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6159A - 비-살상 발사체 - Google Patents

비-살상 발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6159A
KR20100016159A KR1020097022940A KR20097022940A KR20100016159A KR 20100016159 A KR20100016159 A KR 20100016159A KR 1020097022940 A KR1020097022940 A KR 1020097022940A KR 20097022940 A KR20097022940 A KR 20097022940A KR 20100016159 A KR20100016159 A KR 20100016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le
target
kinetic energy
weapon system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임 다논
일란 샬레브
Original Assignee
시큐리티 디바이시스 인터내셔널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큐리티 디바이시스 인터내셔널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큐리티 디바이시스 인터내셔널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00016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0Projectiles or missi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mmunition class or type, e.g. by the launching apparatus or weapon used
    • F42B30/02Bul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4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expanding before or on impact, i.e. of dumdum or mushroom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7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7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42B12/74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ore or solid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8/00Practice or training ammunition
    • F42B8/12Projectiles or miss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가 제공된다. 운동에너지를 갖는 발사체는 목표물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길이 축을 따라 발사된다. 상기 목표물과 상기 발사체의 충돌과 동시에, 탄성 메커니즘은 상기 운동에너지의 제1 부분을 탄성적으로 흡수한다. 로킹 메커니즘 상기 탄성 메커니즘 내에서 상기 운동에너지의 상기 제1 부분을 저장하고; 이에 의해, 상기 충돌 시 잔존하는 운동에너지는 목표물에 대해서 비-살상 수준으로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사체는 제1 바디와 결합된 가변 헤드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 헤드는 점탄성 물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점탄성 물질은 (상기 점탄성 물질의 탄성의 기계적 특성을 갖는) 상기 탄성 메커니즘과 상기 점탄성 물질의 점도 특성을 갖는 로킹 메커니즘을 갖는다.
가변 헤드, 발사체, 탄성, 점성, 점탄성

Description

비-살상 발사체{NON-LETHAL PROJECTILE}
본 발명은 인간 또는 동물의 표적물을 무능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발사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비-살상용 발사체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무기는 범죄를 억제하고 단념시키기 위해 경찰에 의해 사용된다. 그러나, 법원과 경찰이 아닌 자는 유죄 판결과 범죄 처벌에 대한 책임을 갖기 때문에, 경찰에 의한 기존 무기의 사용은 증거 없이 주장된 용의자에 대해 상해를 가할 가능성에 의해 제한된다. 살상가상으로, 경찰에 의한 기존 무기의 사용은 죄 없는 무 관계한 사람에 대해 치명상이나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다. 한편, 비-살상용 무기는 격렬한 시위에서 군중을 통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비-살상용 무기 시스템은 의심가는 용의자가 다른 범죄를 저지르거나, 싸움에 연루되거나 도주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상처를 가하는 대신에, 의심가는 용의자를 무능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존의 비-살상용 무기는 곤봉(또는 경찰봉) 고무와 플라스틱 탄환을 포함한다. 경찰관에 의해 사용되는 경찰봉은 근접 거리에서 사용되고 심각한 신체적 외상을 가할 가능성이 있다. 고무 및 플라스틱 탄환은 너무 강력하여 대략 25미터 이하의 거리에서 사용될 수 없으며, 50미터 이상의 거 리에서는 효과가 없게 된다. 기존의 고무 및 플라스틱 탄환은 원치 않는 심각한 다수의 상처를 유발할 수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3,710,720호는 발사대와 목표물에 상대적으로 넓은 충돌 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탄도 중에 반지름 방향으로로 팽창하도록 적용된 상대적으로 큰 질량의 가요성의 낮은 치명도의 발사체를 포함하는 무기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발사체는 기존의 발사대에 삽입가능 하도록 초기에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부를 갖는다. 상기 발사대는 원심력에 의한 상기 발사체의 반지름 방향으로 팽창과 상기 발사체의 회전을 이루기 위한 총신 내에 내부 라이플링 홈을 갖는다. 충돌 시 상대적으로 넓은 접촉 면적은 높은 관성 에너지를 유지함과 동시에 목표물의 단위 면적 관통당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미합중국 특허 제6,012,295호는 저밀도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용기와, 변형된 고무인 열가소성 젤(gel)과 같은 연성 물질 심을 포함하는 경찰봉 발사체를 개시한다. 수용 가능한 충돌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용기는 파열되고 상기 심은 반지름 방향으로로 과도한 충돌 에너지를 분산시키고 상기 목표물에 더 넓은 충돌 면적을 제공하도록 전개(展開)되어 수용하기 어려운 관통의 위험과 목표물의 외상 상해가 감소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목표물”이라는 용어는 무능력하게 되는 사람이나 동물로 언급된다.
비-살상 발사체에서 언급되어 여기서 사용되는 “외측으로”라는 용어는 상기 발사체의 상기 길이 축으로부터 떨이진 반지름 방향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점탄성”이라는 용어는 변형 시 점성 및 탄성 특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물질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에너지 밀도”라는 용어는 목표물에 대한 발사체의 운동에너지 충돌로 언급되고 일반적으로 제곱 센치미터 당 면적의 단위로 주워지는 충돌 면적에 의해 나눠지는 상기 발사체의 운동 에너지로 정의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압력”이라는 용어는 충돌 면적에 의해 나눠지는 목표물 상의 발사체의 충돌력으로 언급된다.
