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667A -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시스템, 서버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시스템, 서버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667A
KR20100013667A KR1020080075291A KR20080075291A KR20100013667A KR 20100013667 A KR20100013667 A KR 20100013667A KR 1020080075291 A KR1020080075291 A KR 1020080075291A KR 20080075291 A KR20080075291 A KR 20080075291A KR 20100013667 A KR20100013667 A KR 20100013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mit
fee
information
message
exhau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3076B1 (ko
Inventor
최재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5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076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07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eter Arrangement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의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정보이용료가 부과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때 선택적으로 설정된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소진여부를 판단하여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폐기함으로써 정보이용료 부과 문자메시지의 전송으로 인한 과다의 정보이용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휴대단말기, 문자메시지 한도, 정보이용료 한도, 한도제공, SMS한도

Description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그 방법{System and Server for Price Limit Providing Service of SMS Transmission Fee and Information Subscription Fe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보이용료가 부과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때, 선택적으로 설정된 문자메시지의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 소진여부에 따라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자메시지가 범용적인 이동통신 서비스로 자리매김하면서 휴대단말기에서 휴대단말기로 전송이 가능했던 문자메시지에서 방송국 등에서 운영하는 웹 서버(Web Server)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른바 폰 투 웹(Phone to Web) 또는 웹 서버에서 휴대단말기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웹 투 폰(Web to Phone)형태의 전송도 가능해졌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에서 웹 서버로 전송하는 폰 투 웹 형태의 문자메시지는 문자메시지의 전송료 뿐 아니라,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때 정보이용료가 따로 부 과된다. 예를 들면, 휴대단말기 사용자가 라디오 방송으로 간단한 사연 등의 문자메시지를 보낼 경우에는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가 부과된다. 따라서, 정보이용료가 부과되는 문자메시지의 전송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다보면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 과다의 정보이용료가 부과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웹 서버에서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웹 투 폰 형태의 문자메시지는 소액결제를 위한 것이 대다수이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에서 결제를 허용할 시에 정보이용료가 부과된다. 그리하여, 휴대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를 확인하고 결제하는 행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다보면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에 과다의 정보이용료가 부과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메시지의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상기 메시지가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이면 상기 휴대단말기에 기설정된 전송료 한도금액 또는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의 소진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각각의 한도금액이 소진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전송하는 한도관리서버 및 상기 한도관리서버에서 전송된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수신하는 웹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관리서버는전송료와 정보이용료가 부과되는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에 한도 플래그를 설정하는 번호관리부, 상기 한도 플래그가 설정된 휴대단말기의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정보추출부,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의 전송 이전에 사용된 전송료 또는 정보이용료에 상기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의 전송료 또는 정보이용료를 각각 합산하여 사용금액을 산출하는 한도설정부, 상기 한도설정부에서 산출된 사용금액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에 기설정된 전송료 한도금액 또는 정보이용료 한도금액의 소진여부를 판단하는 한도판단부 및 상기 한도판단부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기에 설정된 각각의 한도금액 소진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한도설정부로 제공하는 정보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도설정부는 상기 정보관리부에서 전송된 상기 각각의 한도금액이 소진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도설정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설정된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한도금액이 소진된 상태이면 상기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도설정부는 상기 소진된 한도금액의 충전여부가 기설정된 상태인지 판단하여 상기 충전여부가 기설정된 상태이면 상기 소진된 한도금액을 충전하여 상기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도설정부는 상기 한도 플래그가 설정된 상기 휴대단말기의 식별번호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한도금액 소진여부, 상기 전송료 및 정보이용료를 충전하기 위한 한도금액, 상기 전송료 및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 충전여부를 저장하는 한도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 방법은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송료와 정보이용료가 부과되는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에 기설정된 전송료 한도금액 또는 정보이용료에 대한 한도금액 소진여부를 판단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에 기설정된 상기 각각의 한도금액이 소진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한도금액이 소진된 상태이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전송된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폐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도금액 소진여부를 판단하여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소진된 한도금액의 충전여부가 기설정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한도금액이 소진된 상태이고 상기 소진된 한도금액의 충전여부가 기설정된 상태이면 상기 소진된 한도금액을 충전하여 상기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의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을 선택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정보이용료가 부과되는 문자메시지를 무분별하게 전송함으로 인한 과다의 정보이용료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을 설정함으로써 무분별한 소액결제등으로 인한 과다의 정보이용료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 휴대단말기는 정보이용료가 부과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로서, 이동통신단말기, 이동전화기, 개인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과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휴대단말기는 CDMA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단말기, WCDMA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단말기, GSM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단말기 및 All-IP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단말기 등 통신방식에 구애받지 않는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한도관리서버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 시스템(100)은 휴대단말기(101), 웹 서버(102), 통신망(150), 호제어서버(151) 및 한도관리서버(200)를 포함한다.
