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462A -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 Google Patents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462A
KR20100013462A KR1020080074993A KR20080074993A KR20100013462A KR 20100013462 A KR20100013462 A KR 20100013462A KR 1020080074993 A KR1020080074993 A KR 1020080074993A KR 20080074993 A KR20080074993 A KR 20080074993A KR 20100013462 A KR20100013462 A KR 20100013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extinguisher
detection means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5427B1 (ko
Inventor
강혜정
홍정유
강지호
김명진
Original Assignee
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랜스(주) filed Critical 랜스(주)
Priority to KR1020080074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4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소화기와 감지장치가 별도로 존재하여 상호 유선으로 연결하여 화재 진압을 하는 방식을 화재 감지 및 소화 기능을 하나로 통합하여 설치 장소 및 환경에 구애받지 않는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는,
소화기에 있어서,
화재 감지 지역의 화재 감지를 위한 온도 및 습도 감지 정보를 온습도감지센서로부터 수집하여 수집된 감지 정보와 저장된 임계치 정보를 비교하여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 소화기 작동 신호를 소화기작동제어수단으로 전송하며, 감지 정보와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의 초과임계치 정보를 코드화하여 상기 코드화된 정보 및 해당 온습도감지센서의 고유코드를 무선통신부로 전송하는 화재방어용감지수단과;
정전 시 화재방어용감지수단 및 전원관리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화재방어용감지수단과 소화기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전압을 관리하는 전원관리수단과;
상기 화재방어용감지수단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으로 전송하며,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와;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소화기 작동 신호를 수신받아 소화기를 자동 작동시키거나, 현장에 설치된 수동버튼부를 관리자가 동작시킬 경우에 소화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소화기작동제어수단과;
상기 소화기작동제어수단의 소화기 작동 신호를 수신받아 작동하는 소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종래에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소화기에 화재방어용감지수단과 무선통신부와 소화기작동제어수단을 통합하여 구성함으로써, 화재감지 설비의 보수 및 점검의 용이성을 관리자에 제공하게 된다.
유비쿼터스, 화재 감지, 사전 이상징후, 원격제어.

Description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fire extinguisher included fire defense sensor.}
본 발명은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소화기와 감지장치가 별도로 존재하여 상호 유선으로 연결하여 화재 진압을 하는 방식을 화재 감지 및 소화 기능을 하나로 통합하여 설치 장소 및 환경에 구애받지 않는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재감지 설비는 화재를 자동적으로 탐지하여 화재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기, 화재를 발견한 사람이 수동에 의한 조작으로 화재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신기, 상기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수신하여 이 신호를 수신기에 중계해주는 별도의 중계기, 상기 감지기, 발신기 또는 중계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장소를 표시하거나 필요한 신호를 제어해주는 수신기, 화재의 발생을 시각적으로 경보해 주는 경고등 및 화재의 발생을 청각적으로 경보해 주는 경종을 포함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화재감지 설비의 감지기는 유선 방식으로서 일단 건물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면 설치 위치를 변경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화재감지 설비의 감지기와 중계기, 중계기와 수신기는 건물 시공시 벽면 내부로 연결된 전선을 통한 유선 방식으로 화재감지 신호를 송수신하는 바, 화재감지 설비의 보수 및 점검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감지기와 소화기는 별도로 존재하며 이를 모두 유선으로 연결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유선 설치 비용 증가, 감지기 및 소화기의 확대 불가 등 유선 설치에 따른 제한적 설치 환경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소화기에 화재방어용감지수단과 무선통신부와 소화기작동제어수단을 통합하여 구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이 독자적으로 센싱하여 이상징후 감지 및 화재 상황을 감지했을때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에 감지 정보를 전송하며,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으로부터 소화기 동작 신호를 수신하여 소화기를 동작시키거나, 해당 소화기에서 판단된 감지 정보가 임계치 이상의 수치일 경우에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의 제어 없이 독자적으로 소화기를 작동시킴으로써, 탄력적인 화재 진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기술을 도입하여 화재 발생 전에 나타나는 이상 징후를 감지하여 이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의 제어 및 임계치 판단에 따른 제어와 관계없이 현장의 관리자가 직접 소화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는,
