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8780A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8780A
KR20100018780A KR1020080077441A KR20080077441A KR20100018780A KR 20100018780 A KR20100018780 A KR 20100018780A KR 1020080077441 A KR1020080077441 A KR 1020080077441A KR 20080077441 A KR20080077441 A KR 20080077441A KR 20100018780 A KR20100018780 A KR 20100018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noise reduction
motor
reduction uni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병선
황정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7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8780A/ko
Publication of KR20100018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7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흡입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제공되며,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흡입 모터; 상기 흡입 모터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모터 하우징; 및 상기 모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 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도록 하는 소음 저감부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흡입 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체, 베이스, 소음 저감부

Description

진공 청소기 {Vacuunm cleaner}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흡입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흡입 노즐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청소기 본체 내부를 원활히 유동할 수 있어야 하며, 먼지를 포함한 공기 중에서 먼지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진공 청소기의 성능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한편, 종래의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청소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흡입 모터는 작동되기 시작하는데, 이 때 소음(기계음)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청소기의 사용 중에 소음에 의한 불편함을 많이 느끼게 되었다.
또한, 흡입 모터의 작동 중에, 모터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흡입 모터에 인접한 본체 부분이 열변형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청소기 본체에는 흡입 모터를 지지하는 구조가 제공되는데, 흡입 모터와, 흡입 모터가 수용되는 모터 하우징의 자중에 의하여 지지 구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흡입 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도록 하는 소음 저감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흡입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본체가 열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 흡수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흡입 모터 및 모터 하우징의 자중에 의하여 본체에 작용하는 응력이 분산되도록 하는 보강 부재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제공되며,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흡입 모터; 상기 흡입 모터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모터 하우징; 및 상기 모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 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도록 하는 소음 저감부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는, 베이스가 제공되는 본체; 상기 베이스에 제공되며,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 모터; 상기 흡입 모터가 상기 본체에 지지되도록 하는 모터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의 일면과 상기 모터 하우징의 사이에 개입되는 소음 저감부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 본체에 제공되는 소음 저감부에 의하여 흡입 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흡입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열 흡수부에 일차적으로 흡수되도록 하여 본체에 과도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본체에 열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흡입 모터 및 모터 하우징의 자중이 보강 부재에 의하여 분산되도록 하여, 본체에 작용하는 응력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가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먼지 분리 장치(50)와, 상기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부재(20)와, 상기 본체(10) 또는 진공 청소기(1)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동 바퀴(30)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흡입 노즐(미도시)과 연결되는 호스 연결부(12) 가 형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흡입 노즐과 호스 연결부(12)의 사이에는 연장관 및 연결 호스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노즐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연장관 및 연결 호스를 거치고, 상기 호스 연결부(12)를 통하여 상기 본체(10)로 유입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먼지 분리 장치(50)에는, 공기 중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 챔버(미도시)와, 상기 먼지 분리 챔버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집진 유닛(51)과, 상기 먼지 분리 장치(51)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집진 손잡이(52)가 제공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먼지 분리 챔버에는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먼지 분리 챔버의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먼지 분리 장치(50)가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부(15)가 제공된다. 상기 안착부(15)는 상기 먼지 분리 장치(50)의 저면에 대응되며,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5)에는, 상기 호스 연결부(12)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19)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9)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먼지 분리 장치(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집진 손잡이(52)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먼지 분리 장치(50)를 잡아당길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먼지 분리 장치(50)는 안착부(15)로부터 분리 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 부재(20)에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커버 손잡이(21)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손잡이(21)에는, 상기 커버 부재(20)를 개방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누름부(22)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20)에는, 상기 커버 부재(20)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25)가 제공된다. 상기 힌지부(25)는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먼지 분리 장치(50)의 후측에는, 공기가 모터 하우징(120 : 도 3 참조)로 흡입되기 전에 공기 중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필터 어셈블리(40)가 제공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100)의 전면에는, 상기 먼지 분리 장치(50)의 배출부(미도시)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유입부(42)와, 사용자가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를 파지 가능하도록 하는 파지부(41)가 포함된다.