발명의 요약( BRIEF SUMMARY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살상용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가 제공된다. 상기 발사체는 길이 축을 갖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와 결합된 가변 해드(head)를 포함한다. 일정한 운동에너지를 갖는 상기 발사체는 목표물의 방향으로 상기 길이 축을 따라 발사된다. 상기 목표물과 상기 발사체의 충돌과 동시에, 상기 가변 헤드는 점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상기 발사체의 상기 운동에너지의 일 부분은 점성적으로 소진되고 상기 운동에너지의 다른 부분은 탄성적으로 흡수하여 목표물과 충돌 시 잔존하는 운동에너지는 비-살상 수준으로 감소된다. 상기 발사체는 접힘부에 의해 연결된 둘 이상의 세그먼트(segment)를 포함하는 반-강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강성 요소는 상기 가변 헤드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갭(gap) 및/또는 연성 물질이 상기 반-강성 요소 및 상기 메인 바디 사이 및/또는 상기 반-강성 요소 및 상기 가변 헤드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표물과 상기 발사체의 충돌과 동시에, 상기 접힘부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은 외측으로 굽어지거나 상기 충돌에 반응하여 외측으로 이동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세퍼레이터가 상기 가변 헤드 내에 임베디드(embedded)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길이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 가로로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다수의 길이 부재들은 상기 목표물을 향한 상기 가변 헤드 내에 임베디드되고 상기 길이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충돌과 동시에, 상기 길이 부재들은 상기 길이 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외측으로 구부러진다. 상기 길이 부재에 의해 굽은 외측은 상기 목표물에 상기 발사체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길이 부재들은 충돌 시 상기 목표물을 관통 및/또는 상기 목표물에 부착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늘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헤드는 가교제나 기타 첨가제가 추가되지 않은 실리콘 고무 폴리머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사체는 상기 길이 축과 같은 제2 바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바디는 중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바디 또는 상기 제2 바디의 적어도 하나를 변형시키고 이에 의해 상기 운동에너지의 다른 부분을 흡수하도록, 상기 제1 바디가 충돌 중에 상기 중공부 내에 강제로 인입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중공부 내에 여유있게 고정된다. 상기 발사체는 충돌 시에 상기 운동에너지의 일부를 탄성적으로 흡수하는 탄성 메커니즘을 포함하되, 상기 운동 에너지는 상기 탄성 메커니즘 내에서 저장 에너지처럼 탄성적으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표물과 초기 충돌 후에, 상기 탄성 메커니즘은 낮은 힘에서 충격량 지속 시간을 늘림으로써 상기 저장된 에너지를 상기 목표물로 방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살상용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가 제공된다. 상기 발사체는 길이 축을 갖는 제1 바디를 포함한다. 운동에너지를 갖는 상기 발사체는 목표물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길이 축을 따라 발사된다. 상기 목표물과 상기 발사체의 충돌과 동시에 탄성 메커니즘은 상기 운동에너지의 제1 부분을 탄성적으로 흡수한다. 상기 탄성 메커니즘은 충돌 중에 상기 발사체가 상기 목표물에 가하는 최대 힘을 감소시키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메커니즘은 충돌 중 초기에 상기 탄성 메커니즘 내에 저장된 에너지로써 탄성적으로 저장된 상기 운동에너지의 제2 부분을 탄성적으로 흡수한다. 상기 목표물과 초기 충돌 후에 상기 탄성 메커니즘은 낮은 힘에서 충격량 지속 시간을 늘림으로써 상기 저장된 에너지를 상기 목표물로 방출한다. 한편, 로킹 메커니즘은 상기 탄성 메커니즘 내에 상기 운동에너지의 상기 제1 부분을 저장하고, 이에 의해 충돌의 잔존하는 운동에너지는 목표물의 비-살상 수준으로 감소된다. 상기 발사체는 상기 제1 바디에 결합하는 가변 헤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 헤드는 탄성 메커니즘(점탄성 물질에서 탄성 특성을 갖는)과 로킹 메커니즘(점탄성 물질에서 점성 특성을 갖는)의 양 특성을 갖는 점탄성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 메커니즘은 상기 충돌 시 변형되는 스프링(SPRING)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에너지의 상기 제1 부분을 탄성적으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저장된 에너지는 상기 로킹 메커니즘이 풀림으로써 상기 목표물에 후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발사체는 상기 길이 축과 중공부를 갖는 제2 바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바디의 일부는 상기 중공부 내에 여유있게 고정된다. 상기 탄성 메커니즘은 충돌 중에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중공부 내에 강제로 인입될 때, 상기 제1 바디 및/또는 상기 제2 바디의 탄성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는 제1 릿지(ridge)부로 외부에 마루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는 제2 릿지부와 조화하여 내부에 마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바디가 충돌 중에 상기 중공부 상기 중공부 내에 강제로 인입될 때, 상기 로킹 메커니즘은 상기 제2 릿지부 상에 상기 제1 릿지부를 로킹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릿지부 및 제2 릿지부는 상기 탄성 메커니즘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로킹 메커니즘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의 운동 마찰 에너지로써 운동에너지의 다른 부분을 방산하는 마찰 메커니즘의 사용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바디, 점탄성적으로 변형하는 가변 헤드, 적어도 하나의 접힘부에 의해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segment)를 포함하는 반-강성 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돌 중에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제2 바디의 상기 중공부 내에 강제로 인입되고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가변 헤드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바디 또는 제2 바디의 적어도 하나를 변형하고 이에 의해 상기 운동에너지의 일 부분을 흡수하는 발사체가 제공된다.
앞서 말한 사항 및/또는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결합되어 고려될 때 후술할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진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DETAILED DESCRIPTION )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도면에 의해 구체화될 것이고, 첨부된 도면에 나타난 예들, 동일한 도면 번호들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로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들은 참조되는 도면들에 의해 후술할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서술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거나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에 열거된 구성 요소의 배열과 상세한 설계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되거나 실행되거나 다른 실시예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사용된 어구나 용어는 묘사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만 할 것이다.
