : 좋아하다
와 같이 나눌 수 있다. 이에 의하여 7개의 키워드가 생성되었다.
한편, 검색부(140)는 이렇게 생성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검색한다. 검색부(140)가 인터넷을 통하여 검색엔진에 키워드를 쿼리(Query)로 전달하여 그 결과를 리턴받는 방법으로 검색을 하거나, 또는 검색부(140) 자체가 검색로봇(Search Robot)으로 구현되어 인터넷 상의 웹 페이지들 가운데 해당 키워드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들을 검색할 수도 있다.
한편, 키워드를 이용한 인터넷 검색결과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정보와 관련성이 있는 검색결과만을 추려서 단어분석부(130)로 다시 리턴한다.
도 2의 예를 다시 살펴보면, 첫번째 컨텐츠인 "File1=C:\음악\여행을 떠나요.mp3" / "Title1=여행을 떠나요"와 관련하여 검색부(140)가 검색한 결과 키워드 "30대"를 이용하여 검색한 결과 "여행을 떠나요"라는 문구가 포함된 웹 페이지가 10개, 키워드 "조용필"로 검색한 결과 "여행을 떠나요"라는 문구가 포함된 웹 페이지가 50개, 키워드 "명곡"으로 검색한 결과 "여행을 떠나요"라는 문구가 포함된 웹 페이지가 5개가 검색되었다고 한다면, 그 결과를 단어분석부(130)로 리턴한다.
그러면, 단어분석부(130)는 검색결과를 다시 형용사, 부사, 동사와 같은 용 언인지 고유명사나 보통명사와 같은 체언인지에 따라서 단어별로 나누어 키워드를 생성한다.
한편, 리스트 생성부(150)는 정보분석부(120)에서 분리한 컨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되, 단어분석부(130)에서 생성한 각 컨텐츠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정보와 키워드간의 관련도에 따라서 키워드의 순번을 정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테면, 컨텐츠 식별정보와 관련있는 검색결과가 많이 나온 순서에 따라서 키워드를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리스트 생성부(150)는 생성된 키워드 리스트를 사용자 PC로 전송하는데, 사용자 PC는 컨텐츠 식별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컨텐츠의 태그에 전송받은 키워드 리스트를 포함시켜 저장한다. 예를 들어, MP3 파일은 ID3v1 또는 ID3v2 규격의 태그정보를 포함하는데, 이때 ID3 규격에 의하면 태그정보에는 30 Character 길이의 부가정보(Comment) 기록을 위한 공간이 존재한다. 사용자 PC는 이와 같은 컨텐츠 내부의 태그정보 공간에 생성된 키워드 리스트를 포함시켜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 PC란 인터넷 망을 통해 키워드 생성장치(100)에 접속되는 임의의 PC를 의미한다. 즉, 컨텐츠의 태그에 키워드 리스트를 포함시켜 저장하는 것은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여 플레이리스트로부터 얻어진 정보가 컨텐츠에 포함되는 사이클이 완료되며, 컨텐츠는 보다 관련성 높은 컨텐츠를 태그 내에 포함함으로써 더욱 용이 하고 효과적으로 검색, 정렬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방법의 일측면을 설명하기로 한다.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방법의 일측면은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이를 키워드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먼저 플레이리스트 수집부(110)가 사용자 PC를 검색하거나, 인터넷을 통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수집한다(S101). 이후, 정보분석부(120)가 수집한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하여 컨텐츠 식별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 설명정보를 분리한다(S102).
그리고, 단어분석부(130)가 컨텐츠 설명정보 가운데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정보에 포함되는 체언,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체언, 용언을 단어별로 분리하여 키워드를 생성(S103)하면, 검색부(140)가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검색한다(S104).
인터넷을 통한 검색은 검색엔진에 키워드를 쿼리로 전달하여 결과값을 리턴받거나, 검색부(140)가 직접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웹 페이지가 키워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포함하면 검색결과에 포함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후, 검색부(140)가 검색결과 가운데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정보와 관련성이 인정되는 검색결과를 단어분석부(130)로 넘겨주면, 단어분석부가 검색결과를 다시 단어별로 분석하여 키워드를 생성한다(S105). 단어별 분리방법은 S103 단계와 동일 하다.
마지막으로, 리스트 생성부(150)가 S103 단계에서 생성된 키워드와 S105 단계에서 생성된 키워드를 취합하여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한다(S106).