상기 공기 유입부(42)는 상기 먼지 분리 챔버의 배출부(미도시)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 장치(50)가 상기 안착부(15)에 안착되면 상기 공기 유입부(42)는 상기 배출부에 연통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10)에는, 본체(10)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에 제공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130)와, 상기 흡입 모터(130)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모터 하우징(12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흡입 모터(130)는, 진공 청소기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작동 가능하며 상기 모터 하우징(120)의 내부에 지지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모터 하우징(120)에는, 상기 모터 하우징(120)의 전면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122)와, 상기 하우징 커버(122)의 후측에 제공되어 상기 흡입 모터(130)가 상기 하우징 커버(122)에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 가이드(125)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커버(122)에는, 공기가 상기 모터 하우징(12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공기 흡입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 흡입부(123)는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부(123)가 상기 하우징 커버(122)에 다수 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흡입 모터(120)의 흡입력은 상기 모터 하우징(130)의 전방에 분산되어 작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하우징(120)에는, 상기 흡입 모터(13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모터 하우징(12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부(127)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 배출부(127)는 상기 모터 하우징(12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는 상기 흡입 모터(130)의 전방에서 흡입되어 측방으로 배출되며, 배출된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부(127)를 통하여 상기 모터 하우징(120)의 외부 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는 상기 모터 하우징(120)의 전방에 제공되어, 공기가 상기 모터 하우징(120)의 내부로 흡입되기 전에 먼지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40)가 장착되도록 하는 필터 장착부(110)가 제공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는 상기 필터 장착부(110)에 분리 가능하게 제공된다.
또한, 상기 모터 하우징(120)의 후방에는, 상기 모터 하우징(120)에서 배출된 공기가 청소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부(1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부(140)의 전방에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먼지가 필터링 되도록 하는 배기 필터(미도시)가 제공된다.
상기 배기 필터는 배기 필터 장착부(142)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전원 코드가 감겨져 보관되도록 하는 코드릴 장치(150)가 제공된다. 상기 전원 코드는 상기 코드릴 장치(150)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00)에는, 상기 모터 하우징(120)의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흡입 모터(13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도록 하는 소음 저감부(160)가 제공된다.
상기 소음 저감부(160)는 상기 베이스(100) 하면(101)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음 저감부(160)는 상기 베이스(100)에 접착 또는 체결될 수 있을 것 이다.
상세히, 상기 소음 저감부(160)에는, 상기 베이스(100)의 하면(10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출부(161)와, 상기 돌출부(161)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하가 개구되는 함몰부(16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소음 저감부(160)는 상하가 개구된 대략 육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음 저감부(160)의 돌출된 면들이 상기 돌출부(161)를 형성하며, 상하 개구된 부분이 상기 함몰부(162)를 형성한다.
즉, 상기 소음 저감부(160)는 벌집 형태의 리브 구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면에는 상기 돌출부(161)가 육각 기둥을 형성하며 돌출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상기 돌출부(16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흡입 모터(130)에서 발생된 소음은 제 1 파장을 가지고 상기 소음 저감부(160)로 전파된다. 그리고, 상기 소음은 상기 돌출부(161) 및 함몰부(162)에 부딪히면서 상기 제 1 파장과 다른 파장을 가지고 반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소음 저감부(160)로 전파되는 소리와 반사되어 나오는 소리간에 파장이 상쇄되어 소음이 저감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소음 저감부(160)는 상기 흡입 모터(130)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열 흡수부"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130)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모터 하우징(120)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100)의 하면(101)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열은 상기 모터 하 우징(120)의 공기 배출부(127)를 통하여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열은 상기 베이스(100) 및 상기 베이스(100)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이 열 변형되도록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열 흡수부(160)가 상기 베이스 하면(101)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흡입 모터(130)로부터 발산되는 열은 상기 열 흡수부(160)에 일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열은 상기 베이스(100)에 직접 전달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100)에는 모터 열에 의한 영향이 적게 미치게 된다.
결국, 상기 베이스(100) 및 베이스(100)에 장착되는 부품들이 상기 모터(130) 열에 의하여 열변형 되는 것이 최소화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소음 저감부(160)는 상기 흡입 모터(130)의 내부 압력에 의한 진동에 대하여 상기 본체(10), 즉 베이스(100)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하는 점에서 "보강 부재"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흡입 모터(130)가 작동되면, 상기 모터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진공압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은 상기 베이스(100)에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면, 상기 베이스(100)에는 진동에 의한 응력이 계속 작용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베이스(100)에는 피로가 누적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베이스(100)의 강도가 약화되고, 결국 상기 베이스(100)가 파손되는 우려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베이스(100)의 하면(101)에 상기 보강 부재(160)가 제공되면 상기 진동은 상기 보강 부재(160)에 먼저 전달되므로 상기 베이스(100)에 작용하는 응력은 최소화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부(160)는 상기 모터 하우징(120)의 하측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소음 저감부(160)는 상기 모터 하우징(12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소음 저감부(160)는 상기 공기 배출부(127)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배출부(127)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소음 저감부(160)로 이동되므로, 공기에 의한 소음은 저감될 수 있다.
또한, 공기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100)로 직접 열전달 되는 것이 감소되므로, 상기 베이스(100)의 열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하우징(120)의 하측에는, 상기 모터 하우징(120)이 상기 베이스(100)의 하면(101)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 리브(105)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리브(105)는 상기 소음 저감부(160)의 일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진공 청소기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내부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 노즐(미도시)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호스 연결부(12)를 통하여 상기 본체(10)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 중 먼지는 상기 먼지 분리 장치(50)에서 일차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먼지 분리 장치(5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를 통과하면서 다시 한번 필터링 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를 거친 공기는 상기 하우징 커버(122)의 공기 흡입부(123)를 통하여 상기 모터 하우징(120)의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공기는 상기 흡입 모터(130)의 전면부로 흡입되어, 상기 흡입 모터(130)의 측면부로 배출된다.
상기 흡입 모터(130)를 배출한 공기는 상기 모터 하우징(120)의 공기 배출부(127)를 통하여 배출되어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후에, 공기는 상기 배기부(140)를 향하여 후방으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동 중에, 상기 모터 하우징(12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상기 소음 저감부(160)로 이동되며, 상기 베이스(100)의 하면(101)과 직접 부딪히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130)에 의한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 모터(130)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열 흡수부(160)를 거쳐 상기 베이스(100), 즉 상기 본체(10)에 전달되므로, 상기 베이스(100)의 열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 모터(1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상기 보강 부재(160)에 의하여 흡수되어, 상기 베이스(10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베이스(100)의 강도가 약화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종국적으로, 상기 베이스(10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가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내부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