도입부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치명상 또는 죽음을 가하도록 충분한 운동에너지를 전달하는고속으로 발사된 발사체 예를 들어, 라이플(rifle) 일반적인 무기류에 적용할 수 있다. 발사체들은 정확성과 사거리를 달성하기 위해 높은 운동에너지 또는 고속으로 발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충돌 직전 또는 중돌 시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비-살상 발사체 및 정확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무능력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독립적으로 응용가능 할 것이다. 무능력하게 함은 상기 발사체의 충돌을 포함하는 방법 및/또는 전기 충격 또는 예를 들어 바늘에 의한 약물 투여 또는 피부, 눈, 및/또는 목표물의 호흡 막의 공기를 통과시키는 것과 같은 다른 알려진 방법에 의해 가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살상 발사체 10의 측면도이다. 도 1A는 목표물 11과 충돌 전의 비-살상 발사체 10A를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목표물 11과 충돌 후의 비-살상 발사체 10B를 나타낸 것이다. 비-살상 발사체 10는 발사체 10의 진행 방향을 가리키는 LA로 라벨된 길이 축을 갖는다. 가변 헤드 13A가 목표물 11과 충돌 전에 직경 d을 갖는 것으로 도 1A에 나타내었고, 충돌 후, 가변 헤드 13B의 직경은 더 넓은 직경 D를 갖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헤드 13의 가변 물질은 목표물 11과의 충돌 동안 압력을 받으면, 가변 헤드 13는 목표물 13과 발사체 10사이에서 파괴되고 가로 방향으로 흐르고(또는 반지름 방향으로로, 길이 축 LA에 수직하는) 상기 물질 내에서 전단력이 발생된다. 전단 응력층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물질이 초기 형태 13A의 범위를 넘어서 흐를 때 가변 헤드 13의 상기 물질의 형태는 변화된다. 상기 전단 응력층의 움직임에 따른 내부 전단력은 에너지 감소를 유발한다. 따라서 발사체 10이 목표물 11과 충돌할 때, 상기 물질에 압력이 가해져서, 상기 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는 이러한 과정에서 흡수되고 충돌하의 목표물 11로 전달되지 않는다.
가변 헤드 13에 사용되는 베이스(base) 물질의 예는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베이스 물질은 실리콘(silicones); 플루오르실리콘(fluorosilicones); 폴리우레탄(polyurethanes); 폴리설파이드(polysulfides); 폴리부틸렌(polybutylenes) (C4 단량체를 바탕으로한 폴리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s);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비닐 아크릴(vinyl acrylic)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와 같은 알킬 아크릴레이트(alkyl acrylates) 및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의 공중합체);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styrenic block copolymers); 올레오레진계(oleoresinous) 조성물; 역청질(bituminous); 로진(rosin);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폴리이소프렌(polyisoprene) 및 폴리클로로프렌(polychloroprene)과 같은 불포화 엘라스토머(elastomers);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에틸렌 프로필렌디엔 단량체 고무(ethylene propylenediene monomer rubber, EPDM), 에틸렌-프로필렌(ethylene-propylene) 공중합체 (EPR~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 니트릴-부타디엔 고무(nitrile-butadiene rubber), 및 폴리부텐(polybutene)과 같은 포화 엘라스토머(elastomers); 및 광물 점토(mineral clays)와 합성 점토(synthetic clays)를 포함한다. 상기 나열된 물질의 혼합물 또는 상기 물질에 첨가되는 파우더(powders), 콜로이드 실리카(colloidal silica), 섬유질(fibers)과 같은 첨가제는 재료과학 분야에서 알려진 가변 물질의 기계적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돌 시 전단력을 증가시키거나, 물질의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변 물질은 특정한 변형 작용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변형 성질을 갖는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둘 또는 그 이상의 층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가변 물질은 주변 상태 또는 발사시의 과도한 힘 또는 탄도로부터 상기 가변 물질을 보호하기 위해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가변 헤드 13의 상기 물질은 점탄성이고 퍼티(putty)같은 점성과 고무 같은 탄성의 양쪽성을 나타낸다. 점성 변형은 충돌의 운동에너지의 일부를 방산(放散)시키고, 탄성 변형은 운동 에너지의 일부를 물질 내에 저장시킨다. 물질 내의 탄성 에너지의 비율은 선택된 물질에 좌우된다. 목표물로부터 상기 발사체의 튐을 감소시키기 원한다면, 탄성 에너지는 예를 들면 상기 발사체의 운동에너지의 일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가변 헤드용 소재로 바람직한 것으로는 바이엘 실로프렌(Bayer Siloprene) HV 1/104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질은 가교제나 다른 첨가제 없이 제조자의 지시에 따르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탄성 유기-실리콘 조성물과 같은 퍼티(putty)를 제조하는 방법은, 연장된 기간의 형태로 존속하여, 미합중국 특허 제3,350,344에 개시되어 있다.
가변 헤드 13의 형상은 예를 들어 원뿔형(conical), 구형(spheroid), 원기둥형(cylindroids), 타원체형(ellipsoid) 또는 비구면형(aspheric)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살상 발사체 20의 단면의 상면도이다. 도 2A는 목표물 11과 충돌 전의 비-살상 발사체 20A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목표물 11과 충돌 후의 비-살상 발사체 20B를 나타낸 것이다. 가변 헤드 13A가 충돌 전에 직경 d을 갖는 것으로 도 2A에 나타내었고 충돌 후, 가변 헤드 13B의 직경이 더 넓은 직경 D를 갖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직경 D는 직경 d보다 대체로 20% 또는 30% 더 크다.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 헤드 13의 가변 물질이 목표물 11과의 충돌 동안 압력을 받으면, 가변 헤드 13은 가로 방향으로 흐른다(길이 축 LA에 수직인 방향이고 전단력이 물질 내에 발생된다.).
