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638A -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638A
KR20100013638A KR1020080075250A KR20080075250A KR20100013638A KR 20100013638 A KR20100013638 A KR 20100013638A KR 1020080075250 A KR1020080075250 A KR 1020080075250A KR 20080075250 A KR20080075250 A KR 20080075250A KR 20100013638 A KR20100013638 A KR 20100013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guide
housing
fastening lev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2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성훈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5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3638A/en
Publication of KR20100013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63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PURPOSE: A connector assembly is provided to enable a connection pins to elastically transform a coupling lever while pushing the coupling lever upward, thereby easily separating the first connector from the second connector. CONSTITUTION: A shielding cover(13) is formed in the extern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10). A settling space(13')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shielding cover. A coupling lever(14)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shielding cover. The coupling lever is selectively hooked by a hook sill formed on the extern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20). Guide sli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ielding cover.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커넥터가 서로 결합하여 전선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a pair of connector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s.

일반적으로 커넥터 어셈블리는 한 쌍의 커넥터가 서로 결합하여 각각의 단부에 연결된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커넥터 및 상대커넥터에는 전선이 연결된 터미널이 각각 설치되어 커넥터 및 상대커넥터가 결합되면,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general, a connector assembly serves to electrically connect a wire connected to each end by a pair of connectors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terminals connected with wires are respectively installed, and when the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are coupled, the termina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 어셈블리(1)는 서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커넥터(3,5)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3,5)의 내부에는 서로 결합되는 터미널(미도시)이 각각 구비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nector assembly 1 consists of first and second connectors 3, 5 which are joined together. Terminals (not shown) coupled to each other are provid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3 and 5, respectively.

상기 제1커넥터(3)에는 고정공(3')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5)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공(3')에 걸어지는 걸이후크(7)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공(3')에는 상기 걸이후크(7)가 걸어져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3,5)가 고정되는 것 이다. A fixing hole 3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or 3, and a hook hook 7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5 to be hooked to the fixing hole 3'. The hook hook 7 is hooked to the fixing hole 3 'to fix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3 and 5.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제1커넥터(3)와 제2커넥터(5)를 결합 또는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걸이후크(7)를 상기 제2커넥터(5)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시켜야 한다. 이때, 작업자가 상기 걸이후크(7)를 파지하여 상기 고정공(3')으로부터 상기 걸이후크(7)를 분리시켜야 하므로, 탄성변형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는 상기 제1커넥터(3)와 제2커넥터(5)의 분리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couple or separate the first connector 3 and the second connector 5, the hook hook 7 should be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5. At this time, since the worker should hold the hook hook 7 to separate the hook hook 7 from the fixing hole 3 ', a space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must be sufficiently secured so that the first hook can be secured in a narrow sp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eparating operation of the connector 3 and the second connector 5 is not eas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의 외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체결레버가 탄성변형되도록 하는 가이드블록이 구비되는 커넥터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 guide block to mov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to elastically deform the fastening lev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가이드슬릿이 형성된 차폐커버가 형성되고, 차폐커버의 선단으로부터 탄성변형 가능하게 체결레버가 형성되는 제1커넥터와, 외면에 상기 체결레버가 걸어지는 걸림턱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커넥터; 그리고 상기 가이드슬릿에 양단이 지지되는 연결핀에 의해 상기 안착공간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체결레버를 밀어 올려 상기 제1커넥터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는 가이드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n insertion space in which the terminal is inserted, the shield cover formed with guide slits on both sides is formed, the elastic deformation from the tip of the shield cover A first connector capable of forming a fastening lever and a second connector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lever to which the fastening lever is engaged; And it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inside the seating space by the connecting pins supported at both ends of the guide slit, and pushes the locking lever while mov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block to elastically deform.

상기 가이드슬릿의 일단부 내면에는 걸림돌기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이 선택적으로 걸어진다.The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guide slit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ng pin is selectively hooked.

상기 체결레버는 상기 차폐커버의 일측에 기저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커넥터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레버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fastening lever has a bas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hield cover, and a free end is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is coupled, and the free end of the fastening lever is formed to protrude a hooking jaw on the locking jaw. .