Claims (11)

  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제공되며,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흡입 모터;
    상기 흡입 모터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모터 하우징; 및
    상기 모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 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도록 하는 소음 저감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저감부는 상기 본체의 하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저감부에는,
    상기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가 적어도 하나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저감부는 상기 모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진공 청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에는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음 저감부는 상기 공기 배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진공 청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저감부는 상기 흡입 모터의 열이 상기 본체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열 흡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저감부는 상기 본체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하는 보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8. 베이스가 제공되는 본체;
    상기 베이스에 제공되며,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 모터;
    상기 흡입 모터가 상기 본체에 지지되도록 하는 모터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의 일면과 상기 모터 하우징의 사이에 개입되는 소음 저감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저감부는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제공되는 진공 청소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소음 저감부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모터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 리브가 제공되는 진공 청소기.
KR1020080077441A 2008-08-07 2008-08-07 진공 청소기 KR201000187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441A KR20100018780A (ko) 2008-08-07 2008-08-07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441A KR20100018780A (ko) 2008-08-07 2008-08-07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780A true KR20100018780A (ko) 2010-02-18

Family

ID=42089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441A KR20100018780A (ko) 2008-08-07 2008-08-07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87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2152A1 (zh) * 2013-09-06 2015-03-12 江苏美的春花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
CN104414593A (zh) * 2013-09-06 2015-03-18 江苏美的春花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2152A1 (zh) * 2013-09-06 2015-03-12 江苏美的春花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
CN104414593A (zh) * 2013-09-06 2015-03-18 江苏美的春花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6654B2 (ja) 掃除機
EP1803382B1 (en) Vacuum cleaner and method for reducing noise generated thereby
KR20090095333A (ko) 먼지봉투 또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선택 장착할 수 있는진공청소기
JP2010512195A (ja) 切り替え可能な表面清掃装置
CN212037368U (zh) 手持吸尘器
KR102584214B1 (ko) 청소기
WO2012032721A1 (ja) 電気掃除機
US8470083B2 (en) Portable canister vacuum
KR102022098B1 (ko) 청소기
KR20200131254A (ko)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
KR20100018780A (ko) 진공 청소기
JP2009504235A (ja) 真空掃除機のフィルタ装着構造
KR102180672B1 (ko) 청소기
KR102022096B1 (ko) 청소기
KR102180674B1 (ko) 청소기
AU2009340149B2 (en) Vacuum cleaner
CN212118030U (zh) 手持吸尘器
JP2013034564A (ja) 電気掃除機
KR102037329B1 (ko) 청소기
KR101282536B1 (ko)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KR101282457B1 (ko) 먼지분리기구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CN214804417U (zh) 手持吸尘器
JP2018191733A (ja) 塵埃分離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5357980B2 (ja) 縦型電気掃除機
KR20070048875A (ko)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321

Effective date: 2011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