리스트 생성부(150)는 S102 단계에서 분리된 컨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리스트 생성부(150)는 생성된 키워드 리스트를 사용자 PC로 전송하는데, 이를 전송받은 사용자 PC는 컨텐츠 식별정보에 의하여 특정되는 컨텐츠의 태그에 전송받은 키워드 리스트를 저장한다.
이에 의하여 컨텐츠가 태그 내부에 관련성 높은 키워드들로 이루어진 키워드 리스트를 포함하게 되어 다양한 방법에 의한 컨텐츠의 정렬, 검색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방법의 다른 일측면을 설명하기로 한다.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방법의 다른 일측면은 사용자가 컨텐츠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에 키워드리스트를 이용하여 적합한 키워드들을 리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플레이리스트 수집부(110)가 사용자 PC를 검색하거나, 인터넷을 통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수집한다(S201). 이후, 정보분석부(120)가 수집한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하여 컨텐츠 식별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 설명정보를 분리한다(S202).
한편, 리스트 생성부(150)는 분리된 컨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한다(S203).
그리고, 단어분석부(130)가 컨텐츠 설명정보 가운데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정보에 포함되는 체언,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체언, 용언을 단어별로 분리하여 키워드를 생성(S204)하면, 검색부(140)가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검색한다(S205).
이후, 검색부(140)가 검색결과 가운데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정보와 관련성이 인정되는 검색결과를 단어분석부(130)로 넘겨주면, 단어분석부가 검색결과를 다시 단어별로 분석하여 키워드를 생성하고(S206), 리스트 생성부(150)가 키워드를 취합하여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한다(S207).
한편,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식별 요청이 있으면, 컨텐츠 리스트에 식별요청된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존재하는 경우 그 컨텐츠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 리스트를 결과값으로 리턴한다(S208).
도 2의 예를 참조할 때, 사용자가 "여행을 떠나요"라는 검색어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식별요청을 하면, 예를들어 "조용필" - "30대" - "명곡" 과 같은 키워드 리스트를 리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몇가지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플레이리스트를 지원하는 컨텐츠 재생 소프트웨어의 화면 예시도,
도 2는 플레이리스트 파일 구성을 예시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방법의 일측면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방법의 다른 일측면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플레이리스트 수집부 120 : 정보분석부
130 : 단어분석부 140 : 검색부
150 : 리스트 생성부

Claims (19)

  1. 플레이리스트를 수집하는 플레이리스트 수집부;
    수집한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하여 컨텐츠 식별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 설명정보를 분리하는 정보분석부;
    컨텐츠 설명정보를 단어별 구분하되, 검색부로부터 전달받은 검색결과를 단어별 구분하는 단어분석부;
    상기 단어분석부에 의하여 단어별 구분된 키워드와 관련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검색하되, 검색결과 가운데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정보와 관련성이 인정되는 검색결과를 추려 상기 단어분석부로 전달하는 검색부; 및
    상기 단어분석부에서 단어별 구분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를 구비하는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생성부는 사용자 PC로 하여금 컨텐츠의 태그에 생성된 키워드 리스트를 저장하도록 상기 생성된 키워드 리스트를 전송하는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식별정보란 플레이리스트로부터 수집가능한 컨텐츠의 파일명, 저장위치, URL, 재생시간, 제목, 앨범, 아티스트, 장르 가운데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컨텐츠 설명정보란 그 이외의 정보를 포함하는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리스트 수집부는 사용자 PC에 저장된 플레이리스트를 검색하여 수집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플레이리스트를 수집하는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분석부가 단어별 구분하는 방법은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정보에 포함되는 체언,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체언, 용언으로 나누는 것인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분석부가 단어별로 구분하는 체언은 보통명사 및 고유명사인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검색엔진에 상기 단어분석부에 의하여 단어별 구분된 단어를 쿼리로 전달하여 그 결과값을 리턴받는 방법으로 검색하는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가능한 웹 페이지들을 자동으로 검색하는 검색로봇인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컨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
  10. 플레이리스트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한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하여 컨텐츠 식별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 설명정보를 분리하는 단계;
    컨텐츠 설명정보를 단어별 구분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단어별 구분된 키워드와 관련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검색하는 단계;
    검색결과 가운데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정보와 관련성이 인정되는 검색결과를 단어별 구분하는 단계; 및
    단어별 구분된 컨텐츠 설명정보와 단어별 구분된 검색결과를 이용하여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생성된 키워드 리스트를 사용자 PC로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 PC가 전송받은 키워드 리스트를 컨텐츠의 태그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플레이리스트를 수집하는 단계는, 사용자 PC에 저장된 플레이리스트를 수집 하거나 인터넷을 통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컨텐츠 설명정보를 단어별 구분하는 단계는 컨텐츠 설명정보 가운데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정보에 포함되는 체언,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체언, 용언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검색결과 가운데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정보와 관련성이 인정되는 검색결과를 단어별 구분하는 단계는 검색결과 가운데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정보에 포함되는 체언,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체언, 용언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단어별 구분된 키워드와 관련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검색하는 단계는 검색 엔진에 키워드를 쿼리로 전달하는 단계;
    검색엔진으로부터 결과값을 리턴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단어별 구분된 키워드와 관련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검색하는 단계는 검색엔진에 키워드를 쿼리로 전달하는 단계; 및
    검색엔진으로부터 결과값을 리턴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단어별 구분된 키워드와 관련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검색하는 단계는 인터넷을 통해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 및
    웹 페이지가 키워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포함하면 검색결과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방법.