휴대단말기(101)는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웹 서버(102)로 전송한다. 이때, 문자메시지는 방송국 등에서 운영하는 웹 서버(102)로 전송되며 정보이용료가 부과되는 문자메시지(이하,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라 한다.)인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단말기(101)는 문자메시지의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충전여부를 설정하고 충전 시의 한도금액을 각각 설정하여 호제어서버(151)를 통해 한도관리서버(200)로 전송한 다.
웹 서버(102)는 휴대단말기(101)에서 작성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한다. 웹 서버(102)는 방송국 등에서 운영하는 서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웹 서버(102)는 소액결제를 위한 문자메시지를 휴대단말기(101)로 전송하는 결제서버 등이 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101)와 문자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단말기가 될 수 있다.
통신망(150)은 휴대단말기(101)와 웹 서버(102)의 통신로를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해 통신망(150)은 호제어서버(151)와 한도관리서버(200)를 포함한다. 이때, 통신망(150)은 IP를 중심으로 구성된 All-IP망을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l-IP망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이 통합된 구조를 갖는 망을 의미하며 All-IP망은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끊김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 등이 가능하다.
호제어서버(151)는 휴대단말기(101)와 연결되어 타 단말기와의 통신로를 연결한다. 이를 위해, 호제어서버(151)는 데이터처리기(미도시), 위치등록기(미도시) 및 호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도관리서버(200)는 휴대단말기(101)로부터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 전송 시 휴대단말기(101)에 기설정된 전송료 또는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이 소진된 상태이고, 전송료 또는 정보이용료의 충전여부가 기설정된 상태이면, 전송료 또는 정보이용료를 한도금액만큼 충전하여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웹 서버(102)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한도관리서버(200)는 번호관리부(210), 한도설정부(220), 정보관리부(230), 한도판단부(240) 및 정보추출부(250)를 포함하며, 한도설정부(220)는 정보저장부(221)와 한도저장부(222)를 포함한다.
번호관리부(210)는 휴대단말기(101)에서 작성되어 호제어서버(151)를 통해 웹 서버(102)로 전송하고자 하는 문자메시지가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인지 판단한다. 번호관리부(210)는 상기 문자메시지가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일 때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발송한 휴대단말기(101)의 식별번호(CID, Caller ID)에 한도 플래그(Limit Flag)를 설정하여 휴대단말기(101)의 정보를 한도설정부(220)로 제공한다. 이때, 번호관리부(210)는 휴대단말기(101)의 식별번호 등을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한도설정부(220)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도설정부(220)는 번호관리부(210)에서 제공된 휴대단말기(101)의 식별번호를 토대로 휴대단말기(101)가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전송하기 이전에 사용한 전송료 또는 정보이용료를 산출한다. 그리고 한도설정부(220)는 산출된 전송료 또는 정보이용료에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의 전송료 또는 정보이용료를 각각 합산하여 사용금액을 산출한 후, 산출된 사용금액과 휴대단말기(101)의 정보를 한도판단부(240)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도설정부(220)는 정보저장부(221)에 휴대단말기(101)의 식별번호를 저장하고, 한도저장부(222)에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 이전에 사용된 전송료 또는 정보이용료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이때, 한도저장부(222)는 정보저장부(221)에 저장된 휴대단말기(101)의 식별번호와 매핑되어 저장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도설정부(220)는 정보관리부(230)에서 제공된 전송료 또는 정보이용료 한도금액의 소진여부를 정보저장부(221)에 저장된 휴대단말기(101)의 정보와 매핑하여 한도저장부(222)에 저장한다. 한도설정부(220)는 휴대단말기(101)에서 소진된 전송료와 정보이용료를 충전하기 위한 한도금액 및 한도금액의 충전여부를 한도저장부(222)에 저장한다.