소화기에 있어서,
화재 감지 지역의 화재 감지를 위한 온도 및 습도 감지 정보를 온습도감지센서로부터 수집하여 수집된 감지 정보와 저장된 임계치 정보를 비교하여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 소화기 작동 신호를 소화기작동제어수단으로 전송하며, 감지 정보와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의 초과임계치 정보를 코드화하여 상기 코드화된 정보 및 해당 온습도감지센서의 고유코드를 무선통신부로 전송하는 화재방어용감지수단과;
정전 시 화재방어용감지수단 및 전원관리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화재방어용감지수단과 소화기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전압을 관리하는 전원관리수단과;
상기 화재방어용감지수단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으로 전송하며,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와;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소화기 작동 신호를 수신받아 소화기를 자동 작동시키거나, 현장에 설치된 수동버튼부를 관리자가 동작시킬 경우에 소화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소화기작동제어수단과;
상기 소화기작동제어수단의 소화기 작동 신호를 수신받아 작동하는 소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는,
종래에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소화기에 화재방어용감지수단과 무선통신부와 소화기작동제어수단을 통합하여 구성함으로써, 화재감지 설비의 보수 및 점검의 용이성을 관리자에 제공하게 된다.
또한,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이 독자적으로 센싱하여 이상징후 감지 및 화재 상황을 감지했을때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에 감지 정보를 전송하며,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으로부터 소화기 동작 신호를 수신하여 소화기를 동작시키거나, 해당 소화기에서 판단된 감지 정보가 임계치 이상의 수치일 경우에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의 제어 없이 독자적으로 소화기를 작동시킴으로써, 탄력적인 화재 진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기술을 도입하여 화재 발생 전에 나타나는 이상 징후를 감지하여 이를 원격지의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의 제어 및 임계치 판단에 따른 제어와 관계없이 현장의 관리자가 직접 소화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진압의 3중 안정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방어용감지수단 을 내장한 소화기는,
소화기에 있어서,
화재 감지 지역의 화재 감지를 위한 온도 및 습도 감지 정보를 온습도감지센서로부터 수집하여 수집된 감지 정보와 저장된 임계치 정보를 비교하여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 소화기 작동 신호를 소화기작동제어수단으로 전송하며, 감지 정보와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의 초과임계치 정보를 코드화하여 상기 코드화된 정보 및 해당 온습도감지센서의 고유코드를 무선통신부로 전송하는 화재방어용감지수단과;
정전 시 화재방어용감지수단 및 전원관리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화재방어용감지수단과 소화기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전압을 관리하는 전원관리수단과;
상기 화재방어용감지수단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으로 전송하며,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와;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소화기 작동 신호를 수신받아 소화기를 자동 작동시키거나, 현장에 설치된 수동버튼부를 관리자가 동작시킬 경우에 소화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소화기작동제어수단과;
상기 소화기작동제어수단의 소화기 작동 신호를 수신받아 작동하는 소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은,
화재 감지 지역의 온도 및 습도 감지하기 위한 온습도감지센서와,
상기 온습도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 정보를 수집하는 화재방어용데이터수집부와,
임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화재방어용데이터수집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가 임계치를 넘는지를 판단하는 임계치판단부와,
상기 온습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감지 정보와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의 초과임계치 정보를 코드화하여 상기 코드화된 정보 및 해당 온습도감지센서의 고유코드를 무선통신부로 전송하여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소화기 작동 신호를 수신받아 소화기작동제어수단에 소화기 작동 신호를 전송하는 화재방어용감지제어부와,
초과 임계치로 판단될 경우에 무선통신부의 동작 유무 정보를 확인하여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 해당 초과 임계치 정보를 소화기작동제어수단에 전송하는 통신동작유무확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소화기작동제어수단은,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소화기 작동 신호 혹은 초과임계치 정보를 수신받는 소화기작동신호수신부와,
상기 소화기작동신호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소화기 동작 신호를 수신받아 소화기를 동작시키는 화재진압동작부와,
무선통신부가 동작하지 않아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초과 임계치 정보를 수신받을 경우에 직접 소화기를 동작시키는 화재진압직접동작부와,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의 제어 및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의 제어와 관계없이 화재감지 지역에 설치된 소화기를 관리자가 직접 작동시키기 위하여 수동버튼부를 누를 경우에 소화기를 동작시키는 소화기수동동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온습도감지센서는,