상기 전단력의 크기는 전단 응력층의 두께에 좌우된다. 상기 물질층의 상기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은 상기 전단력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 25는 원하는 전단 응력 방향과 평행하게 가변 헤드 13내에 삽입된다. 세퍼레이터 25는 전단 응력층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이에 의해 각 전단 응력층의 힘을 증가시킨다. 세퍼레이터 25는 충돌 중에 상기 가변 물질과 세퍼레이터 25간의 미끄러짐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가변 물질에 대해 우수한 점착력을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돌 중에 세퍼레이터 25의 구부러짐 또는 세퍼레이터 25의 움직임은 목표물 11에 흡수된 충돌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살상 발사체 30 단면의 상면도이다. 도 3A는 목표물 11과 충돌 전의 비-살상 발사체 30A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목표물 11과 충돌 후의 비-살상 발사체 30B를 나타낸 것이다. 가변 헤드 13A가 목표물 11과 충돌 전에 직경 d을 갖는 것으로 도 3A에 나타내었고, 충돌 후, 가변 헤드 13B의 직경은 더 넓은 직경 D를 갖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 헤드 13의 가변 물질이 목표물 11과의 충돌 동안 압력을 받으면, 가변 물질은 가로 방향으로 흐른다(길이 축 LA에 수직인 방향이고 전단력이 물질 내에 발생된다.). 단부에 바람직하게는 미늘과 함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길이 부재가 가변 해드 13A를 통하여 삽입된다. 삽입물 또는 미늘 35은 목표물을 향하고 외측으로 약간 구부러진다. 충돌과 동시에 압력과 전단력은 가변 헤드 13B를 관통하고 외측으로 미늘 35를 구부려 충돌과 동시에 미늘 35B이 목표물 방향으로 발사체를 관통하거나, 걸리게 하거나, 들러붙게 한다. 탄성 및/또는 소성 변형은, 예를 들어 삽입물 35의 구부러짐, 에너지의 흡수에 기여한다. 삽입물 35가 탄성적으로 변할 때, 가변 물질의 점성 작용은 삽입물 35에 저장된 채로 잔존하고 전단력이 감소된 후에 방출되도록 탄성 에너지를 유발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살상 발사체의 투시도이다. 도 4A는 충돌 전의 비-살상 발사체 40A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충돌 후의 비-살상 발사체 40B를 나타낸 것이다. 반-강성 지지부 43은 가변 헤드 13의 가변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반-강성 지지부 43는 접힘 선 45 근처에서 약간의 각도로 외측으로 접힌다. 가변 헤드 13의 가변 물질의 외측으로의 유동을 높이고 충돌 중에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반-강성 지지부 43은 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접힌다. 또는, 충돌 중에 반-강성 지지부 43는 압력과 가변 헤드 13의 가변 물질의 외측으로의 전단 유동에 의해 구부러진다(도 4B).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반-강성 지지부 43은 메인 바디의 일부분이거나 상기 메인 바디 15와 결합된 별도의 부분일 수 있다. 반-강성 지지부 43는 메인 바디 15의 경계를 따라 부분 또는 연속적이거나 가변 물질의 충돌 시 전단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수용되는 경계를 따라 강도에 변화를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살상 발사체 50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5A는 충돌 전의 비-살상 발사체 50A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충돌 후 중간의 한 시점에서의 비-살상 발사체 50B를 나타낸 것이다. 반-강성 지지부 53은 가변 헤드 13A의 가변 물질을 지지한다. 일반적으로, 반-강성 지지부 53과 메인 바디 15사이에는 에어 갭 57A 또는 연성 물질 57A가 존재한다. 반-강성 지지부 53은 접힘 선 근처 또는 힌지부 55에서 약간의 각도로 외측으로 펼쳐진다. 가변 헤드 13의 가변 물질의 외측으로의 유동을 높이고 충돌 중에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반-강성 지지부 53은 충돌에 의해 외측으로 펼쳐진다. 반-강성 지지부 53의 외측으로의 움직임이나 구부러짐은 충돌 면적을 20% 또는 30% 또는 그 이상까지 증가시키고, 이에 의해 목표물상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에어 스페이스 및/또는 연성 물질 57B는 충돌 후 최소한의 볼륨을 갖고; 에어/연성 물질 57A의 대부분은 충돌에 의해 강제로 흘러나가게 된다. 비록 반-강성 지지부 53가 세 개의 세그먼트(segment)와 두 개의 접힘 선 또는 힌지부 55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하나의 접힘부 55와 두 개의 세그먼트(segment), 세 개의 접힘부 55와 네 개의 세그먼트(segment) 등을 갖는 반-강성 지지부 53를 설계하고 조립하는 것은 기계 설계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용이한 것이다. 접힘부 또는 힌지부 55는 반-강성 지지부 53의 약하게 구부러진 스트립(strip) 또는 전체적으로 힌지부이므로 상대적으로 약한 힘으로 충돌 중의 반-강성 지지부 53의 세그먼트를 정렬하게 한다.