아울러, 한도설정부(220)는 정보관리부(230)를 통해 한도금액 소진여부를 수신하면, 휴대단말기(101)의 한도저장부(222)에 한도금액의 충전여부가 기설정되었는지 판단한다. 한도저장부(222)에 한도금액의 충전여부가 기설정된 상태이면 소진된 전송료 또는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을 한도저장부(222)에 기설정된 한도금액만큼 충전하여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웹 서버(102)로 전송한다. 반대로, 한도금액의 충전여부가 기설정된 상태가 아니면 한도설정부(220)는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폐기한다.
정보관리부(230)는 한도판단부(240)에서 판단된 휴대단말기(101)에 기설정된 전송료에 대한 한도금액의 소진여부를 수신하여 한도설정부(220)로 제공한다.
한도판단부(240)는 정보추출부(250)에서 제공된 휴대단말기(101)의 정보와 한도설정부(220)에서 제공된 휴대단말기(101)의 정보가 동일하면 한도설정부(220)에서 제공된 전송료 또는 정보이용료의 사용금액을 한도저장부(222)에 저장된 충전을 위한 한도금액과 비교한다. 한도판단부(240)는 휴대단말기(101)에 기설정된 전송료 또는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에 대한 소진여부를 판단한 후, 판단결과를 정보관리부(230)로 제공한다.
정보추출부(250)는 웹 서버(102)로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한 휴대단말기(101)의 정보를 추출하여 한도판단부(240)로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때, 도 3은 휴대단말기가 발신측 휴대단말기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S301단계에서 한도관리서버(200)의 번호관리부(210)가 휴대단말기(101)에 연결된 호제어서버(151)로부터 웹 서버(102)로 전송할 문자메시지를 수신한다. 이후, S302단계에서 번호관리부(210)는 S301단계에서 수신된 문자메시지가 전송료 외에 정보이용료를 필요로 하는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이면, 휴대단말기(101)의 식별번호에 한도 플래그를 설정한 후, 식별번호를 한도설정부(220)로 제공한다.
이어서, S303단계에서 한도설정부(220)는 한도 플래그가 설정된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정보를 정보저장부(221)에 저장한 후, 휴대단말기(101)의 정보를 정보추출부(250)로 제공한다. 이후, S304단계에서 정보추출부(250)는 휴대단말기(101)의 정보 중에서 식별번호를 추출하여 한도판단부(240)로 제공한다.
S305단계에서 한도설정부(220)는 정보저장부(221)에 저장된 휴대단말기(101)의 식별번호를 토대로 휴대단말기(101)가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전송하기 이전에 소진한 전송료를 산출한다. 그리고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의 전송료에 산출된 금액을 가산하여 한도판단부(240)로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한도판단부(240)는 전송료의 합산금액과 한도저장부(222)에 저장된 전송료의 한도금액을 비교하여 기설 정된 전송료의 소진여부를 판단한다.
S305단계의 판단결과, 전송료의 합산금액이 한도저장부(222)에 저장된 한도금액을 소진한 상태이면 한도판단부(240)는 S305단계의 판단결과를 정보관리부(230)를 통해 한도설정부(220)로 제공하면서 S306단계로 진행하고, 한도금액을 소진한 상태가 아니면 한도판단부(240)는 S309단계로 진행한다.