상기 체결레버의 걸이턱에는 상기 체결레버의 기저부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된다.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hanger jaw of the fastening lever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base of the fastening lever.

상기 제2커넥터의 외면과 마주보는 상기 체결레버의 자유단부의 외면에는 상기 걸이턱을 향해 블록안내면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A block guide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hooking jaw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ee end of the fastening lever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상기 가이드블록에는 상기 가이드블록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커넥터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안내경사면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는 이에 대응되는 가이드면이 형성된다.The guide block has a guide slope inclined downwar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connector is coupled from one end of the guide block, and a corresponding guide surface is formed in the locking jaw.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블록을 제1커넥터의 외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2커넥터의 걸림턱을 향해 밀면, 가이드블록에 구비되는 연결핀이 차폐커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슬릿을 타고 이동하면서 체결레버를 밀어올려 탄성변형시킨다. 따라서, 커넥터 어셈블리와 장착부 사이의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작업자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uide block is pushed toward the engaging jaw of the second connecto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the connecting pins provided in the guide block are pushed through the guide sli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ielding cover to push the fastening lever. Raise and elastically lift. Therefore, even if the space between the connector assembly and the mounting portion is narrow, the operator can easily separate the coupling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개략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의 요부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블록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first connecto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block constituting the embodiment is shown in a perspective view.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커넥터(10)와 이에 결합되는 제2커넥터(20)로 구성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connector assembly consists of a first connector 10 and a second connector 20 coupled thereto.

상기 제1커넥터(10)의 외관 및 골격은 제1하우징(1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11)은 일반적으로 절연성의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제1하우징(11)을 전후로 관통하여서 삽입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12)에는 터미널(미도시)이 설치된다.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first connector 10 are formed by the first housing 11. The first housing 11 is generally made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n insertion space 12 is formed through the first housing 11 back and forth. The insertion space 12 is provided with a terminal (not shown).

상기 제1하우징(11)에는 차폐커버(13)가 형성된다. 상기 차폐커버(13)는 상기 제1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블록(3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차폐커버(13)는 상기 제1하우징(11)을 정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차폐커버(13)에는 가이드블록(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를 관통하여 안착공간(13')이 형성된다. A shield cover 13 is formed in the first housing 11. The shield cover 13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housing 11 and is coupled to the guide block 30 to be described below. The shielding cover 13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hen the first housing 11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shielding cover 13 has a seating space 13 ′ formed therethrough so that the guide block 30 can be inserted therein.

상기 차폐커버(13)의 일측에는 체결레버(14)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14)는 상기 차폐커버(13)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가이드블록(30)이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체결레버(14)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하우징(21)의 걸림턱(23)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제1하우징(11)을 제2하우징(21)에 체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레버(14)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탄성변형을 통해 제2하우징(21)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차폐커버(13)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A fastening lever 14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hield cover 13. The fastening lever 14 is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of the shield cover 13, and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block 30 is inserted. The fastening lever 14 is engaged with the locking jaw 23 of the second housing 21 to be described below, thereby serving to fasten the first housing 11 to the second housing 21. The fastening lever 14 is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in view of its material and shape,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21 through elastically deformable. At this time, the shield cover 13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

상기 체결레버(14)는 상기 차폐커버(13)의 일측에 기저부가 연결되고, 가이드블록(30)이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체결레버(14)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 형되어, 제2하우징(21)의 걸림턱(23)으로부터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턱(15)이 이탈되도록 한다.The fastening lever 14 has a bas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hielding cover 13, and a free end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block 30 is inserted. Through this, the fastening lever 14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 the hooking jaw 15 to be described below from the locking jaw 23 of the second housing 21 Let go.

그리고 제2하우징(21)의 외면과 마주보는 상기 체결레버(14)의 자유단부의 외면에는 걸이턱(15)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5)은 제2하우징(21)의 걸이턱(15)에 걸어지는 부분이다.In addition, a hooking jaw 15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ree end of the fastening lever 14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21. The hanger 15 is a part which is hooked on the hanger 15 of the second housing 21.