프루브 타입의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소화기는,
전기작동식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부는,
IP-USN의 통신 규약을 기반으로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원관리수단은,
AC 220V를 DC 6V로 변환(정류)하는 어댑터부와,
상기 어댑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공급부를 충전하고 화재방어용감지수단,
무선통신부, 소화기작동제어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컨트롤러부와,
상기 전원컨트롤러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이 동작하기 위한 전압으로 강압하는 강압부와,
상기 전원컨트롤러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트리거부 및 소화기가 동작하기 위한 전압으로 승압하기 위한 승압부와,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부터 소화기 작동 신호가 전송되면 소화기로 전압을 공급하여 동작시키는 트리거부와,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부터 소화기 작동 신호가 전송되면 화재경보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화재경보기동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재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재감시 시스템은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100)와, 중계노드수단(200)과,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300) 및 인터넷망/네트워크망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즉, 상기 중계노드수단(200)은 다수의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100) 및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 간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100)에서 감지된 감지 정보를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으로 송수신하며,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고체에어로졸소화기 동작 신호를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에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인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100)는 정전시에도 일정시간 이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소화기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배터리를 내장하도록 구성하여 정전시를 대비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300)은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으로부터 전송되는 센서 아이디 정보, 감지 정보를 수집하여 센서별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 판단하여 임계치 이상일 경우에 해당 센서의 위치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화재 발생의 징후들을 사전에 포착하여 화재 발생 전에 진압하거나, 화재 발생시 해당 센서가 위치한 지역에 구성된 고체에어로졸소화기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여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본 발명의 소화기는 유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무선통신 방식을 채택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유비쿼터스 환경에 부합되는 IP-USN의 통신 방식을 채택하여 본 발명의 소화기의 네트워크 상태가 중계노드수단의 통제를 받으면서 네트워크에 필요한 라우팅 및 구성 매커니즘이 조작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설정되게 된다.
한편, IP-USN의 통신 방식 이외에도 지그비 통신 방식을 사용해도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동작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다.
즉, 센서 네트워크는 자기조직적이고 이를 통해 온습도감지센서 특정 전개 또는 네트워크 관리 활동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 손쉽고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온습도감지센서를 설치하면 자동으로 중계노드수단과 최적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된다.
온습도감지센서의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구성이 네트워크로부터 추가 및 삭제되어지는 각기 다른 온습도감지센서들로 인해 다이나믹하게 변경되는 복잡한 환경 및 구현들에 적응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블록도이다.
소화기에 있어서,
화재 감지 지역의 화재 감지를 위한 온도 및 습도 감지 정보를 온습도감지센서로부터 수집하여 수집된 감지 정보와 저장된 임계치 정보를 비교하여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 소화기 작동 신호를 소화기작동제어수단으로 전송하며, 감지 정보와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의 초과임계치 정보를 코드화하여 상기 코드화된 정보 및 해당 온습도감지센서의 고유코드를 무선통신부로 전송하는 화재방어용감지수단(140)과;
정전 시 화재방어용감지수단 및 전원관리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10)와;
상기 화재방어용감지수단과 소화기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전압을 관리하는 전원관리수단(120)과;
상기 화재방어용감지수단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으로 전송하며,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30)와;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소화기 작동 신호를 수신받아 소화기를 자동 작동시키거나, 현장에 설치된 수동버튼부를 관리자가 동작시킬 경우에 소화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소화기작동제어수단(150)과;