S306단계에서 한도설정부(220)는 정보관리부(230)를 통해 제공된 휴대단말기(101)가 한도금액을 소진한 상태임을 한도저장부(222)에 저장한 후, S307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한도설정부(220)는 휴대단말기(101)의 전송료가 기설정된 전송료의 한도금액을 과금한 액수도 산출하여 한도저장부(222)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한도설정부(220)는 한도금액의 소진여부와 과금액 등을 정보저장부(221)에 저장된 휴대단말기(101)의 정보와 매핑하여 한도저장부(222)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S307단계에서 한도설정부(220)는 한도저장부(222)를 검색하여 휴대단말기(101)의 전송료 한도금액을 충전하기 위한 한도금액 충전여부가 기설정되었는지 판단한다. S307단계의 판단결과, 한도금액의 충전여부가 기설정되지 않았으면 한도설정부(220)는 S313단계로 진행하여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폐기한다. 이로 인해, 한도금액을 소진하였을 경우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폐기하여 추가적인 전송료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S307단계의 판단결과, 한도금액의 충전여부가 기설정되었으면 한도설정부(220)는 S308단계로 진행하여 한도저장부(222)에 기설정된 한도금액으로 전송료 를 충전한 후 S309단계로 진행한다.
이어서, S309단계에서 한도판단부(240)는 휴대단말기(101)가 기설정된 정보이용료의 소진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S305단계에서 전송료의 한도금액 소진여부를 판단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S309단계의 판단결과, 휴대단말기(101)가 기설정된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을 소진하였으면 한도설정부(220)는 S310단계로 진행하고, S310단계에서 한도설정부(220)는 한도저장부(222)를 검색하여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을 충전하기 위한 한도금액 충전여부가 기설정되었는지 판단한다. S310단계의 판단결과, 한도금액 충전여부가 기설정되지 않았으면 한도설정부(220)는 S313단계로 진행하여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폐기하고, 한도금액의 충전여부가 기설정되었으면 한도설정부(220)는 S311단계로 진행하여 한도저장부(222)에 기설정된 한도금액으로 정보이용료를 충전하고 S312단계로 진행한다.
아울러, 한도설정부(220)는 소진된 전송료 및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을 충전할 때, 상기와 같이 한도금액이 소진된 경우에 기설정된 한도금액만큼 전송료 및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을 각각 충전할 수 있다. 또한, 한도설정부(220)는 한도금액 소진여부에 관계 없이 한도저장부(222)에 저장된 전송료 및 정보이용료에 대한 한도금액에서의 사용금액을 초기화한 이후에 기설정된 한도금액만큼 충전할 수도 있다. 아울러, 한도설정부(220)는 한도금액 소진여부에 관계 없이 한도설정부(220)에 자체적으로 설정된 한도금액이 재충전되는 주기마다 기설정된 전송료 및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을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을 각각 설정하여 전송료의 한도금액이 소진된 상태이거나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이 소진된 상태일 때 설정된 한도금액만큼 전송료 또는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을 따로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송료와 정보이용료를 혼합하여 한도금액을 설정함으로써 전송료와 정보이용료를 각각 계산하여 한도금액 소진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전송료와 정보이용료를 함께 계산하여 설정된 한도금액이 소진된 상태일 때, 설정된 한도금액만큼 충전할 수 있다.
반대로, S309단계의 판단결과, 휴대단말기(101)가 기설정된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을 소진하지 않았으면 한도설정부(220)는 S312단계로 진행한다.
이어서, S312단계에서 한도설정부(220)는 휴대단말기(101)로부터 전송된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웹 서버(102)로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도를 설정해놓은 정보이용료의 소진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무분별한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의 전송으로 인한 과다한 정보이용료의 청구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때, 도 4는 휴대단말기가 착신측 휴대단말기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S401단계에서 한도관리서버(200)는 휴대단말기(101)로 전송할 문자메시지를 웹 서버(102)로부터 수신한다. 이후, S402단계에서 번호관리부(210)는 S401단계에서 수신된 문자메시지가 휴대단말기(101)에서 소 액결제 등을 하기 위해 정보이용료를 지불해야 하는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이면,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착신하게 될 휴대단말기(101)의 식별번호에 한도 플래그를 설정한 후, 한도설정부(220)로 제공한다.