상기 걸이턱(15)에는 상기 체결레버(14)의 기저부를 향해 점차 낮아지게 경사면(15')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5')은 제2하우징(21)의 걸림턱(23)에 접촉하면서 상기 체결레버(14)를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걸이턱(15)이 걸림턱(23)에 보다 용이하게 걸어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An inclined surface 15 ′ is formed in the hanging jaw 15 to gradually lower toward the base of the fastening lever 14. The inclined surface 15 ′ elastically deforms the fastening lever 14 while contacting the engaging jaw 23 of the second housing 21, so that the engaging jaw 15 more easily hangs on the engaging jaw 23. Induce to lose.

상기 제2하우징(21)의 외면과 마주보는 상기 체결레버(14)의 자유단부의 외면에는 블록안내면(16)이 형성된다. 상기 블록안내면(16)은 상기 체결레버(14)의 자유단부의 외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걸이턱(15)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블록안내면(16)은 상기 체결레버(14)가 원활하게 탄성변형되도록 가이드블록(30)의 선단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A block guide surface 16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ee end of the fastening lever 14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21. The block guide surface 16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hooking jaw 15 from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ree end of the fastening lever 14. The block guide surface 16 serves to guide the tip of the guide block 30 so that the fastening lever 14 is elastically deformed smoothly.

상기 차폐커버(14)의 양측에는 가이드슬릿(17)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17)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부와 상기 안착공간(13')이 연통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17)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17)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핀(40)이 삽입되어 연결핀(4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슬릿(17)은 연결핀(40)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정면에서 보았을 때 양측 내면이 연결 핀(40)의 일부와 대응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Guide slits 17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ielding cover 14. The guide slit 17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outside of the first housing 11 and the seating space 13 '. The guide slit 17 extends upwardly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 The guide slit 17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in 40 to be described below serve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pin 40. The guide slit 17 is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connecting pin 40 when viewed from the front so that the connecting pin 40 is firmly fixed.

도시된 실시예에서, 차폐커버(13)의 양측에는 가이드슬릿(17)이 제1하우징(11)의 외부와 안착공간(13')이 연통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이드슬릿(17)은 차폐커버(13)의 안착공간(13')의 내면 양측에 홈 형상으로 요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guide slit 17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ielding cover 13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first housing 11 and the seating space 13 ′,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guide slit 17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in a groove shape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space 13 ′ of the shielding cover 13.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과 인접한 상기 가이드슬릿(17)의 일단부 내면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19)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9)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돌기(19)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9)는 가이드블록(30)이 임의로 이동되지 않도록 연결핀(40)의 양단이 걸어져 고정되는 부분이다. As shown in FIG. 3, a pair of engaging protrusions 19 ar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guide slit 17 adjacent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 The locking projections 19 are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hat is, the locking projections 19 are formed to protrude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locking projection 19 is a part fix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in 40 so that the guide block 30 is not moved arbitrarily.

상기 제1커넥터(10)에는 제2커넥터(20)가 결합된다. 상기 제2커넥터(20)에는 상대 터미널(미도시)이 구비되는데, 상대 터미널은 상기 제1커넥터(10)의 터미널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20)의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커넥터(20)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마찬가지로 외관 과 골격을 제2하우징(21)이 형성한다. The second connector 20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10. The second connector 20 is provided with a mating terminal (not shown), and the mating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1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and 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s connected. Similar to the first connector 10, the second connector 20 has an outer appearance and a skeleton formed by the second housing 21.

상기 제2하우징(21)의 외면에는 걸림턱(23)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3)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체결레버(1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3)은 상기 체결레버(14)의 걸이턱(15)이 걸어지는 부분이다.A locking jaw 23 protrudes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21. The locking jaw 23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lever 14 of the first housing 11. The locking jaw 23 is a portion on which the locking jaw 15 of the fastening lever 14 is hooked.