발사체 50가 목표물 11을 타격할 때 목표물 11과 가변 헤드 13 사이에 접촉이 생긴다. 중간 세그먼트가 메인 바디 15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압력이 가해질 때, 외측 세그먼트는 외측으로 움직이며 펼쳐진다. 그 결과, 발사체 50의 단면적은 충돌과 함께 증가되고 가변 헤드 13의 가변 물질의 단면적도 증가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반-강성 지지부 43 또는 53는 탄성적이거나, 소성적이거나, 탄성 및 소성적 변형의 조합으로 접힌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살상 발사체 60 단면의 측면도이다.도 6A는 충돌 전의 비-살상 발사체 60A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충돌 후 비-살상 발사체 90B를 나타낸 것이다. 발사체 60은 두 개의 메인 바디 61 및 63을 포함하는데 도면부호 61은 중공부이고 도면부호 63은 상기 바디 61 및 63이 탄성 및/또는 소성적으로 반지름 방향 (길이 축 LA에 대하여 수직인)으로 잡아당겨질 때 내면을 고정한다. 비-살상 발사체 60의 헤드는 도 6에 도시되지 않았다. 비-살상 발사체는 기존의 헤드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10, 20, 30, 40, 50)의 가변 헤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살상 발사체 60은 길이 축 LA를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발사된다. 목표물 11과의 충돌과 동시에, 바디 61은 충격력에 의해 바디 63내로 강제로 인입되고 전체 길이(길이 축 LA를 따라)가 충돌 시 감소된다. 바디 61 및 63의 더 무거운 것은 후미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바디 61은 비-살상 발사체 60 내의 후미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바디 61 및 63은 서로 맞물린 톱니형 릿지(ridge) 65 및 67(상세 참조)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맞물린 톱니형 릿지(ridge) 65 및 67는 간단히 “톱니 (teeth)”로 언급한다. 상기 릿지는 바디 61 부분의 내측 직경면 상과 바디 63 부분의 외측 직경면 상에 형성된다. 상세를 참조하면, 바디 63의 외측 직경은 바디 61의 내측 직경보다 더 넓다. 또한 상세 A를 참조하면, 바디 61의 톱니의 상기 경사면이 바디 63의 톱니의 상기 경사면과 맞물리도록 톱니는 단일 경사면 및 실질적으로 수직인 면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두 부분이 충돌과 동시에 힘을 받을 때, 상기 톱니의 형상은 바디 61 부분의 직경을 강제로 증가시키고 바디 63 부분의 직경을 강제로 감소시켜 반지름 방향의 응력을 생성한다. 바디 61 및 63 부분이 최대의 변형에 도달한 후 높아진 톱니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바디 61 및 63 부분은 어떠한 축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톱니 사이의 골 내에 반지름 방향으로 떨어진다. 상기 톱니가 대응하는 골 내로 떨어지면, 수직면은 길이 축 LA의 방향으로 상기 두 부분의 축 확장을 방지하고, 상기 두 부분 61 및 63을 제 자리에 고정시킨다. 톱니형 릿지 65, 67사이의 마찰이 운동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한다.
비-살상 발사체 60를 사용한 바디 63과 관련하여 바디 61을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의 일반적인 그래프를 포함하는 도 7을 참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톱니형 릿지 65, 67의 살계를 위한 중요한 파라미터들(parameters)의 일부를 나타낸 도 8A를 참조한다. 파라미터는 톱니형 릿지65, 67의 높이 H, 폭 P(인치(inch) 당 톱니의 수와 관련된)과 각도 a 및 b를 포함한다. 도 8B에서, 톱니형 릿지 65, 67의 다지인은 상기 릿지의 일면 상에 경사를 포함하고 도 6의 상세와 같이 제2 면은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인치 당 톱니의 수, 톱니의 높이 각도 a, b 및 다른 파라미터는 특정 응용 분야의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바디 61 및 63을 위해 선택된 표면의 물질은 이들간의 마찰 계수를 결정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살상 발사체 90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9A는 충돌 전의 비-살상 발사체 90A를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충돌 후의 비-살상 발사체 90B를 나타낸 것이다. 발사체 60와 같이, 발사체 90은 두 개의 메인 바디 61 및 63을 포함하는데 도면 번호 61은 중공부이고 도면 부호 63은 내부를 고정한다. 선택적으로, 바디 61, 63은 탄성적으로 반지름 방향(길이 축 LA에 수직인)으로 잡아당겨지도록 조립된다. 비-살상 발사체 90의 헤드는 도 9에 도시되지 않았다. 비-살상 발사체 90는 기존의 헤드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10, 20, 30, 40, 50)의 가변 헤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살상 발사체 90은 길이 축 LA를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발사된다. 목표물 11과의 충돌과 동시에, 바디 61는 충격력에 의해 바디 63내로 강제로 인입되고 전체 길이(길이 축 LA를 따른)가 충돌 시 감소된다. 바디 61 및 63의 더 무거운 것은 후미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바디 61은 비-살상 발사체 90 내의 후미에 있다. 스프링(spring)부 93가 바디 61 및 63 사이에 조립된다. 만약 서로 맞물림 없이 적용된다면 스피링의 포텐셜(potential) 에너지는 목표물상에 추가적인 힘으로 변형된다. 상기 힘은 초기 충돌 후에 뒤이어 가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 61 및 63은 서로 맞물린 톱니형 릿지 65 및 67로 설정된다.
발사체 90의 변형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 100 단면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 10을 참조한다. 발사체 100의 두 개의 바디 101 및 105가 도시된다. 비-살상 발사체 90의 헤드는 도 10에 도시되지 않았다. 비-살상 발사체 100는 기존의 헤드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10, 20, 30, 40, 50)의 가변 헤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spring)부 105가 파트(parts) 101 및 105 사이에 조립된다. 바디 101은 중공부이고 바디 101 및 105가 탄성적으로 반지름 방향(길이 축 LA에 수직인)으로 잡아당겨질 때 임의의 바디 105는 여유롭게 도면 부호 101 내에 고정된다. 비-살상 발사체 100은 길이 축 LA를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발사된다. 목표물 11과의 충돌과 동시에, 바디 105는 충격력에 의해 바디 101 내에 강제로 인입되고 전체 길이(길이 축 LA를 따른)가 충돌 시 감소된다. 바디 105 및 101의 더 무거운 것은 후미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바디 61은 비-살상 발사체 90 내의 후미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 105 및 101은 서로 맞물린 톱니형 릿지 65 및 67로 설정된다. 스프링(spring)부 103가 바디 101 및 105 사이에 조립된다. 발사체 100의 충돌 중에, 발사체 100의 운동에너지의 일부는 바디 101의 전방으로의 관성 때문에 스프링부 103에 저장된다. 톱니형 릿지와 같은 로킹 메커니즘이 적용되면 스프링부 103은 로킹 메커니즘의 작동 때문에 충돌 시 압축 후에 완화되지 못한다. 반대로, 만약 로킹 메커니즘이 적용되지 않는다면, 스프링부 103에 저장된 에너지의 일부가 바디 101, 105를 밀어냄으로써 목표물 11에 더 많은 에너지를 전달한다.