  18. 제 10항에 있어서,
    컨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방법.
  19. 플레이리스트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한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하여 컨텐츠 식별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 설명정보를 분리하는 단계;
    컨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컨텐츠 설명정보를 단어별 구분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단어별 구분된 키워드와 관련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검색하는 단계;
    검색결과 가운데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정보와 관련성이 인정되는 검색결과를 단어별 구분하는 단계;
    단어별 구분된 컨텐츠 설명정보와 단어별 구분된 검색결과를 이용하여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컨텐츠 식별 요청시 컨텐츠 리스트에 식별요청된 컨텐츠가 존재하면 이에 대응하는 키워드 리스트를 결과값으로 리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방법.
KR1020080077536A 2008-08-07 2008-08-07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 및 그 방법 KR101466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536A KR101466403B1 (ko) 2008-08-07 2008-08-07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536A KR101466403B1 (ko) 2008-08-07 2008-08-07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841A true KR20100018841A (ko) 2010-02-18
KR101466403B1 KR101466403B1 (ko) 2014-11-27

Family

ID=42089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536A KR101466403B1 (ko) 2008-08-07 2008-08-07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40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791A (ja) * 2003-10-09 2005-04-28 Sony Corp 情報検索方法、情報取得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802348B2 (ja) 2005-12-14 2011-10-26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クライアント装置およびクライアントプログラム
KR100760301B1 (ko) * 2006-02-23 2007-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부분 검색어 추출을 통한 미디어 파일 검색 방법 및 장치
WO2008056570A1 (fr) * 2006-11-09 2008-05-15 Panasonic Corporation Dispositif de recherche de conten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403B1 (ko) 2014-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204B1 (ko) 콘텐트 아이템들의 컬렉션과 연관하여 메타데이터 생성
US8359315B2 (en) Generating a representative sub-signature of a cluster of signatures by using weighted sampling
US8620967B2 (en) Managing metadata for occurrences of a recording
US20060085383A1 (en) Network-based data collection, including local data attributes, enabling media management without requiring a network connection
US8209313B2 (en) Structuring and searching data in a hierarchical confidence-based configuration
US8751494B2 (en) Constructing album data using discrete track data from multiple sources
US78490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ranking items of audio content
KR101098832B1 (ko) 개인화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090033750A (ko) 콘텐츠 플레이 리스트 추천 방법 및 장치
Orio et al. MusiCLEF: a Benchmark Activity in Multimodal Music Information Retrieval.
US80058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preferred provider of audio content
KR101135126B1 (ko) 메타데이터 기반 색인 및 검색 장치와 그 방법
US20110072117A1 (en) Generating a Synthetic Table of Contents for a Volume by Using Statistical Analysis
KR101466403B1 (ko)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키워드 생성장치 및 그 방법
KR101466404B1 (ko)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장치 및 그 방법
Reiss et al. MIR benchmarking: Lessons learned from the multimedia community
Peycheva et al. Bulgarian folk songs in a digital library
Thomas et al. PROBADO music: A multimodal online music library
Schedl Web-based and community-based music information extraction
Wu et al. Personal video manager: managing and mining home video collections
EP15211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roposing an accompaniment to a text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