상기 걸림턱(23)에는 상기 제1하우징(11)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가이드면(2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23')의 횡단면은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블 록(30)의 안내경사면(3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23')은 가이드블록(30)이 상기 걸림턱(23)에 밀착되어 이동될 때, 상기 가이드블록(30)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면(23')은 상기 체결레버(14)의 걸이턱(15)이 상기 걸림턱(23)에 걸어질 때, 상기 경사면(15')을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A guide surface 23 ′ is formed in the locking jaw 23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jaw 23 is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11. The cross section of the guide surface 23 ′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inclined surface 33 of the guide block 30 to be described below. The guide surface 23 ′ guides the guide block 30 when the guide block 30 move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cking jaw 23. In addition, the guide surface 23 ′ also serves to guide the inclined surface 15 ′ when the hooking jaw 15 of the fastening lever 14 is engaged with the locking jaw 23.

상기 차폐커버(13)의 안착공간(13')에는 가이드블록(30)이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블록(30)은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20)와 별개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블록(30)은 상기 안착공간(13')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블록(30)은 상기 가이드슬릿(17)에 양단이 지지되는 연결핀(40)에 의해 상기 안착공간(13')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guide block 30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space 13 ′ of the shielding cover 13. The guide block 3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and 20,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shown in FIG. 4. The guide block 30 is formed long in the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seating space (13 '). The guide block 30 is movably installed in the seating space 13 ′ by the connecting pin 40 supported at both ends of the guide slit 17.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블록(30)의 양측에는 관통공(3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2)은 연결핀(4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As shown in FIG. 4, through holes 32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guide block 30. The through hole 32 is a portion in which the connecting pin 40 is inserted and fixed.

상기 가이드블록(30)의 관통공(32)에는 연결핀(40)이 통과하여 설치된다. 상기 연결핀(40)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블록(3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핀(40)은 상기 가이드슬릿(17)에 양단이 각각 걸어져 상기 가이드슬릿(17)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The connecting pin 4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32 of the guide block 30. The connecting pin 40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extends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block 30.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in 40 are respectively walked on the guide slit 17 to move along the guide slit 17.

상기 가이드블록(30)의 일단에는 안내경사면(33)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33)은 상기 가이드블록(3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하우징(21)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33)은 상기 걸림턱(23)의 가이드면(23')을 따라 상기 가이드블록(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One end of the guide block 30 has a guide inclined surface 33 is formed. The guide inclined surface 33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guide block 3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housing 21 is coupled. The guide slope 33 serve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guide block 30 along the guide surface 23 ′ of the locking jaw 23.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a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된 상태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b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제1커넥터의 체결레버가 제2커넥터의 걸림턱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5A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coupl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shows a fastening lever of the first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locking step of the second connector. The separated state is shown in front view.

먼저, 작업자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체결레버(14)의 선단이 상기 제2하우징(21)의 걸림턱(23)을 향해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제2하우징(21)을 향해 상기 제1하우징(11)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21)에는 터미널이 구비된 상태이다.First, the operator places the leading end of the locking lever 14 of the first housing 11 toward the locking jaw 23 of the second housing 21 so that the first housing faces the first housing 21. Join the housing (11). At this time, the second housing 21 is provided with a terminal.

상기 제1하우징(11)을 제2하우징(21)을 향해 밀어주면, 상기 체결레버(14)의 걸이턱(15)에 형성된 경사면(15')은 상기 걸림턱(23)의 가이드면(23')을 따라 안내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21)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레버(14)가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When the first housing 11 is pushed toward the second housing 21, the inclined surface 15 ′ formed on the hooking jaw 15 of the locking lever 14 is guide surface 23 of the locking jaw 23. Guided along '). In this way, the fastening lever 14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first housing 11 and the second housing 21.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11)을 제2하우징(21)을 향해 계속 밀게 되면, 상기 체결레버(14)의 걸이턱(15)이 상기 제2하우징(21)의 걸림턱(23)에 걸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핀(40)이 상기 가이드슬릿(17)의 걸림돌기(19)에 걸어져 고정된 상태이므로, 임의로 상기 가이드블록(30)이 상기 가이드슬릿(17)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first housing 11 is continuously pushed toward the second housing 21, the hooking jaw 15 of the fastening lever 14 is the locking jaw 23 of the second housing 21. Walked on). At this time, since the connecting pin 40 is fixed to the engaging protrusion 19 of the guide slit 17, the guide block 30 is optionally prevented from being moved along the guide slit 17. .