이어서, S403단계에서 한도설정부(220)는 한도 플래그가 설정된 휴대단말기(101)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정보를 정보저장부(221)에 저장한 후, 휴대단말기(101)의 정보를 정보추출부(250)로 제공한다. 이후, S404단계에서 정보추출부(250)는 휴대단말기(101)의 정보 중 식별번호를 추출하여 한도설정부(220)로 제공한다.
S405단계에서 한도설정부(220)는 정보추출부(250)에서 제공된 휴대단말기(101)의 식별번호를 정보저장부(221)에서 검색하고, 정보저장부(221)에서 검색된 식별번호를 토대로 휴대단말기(101)가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수신하기 이전에 결제한 정보이용료를 산출한다. 한도설정부(220)는 산출된 금액에 휴대단말기(101)에서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로 인해 결제해야 할 정보이용료를 가산하여 한도판단부(240)로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한도판단부(240)는 정보이용료의 합산금액과 한도저장부(222)에 저장된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을 비교하여 정보이용료의 소진여부를 판단한다.
S405단계의 판단결과, 휴대단말기(101)가 기설정된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을 소진하였으면 한도설정부(220)는 S406단계로 진행하고, 기설정된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을 소진하지 않았으면 한도설정부(220)는 S408단계로 진행한다.
이어서, S406단계에서 한도설정부(220)는 한도저장부(222)를 검색하여 정보 이용료의 한도금액을 충전하기 위한 한도금액 충전여부가 기설정되었는지 판단한다. S406단계의 판단결과, 한도금액의 충전여부가 기설정되지 않았으면 한도설정부(220)는 S409단계로 진행하여 웹 서버(102)로부터 전송된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폐기한다.
반대로, S406단계의 판단결과, 한도금액의 충전여부가 기설정되었으면 한도설정부(220)는 S407단계로 진행하여 한도저장부(222)에 기설정된 한도금액으로 정보이용료를 충전하고 S408단계로 진행한다.
이어서, S408단계에서 한도설정부(220)는 웹 서버(102)로부터 전송된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휴대단말기(101)로 전송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101)가 착신측 휴대단말기일 때 웹 서버(102)에서 전송되는 문자메시지가 소액결제 등을 위한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이면 휴대단말기(101)에 정보이용료 한도금액이 잔존할 경우에만 문자메시지를 휴대단말기(101)로 전송함으로써 무분별한 소액결제 등으로 인한 과다한 금액의 청구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이용료가 부과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때,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를 설정하여 한도금액에 따라 전송하거나, 폐기함으로써 이동통신 사업자는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시스템 부 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비용소모적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한도관리서버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한도제공 서비스 시스템 101: 휴대단말기
102: 웹 서버 150: 통신망
151: 호제어서버 200: 한도관리서버

Claims (9)

  1.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상기 메시지가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이면 상기 휴대단말기에 기설정된 전송료 한도금액 또는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의 소진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각각의 한도금액이 소진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전송하는 한도관리서버; 및
    상기 한도관리서버에서 전송된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수신하는 웹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 시스템.
  2. 전송료와 정보이용료가 부과되는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에 한도 플래그를 설정하는 번호관리부;
    상기 한도 플래그가 설정된 휴대단말기의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정보추출부;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의 전송 이전에 사용된 전송료 또는 정보이용료에 상기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의 전송료 또는 정보이용료를 각각 합산하여 사용금액을 산출하는 한도설정부;
    상기 한도설정부에서 산출된 사용금액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에 기설정된 전송료 한도금액 또는 정보이용료 한도금액의 소진여부를 판단하는 한도판단부; 및
    상기 한도판단부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기에 설정된 각각의 한도금액 소진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한도설정부로 제공하는 정보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한도설정부는 상기 정보관리부에서 전송된 상기 각각의 한도금액이 소진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관리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도설정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설정된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한도금액이 소진된 상태이면 상기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관리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도설정부는
    상기 소진된 한도금액의 충전여부가 기설정된 상태인지 판단하여 상기 충전여부가 기설정된 상태이면 상기 소진된 한도금액을 충전하여 상기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관리서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도설정부는
    상기 한도 플래그가 설정된 상기 휴대단말기의 식별번호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한도금액 소진여부, 상기 전송료 및 정보이용료를 충전하기 위한 한도금액, 상기 전송료 및 정보이용료의 한도금액 충전여부를 저장하는 한도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관리서버.