상기 소화기작동제어수단의 소화기 작동 신호를 수신받아 작동하는 소화 기(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재방어용감지수단(140)은 화재 감지 지역의 화재 감지를 위한 온도 및 습도 감지 정보를 온습도감지센서로부터 수집하여 수집된 감지 정보와 저장된 임계치 정보를 비교하여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 소화기 작동 신호를 소화기작동제어수단으로 전송하며, 감지 정보와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의 초과임계치 정보를 코드화하여 상기 코드화된 정보 및 해당 온습도감지센서의 고유코드를 무선통신부로 전송하여 원격지에 구성된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으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화재방어용감지수단(140)은,
화재 감지 지역의 온도 및 습도 감지하기 위한 온습도감지센서(141)와,
상기 온습도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 정보를 수집하는 화재방어용데이터수집부(142)와,
임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화재방어용데이터수집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가 임계치를 넘는지를 판단하는 임계치판단부(143)와,
상기 온습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감지 정보와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의 초과임계치 정보를 코드화하여 상기 코드화된 정보 및 해당 온습도감지센서의 고유코드를 무선통신부로 전송하여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소화기 작동 신호를 수신받아 소화기작동제어수단에 소화기 작동 신호를 전송하는 화재방어용감지제어부(145)와,
초과 임계치로 판단될 경우에 무선통신부의 동작 유무 정보를 확인하여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 해당 초과 임계치 정보를 소화기작동제어수단에 전송하는 통신동 작유무확인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온습도감지센서(141)는 바람직하게는 프루브 타입의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화재 및 이상징후 감지는 정확한 온도/습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수집되는 온도/습도 데이터는 상대적 차이만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절대적 정확성도 확보되어야 한다.
즉, 현재의 온도(정확하게는 ‘공기 중의 온도’)가 28.5도라면 온도센서는 정확하게 28.5도라고 데이터를 수집해야만 화재 및 이상징후를 감지하고 화재진압을 시도하는데 문제가 없다.
만일 온/습도센서를 소화기 내에 설치한다면 공기 중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제품 내부의 발열에 영향을 받게 되며, 이는 화재방어를 위한 데이터 수집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루브(probe)타입은 일종의 보호케이스로서 온/습도 센서가 데이터 수집하는데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온/습도 센서를 물리적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프루브타입은 본 발명의 내부에 구성된 각 부들로부터 온/습도센서를 분리하여 내부 각 부에서 발생하는 발열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고, 순수하게 공기중의 온도만을 측정하도록 해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온/습도 데이터의 절대적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프루브타입의 센서를 채택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소화기는 바람직하게는 전기작동식 고체에어로졸 소화기를 채택하게 되는데, 상기 소화기작동제어수단의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동작하기 위하여 전기작동식을 채택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전기작동식의 작동전압은 약 4~24V DC정도이며 전류는 2~0.5A 정도이며, 전압이 낮으면 많은 전류가 필요하고 동작시간이 길며, 전압이 높으면 소량의 전류만 있으면 되고 동작시간이 짧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구성은 소화기 내에 뇌관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 뇌관에는 전원을 연결하는 커넥터가 있으며, 뇌관은 극소량의 고성능화약과 전기식 발열체로 구성되어 있다.
뇌관에 동작에 필요한 만큼의 전기를 입력하면 전기식 발열체에 의해 화약이 폭발하면서 소화기 내부의 장약을 발화시키고, 이는 고체상태의 소화약제를 연소시켜 에어로졸상태로 만들며, 에어로졸상태의 소화약제는 약제 자체의 에어로졸화로 인해 높아진 소화기 내부 압력을 이용해 분출구로 분사가 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다.
상기 임계치판단부(143)는 임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화재방어용데이터수집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가 임계치를 넘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화재방어용데이터수집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가 사전에 입력된 임계치 데이터를 초과할 경우에 통신동작유무확인부(144)에 의해 무선통신부의 동작 유무 정보를 확인하여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 해당 초과 임계치 정보를 소화기작동제어수단에 전송하여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의 제어와 관계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가장 기본적인 작동 방식은 초과된 임계치 정보라 판단되면 화재방어용감지제어부를 통해 초과임계치 정보를 코드화하여 상기 코드화된 정보 및 해당 온습도감지센서의 고유코드를 무선통신부로 전송하여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소화기 작동 신호를 수신받아 소화기작동제어수단에 소화기 작동 신호를 전송하여 소화기를 작동시키는 것이며, 이는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센서들로부터 수집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상 패턴을 추출하여 화재 초기임을 인지 후 화재 진압을 시도하는 것이다.