이와 동시에 상기 체결레버(14)는 다시 원형으로 복원되고, 상기 걸이턱(15)은 상기 걸림턱(23)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제1하우징(11)은 상기 제2하우징(21)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a에 도시되어 있다.At the same time, the fastening lever 14 is restored to a circular shape again, and the hooking jaw 15 is hooked to the locking jaw 23, so that the first housing 11 is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21. Is fixed. This state is shown in FIG. 5A.

한편, 상기 제1하우징(11)을 상기 제2하우징(21)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3a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블록(30)을 상기 제2하우징(21)을 향해 밀어 이동시킨다. 이때, 연결핀(40)이 상기 가이드슬릿(17)의 걸림돌기(19)를 타고 넘어가게 되면서 상기 가이드슬릿(17)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가이드블록(30)이 상기 걸림턱(23)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Meanwhile, in order to separate the first housing 11 from the second housing 21, the guide block 30 is moved toward the second housing 21 in the direction of arrow A shown in FIG. 3A. .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in 40 is moved along the guide slit 17 while riding over the locking projection 19 of the guide slit 17, and at the same time the guide block 30 is the locking step ( 23).

이와 같이, 상기 연결핀(40)이 상기 가이드슬릿(17)을 따라 화살표 B 방향 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블록(30)이 상기 제2하우징(21) 방향, 즉,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블록(30)의 안내경사면(33)이 상기 걸림턱(23)의 가이드면(23')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가이드블록(30)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As such, the connecting pin 40 moves in the direction of arrow B along the guide slit 17, and the guide block 3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21, that is, in the direction of arrow B. When the guide inclined surface 33 of the guide block 30 is guided along the guide surface 23 ′ of the locking step 23, the guide block 30 is mov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 Away.

상기 가이드블록(30)을 계속 해서 밀게 되면, 상기 가이드블록(30)의 선단이 상기 체결레버(14)의 블록안내면(16)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체결레버(14)가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화살표 C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체결레버(14)의 걸이턱(15)이 상기 걸림턱(23)으로부터 분리된다. 즉, 상기 제1하우징(11)이 제2하우징(2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When the guide block 30 is continuously pushed, the tip of the guide block 30 is guided by the block guide surface 16 of the fastening lever 14, and the fastening lever 14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 11)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surface, that is, the arrow C direction. In this case, the hooking jaw 15 of the locking lever 14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jaw 23. That is, the first housing 11 is in a state in which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housing 21. This state is shown in FIG. 5B.

계속해서, 상기 가이드블록(30)의 안내경사면(33)이 상기 걸림턱(23)의 가이드면(23')을 따라 안내되면, 상기 가이드블록(30)에 의해 밀려 상기 제2하우징(21)이 상기 제1하우징(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guide inclined surface 33 of the guide block 30 is guided along the guide surface 23 'of the locking jaw 23, the guide block 30 is pushed by the second housing 21. The first housing 11 is moved away from the first housing 11.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블록(30)이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체결레버(14)가 상기 걸림턱(23)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커넥터 어셈블리와 장착부 사이의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작업자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결합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As such, since the guide lever 30 moves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 the fastening lever 14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jaw 23, so that a space between the connector assembly and the mounting portion Even in a narrow case, the worker can easily separate the coupling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핀(40)은 가이드블록(30)과 별개물로, 가이드블록(30)의 관통공(32)을 관통하여 삽입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연결핀(40)은 가이드블록(3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nnecting pin 4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2 of the guide block 30 separately from the guide block 3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nnecting pin 4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guide block 30, respectively.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커넥터(20)의 외면과 마주보는 체결레버(14)의 자유단부의 외면에는 걸이턱(15)을 향해 블록안내면(16)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블록안내면(16) 없이도 체결레버(14)는 가이드블록(30)의 이동에 의해 탄성변형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block guide surface 16 is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hooking jaw 15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ee end of the fastening lever 14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not. For example, the fastening lever 14 may b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movement of the guide block 30 even without the block guide surface 16.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략사시도.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의 요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necto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블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uide block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Figure 5a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제1커넥터의 체결레버가 제2커넥터의 걸림턱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Figure 5b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lever of the first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jaw of the second connector.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제1커넥터 11: 제1하우징10: first connector 11: first housing