  6.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송료와 정보이용료가 부과되는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에 기설정된 전송료 한도금액 또는 정보이용료에 대한 한도금액 소진여부를 판단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에 기설정된 상기 각각의 한도금액이 소진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한도금액이 소진된 상태이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전송된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폐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도금액 소진여부를 판단하여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소진된 한도금액의 충전여부가 기설정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한도금액이 소진된 상태이고 상기 소진된 한도금액의 충전여부가 기설정된 상태이면 상기 소진된 한도금액을 충전하여 상기 정보이용료 부과메시지를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 방법.
KR1020080075291A 2008-07-31 2008-07-31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시스템, 서버 및 그 방법 KR101223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291A KR101223076B1 (ko) 2008-07-31 2008-07-31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시스템, 서버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291A KR101223076B1 (ko) 2008-07-31 2008-07-31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시스템, 서버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667A true KR20100013667A (ko) 2010-02-10
KR101223076B1 KR101223076B1 (ko) 2013-01-17

Family

ID=4208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291A KR101223076B1 (ko) 2008-07-31 2008-07-31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시스템, 서버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0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3753A (ko) * 2012-08-17 2014-02-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데이터 호 접속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4342B2 (ja) * 1996-09-18 2007-03-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有料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662394B1 (ko) * 2005-12-19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사용 제한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873208B1 (ko) * 2007-02-22 2008-12-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3753A (ko) * 2012-08-17 2014-02-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데이터 호 접속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3076B1 (ko) 201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08943A (zh) 在通信网络中控制对服务的提供
US20040077332A1 (en) Management of pre-paid billing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7974247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billing device
MXPA04005619A (es) Un metodo y sistema para la evaluacion de datos para dispositivos inalambricos.
JP2004505341A (ja) 無線装置内の複数の仮想ウオレット
US8478231B2 (en)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a prepaid balance
CN101754162A (zh) 一种欠费风险控制方法、系统及装置
CN101167306A (zh) 用于向通信设备提供计费信息的方法和装置
US8265663B2 (en) Messaging services for pre-pay users
US201401627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using two-way sms
KR101223076B1 (ko)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시스템, 서버 및 그 방법
KR1006623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사용 제한 시스템 및 그방법
WO2009046641A1 (fr) Procédé et système de traitement d&#39;opération de service concernant des données utilisateur de prépaiement
KR101468879B1 (ko)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유심 신청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유심 신청서버
CN102413444A (zh) 呼叫方法及装置
CN112990903B (zh) 基于区块链的话费转账方法、可转账节点和需求节点
KR100648066B1 (ko) 공중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선불 요금 충전 시스템 및방법
KR20100118481A (ko) 사용자단말기가 가입된 과금서비스의 종류에 따른 과금 시스템 및 방법
KR101474258B1 (ko) 로밍중계서버 및 그에 의한 국제 로밍 시 문자메시지의 정액 요금제 제공 방법
KR101036358B1 (ko) 국제 로밍 중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33299B1 (ko) 로밍시 과금 시스템 및 방법
KR100574872B1 (ko) Ota를 이용한 통신 요금 관리방법
KR20030089145A (ko) 선납된 통신 요금의 재충전 방법
KR101286130B1 (ko) 그린 서비스에 대한 가입을 메시지에 나타내기 위한 방법
KR101971120B1 (ko) 데이터 호 접속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