앞에서 논의한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또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은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묘사되고 도시된 동작이나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모든 적당한 변형물 및 등가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로 해석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묘사되었지만, 변형, 변경 및 다른 응용은 본 발명의 개념 및 사상, 청구항에 정의된 범위 및 이들의 등가물로부터 벗어남이 없는 실시예들이 만들어 질 것을 인정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살상 발사체 및 목표물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살상 발사체 및 목표물의 단면의 상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살상 발사체 및 목표물 단면의 상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살상 발사체의 투시도(perspective)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살상 발사체 단면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살상 발사체 단면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비-살상 발사체의 상대적인 변위에 대한 힘의 대표적인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톱니형 릿지(ridge) 설계를 위한 몇 가지 중요한 파라미터들(parameters)을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살상 발사체 단면의 측면도이고;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도 9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 단면의 측면도이다.

Claims (20)

  1.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에 있어서,
    상기 발사체는,
    (a) 길이 축을 갖는 메인 바디; 및
    (b) 상기 메인 바디와 결합된 가변 헤드를 포함하되,
    상기 발사체는 운동에너지를 갖고 목표물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길이 축을 따라 발사되며,
    상기 목표물과의 충돌과 동시에, 상기 가변 헤드는 점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이에 의해 상기 운동에너지의 제1 부분을 점성적으로 방산(放散)하고 상기 운동에너지의 제2 부분을 탄성적으로 흡수하고, 이에 의해 상기 목표물과 충격시 잔존하는 운동에너지를 비-살상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
  2. 제1 항에 있어서,
    (c) 적어도 하나의 접힘부에 의해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segment)를 포함하는 반-강성 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반-강성부는 상기 가변 헤드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메인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목표물과 상기 발사체의 충돌 시, 상기 접힘부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충돌에 반응하여 외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상기 목표물과 상기 가변 헤드 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
  3. 제2 항에 있어서,
    (d)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반-강성부 사이에 개재된 에어 갭(air gap)을 더 포함하는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
  4. 제2 항에 있어서,
    (d) 상기 가변 헤드와 상기 반-강성부 사이에 개재된 연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
  5. 제1 항에 있어서,
    (c) 상기 길이 축와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상기 가변 헤드 내에 임베디드(embedded)된 적어도 하나의 세퍼레이터(separator)를 더 포함하는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
  6. 제1 항에 있어서,
    (c) 상기 목표물을 향하고, 상기 가변 헤드 내에 임베디드(embedded)되고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는 다수의 길이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충돌 시 상기 길이 부재는 상기 길이 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외측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목표물을 관통하는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부재는 강성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부재는 상기 목표물을 관통하고 상기 목표물에 부착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늘 단부를 포함하는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헤드는 실리콘 고무 폴리머(polymer) 소재로 적어도 일부 형성되는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
  10. 제1 항에 있어서,
    (c)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축을 갖는 제2 바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바디의 일부는 상기 중공부 내에 여유롭게 고정되고; 상기 충둘 중에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중공부 내로 강제 인입되어, 상기 제1 바디 또는 상기 제2 바디의 적어도 하나를 변형시키고 이에 의해 상기 운동에너지의 제3 부분을 흡수하는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
  11. 제1 항에 있어서,
    (c) 탄성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되,
    상기 충돌 시에 상기 탄성 메커니즘 내에 저장된 에너지로써 탄성적으로 저장된 상기 운동에너지의 제3 부분을 탄성적으로 흡수하고, 상기 목표물과 상기 충돌 중에 상기 탄성 메커니즘은 낮은 힘에서 충격량 지속 시간을 늘림으로써 상기 저장된 에너지를 상기 목표물로 방출하는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
  12.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에 있어서,
    상기 발사체는,
    (a) 길이 축을 갖는 제1 바디; 및
    (b) 탄성 메커니즘을 포함하되,
    상기 발사체는 실질적으로 목표물의 방향으로 운동에너지를 갖는 상기 길이 축을 따라 발사되고, 상기 목표물과 상기 발사체의 충돌 시, 상기 탄성 메커니즘은 상기 운동에너지의 제1 부분을 탄성적으로 흡수하는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메커니즘은 상기 충돌 시 변형되는 스프링(spring)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에너지의 상기 제1 부분을 탄성적으로 저장하는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
  14. 제12 항에 있어서,
    (c) 상기 길이 축을 갖고, 중공부를 포함하는 제2 바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바디의 일부는 상기 중공부 내에 여유있게 고정되고,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충돌 동안 상기 중공부 내에 강제로 인입될 때, 상기 탄성 메커니즘은 상기 제1 바디 또는 상기 제2 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변형을 포함하는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시 상기 탄성 메커니즘은 상기 메커니즘 내에 저장된 에너지로써 탄성적으로 저장된 상기 운동에너지의 제2 부분을 탄성적으로 흡수하고, 상기 목표물과 상기 충돌 중에 상기 탄성 메커니즘은 낮은 힘에서 충격량 지속 시간을 늘림으로써 상기 저장된 에너지를 상기 목표물로 방출하는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
  16. 제12 항에 있어서,
    (c) 상기 탄성 메커니즘 내에 상기 운동에너지의 상기 제1 부분을 저장하는 로킹(locking)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
  17. 제16 항에 있어서,
    (d) 상기 로킹 메커니즘과 상기 탄성 메커니즘의 양쪽을 나타내는 점탄성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는 가변 헤드를 더 포함하는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
  18. 제16 항에 있어서,
    (c) 중공부를 포함하는 제2 바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바디의 일부는 상기 중공부 내에 여유있게 고정되고; 상기 제1 바디는 다수의 제1 릿지(ridge)부로 외부에 마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부는 다수의 제2 릿지부와 조화하여 내부에 마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충돌 중에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중공부 내에 강제로 인입될 때, 상기 로킹 메커니즘은 상기 제2 릿지부 상에 상기 제1 릿지부를 로킹(lockon)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릿지부 및 제2 릿지부는 상기 탄성 메커니즘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