이를 화재진압 1단계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에는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이지만 네트워크 단절 장애로 인하여 화재방어용감지제어부가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으로부터 소화기 작동 신호를 전달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의 제어와 관계없이 소화기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임계치판단부를 구성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화재방어용데이터수집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가 사전에 입력된 임계치 데이터를 초과할 경우에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의 제어와 관계없이 화재방어용감지제어부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여 고체에어로졸소화기를 직접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를 화재진압 2단계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임계치판단부에 임계치 정보를 저장하게 되는데 임계치 정보는 사전에 최초 설정된 정보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가 단절되기 전까지의 최종 수신된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반드시 네트워크가 단절될 경우에 한정되어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필 요에 따라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경우에 원격 동작 신호 수신없이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의 제어 및 화재방어용감지제어부의 제어와 관계없이 화재감지 지역에 설치된 고체에어로졸소화기를 관리자가 직접 작동시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기수동동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화기수동동작부는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의 제어 및 화재방어용감지제어부의 제어와 관계없이 화재감지 지역에 설치된 고체에어로졸소화기를 관리자가 직접 작동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이는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과 화재방어용감지제어부의 제어 여부에 관계없이 현장에서 관리자가 직접 소화기를 작동시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것이다. 즉, 현장에 있는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는 화재발생 상황에서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과 화재방어용감지제어부의 개입 여부와는 별개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화재진압 1단계 및 2단계 모두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 혹은 본 발명의 시스템이 개입되기 이전에 화재를 진압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를 화재진압 3단계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화재진압을 위한 1,2,3단계를 제공하여 3중의 안전 방식을 제공하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소화기작동제어수단(150)은,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소화기 작동 신호 혹은 초과임계치 정보를 수신받는 소화기작동신호수신부(151)와,
상기 소화기작동신호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소화기 동작 신호를 수신받아 소화기를 동작시키는 화재진압동작부(152)와,
무선통신부가 동작하지 않아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초과 임계치 정보를 수신받을 경우에 직접 소화기를 동작시키는 화재진압직접동작부(153)와,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의 제어 및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의 제어와 관계없이 화재감지 지역에 설치된 소화기를 관리자가 직접 작동시키기 위하여 수동버튼부를 누를 경우에 소화기를 동작시키는 소화기수동동작부(1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소화기작동신호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소화기 동작 신호를 수신받아 소화기를 동작시키는 화재진압동작부(152)와,
무선통신부가 동작하지 않아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초과 임계치 정보를 수신받을 경우에 직접 소화기를 동작시키는 화재진압직접동작부(153)와,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의 제어 및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의 제어와 관계없이 화재감지 지역에 설치된 소화기를 관리자가 직접 작동시키기 위하여 수동버튼부를 누를 경우에 소화기를 동작시키는 소화기수동동작부(154)를 구성한 이유는 앞서 설명하고 있는 화재진압 3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해 종래의 문제점인 화재를 개별적으로 감지하고 소화를 시도하는 형태의 매우 단순하고 아날로그적 방식을 탈피하여 화재 발생 이전부터 생성되는 다양한 징후를 포착하며, 화재 발생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즉, 다양한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화재 발생의 징후를 사전에 포착하여 화재 발생에 이르기 전에 진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의 전원관리수단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관리수단(120)은,
AC 220V를 DC 6V로 변환(정류)하는 어댑터부(121)와,
상기 어댑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공급부를 충전하고 화재방어용감지수단, 무선통신부, 소화기작동제어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컨트롤러부(122)와,
상기 전원컨트롤러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이 동작하기 위한 전압으로 강압하는 강압부(123)와,
상기 전원컨트롤러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트리거부 및 소화기가 동작하기 위한 전압으로 승압하기 위한 승압부(124)와,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부터 소화기 작동 신호가 전송되면 소화기로 전압을 공급하여 동작시키는 트리거부(125)와,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부터 소화기 작동 신호가 전송되면 화재경보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화재경보기동작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컨트롤러부(122)는 예를 들어 평소에는 어댑터부로부터 전원을 공 급받아 전원공급부를 충전하고 화재방어용감지수단, 무선통신부, 소화기작동제어수단에 전원을 재공급하는 기능(정전 시 상전 대신 사용)을 하게 된다.