12: 삽입공간 13: 차폐커버12: Insertion space 13: Shield cover

13': 안착공간 14: 체결레버13 ': Seating space 14: Tightening lever

15: 걸이턱 15': 경사면15: hanger 15 ': slope

17: 가이드슬릿 16: 블록안내면17: Guide Slit 16: Block Guide

19: 걸림돌기 20: 제2하우징 19: jamming 20: the second housing

21: 제2하우징 23: 걸림턱 21: 2nd housing 23: Jamming jaw

23': 가이드면 30: 가이드블록 23 ': guide face 30: guide block

32: 관통공 33: 안내경사면 32: through hole 33: guide slope

40: 연결핀40: connecting pin

Claims (6)

내부에 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가이드슬릿이 형성된 차폐커버가 형성되고, 차폐커버의 선단으로부터 탄성변형 가능하게 체결레버가 형성되는 제1커넥터와,A first connector in which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terminal is inserted is formed, a shielding cover in which guide slits are formed on both sides, and a fastening lever is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from an end of the shielding cover; 외면에 상기 체결레버가 걸어지는 걸림턱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커넥터; 그리고A second connector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locking jaw protruding from the locking lever; And 상기 가이드슬릿에 양단이 지지되는 연결핀에 의해 상기 안착공간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체결레버를 밀어 올려 상기 제1커넥터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는 가이드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The guide slit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seating space by the connecting pins supported at both ends, and move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to push up the locking lev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And a guide block elastically deform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슬릿의 일단부 내면에는 걸림돌기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이 선택적으로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The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of the guide slit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facing each other engaging projection pin is selectively hooked.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체결레버는 상기 차폐커버의 일측에 기저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커넥터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레버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The fastening lever has a bas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hield cover, a free end is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is coupled, the free end of the fastening lever is formed to protrude a hook step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jaw Characterized by a connector assembly.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체결레버의 걸이턱에는 상기 체결레버의 기저부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The connector jaw of the fastening le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base of the fastening lever.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2커넥터의 외면과 마주보는 상기 체결레버의 자유단부의 외면에는 상기 걸이턱을 향해 블록안내면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The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 guide surface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hook jaw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ee end of the locking lever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가이드블록에는 상기 가이드블록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커넥터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안내경사면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는 이에 대응되는 가이드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And a guide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downwar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connector is coupled from one end of the guide block, and a guide surface corresponding thereto is formed in the locking jaw.
KR1020080075250A 2008-07-31 2008-07-31 Connector assembly KR2010001363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250A KR20100013638A (en) 2008-07-31 2008-07-31 Connec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250A KR20100013638A (en) 2008-07-31 2008-07-31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638A true KR20100013638A (en) 2010-02-10

Family

ID=4208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250A KR20100013638A (en) 2008-07-31 2008-07-31 Connecto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363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786B1 (en) Connector assembly
KR20120006307A (en) Connector assembly
KR102591645B1 (en) Connector assembly
KR200437689Y1 (en) Connector
KR20100013632A (en) Connector assembly
KR20100013638A (en) Connector assembly
KR20130022229A (en) Connector assembly
KR20220088042A (en) Rearholder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KR200467964Y1 (en) Connector assembly
KR20170078199A (en) Front Holder and Terminal Block having the same
KR100988794B1 (en) Connector
KR101009362B1 (en) Connector assembly
KR100912950B1 (en) A connector housing
KR200466960Y1 (en) connector
KR20150139409A (en) A connecting clip, a connector and a assembly
KR20160007320A (en) A connector assembly
KR20100114366A (en) Connector assembly
KR20220019482A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200451453Y1 (en) termianal
KR101658014B1 (en) Connector assembly
KR20100024691A (en) A connector assembly
JP6100117B2 (en) connector
KR20090006808U (en) Connector
KR20100056186A (en) Cover fastening apparatus for box
KR101595364B1 (en)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