  19. 제18 항에 있어서,
    (d)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 사이의 운동 마찰 에너지로써 상기 운동에너지의 제2 부분을 방산하는 마찰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
  20.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에 있어서,
    상기 발사체는,
    (a) 길이 축을 갖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와 결합된 가변 헤드;
    (c) 적어도 하나의 접힘부에 의해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segment)를 포함하는 반-강성 부; 및
    (d)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축을 갖는 제2 바디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사체는 운동에너지를 갖고 목표물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길이 축을 따라 발사되며,
    상기 목표물과의 충돌과 동시에, 상기 가변 헤드는 점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이에 의해 상기 운동에너지의 제1 부분을 점성적으로 방산(放散)하고 상기 운동에너지의 제2 부분을 탄성적으로 흡수하고, 이에 의해 상기 목표물과 충격시 잔존하는 운동에너지를 비-살상 수준으로 감소시키고,
    상기 반-강성부는 상기 가변 헤드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메인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목표물과 상기 발사체의 충돌 시, 상기 접힘부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충돌에 반응하여 외측으로 구부러지거나 접히며,
    상기 제1 바디의 일부는 상기 중공부 내에 여유롭게 고정되고; 상기 충둘 중에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중공부 내로 강제 인입되어, 상기 제1 바디 또는 상기 제2 바디의 적어도 하나를 변형시키고 이에 의해 상기 운동에너지의 제3 부분을 흡수하는 비-살상 무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사체.
KR1020097022940A 2007-04-01 2008-03-31 비-살상 발사체 KR201000161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0946107P 2007-04-01 2007-04-01
US60/909,461 2007-04-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159A true KR20100016159A (ko) 2010-02-12

Family

ID=39792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940A KR20100016159A (ko) 2007-04-01 2008-03-31 비-살상 발사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861657B2 (ko)
EP (1) EP2137484B1 (ko)
KR (1) KR20100016159A (ko)
CN (1) CN101669008A (ko)
BR (1) BRPI0808331A2 (ko)
WO (1) WO200812021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684B1 (ko) 2015-12-21 2017-03-16 대한민국 2액형 폴리우레탄계 점·접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액상 발사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808331A2 (pt) * 2007-04-01 2014-07-08 Sdi Security Device Internat Inc "projétil não-letal"
US7913626B1 (en) * 2007-07-17 2011-03-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Kinetic energy absorber
DE102008038258B8 (de) * 2008-08-11 2010-06-10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Projektil
GB0817855D0 (en) * 2008-10-01 2008-11-05 Rolls Royce Plc Artificial bird projectiles for simulating bird strike events
WO2012075269A2 (en) 2010-12-01 2012-06-07 Mattel, Inc. Play modeling dough
US9354026B2 (en) 2010-12-31 2016-05-31 Taser International, Inc. Electrode for electronic weaponry that dissipates kinetic energy
US8896982B2 (en) 2010-12-31 2014-11-25 Taser International, Inc. Electrodes for electronic weaponry and methods of manufacture
EP2691731B1 (fr) * 2011-03-30 2015-09-23 Nobel Sport Projectile pour arme a letalite reduite
DE102011100790A1 (de) * 2011-05-06 2012-11-08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Gummi- oder Impulsgeschoss
FR2988827B1 (fr) * 2012-04-02 2014-11-28 Nexter Munitions Projectile a letalite reduite
US9261336B2 (en) 2013-03-15 2016-02-16 Mattel, Inc. Toy projectile and method of making
US8968126B2 (en) * 2013-07-10 2015-03-03 Easebon Services Limited Foam dart having a safety cap
US9285194B2 (en) 2013-07-10 2016-03-15 Easebon Services Limited Foam dart having a safety cap
CA2935920C (en) 2014-01-13 2021-06-22 Security Devices International, Inc. Payload carrying arrangement for a non-lethal projectile
CN105180727B (zh) * 2014-06-05 2017-07-11 赵颖 枪用高精度橡皮弹头
FR3028309B1 (fr) * 2014-11-06 2019-03-22 Direction Generale De L'armement -Ds/Sdpa/Bpi - Dga/Ds/Sdpa/Bpi Projectile pour les tests d'impacts d'oiseaux constitue d'un gel comportant du glycerol
LT3290858T (lt) * 2015-04-30 2022-06-10 Bio Ammo, S.L. Biologiškai skaidomas šovinys, skirtas šautuvams
US10646763B2 (en) * 2015-06-04 2020-05-12 Riley R. Umbrell Training bat assembly
US9982976B1 (en) 2016-11-27 2018-05-29 Luke Alexander Van Valin Paint arrow and game
US10018451B1 (en) * 2017-01-10 2018-07-10 Alex Brands Buzz Bee Toys (Hk) Limited Toy dart
US10018452B1 (en) * 2017-01-06 2018-07-10 Alex Brands Buzz Bee Toys (Hk) Limited Toy dart
US10030950B1 (en) * 2017-10-25 2018-07-24 Easebon Services Limited Foam dart having a safety cap
USD872804S1 (en) 2017-10-25 2020-01-14 Easebon Services Limited Cap of a toy dart
USD953445S1 (en) 2020-12-07 2022-05-31 Easebon Services Limited Cap of a toy dart
USD953431S1 (en) 2020-12-07 2022-05-31 Easebon Services Limited Cap of a toy dart
USD953447S1 (en) 2020-12-07 2022-05-31 Easebon Services Limited Cap of a toy dart
USD953446S1 (en) 2020-12-07 2022-05-31 Easebon Services Limited Cap of a toy dart
USD953442S1 (en) 2021-01-25 2022-05-31 Easebon Services Limited Cap of a toy dart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3371A (en) 1963-05-06 1965-03-16 Jack C Manshel Expanding bullet with spreader disk
US3350344A (en) * 1963-09-18 1967-10-31 Gen Electric Organosilicon compositions
US3710720A (en) * 1970-05-21 1973-01-16 Mb Ass High energy minimum lethality weapon system
US4008667A (en) * 1973-12-13 1977-02-22 The L.O.M. Corporation Controlled range bullet
US4770423A (en) * 1987-12-28 1988-09-13 Pinske James E Projectile for use in games
US5112062A (en) * 1991-09-27 1992-05-12 Seneca Sports Inc. Safety lawn dart
GB9313310D0 (en) * 1993-06-28 1993-08-11 Saxby Michael E A baton projectile
FR2718229B1 (fr) * 1994-03-31 1996-06-21 Ruggieri Projectile, notamment balle non létale .