상기 강압부(123)는 6V DC를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이 동작하기 위한 DC 3V로 강압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승압부(124)는 6V DC를 트리거부 및 소화기가 동작하기 위한 24V DC로 승압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트리거부(125)는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부터 소화기 작동 신호가 전송되면 소화기로 24V DC를 공급하여 동작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화재경보기동작부(126)는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부터 소화기 작동 신호가 전송되면 화재경보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경보기 연동 접점을 구성하여 상기 화재경보기동작부의 동작 신호를 연동 접점에 의해 화재경보기에 전달하여 화재 경보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전원공급부는 정전 시 화재방어용감지수단 및 트리거부에 어댑터부 대신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전원관리수단은 화재방어용감지수단과 소화기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인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는,
종래에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소화기에 화재방어용감지수단과 무선통신부와 소화기작동제어수단을 통합하여 구성함으로써, 화재감지 설비의 보수 및 점검의 용이성을 관리자에 제공하게 화재 소화기 분야에 널리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재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의 전원관리수단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의 외부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110 : 전원공급부
120 : 전원관리수단
130 : 무선통신부
140 : 화재방어용감지수단
150 : 소화기작동제어수단
160 : 전기작동식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Claims (7)

  1. 소화기에 있어서,
    화재 감지 지역의 화재 감지를 위한 온도 및 습도 감지 정보를 온습도감지센서로부터 수집하여 수집된 감지 정보와 저장된 임계치 정보를 비교하여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 소화기 작동 신호를 소화기작동제어수단으로 전송하며, 감지 정보와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의 초과임계치 정보를 코드화하여 상기 코드화된 정보 및 해당 온습도감지센서의 고유코드를 무선통신부로 전송하는 화재방어용감지수단과;
    정전 시 화재방어용감지수단 및 전원관리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화재방어용감지수단과 소화기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전압을 관리하는 전원관리수단과;
    상기 화재방어용감지수단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으로 전송하며,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와;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소화기 작동 신호를 수신받아 소화기를 자동 작동시키거나, 현장에 설치된 수동버튼부를 관리자가 동작시킬 경우에 소화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소화기작동제어수단과;
    상기 소화기작동제어수단의 소화기 작동 신호를 수신받아 작동하는 소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은,
    화재 감지 지역의 온도 및 습도 감지하기 위한 온습도감지센서와,
    상기 온습도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 정보를 수집하는 화재방어용데이터수집부와,
    임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화재방어용데이터수집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가 임계치를 넘는지를 판단하는 임계치판단부와,
    상기 온습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감지 정보와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의 초과임계치 정보를 코드화하여 상기 코드화된 정보 및 해당 온습도감지센서의 고유코드를 무선통신부로 전송하여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소화기 작동 신호를 수신받아 소화기작동제어수단에 소화기 작동 신호를 전송하는 화재방어용감지제어부와,
    초과 임계치로 판단될 경우에 무선통신부의 동작 유무 정보를 확인하여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 해당 초과 임계치 정보를 소화기작동제어수단에 전송하는 통신동작유무확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작동제어수단은,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소화기 작동 신호 혹은 초과임계치 정보를 수신받는 소화기작동신호수신부와,
    상기 소화기작동신호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소화기 동작 신호를 수신받아 소화기를 동작시키는 화재진압동작부와,
    무선통신부가 동작하지 않아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초과 임계치 정보를 수신받을 경우에 직접 소화기를 동작시키는 화재진압직접동작부와,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의 제어 및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의 제어와 관계없이 화재감지 지역에 설치된 소화기를 관리자가 직접 작동시키기 위하여 수동버튼부를 누를 경우에 소화기를 동작시키는 소화기수동동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습도감지센서는,
    프루브 타입의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는,
    전기작동식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IP-USN의 통신 규약을 기반으로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관리수단은,
    AC 220V를 DC 6V로 변환(정류)하는 어댑터부와,