US5698815A (en) * 1995-12-15 1997-12-16 Ragner; Gary Dean Stun bullets
US5669836A (en) * 1996-06-06 1997-09-23 Hill; Jack O'neil Arrow with marking head
FR2750206B1 (fr) 1996-06-21 1998-09-11 Lacroix Soc E Projectile non letal
JPH11139145A (ja) * 1997-11-04 1999-05-25 Sanden Corp 建設車両用空調装置
US6189454B1 (en) * 1998-12-30 2001-02-20 Gary D. Hunt Inert practice round with solid body
US6315687B1 (en) * 1999-01-06 2001-11-13 Troy A. Todd Adjustable shuttlecock
DE19925404C2 (de) * 1999-06-02 2003-09-18 Nico Pyrotechnik Übungsmunition
US6159117A (en) * 1999-11-24 2000-12-12 T.K. Wong & Associates Ltd. Sticky dart
US7086337B2 (en) * 2000-09-28 2006-08-08 Klein John M Non-lethal projectile ammunition
IL147871A (en) * 2002-01-28 2007-12-03 Avi Legmann Firearm training device
US20050066849A1 (en) * 2003-09-29 2005-03-31 Kapeles John A. Frangible non-lethal projectile
US7150229B2 (en) * 2004-04-27 2006-12-19 Olin Corporation Projectile wad for ammunition cartridges
US20060086280A1 (en) * 2004-06-15 2006-04-27 Henri Duong Anesthetic bullets using for guns and anesthetic weapons
BRPI0500226B1 (pt) * 2005-01-26 2017-09-12 Condor S/A Indústria Química Projectile for non-lethal ammunition
US7228802B2 (en) * 2005-06-06 2007-06-12 Vincent Montefusco Reuseable projectile
US7434517B1 (en) * 2005-11-08 2008-10-14 Linker Carson R Stun gun dart having a retractable spear
US20070137085A1 (en) * 2005-12-20 2007-06-21 Robert Len Aske Safety cartridge
US7373887B2 (en) * 2006-07-01 2008-05-20 Jason Stewart Jackson Expanding projectile
BRPI0808331A2 (pt) * 2007-04-01 2014-07-08 Sdi Security Device Internat Inc "projétil não-let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684B1 (ko) 2015-12-21 2017-03-16 대한민국 2액형 폴리우레탄계 점·접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액상 발사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808331A2 (pt) 2014-07-08
EP2137484A4 (en) 2013-02-27
CN101669008A (zh) 2010-03-10
WO2008120210A3 (en) 2009-04-02
US7861657B2 (en) 2011-01-04
EP2137484A2 (en) 2009-12-30
US20110061557A1 (en) 2011-03-17
EP2137484B1 (en) 2014-11-12
US20080236435A1 (en) 2008-10-02
WO2008120210A2 (en) 2008-10-09
US8061276B2 (en) 2011-11-22
WO2008120210A4 (en) 200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6159A (ko) 비-살상 발사체
US7640860B1 (en) Controlled energy release projectile
US7231875B2 (en) Deployable bullets having a tranquilizer
US4823702A (en) Shotgun projectile
RU2555254C2 (ru) Пуля для оружия ограниченного поражения
GB2439092A (en) Projectile for the delivery of a payload for implanting into a target
US6371028B2 (en) Projectiles
EP1872082A1 (en) Non lethal projectile
JPH10504635A (ja) バトン弾丸
US10060715B1 (en) Nonlethal incapacitating bullet
WO2005008166A3 (en) Passive action security systems
WO2007001433A2 (en) Multi-layer armor having lateral shock transfer
US6899034B1 (en) Controlled energy release projectile
US11287230B1 (en) Less-than-lethal kinetic impact round
IL201152A (en) Projectile for the use of non-lethal weapons
RU2758336C1 (ru) Патрон стрелкового оружия с повышенным останавливающим действием
RU2706771C2 (ru) Ребристая бронезащита
EP1685363B1 (de) Aufschlagteil eines geschosses
RU2351885C1 (ru) Бронебойный снаряд
RU2610021C1 (ru) Пуля для пневматического несмертельного оружия
RU2588172C1 (ru) Патрон нелетального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го действия
RU92525U1 (ru) Пуля травматического действия
RU93523U1 (ru) Пуля травматического действия (варианты)
DE102012010141A1 (de) Gescho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