    상기 어댑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공급부를 충전하고 화재방어용감지수단,
    무선통신부, 소화기작동제어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컨트롤러부와,
    상기 전원컨트롤러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이 동작하기 위한 전압으로 강압하는 강압부와,
    상기 전원컨트롤러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트리거부 및 소화기가 동작하기 위한 전압으로 승압하기 위한 승압부와,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부터 소화기 작동 신호가 전송되면 소화기로 전압을 공급하여 동작시키는 트리거부와,
    화재방어용감지수단으로부터 소화기 작동 신호가 전송되면 화재경보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화재경보기동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KR1020080074993A 2008-07-31 2008-07-31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KR101005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993A KR101005427B1 (ko) 2008-07-31 2008-07-31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993A KR101005427B1 (ko) 2008-07-31 2008-07-31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462A true KR20100013462A (ko) 2010-02-10
KR101005427B1 KR101005427B1 (ko) 2010-12-31

Family

ID=42087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993A KR101005427B1 (ko) 2008-07-31 2008-07-31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4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485B1 (ko) * 2008-09-29 2010-09-02 랜스(주) 소화기 작동 완료메세지를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에 통보하는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및 소화기 동작 확인 방법
CN102612106A (zh) * 2012-03-12 2012-07-25 深圳职业技术学院 一种无线传感器网络系统及其路由方法
KR101341155B1 (ko) * 2012-02-15 2013-12-13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036B1 (ko) 2011-08-19 2012-12-27 한국전력공사 전기신호를 이용한 무정전식 소화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7175A (ja) 1997-04-01 1998-10-20 Sogo Keibi Hosho Co Ltd 自動消火装置
KR100840837B1 (ko) 2007-01-05 2008-06-23 위아 주식회사 무인소방로봇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485B1 (ko) * 2008-09-29 2010-09-02 랜스(주) 소화기 작동 완료메세지를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에 통보하는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및 소화기 동작 확인 방법
KR101341155B1 (ko) * 2012-02-15 2013-12-13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CN102612106A (zh) * 2012-03-12 2012-07-25 深圳职业技术学院 一种无线传感器网络系统及其路由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5427B1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935B1 (ko) 스마트 화재 관리 시스템
KR101104519B1 (ko) 비접촉식 통합 화재 감지 시스템
KR101914554B1 (ko) 소물인터넷 기반 화재감지장치를 이용한 관제시스템
KR100704018B1 (ko) 유/무선 재난 자동 감시 시스템
KR20190051225A (ko)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지능형 배전반 관리시스템
KR101665407B1 (ko)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자동화재감지시스템
CN104183077A (zh) 风力发电机组的消防控制系统和消防控制方法
KR101754620B1 (ko) 화재발생 원격 관리시스템
KR101005427B1 (ko)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KR101721235B1 (ko) 통합 센싱 모듈을 이용한 사고 감지 시스템
KR100892604B1 (ko) 소방 복합 관제 모듈
CN102974063A (zh) 智能型电缆沟实时防火监测及自动灭火系统
KR100979485B1 (ko) 소화기 작동 완료메세지를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에 통보하는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및 소화기 동작 확인 방법
KR102464640B1 (ko) IoT 기반의 화재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101439267B1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장치
KR100862538B1 (ko) 화재수신기의 통합 감시 시스템
KR101399475B1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시스템
KR200399329Y1 (ko) 수·배전반 자동 소화장치
KR101195592B1 (ko) 화재 속보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시스템
KR20130121490A (ko) 무선 통신이 가능한 화재방어용감지수단과 전원관리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KR20100023361A (ko) 무선 통신이 가능한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KR101145414B1 (ko) 전력감시장치 연동형 화재수신시스템
CN201353392Y (zh) 一种气体灭火控制器
KR101750747B1 (ko) 블루투스 아이비콘을 이용한 전자식 화재감지기 및 수신시스템
KR20050064510A (ko) 원격제어 소방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